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931B1 -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931B1
KR101320931B1 KR1020110141697A KR20110141697A KR101320931B1 KR 101320931 B1 KR101320931 B1 KR 101320931B1 KR 1020110141697 A KR1020110141697 A KR 1020110141697A KR 20110141697 A KR20110141697 A KR 20110141697A KR 101320931 B1 KR101320931 B1 KR 101320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anagement
user
card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708A (ko
Inventor
한만호
안병현
서광식
배용석
정창윤
공자윤
복선희
심선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14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9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모바일 단말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은,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출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에 있는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관리 정책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관리영역의 관리정책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모바일 단말의 정확한 현재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근거로 하여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RECORDING MEDIUM IMPLEMENT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MANAGING SERVER}
본 출원은 모바일 단말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하여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즉, 스마트폰)은 셀룰러망 이외에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WPS(Wifi-based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GPS 또는 WPS 기반의 현재 위치 인식은 날씨, 전파간섭 등의 주변 환경에 따른 오차와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현재 위치에 따른 끊임없는 계산을 포함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끊임없는 계산은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가져올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46601호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획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의 사용을 관리 및 제어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26913호에 개시되어 있고, 해당 기술은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하드웨어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46601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26913호
본 출원은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출원에 의하여 제공된 기술은 모바일 단말의 정확한 현재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출입 내역을 근거로 하여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도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의하여 제공된 기술은 현재 위치를 계산할 필요가 없는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출입 이벤트 처리기가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을 도입하여 특정 영역(즉, 관리 영역) 내에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은,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출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에 있는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관리 정책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관리영역의 관리정책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가 얻어지면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출입카드는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는 상기 출입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상기 관리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실행에 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실행에 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실행에 관한 보고를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정책은 적어도 상기 관리 영역 내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의 연결 중단 금지 행위를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제어 행위, 저장 장치 제어 행위, 비밀번호 관리 제어 행위 및 단말 초기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 각각과 상기 관리 영역 쌍으로 구성된 관리 영역 테이블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영역 테이블과 관리 정책 테이블은 다대다, 일대다 또는 다대일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출입 이벤트 처리 요청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는 출입 이벤트 처리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에 있는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 단위로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는 관리 정책 설정 모듈, 상기 설정된 관리 정책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관리 정책 송신 모듈 및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실행한 결과에 관한 보고를 수신하는 관리정책 보고 수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출입카드는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 상기 마그네틱 카드,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상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상기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상기 IC(Integrated Chip) 카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정책 설정 모듈은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정책 송신 모듈은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정책 설정 모듈은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 각각과 상기 관리 영역 쌍으로 구성된 관리 영역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정책 송신 모듈은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MDM(Mobile 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명령어들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제어한다. 상기 명령어들은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출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 부여된 관리 정책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에 의하여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얻어지면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토대로 작성된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관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영역의 관리정책을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 및 이와 연관된 기술(들)은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출원에 의하여 제공된 기술은 모바일 단말의 정확한 현재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근거로 하여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 및 이와 연관된 기술(들)은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도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의하여 제공된 기술은 현재 위치를 계산할 필요가 없는 위치 기반의 모바일 단말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 및 이와 연관된 기술(들)은 출입 이벤트 처리기가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을 도입하여 특정 영역(즉, 관리 영역) 내에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공장, 연구실과 같이 보안을 요구하는 사업장에서, 관리자는 관리 영역 단위로 설정된 관리정책을 통해 출입자의 모바일 단말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용자의 출입정보의 수신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출입구(110),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 및 모바일 단말(15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출입구(110)는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감시하는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가 설치되고,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는 사용자의 출입카드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얻어내고, 이 사용자 출입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로 송신한다.
출입카드는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에 해당하고, 이러한 출입카드는 모바일 단말(15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출입카드는 수동적 카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능동적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동적 카드란 출입문 이벤트처리기()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읽혀지는 카드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수동적 RFID 카드 또는 IC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능동적 카드란 카드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NFC 카드, 액티브 RFID 카드 또는 IrDA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수동적 카드는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읽혀지는 형태로 출입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능동적 카드는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 출입 정보를 능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는 출입카드로부터 사용자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추출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관리영역의 식별자, 출입 시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에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로 송신한다.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출입한 관리 영역, 출입 시간 등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110)를 가지는 관리 영역(120)에 있는 모바일 단말(150)을 관리하고, 관리 영역(120) 단위로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며, 이렇게 설정된 관리 정책을 모바일 단말(150)에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관리 영역과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와 관리 정책에 대한 정보를 서로 분리하여 관리할 경우에,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 각각과 관리 영역 쌍으로 구성된 관리 영역 테이블을 구축한 후에 관리 영역과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때, 관리 영역 테이블과 관리 정책 테이블은 다대다, 일대다 또는 다대일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도 1에서 출입구A(110a)를 가지는 관리 영역A(120a), 출입구B(110b)를 가지는 관리영역B(120b), 출입구C(110c)를 가지는 관리영역C(120c)를 관리하지만, 건물의 층수나 층별 면적, 보안 등급 등에 따라서 관리영역(120)과 출입구(11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정책은 적어도 관리 영역 내에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와의 연결 중단 금지 행위를 포함하는데, 카메라 제어 행위, 저장 장치 제어 행위, 비밀번호 관리 제어 행위 및 단말 초기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리 정책을 통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원격지의 모바일 단말(150)의 시스템 설정, 보안 적용 사항, 사용 규칙 등을 강제적으로 모바일 단말(150)에 적용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50)의 보안 위협이 예상될 경우에 제어 명령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150)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데이터를 삭제하여 보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출입구(10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 또는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기초로 하여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50)의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한다.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150)의 내부 정보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이루어지고, 관리 정책에 따라 원격에서 사용자의 개입 없이 모바일 단말(150)의 사용환경을 재구성하거나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150)은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에서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에서 수신한 관리 정책 테이블을 참조하여 관리 영역에 해당되는 관리 정책을 실행한다.
모바일 단말(15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패드, 및 핸드폰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가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의 출입 내역 관리 기능을 포함할 경우에, 출입구(110)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 사이에서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생략될 수 있고,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서 발생된 사용자의 출입정보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에 송신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관리정책 설정 모듈(141), 관리정책 송신 모듈(142),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143) 및 관리정책 보고 모듈(144)을 포함한다.
관리정책 설정 모듈(141)은 관리 영역마다 구분 정보(LOC1, LOC2, LOCn)를 설정하고, 관리 영역 단위로 관리 정책(P1, P2, Pn)을 미리 설정하여 관리 정책 테이블(T1)을 구축한다.
관리정책 송신 모듈(142)은 모바일 단말(150)이 출입구(110)를 통과하기 이전에 모바일 단말(150)로 관리 정책 테이블을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한다.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143)은 모바일 단말(150)을 소지한 사용자가 출입구(110)를 통과할 때,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로부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150)에게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관리정책 보고 모듈(144)은 모바일 단말(150)로부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실행한 결과에 관한 보고를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을 통해 수신한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은,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서 사용자의 출입이 감지되면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 또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송신한다.
만일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가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로 송신하면,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출입 이벤트 발생에 따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50)의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 관리 정책 테이블을 송신한다.
만일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 또는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에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로 송신하면,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의 식별자, 관리영역의 식별자, 출입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기초로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150)로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150)의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기초로 하는 관리 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영역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리영역 식별자와 관리정책 테이블의 관리영역 식별자들 중에서 일치하는 관리영역 식별자가 있는지를 비교한다.
만일, 관리정책 테이블에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에서 추출한 관리 영역 식별자가 있다면 관리 영역 식별자에 해당되는 관리 정책을 모바일 단말(150)에 적용하여 실행한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150)을 소지한 사용자가 출입구(110)를 통과하면(1),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서 사용자의 진입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2).
이때 관리 영역 출입 정보에는 사용자의 식별자, 관리영역 식별자, 출입 시간 등을 포함한다.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에 송신한다.(2)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하는 관리영역에모바일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50)의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51)에 송신한다.(3)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51)은 출입 이벤트 처리 기능을 통해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 영역 식별자를 추출하며(3), 관리정책 테이블에서 관리영역 식별자에 해당되는 관리 정책을 찾은 후에 모바일 단말(150)에 적용하여 실행한다(4, 5).
도 5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관리자는 관리영역을 보안설계실은 AreaA로, 보안문서실은AreaB로 구분하고, 각 관리영역(AreaA, AreaB)의 출입구(110)에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를 설치한다.
또한, 관리자는 AreaA와 AreaB에 대한 관리 정책을 P1, P2로 설정하고, 관리정책과 관리영역 쌍으로 구성된 관리정책 테이블을 구축하여 모바일 단말(150)의 MS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배포한다.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는 모바일 단말(150)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의 출입 카드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얻어내고,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로 송신한다.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의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143)에 송신하고,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143)은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기초로 하는 관리영역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50)로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150)은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영역 식별자(AreaA, AreaB)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관리영역 식별자에 해당되는 관리정책을 모바일 단말(150)에 적용한다.
즉, 모바일 단말A를 소지한 사용자A가 보안 설계실(AreaA)에 출입한 경우에 모바일 단말A는 관리정책 P1을 적용하고, 모바일 단말B를 소지한 사용자B가 보안문서실(AreaB)에 출입한 경우에 모바일 단말B는 관리정책 P2를 적용한다.
도 6는 도 1의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은,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로부터 사용자의 출입이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01).
사용자의 출입정보는 사용자가 소지한 출입 카드, 또는 모바일 단말(150) 내에서 구현되는 출입 카드로부터 사용자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고, 출입구(110) 또는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 부여된 식별정보를 통해 관리영역의 식별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며,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의 내부에 설치된 타이머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시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함으로써 출입인원에 대한 신상을 파악하고, 언제, 어떤 인원이, 어떤 장소에 출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적할 수 있다.(단계 S102)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의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143)에 송신한다.(단계 S103)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관리 영역 단위로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고, 그 설정된 관리정책과 관리 영역 쌍으로 구성된 관리정책 테이블을 구축한다.(단계 S103 및 S105) 이때,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관리 영역과 관리 정책의 정보를 분리하여 관리할 경우에, 관리 영역 테이블과 관리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관리 영역 테이블과 관리 정책 테이블을 다대다, 일대다 또는 다대일 관계로 구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관리정책 테이블을 모바일 단말(150)의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배포함으로써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관리정책 테이블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출입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 파악, 관리 정책 적용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06 및 S107)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는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에서 송신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통해 현재 출입구(110)를 통과한 사용자의 식별자와 관리 영역 식별자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식별자에 등록된 모바일 단말(150)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하는 관리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108 및 S109)
모바일 단말(150)의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영역에 대한 정보에서 관리영역 식별자를 추출하여 관리정책 테이블의 관리영역 식별자와 비교한다.(단계 S110~S112)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출입정보에 대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는 출입 이벤트 처리 기능을 통해 일정 주기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에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일,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영역에 대한 정보에서 추출한 관리영역 식별자가 관리정책 테이블의 관리영역 식별자들 중에서 일치하는 관리영역 식별자가 있다면, 관리정책 테이블에서 해당되는 관리정책을 찾아 모바일 단말(150)에 적용하여 실행한다(단계 S113 및 S114).
만일,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영역에 대한 정보에서 추출한 관리영역 식별자가 관리정책 테이블의 관리영역 식별자들 중에서 일치하는 관리영역 식별자가 없다면, 다음 검색 주기를 대기한다.(단계 S113 및 S115)
도 7은 도 6의 사용자의 출입정보의 수신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140)의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143)은 출입내역 관리 서버(130) 또는 출입구(110)의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로부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내부의 메모리에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최근 출입 내역으로 저장한다.(단계 S201 및 S202)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143)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최근 출입 내역을에 대한 기초로 하는 관리 영역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50)의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 푸시(Push)한다. (단계 S203)
본 출원의 모바일 단말(150)에 설치되고, 모바일 단말(150)을 제어하는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명령어들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명령어들은,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를 통해 출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10)를 가지는 관리 영역에 부여된 관리 정책을 수신하는 기능, 출입 이벤트 처리기(112)에 의하여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얻어지면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토대로 작성된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관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통해 관리영역의 관리정책을 실행하는 기능 등을 구현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PC방 추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명령어들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출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에 있는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관리 정책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i)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출입카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관리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수신하고 (ii)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관리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식별자를 송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관리영역의 관리정책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가 얻어지면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출입카드는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 내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는
    상기 출입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상기 관리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실행에 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실행에 관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정책의 실행에 관한 보고를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은
    적어도 상기 관리 영역 내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의 연결 중단 금지 행위를 포함하고, 카메라 제어 행위, 저장 장치 제어 행위, 비밀번호 관리 제어 행위 및 단말 초기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 각각과 상기 관리 영역 쌍으로 구성된 관리 영역 테이블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 테이블과 관리 정책 테이블은 다대다, 일대다 또는 다대일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출입 이벤트 처리 요청에 의해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을 통해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14. 출입 이벤트 처리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에 있는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리 영역 단위로 관리 정책을 미리 설정하는 관리 정책 설정 모듈;
    상기 설정된 관리 정책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관리 정책 송신 모듈; 및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i)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출입카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관리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수신하고 (ii)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관리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식별자를 송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관리영역의 관리정책을 실행하도록 하는 출입 이벤트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영역의 관리 정책을 실행한 결과에 관한 보고를 수신하는 관리정책 보고 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출입카드는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카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카드 또는 IC(Integrated Chip) 카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 내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 설정 모듈은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송신 모듈은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책 설정 모듈은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 각각과 상기 관리 영역 쌍으로 구성된 관리 영역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송신 모듈은 상기 관리 영역과 상기 관리 정책 쌍으로 구성된 관리 정책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관리 정책 테이블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21.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는 MDM(Mobile 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명령어들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출입 이벤트 처리기를 통해 출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가지는 관리 영역에 부여된 관리 정책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출입 이벤트 처리기로부터, (i)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출입카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관리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수신하고 (ii)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관리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관리영역에 관한 식별자를 송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기 관리영역의 관리정책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MDM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명령어들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41697A 2011-12-23 2011-12-23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KR101320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97A KR101320931B1 (ko) 2011-12-23 2011-12-23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97A KR101320931B1 (ko) 2011-12-23 2011-12-23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08A KR20130073708A (ko) 2013-07-03
KR101320931B1 true KR101320931B1 (ko) 2013-10-23

Family

ID=4898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697A KR101320931B1 (ko) 2011-12-23 2011-12-23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530B1 (ko) 2014-07-09 2016-04-14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97B1 (ko) 2013-08-09 2015-03-1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이동 단말기 위치 판단 규칙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보안 정책 적용 방법, 이를 통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90226B1 (ko) * 2015-10-20 2016-12-27 중소기업은행 초광대역 위치 측위기술과 카운팅 기술을 융합한 물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131082B1 (ko) * 2018-10-19 2020-07-07 주식회사 펀앤뉴 모바일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466A (ko) * 2005-10-27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영역에서의 디바이스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62903A (ko) * 2007-12-13 2009-06-17 주식회사 에스원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0005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통신 단말기의 보안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04723A (ko) * 2010-03-17 201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466A (ko) * 2005-10-27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영역에서의 디바이스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62903A (ko) * 2007-12-13 2009-06-17 주식회사 에스원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0005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통신 단말기의 보안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04723A (ko) * 2010-03-17 201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530B1 (ko) 2014-07-09 2016-04-14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08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765B2 (en) Personal device network for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CA2997954C (en) Device enabled identity authentication
KR101503597B1 (ko) 이동 단말기 위치 판단 규칙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보안 정책 적용 방법, 이를 통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302783A1 (en) Detecting interaction among entities via proximity
US9807161B2 (en) Distributed events in an access control system
RU252675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бора функций управления моби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CN104255064B (zh) 将接入信息从实体接入控制系统发送到用户终端
US9471757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ers for providing user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KR101278830B1 (ko) 근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320931B1 (ko)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KR101281953B1 (ko) Nfc 태그 uid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서버
KR101837289B1 (ko) IoT 환경에서의 신뢰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JP2018010449A (ja) スマートロックにおけるスマートロック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753898A (zh) 一种验证方法、验证终端、验证服务器
KR101323265B1 (ko) Ieee 802.11을 이용한 네트워킹 방법
WO2015102186A1 (ko) 단말 사용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55486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문 관리 시스템
US20170295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ing collaboration service based on social community
US20190295065A1 (en) Affiliated store labeling method, affiliated store labeling device, and affiliated store labeling system for wireless lan fingerprint
KR101757345B1 (ko)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조인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EP3432645A1 (en)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CN105230058A (zh) 用于控制蜂窝自组网中远程无线电设备的丢失和盗窃的技术
KR101487349B1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
KR101131185B1 (ko) 이동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50794A (ko) 네트워크에 기반한 출입 관리 서비스 장치, 네트워크에 기반한 출입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