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159A -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159A
KR20170114159A KR1020160041504A KR20160041504A KR20170114159A KR 20170114159 A KR20170114159 A KR 20170114159A KR 1020160041504 A KR1020160041504 A KR 1020160041504A KR 20160041504 A KR20160041504 A KR 20160041504A KR 20170114159 A KR20170114159 A KR 20170114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upport portion
user
foot
metata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장
Original Assignee
이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장 filed Critical 이희장
Priority to KR102016004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159A/ko
Publication of KR2017011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보행시 바닥면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층간소음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행 과정에서 발 및 다리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쾌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발을 감싸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 발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사용자 발을 감싸되, 종골, 주상골, 설상골, 중족골 부위를 감싸고, 상기 쿠션재는, 상기 종골 후방과 접촉하는 제1지지부, 상기 종골 하부와 접촉하는 제2지지부, 상기 주상골 및 설상골 하부 외측과 접촉하는 제3지지부, 상기 중족골 하부와 접촉하는 제4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over shoes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덧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보행시 바닥면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층간소음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행 과정에서 발 및 다리가 보행 적합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쾌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경우,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상부층의 바닥이 하부층의 천장 부위가 된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어느 한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바닥 또는 천장을 통해 상하좌우로 전달되어 인접하는 이웃 세대에 미치게 되며, 특히 직하부의 세대에 집중적으로 미치게 된다.
이때, 상부층 등에서 전달되는 층간소음은 상당한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므로 공동주택에서 이웃 간의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은 더욱 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공동주택 거주자의 일부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753호(공개일 : 2015. 02. 25.)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매트를 바닥에 깔아 층간소음 유발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통상 매트는 주거 공간의 일부에만 깔리므로 매트 이외 부위에서 층간소음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층간소음의 70% 이상이 실내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유발된다.
즉, 보행시 보행자의 체중과 운동에너지는 경골과 비골로 구성되는 다리뼈를 거쳐 발로 전달되고, 발은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는바, 바닥면에 보행자의 체중과 운동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충격이 발생하여 층간소음이 유발된다.
이때, 발은 앞꿈치 부위를 이루는 전족부 및 뒤꿈치 부위를 이루는 후족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족부는 족지골 및 중족골을 포함하여 19개의 비교적 다수의 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족부는, 수평 아치, 즉 발의 폭 방향으로 아치 구조인바, 보행시 작용하는 보행자의 체중 및 운동에너지가 중족골 내측 선단으로 집중되기는 하나, 비교적 다수의 뼈 및 이를 감싸는 근육에 의해 보행자의 체중 및 운동에너지가 분산되므로 전족부에 의해 바닥면에 미치는 충격은 비교적 미미하다.
그러나, 후족부는, 종골 및 설상골을 포함하여 7개의 비교적 소수 뼈로 구성되고, 수직 아치, 즉 발의 길이 방향으로 아치 구조인바, 보행자의 체중 및 운동에너지가 다리뼈로부터 곧바로 이어지는 종골에 집중되고, 종골 부위가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바닥면에 미치는 충격이 상당할 수밖에 없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실내 보행시 발의 종골 부위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시의 충격으로 인한 층간소음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행 과정에서 발 및 다리가 보행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쾌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 보행시 보행자의 다리뼈를 거쳐 발로 전달되는 보행자의 체중 및 운동에너지가 발의 후족부, 특히 종골에 집중되어 바닥면에 미치는 충격이 상당함에 따라 층간소음이 유발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은, 사용자 발을 감싸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발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사용자 발을 감싸되, 종골, 주상골, 설상골, 중족골 부위를 감싸고, 상기 쿠션재는, 상기 종골 후방과 접촉하는 제1지지부, 상기 종골 하부와 접촉하는 제2지지부, 상기 주상골 및 설상골 하부 외측과 접촉하는 제3지지부, 상기 중족골 하부와 접촉하는 제4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사용자 발의 상기 중족골 부위 전방이 개방된다.
상기 몸체는 사용자 발의 상기 주상골, 상기 설상골, 상기 중족골 부위 상면에 결속부재를 통해 결속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신축성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는 상기 몸체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제2,3,4지지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된다.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제2,3,4지지부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된다.
상기 쿠션재는 발포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는, 발포폼으로 형성되되, 우레탄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상기 제3지지부, 상기 제4지지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에 비해 무르거나 단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는 접착 또는 융착에 의해 상기 몸체와 결합된다.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제2지지부는 최고 두께가 10-3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은, 몸체에 쿠션재가 결합되는바, 보행시 사용자 발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 특히, 상기 종골(B1) 하부와 상기 중족골(B4) 내측 선단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쿠션재에 의해 완화되므로 실내 보행으로 인한 층간소음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은, 쿠션재의 제2,3,4지지부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되는바, 쿠션재의 지지에 의해 사용자 체중의 중심이 사용자 발의 앞쪽으로 또한 내측으로 유도되므로 하체의 근육이 단련될 뿐만 아니라 보행이 경쾌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은, 몸체의 전방이 개방되는바, 착용 상태에서 통풍이 원활하므로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은, 몸체의 절개부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바, 절개부의 결속 상태 조절이 가능하므로 절개부의 결속을 느슨하게 함에 따라 착용이 용이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개부의 결속을 조임에 따라 착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의 구조(오른발 기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에서 쿠션재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에서 쿠션재의 제4지지부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에서 결속부재에 의한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에서 쿠션재 일부가 다른 재질로 형성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에서 몸체와 쿠션재의 다른 겹합 형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A)은, 몸체(10)와 쿠션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사용자 발(100)을 감싼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사용자 발(100)을 감싸되, 종골(B1), 주상골(B2), 설상골(B3), 중족골(B4) 부위를 감쌈으로써 상기 몸체(10)에 의해 사용자 발(100)의 상기 종골(B1) 부위, 상기 주상골(B2), 상기 설상골(B3) 부위, 상기 중족골(B4) 부위가 보호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는 상기 쿠션재(20)에 의해 사용자 발(100)의 상기 종골(B1) 부위, 상기 주상골(B2), 상기 설상골(B3) 부위, 상기 중족골(B4) 부위의 지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사용자 발(100)의 상기 중족골(B4) 부위 전방이 개방됨으로써 사용자 발(100)의 상기 중족골(B4) 부위 전방, 즉 족지골(B5) 부위가 상기 몸체(10) 외부로 노출되므로 착용 상태에서 통풍이 원활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사용자 발(100)의 상기 주상골(B2), 상기 설상골(B3), 상기 중족골(B4) 부위 상면에 결속부재(12)를 통해 결속되는 절개부(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속부재(12)를 통해 상기 절개부(11)의 결속 상태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12)는 상기 절개부(11)의 결속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 예로는 벨크로테이프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신축성 시트, 즉 신축성 직물 시트, 신축성 고무 시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축성 시트로 형성되는 상기 몸체(10)는 다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므로 상기 몸체(10)의 착용이 용이하다.
상기 쿠션재(20)는 상기 몸체(10)에 결합되어 사용자 발(100)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이와 같은 상기 쿠션재(20)는, 상기 종골(B1) 후방과 접촉하는 제1지지부(21), 상기 종골(B1) 하부와 접촉하는 제2지지부(22),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과 접촉하는 제3지지부(23), 상기 중족골(B4) 하부와 접촉하는 제4지지부(24)를 포함함으로써 보행시 상기 쿠션재(20)를 통해 상기 종골(B1) 후방, 상기 종골(B1) 하부,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 상기 중족골(B4) 하부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20)의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특히 상기 종골(B1) 하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지지부(22)의 두께가 최대화되므로 상기 종골(B1) 하부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집중적으로 완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체중의 중심이 사용자 발(100)의 앞쪽으로 유도되어 하체의 근육이 단련될 뿐만 아니라 보행이 경쾌해진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20)는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종골(B1) 하부의 외측이 내측에 비해 더 두껍고,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의 외측이 내측에 비해 더 두꺼우며, 상기 중족골(B4) 하부의 외측이 내측에 비해 더 두꺼우므로 상기 종골(B1) 하부의 외측,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의 외측, 상기 중족골(B4) 하부의 외측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완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체중의 중심이 사용자 발(100)의 내측으로 유도되어 하체의 근육이 단련될 뿐만 아니라 보행이 경쾌해진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20)는 발포폼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쿠션재(20)의 재질 특성상 보행시의 충격이 완화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20)는, 발포폼으로 형성되되, 우레탄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레탄폼은 재질의 특성상 탄성이 우수, 다시 말해 가압 상태로부터 해제될 때 복원이 원활하므로 가압 및 가압 해제가 반복되는 상기 쿠션재(20)의 형상 유지가 용이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재(20)에서 상기 제1지지부(21), 상기 제2지지부(22), 상기 제3지지부(23), 상기 제4지지부(24)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에 비해 무르거나 단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1), 상기 제2지지부(22), 상기 제3지지부(23), 상기 제4지지부(24)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머지에 비해 무르거나 단단하게 형성되면 상기 쿠션재(20)의 부위별 충격 완화 효과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21), 상기 제2지지부(22), 상기 제3지지부(23), 상기 제4지지부(24)는 발포 정도의 증감 또는 재질 변경 등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머지에 비해 무르거나 단단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20)는 상기 몸체(10) 내측, 즉 상기 몸체(10)의 저면 상부에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외측, 즉 상기 몸체(10)의 저면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재(20)와 상기 몸체(10)의 결합은 그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접착 또는 융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20)에서 상기 제2지지부(22)는 최고 두께가 10-30mm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2지지부(22)의 최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상기 쿠션재(20)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쿠션재(20)를 통한 충격 완화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A)을 통한 충간소음 유발 방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는, 사용자 발(100)의 상기 종골(B1), 상기 주상골(B2), 상기 설상골(B3), 상기 중족골(B4) 부위를 감싼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와 결합되는 상기 쿠션재(20)는, 상기 종골(B1) 후방과 접촉하는 제1지지부(21), 상기 종골(B1) 하부와 접촉하는 제2지지부(22),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과 접촉하는 제3지지부(23), 상기 중족골(B4) 하부와 접촉하는 제4지지부(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를 양 발에 착용하고 바닥면을 딛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골(B1) 후방은 상기 제1지지부(2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종골(B1) 하부는 상기 제2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은 상기 제3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족골(B4) 하부는 상기 제4지지부(24)에 의해 지지되므로 보행시 상기 종골(B1) 하부,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 상기 중족골(B4) 하부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어 보행으로 인한 층간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다만, 상기 종골(B1)로부터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을 거쳐 상기 중족골(B4)로 이어지는 구간은 수직 아치 구조(도 5에 화살표 표시 참조)를 이루므로 보행시 보행자의 체중 및 운동에너지가 특히, 상기 종골(B1)에 집중되므로 상기 종골(B1) 하부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으로 층간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재(20)의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되는바, 상기 종골(B1)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제2지지부(22)의 두께가 최대화되므로 상기 제2지지부(22)의 지지에 의해 특히 상기 종골(B1) 하부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더욱 완화될 수 있어 상기 종골(B1) 하부와 바닥면의 접촉으로 인한 층간소음 유발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쿠션재(20)의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 발(100)의 뒤꿈치가 앞꿈치에 비해 더 높이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 체중의 중심이 사용자 발(100)의 앞쪽으로 유도되므로 근육의 긴장에 의해 하체의 근육이 단련될 뿐만 아니라 적합한 자세 유지에 의해 보행이 경쾌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족골(B4)의 폭 방향 양쪽 단부 사이의 구간은 수평 아치 구조(도 4에 화살표 표시 참조)를 이루므로 보행시 보행자의 체중 및 운동에너지가 특히, 상기 중족골(B4)의 내측 선단에 집중되므로 상기 중족골(B4)의 내측 선단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으로 층간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중족골(B4) 하부와 접촉하는 상기 쿠션재(20)의 상기 제4지지부(24)는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의 하부 외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3지지부(23)와 달리 상기 중족골(B4)의 하부 전체, 즉 상기 중족골(B4)의 폭 방향 양쪽 단부 사이의 구간 전체와 접촉하므로 상기 제4지지부(24)의 지지에 의해 특히 상기 중족골(B4)의 내측 선단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더욱 완화될 수 있어 상기 중족골(B4) 하부와 바닥면의 접촉으로 인한 층간소음 유발이 방지된다.
또한, 보행자가 보행할 때 보행자의 체중 및 운동에너지는 특히, 상기 종골(B1)의 하부 외측,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의 하부 외측, 상기 중족골(B4)의 하부 외측에도 작용하므로 상기 종골(B1) 하부 외측,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 상기 중족골(B4) 하부 외측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으로 층간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재(20)의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되는바, 상기 종골(B1) 하부 외측,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 상기 중족골(B4) 하부 외측을 지지하는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의 외측이 내측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의 지지에 의해 특히 상기 종골(B1) 하부 외측, 상기 주상골(B2) 및 설상골(B3) 하부 외측, 상기 중족골(B4) 하부 외측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 또한 완화될 수 있어 상기 종골(B1) 하부 외측, 상기 주상골(B2) 하부 및 설상골(B3) 외측, 상기 중족골(B4) 하부 외측과 바닥면의 접촉으로 인한 층간소음 유발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쿠션재(20)의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 발(100)은 자연스럽게 외측이 내측에 비해 더 높이 위치하게 되는바, 사용자 체중의 중심이 사용자 발(100)의 내측으로 유도되므로 근육의 긴장에 의해 하체의 근육이 단련될 뿐만 아니라 적합한 자세 유지에 의해 보행이 경쾌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불쾌감이 들 수 있어 특히 유아, 어린이, 청소년들이 착용을 꺼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는 사용자 발(100)의 중족골(B4) 부위 전방이 개방되는바, 개방 부위를 통해 통풍이 원활하여 착용감이 개선되므로 유아, 어린이, 청소년들도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발(100) 크기에 따라서는 상기 몸체(10)의 착용이 곤란하거나, 착용 상태가 헐거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는 신축성 시트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발(100)의 상기 주상골(B2), 상기 설상골(B3), 상기 중족골(B4) 부위 상면에 상기 절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12)에 의해 결속되는바, 상기 절개부(11)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 발(100)이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상기 몸체(10) 내로 삽입이 용이하므로 착용이 용이할 수 있고, 상기 결속부재(12)를 조임으로써 사용자 발(100)이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상기 몸체(10)와 밀착되므로 착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A)은, 상기 몸체(10)에 상기 쿠션재(20)가 결합되는바, 보행시 사용자 발(100)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 특히, 상기 종골(B1) 하부와 상기 중족골(B4) 내측 선단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이 상기 쿠션재(20)에 의해 완화되므로 실내 보행으로 인한 층간소음 유발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쿠션재(20)의 상기 제2,3,4지지부(22, 23, 2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되는바, 상기 쿠션재(20)의 지지에 의해 사용자 체중의 중심이 사용자 발의 앞쪽으로 또한 내측으로 유도되므로 하체의 근육이 단련될 뿐만 아니라 보행이 경쾌해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전방이 개방되는바, 착용 상태에서 통풍이 원활하므로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몸체(10)의 상기 절개부(11)가 상기 결속부재(12)에 의해 결속되는바, 상기 절개부(11)의 결속 상태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절개부(11)의 결속을 느슨하게 함에 따라 착용이 용이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절개부(11)의 결속을 조임에 따라 착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절개부
12 : 결속부재 20 : 쿠션재
21 : 제1지지부 22 : 제2지지부
23 : 제3지지부 24 : 제4지지부
100 : 사용자 발 A : 덧신
B1 : 종골 B2 : 주상골
B3 : 설상골 B4 : 중족골
B5 : 족지골

Claims (14)

  1. 사용자 발을 감싸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 발이 바닥면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사용자 발을 감싸되, 종골, 주상골, 설상골, 중족골 부위를 감싸고,
    상기 쿠션재는, 상기 종골 후방과 접촉하는 제1지지부, 상기 종골 하부와 접촉하는 제2지지부, 상기 주상골 및 설상골 하부 외측과 접촉하는 제3지지부, 상기 중족골 하부와 접촉하는 제4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사용자 발의 상기 중족골 부위 전방이 개방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사용자 발의 상기 주상골, 상기 설상골, 상기 중족골 부위 상면에 결속부재를 통해 결속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신축성 시트로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몸체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제2,3,4지지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제2,3,4지지부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얇게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발포폼으로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발포폼으로 형성되되, 우레탄폼으로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상기 제3지지부, 상기 제4지지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에 비해 무르거나 단단하게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접착 또는 융착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제2지지부는 최고 두께가 10-30mm로 형성되는 것인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KR1020160041504A 2016-04-05 2016-04-05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KR20170114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04A KR20170114159A (ko) 2016-04-05 2016-04-05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04A KR20170114159A (ko) 2016-04-05 2016-04-05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59A true KR20170114159A (ko) 2017-10-13

Family

ID=6013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504A KR20170114159A (ko) 2016-04-05 2016-04-05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1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806B1 (ko) * 2022-08-30 2023-01-09 이상준 층간소음 방지용 덧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806B1 (ko) * 2022-08-30 2023-01-09 이상준 층간소음 방지용 덧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467B2 (en) Shoe insole with improved support and motion control
KR101879199B1 (ko) 신발용 인솔
JP2015526251A (ja) バスケットボール・インソール
KR101995677B1 (ko) 층간 소음방지용 실내화
US20200015547A1 (en) Footwear and last
KR101709735B1 (ko) 발가락 교정기
JP2009011822A (ja) 多層靴敷き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KR100975909B1 (ko) 성형틀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맞춤 깔창을 제조하는 방법
KR20170114159A (ko) 층간소음 유발 방지용 덧신
RU155882U1 (ru) Кеды ортопедические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20200057931A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RU167245U1 (ru) Обувь войлочная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JP4850462B2 (ja) 足底板対応履物
KR102392216B1 (ko) 지지패드를 구비한 양말
KR101233153B1 (ko) 신발 깔창
KR100872309B1 (ko) 마사이워킹용 양말
KR101739366B1 (ko) 포켓 스프링이 구비된 탄성깔창
KR20100053415A (ko) 깔창 그리고 성형틀을 이용하여 맞춤 깔창을 제조하는 방법
KR101065740B1 (ko) 정상적 회내운동을 유도하는 신발창
KR200431335Y1 (ko) 과내전현상을 방지하는 키높이 젤패드
KR100601584B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KR200394997Y1 (ko) 신발용 보조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