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676A - 방독마스크 - Google Patents

방독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676A
KR20170114676A KR1020160042043A KR20160042043A KR20170114676A KR 20170114676 A KR20170114676 A KR 20170114676A KR 1020160042043 A KR1020160042043 A KR 1020160042043A KR 20160042043 A KR20160042043 A KR 20160042043A KR 20170114676 A KR20170114676 A KR 2017011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respiratory
oxygen cylinder
ga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666B1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filed Critical 김승현
Priority to KR102016004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66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안면 밀착부를 갖는 본체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마련된 호흡기 밀착부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안면 보호경과,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과, 일측이 상기 안면 밀착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이 정화통과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부를 포함하는 방독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제어부 및 배터리를 갖는 제어통; 상기 본체에 마련된 조명등; 상기 제어통에 마련된 스피커; 상기 제어통에 마련된 가스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통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등 및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상기 제어부와 연결시키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통해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를 이용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조명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독마스크{GAS MASK}
본 발명은 방독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기능전환 및 비상시 방독마스크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방독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방독마스크는 오염된 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통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독마스크는 생화학 무기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거나, 화재 발생과 같은 공기오염 상황 발생시 유독 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고,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는 공사 현장에서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독마스크의 역할은 동일하나, 위와 같이 사용처에 따라 방독마스크에 요구되는 사항이 달라진다.
예컨대,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사용자의 시야가 원활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방독마스크가 어디에 놓여있는지를 식별하기 쉬워야 한다. 그러나 지하철 승강장과 같이 공공장소에 구비되어 있는 방독마스크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캐비넷에 단순히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는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방독마스크는 사용자가 오랜 시간 방독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방독마스크는 사용자로 하여금 호흡에 편안함을 주어야 한다.
관련해서, 방독마스크에 부착되어 있는 정화통은 공기의 여과를 위한 필터를 갖고 있는데, 이러한 필터로 인해 사용자는 방독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 비해 방독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방독마스크 사용자는 외부 공기가 정화통의 필터를 거치고 나올 정도의 흡입력을 발휘하여야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긴급상황 발생시 방독마스크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며, 작업용으로 사용시 사용자가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독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안면 밀착부를 갖는 본체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마련된 호흡기 밀착부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안면 보호경과,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과, 일측이 상기 안면 밀착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이 정화통과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부를 포함하는 방독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제어부 및 배터리를 갖는 제어통; 상기 본체에 마련된 조명등; 상기 제어통에 마련된 스피커; 상기 제어통에 마련된 가스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통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등 및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상기 제어부와 연결시키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통해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를 이용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조명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통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원이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중인 상태에 놓여있을 경우,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일측이 상기 안면 밀착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이 산소통과 연결되는 산소통 밸브를 갖는 산소통 연결부; 및 상기 산소통 밸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산소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소통 연결부는 상기 산소통 밸브에 연결된 산소통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산소통의 잔여 산소량을 보여주는 산소량 게이지를 갖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산소통 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스위치에 의해 조작되는 산소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산소 농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농도 이하일 경우 상기 산소통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통 연결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외기흡입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압력 변화가 선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외기흡입 팬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방독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주변에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고,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경고음과 조명등의 점멸을 통해 사용자 및 주변 사람에게 가스 누출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독마스크가 사용되지 않고 비상시를 대비해 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경고음과 조명등의 점멸을 통해 방독마스크의 위치를 주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독마스크 사용자에게 산소통을 통한 산소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산소통을 통한 산소공급 시 산소의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독마스크 사용자에게 편안한 호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독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독마스크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제어통(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안면 밀착부(113)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마련된 호흡기 밀착부(120)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안면 보호경(111)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머리 끈 조절부(115)를 갖는다.
방독마스크(100) 사용자는 안면 밀착부(113)가 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호흡기 밀착부(120)가 입과 코를 덮도록 한 후, 머리 끈 조절부(115)를 조여 방독마스크(100)를 착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방독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면 보호경(111)을 통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10)는 일측이 상기 호흡기 밀착부(120)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이 정화통(133)과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부(130)도 갖는다. 사용자는 상기 정화통 연결부(130)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정화통(133)을 연결함으로써, 호흡 과정에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아닌 정화된 공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사용자의 시야 확보 및 방독마스크(100) 위치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명등(117)이 마련된다.
상기 제어통(150)은 제어부(미도시), 배터리(미도시), 스피커(151), 가스감지센서(153) 및 조작스위치(15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153)를 통해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151)를 이용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조명등(117)을 점멸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방독마스크(100) 사용자는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경고음과 조명등(117)의 점멸을 통해 가스 누출의 인식이 가능하며, 이를 주변 사람에게 알릴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스감지센서(153)는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스감지센서(153)의 온/오프는 조작스위치(155)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조작스위치(155)는 가스감지센서(153)를 온/오프 시키는 것 이외에도 상기 조명등(117)을 사용자 임의로 온/오프 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조작스위치(155)가 여러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스위치로 마련된 경우 조작방법에 차이를 두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통(150)에는 가스감지센서(153)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가스감지센서 상태표시등(157)이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감지센서(153) 자체만으로는 가스감지센서(153)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스감지센서 상태표시등(157)을 통해 가스감지센서(153)가 활성화 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마련된 조작스위치(155)로 인해 사용자는 가스감지센서(153)를 켠 상태에서 상기 조명등(117)을 켜고 작업을 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스감지센서(153)를 끈 상태에서 상기 조명등(117)만 켜고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것으로, 가스 누출의 염려 없이 분진에만 노출된 환경인 경우, 사용자는 가스감지센서(153)를 끔으로써 배터리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가스감지센서(153) 이외에도 제어부, 조명등(117) 및 스피커(15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통(150)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원이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방독마스크(100) 전용 충전기가 연결 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상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충전기 등이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중인 상태에 놓여있을 경우, 상기 가스감지센서(153)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비상시를 대비해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방독마스크(100)는 캐비넷에 시건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연기로 인해 시야가 제한될 경우, 방독마스크(100)의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위와 같이 마련된 방독마스크(100)는 캐비넷에 충전중인 상태로 놓여있을 수 있게 되므로, 가스 누출 발생시 경고음과 조명등(117)의 점멸을 통해 주변에 방독마스크(100)의 위치를 알릴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방독마스크(100)가 사용상태에 놓이지 않고 충전상태에 놓인 경우에는 가스감지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에는 방독마스크(100)의 위치를 알려 사용자로 하여금 방독마스크(100)를 신속히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100)는 일측이 상기 안면 밀착부(113)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이 산소통(143)과 연결되는 산소통 밸브(141)를 갖는 산소통 연결부(140) 및 상기 산소통 연결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산소통(143)을 포함한다.
방독마스크(100)의 정화통(133)에는 필터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로서는 평상시보다 강한 흡입력을 발휘하여 호흡을 하여야 한다. 또한, 오랜 시간 방독마스크(100)를 착용하고 있게 되면 필터에 이물질이 쌓여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100)는, 사용자에게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산소통(143)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캔 타입의 산소통(143)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고압으로 압축된 전용 산소통(143)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산소통(143)이 연결되는 산소통 연결부(140)에는 간이 필터가 마련되어 산소통(143) 연결 시 오염된 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산소통(143) 연결 시 오염된 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소통 밸브(141)를 잠근 상태에서 산소통을 결합하여야 한다. 산소통 밸브(14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산소통(143)은 방독마스크(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용량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산소통(143)의 잔여 산소량을 확인하여 산소통(143)의 사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산소통 연결부(140)는 상기 산소통 밸브(141)에 연결된 산소통(143)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산소통(143)의 잔여 산소량을 보여주는 산소량 게이지(미도시)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산소량 게이지로 인해, 사용자는 잔여 산소량을 확인하면서 절절하게 산소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산소통(143)의 잔여 산소량 관리를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100)의 상기 산소통 밸브(141)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되되, 산소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감지센서는 상기 호흡기 밀착부(120)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스위치(155)에 의해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산소 농도가 선정된 농도 이하일 경우 상기 산소통 밸브(141)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된다.
사용자가 방독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산소감지센서를 활성화 시키게 되면, 상기 산소감지센서가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게 되고, 제어부는 측정된 산소 농도가 선정된 농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된 상기 산소통 밸브(141)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산소통(143)의 산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불필요한 산소통(143)의 사용으로 인핸 산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산소감지센서는 상기 가스감지센서(153)와 달리 방독마스크(100)가 사용상태에 놓이지 않은 경우에는 활성화 될 이유가 없고, 만약 방독마스크(100)가 사용상태에 놓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산소감지센서가 활성화 된다면 산소통(143)의 불필요한 소모를 야기시키게 되므로, 오직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활성화 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산소감지센서는 이산화탄소감지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선정된 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산소통 밸브(141)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100)는 사용자가 방독마스크(100)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주변에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고,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경고음과 조명등(117)의 점멸을 통해 사용자 및 주변사람에게 가스 누출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방독마스크(100)가 사용상태에 놓이지 않고 비상시를 대비해 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경고음과 조명등(117)의 점멸을 통해 방독마스크(100)의 위치를 주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방독마스크(100) 사용자에게 산소통(143)을 통한 산소공급이 가능하며, 산소통(143)을 통한 산소공급 시 산소의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방독마스크(100)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정화통(133) 필터로 인해 평상시보다 강한 흡입력을 발휘하여 호흡을 하여야 한다. 이는, 방독마스크(100)의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로 하여금 답답함과 더불어 호흡의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 연결부(130)에 마련되며, 조작스위치(155)에 의해 작동되는 외기흡입 팬(13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호흡의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경우, 상기 외기흡입 팬(131)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외기흡입 팬(131)은 정화통(133)을 거쳐 들어오는 외기가 호흡기 밀착부(120) 내로 원활히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평상시와 비슷한 흡입력으로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기흡입 팬(131) 역시 제어통(150)에 마련된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외기흡입 팬(131)의 사용은 배터리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독마스크(100)는 호흡기 밀착부(120) 내면에 마련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압력 변화가 선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외기흡입 팬(131)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사용자가 호흡을 하는 경우 들숨과 날숨에 의해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압력이 변하게 된다. 예컨대, 들숨을 크게 들이쉬고 날숨을 크게 내쉬는 경우에는 들숨을 작게 들이쉬고 날숨을 작게 내쉬는 경우보다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압력 변화가 커지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는 방독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정화통(133)의 필터로 인해 평소보다 큰 들숨과 날숨을 쉬게 되고, 활동에 필요한 산소량이 부족할 수록 더욱 큰 들숨과 날숨을 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가 압력감지센서를 통해 호흡기 밀착부(120) 내의 압력 변화가 선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사용자가 보다 큰 들숨과 날숨을 쉬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공기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기흡입 팬(131)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호흡기 밀착부(120) 내에 외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게 되고, 사용자는 호흡을 함에 있어 좀 더 편안한 환경에서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외기흡입 팬(131)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호흡 시 들숨과 날숨의 압력차이는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기흡입 팬(131)을 작동시키는 기준인 압력 차이의 범위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방독마스크 110: 본체
111: 안면 보호경 113: 안면 밀착부
115: 머리 끈 조절부 117: 조명등
120: 호흡기 밀착부 130: 정화통 연결부
131: 외기흡입 팬 133: 정화통
140: 산소통 연결부 141: 산소통 밸브
143: 산소통 150: 제어통
151: 스피커 153: 가스감지센서
155: 조작스위치 157: 가스감지센서 상태표시등

Claims (8)

  1.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안면 밀착부를 갖는 본체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마련된 호흡기 밀착부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안면 보호경과,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과, 일측이 상기 안면 밀착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이 정화통과 연결되는 정화통 연결부를 포함하는 방독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제어부 및 배터리를 갖는 제어통;
    상기 본체에 마련된 조명등;
    상기 제어통에 마련된 스피커;
    상기 제어통에 마련된 가스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통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등 및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상기 제어부와 연결시키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통해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피커를 이용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조명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독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통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원이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부;를 포함하는 방독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중인 상태에 놓여있을 경우, 상기 가스감지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마련된 방독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안면 밀착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이 산소통과 연결되는 산소통 밸브를 갖는 산소통 연결부; 및
    상기 산소통 밸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산소통;을 포함하는 방독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통 연결부는 상기 산소통 밸브에 연결된 산소통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산소통의 잔여 산소량을 보여주는 산소량 게이지를 갖도록 마련된 방독마스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통 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스위치에 의해 조작되는 산소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산소 농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농도 이하일 경우 상기 산소통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된 방독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 연결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외기흡입 팬;을 포함하는 방독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되, 상기 호흡기 밀착부 내의 압력 변화가 선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외기흡입 팬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방독마스크.

KR1020160042043A 2016-04-06 2016-04-06 방독마스크 KR10183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43A KR101831666B1 (ko) 2016-04-06 2016-04-06 방독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43A KR101831666B1 (ko) 2016-04-06 2016-04-06 방독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76A true KR20170114676A (ko) 2017-10-16
KR101831666B1 KR101831666B1 (ko) 2018-02-23

Family

ID=6029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43A KR101831666B1 (ko) 2016-04-06 2016-04-06 방독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66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98B1 (ko) 2017-11-23 2018-06-07 주식회사 에스엠테크 화재대피용 라이프마스크
KR20190102407A (ko) * 2018-02-26 2019-09-04 정민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KR101997813B1 (ko) * 2018-02-22 2019-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KR20200013556A (ko) 2018-07-30 2020-02-07 이재훈 라이프 가스마스크
CN112313722A (zh) * 2018-06-28 2021-02-02 3M创新有限公司 用于穿戴个人防护设备的工人的通知递送
KR20210094274A (ko) * 2020-01-21 2021-07-29 김경태 방독면
FR3107190A1 (fr) * 2020-02-19 2021-08-20 Arnaud Vautier Kit d’evacuation d’urgence pour particuliers
CN113390688A (zh) * 2021-06-10 2021-09-14 湖北华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毒面具气体监测装置及使用方法
KR102562485B1 (ko) 2023-04-17 2023-08-02 주식회사 필로스 화재대피용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930B1 (ko) * 2018-11-30 2019-10-01 김상헌 안전 보호장치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및 안전 제어 방법
KR200490349Y1 (ko) * 2019-04-26 2019-10-31 한경돈 풀 페이스 마스크
KR20220105748A (ko)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씨엘코리아 방독방연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6523B1 (en) * 2004-07-23 2009-10-07 Interspiro, Inc. Apparatus for providing breathable air and bodily protection in a contaminated environment
JP6274912B2 (ja) * 2014-02-28 2018-02-07 興研株式会社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98B1 (ko) 2017-11-23 2018-06-07 주식회사 에스엠테크 화재대피용 라이프마스크
KR101997813B1 (ko) * 2018-02-22 2019-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KR20190102407A (ko) * 2018-02-26 2019-09-04 정민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CN112313722A (zh) * 2018-06-28 2021-02-02 3M创新有限公司 用于穿戴个人防护设备的工人的通知递送
KR20200013556A (ko) 2018-07-30 2020-02-07 이재훈 라이프 가스마스크
KR20210094274A (ko) * 2020-01-21 2021-07-29 김경태 방독면
FR3107190A1 (fr) * 2020-02-19 2021-08-20 Arnaud Vautier Kit d’evacuation d’urgence pour particuliers
CN113390688A (zh) * 2021-06-10 2021-09-14 湖北华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毒面具气体监测装置及使用方法
KR102562485B1 (ko) 2023-04-17 2023-08-02 주식회사 필로스 화재대피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666B1 (ko) 201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666B1 (ko) 방독마스크
AU2020100228A4 (en) Filter Mask with UVC LED
US4549543A (en) Air filtering face mask
US9901758B2 (e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US10843015B2 (en) Smart respiratory face mask module
US20080245364A1 (en) Filtering respirator with nasal and oral separation
JP2018512235A (ja) 汚染物質吸入防止用マスク
JP6274912B2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KR20080073270A (ko)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KR101812681B1 (ko) 공기청정 마스크
KR101630369B1 (ko) 공기 공급형 마스크
JP6841890B1 (ja) 電子制御による吸気の酸素配合と呼気の二酸化炭素除去の機能を有する再呼吸装置
KR20130019143A (ko) 휴대용 공기 여과기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US9724484B2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13729338B (zh) 一种智能工矿头盔及其监测方法
KR20120001812U (ko) 일회용 마스크
CN213313019U (zh) 动力送风和空气旁通二合一的呼吸防护装置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Bahadori Personnel protection and safety equipment for the oil and gas industries
US20030136409A1 (en) Compact multipurpose dustproof mask
KR102213155B1 (ko)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비상호흡장치
KR200331190Y1 (ko) 휴대용 산소호흡장치
CN111632294B (zh) 带空气旁通阀的面罩和用该面罩的送风呼吸装置
KR102080261B1 (ko)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