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504A -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504A
KR20170116504A KR1020160044344A KR20160044344A KR20170116504A KR 20170116504 A KR20170116504 A KR 20170116504A KR 1020160044344 A KR1020160044344 A KR 1020160044344A KR 20160044344 A KR20160044344 A KR 20160044344A KR 20170116504 A KR20170116504 A KR 2017011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re
cavity
mold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907B1 (ko
Inventor
유성진
박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도
Priority to KR102016004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9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0Applying counter-pressure during expanding
    • B29C44/105Applying counter-pressure during expanding the counterpressure being exerted by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795Porous or permeable material, e.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2Bright, glossy or shiny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비티가 설치되는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에 구성되며, 고분자 재료와 발포매체를 상기 캐비티측으로 공급하는 사출기 스크류; 상기 사출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발포매체를 주입하여 뮤셀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뮤셀(Mucell)장치; 상기 캐비티와 대응되는 코어가 설치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와 코어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가압매체를 공급하여 카운터프레셔(Counter Pressure) 성형 공법을 진행하는 에어 공급장치;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뮤셀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코어를 일정 범위 만큼 후퇴시키는 코어백 장치; 및 사출 성형 완료시 사출물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취출하는 취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Lightweight high-gloss injection molding machines}
본 발명은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임계 발포 성형시 카운터 프레셔 성형 공법을 적용하여 가압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광택 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성형품의 성형시 코어백 시스템을 통해 발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형품의 두께를 확장시킴에 따라 부품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금형 내 성형부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캐비티(Cavity)에 대응하는 형태의 플라스틱 제품을 양산하는 장치이다. 사출금형은 사출물의 외관형상과 대응하는 캐비티(Cavity)가 구성된 상측금형(또는 제 1금형)과 사출물의 내측형상과 대응하는 코어(Core)가 구성된 하측금형(또는 제 2금형)과, 캐비티와 코어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사출장치와, 용융 수지가 고화되어 양산된 제품을 취출하는 취출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출금형은 사출이 이루어지는 성형품의 재질, 형상 등의 특성에 따라 초임계 발포 성형공법, 카운터프레셔 성형 공법, 코어백 구조를 이용한 성형 공법 등 다양한 공법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초임계 발포 성형공법의 뮤셀(Mucell) 성형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사출기의 실린더 내부로 초임계 상태의 가스(질소)를 주입하여 성형재료과 가스를 혼합시켜 금형의 내부로 사출한 후 고분자 재료의 내부에 미세한 크기의 기포(5∼50㎛)를 생성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초임계 발포 성형공법은 발포 크기가 불균일 및 플라스틱제품 표면 부위에 압력차이로 기포 등 표면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대부분 자동차 내장재 부품에서 부품경량화의 목적의 성형공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외관제품에는 표면불량으로 인한 외관품질 구현 난이로 본격적인 사출양산은 되고 있지 않으며 고광택 구현을 위한 스팀(Steam) 적용시 심한 스월마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34bar 이하에서 성형 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에 카운터프레셔 성형공법과는 정면 배치되는 상황이어서 부품경량화에 대한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카운터프레셔(Counter Pressure) 성형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용융된 수지의 표면을 통해 발현되는 알 수 없는 휘발성 물질, 기포들을 Gas(또는 Air)를 사용하여, 사출시간 동안 용융 표면을 가압(압력을 가하여)하여 기포, 색줄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외관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카운터프레셔 성형 공법은 사출성형시 금형내부로 들어온 용융된 수지 내부에 함유된 수분 및 가스가 기화되면서 외관 표면불량이 발생하며, 외관 품질구현은 용이하나, 부품 경량화를 구현하기에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코어백 구조를 이용한 성형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코어백 구조는 일반 사출공정과는 달리 먼저 금형 내부를 발포수지로 충진 시킨 후 금형 체적 자체를 증가 시킴으로써 발포를 극대화시키는 공법으로, 초임계발포 뮤셀(Mucell) 성형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출기 이동측을 약 1mm 후퇴하여 낮은 밀도와 양호한 기계강도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지만, 코어백 자체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없가 없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923호에는, 가스 역압 공법(GCP)을 도입하여 발포사출 시외관의 가스마크 발생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공정의 삭제로 원가를 절감하여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발포사출성형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사출 성형이 완료된 성형품 외관의 품질이 낮아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성형품의 경량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위해 성형품의 두께가 얇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923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초임계 발포 성형시 카운터 프레셔 성형 공법을 적용하여 가압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광택 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품의 성형시 코어백 시스템을 통해 발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형품의 두께를 확장시킴에 따라 부품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가 설치되는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에 구성되며, 고분자 재료와 발포매체를 상기 캐비티측으로 공급하는 사출기 스크류; 상기 사출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발포매체를 주입하여 뮤셀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뮤셀(Mucell)장치; 상기 캐비티와 대응되는 코어가 설치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와 코어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가압매체를 공급하여 카운터프레셔(Counter Pressure) 성형 공법을 진행하는 에어 공급장치;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뮤셀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코어를 일정 범위 만큼 후퇴시키는 코어백 장치; 및 사출 성형 완료시 사출물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취출하는 취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사출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고분자 재료와 발포매체가 주입되는 스프루가 형성된 제1형판; 상기 제1형판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루와 연결되는 주입홀이 형성되고, 사출물의 외관에 대응하는 외관 형상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제1형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사출기 스크류가 설치되는 상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티에는 하측 단부에 상기 가압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홈과,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는 실링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에어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가압매체의 공급 및 다단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압력 공급홀이 형성된 에어 제2형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형판에는 상기 취출장치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며, 상기 성형공간 내부의 압력 누기를 방지하는 로드씰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어백 장치는 상부면이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과 습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코어를 일정 범위만큼 후퇴시키는 푸시블록; 상기 푸시블록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서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코어백 장치를 상기 하부 금형에 장착하는 숄더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시블록은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신축 지지홈과, 상기 숄더볼트가 관통하며, 이 숄더볼트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안내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어백 장치는 뮤셀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하부 금형을 1mm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임계 발포 성형시 카운터 프레셔 성형 공법을 적용하여 가압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품의 강도 향상 및 고광택 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품의 성형시 코어백 시스템을 통해 발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형품의 두께를 확장시킴에 따라 부품의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임계발포 성형공법인 뮤셀(Mucell) 성형구조를 구성하고, 초임계발포 성형의 외관표면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과 사출부대설비 에너지를 절감함과 동시에 고품질의 성형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의 코어백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의 사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의 코어백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의 사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는 상부 금형(100), 하부 금형(200), 뮤셀(Mucell)장치(300), 에어 공급장치(400) 및 코어백 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금형(100)은 캐비티(120)가 설치되는 제1형판(110)과, 제1형판(110)의 상부로 사출기 스크류(102)가 장착되는 상고정판(130)으로 구성된다.
제1형판(110)은 캐비티(120)가 설치되는 상부 설치홈(112)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부 설치홈(112)과 연결되어 후술할 캐비티(120)의 주입홀(122)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스프루(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스프루(114)는 상고정판(130)에 장착된 사출기 스크류(102)와 연통하여 사출기 스크류(102)로부터 공급되는 고분자 재료를 주입홀(122)측으로 공급하여 캐비티(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성형공간에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캐비티(120)는 제1형판(110)의 상부 설치홈(112)에 장착되어 성형품 즉, 사출물의 외관에 대응하는 외관 형상이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하부 금형(200)의 코어(220)와 결합하여 고분자 재료, 발포매체, 가압매체 등의 유입이 이루어져 사출물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공간의 상측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캐비티(120)는 스프루(114)와 연결되어 고분자 재료를 성형공간 내로 주입하는 주입홀(122)이 형성되고, 성형공간의 상측으로 고분자 재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열원을 제공하는 히팅홀(124)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캐비티(120)에는 하측 단부에 카운터프레셔 공법에 의해 가압매체의 충진이 성형공간에 충진이 이루어질 때, 이 가압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홈(126)이 형성되고, 이 실링홈(126)에는 줄오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가 삽입된다.
상고정판(130)은 스프루(114)와 연결되는 사출기 스크류(102)가 구성되어 캐비티(120)와 코어(220) 사이에 형성되는 성형공간 내부로 고분자 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고정판(130)은 사출기 스크류(102)를 통해 성형공간 내에 고분자 재료와 함께 발포매체를 공급하여 초임계 발포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출기 스크류(102)는 발포매체를 공급하는 뮤셀장치(300)와 연결되고 일정량의 발포매체가 주입되어 고분자 재료와 함께 캐비티(120)의 내부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뮤셀장치(300)는 뮤셀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출기 스크류(102) 내부로 질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포매체를 공급하여 고분자 재료와 용융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임계발포사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하부 금형(200)은 제2형판(210), 코어(220), 스페이스블록(230), 하고정판(240), 및 취출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어(220), 스페이스블록(230), 하고정판(240), 및 취출장치(250)는 통상의 사출 성형장치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형판(210)은 상부 금형(100)의 하부에 구성되며, 캐비티(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사출물의 내면 형상이 형성되는 코어(220)가 설치되는 하부 설치홈(212)이 구성되고, 캐비티(120)와 함께 소정의 성형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사출물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형판(210)에는 취출장치(250)의 밀핀(252)의 승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면서 사출물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홀(214)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홀(214)은 코어(220)를 관통하여 성형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홀(214)에는 제2형판(210)의 내측으로 로드씰(218)을 구성하여 성형공간 내부를 가압하는 작동이 이루어질 때, 압력누기를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형판(210)에는 에어 공급장치(400)를 통해 공급되는 가압매체가 성형공간 내로 충진이 이루어지면서 형내 압력, 즉 성형공간 내부를 가압하도록 압력 공급홀(216)이 형성된다.
이때, 압력 공급홀(216)은 사출 성형의 진행 과정에 따라 성형공간의 가압 뿐만 아니라, 다단 감압이 이루어지도록 가압매체의 단계별 배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에어 공급장치(400)는 압력 공급홀(216)과 연결되어 에어로 이루어지는 가압매체를 성형공간 내로 공급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뮤셀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뮤셀 성형이 완료된 후, 냉각 공정이 이루어질 때, 성형공간 내의 압력을 감압하여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카운터프레셔(Counter Pressure) 성형 공법이 진행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코어백 장치(500)는 에어 공급장치(400)의 구동이 완료되면, 코어(220)를 후퇴시켜 코어백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푸시블록(510), 탄성부재(520), 숄더볼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시블록(510)은 에어 공급장치(40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코어(200)의 후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면이 캐비티(120)의 하단부에 밀착되게 구성되고, 하부면이 제2형판(210)에 삽입되어 코어백(220)의 후퇴 작동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푸시블록(510)은 탄성부재(520)가 삽입되며, 이 탄성부재(520)의 신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축 지지홈(514)이 형성되고, 이 신축 지지홈(514)의 상측으로 숄더볼트(530)가 관통하고, 코어(220)의 코어백이 이루어질 때, 숄더볼트(530)의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홀(5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푸시블록(510)은 코어백 작동시 상부면이 캐비티(120)와 습합을 유지하여 캐비티(120)의 유동을 방지한다.
탄성부재(520)는 푸시블록(510)의 신축 지지홈(514)에 삽입되며, 코어백 작동후,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질 때, 제2형판(210)과 푸시블록(510)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한다.
숄더볼트(530)는 푸시블록(510)의 안내홀(512)을 관통하고,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형판(210)과 체결되어 코어백 장치(500)가 제2형판(2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100)의 캐비티(120)와 하부 금형(200)의 코어(220)에 에어 공급장치(400)를 이용하여 40Bar 이상의 압력으로 성형공간을 가압하고, 이후 사출기 스크류(102) 내부에 있는 발포매체(질소)와 고분자 재료가 용융 혼합한 상태로 성형공간측으로 사출량의 98%까지 충진시켜 뮤셀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사출성형 냉각 공정이 이루어질 때, 카운터프레셔의 압력을 다단변경의 감압으로 사출성형을 완료하며, 성형공간의 내부에서는 감압단계서 발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에어 공급장치(400)에 의해 카운터프레셔 감압이 완료된 후(성형완료) 코어백 장치(500)를 통해 코어(220)를 일정 범위(T) 만큼 후퇴시켜 발포층(502)을 형성하여 사출물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성형공간 내부의 발포는 사출물의 두께가 증가된 이후 발포조직을 구성때까지 발포가 진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4t 기준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3t 두께의 성형공간을 이루는 금형 상태에서 사출 성형후 1mm 코어백 적용으로 최종 4t 두께로 발포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사출물의 25% 중량 절감의 효과를 얻게 되며, 동일 중량에서 사출물의 두께만 증가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출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고광택 성형공법의 경우, 스팀, 가압열수, 히터장치 등을 이용하여, 고 에너지를 사용하여 성형을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뮤셀 성형 공법, 카운터프레셔 공법을 동시에 적용하고, 이와 동시에 코어백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가장 적은 에너지를 가지고도 고광택 성형이 가능함으로 에코(Eco) 성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출이 완료되고 난 후, 수지의 건조가 필요없이 사출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수지의 건조시간 및 이를 위한 별도의 건조설비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 금형 110: 제1형판
120: 캐비티 130: 상고정판
200: 하부 금형 210: 제2형판
220: 코어 230: 스페이스블록
240: 하고정판 250; 취출장치
300: 뮤셀장치 400: 에어 공급장치
500: 코어백 장치 510; 푸시블록
520: 탄성부재 530: 숄더볼트

Claims (8)

  1. 캐비티가 설치되는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에 구성되며, 고분자 재료와 발포매체를 상기 캐비티측으로 공급하는 사출기 스크류;
    상기 사출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발포매체를 주입하여 뮤셀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뮤셀(Mucell)장치;
    상기 캐비티와 대응되는 코어가 설치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와 코어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가압매체를 공급하여 카운터프레셔(Counter Pressure) 성형 공법을 진행하는 에어 공급장치;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뮤셀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코어를 일정 범위 만큼 후퇴시키는 코어백 장치; 및
    사출 성형 완료시 사출물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취출하는 취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사출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고분자 재료와 발포매체가 주입되는 스프루가 형성된 제1형판;
    상기 제1형판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루와 연결되는 주입홀이 형성되고, 사출물의 외관에 대응하는 외관 형상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제1형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사출기 스크류가 설치되는 상고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는 하측 단부에 상기 가압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홈과,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는 실링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에어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가압매체의 공급 및 다단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압력 공급홀이 형성된 에어 제2형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판에는 상기 취출장치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며, 상기 성형공간 내부의 압력 누기를 방지하는 로드씰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백 장치는
    상부면이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과 습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코어를 일정 범위만큼 후퇴시키는 푸시블록;
    상기 푸시블록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서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코어백 장치를 상기 하부 금형에 장착하는 숄더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블록은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신축 지지홈과, 상기 숄더볼트가 관통하며, 이 숄더볼트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안내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백 장치는 뮤셀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하부 금형을 1mm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KR1020160044344A 2016-04-11 2016-04-11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KR10186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44A KR101860907B1 (ko) 2016-04-11 2016-04-11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44A KR101860907B1 (ko) 2016-04-11 2016-04-11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04A true KR20170116504A (ko) 2017-10-19
KR101860907B1 KR101860907B1 (ko) 2018-05-24

Family

ID=6029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344A KR101860907B1 (ko) 2016-04-11 2016-04-11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9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210B1 (ko) * 2019-07-15 2020-02-17 박제현 고광택 무변형 물리 발포 성형 금형
KR102151350B1 (ko) * 2019-05-09 2020-09-03 황인형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장치
JP2021524408A (ja) * 2018-05-21 2021-09-13 オーツー・パートナーズ・エルエルシー 生分解性で産業的に堆肥化可能な射出成形の微細軟質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10707B1 (ko) 2020-09-14 2021-10-08 (주)오톡스 사출 성형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금형의 각도 결정 시스템
CN113858552A (zh) * 2021-10-12 2021-12-31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产品上高光面与皮纹面共同成型技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686B1 (ko) 2001-12-19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미세 발포 플라스틱 성형장치
JP5380112B2 (ja) * 2009-02-27 2014-01-08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射出発泡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293923B1 (ko) * 2011-11-01 2013-08-07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발포사출성형방법, 발포사출성형 금형 및 이의 가스 역압 제어장치
JP5973341B2 (ja) * 2012-12-20 2016-08-2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4408A (ja) * 2018-05-21 2021-09-13 オーツー・パートナーズ・エルエルシー 生分解性で産業的に堆肥化可能な射出成形の微細軟質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51350B1 (ko) * 2019-05-09 2020-09-03 황인형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장치
KR102078210B1 (ko) * 2019-07-15 2020-02-17 박제현 고광택 무변형 물리 발포 성형 금형
KR102310707B1 (ko) 2020-09-14 2021-10-08 (주)오톡스 사출 성형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금형의 각도 결정 시스템
KR20220035864A (ko) 2020-09-14 2022-03-22 (주)오톡스 사출 성형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금형의 각도 결정 시스템
CN113858552A (zh) * 2021-10-12 2021-12-31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产品上高光面与皮纹面共同成型技术
CN113858552B (zh) * 2021-10-12 2024-02-02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产品上高光面与皮纹面共同成型技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907B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6504A (ko)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CN108834407B (zh) 模具装置、注射成型系统、成型制品的制造方法
US4479914A (en) Process and mold for molding foamed plastic articles
US8663514B2 (en) Gas-assisted co-injection molded chair
US4092385A (en) Method of producing molded parts with a smooth noncellular skin and a cellular core from foamable thermoplastic material
JP5152430B2 (ja) 射出成形方法
WO1990000466A1 (en)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and hollow plastic article produced thereby
CN102343644B (zh) 气体辅助表面微球结构注射成型方法及模具
CN110394996A (zh) 用于形成车辆内部材料的装置和方法
KR100969694B1 (ko) 몰드내 피복성형방법 및 몰드내 피복성형품
JP3832670B2 (ja) 体積可変型スピル・キャビティを活用する射出成型用方法と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より作られた物品
US2009027312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of Thick Parts
JP3066745B2 (ja) 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109572015B (zh) 一种双密度成型模内发泡硫化成型橡胶轮胎及其制作工艺
JP2001287237A (ja) 貼合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
CN102034579B (zh) 卧式固液两用复合绝缘子成型机
JP2007253456A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23104A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799827A (zh) 控制模制装置的方法
GB23220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ulding
CN206780930U (zh) 一种双向合模注塑模具组
KR101891682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 장치
US6187251B1 (e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hollow molded article
CN106003550A (zh) 一种复合材料成形机
KR101973630B1 (ko) 수지역류 가스 인젝션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