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249A -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249A
KR20170114249A KR1020170036293A KR20170036293A KR20170114249A KR 20170114249 A KR20170114249 A KR 20170114249A KR 1020170036293 A KR1020170036293 A KR 1020170036293A KR 20170036293 A KR20170036293 A KR 20170036293A KR 20170114249 A KR20170114249 A KR 2017011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handover
terminal
target
targ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515B1 (ko
Inventor
홍성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780018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886721B/zh
Priority to US16/090,335 priority patent/US10856201B2/en
Priority to PCT/KR2017/003431 priority patent/WO2017171405A1/ko
Publication of KR2017011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plit of the control plane or user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7Reselecting an access point between radio unit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서비스 중단 지연을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소스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이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controlling handove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서비스 중단 지연을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기존의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좁은 지역에 다수의 사용자가 모이는 핫 스팟 지역 또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넓은 커버리지의 경계부분에서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몰 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단말은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상대적으로 좁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스몰 셀 기지국을 통해서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다양한 데이터를 이동 중에도 끊김 없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오버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스몰 셀 기지국이 늘어남에 따라서 더 잦은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핸드오버 동작에서 단말이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연결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고속 대량 통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에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전술한 배경에서 일 실시예는 핸드오버 절차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타겟 기지국과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함으로서, 서비스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일 실시예는, 소스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이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핸드오버 모드가 구성된 경우,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하는 단계와 타겟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신호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소스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단말이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송신부는 단말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더 전송하는 소스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핸드오버 모드가 구성된 경우,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부 및 타겟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신호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핸드오버 과정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연결이 중단되는 기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핸드오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지연을 방지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기지국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핸드오버는 단말이 기지국 또는 셀을 변경할 때의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말,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 간의 신호 송수신 동작과 신호 처리 동작을 모두 포함한다. 아울러,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절차를 시작하는 시점에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을 맺고 있는 기지국을 의미하며,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 단말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을 맺고자 하는 목표 기지국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 벗어나는 통신 대상을 소스 기지국 또는 소스 셀로 기재하여 설명하고, 단말이 핸드오버 절차를 통해서 무선 연결을 구성하고자 하는 통신 대상을 타겟 기지국 또는 타겟 셀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핸드오버 기술에서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에 전달할 RRC 메시지(예를 들어, mobilityControlInformation을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생성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ACKNOWLEDGE)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에 보낸다.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에 전달할 RRC 메시지를 운반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그 컨테이너는 new C-RNTI, target eNB security algorithm identifier, dedicated RACH preamble, target eNB SIBs 그리고 일부 다른 파라메터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말에 전달할 RRC 메시지는 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로 타겟 기지국이 생성하여 소스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필요한 integrity protection과 ciphering을 수행한다.
이후,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지(stop)한다.
단말은, mobilityControlInformation을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후, 타겟 기지국으로 동기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RACH를 통해 타겟 셀에 액세스한다.
단말은 타겟 기지국 특정한 키를 유도하고 타겟 셀에서 사용될 선택된 시큐리티 알고리즘을 구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obilityControlInformation을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만약 캐리어주파수(carrierFreq)가 포함되면, 단말은 타겟 PCell을 targetPhysCellId에 의해 지시된 물리 셀 식별자를 가진 캐리어 주파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상에 하나로 고려한다. 만약 캐리어주파수(carrierFreq)가 포함되지 않으면, 단말은 타겟 PCell을 targetPhysCellId에 의해 지시된 물리 셀 식별자를 가진 소스 PCell의 주파수 상에 하나로 고려한다.
단말은 타겟 PCell의 다운링크에 동기화를 시작한다.
단말은 MCG(Master Cell Group) MA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Secondary Cell Group) MAC을 리셋한다.
단말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MCG RL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은 만약 구성되었다면, 하위 계층에 SCell(s)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고려하도록 구성한다.
단말은 C-RNTI로 신규 단말 식별자(newUE-Identity) 값을 적용한다.
단말은 전송을 위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하위 계층으로 제출한다.
타겟 기지국은 업링크 할당과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지고 응답한다(The target eNB responds with UL allocation and timing advance).
단말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은 핸드오버를 확인하기 위해, 업링크 BSR(Buffer Status Report)과 함께 타겟 기지국에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message (예를 들어, C-RNTI를 포함하는)를 보낸다. 타겟 기지국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된 C-RNTI를 확인(verify)한다.
타겟 기지국은 단말에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한다.
이상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E-UTRAN 기술에서는 셀 변경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랜덤 엑세스를 수행해야 했다. 또한, 단말이 RRC 메시지를 수신하여 타겟 셀에 액세스를 수행하고, 타겟 셀이 단말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까지 단말은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중단되고, 타겟 셀과의 연결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은 중단(interruption)된다.
실제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핸드오버로 인한 중단 시간이 길어지면 이는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핸드오버로 인한 중단 시간이 50ms를 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더 나은 통신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지연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는 핸드오버 절차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일 예로, 핸드오버 절차의 진행 동안 단말과 소스 기지국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 접속하는 핸드오버 절차에서 타겟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방법(RACH-less handover)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셀과 타겟 셀에 동기화되었을 때, 동기화된 네트워크에서 소스 셀과 타겟 셀 간의 서브프레임 바운더리는 정렬(align)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때, 한가지 방법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요구하지 않고 소스 셀에서 타겟 셀로 스위치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은 종래의 핸드오버 프로시져를 사용하지만 RACH 관련 스텝을 스킵(skip)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들을 단말과 기지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절차가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술한 서비스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핸드오버 절차에 대해서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Legacy 단말의 경우에 기존의 핸드오버 절차로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하므로, Legacy 단말도 커버할 수 있는 개선된 핸드오버 절차에 대해서 제안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서비스 지연을 야기시키는 핸드오버 절차(기술)과 대비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절차 및 기술을 개선된 핸드오버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 핸드오버 기술과의 구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명칭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의 핸드오버 절차를 통칭하여 개선된 핸드오버로 부르며, 개선된 핸드오버라는 명칭은 아래 실시예들의 절차에 따른 핸드오버 기술을 의미한다.
개선된 핸드오버의 일 실시예로 단말이 핸드오버 과정에서 소스 기지국과의 통신 연결을 특정 시점까지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경우에 소스 기지국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개선된 핸드오버 절차에 따라 핸드오버를 진행한다. 이때, 소스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 연결은 특정 시점(예를 들어,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 최초의 랜덤 액세스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유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단말이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면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하고 타겟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에 따라 접속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단말은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이 중단된 시점부터 타겟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 절차가 모두 종료되어 연결이 구성될 때까지 통신 연결이 중지되어 서비스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개선된 핸드오버의 일 실시예는 단말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 소스 기지국과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개선된 핸드오버 절차에 대해서 소스 기지국과 단말의 입장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은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리포트 등을 고려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는 개선된 핸드오버를 의미한다. 즉, 소스 기지국은 단말이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에 해당 단말의 핸드오버 모드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을 전달한다.
또한,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0).
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겟 기지국이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오버 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성 제어 정보는 RRC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으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컨테이너는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단말로 전달한다.
S110 단계와 S120 단계를 통해서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은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가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에 따른 절차로 진행됨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0).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RC 컨테이너를 단말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컨테이너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타겟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된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컨테이너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소스 기지국은 단말이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40).
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은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한 후 바로 단말과의 연결을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까지 단말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스 기지국은 단말이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신호는 단말이 타겟 기지국에 액세스 하기 위해서 PRACH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랜덤 액세스 신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신호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소스 기지국은 단말에 핸드오버를 명령하고 바로 통신 연결을 중단하지 않고, 특정 시점까지 통신 연결을 유지하여 서비스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10). 단말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 핸드오버 명령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RRC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RRC 컨테이너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성 제어 정보는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컨테이너는 타겟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되어 소스 기지국을 거쳐서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위한 구성이 단말에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만약, 단말이 Legacy 단말로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위한 구성이 설정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하고 종래의 핸드오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핸드오버 모드가 구성된 경우,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20). 단말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위한 구성이 설정되어 있는 겨웅에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더라도 바로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하지 않고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소스 기지국에 연계된 MCG MAC과 SCG MAC을 바로 리셋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모든 RB들에 대한 PDCP 재설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30). 단말은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 절차에 따라 타겟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위해서 랜덤 액세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신호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신호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40).
일 예로, 단말은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가 전송되면, 소스 기지국과의 송수신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소스 기지국에 연계된 MAC 개체를 리셋하고 모든 RB에 대한 PDCP 재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하고 타겟 기지국과 동기화를 진행하여 타겟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개시한다.
다른 예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완료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 기지국은 단말과의 랜덤 액세스 완료에 대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완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중단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오버 절차에서 단말과 소스 기지국은 특정 시점까지 통신 연결을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서비스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통신 품질의 향상을 제공하고 고속 대용량 통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에서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각 단계 또는 추가 단계에 대한 다양한 세부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나누어 설명한다.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에 따른 개선된 핸드오버 지시 방법
RRC Connected 단말에 대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적합한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 캐퍼빌리티를 정확하게 인지해야 한다. 보통의 경우 MME는 UE Radio Access Capability와 UE Core Network Capability로 구성되는 단말 캐퍼빌리티를 저장한다.
이를 위한 일 예로 UE Core Network Capability는 단말에 의해 NAS 시그널링(attach 프로시져 등)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UE Radio Access Capability는 UE capability transfer 프로시져를 사용하여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달되고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로 전달될 수 있다. 기지국이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단말로 보내면, 단말은 UE capability Information 정보를 통해 이를 응답함으로써 기지국이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또 다른 예로 UE Radio Access Capability는 단말에 의해 NAS 시그널링(attach 프로시져 등)을 통해 MME로 지시되고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MME는 가용한 경우 단말이 RRC Connected로 들어갈 때마다 기지국에 UE Radio Access Capability를 전송한다.
단말은 종래의 핸드오버와 다른 개선된 핸드오버 동작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전술한 개선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는 특정 밴드별 또는 특정한 밴드조합별로 개선된 핸드오버를 제공하는지를 나타낼 수도 있고, 밴드에 관계없이 개선된 핸드오버를 제공하는지를 나타낼 수도 있다.
기지국은 이를 기반으로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핸드오버 동안 소스 기지국 연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단말로 지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RACH-less 핸드오버에 대한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단말로 지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기지국이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고려하여 개선된 핸드오버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의 방법을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기지국 간 메시지를 통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 지원을 인지하는 방법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를 결정한 단말에 대해 타겟 기지국이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 간 메시지(예를 들어 X2 setup request 또는 X2 setup response 또는 eNB Configuration Update 또는 Mobility setting change) 또는 MME를 통해 기지국이 교환하는 메시지를 통해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이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알고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지국 간 메시지를 통해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요청하여 이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간 메시지 내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 지원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의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 간에 응용 레벨 구성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X2 인터페이스로 연계된 다른 기지국이 이를 지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이웃 셀을 제어하는 피어 기지국과 핸드오버 트리거 세팅을 협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mobility setting change 프로시져를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피어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새로운 non UE-associated X2 시그널링 프로시져를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피어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OAM을 통해 타겟 기지국이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알고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지원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의하여 기지국 간에 교환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 간에 또는 OAM을 통해 응용 레벨 구성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X2인터페이스로 연계된 기지국이 이를 지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소스 기지국은 단말 캐퍼빌리티를 통해 핸드오버를 결정한 단말의 타겟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해당 단말이 핸드오버 하려는 타겟 셀을 제공하는 타겟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타겟 기지국과 보통의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캐퍼빌리티 정보를 타겟 기지국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2.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에서 모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타겟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방법.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핸드오버준비정보를 포함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또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는 핸드오버준비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정보로 포함할 수도 있다. 타겟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 대해서 타겟 기지국은 개선된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보낸다.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개선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로서 단말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RRC 컨테이너는 new C-RNTI, target eNB security algorithm identifier, dedicated RACH preamble, target eNB SIBs 그리고 일부 다른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RRC 컨테이너는 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겟 기지국은 단말로 전송될 RRC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필요한 integrity protection과 ciphering을 수행한다.
만약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개선된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개선된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한 후 타겟 기지국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보낸다.
만약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보통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보통의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에서 모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소스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방법.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핸드오버준비정보를 포함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또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준비 정보에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정보로 포함할 수도 있다.
타겟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타겟 기지국은 개선된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보낸다.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로서 단말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RRC 컨테이너는 new C-RNTI, target eNB security algorithm identifier, dedicated RACH preamble, target eNB SIBs 그리고 일부 다른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RRC 컨테이너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또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보낸다.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로서 단말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RRC 컨테이너는 new C-RNTI, target eNB security algorithm identifier, dedicated RACH preamble, target eNB SIBs 그리고 일부 다른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RRC 메시지는 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연결 RRC 재구성 메시지로 타겟 기지국이 생성하여 소스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하는 것이다. 소스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필요한 integrity protection과 ciphering을 수행한다.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전송될 RRC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타겟 기지국이 전달한 핸드오버 요청확인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 상에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전송될 RRC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전송될 RRC 메시지에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컨테이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개선된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소스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통해 추가한 구성에 대해 단말이 수신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보통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보통의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 타겟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 구성 여부를 소스 기지국에 지시하는 방법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핸드오버준비정보를 포함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또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준비 정보에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정보로 포함할 수도 있다.
타겟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타겟 기지국은 보통의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mobilityControlInformation을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생성하고, 핸드오버 요청 확인(ACKNOWLEDGE)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에 보냄)을 수행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타겟 기지국은 개선된 핸드오버/보통의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mobilityControlInformation을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생성하고, 핸드오버 요청 확인(ACKNOWLEDGE)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에 보냄)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에는 보통의 핸드오버/개선된 핸드오버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5. 타겟 기지국의 지원여부에 관계없이 소스 기지국에서 개선된 핸드오버 기능을 지시하는 방법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핸드오버준비정보를 포함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핸드오버준비정보를 포함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 개선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캐퍼빌리티 정보를 타겟 기지국에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보낸다.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로서 단말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RRC 컨테이너는 new C-RNTI, target eNB security algorithm identifier, dedicated RACH preamble, target eNB SIBs 그리고 일부 다른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RRC 메시지는 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로 타겟 기지국이 생성하여 소스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하는 것이다. 소스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필요한 integrity protection과 ciphering을 수행한다. 소스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RRC 메시지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전술한 단말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전송될 RRC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RRC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개선된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소스기지국으로 보낼 수 있다. 즉 소스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통해 추가한 구성에 대해 단말이 수신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개선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보통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보통의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과 기지국이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개선된 핸드오버 절차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310)은 측정 리포트와 RRM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300)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300).
소스 기지국(310)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낸다(S310).
수신된 E-RAB QoS 정보에 따라 타겟 기지국(320)에서 수락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S320).
타겟 기지국(320)은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그리고 소스 기지국(310)에 핸드오버 요청 확인(Handover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보낸다(S330).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로서 단말(300)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소스 기지국(310)은 mobilityControlInformation를 포함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300)로 보낸다(S340).
소스 기지국(310)은 업링크 PDCP SN 수신기 상태와 다운링크 PDCP SN 송신기 상태를 운반하기 위해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낸다(S350).
mobilityControlInformation를 포함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를 수신하면,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에 동기화를 수행하고 타겟 셀에 RACH를 통해 액세스한다(S360). 타겟 기지국(320)은 업링크 할당과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지고 응답할 수 있다.
단말(300)은 랜던 액세스 절차에 따라 소스 기지국(310)과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S370).
일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소스 기지국(310)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소스 기지국(310)에 연결된 엔티티를 재구성/재설정/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300)은 MCG MA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MAC을 리셋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MCG RL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또 다른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새로운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300)은 MCG MA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MAC을 리셋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MCG RL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보낸다(S380).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내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메시지를 보낼 때 단말(300)은 가능한 경우 버퍼 상태 리포트를 함께 보낼 수 있다
UE Context Release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타겟 기지국(320)은 소스 기지국(310)에 HO 성공을 알리고 소스 기지국(310)에 의한 자원의 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다(S39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310)은 측정 리포트와 RRM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300)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400).
소스 기지국(310)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낸다(S410).
수신된 E-RAB QoS 정보에 따라 타겟 기지국(320)에서 수락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S420).
타겟 기지국(320)은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그리고 소스 기지국(310)에 핸드오버 요청 확인(Handover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보낸다(S430).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로서 단말(300)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소스 기지국(310)은 mobilityControlInformation를 포함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300)로 보낸다(S440).
단말(300)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통해 소스 기지국(310)에 개선된 핸드오버를 메시지를 수신했음을 확인한다(S445).
소스 기지국(310)은 업링크 PDCP SN 수신기 상태와 다운링크 PDCP SN 송신기 상태를 운반하기 위해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낸다(S450). 또는 S450 단계는 S445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에 동기화를 수행하고 타겟 셀에 RACH를 통해 액세스한다(S460). 타겟 기지국(320)은 업링크 할당과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지고 응답할 수 있다.
단말(300)은 타겟 셀로의 랜덤 액세스 절차에 따라 소스 기지국(310)과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S470).
일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소스 기지국(310)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소스 기지국(310)에 연결된 엔티티를 재구성/재설정/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300)은 MCG MA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MAC을 리셋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MCG RL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또 다른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새로운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300)은 MCG MA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MAC을 리셋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MCG RL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보낸다(S480). 또는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단말(300)이 새로운 구성 적용에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RRC 메시지(설명의 편의를 위해 Connection status report로 표기하나 이는 타겟 기지국(320)에 타겟 기지국(320)이 지시한 구성을 적용이 성공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다른 용어가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를 보낼 수 있다.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내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또는 새로운 구성 적용에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RRC 메시지)를 보낼 때 단말(300)은 가능한 경우 버퍼 상태 리포트를 함께 보낼 수 있다
UE Context Release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타겟 기지국(320)은 소스 기지국(310)에 HO 성공을 알리고 소스 기지국(310)에 의한 자원의 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다(S490).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310)은 측정 리포트와 RRM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300)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S500).
소스 기지국(310)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낸다(S510).
수신된 E-RAB QoS 정보에 따라 타겟 기지국(320)에서 수락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S520).
타겟 기지국(320)은 핸드오버를 준비한다. 그리고 소스 기지국(310)에 핸드오버 요청 확인(Handover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보낸다(S530).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RRC 메시지로서 단말(300)로 전송될 RRC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소스 기지국(310)은 mobilityControlInformation를 포함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300)로 보낸다(S540).
소스 기지국(310)은 업링크 PDCP SN 수신기 상태와 다운링크 PDCP SN 송신기 상태를 운반하기 위해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낸다(S550). 또는 S550 단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S560 또는 S565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에 동기화를 수행하고 타겟 셀에 RACH를 통해 액세스한다(S560). 타겟 기지국(320)은 업링크 할당과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지고 응답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300)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통해 소스 기지국(310)에 개선된 핸드오버를 메시지를 수신했음을 확인한다(S565). 또는 이에 더해 단말(300)이 타겟 기지국(320)에 랜덤 액세스에 성공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기지국(310)이 단말(300)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지(stop)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310)은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300)은 단말(300)이 타겟 기지국(320)에 랜덤 액세스에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RRC 메시지(설명의 편의를 위해 RA status report로 표기하나 이는 소스 기지국(310)에 타겟 기지국(320)에 랜덤 액세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다른 용어가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를 소스 기지국(310)으로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기지국(310)이 단말(300)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지(stop)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310)은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310)이 타겟 기지국(320)으로 전달하는 메시지는 단말(300)이 타겟 기지국(320) 액세스에 성공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또는 타겟 기지국(32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300)은 타겟 셀로의 랜덤 액세스에 따라 소스 기지국(310)과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S570).
일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소스 기지국(310)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소스 기지국(310)에 연결된 엔티티를 재구성/재설정/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300)은 MCG MA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MAC을 리셋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MCG RL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또 다른 예로, 단말(300)이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새로운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300)은 MCG MA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MAC을 리셋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PDCP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설정된 모든 RBs(Radio Bearers)에 대한 MCG RLC 그리고 만약 구성되었다면 SCG RLC를 재설정(re-establish)한다.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보낸다(S580). 또는 단말(300)은 타겟 기지국(320)으로 단말(300)이 새로운 구성 적용에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RRC 메시지(설명의 편의를 위해 Connection status report로 표기하나 이는 타겟 기지국(320)에 타겟 기지국(320)이 지시한 구성을 적용이 성공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다른 용어가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를 보낼 수 있다. 타겟 기지국(320)으로 보내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또는 새로운 구성 적용에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RRC 메시지)를 보낼 때 단말(300)은 가능한 경우 버퍼 상태 리포트를 함께 보낼 수 있다
UE Context Release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타겟 기지국(320)은 소스 기지국(310)에 HO 성공을 알리고 소스 기지국(310)에 의한 자원의 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다(S590).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순서가 바뀌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의 일부 또는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스 기지국 및 단말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기지국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소스 기지국(600)은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620)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630) 및 단말이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620)는 단말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리포트 등을 고려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는 개선된 핸드오버를 의미한다.
송신부(620)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을 전달한다.
수신부(630)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겟 기지국이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오버 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성 제어 정보는 RRC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으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컨테이너는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단말로 전달된다.
송신부(620)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RC 컨테이너를 단말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컨테이너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타겟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된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컨테이너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제어부(610)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한 후 바로 단말과의 연결을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까지 단말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10)는 단말이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신호는 단말이 타겟 기지국에 액세스 하기 위해서 PRACH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랜덤 액세스 신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신호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630)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6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스 기지국(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620)와 수신부(6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 및 타겟 기지국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700)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730)와 핸드오버 모드가 구성된 경우,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부(710) 및 타겟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신호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수신부(730)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 핸드오버 명령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RRC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RRC 컨테이너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성 제어 정보는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컨테이너는 타겟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되어 소스 기지국을 거쳐서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710)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10)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위한 구성이 단말에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만약, 단말이 Legacy 단말로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위한 구성이 설정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하고 종래의 핸드오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단말에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를 위한 구성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710)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더라도 바로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하지 않고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소스 기지국에 연계된 MCG MAC과 SCG MAC을 바로 리셋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모든 RB들에 대한 PDCP 재설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송신부(720)는 개선된 핸드오버 모드 절차에 따라 타겟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위해서 랜덤 액세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신호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10)는 일 예로,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가 전송되면, 소스 기지국과의 송수신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되면, 소스 기지국에 연계된 MAC 개체를 리셋하고 모든 RB에 대한 PDCP 재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710)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하고 타겟 기지국과 동기화를 진행하여 타겟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개시한다.
제어부(710)는 다른 예로, 랜덤 액세스 완료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소스 기지국과의 연결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 기지국은 단말과의 랜덤 액세스 완료에 대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완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중단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수신부(730)는 소스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송신부(720)는 소스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소스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상기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상기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컨테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성 제어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신호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이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모드가 구성된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하는 단계;
    타겟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소스 기지국과의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를 리셋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되어 상기 단말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소스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핸드오버 모드에 따라 상기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첫 번째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단말로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더 전송하는 소스 기지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는,
    상기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컨테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성 제어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지국.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신호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이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지국.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지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지국.
  16.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핸드오버 모드가 구성된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유지하는 제어부; 및
    타겟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소스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기지국의 타겟 셀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소스 기지국과의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를 리셋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과의 송수신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되어 상기 단말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70036293A 2016-04-01 2017-03-22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5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18639.4A CN108886721B (zh) 2016-04-01 2017-03-29 切换控制方法及其设备
US16/090,335 US10856201B2 (en) 2016-04-01 2017-03-29 Handover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for
PCT/KR2017/003431 WO2017171405A1 (ko) 2016-04-01 2017-03-29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71 2016-04-01
KR20160040471 2016-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249A true KR20170114249A (ko) 2017-10-13
KR101954515B1 KR101954515B1 (ko) 2019-03-07

Family

ID=6013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93A KR101954515B1 (ko) 2016-04-01 2017-03-22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56201B2 (ko)
KR (1) KR101954515B1 (ko)
CN (1) CN108886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981B1 (ko) * 2016-02-19 2022-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시 데이터 전송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277879B (zh) 2016-04-01 2021-06-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支持无缝切换的方法及基站设备
US10581495B2 (en) * 2017-08-18 2020-03-03 Nokia Technologies Oy Physical layer configuration continuity during radio resource control restoration
US10972950B2 (en) * 2018-07-20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over enhancements
EP3855802A4 (en) * 2018-09-18 2021-11-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WITCH PROCESSING METHOD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0061943A1 (zh) * 2018-09-27 2020-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WO2020061931A1 (zh) * 2018-09-27 2020-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上报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WO2020237484A1 (zh) * 2019-05-27 2020-1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小区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647144B (zh) * 2019-07-05 2024-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条件切换指示方法、终端设备、源基站及存储介质
CN112218288B (zh) * 2019-07-12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EP4007370A4 (en) * 2019-09-30 2022-08-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CN114258706A (zh) * 2019-10-12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处理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
CN115399052A (zh) * 2020-04-09 2022-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报告无线通信网络中的随机接入信息的系统和方法
CN114641082A (zh) * 2020-12-16 2022-06-17 夏普株式会社 小区变更方法以及用户设备
CN116266937A (zh) * 2021-12-17 2023-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的方法和通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8973A1 (en) * 2010-01-11 2012-08-30 Zte Corporation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WO2016031779A1 (ja) * 2014-08-28 2016-03-03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64561B (zh) * 2006-04-29 2011-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间切换过程中实现上行同步的方法
US8891441B2 (en) 2008-09-04 2014-11-18 Intel Corporation L2 tunneling-based low latency single radio handoffs
WO2010110594A2 (ko) 2009-03-25 2010-09-30 (주)엘지전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CN102238665B (zh) * 2010-05-05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基站、用户设备及系统
WO2011142628A2 (en) 2010-05-14 2011-11-17 Lg Electronics Inc.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02255B2 (en) * 2010-09-30 2016-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multiple uplink component carriers
US20150215838A1 (en) * 2012-09-12 2015-07-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control in heterogenous network
WO2014148874A1 (ko) * 2013-03-22 2014-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연결 모드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50109927A1 (en) * 2013-10-18 2015-04-23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to access point interface for data bearer routing
KR102122488B1 (ko) 2013-10-22 2020-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1640681B1 (ko) 2014-01-16 2016-07-19 주식회사 케이티 듀얼 커넥티비티에서 기지국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8973A1 (en) * 2010-01-11 2012-08-30 Zte Corporation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WO2016031779A1 (ja) * 2014-08-28 2016-03-03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86721B (zh) 2021-06-22
US20190116541A1 (en) 2019-04-18
US10856201B2 (en) 2020-12-01
CN108886721A (zh) 2018-11-23
KR101954515B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515B1 (ko)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54495B1 (ko) 단말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72111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dual-connectivity by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1503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ACH-less mobility with pre-allocated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17098B1 (ko) 이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EP287569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2806B2 (en) Method for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and device therefor
KR101632277B1 (ko)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상황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18047A (ko) 단말 기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CN110461029B (zh) 一种异构网络下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102038500B1 (ko) 업링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14258A (ko)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020444A1 (en) Method for applying a new pucch configuration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180014332A1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40145524A (ko)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687369B2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034312B2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2003273B1 (ko) 이중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식별자 구성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374688A1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15169399A1 (en) Uplink timing of secondary cell
US20180007715A1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2002203B1 (ko)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29286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4182A (ko) Urllc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절차 방법 및 장치
KR20180137070A (ko) Nr-lte 연동을 위한 통합 스플릿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