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423A -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423A
KR20170116423A KR1020160044136A KR20160044136A KR20170116423A KR 20170116423 A KR20170116423 A KR 20170116423A KR 1020160044136 A KR1020160044136 A KR 1020160044136A KR 20160044136 A KR20160044136 A KR 20160044136A KR 20170116423 A KR20170116423 A KR 20170116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cial
community
social communi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기
박노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423A/ko
Priority to US15/481,002 priority patent/US20170295125A1/en
Publication of KR2017011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장소 및 환경에서 위험 감지 및 예방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커뮤니티 형성 단계; 상기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사물 단말을 연결하는 커뮤니티 관리 단계; 상기 각각의 사용자의 사물 단말로부터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수집된 사물의 상태 정보를 사고 유형별 정보 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의 예측 또는 사고 발생의 시점 검출을 위한 위험 발생을 검출하는 발생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상기 소셜 커뮤니티의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하는 정보 공유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ING COLLABORATION SERVICES BASED ON SOCIAL COMMUNITY}
본 명세서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 및 장소에서 다수의 사용자 간에 사회적 커뮤니티(Social Community)를 형성하고 그 사회적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공유되는 사물 간의 협업을 통하여 발생 가능한 사고의 유형에 따라 사고 발생 방지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공유되는 웨어러블 형태의 사물과 공유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 정보가 사고 원인에 해당되는 정보로 수집되고 위급한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집 정보는 사용자 자신만 알게 되고 다른 사용자들과의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고 원인에 대한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회적 관계(소셜 커뮤니티)가 있는 사용자들이 특정 공간에서 활동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유형을 선택하고,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물(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로부터 사고 유형에 따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각각의 유형에 따른 사고 발생이 예측되는 정보가 검출되거나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소셜 커뮤니티의 사용자 혹은 사고 발생시 전달할 목적지에 사고 유형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간 사회적 관계를 제공하는 소셜 커뮤니티 형성 과정, 사용자의 사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및 예측을 위한 위험 발생 검출 과정, 및 이를 소셜 커뮤니티에 공유하기 위한 정보 공유 과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물 협업 서비스를 위한 환경 제공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사물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환경 및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 요소 및 위험 발생으로부터 동일한 활동의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과의 소셜 커뮤니티를 통하여 위험 요소 및 위험 발생 정보를 공유하여 이를 대처하기 위한,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사물을 이용하게 되는 사용자에 대해서, 특정 장소에서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여러 사용자 간의 서비스 사용 목적(제공 가능한 서비스 카테고리로부터 선택한 특정 서비스)을 위하여 소셜 커뮤니티로 형성된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사물을 연결하여 목적에 맞는 정보를 수집 및 공유할 수 있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기설정된 장소 및 환경에서 위험 감지 및 예방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커뮤니티 형성 단계; 상기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사물 단말을 연결하는 커뮤니티 관리 단계; 상기 각각의 사용자의 사물 단말로부터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수집된 사물의 상태 정보를 사고 유형별 정보 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의 예측 또는 사고 발생의 시점 검출을 위한 위험 발생을 검출하는 발생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상기 소셜 커뮤니티의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하는 정보 공유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기형성된 소셜 커뮤니티 또는 신규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에 구성원으로서 가입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사회적 관계 유무 판단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사물 단말을 등록하되, 사용자의 사물 단말이 소셜 커뮤니티의 속성인 사고 유형에 따라 등록 가능한 사물 단말인 경우에 접근 권한 확인을 통해 사물 단말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 정보, 소셜 커뮤니티의 프로파일,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사물 및 사용자와의 관계 및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에서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속성(attribute) 스키마를 이용하여 각 사물 단말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위치정보,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발생 검출 단계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수집된 현재 환경 및 위치에서의 사고 유형을 감지하는 상황 분석 결과와, 사용자 프로파일로부터의 사물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공유 단계는 상기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된 해당 사물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에게 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설정된 차수 이상의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하거나, 소셜 커뮤니티 공유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외부 기간 시스템으로의 위험 조치 행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해당 외부 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사고 발생에 따른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고 유형별 행동 지침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침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기설정된 장소 및 환경에서 위험 감지 및 예방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사물 단말을 연결하는 커뮤니티 관리부; 상기 각각의 사용자의 사물 단말로부터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물의 상태 정보를 사고 유형별 정보 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의 예측 또는 사고 발생의 시점 검출을 위한 위험 발생을 검출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상기 소셜 커뮤니티의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하는 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부는 기형성된 소셜 커뮤니티 또는 신규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에 구성원으로서 가입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부는 사회적 관계 유무 판단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사물 단말을 등록하되, 사용자의 사물 단말이 소셜 커뮤니티의 속성인 사고 유형에 따라 등록 가능한 사물 단말인 경우에 접근 권한 확인을 통해 사물 단말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 정보, 소셜 커뮤니티의 프로파일,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물 및 사용자와의 관계 및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에서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속성(attribute) 스키마를 이용하여 각 사물 단말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위치정보,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수집된 현재 환경 및 위치에서의 사고 유형을 감지하는 상황 분석 결과와, 사용자 프로파일로부터의 사물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공유부는 상기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된 해당 사물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에게 공지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공유부는 기설정된 차수 이상의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하거나, 소셜 커뮤니티 공유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외부 기간 시스템으로의 위험 조치 행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해당 외부 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사고 발생에 따른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공유부는 사고 유형별 행동 지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여러 사고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사물을 소셜 관계를 통해 공유하고, 그 공유된 정보로부터 사고 유형에 따른 발생 원인을 예측하거나, 검출하여 이를 사용자들의 소셜 커뮤니티로 형성된 사물을 통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사고로부터 예방 혹은 사고 발생시 이를 전파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소셜 커뮤니티는 일상적인 환경이 아닌 특정 환경이나 사고 발생이 있을 공간에서 동일한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필요에 의해 동적으로 형성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한 사용자들이 등록한 각각의 공유 사물로부터 여러 정보(예컨대, 생체정보, 공간의 상황정보 등)를 수집하여, 판단 및 예측을 통하여 발생된 여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환경이나 사고 발생이 있는 곳에서의 위험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공유하여 이를 조치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 및 사용자와의 관계 및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형성 및 사물 등록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사고 유형에 따른 정보 공유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를 위한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의 사물 단말들,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 및 외부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들 간의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특정 장소 및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유형에 따른 사물로부터 정보 수집 및 처리에 관한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특정 장소 및 환경에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소셜 커뮤니티는 사회적 관계망을 통하여 형성하거나, 혹은 특정 서비스 가입을 통하여 형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와 각각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사물 단말(예컨대, 생체정보, 위치정보, 환경정보 등 여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일반적인 디바이스)로부터 여러 정보가 수집된다. 이로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요소로부터 예측하거나 발생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판단의 근거로 여러 정보가 수집된다.
사용자들(110 내지 113)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정보 공유부(104) 단말(115)과 같이 이동통신망이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웹으로 접근할 수 있는 단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일반적으로 블루투스)망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6)와 연동을 하게 된다.
정보 공유부(104) 단말(115)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16)에 대한 정보는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를 통하여 통합 관리된다.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는 여러 위험 요소가 감지되었을 경우 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는 커뮤니티 관리부(101), 정보 수집부(102), 정보 분석부(103) 및 정보 공유부(104)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사물을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공간 및 장소에서 사용자 간의 사고 발생 원인 및 발생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러한 사고 발생 원인 및 발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환경이나 장소에서 동일한 목적이 있는 여러 사용자와의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동일한 목적 해결을 위한 서비스와 사물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물 단말로 인식되는 장치로부터 특정 환경 및 장소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발생 유형에 따라 사물 단말로부터 여러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여 필요한 시점에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1의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기설정된 장소 및 환경에서 위험 감지 및 예방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그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사물 단말을 연결한다.
여기서,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기형성된 소셜 커뮤니티 또는 신규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에 구성원으로서 가입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사회적 관계 유무 판단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사물 단말을 등록하되, 사용자의 사물 단말이 소셜 커뮤니티의 속성인 사고 유형에 따라 등록 가능한 사물 단말인 경우에 접근 권한 확인을 통해 사물 단말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 정보, 소셜 커뮤니티의 프로파일,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다.
커뮤니티 관리부(10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사용자 및 사물 단말에 대한 메타정보 관리한다.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그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에 구성된 사용자와 각각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여러 사물 단말에 대한 속성 정보를 관리한다.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사물 단말이 가지고 있는 속성 중에 사물의 상태 정보를 조회하거나, 사물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사용자가 사회적으로 관계있는 사람들과의 소셜 관계정보를 관리하고 관계관리와 관련된 여러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사고 유형은 특정한 장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유형이 포함되며 다양한 사고 유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사고 유형에 따라 수집되어야 할 데이터도 상이하기 때문에,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사고 유형에 따른 수집 데이터와 사고 감지 및 발생시 처리해야 할 방법에 대한 규칙을 정의하고 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정보 수집부(102)는 각각의 사용자의 사물 단말로부터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정보 수집부(102)는 사물 및 사용자와의 관계 및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에서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속성(attribute) 스키마를 이용하여 각 사물 단말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02)는 사물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위치정보,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02)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수집부(102)는 커뮤니티 관리부(101)로부터 사물 연동을 위한 제어 API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집한 여러 데이터를 저장한다. 정보 수집부(102)는 각각의 사물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정보 분석부(103)로 전달하여 여러 상황에서의 사고 유형의 데이터 분석에 이용한다.
한편, 정보 분석부(103)는 정보 수집부(102)에서 수집된 사물의 상태 정보를 사고 유형별 정보 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의 예측 또는 사고 발생의 시점 검출을 위한 위험 발생을 검출한다. 여기서, 정보 분석부(103)는 사물 단말로부터 수집된 현재 환경 및 위치에서의 사고 유형을 감지하는 상황 분석 결과와, 사용자 프로파일로부터의 사물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103)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분석부(103)는 정보 수집부(102)에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사고 유형에 따른 상황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분석부(103)는 상황 분석 과정을 통해 정보 공유부(104)단말(115)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16)로부터 환경적 요소를 수집하고 위치기반(Geo Tagging) 정보를 토대로 현재 어떤 위치에 있으며, 이러한 위치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 유형을 감지한다. 정보 분석부(103)는 사물 분석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같이 사용자 프로파일 및 정의된 수치와 비교된 여러 정보를 판단한다. 정보 분석부(103)는 각각의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프로파일링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파일링 정보로부터 위험 요소를 판단한다. 정보 분석부(103)는 상황과 사물로부터 수집된 여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특정 공간 및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와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의 상황에서 위험을 감지하거나, 조치에 대한 판단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정보 공유부(104)는 정보 분석부(103)에서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상기 소셜 커뮤니티의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한다. 여기서, 정보 공유부(104)는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된 해당 사물 단말의 사용자에게 위험 발생 정보를 공유하고, 위험 발생 정보를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에게 공지한다.
정보 공유부(104)는 기설정된 차수 이상의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하거나, 소셜 커뮤니티 공유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외부 기간 시스템으로의 위험 조치 행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보 분석부(103)에서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해당 외부 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사고 발생에 따른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공유부(104)는 각각의 단계를 기반으로 사고 유형별 행동 지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공유부(104)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공유부(104)는 정보 분석부(103)로부터 처리된 결과를 소셜 커뮤니티나 혹은 다른 외부 시스템(120)으로 처리 결과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보 공유부(104)는 위험을 알리거나, 혹은 위험에 대처하여 외부 시스템(120)으로 알려 감지된 위험으로부터의 처리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보 공유부(104)는 위험 요소 발생시 즉시 알리는 것이 아니라, n차에 따라 감지되는 위험에 따라 등급별로 위험 요소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시스템(120)은 소셜 커뮤니티에 소속된 사용자에게 위험 감지를 전달할 만한 위험 등급 이상의 상황이 감지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 시스템(120)에 전달하는 기능으로 즉각적인 위험 요소 제거를 처리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협업을 통하여 사물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물 단말의 소유주로부터 사물 접근에 대한 권한 및 인증과 관련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 관리 및 소셜 커뮤니티를 위하여 특정 장소 및 환경에서 생성한 소셜 커뮤니티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기능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제공된다.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 관리기(201)는 일반적으로 소셜 커뮤니티가 지속적인 생성 주기가 있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환경 및 상황에서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동적으로 생성하고, 지속 가능한 시간에만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소셜 커뮤니티는 여러 사용자 간의 소셜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 혹은 사물에 따라 동적으로 커뮤니티를 재구성한다. 여러 소셜 커뮤니티가 있을 경우, 동일 상황이나 환경에서 만들어져 있는 소셜 커뮤니티를 탐색하여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소셜 커뮤니티의 유형은 공간이나 환경에 따라 여러 위험 유형으로 나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은 소셜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유형과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유형에 대한 소셜 커뮤니티 프로파일(203)을 관리한다.
이러한 유형 정보는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 정보(205)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생성된다. 현재의 위치와 장소에 따라 유효한 사용자와 사물인지를 파악하고, 참여 및 공유가 가능한 지를 결정한다.
커뮤니티 구성원 정보(202)는 사회적 관계가 실제 관계가 있을 수도 있지만, 공통의 목적을 위하여 장소 및 공간에서 형성된 소셜 관계 일수도 있기에 이러한 관계 유형에 따른 여러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의 프로파일(204)은 기본적인 프로파일과 위험 감지에 필요한 생체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사람에 따라 혈압의 평균 수치가 다를 수 있기에 이를 프로파일링하여 위험 감지의 수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소셜 커뮤니티 프로파일(203)은 커뮤니티가 형성된 목적 및 여러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검색이나 유형에 따른 분석의 판단 데이터로 활용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 및 사용자와의 관계 및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 구성도이다.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사용자 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그 형성된 관계 정보에 따라 사물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정보 관리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사물의 속성(301)은 기본적으로 메타정보로부터 사물의 기본 속성을 저장하는 스키마이다. 이는 사물의 위치와 상태, 그리고 사물 타입에 대한 고정된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메타정보로써 REST API 호출에 사용되는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302)를 관리한다.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302)는 웹을 통하여 사물이 수집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인터페이스의 기본 정보를 저장한다.
속성(attribute) 스키마(303)를 통하여 API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각각의 사물마다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도 다르며, 각각의 인터페이스마다 서로 다른 정보를 요구할 수 있기에 이를 사물별로 별도의 정보로 관리함으로써, 여러 사물을 효율적으로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304)는 기본적인 정보 데이터와 사용자 간의 소셜 관계를 관리하는 관계(Relation) 정보(305)를 저장한다. 관계(Relation) 정보(305)는 사용자들 간의 관계 타입을 정의하고, 기정의된 타입에 따라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한다.
즉, 도 3에서는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한 사용자와 사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위험 유형에 따라 위험 감지 및 위험 발견 과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은 최초 특정 장소 및 환경에서 동일한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소셜 관계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스마트 단말(115)을 연결하는 단계, 사고 유형에 따른 수집 정보로부터 사고 발생 예측 및 발생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발생된 정보를 소셜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파하여 이를 공유하게 하는 단계,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기반으로 사고 유형에 행동 지침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형성 및 사물 등록을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는 특정 상황 및 장소에서 동일한 목적(위험 감지 및 예방)을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된다.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와 커뮤니티가 어떠한 위험 유형인지 등의 여러 검색 정보를 입력한다(S401).
그리고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등록되어 있는 커뮤니티들과 동일한 목적 및 유형인지를 확인하고, 비슷한 유형의 커뮤니티를 추천한다(S402).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사용자가 추천된 커뮤니티에 대하여 가입을 하는지를 확인한다(S403).
상기 확인 결과(S403), 추천된 커뮤니티에 대하여 가입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새로운 커뮤니티를 생성한다(S404).
상기 확인 결과(S403), 추천된 커뮤니티에 대하여 가입하는 경우,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미리 형성된 커뮤니티 혹은 신규 커뮤니티에 구성원으로서 가입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S405).
사용자 등록 과정(S405)은 신규 가입인 경우는 구성원과의 소셜 관계 유무의 판단은 필요하지 않지만, 미리 형성된 커뮤니티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소셜 관계 형성에 대한 확인 단계가 요구된다(S406).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미리 형성된 커뮤니티들과의 소셜 관계의 유무 판단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사물이 공유될 수 있도록 등록한다(S407). 여기서,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이러한 등록 과정에서 커뮤니티의 속성인 사고 유형에 따라 등록 가능한 사물 단말인지를 확인한다.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등록 가능한 사물 단말일 경우 해당 사물 단말을 커뮤니티 구성원들과 공유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접근 권한 요청을 확인한다(S409).
상기 확인 결과(S409), 접근 권한 요청에 대해 접근이 확인되었을 경우,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해당 커뮤니티의 라이프사이클 재구성을 실행하고, 신규 가입된 사용자들을 활성화시킨다(S410).
반면, 상기 확인 결과(S409), 접근 권한 요청에 대해 접근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커뮤니티 관리부(101)는 사용자 등록 과정(S404)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회적 관계 형성 과정(S408)을 통하여 신규 관계를 형성하고, 그 형성이 완료되면 사물 등록과 및 접근 권한 여부 확인을 통하여 커뮤니티의 구성원으로서 활성화가 수행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사고 유형에 따른 정보 공유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은 소셜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수집된 사물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유형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소셜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라이프 사이클을 통하여 감지가 시작된다(S501).
정보 수집부(102)는 소셜 커뮤니티 구성원의 각 사물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502).
정보 수집부(102)는 사물 단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유효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S502)가 수집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각 사물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에게 사물의 유효 상태 변경을 요청한다(S503).
상기 확인 결과(S502), 각 사물의 상태가 확인되면, 정보 수집부(102)는 각 사물의 사물 상태 확인이 끝난 후에 주기적으로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504). 이때, 이용되는 API는 도 3에 나타난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302) 및 attribute 스키마(303)를 이용하여 각 사물의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02)는 수집된 사물이 사고 유형별 사고 인지를 위한 조건에 맞는지 확인을 한다(S505).
상기 확인 결과(S505), 조건에 미달하였을 경우 즉, 사고 유형별 정보가 아닌 경우에 정보 수집부(102)는 수집 정보를 저장한다(S506).
이후, 사고 유형별 정보 확인은 소셜 커뮤니티가 형성되었을 경우의 유형 조건과 각 사용자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물의 상태 정보가 수집되면 정보 분석부(103)를 통하여 처리된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S505), 조건에 충족하였을 경우 즉, 사고 유형별 정보 분석에 의해 위험이 감지되면, 정보 분석부(103)는 특정 사물이 어떠한 조건에 의해 감지되는지를 세부 상태를 조사한다(S507).
그리고 정보 분석부(103)는 사용자의 실수 혹은 수집 상황의 특이점이 없이 사고 유형 조건에 맞는 정보가 수집되면 이에 따른 조치를 수행한다(S508).
이후, 정보 공유부(104)는 위함 감지에 대해 n차에 따라 결과 공지를 위한 단계별 위험 처리를 수행한다(S509).
그리고 정보 공유부(104)는 최초 수집된 위험 감지를 해당 사물의 소유자에게 전달하고, 소유자로부터 해당 위험에 대한 대처 결과를 수집한다(S510). 이러한 단계별 조치는 경미한 사고감지에 따라 소셜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공지할 감지 수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사물 상태 정보 수집(S504 내지 S506) 단계가 여러 번 수행됨에 따라 감지 수준이 보다 위험성이나 위험 감지가 확인되면, 정보 공유부(104)는 2차 감지 결과에 따라 소셜 커뮤니티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가 될 수 있도록 전달한다(S511). 이렇게 위험 감지를 통해 소셜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알려 빠른 조치를 취하거나, 또 다른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더욱 높은 차수의 위험 감지가 발생하거나, 커뮤니티 공유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외부 시스템(120)으로의 위험 조치 행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보 공유부(104)는 해당 기관에 전달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사고 발생에 따른 후속 조치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한다(S512).
이후, 정보 공유부(104)는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확인하여 사물 상태 정보 수집(S504 내지 S506)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사고 유형에 따른 정보 공유 과정을 종료한다(S513).
한편, 사용자들이 등록한 사물로부터 사용자들의 생체정보 혹은 스마트 단말과 같이 위상차 정보(고도의 순간 변화에 따른 낙상 등)와 같은 여러 형태 정보가 수집되고, 각 수집 정보는 감지 차수에 따라 별도의 조치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감지 정보 및 후속 처리 결과 등은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에 의해 수집되고, 누적 정보는 또 다른 커뮤니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01: 커뮤니티 관리부
102: 정보 수집부
103: 정보 분석부
104: 정보 공유부
110 내지 113: 사용자1 내지 사용자n
115: 스마트 단말
116: 웨어러블 디바이스
120: 외부 시스템

Claims (20)

  1. 기설정된 장소 및 환경에서 위험 감지 및 예방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커뮤니티 형성 단계;
    상기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사물 단말을 연결하는 커뮤니티 관리 단계;
    상기 각각의 사용자의 사물 단말로부터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수집된 사물의 상태 정보를 사고 유형별 정보 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의 예측 또는 사고 발생의 시점 검출을 위한 위험 발생을 검출하는 발생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상기 소셜 커뮤니티의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하는 정보 공유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기형성된 소셜 커뮤니티 또는 신규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에 구성원으로서 가입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사회적 관계 유무 판단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사물 단말을 등록하되, 사용자의 사물 단말이 소셜 커뮤니티의 속성인 사고 유형에 따라 등록 가능한 사물 단말인 경우에 접근 권한 확인을 통해 사물 단말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 정보, 소셜 커뮤니티의 프로파일,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사물 및 사용자와의 관계 및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에서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속성(attribute) 스키마를 이용하여 각 사물 단말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위치정보,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검출 단계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수집된 현재 환경 및 위치에서의 사고 유형을 감지하는 상황 분석 결과와, 사용자 프로파일로부터의 사물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단계는
    상기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된 해당 사물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에게 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차수 이상의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하거나, 소셜 커뮤니티 공유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외부 기간 시스템으로의 위험 조치 행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해당 외부 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사고 발생에 따른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사고 유형별 행동 지침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침 서비스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11. 기설정된 장소 및 환경에서 위험 감지 및 예방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 간에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사물 단말을 연결하는 커뮤니티 관리부;
    상기 각각의 사용자의 사물 단말로부터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물의 상태 정보를 사고 유형별 정보 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의 예측 또는 사고 발생의 시점 검출을 위한 위험 발생을 검출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상기 소셜 커뮤니티의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하는 정보 공유부
    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부는
    기형성된 소셜 커뮤니티 또는 신규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에 구성원으로서 가입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부는
    사회적 관계 유무 판단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사물 단말을 등록하되, 사용자의 사물 단말이 소셜 커뮤니티의 속성인 사고 유형에 따라 등록 가능한 사물 단말인 경우에 접근 권한 확인을 통해 사물 단말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 단계는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 정보, 소셜 커뮤니티의 프로파일,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커뮤니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물 및 사용자와의 관계 및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스키마에서 레스트맵(restmap) 인터페이스 정보 및 속성(attribute) 스키마를 이용하여 각 사물 단말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위치정보,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사물 단말로부터 수집된 현재 환경 및 위치에서의 사고 유형을 감지하는 상황 분석 결과와, 사용자 프로파일로부터의 사물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부는
    상기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된 해당 사물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위험 발생 정보를 소셜 커뮤니티의 구성원에게 공지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부는
    기설정된 차수 이상의 위험 발생 정보가 검출하거나, 소셜 커뮤니티 공유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외부 기간 시스템으로의 위험 조치 행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검출된 위험 발생 정보를 해당 외부 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사고 발생에 따른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부는
    사고 유형별 행동 지침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장치.
KR1020160044136A 2016-04-11 2016-04-11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16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36A KR20170116423A (ko) 2016-04-11 2016-04-11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US15/481,002 US20170295125A1 (en) 2016-04-11 2017-04-06 Method and apparatus for thing collaboration service based on social commun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36A KR20170116423A (ko) 2016-04-11 2016-04-11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23A true KR20170116423A (ko) 2017-10-19

Family

ID=5999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136A KR20170116423A (ko) 2016-04-11 2016-04-11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95125A1 (ko)
KR (1) KR201701164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0954A (zh) * 2020-06-18 2020-10-30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车辆失联预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2095B (zh) * 2017-12-14 2018-12-14 特斯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社交共享终端设备及系统
US11248922B2 (en) 2018-11-01 2022-0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ized social navigation coac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8412A1 (en) * 2014-09-10 2016-03-17 Umm Al-Qura University A spatio-temporal method and system to implement boundary regulation
US9613477B2 (en) * 2015-04-21 2017-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lection of information using contactless devices in combination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0954A (zh) * 2020-06-18 2020-10-30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车辆失联预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95125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575B2 (en) Risk management system with internet of things
US20140302783A1 (en) Detecting interaction among entities via proximity
CN104202353A (zh) 一种物联网互联协作系统的云事件处理方法及装置
KR20170076700A (ko)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방법들, 장치들, 및 시스템들
US20120124136A1 (en) Context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by sharing context information between one or more terminals
CN105829223A (zh) 利用移动装置的电梯控制
US20170331831A1 (en) Trust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in internet of things
AU2021209140A1 (en) Integration platform to enable operational intelligence and user journeys for smart citi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US98608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access controlling of terminal
KR20170116423A (ko) 소셜 커뮤니티 기반의 사물 협업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8373A (ko) 이미지 캡차 제공 방법 및 이미지 캡차 제공 서버
Mohamed et al. Adaptability of SOA in IoT services–an empirical survey
Bernardos et al. A data fusion framework for context-aware mobile services
KR20170127339A (ko) IoT 환경에서의 신뢰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05243080A (zh) 基于esb架构的资源感知自适应适配系统
US9589230B1 (en) Entity location traceability and prediction
US11575751B2 (en) Dynamic creation of sensor area networks based on geofenced IoT devices
KR101320931B1 (ko)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JP2021536606A (ja) フォグベースのデータ処理を有効にするためのデータサンプルテンプレート(Data Sample Template:DST)管理
US201501542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relation model based on resource management architecture
Kaur et al. Real‐time trust aware scheduling in fog‐cloud systems
KR20220004399A (ko) 사용자 참여형 보안 감시 관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기록매체
CN114047897A (zh) 检测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30001187A (ko) 폐기물 수거 운송차 배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Raj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mobile sensing based crowd evacuation system: A big actor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