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151A -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151A
KR20170114151A KR1020160041458A KR20160041458A KR20170114151A KR 20170114151 A KR20170114151 A KR 20170114151A KR 1020160041458 A KR1020160041458 A KR 1020160041458A KR 20160041458 A KR20160041458 A KR 20160041458A KR 20170114151 A KR20170114151 A KR 20170114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hedule
display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니엘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니엘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니엘맥
Priority to KR102016004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151A/ko
Publication of KR2017011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04G17/086Desktop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8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 G04G9/009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6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1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일정 데이터의 구간 및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폭과 상기 폭보다 긴 길이를 갖고 소정의 시간 구간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시간 데이터 및 일정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와, 상기 탁상시계장치와 통신수단으로 접속되고 상기 탁상시계장치의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출력시킬 일정 데이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일정 데이터를 상기 탁상시계장치로 전송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을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이 제시된다.

Description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A system of clock to display only desired time zone}
본 발명은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탁상시계 시스템으로서, 기존의 시계처럼 24시간을 모두 표시해주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시간 영역을 위주로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일정 데이터를 시간 영역으로 표시하고 현재시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중인 일정의 경과 정보 및 예약 일정을 표시해주기 위한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간을 표시해주는 시계는 하루 24시간을 표시하고, 현재시간을 숫자 또는 시침/분침 등으로 표시해준다. 또한, 시계에 사용자의 일정을 알람으로 설정해 놓고 설정된 시각이 되면 알람을 출력시킨다. 또한, 사용자의 일정관리 수단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이라 함)을 활용하여 일정 타이틀 및 월일시로 일정 데이터를 설정해 놓고 알람으로 출력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시계나 디지털기기를 이용하여 일정을 관리하는 것은 일정의 시작 시점만을 확인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일정의 경과를 확인할 수 없고, 디지털 기기에 사용자의 행위를 수행하여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1-0011691호(공개일 2011년12월20일)의 디지털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아날로그 시계의 고안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고안은 중요한 일정과 필요한 문자메시지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와, 설정된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내장 메모리와, 설정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출력부인 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아날로그 시계를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설정한 일정 또는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공개고안은 아날로그 시계와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날짜 및 시간을 표시해주고, 상기 컴퓨터시스템에서 설정한 일정데이터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신수단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주는 것으로서, 기존의 시계와 일정데이터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를 합해 놓은 것이므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시간 영역만을 표시하거나, 설정된 일정 데이터의 경과 정보 등을 확인시켜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시간 영역을 표시함은 물론, 설정된 일정의 경과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탁상시계 시스템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1-0011691호(공개일 2011년12월20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루 24시간 중 사용자가 희망하는 시간 영역과 현재의 시간을 표시해주고, 일정데이터설정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일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설정된 일정 데이터의 표시 및 일정의 진행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시간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기 위한 시간표시부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일정 데이터 및 예약 일정 데이터를 상기 시간표시부의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표시하기 위한 일정데이터표시부와; 현재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현재시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시간표시부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시간표시부에 대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시간표시부가 상기 현재시간표시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가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상기 제1 관점의 상기 탁상시계장치에 출력시킬 상기 일정 데이터 및 예약 일정 데이터를 설정하거나, 설정된 데이터를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송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루 24시간 중 사용자가 희망하는 시간 영역과 현재의 시간을 표시해주고, 설정된 일정 데이터의 표시 및 일정의 진행 상황을 표시해주므로 효율적인 시간관리와 현재일정의 진행 상황 및 예약 일정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 중 중요부인 탁상시계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의 실시예 시스템 중 중요부인 탁상시계장치의 데이터 표시부에 출력시킬 수 있는 표시 데이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 중 중요부인 탁상시계장치의 구동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 중 중요부인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시간 및 일정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LCD(액정)표시부를 포함하는 희망 시간 구간을 표시할 수 있는 탁상시계장치(100)와; 스마트폰과 같은 어플을 저장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디지털기기에 탑재되어 일정 데이터를 설정하여 통신수단을 이용해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에 설정된 일정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이 탑재된 디지털기기는 개인용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등의 어플 다운로드 컴퓨터로부터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고, 인터넷 통신수단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 중 중요부인 탁상시계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의 탁상시계장치(100)는, 소정의 폭과 상기 폭보다 큰 길이를 갖고 전면에 데이터 표시부(111)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액정표시장치(110)와; 상기 액정표시장치(110)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0a)(120b)와; 상기 지지부(120a)(120b)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110)를 포함한 탁상시계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몸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탁상시계장치(1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지지부(120a)(120b)를 제외시키고, 상기 몸체부(130)의 상측에 상기 액정표시장치(110)를 직접 고정 설치하거나, 상기 몸체부(130)를 제외하고, 상기 지지부(120a)(120b)에 상기 구동부를 내장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10)의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예를 들면 숫자 시간표시, 상기 시간표시에 대응하는 타임 바, 일정데이터, 현재 시각 및 연월일을 표시할 수 있는 폭과, 상기 하측의 시간표시가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되되, 예를 들면, 8시간 정도의 시간표시가 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 중 중요부인 탁상시계장치의 데이터 표시부에 출력시킬 수 있는 표시 데이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시킬 수 있는 표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시간표시, 타임 바 및 일정 데이터 등의 모든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일정 관리 표시 영역(310)과; 사용자가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시간표시, 타임 바 및 일정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출력 영역(320)과;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숫자시간, 예를 들면 08:00, 09:00, 10:00와 같이 시간 단위로 길이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되는 시간표시부(330)와; 상기 시간표시부(3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시간표시부(330)의 시간표시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타임바표시부(340)와; 상기 타임바표시부(340)와 오버랩되어 표시되고 현재시간을 비쥬얼적으로 출력시키는 현재시간표시바(350)와; 상기 현재시간표시바(350)와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현재시간을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현재시간표시부(360)와; 사용자의 일정을 상기 시간표시부(330) 및 타임바표시부(340)의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비주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현재일정데이터표시부(370)와; 사용자의 향후 일정을 상기 시간표시부(330) 및 타임바표시부(340)의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비쥬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약일정데이터표시부(380a)(380b)(380c)와; 현재의 날짜를 표시하기 위한 연월일표시부(3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일정 관리 표시 영역(310)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더 길어질 수 있다. 일정 관리 표시 영역(310)은 전체가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되는 구간이 아니고, 설정된 일정에 따라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로 출력되는 구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정 관리 표시 영역(310)에 포함된 데이터 출력 영역(320)이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되는 구간이다.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에서 설정된 일정데이터는 설정된 일정의 시작 시간과 종료시간까지 비쥬얼하게 바(bar)로 표시될 수 있다. 다수의 일정 데이터가 설정된 경우 각각의 일정을 나타내는 바는 색상 또는 모양을 달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의 데이터 출력 영역(320)에 출력되는 시간 구간이 예를 들면, 08:00~18:00인 경우, 설정된 일정데이터가 모두 08:00~18:00의 시간 구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현재시간표시바(350)와 현재시간표시부(36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현재시간표시바(350)의 상단에 위치시킨 현재시간표시부(360)에는 현재시각을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현재일정데이터표시부(370) 및 예약일정데이터표시부(380a)(380b)(380c)의 바 형태로 표시된 일정 데이터에는 일정 타이틀이 표시되고, 일정 진행시간을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의 데이터 출력 영역(320)에 출력되는 시간 구간이 예를 들면, 08:00~18:00이고, 설정된 일정데이터의 일부가 08:00~18:00의 시간 구간 밖에 있는 경우, 상기 현재시간표시바(350)와 현재시간표시부(360)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일정 관리 표시 영역(310)이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정된 일정 데이터가 영업회의(370), 제안서제출(380a) 및 결재확인(380b)만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노출되는 화면은 상기 데이터 출력 영역(320)으로서, 약 08:20~18:20까지의 시간 구간이고, 현재시간표시바(350)와 현재시간표시부(36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화면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08:30~11:30까지 설정되어 있는 영업회의(370)의 일정 데이터에는 일정의 경과시간을 백분율로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정된 일정 데이터가 영업회의(370), 제안서제출(380a), 결재확인(380b) 및 팀회식(380c)까지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노출되는 화면은 상기 데이터 출력 영역(320)으로서, 상기 현재시간표시바(350) 및 현재시간표시부(360)는 고정되어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일정 관리 표시 영역(310)이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대해서 좌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팀회식(380c) 일정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출력 영역(320) 내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탁상시계장치(100)는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과 통신이 접속되어 있을 때에만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일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탁상시계장치(100)과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의 통신 접속이 해제되거나,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는 일정 데이터가 아닌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데이터, 예를 들면 현재 시간 또는 사진 파일 등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되는 일정 데이터를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에서 삭제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일정 데이터를 변경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일정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 중 중요부인 탁상시계장치의 구동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탁상시계장치의 구동부는 데이터 표시부(111)에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구동부(4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1)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과 통신 접속하여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일정 데이터 등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42)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시간 데이터 및 실시간 시각을 표시시키기 위한 타이머부(143)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표시시킬 일정 관련 구간 표시 및 일정 경과 정보의 표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설정데이터저장부(144)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일정 데이터 및 일정 데이터의 삭제 및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저장부(14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 중 중요부인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은,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와 통신 접속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탁상시계장치(100)로 전송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01)와;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데이터 표시부(111)에 표시시킬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입력부(202)와;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데이터 표시부(111)에 표시시킬 일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일정입력부(203)와;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구동을 설정하고,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과의 구동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204)와; 상기 데이터입력부(202), 일정입력부(203) 및 설정부(204)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20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의 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플 다운로드 컴퓨터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의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에 실행시킨다. 상기 스마트폰에 실행된 일정데이터설정수단(100) 어플의 데이터입력부(202)에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데이터 표시부(111)에 소정 영역에 출력시킬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05)에 저장시킬 수 있다.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되는 월일 및 시간과 관련된 메모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정데이터설정수단(100) 어플의 일정입력부(232)에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시킬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05)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정데이터설정수단(100) 어플의 설정부(204)에서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되는 일정 데이터 표시 형태 등의 표시 상태 설정,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의 통신이 해제되거나, 상기 탁상시계장치(100)로부터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이 일정 거리 이격될 경우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데이터 표시부(111)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설정 등을 입력시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에 표시된 사용자의 일정의 보안을 위한 구성이다.
데이터, 일정 및 설정을 입력하여 저장시킨 후, 사용자는 상기 탁상기계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킨다.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의 통신 접속은 사용자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에 설정하여 저장된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에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이 접근되면 자동으로 통신이 연결되는 설정 또는 사용자가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에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이 접근되면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에서 통신 연결 지시 명령을 수행할 경우에 통신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이 통신 연결되면, 사용자의 지시 수행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의 저장된 데이터, 일정데이터 및 설정 데이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상기 탁상시계장치(100)로 전송된다.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 일정데이터 및 설정 데이터를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설정데이터저장부(144) 및 일정데이터저장부(145)에 저장시킨다.
상기 탁상시계장치(100)의 제어부(141)는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저장된 데이터 및 일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표시부(111)에 출력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하루 24시간을 모두 표시하지 않고, 설정된 일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만을 출력시키거나, 한정된 표시부에 대해서 설정된 일정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해서 시간 구간 화면이 슬라이드 되는 탁상시계장치와, 상기 탁상시계장치에 출력시킬 일정 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탁상시계장치로 전송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100: 탁상시계장치
200: 일정데이터설정수단
110: 액정표시장치
111: 데이터 표시부
120a, 120b: 지지부
130: 몸체부
310: 일정 관리 표시 영역
320: 데이터 출력 영역
400: 구동부

Claims (10)

  1. 일정 데이터의 구간 및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폭과 상기 폭보다 긴 길이를 갖고 소정의 시간 구간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시간 데이터 및 일정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양측에 지지대 형태 또는 하부에 받침대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표시부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나열된 시간표시 영역과; 상기 시간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현재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현재시간표시바와; 상기 시간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시작시각과 종료시각을 구간으로 하는 일정 데이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표시부는 설정된 시간 구간이 출력되고, 상기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일정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출력되는 시간 구간을 벗어난 시간 구간에 일정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시간 구간을 벗어난 시간 구간의 일정 데이터가 슬라이드 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구동부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외부기기와 통신 접속하여 일정 데이터 등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시간 데이터 및 실시간 시각을 표시시키기 위한 타이머부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표시시킬 일정 관련 구간 표시 및 일정 경과 정보의 표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설정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일정 데이터 및 일정 데이터의 삭제 및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
  7. 일정 데이터의 구간 및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폭과 상기 폭보다 긴 길이를 갖고 소정의 시간 구간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시간 데이터 및 일정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와, 상기 탁상시계장치와 통신수단으로 접속되고 상기 탁상시계장치의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출력시킬 일정 데이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일정 데이터를 상기 탁상시계장치로 전송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을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탁상시계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구동부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과 통신 접속하여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일정 데이터 등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시간 데이터 및 실시간 시각을 표시시키기 위한 타이머부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에 표시시킬 일정 관련 구간 표시 및 일정 경과 정보의 표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설정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일정 데이터 및 일정 데이터의 삭제 및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일정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은, 상기 탁상시계장치와 통신 접속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탁상시계장치로 전송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탁상시계장치의 데이터 표시부에 표시시킬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입력부와; 상기 탁상시계장치의 데이터 표시부에 표시시킬 일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일정입력부와; 상기 탁상시계장치의 구동을 설정하고 상기 탁상시계장치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과의 구동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와; 상기 데이터입력부, 일정입력부 및 설정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탁상시계장치와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의 통신이 해제되거나, 상기 탁상시계장치로부터 상기 일정데이터설정수단이 일정 거리 이격될 경우 상기 탁상시계장치의 데이터 표시부에 표시된 일정 데이터가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화면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KR1020160041458A 2016-04-05 2016-04-05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KR20170114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58A KR20170114151A (ko) 2016-04-05 2016-04-05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58A KR20170114151A (ko) 2016-04-05 2016-04-05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51A true KR20170114151A (ko) 2017-10-13

Family

ID=6013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58A KR20170114151A (ko) 2016-04-05 2016-04-05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49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장방형 공간을 이용하여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49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장방형 공간을 이용하여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6838A1 (en) Graphical planner
CN103488377B (zh) 一种桌面图标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101434903B1 (ko) 캘린더 내 일정 입력을 위한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6131384A1 (zh) 一种智能穿戴设备显示控制方法及智能穿戴设备
KR20170114151A (ko)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 시스템
AU201234133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dialog application having a notice function
CN102385453A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6944319B2 (ja) 勤務管理状況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勤務管理状況表示装置
US20140088775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mobile terminal and program
JP2006178718A5 (ko)
KR20110057098A (ko) 일정관리 기능을 갖는 디지털시계 및 그의 일정관리 방법
CN103645823A (zh) 烹饪器具的显示控制方法和装置
JPWO2015107668A1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情報共有プログラム
CN102590761A (zh) 一种基于can的燃料电池备用电源系统在线诊断仪
JP4508560B2 (ja) 表示媒体、作業指示システム、作業指示方法
KR101434752B1 (ko)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7142611A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
JP2001005788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US9639249B2 (en) Engineering tool providing human interface among plurality of human interfaces according to user skill level
KR20200131954A (ko) E-paper를 이용한 스마트 캘린더
KR20170114152A (ko) 희망 시간 영역 표시용 탁상시계장치
JP2007124499A (ja) 携帯端末、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0146296A (ja) Icカードホルダー
JP2018163462A (ja) 作業指示システム
JP2017162259A (ja) プラント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の運転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