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629A -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629A
KR20170115629A KR1020160042589A KR20160042589A KR20170115629A KR 20170115629 A KR20170115629 A KR 20170115629A KR 1020160042589 A KR1020160042589 A KR 1020160042589A KR 20160042589 A KR20160042589 A KR 20160042589A KR 20170115629 A KR20170115629 A KR 20170115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light
pattern
flat surface
op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문
정상수
김선중
Original Assignee
(주)뉴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옵틱스 filed Critical (주)뉴옵틱스
Priority to KR102016004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629A/ko
Publication of KR2017011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02B6/1200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 G02B6/12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characterised by the arrayed waveguides, e.g. comprising a filled groove in the array s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7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principle based on material dispersion
    • G02B6/2937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principle based on material dispersion utilising a bulk dispersive element, e.g. pr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출광면을 가지며, 출광면은, 상기 입광면에 직교하고,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한 제1 구간과 제1 구간과 연결되고, 폭이 증가하는 제2 구간 및 제2 구간과 연결되고, 폭이 감소하는 제3 구간이 연속하여 정의되는 평탄면 패턴을 가지고, 출광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평탄면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마련되며,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패턴 사이의 영역에서 빛의 출광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 패턴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 패턴은 최대 폭 및 최대 높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달라지도록 마련된 광학 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광 및 산란을 통해 핫 스팟(hot spot)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이란 액정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후방에 빛을 공급해주는 광원 장치의 일종으로서, 영상의 휘도, 색 재현도, 시야각, 명암비, 가독성 등 영상 품질과 소비 전력, 제품 수명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액정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단가의 약 20~5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이다.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광원의 배치 형태에 따라 크게 직하형(direct-lit)과 엣지형(edge-lit)으로 분류된다. 직하형은 화면의 직후방에 배치된 광원이 액정 패널 패널 방향으로 출사하는 빛을 이용하는 반면, 엣지형은 화면의 가장자리에 광원이 배치된 광으로부터 측방으로 출사되는 빛을 도광판이 액정 패널 패널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빛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하여 휘도, 명암비, 화면 균일도, 영상 재현력 등에서는 직하형이 유리한 반면, 제품 두께나 비용 면에서 엣지형이 강점을 가지게 된다.
최근에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제품의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면서 제품 외관 면에서 강점이 큰 엣지형 백라이트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초박형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도광판 사이에 게재되던 확산 시트(diffusion sheet) 및 프리즘 시트(prism sheet)를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은 기존에 확산 시트가 담당하던 광 확산도 확보에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핫 스팟이 두드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광 확산도가 향상되고, 핫 스팟을 개선할 수 있는 도광판의 개발이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본 발명은 집광 및 산란을 통해 핫 스팟(hot spot)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출광면을 갖는 광학 부재가 제공된다.
여기서 출광면은, 상기 입광면에 직교하고,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한 제1 구간과 제1 구간과 연결되고, 폭이 증가하는 제2 구간 및 제2 구간과 연결되고, 폭이 감소하는 제3 구간이 연속하여 정의되는 평탄면 패턴을 갖는다.
또한, 출광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평탄면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마련되며,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패턴 사이의 영역에서 빛의 출광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 패턴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돌출 패턴은 최대 폭 및 최대 높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달라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원, 입광면이 상기 광원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광학 부재, 및 광학 부재의 출광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패턴 시인성 및 핫 스팟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광학부재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돌출 패턴의 높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명부 높이 및 핫 스팟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사진 및 엑셀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광원(2)과 광학부재(100)(예를 들어, 도광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3)(예를 들어,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부재(100)는 광원(2)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광면(101) 및 상기 입광면(10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출광면(102)을 갖는다. 상기 입광면(101)는 상기 광학부재(100)의 어느 한 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출광면(102)는 상기 광학부재(100)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부재(100)의 하부면에는, 광학부재(100) 내부에서 진행하는 빛을 상부면(102)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도트 패턴 등의 반사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재(100)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시트(확산 시트, 패턴 시트, 프리즘 시트 등)와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3)을 향하여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원(2)이 광학부재(100)의 측면 측에 배치된 엣지 타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2)은 광학부재(100)의 입광면(101)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된다. 즉, 광학 부재(100)는 입광면(101)이 상기 광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은 광학 부재(100)의 출광면(102)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광원(3)으로는, 냉음극 램프, 방전 램프, 또는 LED, OLED 등 광원(3)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일예로, 상기 광원(3)은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원(3)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하는 LED 어레이(array)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부재(100)는 광원(2)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3)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부재(100)는 입광면(101)을 통해 내부로 입사된 빛의 진행을 안내하도록 마련된 도광판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예를 들어, PMMA와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학부재(100)는 핫 스팟 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집광 및 산란 기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한, 휘도를 향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1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100)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광학부재(100)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돌출 패턴의 높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광학부재(100)는 광원(3)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광면(101) 및 상기 입광면(101)에 대하여 소정 각도(예를 들어, 약 90° 내외)로 기울어진 출광면(102)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출광면(102)은, 상기 입광면(101)에 직교하고, 입광면(101)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도 3의 y축 방향)을 따라, 폭(d)이 일정한 제1 구간(111)과 제1 구간(111)과 연결되고, 폭(d)이 증가하는 제2 구간(112) 및 제2 구간(112)과 연결되고, 폭(d)이 감소하는 제3 구간(113)이 연속하여 정의되는 평탄면 패턴(110)을 갖는다.
상기 평탄면 패턴(110)은 제1 구간(111)과 제2 구간(112) 및 제3 구간(113)이 소정 순서에 따라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1 방향에 따른 제1 구간(111)의 길이는 480㎛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에 따른 제2 구간(112)의 길이는 368㎛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에 따른 제3 구간(113)의 길이는 112㎛일 수 있다. 이때, 제2 구간(112)의 길이는 제3 구간(113)의 길이보다 크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간(111)의 폭(d)은 30㎛일 수 있고, 제2 구간(112)의 최대 폭은 16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탄면 패턴(110)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속된 패턴이며, 소정영역에서 폭(d)이 일정하고, 소정영역에서 폭이 증가하며, 폭이 최대인 지점으로부터 소정 영역까지 폭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입광면(101)과 연결되도록 제1 구간(111)이 형성되고, 제1 구간(111)과 제2 구간(112) 및 제3 구간(113)이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간(113) 이후, 제1 내지 제3 구간(111 내지 113)이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입광면(101)가 연결되도록 제2 구간(112)이 형성되고, 제2 구간(112)과 제3 구간(113) 및 제1 구간(111)이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입광면(101)가 연결되도록 제3 구간(113)이 형성되고, 제3 구간(113)과 제1 구간(111) 및 제2 구간(112)이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광면(102)에는, 상기 제1 방향(y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평탄면 패턴(110)이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마련된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패턴(110) 사이의 간격은 4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광면(102)에는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패턴(110) 사이의 영역에서 빛의 출광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 패턴(120)이 마련된다. 상기 출광면(102)에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출 패턴(120)이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마련된다. 이때, 상기 돌출 패턴(120)은 최대 폭 및 최대 높이(돌출된 높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달라지도록 마련된다. 본 문서에서, 평탄면 패턴(110)이라 함은, 출광면(102)을 형성하는 가상의 면에 양각(돌출) 또는 음각(함몰) 처리되지 않은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돌출 패턴(120)이라 함은 출광면(102)을 형성하는 가상의 면(평탄면 패턴과 동일한 면)에 양각(돌출) 처리된 패턴을 의미한다.
한편,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 패턴(120)은 돌출된 전체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패턴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돌출 패턴(120)의 단면은 원 또는 타원의 절반 형태인 반원 형상, 반타원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 패턴(120)의 폭은 출광면(10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또한, 상기 돌출 패턴(120)의 외주면에는 평면 영역이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돌출 패턴(120)은, 인접하는 평탄면 패턴(110) 사이의 전체 영역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출광면(102)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교대로 배열된 돌출 영역(120)과 평탄면 영역(110)으로만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평탄면 패턴(110) 중,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패턴(110)은 제1 평탄면 패턴(110-1)과 제2 평탄면 패턴(11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평탄면 패턴(110-1)은, 제1 구간(111)이 입광면(101)과 연결되도록 제1 구간(111), 제2 구간(112), 및 제 3구간(113)이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2 평탄면 패턴(110-2)은, 제3 구간(113)이 입광면(101)과 연결되도록, 제3 구간(113), 제1 구간(111) 및 제2 구간(112)이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각각의 평탄면 패턴(110)은, 제1 내지 제3 구간(111, 112, 113)의 폭(d)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가상의 선(L1, L2, L3)들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구간(111)을 형성하는 가상의 선을 제1 가상선(L1)이라 지칭하고, 제2 구간(112)을 형성하는 가상의 선을 제2 가상선(L2)이라 지칭하며, 제3 구간(113)을 형성하는 가상의 선을 제3 가상선(L3)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가상의 선(L1, L2, L3)은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각각의 가상의 선(L1, L2, L3)이 직선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돌출 패턴(120)의 폭(최대 폭)은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영역(110)의 가상의 선들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패턴(120)의 폭은 제1 평탄면 패턴(110-1)과 제2 평탄면 패턴(110-2)의 가상의 선들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결정된다.
또한, 패턴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 패턴(120)과 평탄면 패턴(110) 사이의 경계부(가상의 선 영역)는 소정 곡률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 처리된다.
또한, 제2 구간(112)을 정의하는 가상의 선(L2)은 제1 방향(y축)에 대하여 1°내지 10°의 각도(θ1)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되고, 제3 구간(113)을 정의하는 가상의 선(L3)은 제1 방향(y축)에 대하여 1°내지 30°의 각도(θ2)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간(112)과 제3 구간(113)은 대략 마름모 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돌출 패턴(120)은 출광면(102)을 향한 투영 영역이 평탄면 패턴(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돌출된다. 또한, 출광면(102)은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출 패턴(120)을 가지며, 인접하는 2개의 돌출 패턴(120)은 그 사이의 평탄면 패턴(110)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인접하는 3개의 돌출 패턴(120)은 중앙의 돌출 패턴(120)을 기준으로, 양 측의 돌출 패턴(120)들은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 패턴(120)은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서, 폭이 증가하면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되고, 폭이 감소하면 높이가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측정한 지점에서, 최대 폭은 약 189.40㎛일 수 있고, 최대 높이는 약 52.36㎛일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측정한 지점에서, 최대 폭은 약 137.11㎛일 수 있고, 최대 높이는 약 39.2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패턴(120)은 압출 공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명부 높이 및 핫 스팟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사진 및 엑셀 데이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광면(101)에는 광원(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배광각을 향상시키고, 확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세레이션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레이션 패턴(130)은 양각부와 음각부가 입광면(101)의 폭 방향으로 양각부가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a), (b)는 출광면이 평탄면으로만 구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한 입광 영역의 촬영 사진이고, 도 11의 (c), (d)는 출광면에 실린드리컬 렌티(cylindrical lenti) 패턴이 형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한 입광 영역의 촬영 사진이며, 도 11의 (e), (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세레이션 미적용)를 이용한 입광 영역의 촬영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a), (b)는 출광면이 평탄면으로만 구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한 입광 영역의 촬영 사진 결과이고, 도 12의 (c), (d)는 출광면에 실린드리컬 렌티 패턴이 형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한 입광 영역의 촬영 사진이며, 도 12의 (e), (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부재(세레이션 적용)를 이용한 입광 영역의 촬영 사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명부 높이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휘도 측정 장치로 정밀 측정하고, 색조 처리된 엑셀 데이터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a), (b)는 출광면이 평탄면으로만 구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한 결과이고, 도 13의 (c), (d)는 출광면에 실린드리컬 렌티 패턴이 형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한 결과이며, 도 13의 (e), (f)는 본 발명의 광학부재를 이용한 결과이다. 또한, 도 13의 (a), (c), (e)는 세레이션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결과이고, 도 13의 (b), (d), (f)는 세레이션이 적용된 경우의 결과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종래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핫 스팟 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100)를 이용한 경우, 종래 도광판에 비하여 휘도가 약 10% 정도 상승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광원
3: 디스플레이 패널
100: 광학부재
110: 평탄면 패턴
120: 돌출 패턴

Claims (7)

  1. 광원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출광면을 가지며,
    출광면은, 상기 입광면에 직교하고,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한 제1 구간과 제1 구간과 연결되고, 폭이 증가하는 제2 구간 및 제2 구간과 연결되고, 폭이 감소하는 제3 구간이 연속하여 정의되는 평탄면 패턴을 가지고,
    출광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평탄면 패턴이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마련되며,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패턴 사이의 영역에서 빛의 출광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 패턴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 패턴은 최대 폭 및 최대 높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달라지도록 마련된 광학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은 돌출된 전체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패턴은, 인접하는 평탄면 패턴 사이의 전체 영역이 돌출되도록 마련된 광학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평탄면 패턴 중,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패턴은 제1 평탄면 패턴과 제2 평탄면 패턴으로 구분되고,
    제1 평탄면 패턴은, 제1 구간이 입광면과 연결되도록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 3구간이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되고,
    제2 평탄면 패턴은, 제3 구간이 입광면과 연결되도록, 제3 구간,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이 차례로 연속하도록 마련된 광학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평탄면 패턴은, 제1 내지 제3 구간의 폭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가상의 선들을 따라 정의되며,
    상기 돌출 패턴의 폭은 인접하는 2개의 평탄면 영역의 가상의 선들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결정되는 광학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제2 구간을 정의하는 가상의 선은 제1 방향에 대하여 1°내지 10°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되고,
    제3 구간을 정의하는 가상의 선은 제1 방향에 대하여 1°내지 30°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되고,
  6.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 패턴은 출광면을 향한 투영 영역이 평탄면 패턴과 중첩되지 않도록 돌출되고,
    상기 돌출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서, 폭이 증가하면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되고, 폭이 감소하면 높이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광학 부재.
  7. 광원;
    입광면이 상기 광원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부재; 및
    광학 부재의 출광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42589A 2016-04-07 2016-04-07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5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89A KR20170115629A (ko) 2016-04-07 2016-04-07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89A KR20170115629A (ko) 2016-04-07 2016-04-07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29A true KR20170115629A (ko) 2017-10-18

Family

ID=6029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589A KR20170115629A (ko) 2016-04-07 2016-04-07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6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5296A1 (de) 2017-09-11 2019-03-14 Mando Corporation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betriebssicheres elektrisches Servolenk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5296A1 (de) 2017-09-11 2019-03-14 Mando Corporation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betriebssicheres elektrisches Servolenk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181B2 (en)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9329328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9223074B2 (en) Light guide plate and area light source device
US8182131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US871480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30242612A1 (en) Light guide panel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US20090021948A1 (en) Optical guide bar, line light source device, surface light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9046630B2 (en) Optical shee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EP2871409B1 (en) Light-emitting unit and display
US7736004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JP2014038306A (ja) 表示装置
TW201636663A (zh) 導光板、面光源裝置及透過型顯示裝置
US11243340B2 (e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unit, and illumination unit
KR10201536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3061611A (ja) 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KR20200037870A (ko) 그레이팅을 포함하는 광 가이드
JP5322630B2 (ja) 照明装置
JP4433724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70115629A (ko)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342429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9251122A (ja)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TWM592982U (zh) 導光板及光源模組
KR20130125961A (ko)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JP2017208287A (ja) 面光源装置、透過型表示装置
JP5939109B2 (ja) 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