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648A -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648A
KR20170114648A KR1020160041962A KR20160041962A KR20170114648A KR 20170114648 A KR20170114648 A KR 20170114648A KR 1020160041962 A KR1020160041962 A KR 1020160041962A KR 20160041962 A KR20160041962 A KR 20160041962A KR 20170114648 A KR20170114648 A KR 2017011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ne
lines
uni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112B1 (ko
Inventor
양준모
예재헌
김태일
계성훈
Original Assignee
미래티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티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티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112B1/ko
Priority to CN201780021654.4A priority patent/CN108885516B/zh
Priority to EP17779314.8A priority patent/EP3441856A4/en
Priority to JP2019503178A priority patent/JP6765499B2/ja
Priority to US16/088,015 priority patent/US11003295B2/en
Priority to PCT/KR2017/003625 priority patent/WO2017176014A1/ko
Publication of KR2017011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패턴이 비정형으로 형성된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과 복수의 접점으로 접하는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여 메쉬 패턴을 이루는 채널을 복수 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채널은, 복수의 가로 기준선과 복수의 세로 기준선이 겹쳐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기준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로 기준선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가로 기준선을 중심으로 ±30%의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30%의 폭은 상기 단위 셀 한 변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센서라인의 접점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지 않게 분포됨으로써 이물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이물감 발생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ENSOR COMPRISING ATYPICAL SENSOR PATTERN}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패턴이 비정형으로 형성된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표시장치 위에 부가되거나 표시장치 내에 내장 설계되는 입력장치로서,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근래 휴대전화(Mobile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많이 장착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내비게이션 장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터치입력 지원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테스크탑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V), 최첨단 전투기, 탱크, 장갑차 등 많은 산업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정전용량식, 압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저항막식,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적외선이 차단되는지 여부로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감지식 등이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정전용량식이고, 본 발명도 이러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은 2장의 터치 센서가 합지되거나 1장의 기판 양면에 터치 센서가 형성됨으로써 구성되고,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선 패턴으로 형성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오는 빛을 투과시켜야 하므로, 도선 패턴은 그물망과 같은 메쉬 패턴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메쉬 패턴은 일정한 간격으로 얇은 도선이 반복 형성된 형태이므로, 2장의 터치 센서가 겹쳐졌을 때 모아레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도 2에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비정형 센서 패턴(1)에 의해 모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과도한 비정형성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한 곳(a영역)에서는 센서 패턴이 밀집되고, 어느 한 곳(a`영역)에서는 센서 패턴이 밀집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센서 패턴이 밀집된 a영역에서 이물감이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센서 패턴이 밀집되지 않은 a`영역에 의해 이물감이 더욱 증대된다. 이로써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정형화된 센서 패턴에 의해 발생하는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는 하나, 과도한 비정형화에 의해 센서 패턴이 밀집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이물감이 발생됨과 동시에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5-0143987 A (2015. 12. 2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이물감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과 복수의 접점으로 접하는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여 메쉬 패턴을 이루는 채널을 복수 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채널은, 복수의 가로 기준선과 복수의 세로 기준선이 겹쳐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기준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로 기준선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가로 기준선을 중심으로 ±30%의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30%의 폭은 상기 단위 셀 한 변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2장이 합지되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및 터치스크린 패널은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센서라인의 접점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지 않게 분포됨으로써 이물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이물감 발생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및 터치스크린 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제1 센서라인과 복수의 접점으로 접하는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여 메쉬 패턴을 이루는 채널을 복수 개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기판(10),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채널(20), 채널(20)을 외부회로와 연결하는 배선 패턴(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채널(20)의 일단에 저항측정단자(40), 방전단자(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은 채널(20) 및 배선 패턴(30)이 형성되는 기재의 한 영역으로서, 투명 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 소재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판(10)은 투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투명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imede), 아크릴(Acryl), PEN(Polyethylene Naphthalate), 글래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채널(20)은 기판(10)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채널(20)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22)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서라인(24)이 교차하는 형태로 메쉬 패턴을 이룬다. 이때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은 다수 개의 단위라인(22a, 24a)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비정형 라인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20)은 복수의 제1 센서라인(22)과 복수의 제2 센서라인(24)이 서로 교차함으로써 형성되고, 이로 인해 채널(20)에는 4개의 꼭짓점{이하에서 설명될 접점(25)과 동일하다}을 갖는 셀(26)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평면도로서, 도 4에는 접점(25)과 접점(25) 사이의 센서라인이 직선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접점(25)과 접점(25) 사이의 센서라인이 곡선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이 생성되는 패턴의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로 기준선과 복수의 세로 기준선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점선)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 센서라인(22, 24)의 기준선으로서, 본 발명의 직접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은 다수 개의 단위 셀들로 이루어지는데, 단위 셀은 직사각형(直四角形) 형태로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직사각형은 네 각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을 의미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위 셀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500㎛으로 이루어지는 정사각형을 기준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채널(20)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과 중첩할 경우, 제1 센서라인(22)은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가로 기준선(H)을 중심으로 ±30% 이하의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된다. 제2 센서라인(24) 역시 마찬가지로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세로 기준선(A)을 중심으로 ±30% 이하의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된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위 셀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500㎛인 점을 감안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센서라인(22)은 가로 기준선(H)을 기준으로 위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1 가로 기준선(H1)과 아래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2 가로 기준선(H2) 사이에서 가변된다. 같은 원리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2 센서라인(24)은 세로 기준선(A)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1 세로 기준선(A1)과 오른쪽 방향으로 150㎛ 이동된 제2 세로 기준선(A2) 사이에서 가변된다. 결국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이 가변될 수 있는 폭은 총 60%이다.
또한,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은 ±30% 기준 폭을 형성하는 선과 만났을 시 그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기준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가령, 제1 센서라인(22)은 제1 가로 기준선(H1) 또는 제2 가로 기준선(H2)과 만났을 시 그 방향이 전환되고, 제2 센서라인(24)은 제1 세로 기준선(A1) 또는 제2 세로 기준선(A2)과 만났을 시 그 방향이 전환된다. 참고적으로 제1 센서라인(22) 또는 제2 센서라인(24)의 방향이 전환된다는 의미는, 각 센서라인(22, 24)이 대응되는 기준선(A, H)과 이루는 사잇각이 +에서 - 또는 -에서 +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사잇각의 +, - 기준은 정하기에 따라 다르다. 가령 제1 센서라인(22)의 경우 가로 기준선(H)과의 사잇각이 가로 기준선(H)의 위로 형성될 경우를 +로 정한다면, 가로 기준선(H)의 아래로 형성되는 경우는 -이다. 또한, 제1 센서라인(22)과 가로 기준선(H)이 만나지 않는 경우에는 임의적으로 제1 센서라인(22)을 연장하여 가로 기준선(H)과 만나도록 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
앞서 살펴본 종래의 비정형 센서 패턴과 같이 과도한 비정형 센서 패턴을 갖는 경우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의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물감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의 변동폭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중심으로 60%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제1 센서라인(22)과 제2 센서라인(24)의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접점(25)이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이물감 발생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20)의 셀(26) 하나의 면적은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단위 셀 면적보다 ±20%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채널(20)의 셀(26) 하나의 면적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셀 하나의 면적에 대비하여 80~120%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셀의 80%보다 작은 면적의 셀(26)과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셀의 120%보다 큰 면적의 셀(26)이 인접하는 경우 이는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될 수 있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면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셀(26) 하나의 면적은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 내 인접하는 4개의 접점이 이루는 각형의 단위 기준 패턴의 면적을 기준으로 -20% 내지 20%의 변동폭을 갖음으로써 접점(25)이 어느 한 영역에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접점(25) 중 연속하는 5개의 접점(25)을 잇는 복수의 제1 또는 제2 센서라인(22, 24)은 직선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즉, 4개의 접점(25)과 연결되는 3개의 제1 단위라인(22a) 또는 3개의 제2 단위라인(24a)까지만 연속적인 직선이 허용되고, 제1 센서라인(22)의 제1 단위라인(22a) 또는 제2 센서라인(24)의 제2 단위라인(24a)은 동일한 방향, 동일한 각도로 4회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만약 4개 이상의 제1 단위라인(22a) 또는 4개 이상의 제2 단위라인(24a)이 직선으로 형성될 경우, 모아레 현상을 유발하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채널(20)은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의 선의 폭이 20㎛ 이하에서 형성(가공성 및 전기전도성을 고려하여 최소 1㎛ 이상)되고, 하나의 단위라인(22a, 24a)의 길이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한 셀을 이루는 단위 선분 길이(500㎛)의 15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단위라인(22a, 24a)이 최대 750㎛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참고적으로 시인성에 최적화된 단위라인(22a, 24a)의 길이는 500㎛이다}. 이는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의 선폭이 20㎛를 초과하여 형성되거나 단위라인(22a, 24a)의 길이가 750㎛를 초과하여 형성된다면 접점(25)이 밀집되어 구성될 염려가 있고, 이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이 비정형의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단위라인(22a, 24a)의 각도는 30°이하로 형성된다. 즉, 제1 단위라인(22a)의 경우에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세로 기준선(A)에 대해 그 사잇각이 30°이하로 형성되고, 제2 단위라인(24a)의 경우에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가로 기준선(H)에 대해 그 사잇각이 30°이하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라인(22) 및 제2 센서라인(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위에서 기재한 각 규칙들이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평면도로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터치 센서 2장을 합지시켜 하나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2장이 합지되면 수율 및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내성율이 향상되는데 아래 표를 통해 자세히 살펴본다.
구분 상판 하판 평균
종래의 합지된 터치 센서 87.0% 91.0% 89.0%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 94.8% 100.0% 97.4%
구분 10kV 20kV 평균
종래의 합지된 터치 센서 72.0% 0.0% 36.0%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 98.0% 78.0% 88.0%
표 1은 종래의 합지된 터치 센서와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수율을 비교한 것이고, 표 2는 종래의 합지된 터치 센서과 본 발명에 따른 합지된 터치 센서의 ESD 내성율을 비교한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수율이 89.0%에서 97.4%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표 2를 참조하면 ESD 내성율이 36.0%에서 88.0%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종래보다 다수의 접점(25) 구간을 확보함으로써 단선 발생률이 감소되고 이로써 불량률이 감소함과 동시에 ESD에 대한 내성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배선 패턴(30)은 채널(20)로부터 감지된 터치 신호를 외부회로(미도시)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기판(10)에 형성된 채널(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저항측정단자(40)는 센서 패턴(20)의 배선 패턴(30)과 연결되지 않는 측단, 즉 채널(20)의 양단 중 배선 패턴(30)과 연결된 단을 일단이라 할 때 그 타단에 형성되며, 전극의 단선 도는 저항 증감 여부 등의 검출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배선 패턴(30)에 전류를 인가하면서 저항측정단자(40)에서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배선 패턴(30)에 연결된 센서 패턴(20) 또는 배선 패턴(30)의 단선 및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저항측정단자(40)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정상값보다 낮게 측정될 경우 채널(20)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측정된 전압이 정상값보다 높게 측정될 경우 채널(20)들 간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방전단자(50)는 채널(20)의 배선 패턴(30)과 연결되지 않은 측단, 즉 채널(20)의 양단 중 배선 패턴(30)과 연결된 단을 일단이라 할 때 그 타단에 형성되어 채널(20)에 유도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채널(20)은 기판(10) 내에 매립된 형태, 즉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각으로 채널(20)이 형성될 경우, 센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롤(roll)에 감고, 기판을 롤에서 풀어나가면서 음각에 전도성 물질을 채워 넣은 후 다시 롤(roll)에 감는 롤투롤(roll-to-roll) 방식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편리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H: 가로 기준선 H1: 제1 가로 기준선
H2: 제2 가로 기준선 A: 세로 기준선
A1: 제1 세로 기준선 A2: 제2 세로 기준선
10: 기판 20: 비정형 센서 패턴
22: 제1 센서라인 22a: 제1 단위라인
24: 제2 센서 라인 24a: 제2 단위라인
25: 접점 26: 셀
30: 배선 패턴 40: 저항측정단자
50: 방전단자

Claims (9)

  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라인;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라인과 복수의 접점으로 접하는 복수의 제2 센서라인을 포함하여 메쉬 패턴을 이루는 채널을 복수 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채널은, 복수의 가로 기준선과 복수의 세로 기준선이 겹쳐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을 기준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센서라인은 상기 가로 기준선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가로 기준선을 중심으로 ±30%의 폭의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30%의 폭은 상기 단위 셀 한 변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라인은 상기 세로 기준선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세로 기준선을 중심으로 ±30%의 폭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비정형 라인이고,
    상기 30%의 폭은 상기 단위 셀 한 변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라인은 상기 ±30%의 폭에 대응하는 선과 만났을 시 그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라인은, 다수 개의 제1 단위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센서라인은, 다수 개의 제2 단위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단위라인 또는 상기 제2 단위라인이 직선 또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라인은, 다수 개의 제1 단위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센서라인은, 다수 개의 제2 단위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연속하는 4개 이상의 상기 제1 단위라인 또는 상기 제2 단위라인은 직선을 이루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라인 및 상기 제2 단위라인은 그 길이가 상기 단위 셀 한 변의 길이 대비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메쉬 패턴 내 인접하는 4개의 접점이 이루는 도형의 단위 패턴의 면적은, 상기 가상의 기준 메쉬 패턴의 한 개의 단위 셀의 면적 대비 ±20%의 변동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라인의 선폭이 1~20㎛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9.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터치 센서 2장이 합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1020160041962A 2016-04-05 2016-04-05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KR10254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62A KR102541112B1 (ko) 2016-04-05 2016-04-05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CN201780021654.4A CN108885516B (zh) 2016-04-05 2017-04-03 触摸传感器以及利用该触摸传感器的触摸屏面板
EP17779314.8A EP3441856A4 (en) 2016-04-05 2017-04-03 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USING THE SAME
JP2019503178A JP6765499B2 (ja) 2016-04-05 2017-04-03 タッチ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
US16/088,015 US11003295B2 (en) 2016-04-05 2017-04-03 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using same
PCT/KR2017/003625 WO2017176014A1 (ko) 2016-04-05 2017-04-03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62A KR102541112B1 (ko) 2016-04-05 2016-04-05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609A Division KR102043987B1 (ko) 2019-04-18 2019-04-18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48A true KR20170114648A (ko) 2017-10-16
KR102541112B1 KR102541112B1 (ko) 2023-06-09

Family

ID=6000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62A KR102541112B1 (ko) 2016-04-05 2016-04-05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3295B2 (ko)
EP (1) EP3441856A4 (ko)
JP (1) JP6765499B2 (ko)
KR (1) KR102541112B1 (ko)
CN (1) CN108885516B (ko)
WO (1) WO2017176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0307A (zh) * 2017-11-30 2018-06-1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WO2022222022A1 (zh) * 2021-04-20 2022-10-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459A (ko) * 2012-08-29 2014-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JP2015143978A (ja) * 2013-12-26 2015-08-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50143987A (ko) 2014-06-13 2015-12-24 미래나노텍(주)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6868A1 (en) 1990-03-06 1991-09-07 Ellice Y. Luh Non-moire shielded window
JP4217397B2 (ja) * 2001-09-04 2009-01-28 Agc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線量読取装置
JP5515010B2 (ja) * 2008-07-02 2014-06-11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導電性膜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膜
KR101156275B1 (ko) 2009-02-06 2012-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US8599150B2 (en) * 2009-10-29 2013-12-03 Atmel Corporation Touchscreen electrode configuration
KR20130027747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US8963561B2 (en) * 2011-11-03 2015-02-24 Atmel Corporation Randomizing one or more micro-features of a touch sensor
KR20140025922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TWI623776B (zh) * 2012-12-17 2018-05-11 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設計光學基板的方法
KR20140110561A (ko) * 2013-03-08 2014-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 장치
US9954526B2 (en) 2013-09-09 2018-04-24 Atmel Corporation Generic randomized mesh design
TWI515629B (zh) 2014-12-04 2016-01-01 介面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及其感測電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459A (ko) * 2012-08-29 2014-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JP2015143978A (ja) * 2013-12-26 2015-08-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50143987A (ko) 2014-06-13 2015-12-24 미래나노텍(주)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112B1 (ko) 2023-06-09
CN108885516A (zh) 2018-11-23
EP3441856A4 (en) 2019-10-09
US11003295B2 (en) 2021-05-11
EP3441856A1 (en) 2019-02-13
WO2017176014A1 (ko) 2017-10-12
CN108885516B (zh) 2021-07-30
JP2019513277A (ja) 2019-05-23
US20200301545A1 (en) 2020-09-24
JP6765499B2 (ja)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919B2 (en) Capacitive touch screen and single layer wiring electrode array
US8780071B2 (en) Capacitive touch panel with multiple zones
CN101477430B (zh) 一种电容式触摸屏
EP3291071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388294B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CN109062442B (zh) 有机发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100328248A1 (en) Capacitive touch screen with reduced electrode trace resistance
CN104615323A (zh) 一种3d模组、3d显示装置和3d模组的驱动方法
US20190187843A1 (en) Flexible touch panel,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US11126312B2 (en) Touch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70329455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screen
KR20150143987A (ko)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WO2016155059A1 (zh) 一种触控面板和显示装置
CN104808837A (zh) 透明电极层、触控面板与电子装置
US9563324B2 (en) Touch panel substrate, electron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8723067B2 (en) Capacitive touch control sensor
KR20170114648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US20140055686A1 (en) Carbon nanotube touch panel having two carbon nanotube films
KR2015007876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US20210200353A1 (en)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203117938U (zh) 触摸感应元件及触摸屏
KR20190042539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US20230038087A1 (en) Screen device
CN103970313A (zh) 触摸感应元件及触摸屏
CN104866133A (zh) 触摸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