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028A -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028A
KR20170117028A KR1020177019907A KR20177019907A KR20170117028A KR 20170117028 A KR20170117028 A KR 20170117028A KR 1020177019907 A KR1020177019907 A KR 1020177019907A KR 20177019907 A KR20177019907 A KR 20177019907A KR 20170117028 A KR20170117028 A KR 2017011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unit
target nod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734B1 (ko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ublication of KR2017011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상호 간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유닛들을 구비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로, 노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 유닛으로 타겟 노드 유닛 내의 제1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제1 타겟 신호에 대한 데이터 덤프 명령을 전송하고,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덤프 명령에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제1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에 적용 가능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AS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이상 발생 시, 기존에는 DAS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들이 위치한 곳에서 관리자가 직접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를 이용하여 해당 장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에 의하였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다음과 같이 관리자가 DAS 네트워크의 장애를 감시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DAS 네트워크는 HE(Head End) 유닛, 다수의 허브 유닛, 다수의 리모트 유닛과 같은 다수의 노드 유닛들이 상호간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므로, 관리자가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검출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지하철, 중계탑 등에 DAS 네트워크가 적용된 경우 관리자의 접근이 제한되어 관리자가 이상유무를 점검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이상, 광선로 불량 및 리모트 유닛 이상 등으로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정확한 원인을 판별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PAU(Power Amplification Unit) 이상으로 인해 서비스 신호가 열화되는 경우 관리자가 정확한 원인을 판별하기가 어려웠으며, 특정 리모트 노드의 불량으로 인해 역방향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리모트 유닛을 판별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공공 무선 인터페이스)/OBSAI(Open Base Station Architecture Initiative) 등 DDI(Direct Digital Interface)가 적용되는 DAS 네트워크에서는 관리자가 기존 방식으로는 장애 발생 원인, 위치 등의 분석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에 적용 가능한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상호 간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유닛들을 구비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로, 상기 노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 유닛으로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제1 신호 패스(path)를 통과하는 제1 타겟 신호에 대한 데이터 덤프 명령(data dump command)을 전송하고,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에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제1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제1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품질 정보는, 상기 제1 타겟 신호에 대한 품질 지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품질 지표는, 스펙트럼, 파워, 시간 영역에서의 피크 레벨,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EVM(Error Vector Magnitude), OBW(Occupied BandWidth), SEM(Spectrum Emission Mask), NF(Noise Figure),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불요파(spurious)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특성과 연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관리자의 덤프 요청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관리자의 덤프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GUI를 통해 관리자의 정보 출력 요청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의 정보 출력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품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제2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제2 타겟 신호에 대한 리포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제2 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리포트 데이터는, 상기 제2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상기 제2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과 무관하게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타겟 노드 유닛과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 및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타겟 노드 유닛 간에 C&M 채널(Control & Management) 또는 특정 채널(specific channel)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양태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상호 간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유닛들을 구비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노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특정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타겟 신호에 대한 리포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리포트 데이터는, 상기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상기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타겟 신호에 대한 품질 지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품질 지표는, 스펙트럼, 파워, 시간 영역에서의 피크 레벨, ACLR, EVM, OBW, SEM, NF, CCDF, SNR, 및 불요파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특성과 연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특정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셀프 분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셀프 분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DAS 네트워크의 특정 신호 패스(path)의 스펙트럼(spectrum), EVM(Error Vector Magnitude, 오류 벡터 크기),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인접 채널 누설비), SNR(Signal to Noise Ratio, 신호대잡음비) 등을 확인하여 DAS의 특정 노드, 나아가 해당 특정 노드를 구성하는 내부 신호 처리 구성들에서 발생된 다양한 원인의 장애들에 대한 감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의 일 형태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Topology)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메인 유닛에 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허브 유닛에 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에 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응용례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은 DAS 이외에도 기지국 분산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의 일 형태로서, DAS의 토폴로지(Topology)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AS(100)는, DAS(100)의 헤드엔드 노드(Headend Node)를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Base station Interface Unit, BIU, 10)과 메인 유닛(Main Unit, MU, 20), 확장 노드(Extension Node)인 허브 유닛(Hub Unit, HUB, 30), 원격의 각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Remote Unit, RU, 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AS(100)는 아날로그 DAS 또는 디지털 DAS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의 혼합형(즉, 일부 노드는 아날로그 처리, 나머지 노드는 디지털 처리를 수행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도 1은 DAS(100) 토폴로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DAS(100)는 설치 영역 및 적용 분야(예를 들어, 인빌딩(In-Building), 지하철(Subway), 병원(Hospital), 경기장(Stadium)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토폴로지가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BIU(10), MU(20), HUB(30), RU(40)의 개수 및 상호 간의 상/하위 단의 연결 관계도 도 1과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DAS(100)에서 HUB(30)는 설치 필요한 RU(40)의 개수에 비해 MU(20)로부터 스타(STAR) 구조로 브랜치(Brach)될 브랜치 수가 제한적인 경우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MU(20)만으로도 설치 필요한 RU(40)의 개수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경우 또는 복수의 MU(20)가 설치되는 경우 등에는 HUB(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의 토폴로지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DAS(100)분산 내의 각 노드 유닛 및 그 기능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BIU(10)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TS, 5)과 MU(2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세 개의 BTS(BTS#1 내지 BTS#3)가 단일의 BIU(10)와 연결되는 케이스를 도시하였지만, BIU(10)는 각 사업자 별, 각 주파수 대역 별, 각 섹터 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BTS(5)로부터 전송되는 기지국 신호는 고전력(High Power)의 RF(Radio Frequency) 신호이므로, BIU(10)는 이와 같은 고전력의 RF 신호를 MU(20)에서 처리하기에 적당한 전력의 신호로 변환시켜 이를 MU(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BIU(10)는, 구현 방식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파수 대역 별(또는 각 사업자 별, 섹터 별)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콤바인(combine)한 후 MU(20)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BIU(10)가 BTS(5)로부터 전달되는 고전력의 RF 신호를 저전력으로 낮춘 후, 각 RF 신호를 콤바인하여 MU(20)로 전달하는 경우, MU(20)는 콤바인되어 전달되는 RF 신호를 브랜치 별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DAS(100)가 디지털 DAS로 구현되는 경우, BIU(10)는 BTS(5)의 고전력의 RF 신호를 저전력의 RF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과, 저전력의 RF 신호를 IF 신호(Intermediate Frequency signal)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하여 이를 콤바인하는 유닛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만일 BIU(10)가 BTS(5)로부터 전달되는 고전력의 RF신호를 저전력으로 낮추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 MU(20)는 전달된 각 RF 신호를 콤바인하고 이를 브랜치 별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U(20)로부터 분배되는 콤바인된 RF 신호는 브랜치 별로(도 1의 Branch #1, Branch #k, Branch #N 참조) HUB(20)를 통해서 또는 직접 RU(40)로 전달될 수 있으며, 각 RU(40)는 전달받은 콤바인된 RF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하고 신호 처리(아날로그 DAS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디지털 DAS의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RU(40)에서는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 단말로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RU(40)의 구체적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경우, BTS(5)와 BIU(10) 간 그리고 BIU(10)와 MU(20) 간에는 RF 케이블로 연결되고, MU(20)로부터 그 하위단까지는 모두 광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 노드 간의 신호 전송 매체(signal transport medium)도 이와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BIU(10)와 MU(20) 간은 RF 케이블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지만, 광 케이블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MU(20)와 HUB(30) 그리고 MU(20)와 직접 연결되는 RU(40) 간에는 광 케이블로 연결되고, 케스케이드(Cascade) 연결된 RU(40) 상호 간에는 RF 케이블, 트위스트 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U(20)와 직접 연결되는 RU(40)도 RF 케이블, 트위스트 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MU(20), HUB(30), RU(40)는 전광 변환/광전 변환을 위한 광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의 광 케이블로 노드 간 연결되는 경우에는 WDM(Wavelength Divisision Multiplexing)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AS(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 즉, 네트워크 관리 서버/시스템(Network Management Server or System, 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니터링 장치(50)를 NMS(50)로 약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NMS(50)를 통해서 원격에서 DAS(100)의 각 노드의 상태 및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각 노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NMS(50)의 구성 및 상세 모니터링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메인 유닛에 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2의 블록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U(20)가 BIU(10)와는 RF 케이블로 연결되고, HUB(30) 또는 RU(40)와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블록도는 MU(20)가 다운링크 패스를 통해서 BIU(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HUB(30) 또는 RU(40)로 전달하고, 업링크 패스를 통해서 HUB(30) 또는 RU(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관련된 구성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U(20)는, 다운링크 패스(즉, 순방향 패스(Forward path))를 기준으로 할 때,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21a), 다운 컨버터(Down Converter, 22a),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23a),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24), 프레이머(Framer, 25a), 직병렬 변환기(SERDES; Serializer/Deserializer, 26), 전/광 변환기(Electrical to Optical Converter, 27a)를 포함할 수 있다.
MU(20)의 다운링크 패스에서, RF 케이블을 통해 BIU(10, 도 1 참조)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21a)에 의해 저잡음 증폭될 수 있고, 이어서 다운 컨버터(22a)에 의해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IF 신호는 AD 컨버터(23a)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24)로 전달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4)는 디지털화된 RF 신호에 관한 주파수 대역 별 디지털 신호 처리, 디지털 필터링, 게인 컨트롤, 디지털 멀티플렉싱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4)를 거친 디지털화된 RF 신호는 프레이머(25a)를 통해서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Formatting)될 수 있고, 이는 직병렬 변환기(26)에 의해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전/광 변환기(27a)에 의해 광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광 케이블을 통해서 하위의 노드 유닛, 예컨대 HUB(30, 도 1 참조) 또는 RU(40, 도 1 참조)로 전송될 수 있다.
업링크 패스(즉, 역방향 패스(Reverse path))를 기준으로 할 때, MU(20)는 광/전 변환기(27b), 직병렬 변환기(26), 디프레이머(25b), 디지털 신호 처리부(24), DA 컨버터(23b), 업 컨버터(22b), 전력 증폭기(21b)를 포함할 수 있다.
MU(20)의 업링크 패스에서, 하위의 노드 유닛으로부터 광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광 디지털 신호는 광/전 변환기(27b)에 의해 전기 신호(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고, 직렬 디지털 신호는 직병렬 변환기(26)에 의해 병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병렬 디지털 신호는 디프레이머(25b)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24)에서 주파수 대역 별 처리가 가능하도록 리포맷팅(Reformatting) 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4)를 거친 디지털 신호는 DA 컨버터(23b)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아날로그 신호는 중간 주파수(IF) 신호인 바, 업 컨버터(22b)를 통해서 본래의 RF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래의 RF 대역으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즉, RF 신호)는 전력 증폭기(21b)를 거쳐 증폭된 후 RF 케이블을 통해 BIU(10)로 전달된다.
도 2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4), 프레이머(25a), 디프레이머(25b), 직병렬 변환기(26)는 디지털 파트(MDP)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하나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MU 제어부(28)도 상기 하나의 FPGA로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패스 각각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4) 및 직병렬 변환기(26)가 공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디지털 신호 처리부(24) 및 직병렬 변환기(26)는 각 패스 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다운링크 패스에서의 저잡음 증폭기(21a), 다운 컨버터(22a), AD 컨버터(23a), 업링크 패스에서의 DA 컨버터(23b), 업 컨버터(22b), 전력 증폭기(21b) 중 적어도 둘 이상은 하나의 칩, 예를 들어 하나의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전/광 변환기(27a) 및 광/전 변환기(27b)는 광 파트(MOP)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및 업링크 패스 각각에서 대응하는 전/광 변환기, 광/전 변환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일의 광 트랜시버 모듈(예를 들어, 단일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MU(20)에 전력 증폭기(21b) 및 업 컨버터(22b)가 포함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BIU(10)가 고전력 RF 신호를 저전력 RF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 또는 저전력 RF 신호에 대해 IF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하여 이를 콤바인하는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력 증폭기(21b) 및/또는 업 컨버터(22b)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BIU(20)의 구성에 대응하여 MU(20)에서 저잡음 증폭기(21a) 및/또는 다운 컨버터(22a)도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위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패스 관련 설명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MU(20)는 MU 제어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U 제어부(28)는 디지털 파트(MDP)를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4), 프레이머(25a), 디프레이머(25b), 직병렬 변환기(26)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U 제어부(28)는 MU(20)의 디지털 파트(MDP) 내부의 구성들이 요구되는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U 제어부(28)는 상위 노드 및/또는 하위 노드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종류, 요구되는 품질 등에 대응하도록 디지털 신호 처리부(24), 프레이머(25a), 디프레이머(25b), 직병렬 변환기(26)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MU 제어부(28)는, BTS(5)로부터 또는 RU(40)로부터 전송되는 CDMA, WCDMA, LTE, WiBro 등의 신호를 판별할 수 있고, 판별된 종류에 대응하여 디지털 파트(MDP)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MU 제어부(28)는 디지털 파트(MDP) 이외에도 MU(20) 내의 다른 구성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U 제어부(28)는 MU(20)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NMS(50, 도 1 참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MU 제어부(28)는 하위 노드 유닛(HUB(30), RU(40), 도 1 참조)을 통해 MU(20)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MU 제어부(28)는 NMS(50)로부터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대응하는 노드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디지털 파트(MDP)에 의해 기지국 신호와 함께 처리되거나 또는 별도로 처리되어 상기 하위 노드 유닛들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노드 유닛들 간에 제어 신호, 명령,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디지털 파트에 의해 기지국 신호와 함께 처리되거나 또는 별도로 처리되어 다른 노드 유닛들로 전달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MU 제어부(28)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4), 프레이머(25a), 디프레이머(25b), 직병렬 변환기(26) 등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 영역(예를 들어, ROM, RAM 등)에 덤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MU 제어부(28)는 NMS(50)로부터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하위 노드 유닛으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 영역에 덤프할 수 있다. MU 제어부(28)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U 제어부(28)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가공 처리를 한 후 상기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MU 제어부(28)는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과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데이터를 덤프할 수 있으며,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리포트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U 제어부(28)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가공 처리를 한 후 상기 리포트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NMS(50)가 MU(20) 내부의 특정 신호 패스 상에서의 신호 품질, 장애 발생 여부 등을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장애 발생 시 관리자에 의해서 또는 NMS(50)가 직접 장애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MU 제어부(28)는 상기 응답 데이터 또는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신호 패스 상에서의 신호 품질을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결과에 따라 특성 신호 패스 상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셀프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U 제어부(28)는 생성된 셀프 분석 정보를 NMS(50)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생성된 셀프 분석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적으로 장애가 발생된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구성들을 제어하여 장애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허브 유닛에 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UB(30)는 다운링크 패스를 기준으로 광/전 변환기(31a), 디지털 신호 처리부(33) 및 전/광 변환기(35a, 37a)를 포함할 수 있다.
HUB(30)의 다운링크 패스에서, MU(20)로부터 광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된 광 디지털 신호는 광/전 변환기(31a)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될 수 있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33)는 변환된 전기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변환된 전기 신호를 복수의 전/광 변환기(35a, 37b)로 분배할 수 있다. 전/광 변환기(35a, 37b)는 분배된 각각의 신호를 전달 받아 전기 신호를 광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위의 RU(4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편의상 두 개의 전/광 변환기(35a, 37a)만을 도시하였으나, 전/광 변환기는 HUB(30)의 하위에 연결되는 RU(40, 도 1 참조)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HUB(30)는 업링크 패스를 기준으로, 광/전 변환기(35b, 37b), 디지털 신호 처리부(33) 및 전/광 변환기(31b)를 포함할 수 있다.
RU(40)로부터 광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된 광 디지털 신호는 광/전 변환기(35b, 37b)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33)는 변환된 복수의 전기 신호를 결합하여 전/광 변환기(31b)로 전달할 수 있다. 전/광 변환기(31b)는 결합된 전기 신호를 광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위의 MU(20, 도 1 참조)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HUB(30)에서 광 파트들(HOP1, HOP2, HOP3) 별로 대응하는 광/전 변환기와 전/광 변환기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 파트들(HOP1, HOP2, HOP3)은 각기 단일의 광 트랜시버 모듈로 구성될 수 도 있다.
한편, 위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패스 관련 설명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HUB(30)는 HUB 제어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UB 제어부(39)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3)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33)의 내부 구성들이 요구되는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HUB 제어부(39)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3) 이외에도 HUB(30) 내의 다른 구성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UB 제어부(39)는 HUB(30)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NMS(50, 도 1 참조)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또는 인접 노드 유닛(MU(20), RU(40) 도 1 참조)으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HUB 제어부(39)는 NMS(50)로부터 상기 인접 노드 유닛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대응하는 노드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HUB 제어부(39)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3)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 영역(예를 들어, ROM, RAM 등)에 덤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HUB 제어부(39)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NMS(50, 도 1 참조)로부터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인접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HUB 제어부(39)는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 영역에 덤프할 수 있고, HUB 제어부(39)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인접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UB 제어부(39)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가공 처리를 한 후 상기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HUB 제어부(39)는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과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데이터를 덤프할 수 있으며,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리포트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인접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UB 제어부(39)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가공 처리를 한 후 상기 리포트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하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NMS(50)가 HUB(30) 내부의 특정 신호 패스 상에서의 신호 품질, 장애 발생 여부 등을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장애 발생 시 관리자에 의해서 또는 NMS(50)가 자동으로 장애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HUB 제어부(39)는 상기 응답 데이터 또는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신호 패스 상에서의 신호 품질을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결과에 따라 특성 신호 패스 상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셀프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HUB 제어부(39)는 생성된 셀프 분석 정보를 NMS(50)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생성된 셀프 분석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적으로 장애가 발생된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구성들을 제어하여 장애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4의 블록도는 노드 유닛 간 연결이 광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는 디지털 DAS 내의 RU(40)에 관한 일 구현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블록도는 다운링크 패스를 통해서 상위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로 제공하고, 업링크 패스를 통해서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관련된 구성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U(40)는, 다운링크 패스를 기준으로 할 때, 광/전 변환기(41a), 직병렬 변환기(42), 디프레이머(43a), 디지털 신호 처리부(44), DA 컨버터(45a), 업 컨버터(46a) 및 전력 증폭기(47a)를 포함할 수 있다.
RU(40)의 다운링크 패스에서, 광 케이블을 통해 상위 노드 유닛(MU(20), HUB(30), 도 1 참조)으로부터 전송된 광 디지털 신호는 광/전 변환기(41a)에 의해 전기 신호(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직렬 디지털 신호는 직병렬 변환기(42)에 의해 병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병렬 디지털 신호는 디프레이머(43a)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44)에서 주파수 대역 별 처리가 가능하도록 리포맷팅 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4)는 리포맷팅된 디지털 신호에 관한 주파수 대역 별 디지털 신호 처리, 디지털 필터링, 게인 컨트롤, 디지털 멀티플렉싱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4)를 거친 디지털 신호는 DA 컨버터(45a)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아날로그 신호는 중간 주파수(IF) 신호인 바, 업 컨버터(46a)를 통해서 본래의 RF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래의 RF 대역으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즉, RF 신호)는 전력 증폭기(47a)를 거쳐 중폭되어 서비스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RU(40)는, 업링크 패스를 기준으로 할 때, 저잡음 증폭기(47b), 다운 컨버터(46b), AD 컨버터(45b), 디지털 신호 처리부(44), 프레이머(43b), 직병렬 변환기(42) 및 전/광 변환기(41b)를 포함할 수 있다.
RU(40)의 업링크 패스에서, 서비스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서비스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즉, 단말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47b)에 의해 저잡음 증폭되고, 이는 다운 컨버터(46b)에 의해 IF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되며, 변환된 IF 신호는 AD 컨버터(45b)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44)로 전달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4)를 거친 디지털 신호는 프레이머(43b)를 통해서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되고, 이는 직병렬 변환기(42)에 의해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전/광 변환기(41b)에 의해 광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광 케이블을 통해서 상위 노드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의 예시에서와 같이 RU(40)가 상호 간 캐스케이드(Cascade) 연결된 상태에서, 상위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캐스케이드 연결된 하위의 인접 RU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광 디지털 신호를 케이스케이드 연결된 하위단의 인접 RU로 전달할 때에는, 상위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광 디지털 신호는 광/전 변환기, 직병렬 변환기, 디프레이머, 프레이머, 직병렬 변환기, 전/광 변환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하위의 인접 RU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RU(40)의 직병렬 변환기(42), 디프레이머(43a), 프레이머(43b), 디지털 신호 처리부(44)는 디지털 파트(RDP)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하나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RU 제어부(48)도 상기 하나의 FPGA로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패스 각각에서 직병렬 변환기(42)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44)가 공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직병렬 변환기(42)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44)는 패스 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다운링크 패스에서의 DA 컨버터(45a), 업컨버터(46a), 전력 증폭기(47a), 업링크 패스에서의 저잡음 증폭기(47b), 다운 컨버터(46b), AD 컨버터(45b) 중 적어도 둘 이상은 하나의 칩, 예를 들어 하나의 RFIC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광/전 변환기(41a)와 전/광 변환기(41b)는 광 파트(ROP)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및 업링크 패스 각각에서 대응하는 전/광 변환기, 광/전 변환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일의 광 트랜시버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위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패스 관련 설명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RU(40)는 RU 제어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U 제어부(48)는 디지털 파트(RDP)를 구성하는 직병렬 변환기(42), 디프레이머(43a), 프레이머(43b), 디지털 신호 처리부(44)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U 제어부(48)는 RU(40)의 디지털 파트(RDP) 내부의 구성들이 요구되는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RU 제어부(48)는 디지털 파트(RDP) 이외에도 RU(20) 내의 다른 구성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RU 제어부(48)는 RU(40)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NMS(50, 도 1 참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RU 제어부(48)는 상위의 노드 유닛(MU(20), HUB(30), 도 1 참조)으로부터 RU(40)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RU 제어부(48)는 NMS(50)로부터 상기 상위 노드 유닛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대응하는 노드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RU 제어부(48)는 직병렬 변환기(42), 디프레이머(43a), 프레이머(43b), 디지털 신호 처리부(44) 등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 영역(예를 들어, ROM, RAM 등)에 덤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U 제어부(48)는 NMS(50)로부터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상위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 영역에 덤프할 수 있다. RU 제어부(48)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상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U 제어부(48)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가공 처리를 한 후 상기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상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RU 제어부(48)는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과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데이터를 덤프할 수 있으며,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리포트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상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U 제어부(48)는 상기 덤프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가공 처리를 한 후 상기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상위 노드 유닛을 통해 NMS(5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NMS(50)가 RU(40) 내부의 특정 신호 패스 상에서의 신호 품질, 장애 발생 여부 등을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장애 발생 시 관리자에 의해서 또는 NMS(50)가 자동으로 장애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RU 제어부(48)는 상기 응답 데이터 또는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신호 패스 상에서의 신호 품질을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결과에 따라 특정 신호 패스 상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셀프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RU 제어부(48)는 생성된 셀프 분석 정보를 NMS(50)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생성된 셀프 분석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적으로 장애가 발생된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구성들을 제어하여 장애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일 형태의 토폴로지, MU(20), HUB(30) 및 RU(40)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 내지도 4의 구성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응용예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모니터링 장치(50), 즉, NMS(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DAS(100)를 구성하는 노드 유닛들과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NMS(50)는 상기 노드 유닛들 중 감시 대상인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내부 구성들의 신호 처리와 연관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다양한 패스를 통과하는 신호들의 품질을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NMS(50)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또는 타겟 노드 유닛과 인접한 노드 유닛의 장애를 검출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직접 검출된 장애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NMS(50)는 인터페이스부(51), 제어부(53), 디스플레이부(55) 및 저장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53)는 NMS(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타겟 노드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응답 데이터, 리포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는 타겟 노드 유닛의 특정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타겟 신호에 대한 데이터 덤프(data dump)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디스플레이부(55)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관리자의 덤프 요청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관리자의 덤프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인터페이스부(51)로 전달하여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이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타겟 노드 유닛은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상기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덤프할 수 있고,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로서 NMS(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인터페이스부(51)를 통해서 상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품질 정보는, 스펙트럼, 파워, 시간 영역에서의 피크 레벨,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EVM(Error Vector Magnitude), OBW(Occupied BandWidth), SEM(Spectrum Emission Mask), NF(Noise Figure),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SNR(Signal to Noise Ratio), 불요파(spurious) 특성 등과 같은 타겟 신호의 특성과 연관되는 품질 지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품질 정보는 다른 다양한 신호의 특성과 연관되는 품질 지표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53)는 디스플레이부(55)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GUI를 통해 관리자의 정보 출력 요청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상기 관리자의 정보 출력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5)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가 상기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관리자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의 특정 신호 패스에서 신호의 품질 상태를 감시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타겟 노드 유닛은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과 무관하게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덤프할 수 있고, 상기 덤프된 데이터를 리포트 데이터로서 NMS(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노드 유닛의 자체적인 데이터 덤프는 소정의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3)는 인터페이스부(51)를 통해서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GUI를 통한 관리자의 정보 출력 요청에 대응하여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5)로 전달할 수 있다. 임의로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5)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가 상기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관리자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의 특정 신호 패스에서 신호의 품질 상태를 감시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어부(53)는 응답 데이터 또는 리포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타겟 노드의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해당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응답 데이터 또는 리포트 데이터로부터 장애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정보는, 장애와 관련된 구성(또는 노드 유닛) 정보, 장애 원인과 관련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GUI를 통한 소정의 관리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또는 임의로 상기 분석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5)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가 상기 분석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관리자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의 특정 신호 패스에서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발생된 장애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53)는 타겟 노드가 자체적으로 특정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분석하여 생성한 셀프 분석 정보를 해당 타겟 노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셀프 분석 정보도, 장애와 관련된 구성(또는 노드 유닛) 정보, 장애 원인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GUI를 통한 소정의 관리자의 요청에 대응하거나 임의로 상기 자체 분석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5)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제어부(53)는 응답 데이터 또는 리포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타겟 노드의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결과를 기초로 직접 장애가 발생된 타겟 노드 유닛 또는 다른 노드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노드 유닛이 RU이고 해당 RU의 업링크 패스 상의 일부 구성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어부(53)는 해당 RU의 상위 노드인 HUB, MU 등에서 해당 RU가 전송하는 신호를 다른 RU들이 전송하는 신호와 합산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51)를 통해 장애가 발생된 타겟 노드 또는 다른 노드 유닛으로 전송하여, 장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53)는 타겟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셀프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가 발생된 타겟 노드 유닛 또는 다른 노드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장애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제어부(53)는 상기 응답 데이터, 상기 리포트 데이터, 상기 품질 정보, 상기 분석 정보 및 상기 셀프 분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57)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데이터들과 정보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특정 시간 동안에만 저장부(57)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장애가 검출된 경우에만 관련 정보를 저장부(57)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57)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정보들의 종류, 조건은 소정의 GUI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1)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타겟 노드 유닛과 데이터 덤프 명령, 응답 데이터, 리포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 응답 데이터 등은 인터페이스부(51)와 상기 타겟 노드 유닛 간에 C&M 채널(Control & Management Channel)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M 채널은 처리 및/또는 가공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페이로드 이외의 채널일 수 있으며, 이더넷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 및 응답 데이터 등은 상기 C&M 채널과 다른 채널로 전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 응답 데이터 등은 인터페이스부(51)와 상기 타겟 노드 유닛 간에 특정 채널(specific channel)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채널은, 예를 들어 딜레이 측정 펄스의 송수신을 위한 채널 등과 같이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 응답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위해 인터페이스부(51)와 상기 타겟 노드 유닛 사이에 별도로 할당된 채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는 소정의 GUI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저장부(57)는 응답 데이터, 리포트 데이터, 품질 정보, 분석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UB(30)는 생략하고, BTS(5), BIU(10), MU(20), RU(40) 및 NMS(50)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6에서는 타겟 노드가 MU(20) 및 RU(40)인 경우를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해, MU(20) 및 RU(40) 각각의 대응하는 디지털 파트(MDP) 및 디지털 파트(RDP)만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NMS(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타겟 노드가 MU(20)인 경우를 설명하면, NMS(50)의 제어부(53)는 관리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MU 제어부(28)의 특정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타겟 신호에 대한 데이터 덤프 명령을 인터페이스부(51)를 통해 MU 제어부(28)로 전송하고, MU 제어부(28)는 데이터 덤프를 수행하여 상기 타겟 신호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NMS(50)로 전송한다.
도 6에서 감지되는 특정 신호 패스의 예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24)의 입/출력단을 점선으로 된 원으로 표시하였다. 즉, MU(20)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24)를 기준으로 다운링크 패스 중 패스 P1 및 패스 P2가, 업링크 패스 중 패스 P3 및 패스 P4가 도시되어 있다.
관리자가 패스 P1에서의 신호 품질 확인 및/또는 장애 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53)는 패스 P1을 통과하는 타겟 신호에 대한 데이터 덤프 명령을 인터페이스부(51)를 통하여 MU 제어부(28)로 전송한다. MU 제어부(28)는 데이터 덤프 명령에 응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24)로부터 패스 P1을 통과하는 타겟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제어부(53)로 전송한다.
제어부(53)는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55)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3)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패스 P1에서 장애가 일어났는지 여부와 장애 원인 등을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3)의 특정 패스 P1의 장애가 어느 구성, 어느 노드 유닛에 기인한 것인지의 판단은 상기 응답 데이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정보를 기초로 가능하다. 즉, 데이터 덤프 명령에 대응되는 각각의 응답 데이터에는 특정 노드의 특정 패스 관련 구성, 노드 유닛들에 대한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NMS(50)에 의해 도 6에서 패스 P1을 통과하는 신호, 예를 들어 BIU(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품질에 이상이 있어 패스 P1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는 BIU(10)의 고장 또는 기지국 즉, BTS(5)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BIU(10)가 생략된 경우라면 관리자는 BTS(5)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BIU(10)도 다른 노드 유닛들과 유사하게 NMS(50)에 의해 감시될 수 있는데, 관리자는 NMS(50)를 통해 BIU(10)의 입력 및 출력 패스에 대하여 데이터 덤프 명령을 추가 요청하여 구체적인 장애 발생 원인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BIU(10)의 입력단 패스를 통과하는 신호의 품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BTS(5)의 고장인 것으로, BIU(10)의 출력 패스를 통과하는 신호의 품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BIU(10)의 고장인 것으로 구체적인 장애 발생 원인을 판별할 수 있다.
유사하게 NMS(50)는 관리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패스 P2 내지 P4에 대해서도 데이터 덤프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품질 정보,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관리자는 상기 품질 정보, 상기 분석 정보를 기초로 패스 P2 내지 P4에 대한 장애 원인을 판별하여 발생된 장애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NMS(50)에 의해 패스 P2를 통과하는 신호의 품질에 이상이 있어 패스 P2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4)의 고장 또는 BIU(10), 다운링크 패스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MDP) 전단의 구성(예를 들어, AD 컨버터(23a, 도 2 참조) 등)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패스 P1에 대한 품질 정보, 분석 정보와 함께 패스 P2에 대한 품질 정보, 분석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NMS(50)는 MU(20)에 대한 모니터링 방식과 유사하게 관리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RU(40)의 패스 P4 내지 P8에 대해서도 데이터 덤프를 요청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RU(40)의 제어부(48)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NMS(50)는 RU(40)로부터 전송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품질 정보,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자는 P4 내지 P8에 대한 장애 원인을 판별하여 발생된 장애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패스 P8을 통과하는 신호의 품질에 이상이 있어 패스 P8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는 업링크 패스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MDP) 후단의 구성, 예를 들어, AD 컨버터(45b), RU(40)의 서비스 안테나, 하위 RU 등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NMS(50)는 관리자의 입력에 응답하거나 자체적으로 DAS(100)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위 노드인 MU(20)에서 장애가 발생된 RU(40)의 역방향 신호를 다른 RU들과 합산(sum)하지 않도록 디지털 신호 처리부(24)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신호를 MU(20)의 제어부(26)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NMS(50)는 데이터 덤프 명령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 노드 유닛을 감시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MU(20) 또는 RU(40)로부터 전송되는 리포트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자가 MU(20) 또는 RU(40) 내의 특정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신호의 품질과 장애 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고, 나아가 장애 발생 시 장애가 발생된 노드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노드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상호 간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유닛들을 구비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로,
    상기 노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 유닛으로,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제1 신호 패스(path)를 통과하는 제1 타겟 신호에 대한 데이터 덤프 명령(data dump command)을 전송하고,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에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제1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제1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인, 모니터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품질 정보는, 상기 제1 타겟 신호에 대한 품질 지표를 나타내며,
    상기 품질 지표는, 스펙트럼, 파워, 시간 영역에서의 피크 레벨,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EVM(Error Vector Magnitude), OBW(Occupied BandWidth), SEM(Spectrum Emission Mask), NF(Noise Figure),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불요파(spurious)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특성과 연관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관리자의 덤프 요청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의 덤프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GUI를 통해 관리자의 정보 출력 요청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의 정보 출력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품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모니터링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제2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제2 타겟 신호에 대한 리포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제2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데이터는,
    상기 제2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상기 제2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이고,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과 무관하게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 모니터링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타겟 노드 유닛과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링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덤프 명령 및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타겟 노드 유닛 간에 C&M 채널(Control & Management) 또는 특정 채널(specific channel)을 통해 전달되는, 모니터링 장치.
  13. 상호 간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유닛들을 구비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로,
    상기 노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특정 신호 패스를 통과하는 타겟 신호에 대한 리포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리포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데이터는,
    상기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에 의해 상기 타겟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상기 타겟 노드 유닛에 저장되는 데이터인, 모니터링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타겟 신호에 대한 품질 지표를 나타내며,
    상기 품질 지표는, 스펙트럼, 파워, 시간 영역에서의 피크 레벨, ACLR, EVM, OBW, SEM, NF, CCDF, SNR, 및 불요파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특성과 연관되는, 모니터링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겟 노드 유닛 내의 특정 신호 패스에서의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셀프 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셀프 분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신호 패스와 연관된 신호 처리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타겟 노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177019907A 2014-12-30 2015-12-29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KR102189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67 2014-12-30
KR20140194367 2014-12-30
KR1020150026059 2015-02-24
KR20150026059 2015-02-24
PCT/KR2015/014448 WO2016108599A1 (ko) 2014-12-30 2015-12-29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028A true KR20170117028A (ko) 2017-10-20
KR102189734B1 KR102189734B1 (ko) 2020-12-14

Family

ID=5628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907A KR102189734B1 (ko) 2014-12-30 2015-12-29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629008B2 (ko)
EP (1) EP3242422B1 (ko)
KR (1) KR102189734B1 (ko)
WO (1) WO20161085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293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1202268B2 (en) 2018-05-25 2021-12-14 Solid, Inc.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7543B2 (en) 2013-07-23 2016-01-2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Monitoring non-supported wireless spectrum within coverage areas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WO2015151086A1 (en) * 2014-03-31 2015-10-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ntinuity
CN104617995B (zh) * 2014-12-29 2018-04-03 三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天线选择的室内das系统抗小基站上行信号干扰方法
US20160249365A1 (en) 2015-02-19 2016-08-2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Offsetting unwanted downlink interference signals in an uplink path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10236924B2 (en) * 2016-03-31 2019-03-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Reducing out-of-channel noise in a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WDS)
CN107395440B (zh) * 2017-08-28 2020-07-07 电子科技大学 基于复杂网络的互联网拓扑探测节点优化部署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4760A1 (en) * 2005-06-07 2006-12-07 Level 3 Communications, Inc. Internet packet quality monitor
US20090003193A1 (en) * 2005-12-22 2009-01-01 Great Net Network Architecture for Data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1323B1 (en) * 1994-12-23 2002-07-16 Applied Digital Acc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event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333482B2 (en) * 2000-12-22 2008-02-19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Route optimization technique for mobile IP
US20030229549A1 (en) * 2001-10-17 2003-12-11 Automated Media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 out-of-home advertising utilizing a satellite network
US7957356B2 (en) * 2002-05-13 2011-06-07 Misomino Chi Acquisitions L.L.C. Scalable media access control for multi-hop high bandwidth communications
JP3983138B2 (ja) * 2002-08-29 2007-09-26 富士通株式会社 障害情報収集プログラムおよび障害情報収集装置
KR100482998B1 (ko) * 2002-08-30 2005-04-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장치
JP4255366B2 (ja) * 2003-11-28 2009-04-15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監視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
US7224170B2 (en) * 2004-12-27 2007-05-29 P. G. Electronics Fault monitoring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7751470B2 (en) * 2005-02-07 2010-07-06 Tektronix, Inc. Time correlation of signal power to distortion characteristics
US20070086349A1 (en) * 2005-10-18 2007-04-19 Arcadyan Technology Corporation Network apparatus, method of self-testing network connectivity, and method of analyzing frequency spectrum
US8627147B2 (en) * 2011-05-17 2014-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stem tuning based on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historical problem data and system thereof
US9755804B2 (en) * 2011-07-12 2017-09-0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user equipment monitor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ultiple node system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method
US8254848B1 (en) * 2011-12-09 2012-08-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9306682B2 (en) * 2012-07-20 2016-04-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lf-optimiz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191993B2 (en) * 2012-11-20 2015-11-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Distributed antenna system with uplink bandwidth for signal analysis
EP2765721A1 (en) * 2013-02-12 2014-08-13 Koninklijke KPN N.V. 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4760A1 (en) * 2005-06-07 2006-12-07 Level 3 Communications, Inc. Internet packet quality monitor
US20090003193A1 (en) * 2005-12-22 2009-01-01 Great Net Network Architecture for Data Commun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2268B2 (en) 2018-05-25 2021-12-14 Solid, Inc.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825429B2 (en) 2018-05-25 2023-11-21 Solid, Inc.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00047293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734B1 (ko) 2020-12-14
US9629008B2 (en) 2017-04-18
WO2016108599A1 (ko) 2016-07-07
US20170180186A1 (en) 2017-06-22
EP3242422A4 (en) 2018-08-29
US20160212640A1 (en) 2016-07-21
US10003493B2 (en) 2018-06-19
EP3242422B1 (en) 2023-07-05
EP3242422A1 (en)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734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US10681664B2 (en) Node unit capable of measuring and compensating transmission delay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820215B2 (en) Node uni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490890B2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948379B2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US10396918B2 (en) Node unit capable of measuring delay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60126610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이의 리모트 장치
KR102287210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노드 유닛
KR10164598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성능 진단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76814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노드 유닛
KR20160081129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KR20160082095A (ko) 이동통신신호 및 서비스 주파수 대역 검출 장치
US10523452B2 (en) Node unit including queuing engine for multicasting ethernet data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836387B1 (ko) 디지털 전송 오버플로우 처리 장치
KR101836388B1 (ko) 디지털 출력 오버플로우 처리 장치
US10448323B2 (en) Node uni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Stucci et al. Optical links for the ATLAS Pixel Detector
WO2018170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alog and digital transceivers with persistent and non-persistent communications
KR20200006718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품질 개선 방법
KR20160080437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노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