KR2017011727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277A
KR20170117277A KR1020160044940A KR20160044940A KR20170117277A KR 20170117277 A KR20170117277 A KR 20170117277A KR 1020160044940 A KR1020160044940 A KR 1020160044940A KR 20160044940 A KR20160044940 A KR 20160044940A KR 20170117277 A KR20170117277 A KR 2017011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panel
display
ri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839B1 (ko
Inventor
최진환
김태웅
박보익
서태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839B1/ko
Priority to US15/420,454 priority patent/US10104788B2/en
Priority to TW106112096A priority patent/TWI737713B/zh
Priority to CN201710235858.XA priority patent/CN107293215A/zh
Publication of KR2017011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H01L2227/32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테두리 중 하나가 상기 상기 제1 하우징의 테두리 및 제2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Bending)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 장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여러 번 접철하도록 형성된 표시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철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압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압축력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표시 장치 자체의 신뢰성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압축력이 가해질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인장력으로 인하여 압축력을 상쇄함으로써 압축력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테두리 중 하나가 상기 상기 제1 하우징의 테두리 및 제2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Bending)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접철될 때 동시에 접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불투명 영역인 제1 비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는 제1 편광층 및 제1 터치패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로 접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분리되어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는 상기 제3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불투명 영역인 제2 비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표시부는 상기 제3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테두리 중 하나는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중 하나는 비표시영역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압축력이 가해질 때 인장력을 제공하여 압축력을 상쇄키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밴딩하여 하우징에 설치함으로써 압축력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영역을 하우징에 절곡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이미지나 영상 등을 끊기지 않고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번 반복하여 접철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이 파손되지 않음으로써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00)는 하우징(110), 연결부(120), 디스플레이 패널(130), 편광층(160), 터치패널(170), 보호층(180), 연성회로기판(191a,191b) 및 제어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서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및 제3 하우징(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및 제3 하우징(113)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및 제3 하우징(113) 내부에는 회로기판, 베터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 내지 제3 하우징(113)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11)은 제2 하우징(112)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2)은 제3 하우징(113)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사이 및 제2 하우징(112)과 제3 하우징(113) 사이에는 연결부(120)가 구비되어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및 제2 하우징(112)과 제3 하우징(113)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111b),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112b) 및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113b) 중 적어도 하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111b),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112b) 및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113b)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가 절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111b),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112b) 및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113b)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111b),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112b) 및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113b) 중 적어도 하나는 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111b),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112b) 및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113b)는 모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120)는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121) 및 제2 하우징(112)과 제3 하우징(113)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21)는 각각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22)는 제2 하우징(112) 및 제2 하우징(112)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21) 및 제2 연결부(12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121) 및 제2 연결부(122)는 링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부(121)와 제2 연결부(122)는 힌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연결부(121) 및 제2 연결부(122)는 링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플렉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하우징(110)의 외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접철 여부에 따라 형상이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과 각각 결합하는 제1 커버(111a) 및 제2 커버(112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에 접착물질 등으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1 커버(111a) 및 제2 커버(112a)에 의하여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접철 시 같이 접철될 수 있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사이에서 접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접철되는 부분에는 압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 및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에 벤딩되도록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 및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적어도 일부는 벤딩된 상태로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적어도 일부는 벤딩된 상태로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일부는 벤딩된 상태로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 및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반대편인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끝단은 각각 제1 하우징(111)의 끝단 및 제2 하우징(112)의 끝단에 벤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상태에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구현하는 제1 표시부(140a)와, 제1 표시부(140a)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 비표시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40a)는 표시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비표시부(140b)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구현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40a)는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40a)는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의 접철 시 동시에 같이 접철될 수 있다.
제1 비표시부(140b)는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비표시부(140b) 중 일부는 제1 하우징(111)의 테두리 및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에 벤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비표시부(140b) 중 밴딩된 부분은 제2 하우징(112)의 라운드진 부분에 제2 하우징(112)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배치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비표시부(140b)는 제2 하우징(112)의 라운드진 부분의 외면의 1/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표시부(140b) 중 일부는 제1 커버(111a) 및 제2 커버(112a)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로부터 이격되도록 제3 하우징(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테두리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테두리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테두리는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벤딩(bending)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테두리는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제3 하우징(113)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제3 하우징(113)에 안착되어 제3 하우징(113)과 결합하는 제3 커버(11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제3 하우징(113)에 배치되는 별도의 접착부재에 의하여 제3 하우징(113)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제3 커버(113a)에 의해 제3 하우징(113)에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제2 표시부(150a)와 제2 비표시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표시부(150a)는 표시 영역으로써 제3 하우징(113)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비표시부(150b)는 비표시 영역으로써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비표시부(150b)는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에 절곡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 상에는 편광층(160) 및 터치패널(17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편광층(160) 및 터치패널(170)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편광층(160)과 터치패널(170)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 편광층(160)과 터치패널(170)은 적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 상 편광층(160)과 터치패널(17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편광층(160)은 편광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편광물질을 필름 형태로 제조한 후 접착부재 등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70)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층을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및 편광층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하거나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및 편광층(16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부재 등을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편광층(16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편광층(16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상에 배치되는 제1 편광층(161)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에 배치되는 제2 편광층(162)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170)은 편광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널(170)은 제1 편광층(161) 상에 배치되는 제1 터치패널(171)과 제2 편광층(162) 상에 배치되는 제2 터치패널(17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18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층(18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의 배면에 보호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호층(180)는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8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18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181)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1 하우징(111) 및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하우징(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층(182)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제3 하우징(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91a,191b)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중 적어도 하나와 제어부(19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성회로기판(191a,191b)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어부(192)를 연결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제어부(192)를 연결하는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회로기판(191a)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성회로기판(191a)은 밴딩되지 않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성회로기판(191a)은 절곡될 수 있으며, 일단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끝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제1 연성회로기판(191a)이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끝단에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구동신호 등을 입력하는 단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회로기판(191a)은 일부가 제1 하우징(111)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성회로기판(191a)은 제1 하우징(11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성회로기판(191a) 일부는 제1 하우징(111) 외부에 노출되며, 제1 커버(111a)에 의하여 차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연성회로기판(191a)은 제1 하우징(111) 외부로 노출되며, 제1 커버(111a)에 의하여 차폐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은 밴딩되지 않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끝단과 연결될 수있다. 이때,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은 절곡될 수 있으며, 일단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하우징(11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이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끝단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구동 신호 등을 입력하는 단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은 일부가 제3 하우징(113)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은 제3 하우징(113)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3 하우징(113) 외부로 노출된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의 일부는 제3 커버(113a)에 의해 차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은 제3 커버(113a)에 의해 차폐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92)는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연성회로기판(19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2)는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연성회로기판(191b)에 각각 연결되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92)는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연성회로기판(191b)에 모두 연결되되록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92)가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연성회로기판(191b)에 모두 연결되도록 1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92)는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또는 제3 하우징(113)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92)가 제2 하우징(112)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92)와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은 서로 직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92)는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연성회로기판(191b)에 별도의 케이블 등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92)가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및 제2 연성회로기판(191b)에 케이블 등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로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성회로기판(191a)과 제어부(192)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제1 하우징(111), 제1 연결부(121) 및 제2 하우징(1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성회로기판(191b)과 제어부(192)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제3 하우징(113), 제2 연결부(122) 및 제2 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92)는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및 제3 하우징(113)의 위치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2)는 제2 연결부(122)가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부분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부분에서 이미지 또는 영상이 연결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제어부(192),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터리는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및 제3 하우징(11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베터리와 다른 장치들과의 연결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어부(192)와 제1 연성회로기판(191a) 또는 제2 연성회로기판(191b)의 연결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연결부(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테두리 중 일부는 제2 하우징(112) 테두리 중 라운드진 부분에 대응되도록 벤딩된 상태로 제2 하우징(112)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운드진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전면에는 인장력이 발생한 상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배면에는 압축력이 발생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제3 하우징(113)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테두리는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테두리 일부는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하우징(113)의 테두리 중 제2 하우징(112)과 대항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비표시부(140b)와 제2 비표시부(150b)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하우징(112)과 제3 하우징(113)의 경계에서 제1 표시부(140a)와 제2 표시부(150a)가 서로 만남으로써 서로 연결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00)는 접철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를 가방, 주머니 등에 보관하는 경우 표시 장치(100)는 접철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 장치(1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가 하나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표시 장치(100)를 펼친 상태에서 접철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면,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제3 하우징(113) 및 제1 하우징(1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1)과 제3 하우징(113)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11)이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하우징(112)은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1)이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하우징(113)은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은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하우징(113)은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하우징(111)과 제3 하우징(113)을 회전시키는 경우 제3 하우징(113)이 먼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3 하우징(113)은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3 하우징(113)의 회전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 제2 편광층(162), 제2 터치패널(172) 및 제2 보호층(182)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터치패널(172)은 제1 터치패널(171)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하우징(113)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1 하우징(111)은 제2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사에는 제3 하우징(11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제1 편광층(161), 제1 터치패널(171) 및 제1 보호층(181)은 제1 하우징(111)과 함께 회전하여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사이를 기준으로 서로 접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터치패널(171)은 제3 하우징(113)의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 제1 편광층(161), 제1 터치패널(171), 제1 보호층(181)이 접철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전면에는 압축력이 가해지고,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배면에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전면은 이미지 등이 구현되는 부분이고,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배면은 제1 보호층(181)이 배치된 부분이다. 특히 제1 보호층(181)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해진 압축력과 인장력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을 반복하여 접철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파손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접철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휘도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환경 신뢰성 평가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테두리 일부를 제2 하우징(112)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에 벤딩된 상태로 배치하는 경우 벤딩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테두리 일부의 전면에서는 인장력이 발생하고,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테두리 일부의 배면에서는 압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장력과 압축력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접철 시 발생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반복하여 접철하는 경우 발생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반복적인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접철로 인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1 표시부(140a)와 제1 비표시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40a)는 기판(141a) 상의 표시 영역(DA)으로 정의되고, 제1 비표시부(140b)는 기판(141a) 상의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NDA)으로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표시층(D)이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A)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NDA)에는 패드부(C)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표시부(140a)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표시부(140a)는 기판(141a), 표시층(D) 및 박막 봉지층(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41a) 상에 다양한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141a)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41a)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141a)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141a) 상에 표시층(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층(D)은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구비되고, 이들을 덮도록 패시베이션막(147a)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147a) 상에 유기 발광 소자(148a)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41a)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142a)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142a)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143a)이 형성된 후, 활성층(143a)이 게이트 절연층(144a)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143a)은 소스 영역(143a-2)과 드레인 영역(143a-1))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143a-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143a)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143a)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143a)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143a)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143a)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143a)은 버퍼층(142a)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3a)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143a-2) 및 드레인 영역(143a-1))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된다. 소스 영역(143a-2)과 드레인 영역(143a-1)) 사이에는 채널 영역(143a-3)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44a)의 상면에는 활성층(143a)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145a)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14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146a)과 게이트 절연층(144a)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146a) 상에 소스 전극(147a-2) 및 드레인 전극(147a-1)을 각각 소스 영역(143a-2) 및 드레인 영역(143a-1))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147a)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147a)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148a, OLED)의 화소 전극(148a-1)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148a-1)은 패시베이션막(27)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147a-1)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47a)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147a)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147a) 상에 화소 전극(148a-1)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148a-1) 및 패시베이션막(147a)을 덮도록 화소 정의막(149a)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148a-1)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148a-1) 상에 중간층(148a-2) 및 대향 전극(148a-3)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148a-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148a-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148a-1)과 대향 전극(148a-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148a-1)과 대향 전극(148a-3)은 상기 중간층(148a-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148a-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148a-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148a-2)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148a-2)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데,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박막 봉지층(E)은 복수의 무기막들을 포함하거나,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막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막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막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막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 제2 유기막, 제3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 상기 제2 유기막, 제3 무기막, 제3 유기막, 제4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제1 무기막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제1 무기막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기막은 제2 무기막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막도 제3 무기막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하우징
111: 제1 하우징
112: 제2 하우징
113: 제3 하우징
120: 연결부
130: 디스플레이 패널
140: 제1 디스플레이 패널
150: 제2 디스플레이 패널
160: 편광층
170: 터치패널
180: 보호층
191a: 제1 연성회로기판
191b: 제2 연성회로기판
192: 제어부

Claims (16)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테두리 중 하나가 상기 상기 제1 하우징의 테두리 및 제2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Bending)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접철될 때 동시에 접철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불투명 영역인 제1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된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는 제1 편광층 및 제1 터치패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로 접철되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분리되어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는 상기 제3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불투명 영역인 제2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표시부는 상기 제3 하우징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밴딩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테두리 중 하나는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인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중 하나는 비표시영역이 표시 장치.
KR1020160044940A 2016-04-12 2016-04-12 표시 장치 KR10255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940A KR102559839B1 (ko) 2016-04-12 2016-04-12 표시 장치
US15/420,454 US10104788B2 (en) 2016-04-12 2017-01-31 Display device
TW106112096A TWI737713B (zh) 2016-04-12 2017-04-11 顯示裝置
CN201710235858.XA CN107293215A (zh) 2016-04-12 2017-04-1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940A KR102559839B1 (ko) 2016-04-12 2016-04-12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277A true KR20170117277A (ko) 2017-10-23
KR102559839B1 KR102559839B1 (ko) 2023-07-27

Family

ID=5999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940A KR102559839B1 (ko) 2016-04-12 2016-04-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04788B2 (ko)
KR (1) KR102559839B1 (ko)
CN (1) CN107293215A (ko)
TW (1) TWI73771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511A1 (ko) * 2019-11-26 2021-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US11144093B2 (en) 2018-09-18 2021-10-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103059A1 (ko) * 2020-11-13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500B1 (ko) * 2016-11-11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276886B1 (ko) * 2017-04-28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하우징 제조 방법
CN107885636A (zh) * 2017-11-07 2018-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提醒方法、装置及终端
KR102524651B1 (ko) * 2017-12-29 2023-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04138B1 (ko) *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CN108364572B (zh) * 2018-02-07 2020-01-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器
CN108493213A (zh) * 2018-03-13 2018-09-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终端设备
CN108615748B (zh) 2018-05-15 2021-12-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显示设备
KR102465746B1 (ko) * 2018-07-03 2022-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다중 패널 표시 장치
US11275403B2 (en) * 2019-03-08 2022-03-15 Innolux Corporation Tiled display device
JP2020201698A (ja) * 2019-06-10 2020-12-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及び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
KR102668620B1 (ko) * 2019-08-30 2024-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13450644A (zh) * 2020-03-24 2021-09-2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3958A1 (en) * 2002-11-19 2006-07-06 Gerrits Marc J Display surface
JP2014182306A (ja) * 2013-03-19 2014-09-29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60009726A (ko) * 2014-07-16 2016-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1715A (ja) 2003-04-21 2005-06-02 Masanobu Kujirada 携帯型端末装置
KR20070077654A (ko) 2006-01-24 2007-07-27 주식회사 팬택 2개의 폴더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35709A (ko)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KR20100092222A (ko) 2009-02-12 201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폴더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TWI411848B (zh) * 2009-04-30 2013-10-11 Au Optronics Corp 具複數顯示模組之顯示裝置
CN102473363B (zh) * 2009-07-01 2014-08-2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1839615B1 (ko) *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482629B1 (ko) * 2011-06-30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29946B1 (ko) 2012-05-14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모바일 디바이스
TWI480633B (zh) * 2012-07-12 2015-04-11 Hannstouch Solution Inc 觸控面板及使用其之觸控液晶顯示面板
KR102009727B1 (ko) * 2012-11-26 2019-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캐리어 기판
JP2015005786A (ja) * 2013-05-21 2015-01-08 昌輝 戸谷 画像表示装置
KR102076098B1 (ko) * 2013-11-25 2020-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76192B1 (ko) * 2014-03-07 2021-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6694B1 (ko) * 2014-09-01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5045436A (zh) * 2015-09-15 2015-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3958A1 (en) * 2002-11-19 2006-07-06 Gerrits Marc J Display surface
JP2014182306A (ja) * 2013-03-19 2014-09-29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60009726A (ko) * 2014-07-16 2016-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4093B2 (en) 2018-09-18 2021-10-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07511A1 (ko) * 2019-11-26 2021-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WO2022103059A1 (ko) * 2020-11-13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37713B (zh) 2021-09-01
CN107293215A (zh) 2017-10-24
US20170295654A1 (en) 2017-10-12
KR102559839B1 (ko) 2023-07-27
US10104788B2 (en) 2018-10-16
TW201740590A (zh)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839B1 (ko) 표시 장치
KR10263125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US1028937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46271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144426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ulti-thickness function layer
US10255863B2 (en) Display panel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including a drive portion on the third region
US2024008110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bent inactive region
US20200152710A1 (en) Display device
US10672853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1910675B2 (en) Display device
KR101888448B1 (ko) 폴더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9010056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009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737323B2 (en) Display device
KR2019008557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7344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193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4380339A1 (en) Bending area structure of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KR2023016129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7079541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