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087A -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 Google Patents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087A
KR20170115087A KR1020177025020A KR20177025020A KR20170115087A KR 20170115087 A KR20170115087 A KR 20170115087A KR 1020177025020 A KR1020177025020 A KR 1020177025020A KR 20177025020 A KR20177025020 A KR 20177025020A KR 20170115087 A KR20170115087 A KR 2017011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re
photographing
se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2786B1 (en
Inventor
노부유키 오와리
히로유키 나카야마
시게타카 후쿠자키
겐타 나카오
야스히로 야마구치
요헤이 고지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wo or more types of vehicles, e.g. between motor-cars and cy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는 주행하는 차량의 적어도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차량의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를 구비한다.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es a photographing section that continuously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 traveling vehicle, an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that controls the photographing section, And a tire judging section for judging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concerned.

Description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a vehicle type discrimination device, a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a program.

본원은 2015년 3월 1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5-04842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048427 filed on March 11, 2015,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유료 도로 등의 요금소에는 요금을 수수하기 위한 요금 수수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요금 수수 설비는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요금의 수수 처리를 행하는 요금 자동 수수기와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요금 자동 수수기는 차종 판별 장치에 의해 판별된 차종에 따른 요금의 수수를 행한다.Tolls such as toll roads are equipped with fee-charging facilities for receiving fees. Such a rate-charging facility is provided with a charge automatic water purifier for carrying out a fee-charging process with the user and a vehicle type discriminating device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to be driven. The automatic fare collecting machine receives the fa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discriminated by the vehicle discriminating device.

이러한 요금 수수 설비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차종 판별 장치는 주행하는 차량의 차고나 차장(車長) 등(형상 패턴)을 취득하는 차량 검지기와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디딤판을 갖고, 상기 차량 검지기 및 디딤판을 통해 얻어지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차종의 판별을 행하고 있다.In such a fare-charging facility, for example,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detects a pressure by a vehicle sensor and a tire of a vehicle that obtains a car, a vehicle length, etc. (shape pattern) And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is discriminated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vehicle detector and the tread.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차종 판별 장치는 경사 전방으로부터 촬영된 차량의 촬영 화상 데이터로부터 차량 전체의 실루엣 화상을 생성하고, 당해 실루엣 화상으로부터 당해 차량 전체의 형상과 당해 차량의 타이어 패턴(하나의 차축의 한 쪽에 부착된 타이어가 2개인 더블인지, 하나의 차축의 한 쪽에 부착된 타이어가 1개인 싱글인지)을 검출하여 당해 차량의 차종 판별을 행하고 있다.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generates a silhouette image of the entire vehicle from the captured image data of the vehicle photograph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oblique direction and extracts the shape of the entire vehicle from the silhouette image and the tire pattern Whether the tir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xle is a double tire or a single tire attached to one side of one axle) is detected and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is discriminated.

그런데, 통상의 요금소에 있어서, 요금 자동 수수기는 이용자와의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는 시점에서 이용 요금을 확정해 놓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차종 판별 장치에 의한 차종의 판별 결과를 취득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However, in a normal tollgate, the automatic fare collecting machine needs to confirm the use fee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fare receiving processing with the user. Therefore, at the stage before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reaches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machine, And must obtain the result of discrimination of the vehicle type by the device.

여기서, 차량의 통행 중에 있어서 당해 차량의 타이어가 디딤판을 밟은 회수를 검출함으로써, 당해 차량의 차축 수(vehicle axle number)를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차종 판별을 위한 정보의 하나로서 차축 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대상으로 되는 차량의 모든 타이어가 디딤판을 통과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통상의 요금소에 있어서는, 통행하는 차량의 최대 차장(예를 들어, 18 m)을 고려하여, 차종 판별 장치와 요금 자동 수수기 사이가 적어도 최대 차장 이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Here, the vehicle axle number of the vehicle can be acquired by detecting the number of times the tire of the vehicle is stepped on the tread during traveling of the vehicl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number of axles as one of the information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type, it is necessary that all the tires of the target vehicle pass through the treads at the stage before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reaches the automatic rate meter. Therefore, in the case of a normal tollgat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discriminating device and the automatic fare collecting device is set to be at least the maximum difference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vehicle length (for example, 18 m) of the passing vehicle.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23548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235487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002534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2534

그러나, 예를 들어 구름다리 위 등에 설치되어 있는 요금소에서는 노면에 디딤판을 매설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디딤판을 이용한 차종 판별 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차량의 차고나 차장 등의 정보만으로 차종의 판별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차량이나 차장 등이 유사한 차량에 대해서는, 차종의 판별을 행하기 위한 정보가 부족하고, 차종의 판별을 정확히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However, for example, in a tollgate installed on a bridge or the like, it may be difficult to bury the tread on the road surface. In this case,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a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using the tread plate a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iscriminate the type of vehicle with only the information of the car's garage or the vehicle, but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for discriminating the type of the vehicle, such as a vehicle or a ca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not.

또한, 디딤판을 매설하는 것이 가능한 요금소라도 요금소의 설치 공간의 형편상 차종 판별 장치와 요금 자동 수수기와의 거리를 최대 차장 이상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차종 판별 장치와 요금 자동 수수기와의 거리보다도 차장이 긴 차량은 모든 타이어가 디딤판을 통과하기 전에, 차량의 운전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차종 판별 장치는 타이어 폭, 차축 수, 트레드 폭 등의 정보의 취득이 완료되기 전에 차종의 판별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차장이 긴 차량에 대해서는 차종의 판별을 행하기 위한 정보가 부족하고, 차종의 판별을 정확히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treadmill is capable of burying the tread, there is a case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automatic fare receiving machine at the maximum length of the trailer or the like due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llgate. In this case, the vehicle whose vehicle length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discriminating device and the automatic fare receiver,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reaches the automatic water meter before all the tires pass through the tread. For this reason,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device must discriminate the type of vehicle before the acquisition of the information such as the tire width, the number of axles, the width of the tread, and the like is completed. Therefore,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scrimination of the vehicle type can not be performed accurately.

이와 같이, 차종의 판별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디딤판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곤란한 입지 조건을 갖는 요금소에 있어서는, 차종의 판별을 정확히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tollgate having a location condi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acquir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vehicle from the trea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ype of the vehicle can not be accurately discriminated.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촬영 화상 데이터로부터 차량 전체의 실루엣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 당해 차량의 타이어는 당해 차량의 차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차량의 차체의 그림자에 덮인다. 또한, 야간 등의 촬영 환경하에서는 촬영 화상 데이터 전체가 어두워지고, 타이어와 차체 및 차체의 그림자와의 식별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차종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 타이어 패턴을 취득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차종의 판별을 정확히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when generating a silhouette image of the entire vehicle from the captured image data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tire of the vehicle is covered by the shadow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because it is disposed below the vehicle body. In addition, under the shooting environment such as at night, the entire captured image data becomes dark, and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ire and the shadows of the vehicle body and the vehicle body.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tire pattern, which i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scrimination of the vehicle type, and the vehicle type can not be accurately discriminated.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요금소의 입지 조건에 관계 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차종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의 하나인 타이어의 연설수(連設數)를 촬영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타이어 패턴 판별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installing a tire regardless of the location conditions of a tollgate, A tire pattern discriminating device, a vehicle type discriminating device, a tire pattern discriminating method, and a program.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는 주행하는 차량(A)의 적어도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촬영부(20A)와,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지 정보(D5, D10)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 타이밍으로 촬영된 화상(D7)을 참조 화상(D7a)으로서 추출하고, 당해 참조 화상 내에 설정된 참조 영역(R)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하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차량의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204)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노광 조건 설정부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촬영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pattern determining device comprises: a photographing section (20A) for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ncluding at least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traveling vehicle (A) The image D7 photographed at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timing is extracted as the reference image D7a based o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5 and D10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An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for setting an exposure condition with reference to the area R and a tilt determination unit 205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shooting unit And a determining section 204. [ The photographing section photographs the vehicle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s set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는, 노광 조건 설정부에 있어서, 촬영부가 소정의 촬영 타이밍으로 촬영한 차량의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추출하고, 당해 참조 화상 내에 설정된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한다. 촬영부는 당해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을 촬영한다. 타이어 판정부는 당해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한다. 또한, 차량의 차체란, 타이어 이외의 차량의 부위를 나타낸다. 또한, 타이어의 연설수란, 차량에 한 군데의 부착 위치(하나의 차축에 있어서의 한 쪽의 부착 위치)에 있어서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타이어의 개수를 나타내고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t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timing is extracted as a reference image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the reference condition set in the reference image is referred to, Setting. The photographing section photographs the vehicle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s. The tire judging unit judges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indicates a portion of the vehicle other than the tir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indicates the number of tires installed in succession in one attachment position (one attachment position on one axle) in the vehicle.

통상, 차량을 촬영한 경우, 당해 차량의 타이어는 당해 차량의 차체의 그림자 등에 들어가서, 농도값이 낮은(어두운) 상태로 촬영된다. 또한, 촬영된 화상의 「농도값」이란, 밝을수록 높고 어두울수록 낮은 것으로서 정의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어두운 상태로 촬영된 차량의 화상에서는 당해 차량의 타이어와 당해 차량의 차체 및 차체의 그림자를 식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상술의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에 의하면, 노광 조건 설정부가 참조 영역에 기초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촬영부는 통상 어두운 상태로 촬영되는 차량의 타이어를 밝은 상태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타이어 판정부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의 타이어를 검출하고, 당해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ypically, when a vehicle is photographed, the tire of the vehicle enters the shadow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nd is photograph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centration value is low (dark). The " density value "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defined as the higher the brightness value and lower the darker the value. For this reason, in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in such a dark stat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tire of the vehicle concerned, and the shadow of the vehicle body and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ire pattern determination apparatu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sets the exposure conditions based on the reference area, so that the photographing section can photograph the tire of the vehicle normally photographed in a dark state in a bright state. Thereby, the tire judging section can detect the tire of the vehicle A on the basis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nd judg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concerned.

또한, 상술의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는 차종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의 하나인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종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용 장치를 노면에 매설할 수 없는 또는 설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요금소 등, 입지 조건에 제한이 있으며, 검출용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요금소라도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당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가 판정한 타이어의 연설수에 기초하여 차종 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the above-described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can determin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which is one of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scrimination of the vehicle type. For this reas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location conditions such as a tollgate which can not be buried in the road surface for detect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type or can not sufficiently secure a space for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even at a tollgate which can not be obtained and to perform vehicle type discrimination based on the number of tires to be judged by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concern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노광 조건 설정부는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차량이 촬영된 때에, 당해 차량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참조 영역에 설정하고, 당해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상기 노광 조건을 설정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sets the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t the predetermined timing at the predetermined timing in the reference area, The exposure conditions are set.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노광 조건 설정부는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차량이 촬영된 때에, 당해 차량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를 참조 영역에 설정하고, 당해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sets the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t the predetermined timing when the vehicle is photographed at the predetermined timing, and sets the exposure condition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area.

차량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는 차량을 촬영한 때에 가장 농도값이 낮아지는(어두워지는) 범위이다. 노광 조건 설정부는 당해 범위를 포함하는 참조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농도값이 낮아지는 범위에 맞춘 노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부는 차량의 타이어를 검출 가능한 농도값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타이어 판정부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를 검출하고, 당해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is a range in which the density value is lowest (darkened) when the vehicle is photograph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can set the exposure conditions to the range in which the density value is the lowest by referring to the reference area including the range. As a result, the photographing section can photograph the tire of the vehicle at a detectable density value. Thereby, the tire judging section can detect the tir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nd judg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concern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타이어 판정부는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을 계측하고, 당해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에 기초하여 당해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judging section measures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and judges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based on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타이어 판정부는, 촬영부가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차량의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을 계측한다. 또한, 타이어 판정부는 당해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에 기초하여 당해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tire judging section measures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Further, the tire judging unit judges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based on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타이어 폭은 타이어의 연설수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타이어의 연설수가 「2」인 타이어 폭은 타이어의 연설수가 「1」인 타이어의 약 2배의 타이어 폭을 갖고 있다. 타이어 판정부는 당해 타이어 폭의 특징에 착안함으로써, 검출한 타이어 폭에 기초하여 당해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tire diff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tire with the number of tires being "2" has a tire width of about twice that of the tire with the number of tires being "1". The tire judging section can judg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based on the detected tire width by making an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re width.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는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고, 상기 차량 검지 정보(D10)를 출력하는 차량 검출부(201)를 추가로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pattern determining device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into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on the basis of the image, and adds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for outputting the vehicle detecting information D10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차량 검출부는, 촬영부가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범위에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여 차량 검지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차량이 요금소에 진입하기 전이라도 차량 검출부에 의해 차량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진입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이 요금소에 진입하기 전에, 당해 차량의 타이어를 검출 가능한 노광 조건을 설정하고, 당해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촬영부가 촬영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는 이와 같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종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용 장치를 설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요금소라도 차량의 이용 요금을 확정하기 전에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가 판정한 타이어의 연설수에 기초하여 차종 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nd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Therefore, even before the vehicle enters the tollgate, it can be detect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by the vehicle detecting unit. Thereby, before the vehicle enters the tollgate, an exposure condi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tire of the vehicle can be set, and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can be acquired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The tire pattern judging device can judg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Therefore, even if the fare is insufficient for securing sufficient space for installing the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discriminating the type of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vehicle type based on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determined by the tire- It is possible to perform discrimin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는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차량 검지 정보(D5)를 출력하는 차량 검지기(10A)를 추가로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vehicle detector 10A that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5.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차량 검지기는 소정의 촬영 범위에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여 차량 검지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촬영부는 차량 검지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범위의 촬영을 행하면 좋고, 차량 검지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는 노광 조건 설정부에 의한 노광 조건의 설정이 불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노광 조건 설정부의 처리 및 촬영부의 제어를 간이화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vehicle detector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Thereby, the photographing section may perform photographing in a predetermined range after receiving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exposure conditions b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until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refore, the processing of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and the control of the photographing unit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차종 판별 장치는 상술의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와 상기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에 의해 판정된 상기 차량의 상기 타이어의 연설수에 기초하여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부(10C)를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type discrimination apparatus comprises: a vehicle type discrimination unit discriminating a vehicle type based on the tire pattern discrimination apparatus described in any on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tire pattern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a portion 10C.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주행하는 차량의 적어도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촬영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은,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 타이밍으로 촬영된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추출하고, 당해 참조 화상 내에 설정된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하는 노광 조건 설정 단계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상기 노광 조건 설정 단계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차량의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 단계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 number of tires of a vehicle using a photographing section that continuously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ncluding at leas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 traveling vehicle, An image picked up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t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timing is extracted as a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vehicle, An exposure step of photographing the vehicle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set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tep; and a step of photographing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tir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프로그램은 주행하는 차량의 적어도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촬영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 타이밍으로 촬영된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추출하고, 당해 참조 화상 내에 설정된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하는 노광 조건 설정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차량의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노광 조건 설정부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촬영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of a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which includes a photographing section that continuously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ncluding at leas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 traveling vehicle, Based on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vehicl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t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timing is extracted as a reference image, exposure conditions setting for setting an exposure condition with reference to a reference area set in the reference image And a photographing section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wherein the photographing section functions as a tire judging section for judging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

상술의 타이어 패턴 판별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요금소의 입지 조건에 관계 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차종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의 하나인 타이어의 연설수를 촬영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취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ire pattern discriminating apparatus,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tire pattern discriminating method and program,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tire pattern irrespective of the location conditions of the tollgate and to mak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Can be acquired without receiving the licen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촬영부가 촬영한 화상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촬영부가 촬영한 화상의 참조 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노광 조정 전의 참조 영역을 나타내는 예, 및 노광 조정 후의 참조 영역을 나타내는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패턴의 판정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harge-through water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a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n image taken by the imaging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ference area of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ing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showing a reference area before exposure adjustment and an example showing a reference area after exposure adjustment.
6 is a flow chart showing a determination procedure of the tire patte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제1 실시형태>&Lt; First Embodiment >

(전체 구성)(Total configuration)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ge-metering equipment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1)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charge-metering facility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금 수수 설비(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료 도로의 출구 요금소에 설치되어 유료 도로의 이용자인 차량(A)의 운전자로부터 이용 요금을 수수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fare-giving / receiving facility 1 is installed at a tollgate at the exit of the toll road, and receives the toll from the driver of the vehicle A who is the user of the toll roa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금 수수 설비(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종 판별 장치(10)와, 요금 자동 수수기(11)와, 발진 제어기(13)와, 발진 검지기(14)를 구비하고 있다.1, the bill dispens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a charge automatic water purifier 11, an oscillation controller 13, an oscillation detector 14, .

요금 수수 설비(1)는 차선(L)의 양측부에 배치된 아일랜드(island)(I) 상에 설치되어 차선(L) 상에 정지한 차량(A)과의 사이에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기 위한 설비이다.The fare collecting facility 1 carries out the fare handling process with the vehicle A installed on the island I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lane L and stopped on the lane L .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차선(L)을 따르는 방향을 차선 방향(도 1에 있어서의 X 방향)으로 부른다. 또한, 차선(L) 상에서 차량(A)이 나아가는 방향 측(도 1에 있어서의 +X 측)을 차선 방향 안쪽으로 부르고, 차량(A)이 나아가는 방향 측과는 반대 측(도 1에 있어서의 -X 측)을 차선 방향 앞쪽으로 부른다. 또한, 차선(L)의 차선 방향과 수평면 상에 있어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도 1에 있어서의 Y 방향)으로 부르고, 차량(A)의 차고 방향(노면에 대해 연직인 방향)을 높이 방향(도 1에 있어서의 Z 방향)으로 부른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along the lane L is referred to as a lane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1). 1) on the side of the lane L toward the inside of the lane, and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vehicle A is advanced (the sid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vehicle A moves -X side) to the front of the lan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ane of the lane L and the horizontal plane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the Y direction in Fig. 1),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Direction (Z direction in Fig. 1).

차종 판별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선 방향 앞쪽(도 1에 있어서의 -X 측)에 설치되어 요금소의 차선(L)에 진입하는 차량(A)의 차량 특징을 검출하고, 당해 차량(A)의 차종 구분(D1)(도 3)을 판별하기 위한 장치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종 판별 장치(10)는 차량 검지기(10A)와, 번호판 인식부(10B)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detects the vehicle characteristic of the vehicle A that is provided in the lane-ahead direction (-X side in Fig. 1) and enters the lane L of the tollgate , And a device group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type classification D1 (FIG. 3) of the vehicle A in ques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is provided with the vehicle detector 10A, license plate recognizing section 10B, and tire pattern judging device 20.

여기서, 차량(A)의 차종 구분(D1)이란, 유료 도로의 요금을 결정하기 위한 차종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는, 예를 들어 「경자동차 등」, 「보통차」, 「중형차」, 「대형차」, 「특대차」의 다섯 가지 구분을 판별한다. 또한, 차량(A)의 차량 특징이란, 차선(L)에 진입하는 차량(A) 고유의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 특징은 차량(A)의 번호판 정보(차량 등록 정보 및 번호판의 크기)나, 타이어의 연설수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타이어의 연설수란, 차량(A)의 한 군데의 부착 위치(하나의 차축에 있어서의 한 쪽의 부착 위치)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타이어의 개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부착 위치에 1개의 타이어(T)가 부착되어 있는(연설수가 「1」인) 싱글 타이어와 하나의 부착 위치에 2개의 타이어가 부착되어 있는(연설수가 「2」인) 더블 타이어가 존재한다.Here, the vehicle type classification D1 of the vehicle A indicates the vehicle type for determining the charge of the toll road.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example, Ordinary car "," medium-sized car "," large car ", and" oversized car ". The vehicle characteristic of the vehicle A is information inherent to the vehicle A entering the lane 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characteristics represent information such as license plate information (the size of the vehicl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and the lik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indicates the number of tires installed in succession to the attachment position (one attachment position on one axle) of one vehicle A.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ingle tire (one having the number of speeches "1") attached with one tire T at one attachment position and two tires attached at one attachment position (the number of speeches "2" There are double tires.

차종 판별 장치(10)는 이들 차량 특징에 기초하여 차종 구분(D1)의 판별을 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차종 판별 장치(10)가 구비하는 차량 검지기(10A), 번호판 인식부(10B) 및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is a device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D1 on the basis of these vehicle characteristics.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vehicle detector 10A,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unit 10B, and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apparatus 20 provided in the vehicle discrimination apparatus 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요금 자동 수수기(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종 판별 장치(10)보다도 차선 방향 안쪽(도 1에 있어서의 +X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금 자동 수수기(1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선(L)의 폭 방향 한쪽 편(도 1에 있어서의 -Y 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선(L)의 폭 방향 다른 쪽 편(도 1에 있어서의 +Y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fare collecting machine 11 is provided inside the lane marking direction (on the + X side in Fig. 1) of the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tomatic water handwheel 11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ne L (-Y side in Fig. 1),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th L Direction (the + Y side in Fig. 1).

요금 자동 수수기(11)는 차량(A)의 차종 구분(D1)과 유료 도로의 주행 거리에 따른 이용 요금을 차량(A)의 운전자에게 과금한다.The automatic fare collecting device 11 charges the driver of the vehicle A with the vehicle type classification D1 of the vehicle A and the usage fee corresponding to the mileage of the toll road.

발진 제어기(13)는 차선(L)에 진입한 차량(A)의 이용 요금의 수수가 완료될 때까지 차량(A)을 발진시키지 않도록 하는 등의 목적으로 게이트의 개방 및 폐쇄를 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진 제어기(13)는 차선(L)에 있어서의 요금 자동 수수기(11)보다도 차선 방향 안쪽(도 1에 있어서의 +X 측)에 설치되어 있다. 발진 제어기(13)는 요금 자동 수수기(11)로부터 개방 동작 지시 신호가 입력된 때에 게이트를 열고, 차량(A)에 대해 발진을 허가한다. 마찬가지로, 발진 제어기(13)는 요금 자동 수수기(11)로부터 폐쇄 동작 지시 신호가 입력된 때에 게이트를 닫는다.The oscillation controller 13 opens and closes the gat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vehicle A from oscillating until the use of the vehicle A entering the lane L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 the oscillation controller 13 is provided inside the lane (the + X side in Fig. 1) in the lane of the lane L as compared with the automatic luggage cart 11 in the lane L. The oscillation controller 13 opens the gate when the opening operation instruction signal is inputted from the automatic water purifier 11 and allows the vehicle A to oscillate. Likewise, the oscillation controller 13 closes the gate when the closing operation instruction signal is inputted from the charge automatic water purifier 11.

발진 검지기(14)는 차선(L)에 있어서의 발진 제어기(13)보다도 차선 방향 안쪽(도 1에 있어서의 +X 측)에 설치되어, 차량(A)이 차선(L)으로부터 퇴출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발진 검지기(14)의 검출 신호는 요금 자동 수수기(11)로 출력된다. 요금 자동 수수기(11)는 발진 검지기(14)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면, 후속의 수수 처리 완료 차량의 유무 등을 판단하고, 게이트를 닫기 위해 발진 제어기(13)에 폐쇄 동작 지시 신호를 출력할지 게이트를 개방한 채로 할지 등의 제어를 행한다.The oscillation detector 14 is provided inside the lane of the lane L in the lane direction of the lane controller 13 (on the + X side in Fig. 1)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A has left the lane L .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scillation detector 14 is output to the automatic rate counter 11. When receiving the input of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scillation detector 14, the automatic rate meter 11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sequent processed vehicle, etc., and sends a closing operation instruction signal Or whether to leave the gate open or the like.

(차종 판별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vehicle discrimination device)

다음에, 차종 판별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struction of the vehicle discrimin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의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of a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종 판별 장치(10)는 차량 검지기(10A)와, 번호판 인식부(10B)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종 판별 장치(10)는, 이들 장치가 검출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A)의 차종 구분(D1)을 판별하기 위한 차종 판별부(10C)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2,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includes a vehicle detector 10A, a license plate recognizing section 10B, and a tire pattern judging device 20. The vehicle-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apparatus 10 further includes a vehicl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D1 of the vehicle A based on signals detected by these devices.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종 판별부(10C)가 차종 판별 장치(10)(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검지기(10A))에 내장되어 있는 양태로 설명하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종 판별부(10C)가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차종 판별 장치(10) 이외의 장치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Although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is described as being built in the vehicle discrimination apparatus 10 (for example, the vehicle locator 10A 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may be built in an apparatus other than the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connected to the network.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검지기(10A)는 요금 자동 수수기(11)보다도 차선 방향 앞쪽(도 2에 있어서의 -X 측)에 있어서, 차선(L)의 양측에 투수광(投受光) 1쌍 설치되어 있다. 차량 검지기(10A)는 높이 방향(도 2에 있어서의 Z 방향)으로 배열된 미도시의 수광 센서에 의해, 차량(A)의 차선(L)으로의 진입에 따른 검출 신호를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한다. 차량 검지기(10A)는 차선(L)에 진입한 차량(A)이 수광 센서에 투광되는 빛을 차단함으로써, 차량(A) 1대마다의 진입 및 통과를 검출 가능한 검출 신호를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검지기(10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A)이 차선(L)에 진입한 것을 검출 가능한 검출 신호를 차량 진입 정보(D5)(차량 검지 정보)로서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하고, 차량(A)이 차량 검지기(10A)를 통과한 것을 검출 가능한 검출 신호를 차량 통과 정보(D6)로서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detector 10A is provided with light-receiving light on both sides of the lane L on the lane-ahead side (-X side in Fig. 2) One pair is installed. The vehicle detector 10A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entry into the lane L of the vehicle A by means of a light receiving sensor not shown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Z direction in Fig. 2) . The vehicle detector 10A cuts off the light projected onto the light receiving sensor by the vehicle A that has entered the lane L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capable of detecting the entry and the passing of each vehicle A to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detector 10A detects the vehicle arrival information D5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as a detection signal capable of detecting that the vehicle A has entered the lane L,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capable of detecting that the vehicle A has passed through the vehicle detector 10A as vehicle passing information D6 to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호판 인식부(10B)는 차량 검지기(10A)보다도 차선 방향 안쪽(도 2에 있어서의 +X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번호판 인식부(10B)는 차량 검지기(10A)에 의한 차량(A)의 진입 검지에 따라 차량(A)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차량(A)의 전면 화상을 촬영하고, 차량(A)의 번호판 정보(차량 등록 정보 및 번호판의 크기)를 취득한다. 번호판 인식부(10B)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한 번호판 정보를 번호판 정보(D2)로서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2, the license plate recognizing section 10B is installed in the lane-wise direction (+ X direction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vehicle detector 10A.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unit 10B photographs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A including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entry of the vehicle A by the vehicle detector 10A, (Vehicl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license plate).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unit 10B outputs the license plate information thus obtained to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unit 10C as license plate information D2, as shown in Fig.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는 요금소의 차선(L)에 진입하는 차량(A)의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하고, 당해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차종 판별부(10C)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는 촬영부(20A)와, 주 제어부(20B)와, 기억부(20C)를 구비하고 있다.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determines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of the vehicle A entering the lane L of the tollgate and determines the number D3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And outputs it to the section 10C. 2 and 3,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includes a photographing section 20A, a main control section 20B, and a storage section 20C.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부(20A)는 요금 자동 수수기(11)와는 차선(L)을 협지하여 반대 측의 아일랜드(I)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부(20A)는 차선(L)의 폭 방향 다른 쪽 편(도 2에 있어서의 +Y 측)의 아일랜드(I) 상에 설치되어 있지만, 요금 수수 설비(1)의 다른 장치의 배치에 따라, 폭 방향 한쪽 편(도 2에 있어서의 -Y 측)의 아일랜드(I) 상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As shown in Fig. 2,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is provided on the opposite island I with the lane L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is provided on the island I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ne L (the + Y side in Fig. 2) But may be provided on the island I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Y side in Fig. 2)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other apparatuses.

또한, 촬영부(20A)는 차량(A)이 노면 상을 주행하고 있을 때에, 차량 검지기(10A)보다도 차선 방향 앞쪽(도 2에 있어서의 -X 측)에 위치하는 당해 차량(A)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를 소정의 촬영 범위로서 설정한다. 촬영부(20A)는 당해 소정의 촬영 범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영부(20A)는 높이 방향(도 2에 있어서의 Z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최저 지상고(차량(A)의 설치 면과 차량(A)의 중앙 부분의 최하부와의 거리)의 약 50%의 높이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촬영부(20A)는 차선 방향에 대해 약 45 도 경사하여 차선 방향 앞쪽(도 2에 있어서의 -X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20A detect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A of the vehicle A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lane direction (-X side in Fig. 2) of the vehicle A with respect to the vehicle detector 10A, Is set a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is provided so as to photograph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is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he Z direction in Fig. 2) is the lowest ground clear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vehicle A and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A) About 50% of the height of the guide rail. Further,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at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ane direction and facing the lane-ahead direction (-X side in Fig. 2).

촬영부(20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촬영 범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촬영한 화상(D7)을 주 제어부(20B)에 출력한다.As shown in Fig. 3,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outputs, to the main control section 20B, an image D7 obtain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t regular intervals.

주 제어부(20B)는, 촬영부(20A)가 촬영한 화상(D7)에 기초하여, 차량(A)의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한다.The main control unit 20B determines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of the vehicle A based on the image D7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0A.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 제어부(20B)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부(20A))에 내장되어 있는 양태로 설명하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제어부(20B)가 차종 판별 장치(10)의 다른 장치(예를 들어, 차량 검지기(10A))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고,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차종 판별 장치(10) 이외의 장치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20B is described as being built in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20A as shown in Fig. 2), but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20B may be incorporated in another device (for example, the vehicle detector 10A) of the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Or may be built in an apparatus other than the apparatus 10.

기억부(20C)는 타이어 패턴의 판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기억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0C)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0C)를 네트워크로 접속된 외부 서버 등에 설치해도 좋다.The storage unit 20C 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for making determination of a tire patter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unit 20C is provided in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storage unit 20C may be provided in an external server connected via a network.

차종 판별부(10C)는 차량 검지기(10A)로부터 취득한 차량 진입 정보(D5) 및 차량 통과 정보(D6)와, 번호판 인식부(10B)로부터 취득한 번호판 정보(D2)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가 판정한 타이어(T)의 연설수(D3)에 기초하여 차량(A)의 차종 구분(D1)을 판별한다.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judges that the vehicle entering information D5 and the vehicle passing information D6 acquired from the vehicle detector 10A and the license plate information D2 obtained from the license plate recognizing section 10B and the license information (D) of the vehicle (A) based on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determined by the driver

(차종 판별 장치의 기능)(Function of vehicle discrimination device)

다음에, 차종 판별 장치(10)의 기능에 대하여 도 3부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discrimination apparatus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촬영부(20A)가 촬영한 화상(D7)의 예이다.4 is an example of an image D7 taken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촬영부(20A)가 촬영한 화상(D7)의 참조 영역(R)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노광 조정 전의 참조 영역(R)을 나타내는 예, 및 노광 조정 후의 참조 영역(R)을 나타내는 예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ference area R of an image D7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of a reference area R before exposure adjustment, This is an example showing the reference area R after exposure adjustment.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종 판별 장치(10)는 차량 검지기(10A)와, 번호판 인식부(10B)와, 차종 판별부(10C)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3,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includes a vehicle detector 10A, a license plate recognition unit 10B, a vehicle type discriminating unit 10C, and a tire pattern discriminating apparatus 20. [

차량 검지기(10A)는 차량(A)이 차선(L)에 진입한 것을 검출 가능한 차량 진입 정보(D5)와 차량(A)이 차량 검지기(10A)를 통과한 것을 검출 가능한 차량 통과 정보(D6)를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한다.The vehicle detector 10A detects the vehicle entering information D5 capable of detecting that the vehicle A has entered the lane L and the vehicle passing information D6 capable of detecting that the vehicle A has passed the vehicle detector 10A. To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또한, 번호판 인식부(10B)는 취득한 번호판 정보(D2)를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한다.Further,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unit 10B outputs the obtained license plate information D2 to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unit 10C.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는 촬영부(20A)와, 주 제어부(20B)와, 기억부(20C)를 구비하고 있다.3,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apparatus 20 includes a photographing section 20A, a main control section 20B, and a storage section 20C.

또한, 주 제어부(20B)는 차량 검출부(201)와, 촬영 제어부(202)와, 타이어 검출부(203)와, 타이어 판정부(204)를 갖고 있다.The main control unit 20B has a vehicle detection unit 201, an image pickup control unit 202, a tire detection unit 203, and a tire determination unit 204.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부(20A)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촬영한 화상(D7)을 출력한다. 차량 검출부(201)는 촬영부(20A)로부터 수신한, 다른 시각에 촬영된 복수의 화상(D7) 각각에 대해, 차량(A)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 검출부(201)는 이미 알고 있는 배경차분법(背景差分法)이나 프레임간 차분법 등을 이용하여, 어떤 시각(t)에 촬영된 화상(D7)과 당해 화상(D7)에 가장 가까운 과거인 시각(t-1)에 촬영된 화상(D7)과의 차분을 취하여, 변화가 있었던 영역을 검출한다. 차량 검출부(201)는 변화가 있었던 영역을 이동 물체라고 판단한다. 또한, 차량 검출부(201)는, 각 시각에 촬영된 화상(D7)에 있어서, 당해 이동 물체가 화상(D7)의 어느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함으로써, 당해 이동 물체의 이동량(이동 방향 및 속도)을 검출한다. 차량 검출부(201)는 연속하는 화상(D7)에 있어서 소정의 이동량을 갖는 이동 물체(예를 들어, 차선 방향 앞쪽으로부터 차선 방향 안쪽을 향해 이동하는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 당해 이동 물체는 차량(A)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연속하는 화상(D7)에 있어서, 소정의 이동량과는 다른 이동량을 갖는 이동 물체(예를 들어, 차선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물체)가 검출된 경우, 당해 이동 물체는 차량(A)이 아니라고 판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outputs an image D7 obtain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t regular intervals.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 D7 photographed at different time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For example,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may detect the image D7 photographed at a certain time t and the image D7 by using a known background subtraction method or an interframe difference method, And the image D7 photographed at the time (t-1) which is the nearest past, and detects the area where the change has occurred.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rmines that the area where the change has occurred is a moving object.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also detects the moving amount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moving object by detecting in which area of the image D7 the moving object is present in the image D7 photographed at each time . When the moving object (for example, moving object moving in the lane-directed direction from the front in the lane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moving amount is detected in the continuous image D7,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cts the moving object (A). When a moving object (for example, a moving object moving in the lane-width direction) having a moving amount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moving amount is detected in the continuous image D7, It is not.

또한, 차량 검출부(201)가 검출하는 이동 물체는 차량(A)의 차체나 타이어(T), 차체의 그림자 등이라도 좋다.The moving object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may be a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a tire T, a shadow of the vehicle body, or the like.

차량 검출부(20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A)이라고 판단한 이동 물체가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참조 영역(R)은 화상(D7)의 일정한 영역이며, 예를 들어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진입한 때에, 당해 차량(A)의 차체의 아래쪽이 포함되는 범위이다.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oving object determined to be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as shown in Fig. The reference area R is a constant area of the image D7 and is a range including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when the vehicle A enter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차량 검출부(201)는 차량(A)이라고 판단한 이동 물체가 당해 참조 영역(R)의 일정한 영역에 포함된 것을 검출한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제어부(202) 및 타이어 검출부(203)로 차량 검지 정보(D10)를 출력한다.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cts the moving object determined to be the vehicle A as being includ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reference area R as shown in Fig.3 and controls 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and 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And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또한, 차량 검출부(201)는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있어서 이동 물체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차량(A)이 통과했다고 판단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제어부(202) 및 타이어 검출부(203)로 차량 퇴출 정보(D11)를 출력한다.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rmines that the vehicle A has passed when the moving object has not been detected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And the tire detection unit 203 outputs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또한, 차량 검출부(201)는 동일한 이동 물체가 소정의 범위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이동 물체는 차량(A)이라고 판단해도 좋다. 이때, 차량 검출부(201)는 당해 차량(A)을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있어서 검출한 경우, 촬영 제어부(202) 및 타이어 검출부(203)로 차량 검지 정보(D10)를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Further, when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cts that the same moving object is moving at a speed in a predetermined range, the moving object may be determined as the vehicle A 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detects the vehicle A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is outputted to 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and the tire detection section 203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 검출부(201)는 배경차분법이나 프레임간 차분법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차량(A)의 검출이 가능하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which the background difference method or the inter-frame difference method is used. However, other methods may be used as long as the vehicle A can be detec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촬영 범위 중 고정 범위를 참조 영역(R)으로서 설정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등의 조작에 의해 참조 영역(R)을 설정해도 좋다. 또한, 차량 검출부(201)가 화상(D7)에 차량(A)이 포함된다고 판단한 때에, 당해 화상(D7)의 차량(A)의 아래쪽(당해 차량(A)과 판단된 영역 중 가장 농도값이 낮은(어두운) 영역)을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당해 차량(A)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를 참조 영역(R)으로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차량 검출부(201)는,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 검지 정보(D10) 및 차량 퇴출 정보(D11)를 출력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fixed range of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s set as the reference area 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eference area R may be set by an operation of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When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judges that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the image D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ensity value of the image D7 of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A (Dark) area) of the vehicle A, and the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A may be set as the reference area R. In this case,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and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촬영 제어부(202)는 촬영부(20A)의 제어를 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제어부(202)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 제어부(202)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에 의해 설정된 노광 조건(D4)에 기초하여 촬영을 행하도록, 촬영부(20A)에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노광 조건(D4)이란, 촬영부(20A)의 조리개 값 및 노광 시간(셔터 스피드)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노광 조건(D4)으로서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 및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의 두 가지 노광 조건(D4)을 설정한다. 또한, 촬영부(20A)는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에 기초하여 촬영하는 제1 촬영과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촬영하는 제2 촬영을 행한다.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photographing unit 20A. As shown in Fig. 3, 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has an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205.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outputs a command to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so as to perform photographing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 set b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205. [ The exposure condition D4 indicates the aperture value of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and the exposure time (shutter spe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wo exposure conditions D4 for the vehicle detection exposure condition D4a and the tire detection exposure condition D4b as the exposure condition D4.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performs a second photographing operation based on the first photographing operation for photographing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and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차량 검출부(201)로부터 차량 검지 정보(D10)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차량 검출부(201)로부터 차량 퇴출 정보(D11)를 수신한 경우,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을 설정한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for the vehicle detection condition D10 whe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is not received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or when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D4a) is set.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소정의 촬영 범위에 차량(A)이 진입한 때에, 차량(A)과 배경을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는 화상이 촬영 가능하도록, 소정의 촬영 범위 전체의 농도값에 따르는 조리개 값 및 노광 시간을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으로서 설정한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set the density value of the whole of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to the photographing range so that the image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the background from the vehicle A can be photographed when the vehicle A enters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The following aperture value and exposure time are set as exposure conditions D4a for vehicle detection.

구체적으로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이하와 같이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을 설정한다.Specificall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as follows.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촬영부(20A)로부터 수신한 각 시각에 있어서의 화상(D7)의 농도 히스토그램(각 농도값에 대해, 동일한 농도값을 갖는 화소수(출현 빈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을 생성하여 화상(D7)의 농도값을 계측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시각에 취득한 화상(D7)의 농도 히스토그램을 참조하여, 화소수의 분포에 치우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histogram of the image D7 at each time point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0A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pixels (appearance frequency) having the same density value for each density value) And the density value of the image D7 is measur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refers to the density histogram of the image D7 acquired at a time when the vehicle A is not present in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bias in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pixels.

예를 들어,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낮은(어두운) 농도값을 갖는 화소수가 소정 값보다도 많은 경우는, 화상(D7)의 농도값이 낮고 노광량이 부족하다고 판단한다. 이때,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화상(D7)이 촬영된 때의 노광 조건(D4)에 기초하여 당해 화상(D7)의 노광량을 산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화상(D7)보다도 농도값이 높은(밝은), 즉 노광량이 큰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조리개 값을 작게 한 값, 또는 노광 시간을 길게 한 값을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으로서 설정한다.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low (dark) density value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determines that the density value of the image D7 is low and the exposure amount is insufficient. At this time,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calculates the exposure amount of the image D7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 when the image D7 is photograph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a value obtained by decreasing the aperture value or a value obtained by lengthening the exposure time so as to capture an image having a higher density (brighter) than the image D7, that is, Is set as the exposure condition D4a.

한편, 높은(밝은) 농도값을 갖는 화소수가 소정 값보다도 많은 경우는, 화상(D7)의 농도값이 높고 노광량이 과도하다고 판단한다. 이때,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화상(D7)이 촬영된 때의 노광 조건(D4)에 기초하여, 당해 화상(D7)의 노광량을 산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화상(D7)보다도 농도값이 낮은(어두운), 즉 노광량이 적은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조리개 값을 크게 한 값, 또는 노광 시간을 짧게 한 값을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으로서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high (bright) density valu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density value of the image D7 is high and the exposure amount is excessive. At this time,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calculates the exposure amount of the image D7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 when the image D7 is photograph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a value obtained by increasing the aperture value or a value obtained by shortening the exposure time so as to capture an image having a lower (darker) darkness value than the image D7, Is set as the exposure condition D4a.

또한,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화소수의 치우침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당해 화상(D7)과 같은 농도값, 즉 같은 노광량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은 당해 화상(D7)을 촬영한 때와 같은 값을 설정한다.When the pixel number deviation is not detect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to the same value as that of the image D7, that is, The same value as when the image D7 is photographed is set.

이와 같이,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시각에 취득된 각 화상(D7)의 농도값 및 노광량을 참조함으로써, 당해 소정의 촬영 범위의 정경(情景)에 알맞은 노광 조건(D4a)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날씨나 시각, 주변 상황(건축물의 그림자나 조명의 유무 등) 등의 촬영 환경이 달라도, 당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차량(A)이 진입한 경우, 당해 차량(A)을 촬영한 화상(D7)에 기초하여 차량(A)을 검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Thu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refers to the density value and the exposure amount of each image D7 acquired at a time when the vehicle A is not present in the predetermined shooting range, (Exposure condition) D4a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cene (scene). Thereby, when the vehicle A enters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even if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such as the weather, the time of day, the surrounding situation (presence or absence of a shadow of the building, etc.) is different, It is easy to detect the vehicle A based on the vehicle speed D7.

촬영 제어부(202)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가 설정한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을 촬영부(20A)로 출력한다. 촬영부(20A)는 당해 노광 조건(D4a)을 수신하면, 다음번부터 당해 노광 조건(D4a)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범위를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outputs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set b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205 to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When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receives the exposure condition D4a,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on the basis of the exposure condition D4a next time.

또한,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차량 검출부(201)로부터 차량 검지 정보(D10)를 수신한 경우,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한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whe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차량 검출부(201)가 차량 검지 정보(D10)를 출력한 시각에 촬영된 화상(D7)을 참조 화상(D7a)으로서 추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참조 화상(D7a) 이후에 촬영되는 화상(D7)의 참조 영역(R)의 농도값 및 노광량에 따른 조리개 값 및 노광 시간을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차량(A)의 타이어(T)가 포함된 경우는 당해 타이어(T)의 트레드 패턴이 검출 가능해지도록,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extracts the photographed image D7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as the reference image D7a.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aperture value and the exposure time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amount and the density value of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photographed after the reference image D7a a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Setting. When the tire T of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is set so that the tread pattern of the tire T can be detected. .

구체적으로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이하와 같이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한다.Specificall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as follows.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농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당해 참조 영역(R)의 농도값을 계측한다. 또한, 농도 히스토그램 횡축은 농도값을 나타내고, 종축은 화소수를 나타내고 있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generates a concentration histogram of the reference region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and measur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reference region R as shown in Fig. The horizontal axis of the concentration histogram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valu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pixels.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조 화상(D7a)이 촬영된 타이밍에서는 노광 조건(D4)으로서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참조 영역(R)에 포함되는 차량(A)의 차체의 아래쪽은 차량(A)의 차체의 그림자 등에 의해 농도값이 낮고(어둡고) 노광량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차량(A)의 타이어(T)와, 차량(A)의 차체와, 당해 차체의 그림자와의 경계의 검출이 곤란하다. 이때, 당해 참조 영역(R)의 농도 히스토그램을 참조하면, 낮은 농도값을 갖는 화소수가 많은 상태로 되어 있다.5A, since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is set as the exposure condition D4 at the timing at which the reference image D7a is photographed,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is low in darkness and insufficient in exposure amount due to the shadow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or the lik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boundary between the tire T of the vehicle A,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and the shadow of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referring to the concentration histogram of the reference region R,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low concentration value is large.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농도 히스토그램 중 화소수가 많은 농도값의 범위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참조 영역(R)에 포함되는 차량(A)의 면적 중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20%)에 상당하는 화소수를 포함하는 범위를 화소수가 많은 농도값의 범위로서 검출한다. 또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은 농도값이 낮은 영역에, 화소수가 많은 농도값의 범위가 치우쳐서 존재하고 있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detects a range of density values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in the density histogram of the reference region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a range including the number of pixel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20%) of the area of the vehicle A included in the reference area R As a range of concentration values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5A, the reference area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exists in a region where the concentration value is low and a range of concentration values in which the number of pixels is large.

다음에,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참조 화상(D7a)이 촬영된 때의 노광 조건(D4)에 기초하여, 당해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노광량을 산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촬영부(20A)가 차량(A)의 타이어(T)를 검출 가능한 화상(D7)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당해 참조 영역(R)보다도 농도값을 높게(밝게), 즉 노광량을 크게 한 새로운 노광량을 산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새로운 노광량을 충족시키도록 조리개 값을 작게 한 값, 또는 노광 시간을 길게 한 값을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으로서 설정한다.Nex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calculates the exposure amount of the reference area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 when the reference image D7a is photograph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set the exposure value to be higher (brighter) than the reference area R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20A can photograph the image D7 capable of detecting the tire T of the vehicle A. [ , I.e., a new exposure amount in which the exposure amount is increased is calculat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a value obtained by decreasing the aperture value so as to satisfy the new exposure amount or a value obtained by lengthening the exposure time a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구체적으로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화소수가 많은 농도값의 범위 중 농도값이 낮은 영역(예를 들어, 전체의 농도값의 범위 0∼20%)에 포함되는 화소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영역보다도 농도값이 높은 영역(예를 들어, 전체의 농도값의 범위 0∼50%)을 포함하는 범위에 균일하게 분산하도록, 새로운 노광량을 산출한다.More specificall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a mode in which pixels included in a region having a low concentration value (for example, 0 to 20% of the entire concentration value) A new exposure amount is calculated so as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a range including a region having a higher concentration value than that of the region (for example, a range of 0 to 50% of the total concentration value) as shown in Fig.

또한,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참조 화상(D7a)에 있어서의 차량(A)의 위치나 이동량 등에 따라, 조리개 값 및 노광 시간을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may adjust the aperture value and the exposure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movement amount, and the like of the vehicle A in the reference image D7a.

촬영 제어부(202)는 이와 같이 노광 조건 설정부(205)가 설정한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촬영부(20A)로 출력한다. 촬영부(20A)는 당해 노광 조건(D4b)을 수신하면, 다음번부터 당해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범위를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202 output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set b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the photographing unit 20A. When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receives the exposure condition D4b,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take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on the basis of the exposure condition D4b next time.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촬영된 화상(D7)의 참조 영역(R)은 도 5a에 나타내는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과 비교하여, 농도값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당해 화상(D7)의 참조 영역(R)의 농도 히스토그램은 도 5a에 나타내는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농도 히스토그램과 비교하여, 각 농도값에 출현 빈도가 분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당해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촬영된 당해 화상(D7)에 있어서는, 차량(A)의 차체와 차량(A)의 타이어(T)를 식별하고, 또한 당해 타이어(T)의 트레드 패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reference area R of the photographed image D7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area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shown in Fig. The concentration value is increasing. The density histogram of the reference region R of the image D7 shown in Fig. 5B is compared with the density histogram of the reference region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shown in Fig. 5A, And is in a dispersed state. Therefore, in the image D7 photographed on the basis of the exposure condition D4b,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and the tire T of the vehicle A are identified, and the tread of the tire T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the pattern.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이와 같이 차량(A)이 검출될 때마다 당해 차량(A)에 적합한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한다. 이 때문에, 날씨나 시각, 주변 상황(건축물의 그림자나 조명의 유무 등) 등의 촬영 환경이 달라도 당해 촬영 환경에 대응하여 차량(A)의 타이어(T)를 검출 가능한 노광 조건(D4b)을 설정할 수 있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suitable for the vehicle A each time the vehicle A is detected. Therefore, the exposure condition D4b capable of detecting the tire T of the vehicle A is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ooting environment even if the shooting environment such as the weather, the time of day, the surrounding situation (presence or absence of the shadow of the building,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참조 화상(D7a)에 기초하여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한 후, 당해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촬영된 화상(D7)에 대해, 참조 화상(D7a)과 마찬가지로 농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농도값을 계측하고, 당해 화상(D7)의 노광량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화상(D7)의 농도값 및 노광량에 기초하여 다른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of setting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based on the reference image D7a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and generates a density histogram for the image D7 photographed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b in the same manner as the reference image D7a The density value may be measured, and the exposure amount of the image D7 may be calculat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may set another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based on the density value of the image D7 and the exposure amount.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한 후, 차량 검출부(201)로부터 차량 퇴출 정보(D11)를 수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을 설정한다.When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after setting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to Setting.

타이어 검출부(20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검출부(201)로부터 차량 검지 정보(D10)를 수신하고 나서 차량 퇴출 정보(D11)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 촬영부(20A)로부터 수신한 각 화상(D7)에 대해, 차량(A)의 타이어(T)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 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detects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from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until it receive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from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and then receives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ire T of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each of the received images D7.

타이어 검출부(203)는 각 화상(D7)에 대해 테두리 검출 필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농염의 경계부를 추출한다. 그리고 당해 농염의 경계부의 주기성이나 밀집도를 계산함으로써 텍스처(texture)를 해석하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나타내는 차량(A)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홈(縱溝)의 텍스처(트레드 패턴의 텍스처)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복수 연속하고 있는 영역(트레드 패턴 영역)을 검출하고, 또한 당해 트레드 패턴 영역에 인접하는 형으로 타이어 측면에 드러나는 종장(縱長)의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긴) 타원 영역을 검출한 경우, 당해 부위는 차량(A)의 타이어(T)라고 판단한다.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extracts the boundary portion of the greens by performing edge detection filter processing on each image D7. 5B, the textures of the longitudinal groove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 indicating the tread pattern of the tire are analyzed, (Tread pattern reg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tinuous tread pattern regions (tread pattern patter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re detected, Direction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is the tire T of the vehicle A.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타이어 검출부(203)는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텍스처의 유무에 기초하여, 각 화상(D7)에 타이어(T)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0C)에 타이어(T)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미리 취득한 복수의 타이어(T)의 트레드 패턴의 샘플 화상(D8)을 축적해 두고, 타이어 검출부(203)는 샘플 화상(D8)과 촬영부(20A)로부터 수신한 각 화상(D7)의 참조 영역(R)을 비교함으로써, 당해 화상(D7)에 타이어(T)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re detecting unit 203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image D7 includes the tire 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ead pattern texture of the ti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a sample image D8 of a tread pattern of a plurality of previously acquired tires 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C as data for detecting the tire T, and the tire detection unit 203, May compare the sample image D8 with the reference area R of each image D7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mage D7 includes the tire T. [

타이어 검출부(203)는, 타이어(T)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화상(D7)을 추출하여 타이어 판정부(204)에 출력한다.The tire detecting unit 203 extracts an image D7 that is determined to contain the tire T and outputs it to the tire determining unit 204. [

타이어 판정부(204)는 타이어 검출부(203)로부터 수신한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한다.The tire judging unit 204 judges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contained in the image D7 received from the tire detecting unit 203. [

더블 타이어는 하나의 부착 위치에 2개의 타이어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타이어 직경을 갖는 싱글 타이어와 더블 타이어와의 타이어 폭을 비교하면, 더블 타이어는 싱글 타이어의 타이어 폭의 약 2배의 타이어 폭을 갖고 있다. 타이어 판정부(204)는, 싱글 타이어 및 더블 타이어의 타이어 폭의 상위(相違)에 착안하고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에 기초하여, 당해 타이어(T)가 싱글 타이어인지 더블 타이어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판정부(204)는 이하와 같이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한다.Since the double tires have two tires attached to one attachment position, when the tire widths of the single tires having the same tire diameter are compared with the widths of the double tires, the double tires have a tire width of about twice the tire width of the single tires Lt; / RTI &gt; The tire determining section 204 determines the difference in the tire width between the tire T and the tire T based on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s a single tire or a double tire. Specifically, the tire judging unit 204 judges the number D3 of speeches of the tire T as follows.

먼저, 타이어 판정부(204)는 촬영부(20A)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와 타이어 검출부(203)로부터 수신한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로 판정된 종장의 타원 영역의 종방향의 길이에 기초하여 타이어 직경을 산출한다. 또한, 트레드 패턴 영역의 횡방향(폭 방향)의 길이로부터 타이어 폭을 검출한다.First, the tire judging section 204 judges whether or not the angle of the angle of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elliptical area determined as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received from 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The tire diameter is calculat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direction. Further, the tire width is detected from the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pattern region.

기억부(20C)에는, 통상 이용되는 타이어의 타이어 직경과 타이어 폭의 조합을 복수 기록한 타이어 정보(D9)가 미리 격납되어 있다. 타이어 판정부(204)는 기억부(20C)에 격납되어 있는 타이어 정보(D9) 중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와 동일 정도의 타이어 직경을 갖는 타이어 정보(D9)를 추출한다.The storage section 20C stores in advance tire information D9 in which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f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of a commonly used tire are recorded in advance. The tire determining unit 204 extracts tire information D9 having the same tire diameter as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out of the tire information D9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C.

다음에,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과 추출된 타이어 정보(D9)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을 비교한다.Next, the tire judging unit 204 compares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with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extracted tire information D9.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과 추출된 타이어 정보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이 동일 정도의 값인 경우는, 당해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는 싱글 타이어라고 판정한다.The tire determining unit 20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and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extracted tire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image D7 It is determined that the tire T is a single tire.

한편,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이 추출된 타이어 정보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과 크게 다른 값인 경우(예를 들어,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이 추출된 타이어 정보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의 약 2배의 값인 경우)는, 당해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는 더블 타이어라고 판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extracted tir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D7 ) Is a value about twice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extracted tire information),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s a double tire .

또는, 차종의 다름에 관계 없이 차량의 제1 축째의 타이어는 싱글 타이어이기 때문에, 제1 축째의 타이어를 무조건 싱글 타이어라고 판정하고, 제1 축째의 타이어 폭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축째 이후의 타이어가 제1 축째의 타이어 폭의 2배의 값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더블 타이어라고 판정해도 좋다.The tire of the first axis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a single tire unconditionally because the tire of the first axis of the vehicle is a single tire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vehicle and the tire of the first axis is referred to as a single tir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ire is a double tire because the tire is twice the tire width of the first axis.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의 값으로부터 당해 타이어(T)가 싱글 타이어인지 더블 타이어인지를 판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블 타이어의 경우, 2개의 타이어의 간격에 의해, 트레드 패턴의 텍스처가 횡방향(폭 방향)으로 둘로 갈라져서 검출된다. 이 때문에, 타이어 판정부(204)는 트레드 패턴의 텍스처가 횡방향으로 2개 연속하여 검출된 경우는 더블 타이어라고 판정하고, 트레드 패턴의 텍스처가 횡방향으로 하나만 검출된 경우는 싱글 타이어라고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tire T is a single tire or a double tire based on the tire width value of the tire T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a double tire, the texture of the tread pattern is detected by dividing the text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dth direction) into two by the interval of the two tires. Therefore, when the texture of the tread pattern is detected two time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tire determining unit 204 determines that the tire is a double tire, and when only one texture of the tread pattern is det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Maybe.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가 싱글 타이어라고 판단한 경우,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1」로 설정한다. 또한,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가 더블 타이어라고 판단한 경우,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2」로 설정한다.The tire judging unit 204 sets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to "1" when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s judged to be a single tire. The tire judging unit 204 also sets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to "2" when it is judged that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s a double tire.

타이어 판정부(204)는 이와 같이 판정한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차종 판별부(10C)로 출력한다.The tire judging unit 204 outputs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thus judged to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unit 10C.

다음에,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 의한 타이어 판정의 순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procedure of tire determination by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패턴의 판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determination procedure of the tire patte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단계 ST101: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의 설정)(Step ST101: Setting of Exposure Conditions for Vehicle Detect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부(20A)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일정한 간격마다 촬영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t regular intervals.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는 촬영 제어부(202)의 노광 조건 설정부(205)에 있어서,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의 설정을 행한다(단계 ST101).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소정의 촬영 범위에 차량(A)이 진입한 때에, 차량(A)과 배경을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는 화상이 촬영 가능하도록, 소정의 촬영 범위 전체의 농도값에 따른 조리개 값 및 노광 시간을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으로서 설정한다.The tire pattern determining device 20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of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202 (step ST101).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set the density value of the whole of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to the photographing range so that the image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the background from the vehicle A can be photographed when the vehicle A enters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the exposure time are set as the exposure conditions D4a for vehicle detection.

촬영 제어부(202)는 당해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을 촬영부(20A)로 출력한다. 촬영부(20A)는 그 후 당해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범위를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outputs the exposure condition D4a for vehicle detection to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then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on the basis of the vehicle-exposure exposure condition D4a.

(단계 ST102: 차량 진입 검지)(Step ST102: vehicle entry detection)

다음에, 차량 검출부(201)는 소정의 촬영 범위에 차량(A)이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T102). 차량 검출부(201)는 촬영부(20A)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화상(D7) 각각에 대해, 어떤 시각(t)에 촬영된 화상(D7)과 당해 화상(D7)에 가장 가까운 과거인 시각(t-1)에 촬영된 화상(D7)과의 차분을 취함으로써, 당해 화상(D7)에 차량(A)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Next,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A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step ST102).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detects the time D7 at which the image D7 is captured at a certain time t and the time t (t) that is the closest to the image D7,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 D7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1), there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the image D7.

차량 검출부(201)는,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차량(A)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T102: 아니오), 단계(ST101)의 처리로 되돌아온다.When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determines that the vehicle A is not included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step ST102: NO),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T101.

또한, 차량 검출부(201)는,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차량(A)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T102: 예), 촬영 제어부(202) 및 타이어 검출부(203)로 차량 검지 정보(D10)를 출력하고, 다음 단계(ST103)로 나아간다.When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determines that the vehicle A is included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step ST102: Yes),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detects the vehicle A as 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and the tire detection section 203 The detection information D10 is output,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T103.

(단계 ST103: 참조 영역의 농도값의 계측)(Step ST103: measurement of the density value of the reference area)

다음에, 차량 검출부(201)로부터 차량 검지 정보(D10)를 수신한 경우(단계 ST102: 예),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차량 검출부(201)가 차량 검지 정보(D10)를 출력한 시각에 촬영된 화상(D7)을 참조 화상(D7a)으로서 추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농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당해 참조 영역(R)의 농도값을 계측한다(단계 ST103).Next, whe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step ST102: YE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the time when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As the reference image D7a.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generates a concentration histogram of the reference region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and measur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reference region R (step ST103).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농도 히스토그램 중 화소수가 많은 농도값 범위를 검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농도값이 낮은 영역에 화소수가 많은 농도값 범위가 존재하는 경우, 당해 참조 영역(R)은 농도값이 낮은(어두운), 즉 노광량이 작다고 판단한다.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detects a concentration value range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among the density histogram of the reference area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area R has a low concentration (dark), that is, a small exposure amount, when a concentration value range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exists in a low concentration value area.

(단계 ST104: 참조 영역의 노광량의 산출)(Step ST104: Calculation of exposure dose in the reference area)

다음에,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참조 화상(D7a)이 촬영된 때의 노광 조건(D4)에 기초하여, 당해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노광량을 산출한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참조 영역(R)은 농도값이 낮은(어두운), 즉 노광량이 작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당해 참조 영역(R)보다도 농도값이 높은(밝은), 즉 노광량이 큰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새로운 노광량을 산출한다(단계 ST104).Nex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calculates the exposure amount of the reference area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 when the reference image D7a is photograph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value R is lower (darker) than the reference value R because the reference value R is determined to be low (dark), that is, A new exposure amount is calculated so that a large image can be photographed (step ST104).

(단계 ST105: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의 설정)(Step ST105: Setting of Exposure Conditions for Tire Detection)

다음에,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한 새로운 노광량을 충족시키도록, 조리개 값을 작게 한 값, 또는 노광 시간을 길게 한 값을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으로서 설정한다(단계 ST105).Nex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a value obtained by decreasing the aperture value or a value obtained by lengthening the exposure time a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so as to satisfy the new exposure amount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Step ST105).

촬영 제어부(202)는 이와 같이 노광 조건 설정부(205)가 설정한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촬영부(20A)로 출력한다. 촬영부(20A)는 당해 노광 조건(D4b)을 수신하면, 다음번부터 당해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범위를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202 output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set b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the photographing unit 20A. When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receives the exposure condition D4b,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take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on the basis of the exposure condition D4b next time.

(단계 ST106: 트레드 패턴의 검출)(Step ST106: detection of a tread pattern)

다음에, 타이어 검출부(203)는 차량 검출부(201)로부터 차량 검지 정보(D10)를 수신하고 나서 차량 퇴출 정보(D11)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 촬영부(20A)로부터 수신한 각 화상(D7)을 해석하고, 차량(A)의 타이어(T)의 트레드 패턴을 나타내는 차량(A)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홈의 텍스처(트레드 패턴의 텍스처)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복수 연속하고 있는 영역(트레드 패턴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T106). 타이어 검출부(203)는 당해 트레드 패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당해 화상(D7)에는 당해 차량(A)의 타이어(T)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단계 ST106: 아니오), 다시 단계(ST106)에 되돌아가서 다음의 화상(D7)의 해석을 행한다. 한편, 타이어 검출부(203)는 당해 트레드 패턴 영역을 검출한 경우, 당해 화상(D7)에는 당해 차량(A)의 타이어(T)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다(단계 ST106: 예). 이때, 당해 화상(D7)을 타이어 판정부(204)에 출력하고, 다음 단계(ST107)로 나아간다.Next, the tire detection unit 203 detects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from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received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until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is received, (Texture of tread pattern) of the longitudinal groove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 indicating the tread pattern of the tire T of the vehicle A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read pattern area) is included (step ST106). When the tread pattern area is not detected, 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determines that the tire T of the vehicle A is not included in the image D7 (step ST106: NO) , And interprets the next image D7. On the other hand, when detecting the tread pattern area, 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determines that the image D7 includes the tire T of the vehicle A (step ST106: Yes). At this time, the image D7 is output to the tire judging unit 204,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T107.

(단계 ST107: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의 검출)(Step ST107: Detection of Tire Diameter and Tire Width)

다음에, 타이어 판정부(204)는 타이어 검출부(203)로부터 수신한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직경과 타이어 폭을 검출한다(단계 ST107).Next, the tire judging unit 204 detects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received from the tire detecting unit 203 (step ST107).

(단계 ST108: 타이어의 연설수의 판정)(Step ST108: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다음에,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과 추출된 타이어 정보(D9)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을 비교하여 당해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한다(단계 ST108).Next, the tire judging unit 204 compares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with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extracted tire information D9, And determines the number D3 (step ST108).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과 추출된 타이어 정보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이 동일 정도의 값인 경우는, 당해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는 싱글 타이어라고 판정한다.The tire determining unit 20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and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extracted tire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image D7 It is determined that the tire T is a single tire.

한편, 타이어 판정부(204)는,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과 추출된 타이어 정보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이 크게 다른 값인 경우(예를 들어,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폭이 타이어 정보에 기록된 각 타이어의 타이어 폭의 약 2배의 값인 경우)는, 당해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는 더블 타이어라고 판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re width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s different from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extracted tir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D7 ) Is a value about twice the tire width of each tire recorded in the tir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s a double tire .

타이어 판정부(204)는 판정한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차종 판별부(10C)에 출력한다.The tire judging unit 204 outputs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judged tire T to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unit 10C.

(단계 ST109: 차량 통과 검지)(Step ST109: vehicle passing detection)

다음에, 차량 검출부(201)는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를 차량이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T109).Next,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A has passed the predetermined shooting range (step ST109).

차량 검출부(201)는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있어서 차량(A)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 차량(A)은 소정의 촬영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단계 ST109: 아니오), 단계(ST106)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차량 검출부(201)는 화상(D7)의 참조 영역(R)에 있어서 차량(A)에 의해 발생하는 그림자나 타이어(T) 등의 저농도 영역(암부)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차량(A)은 소정의 촬영 범위를 통과했다고 판단한다(단계 ST109: 예). 또한,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차량(A)이 통과하면 과다 노출로 되어 할레이션(halation)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차량 검출부(201)는 취득한 화상(D7) 전체에 있어서 할레이션을 검출한 경우,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를 통과했다고 판단해도 좋다. 차량 검출부(201)는 촬영 제어부(202) 및 타이어 검출부(203)로 차량 퇴출 정보(D11)를 출력한다.When the vehicle detection unit 201 detects the vehicle A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A exists in the predetermined shooting range (step ST109: NO)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T106.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oes not detect the low density area (dark section) such as the shadow or the tire T generated by the vehicle A in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YES in step ST109). Further, when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is set, when the vehicle A passes through, a halation may occur due to overexposure. Therefore,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may judge that the vehicle A has pass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when the halftone is detected in the whole of the obtained image D7.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outputs the vehicle exit information D11 to 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and 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

(하드웨어 배치)(Hardware placement)

또한,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도 7은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Fig.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는 메모리(810)와, 기억/재생 장치(820)와, IO I/F(Input Output Interface)(830)와, 외부 기기I/F(Interface)(840)와, 통신I/F(Interface)(850)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860)와, 보조 기억 장치(870)를 구비하고 있다.7,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includes a memory 810, a storage / playback device 820, an IO I / F (Input Output Interface) 830, an external device I / F An interface 840, a communication I / F 850,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860, and an auxiliary storage device 870.

메모리(810)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매체이다.The memory 810 is a medium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used in the program of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or the like.

기억/재생 장치(820)는 CD-ROM, DVD, 플래시 메모리 등의 외부 매체에 데이터 등을 기억하거나, 외부 매체의 데이터 등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storage / playback device 820 is a device for storing data or the like on an external medium such as a CD-ROM, a DVD, or a flash memory, or reproducing data or the like of an external medium.

IO I/F(830)는 차종 판별 장치(10)의 각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 등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The IO I / F 830 is an interface for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to / from each device of the vehicle discrimination apparatus 10.

외부 기기I/F(840)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가 구비하는 기기의 제어와 정보 등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술의 실시형태의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서는, 외부 기기I/F(840)는 촬영부(20A)의 제어와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The external device I / F 840 is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devices provided in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such as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I / F 840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and signals with the control of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통신I/F(850)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가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The communication I / F 850 is an interface for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via a communication line such as the Internet.

CPU(86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각각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가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하도록 제어한다.The CPU 860 executes the program and controls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to execute the respective function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controls to determine the number D3 of tires T to be sprouted.

보조 기억 장치(870)는 CPU(860)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사용하는 데이터나, 생성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기억 장치(870)는 HDD(Hard Disk Drive)나 플래시 메모리 등이다.The auxiliary storage device 870 is for recording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860, data used when executing the program, and generated data.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870 is a hard disk drive (HDD), a flash memory, or the like.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프로그램은 CD-ROM, DVD, 플래시 메모리 등의 외부 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는 기억/재생 장치(820)로부터 외부 매체로의 쓰기(기억) 및 읽기(재생)를 행한다. 통신I/F(850)로부터 외부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읽어내도 좋다.The program of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apparatus 20 may be recorded in an external medium such as a CD-ROM, a DVD, or a flash memory. In this case, the writing / Playback). The program stored in the external server may be read from the communication I / F 850. [

외부 매체나 외부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870)에 기억해도 좋다.A program stored in an external medium or an external server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870. [

CPU(86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차량 검출부(201), 촬영 제어부(202), 타이어 검출부(203), 타이어 판정부(204), 노광 조건 설정부(205)로서 기능한다. CPU(860)가 각종 처리를 행하면, 각각의 처리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보조 기억 장치(870)에 기억된다.The CPU 860 executes the program to cause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of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202, the tire detection section 203, the tire determination section 204,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205 ). When the CPU 860 performs various processes, data generated in each process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870. [

(작용 효과)(Action effect)

상술한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 의하면,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참조 화상(D7a)의 참조 영역(R)의 농도값의 계측 및 노광량의 산출을 행한다. 또한,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당해 참조 영역(R)의 농도값 및 노광량에 기초하여, 촬영부(20A)가 차량(A)의 타이어(T)를 검출 가능한 화상(D7)을 촬영할 수 있도록,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한다. 촬영부(20A)는 당해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수신하면, 다음번부터 당해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범위를 촬영한다.According to the tire pattern determining apparatus 20 described above,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measur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reference region R of the reference image D7a and calculates the exposure amoun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can also se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photograph the image D7 in which the photographing unit 20A can detect the tire T of the vehicle A based on the density value and the exposure amount of the reference area R , An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is set. When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receive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he tire detection,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on the basis of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he next tire detection.

통상, 차량(A)을 촬영한 경우, 당해 차량(A)의 타이어(T)는 당해 차량(A)의 차체나 차체의 그림자에 의해 어두운 상태로 촬영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어두운 상태로 촬영된 차량(A)의 화상에서는 당해 차량(A)의 타이어(T)와 당해 차량(A)의 차체 또는 차체의 그림자를 식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노광 조건 설정부(205)가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을 설정함으로써, 촬영부(20A)는 통상 어두운 상태로 촬영되는 차량(A)의 타이어(T)를 밝은 상태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타이어 판정부(204)는, 촬영부(20A)가 타이어 검출용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촬영한 화상(D7)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의 타이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Usually, when the vehicle A is photographed, the tire T of the vehicle A is photographed in a dark state by the shadow of the vehicle body or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Therefore, in the image of the vehicle A photographed in such a dark stat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tire T of the vehicle A and the shadow of the vehicle body or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sets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20A can set the tire T of the vehicle A, which is normally photographed in a dark stat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tire judging section 204 can detect the tire of the vehicle A based on the image D7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b for tire detection It becomes.

또한, 차량 검출부(201)가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진입한 것을 검출할 때마다 촬영부가 당해 차량(A)을 촬영한 참조 화상(D7a)에 기초하여 농도값의 계측 및 노광량의 산출을 행하기 때문에, 날씨나 시각, 주변 상황(건축물의 그림자나 조명의 유무 등) 등의 촬영 환경이 달라도 차량(A)의 타이어(T)를 검출 가능한 노광 조건(D4b)을 설정할 수 있다.Every time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cts that the vehicle A has entered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the photographing section measures the density value and calculates the exposure amount of the vehicle A based on the reference image D7a photographed by the vehicle A. The exposure condition D4b capable of detecting the tire T of the vehicle A can be set even if the shooting environment such as the weather, the time of day,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presence or absence of a shadow of the building or the like) is different.

또한, 예를 들어 디딤판을 이용한 차종 판별 장치에서는 차종 판별 장치와 요금 자동 수수기와의 거리를 최대 차장 이상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차량의 운전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에 도달할 때까지 차량의 타이어가 디딤판을 통과할 수 없고, 차량의 축수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술의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 의하면, 타이어 판정부(204)에 의해 검출된 차축마다 차종 구분(D1)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의 하나인 타이어(T)의 연설수(D3)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A)의 차축 수가 취득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당해 타이어(T)의 연설수(D3)에 기초하여, 또는 타이어(T)의 연설수(D3) 및 번호판 정보(D2)에 기초하여, 차종 구분(D1)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차종 구분(D1)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용 장치를 노면에 매설할 수 없는 또는 설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요금소 등, 입지 조건에 제한이 있으며, 검출용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요금소라도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당해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가 판정한 타이어(T)의 연설수(D3)에 기초하여 차종 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for example, in a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using a trea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the automatic fare collecting machine can not be secured for a maximum length of time or more, until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reaches the automatic to- And the number of axles of the vehicle can not be determined.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ire pattern judging device 20,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which is one of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discrimination of the vehicle type division D1 for each axle detected by the tire judging section 204, can do. Therefore, even if the number of axles of the vehicle A is not acquired, the number of axles of the vehicle A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D3 of spokes of the tire T or based on the number D3 of spokes of the tire T and the number plate information D2 Thus, it become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vehicle type classification D1. For this reas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location conditions such as a tollgate which can not be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for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category D1 or can not sufficiently secure a space for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even at a tollgate in which information of the tire T can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and to perform vehicle type discrimination based on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determined by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It becomes possible to do.

또한, 상술한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 의하면, 화상(D7)의 참조 영역(R)은 차량(A)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이다.According to the tire pattern determining apparatus 20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area R of the image D7 is a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차량(A)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는 차량(A)을 촬영한 때에, 가장 농도값이 낮아지는(어두워지는) 범위이다. 노광 조건 설정부(205)는 이와 같이 설정된 당해 참조 영역(R)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농도값이 낮아지는 차량(A)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라도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이 검출 가능한 농도값으로 촬영되는 바와 같은 노광량을 산출하고, 당해 노출량을 충족하는 노광 조건(D4)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타이어 검출부(203)는 당해 화상(D7)에 기초하여 트레드 패턴의 유무를 검출하고, 당해 화상(D7)에 타이어(T)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is a range in which the density value becomes lowest (darkens) when the vehicle A is photographed.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refers to the reference area R set in this way, so tha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can set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to a threshold value that allows the tread pattern of the tire to have a detectable density value even in a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 exposure amount such as to be photographed, and to set an exposure condition D4 that satisfies the exposure amount. Thereby, the tire detecting section 203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ead pattern based on the image D7 and judge whether or not the image D7 includes the tire T.

또한, 상술한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 의하면, 타이어 판정부(204)는 촬영부가 촬영한 화상(D7)에 기초하여 차량의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을 계측한다.According to the tire pattern determining device 20 described above, the tire determining portion 204 measures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D7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portion.

타이어 판정부(204)는, 더블 타이어의 타이어 폭은 싱글 타이어의 타이어 폭의 약 2배의 타이어 폭을 갖는다는 특징에 착안하여, 화상(D7)에 포함되는 타이어(T)의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에 기초하여, 당해 타이어(T)가 싱글 타이어인지 더블 타이어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The tire determining section 20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re width of the double tire has a tire width which is about twice the tire width of the single tire and the tire diameter of the tire T included in the image D7,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ire T is a single tire or a double tire based on the width.

또한, 상술한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에 의하면, 차량 검출부(201)는 촬영부(20A)가 촬영한 화상(D7)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범위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고, 차량 검지 정보(D10)를 출력한다.According to the tire pattern determining device 20 described above,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detects that the vehicle A enters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based on the image D7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 And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D10.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진입한 시각에 촬영된 화상(D7)은 노광 조건 설정부(205)에 의해 차량 검출용 노광 조건(D4a)이 설정된 상태로 촬영된 것이다. 이 때문에, 차량 검출부(201)는 당해 화상(D7)에 기초하여,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진입한 것을 용이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mage D7 photograph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A enters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s photographed in a state in which the exposure condition for the vehicle detection D4a is set b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 Therefore,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can easily detect that the vehicle A has entered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based on the image D7.

이 때문에, 차량(A)이 요금소에 진입하기 전이라도 차량 검출부(201)에 의해 차량(A)이 소정의 촬영 범위에 진입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A)이 요금소에 진입하기 전에, 당해 차량(A)의 타이어(T)를 검출 가능한 노광 조건(D4b)을 설정하고, 당해 노광 조건(D4b)에 기초하여 촬영부(20A)가 촬영한 화상(D7)을 취득할 수 있다.Therefore, even before the vehicle A enters the tollgate, it can be detected that the vehicle A enters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by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 Thereby, before the vehicle A enters the tollgate, the exposure condition D4b capable of detecting the tire T of the vehicle A is set, and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D4b,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image D7 captured by the camera.

타이어 판정부(204)는 이와 같이 촬영된 화상(D7)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종 판별부(10C)는 차종 구분(D1)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용 장치를 설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요금소라도, 차량(A)의 이용 요금을 확정하기 전에, 타이어 판정부(204)가 판정한 타이어(T)의 연설수(D3)에 기초하여 차종 구분(D1)의 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tire judging section 204 can judg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n the basis of the photographed image D7. Therefore, even if the fare type discriminating section 10C can not sufficiently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scriminating the vehicle classifying section D1, ,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vehicle classifications D1 based on the number of speeches D3 of the tire T determined by the tire judging section 204. [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소의 설계 변경 등도 가능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and some design changes and the lik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종 판별 장치(10)가 차량 검지기(10A)를 구비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차량 검지기(10A)를 생략해도 좋고, 그 만큼 차종 판별 장치(10)의 설치 공간이나 설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의 차량 검출부(201)에서 차량의 진입 및 통과의 검출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includes the vehicle detector 10A. However, the vehicle detector 10A may be omitt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installation cost. Even in this case,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of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20 can detect the entry and the passing of the vehicle.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 검출부(201)가 차량(A)의 진입 및 통과를 검출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는 차량 검지기(10A)로부터 차량 진입 정보(D5) 및 차량 통과 정보(D6)를 수신하고, 당해 차량 진입 정보(D5) 및 차량 통과 정보(D6)에 기초하여 노광 조건(D4)의 설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촬영부(20A)는 차량 진입 정보(D5)를 수신하고 나서 차량 통과 정보(D6)를 수신할 때까지의 기간만 소정의 촬영 범위를 촬영하도록 해도 좋고, 차량 진입 정보(D5)를 취득할 때까지는 노광 조건 설정부(205)에 의한 노광 조건(D4)의 설정이 불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노광 조건 설정부(205)의 처리 및 촬영 제어부(202)에 의한 촬영부(20A)의 제어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검출부(201)를 생략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vehicle detection section 201 detects the entry and the passage of the vehicle A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ire pattern determining device 20 receives the vehicle entering information D5 and the vehicle passing information D6 from the vehicle detector 10A and determines the exposure condition D6 based on the vehicle entering information D5 and the vehicle passing information D6 (D4) may be set.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section 20A may photograph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only for a period from the time when the vehicle arrival information D5 is received to the time when the vehicle passing information D6 is received, or the vehicle arrival information D5 The setting of the exposure condition D4 by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becomes unnecessary until it is acquired. Therefore, the processing of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205 and the control of the photographing unit 20A by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202 can be simplified. Further, the vehicle detecting section 201 may be omit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가 하나의 촬영부(20A)를 구비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20)는 노광 조건의 설정에 이용하는 참조 화상(D7a)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 타이어 판정에 이용하는 화상(D7)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의 두 가지 촬영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apparatus 2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aving one photographing section 20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ire pattern judging device 20 may be provided with two photographing sections, that is, a photographing section for photographing a reference image D7a used for setting exposure conditions and a photographing section for photographing an image D7 used for tire judgment.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종 판별 장치(10)가 디딤판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면에 디딤판의 매설이 가능한 요금소에 있어서는, 차종 판별 장치(10)는 추가로 디딤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디딤판으로부터의 차축 수 등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당해 정보를 고려한 차종의 판별을 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hicle-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is not provided with a trea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tollgate where the tread plate can be embedded on the road surface, the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ead. The number of axles from the tread, and the lik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vehicle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산업상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상술의 타이어 패턴 판별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요금소의 입지 조건에 관계 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차종의 판별에 필요한 정보의 하나인 타이어의 연설수를 촬영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취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ire pattern discriminating apparatus, vehicle type discriminating apparatus, tire pattern discriminating method and program,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tire pattern irrespective of the location conditions of the tollgate and to make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Can be acquired without receiving the license.

1: 요금 수수 설비
10: 차종 판별 장치
10A: 차량 검지기
10B: 번호판 인식부
10C: 차종 판별부
11: 요금 자동 수수기
13: 발진 제어기
14: 발진 검지기
20: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20A: 촬영부
20B: 주 제어부
20C: 기억부
201: 차량 검출부
202: 촬영 제어부
203: 타이어 검출부
204: 타이어 판정부
205: 노광 조건 설정부
A: 차량
I: 아일랜드
L: 차선
R: 참조 영역
T: 타이어
1: Fee handling facility
10: Vehicle discrimination device
10A: vehicle detector
10B: License plate recognition section
10C:
11: Automatic fee collection machine
13: Oscillation controller
14: Oscillator
20: tire pattern judging device
20A:
20B:
20C:
201: vehicle detection unit
202:
203: tire detecting section
204:
205: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A: Vehicles
I: Ireland
L: Lane
R: Reference area
T: Tire

Claims (8)

주행하는 차량의 적어도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 타이밍으로 촬영된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추출하고, 당해 참조 화상 내에 설정된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하는 노광 조건 설정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차량의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촬영부는 상기 노광 조건 설정부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A photographing section that continuously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 traveling vehicle;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t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timing is extracted as a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the reference area set in the reference image is referred to An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n exposure condition,
And a tire judging section for judging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The photographing section photographs the vehicle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set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조건 설정부는 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차량이 촬영된 때에, 당해 차량의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참조 영역에 설정하고, 당해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상기 노광 조건을 설정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sets a range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t the predetermined timing at the predetermined timing in the reference area and sets the exposure condition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area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판정부는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을 계측하고, 당해 타이어 직경 및 타이어 폭에 기초하여 당해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ire judging section measures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and judges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based on the tire diameter and the tire width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고, 상기 차량 검지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검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detecting section for detec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based on the image and outputting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차량 검지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검지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detector that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outputs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와,
상기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에 의해 판정된 상기 차량의 상기 타이어의 연설수에 기초하여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부
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A tire pattern judg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vehicle typ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vehicle based on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And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vehicle speed.
주행하는 차량의 적어도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촬영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으로서,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 타이밍으로 촬영된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추출하고, 당해 참조 화상 내에 설정된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하는 노광 조건 설정 단계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상기 노광 조건 설정 단계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차량의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 단계를 갖는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
A tire pattern judging method for judging a number of tires of a vehicle by using a photographing section which continuously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 traveling vehicle,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t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timing is extracted as a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the reference area set in the reference image is referred to An exposure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n exposure condition,
A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exposure condition set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tep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tire judging step of judging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주행하는 차량의 적어도 차체의 아래쪽을 포함하는 소정의 촬영 범위를 연속하여 촬영하는 촬영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소정의 촬영 범위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 타이밍으로 촬영된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추출하고, 당해 참조 화상 내에 설정된 참조 영역을 참조하여 노광 조건을 설정하는 노광 조건 설정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차량의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타이어의 연설수를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
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노광 조건 설정부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노광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프로그램.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of a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section to continuously photograph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 traveling vehicle,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t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timing is extracted as a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range and the reference area set in the reference image is referred to An exposure condi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n exposure condition,
And a tire judging section for judging the number of speeches of the tir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section,
As a program,
The photographing section photographs the vehicle based on the exposure condition set in the exposure condition setting section
program.
KR1020177025020A 2015-03-11 2016-03-10 Recording medium recording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0227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8427 2015-03-11
JP2015048427A JP6446742B2 (en) 2015-03-11 2015-03-11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PCT/JP2016/057589 WO2016143854A1 (en) 2015-03-11 2016-03-10 Tire pattern assessment device, vehicle model determining device, tire pattern assessment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087A true KR20170115087A (en) 2017-10-16
KR102022786B1 KR102022786B1 (en) 2019-09-18

Family

ID=5687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020A KR102022786B1 (en) 2015-03-11 2016-03-10 Recording medium recording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6742B2 (en)
KR (1) KR102022786B1 (en)
MY (1) MY185928A (en)
WO (1) WO201614385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7444A1 (en) * 2017-10-31 2019-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ual tire determination device and dual tire determination method
JP2019197314A (en) * 2018-05-08 2019-11-14 株式会社東芝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and vehicle type determination method
JP7473779B2 (en) * 2019-12-26 2024-04-24 横浜ゴム株式会社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ee of decrease in tire air press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487A (en) 1995-02-22 1996-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Vehicle family discriminating device
JPH08293090A (en) * 1995-02-23 1996-11-05 Omron Corp Axle detector, body kind discriminating device, vehicle gate system, and vehicle detector
JP2014002534A (en) 2012-06-18 2014-01-09 Toshiba Corp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and vehicle type determination method
JP2014179863A (en) * 2013-03-15 2014-09-25 Canon In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the same
KR20170109016A (en) * 2015-03-11 2017-09-27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Vehicle specification measurement device, vehicle identification device, vehicle specification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694A (en) * 1997-12-04 1999-06-22 Omron Corp Vehicle detection device
JP2004212365A (en) * 2003-01-09 2004-07-29 Daihatsu Motor Co Ltd System for measuring tow value of tire
JP5142898B2 (en) * 2008-09-10 2013-02-13 株式会社東芝 Camera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487A (en) 1995-02-22 1996-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Vehicle family discriminating device
JPH08293090A (en) * 1995-02-23 1996-11-05 Omron Corp Axle detector, body kind discriminating device, vehicle gate system, and vehicle detector
JP2014002534A (en) 2012-06-18 2014-01-09 Toshiba Corp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and vehicle type determination method
JP2014179863A (en) * 2013-03-15 2014-09-25 Canon In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the same
KR20170109016A (en) * 2015-03-11 2017-09-27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Vehicle specification measurement device, vehicle identification device, vehicle specification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3854A1 (en) 2016-09-15
JP6446742B2 (en) 2019-01-09
JP2016170508A (en) 2016-09-23
KR102022786B1 (en) 2019-09-18
MY185928A (en)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2468B (en) The detection and from vehicle violation early warning alarm set and method in violation of rules and regulations of road vehicle front truck
RU2698610C2 (en) Method and processing unit for control over traffic monitoring system
KR101908611B1 (en) Park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6569138B2 (en) Axle number detection device, vehicle type discrimination system, axle number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20100231720A1 (en) Traffic Monitoring
KR101937604B1 (en)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CN114155706B (en) Service area vehicle distinguis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327741B1 (en) Billing system, billing method and program
KR20170115087A (en) Tire pattern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type determination device, tire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0919983B1 (en) system for chasing an unpaid or breach car of the toll road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7225993B2 (en) Same vehicle determination device, same vehicl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089029B1 (en) Crime Preventing Car Detection System using Optical Flow
CN115331191A (en) Vehicle type recogni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1819568B1 (en) The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recognition of electric vehicle and Hi-pass
KR102380638B1 (en) Apparatus, system or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traffic
CN103778790A (en) Traffic flow square-wav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video sequence
JP6945495B2 (en) Unauthorized traffic detection device, unauthorized traffic detection system and unauthorized traffic detection method
JP2940296B2 (en) Parked vehicle detection method
KR20190068210A (en) Recognition device for vehicles
JP4788926B2 (en)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KR101484839B1 (en) Detection Method of axles tampering truck using image processing
KR101924081B1 (en) System for charging a retrun vehicle based on video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6978136B (en) ETC-based intelligent charging management system for urban road side parking
JP2021135640A (en) Axle number detection device, toll collection system, axle number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JP2007265224A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toll coll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