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681A -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 Google Patents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681A
KR20170114681A KR1020160042057A KR20160042057A KR20170114681A KR 20170114681 A KR20170114681 A KR 20170114681A KR 1020160042057 A KR1020160042057 A KR 1020160042057A KR 20160042057 A KR20160042057 A KR 20160042057A KR 20170114681 A KR20170114681 A KR 2017011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bathroom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영
Priority to KR102016004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681A/ko
Publication of KR2017011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식 도어의 일측에 손잡이홈을 가지는 손잡이프레임을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도어를 여러 가지 다양한 무늬모양과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욕실장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재고량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어의 손잡이 부분이 파손 및 마모시 그 자체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후관리가 용이한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욕실장에 설치되는 욕실장의 도어로서, 상기 욕실장의 도어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단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을 가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체결홈을 통하여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일측에는 체결홈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체결구와, 타측에는 전면과 측면으로 개구되면서 손잡이의 기능을 갖는 손잡이홈을 형성한 손잡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Bathroom furniture door handle integrated}
본 발명은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식 도어의 일측에 손잡이홈을 가지는 손잡이프레임을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도어를 여러 가지 다양한 무늬모양과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욕실장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재고량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어의 손잡이 부분이 파손 및 마모시 그 자체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후관리가 용이한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이나 책장 또는 수납장 및 욕실장 등과 같이 각종 물품들을 수납하여 보관토록 하기 위한 가구들은 그 전면에 수납된 물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토록 함은 물론이고, 노출로 인한 미관의 저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 등의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필연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구의 장식성 및 제품성을 고급화하기 위하여 대부분 천연 목재 재질로 이루어져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욕실에 설치되는 욕실장은 물품의 수납 및 인출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대부분 단순하면서도 도어의 개폐구조 역시 단순하게 이루어져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욕실장의 대체적인 구조는 첨부된 도면의 도1에서 보듯이 욕실장의 본체(1) 내부에 다단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실(2)이 형성되는 사각 함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1)의 전면에는 한 쌍의 도어(3)가 개폐가능토록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3)의 전면에는 도어(3)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4)가 갖추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 제안된 일반적인 욕실장의 구조는 대부분 천연 목재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제품은 고급화되는 특징은 있으나,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제조에 따른 제조성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어(3)의 전면에는 도어(3)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4)가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이의 손잡이(4)로 인한 제작성의 저하는 물론이고 외관성도 좋지 못하고,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파손 및 마모 등의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욕실장 도어의 측면 또는 상부의 끝단에 손잡이홈을 일체로 가공하여 손잡이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며, 즉 판넬형의 도어의 끝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손잡이홈을 형성하여 손잡이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나, 이는 판넬형의 도어의 측면에 손잡이 홈을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작도 쉽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천연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넬형의 도어는 욕실장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주문 제작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제작한 후 판매하기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를 천연 목재로 하는 경우 다양한 무늬모양이나 색상 등으로 제작하기가 불가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손잡이 부분이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시 부분적으로 수리가 불가하여 도어의 전체를 교체 사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천연 목재를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가구용 도어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등록 제10-761902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건축 및 가구용으로서의 마감재 패널(panel)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판이 그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베니어 단판이 접착되어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서로 대칭되게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패널을 이용하여 욕실장의 도어를 구성할 수 있었다.
이는 자연 친화적 목재에 의한 실내 마감재 시공에서 전면부와 후면부에 의해 적절한 형태가 유지되며 용이하게 안정된 시공이 가능하고, 아울러 시공에서 마감 표면의 최상의 평활도를 유지함이 가능하고, 시공된 후에도 내구성이 좋은 장점은 가질지라도 합성수지판과 전,후면부의 서로 다른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제조가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장기간이 지나면 온도, 습도 등의 차이로 인하여 접착력이 약화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욕실장의 도어를 여닫이형으로 구성하면서도 일측에는 손잡이의 기능을 가지는 손잡이홈을 갖추어 도어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홈을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도어를 여러 가지 다양한 재질과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욕실장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재고량이 없이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 부분이 파손 및 마모시 그 자체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 수리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실장 도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욕실장 도어는 욕실장의 수납실 전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토록 구비되는 판넬과, 상기 판넬의 일측단에는 착탈식으로 구비되면서 손잡이 기능을 가지는 손잡이홈을 가지는 손잡이프레임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도어의 전,후면에는 다양한 무늬모양을 가지는 시트지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도어의 전체적인 제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욕실장 도어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할 수가 있음에 따라 제조가 손쉽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습도와 수분이 많은 욕실에 설치되는 욕실장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어의 전,후면에 별도의 시트지를 접착할 수가 있음에 따라 천연 목재와 같은 질감을 가지는 무늬모양은 물론이고,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무늬모양과 색상 등을 가지는 도어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일측단에 손잡이 기능을 가지는 손잡이프레임을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판넬과 손잡이프레임을 각각 별도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제조가 손쉽고 제조비용이 적게 드는 등 제조성 및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도어의 일부분이 파손 및 마모시 이를 손쉽게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욕실장의 일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욕실장 도어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2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욕실장 도어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4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도5의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도6의 결합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2 및 도3 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욕실장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4 내지 도7 에서는 본 발명 욕실장 도어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도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욕실장(100)은 대략 사각형의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110)와, 이 몸체(110)의 전면에 체결되어 수납실을 개폐토록 하는 도어(1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단으로 구획되어 각종 물품들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실(111)을 갖추어 구성되면서도 욕실의 벽면 등에 고정설치되고, 도어(120)는 몸체(110)의 전면에서 힌지에 의해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되므로써 수납실(111)을 여닫이식으로 개폐토록 구성된다.
이러한 욕실장(100)의 구성은 그 형태나 크기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욕실장(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120)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상기 도어(120)는 첨부된 도면의 도4 내지 도7 에서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판체형으로 형성되면서 도어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는 패널(10)과, 이 패널(10)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손잡이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10)은 도어(120)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천연 목재는 물론이고,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패널과, PB(Particle Board)나 MDF(Medium Density Fiberboard)와 같은 합성수지패널(합성목재, 엔지니어 목재, 인공목재 등)로 구성된다.
이때, PB는 나무를 갈아서 접착제와 섞어 고압프레스로 눌러서 제조되는 패널을 말하는 것이며, MDF는 섬유질, 특히 장섬유를 가진 수종의 나무를 분쇄하여 섬유질을 추출한 후 양표면용과 코어(Core)용의 섬유질을 분리하고 접착제를 투입하여 층을 쌓은 다음, 프레스로 눌러서 제조되는 패널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합성나무패널을 이용한 패널은 특히 가구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있는 것이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가 이루어짐에 따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습도가 강하며 표면에 미관을 매끄럽고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인쇄나 시트지를 접착하는 가능한 특징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120)의 패널(10)을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하되, 일측에는 힌지로서 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고, 타측에는 별도의 손잡이프레임(20)을 체결고정할 수 있는 체결홈(11)을 구성한다.
상기 체결홈(11)은 힌지의 반대편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외을 향해 개구되는 홈으로 성형되는 것이며, 이의 체결홈(11)을 통하여 별도의 손잡이프레임(20)이 체결고정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프레임(20)은 역시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면서 패널(10)의 길이에 맞는 막대형으로 구성되고,일측에는 패널(10)의 체결홈(11)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체결되는 체결구(21)가 외향 돌출되게 일체로 구비됨과 동시에, 타측에는 손잡이 기능을 가지는 손잡이홈(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21)는 패널(10)의 체결홈(11)에 삽입 체결되면서도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견고한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그 크기가 체결홈(11)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홈(22)은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반원형의 홈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면에서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도록 일부가 전면을 향해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홈(22)은 전면에서 손가락이 들어가게 됨으로써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도 손잡이의 기능을 충족하게 되는 것이며, 외향 돌출되는 손잡이가 배제되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에서 유리하고, 별도의 부품비용이 줄어들게 되어 원가가 절감되는 등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20)의 표면에는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시트지(30)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지(30)는 비닐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되면서도 여러 가지 다양한 무늬모양을 갖추어 도어(120)의 전,후면에 접착되는 것을 포함하게 된다.
예컨데, 상기 시트지(30)는 천연목재 무늬와 색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무늬나 색상을 가지는 필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패널(10)과 손잡이프레임(20)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도어(120)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접착됨으로써 도어(120)의 제품가치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시트지(30)를 도어(120)에 접착하는 방법은 평판접착방법이라고 하는 라미네이팅(laminating)공법, 래핑(wrapping)공법, 멤브레인(membrane)공법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9 및 도10 에서 보듯이 도어(120)의 패널(10)에 손잡이프레임(20)을 체결하는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그 고정력을 배가할 수 있다.
즉, 손잡이프레임(20)의 체결구(21)의 표면에 톱니형의 고정돌기(23)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프레임(20)의 체결구(21)가 패널(10)의 체결홈(11)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시 고정돌기(23)들에 의한 점접촉과 더불어 접착제의 도포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그 고정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프레임(20)에 있어서 손잡이 기능을 가지는 손잡이홈(22)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홈(24)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하는 등 손잡이의 기능을 배가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욕실장(100)을 형성함에 있어서, 몸체(110)와 도어(120)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이들을 손쉽고도 편리하게 조립함으로써 욕실장(100)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도어(120) 역시 패널(10)과 손잡이프레임(20)으로 구성됨에 따라 이들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120)의 패널(10)과 손잡이프레임(20)를 조립시에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널(10)의 체결홈(11) 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체결홈(11)내에 손잡이프레임(20)의 체결구(21)를 억지끼움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이들의 결합력과 더불어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도어(12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널(10)과 손잡이프레임(2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전,후면을 포함한 전체의 표면에 별도의 시트지(30)를 접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도어(120)는 사출성형된 패널(10)과 손잡이프레임(20)을 필요로 하는 욕실장(100)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한 후, 조립 제작이 가능함으로써 제조 및 조립이 편리하고도 손쉬운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100:욕실장 120:도어
110:몸체 111:수납실
10:패널 11:체결홈
20:손잡이프레임 21:체결구
22:손잡이홈 23:고정돌기
24:미끄럼방지홈 30:시트지

Claims (4)

  1. 욕실장에 설치되는 욕실장의 도어로서,
    상기 욕실장의 도어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단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을 가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체결홈을 통하여 착탈식으로 조립되고, 일측에는 체결홈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체결구와, 타측에는 전면과 측면으로 개구되면서 손잡이의 기능을 갖는 손잡이홈을 형성한 손잡이프레임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표면에는 다양한 무늬모양과 색상을 가지는 별도의 시트지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체결구에 톱니형의 고정돌기를 다수로 갖추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손잡이홈의 내측벽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홈을 갖추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KR1020160042057A 2016-04-06 2016-04-06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KR20170114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57A KR20170114681A (ko) 2016-04-06 2016-04-06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57A KR20170114681A (ko) 2016-04-06 2016-04-06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81A true KR20170114681A (ko) 2017-10-16

Family

ID=6029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57A KR20170114681A (ko) 2016-04-06 2016-04-06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6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353B2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US9644653B2 (en) Lightweight construction panel, connec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ing arrangement
US4083160A (en) Relief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041014A1 (en) Door ski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produced therewith, and door produced therefrom
US748190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door skin
US201402057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olid edge banding for cabinetry
US20030159386A1 (en) Mirror door and door molding with compo frame design
KR20170114681A (ko)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US822678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door
JP2004019290A (ja) 手掛け扉
JP4955620B2 (ja) 収納体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200386601Y1 (ko) 가구용 패널
JP2006248014A (ja) 化粧部材
KR200479793Y1 (ko) 집성목이 구비된 싱크대용 도어
KR200495840Y1 (ko) 개선된 모서리를 갖는 가구용 패널
KR100579818B1 (ko) 가구용 손잡이
KR100624096B1 (ko) 가구용 손잡이
KR101588552B1 (ko) 가구용 도어 및 상기 가구용 도어의 제조방법
KR20150088609A (ko) 가구용 허니콤 패널 조립체
JP4539379B2 (ja) 化粧部材
ITUB20159477A1 (it) Anta o frontale di mobili
KR200266839Y1 (ko) 무늬가 일체성형된 도어용 합성수지 패널
KR100605665B1 (ko) 욕실용 수납장의 프레임 구조
KR200343369Y1 (ko) 대나무로 된 가구용 문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