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900A -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900A
KR20170112900A KR1020160104168A KR20160104168A KR20170112900A KR 20170112900 A KR20170112900 A KR 20170112900A KR 1020160104168 A KR1020160104168 A KR 1020160104168A KR 20160104168 A KR20160104168 A KR 20160104168A KR 20170112900 A KR20170112900 A KR 20170112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power transmitter
receiv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104B1 (ko
Inventor
신재혁
이경우
이상욱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7775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39144B1/en
Priority to PCT/KR2017/003490 priority patent/WO2017171432A1/ko
Priority to US15/475,267 priority patent/US10148320B2/en
Publication of KR2017011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50/23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tting antennas, e.g. directional array antennas or Yagi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42Simultaneous measurement of distance and other co-ordin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3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 G07F15/006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dispensed for the electrical charging of other devices than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1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Target signature; Target cross-section
    • G01S7/411Identification of targets based on measurements of radar reflectiv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은 하나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IoT (Internet of Thing)로 인하여 우리 생활 속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 가전기기, 통신기기 등은 하나로 네트워크화 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센서들을 원활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이 필요하다.
무선 전력 송신은 자기유도, 자기공진, 그리고 전자기파 방식이 있으며 그중 전자기파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수 m에 이르는 원거리 전력 전송에 보다 유리하다.
전자기파 방식은 주로 원거리 전력 전송에 사용되며, 원거리에 있는 전력 수신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전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기파 방식은, 충전 대상,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방향에 대하여 RF(radio frequency) 웨이브(wave)를 형성하여 보고,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복수 개의 방향에 대한 RF 웨이브 형성 및 전력 관련 정보 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 경우, 전자 장치가 한 위치에 고정됨이 담보될 수 없고, 특히 인체 유해성으로 인하여 충전 대상 감지 이전에는 높은 전력을 송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사용자가 소형의 전자 장치를 들거나 또는 착용한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위치가 빈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배치되는 환경에서 전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에, 새로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자 장치의 위치를 새롭게 파악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공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충전중이던 전자 장치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 핸드 오프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을 송신하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이 상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전력을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통신 신호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용 안테나; 통신 회로;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일 지점에서의 전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수신용 안테나는, 상기 핸드 오프 요청 신호 송신 이후에,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이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충전 대상인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이 상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통신 신호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일 지점에서의 전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핸드 오프 요청 신호 송신 이후에,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이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공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중이던 전자 장치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 핸드 오프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배치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배치되는 환경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전자 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핸드 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프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거리에 따른 RF 웨이브의 세기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보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보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보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3a 내지 2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을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150, 16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111 내지 126)를 포함할 수 있다.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는 각각이 RF 웨이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안테나라면 제한이 없다.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가 발생시키는 RF 웨이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 각각이 발생시키는 RF 웨이브를 서브 RF 웨이브라 명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에서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 각각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서브 RF 웨이브들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지점에서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보강 간섭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지점에서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상쇄 간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보강 간섭될 수 있도록,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가 발생하는 서브 RF 웨이브 각각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제 1 지점(x1,y1,z1)에 전자장치(150)가 배치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장치(150)의 위치는, 예를 들어 전자장치(150)의 전력 수신용 안테나가 위치한 지점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전자장치(15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성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전자장치(150)가 높은 송신 효율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서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보강 간섭이 되도록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를 제어한다는 것은,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또는 딜레이)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지점에서 RF 웨이브가 보강 간섭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인 빔-포밍(beam forming)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빔-포밍의 종류에 대하여 제한이 없음 또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공개특허 2016/0099611, 미국 공개특허 2016/0099755, 미국 공개특허 2016/0100124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빔 포밍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빔-포밍에 의하여 형성된 RF 웨이브의 형태를, 에너지 포켓(pockets of energy)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브 RF 웨이브들에 의하여 형성된 RF 웨이브(130)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진폭이 최대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장치(150)는 높은 효율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제 2 지점(x2,y2,z2)에 전자장치(160)가 배치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전자장치(160)를 충전하기 위하여 서브 RF 웨이브들이 제 2 지점(x2,y2,z2)에서 보강 간섭이 되도록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RF 웨이브들에 의하여 형성된 RF 웨이브(131)는 제 2 지점(x2,y2,z2)에서 진폭이 최대가 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60)는 높은 송신 효율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전자장치(150)는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로부터 형성되는 서브 RF 웨이브들에 상대적으로 더 큰 딜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좌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1,115,119,123)로부터 형성되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먼저 형성된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로부터 서브 RF 웨이브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측의 지점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동시에 만날 수 있으며, 즉 상대적으로 우측의 지점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될 수 있다. 만약, 상대적으로 중앙의 지점에 빔-포밍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좌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1,115,119,123)와 우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딜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좌측의 지점에 빔-포밍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좌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1,115,119,123)에 우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보다 더 큰 딜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 전체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발진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딜레이에 대응되는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빔-포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전자장치(150,160)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이 되게 하여, 높은 송신 효율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전자장치(150,16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야만, 높은 송신 효율의 무선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배치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범위(power boundary)(202)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전력 범위(202)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한계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부터 출력되는 RF 웨이브는 전송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크기가 감소할 수 있으며, 전력 범위(202)는 출력되는 RF 웨이브의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지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통신 범위(Comm boundary)(203)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거나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범위(203)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한계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는 전력 범위(211)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으며, 통신 범위(212)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20)는 전력 범위(221)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으며, 통신 범위(222)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범위(203,212,222)는 전력 범위(202,211,221)보다 넓을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 및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20)는 특정 지역에서 전력 송신의 음영 지역이 없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력 범위(202,211,221)들은 서로 일부 겹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00,210,220)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210,220)의 배치 상태, 즉 토폴로지(topology)를 판단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의 상대적인 위치를 판단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까지의 홉(hop)이 1이라는 것과,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20)까지의 홉이 2라는 홉 정보 또한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가 변경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토폴로지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300)는 전력 소스(source)(301),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통신 회로(340) 및 통신용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5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면 제한이 없으며,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 정류기(352), 컨터버(353), 차저(charger)(354), 프로세서(355), 메모리(356), 통신 회로(357) 및 통신용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301)는 송신을 위한 전력을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로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소스(301)는, 예를 들어 직류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로 전달하는 인버터(inverter)(미도시)가 무선 전력 송신기(3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력 소스(301)는 교류 전력을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이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의 개수 또는 배열 형태에 대하여서는 제한이 없다.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는 전력 소스(301)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는 프로세서(320)의 제어에 따라서, 특정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한다는 것은, 특정 방향의 일 지점에서의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서브 RF 웨이브들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에 포함되거나 또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에 연결된 위상 쉬프터를 제어하여, 특정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50)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방향에 기초하여 RF 웨이브의 형성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0)는, 결정된 방향의 일 지점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서브 RF 웨이브들을 발생시키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의 패치 안테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패치 안테나들 또는 패치 안테나들과 연결된 제어 수단(예를 들어, 증폭기, 위상 쉬프터 또는 딜레이 소자)을 제어함으로써, 패치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40)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50)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40)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패치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전자 장치(350)의 통신 회로(357)는 통신 신호(359)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 회로(340)에 연결된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에서 통신 신호(359)가 수신되는 시각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300)의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40)에 연결된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 통신 신호가 수신된 시각(예를 들어, t1, t2, t3)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300)에 대한 전자 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무선 전력 송신기(300)는 t1-t2, t2-t3, t3-t1의 시각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300)에 대한 전자 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메모리(330)에 저장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메모리(330)에 저장된 통신용 안테나별 수신 시각의 차이와 전자 장치의 방향 사이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300)(또는, 프로세서(3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F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50)의 방향에 기초하여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 또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에 연결된 위상 쉬프터 등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350)의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통신 신호(359) 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50)를 식별할 수도 있다. 통신 신호(359)는 전자 장치의 고유 식별자 또는 고유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340)는 통신 신호(359)를 처리하여 정보를 프로세서(320)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340) 및 통신용 안테나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신호(359)는 전자 장치(350)의 정격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50)의 고유 식별자, 고유 어드레스 및 정격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35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통신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300)가 전자 장치(350)를 식별하는 과정, 전자 장치(350)의 전력 송신 요청에 응답하여 전력 송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 전자 장치(350)에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전자 장치(350)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등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무선 전력 송신기(300)는, 전자 장치(350)의 정격 전압 정보 및 현재 제공 가능한 전력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으며, 정격 전압이 제공 가능한 전력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 장치(350)로 충전을 불허하는 취지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300)는 제공 가능한 전력의 크기가 정격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350)로 충전을 허가하는 취지의 신호를 송신하고, 이후의 충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통신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300) 및 전자 장치(350) 사이의 가입, 명령 또는 요청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를 제어하여 결정된 전자 장치(350)의 방향으로 RF 웨이브(311)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고, 이후에 피드백으로 수신되는 또 다른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50)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50)의 방향 및 전자 장치(350)까지의 거리를 모두 결정할 수도 있으며, 결국 전자 장치(35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서 패치 안테나들이 발생하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이 되도록, 패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웨이브(311)는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효율로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350)의 방향을 통신 신호로서 결정함으로써, 신속하게 전자 장치(350)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는 RF 웨이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라면 제한이 없다. 아울러,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 또한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어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에서 수신된 교류 전력은 정류기(352)에 의하여 직류 전력으로 정류될 수 있다. 컨버터(353)는 직류 전력을 요구되는 전압으로 컨버팅하여 차저(354)로 제공할 수 있다. 차저(354)는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컨버터(353)는 컨버팅된 전력을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미도시)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PMIC(미도시)는 전자 장치(350)의 각종 하드웨어로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355)는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기(352)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압계가 전자 장치(350)에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355)는 전압계로부터 전압값을 제공받아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355)는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통신 회로(357)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357)는 통신용 안테나(미도시)를 통하여 전자 장치(350)가 수신한 전력에 관한 정보인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과 같은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와 연관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전류계가 전자 장치(350)에 더 포함될 수 있음 또한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류계는 직류 전류계, 교류 전류계, 디지털 전류계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전압계는, 전류력계형(electro dynamic instrument) 전압계, 정전기형 전압계, 디지털 전압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또한 정류기(352)의 출력단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350)의 다른 지점에서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357)는 전자 장치(3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359)를 송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356)는 전자 장치(350)의 각종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및 알고리즘은 서버에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판단된 전자 장치(350)의 방향을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380)와 공유하도록 통신 회로(340)를 제어하여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3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380)의 통신 회로(381)는 무선 전력 송신기(300)의 통신 회로(340)롤 통해 전송된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390)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무선 전력 송신기(300)를 기준으로 한 전자 장치(350)의 방향 또는 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380)는 무선 전력 송신기(300)로부터 수신한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39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50)를 충전할 수 있다. 프로세서(382)는 통신 회로(381)를 통하여 수신한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390)를 이용하여,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85)가 RF 웨이브(391)를 형성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82)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85)의 패치 안테나 각각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회로(381)를 통하여 수신한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85)는 전력 소스(384)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350)가 위치한 지점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383)에는 수신된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85)의 패치 안테나 각각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계가 룩업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383)에는 수신된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85)의 패치 안테나 각각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82)는 룩업 테이블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85)의 패치 안테나 각각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300)로부터 공유된 전자 장치(350)의 위치에 대한 정보(390)를 이용함으로써, 프로세서(382)는 전자 장치(35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절차들을 생략할 수 있어, 신속한 무선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350)가 빈번하게 이동하는 경우에, 빠른 시간 내에 충전을 수행할 무선 전력 송신기가 변경될 수 있어, 무선 충전을 위한 핸드 오프가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300)와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380)가 동시에 전자 장치(35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배치되는 환경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프로세서가 다른 하드웨어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가 특정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포함된 메모리가 특정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력 범위(501)에서 전력을 송신할 수 있으며, 통신 범위(502)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전력 범위(511)에서 전력을 송신할 수 있으며, 통신 범위(512)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41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521)을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3)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521)을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의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에서 전자 장치(403)로부터의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 시각은 상이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의 수신 시각 차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521)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42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521)에 기초하여 RF 웨이브를 전자 장치(403)에 전송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403)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복수 회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고, 전자 장치(403)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피드백 결과에 따라 최적의 RF 웨이브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43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로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521)을 송신할 수 있다. 44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521)과, 제1무선 전력 송신기(401) 및 제2무선 전력 수신기(402)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RF 웨이브를 전자 장치(403)에 전송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와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522), 즉 토폴로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방향(521) 및 미리 저장된 상대적인 위치(522)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를 기준으로 한 전자 장치(403)의 방향(523)을 판단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전자 장치(403)의 방향(523)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403)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복수 회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고, 전자 장치(403)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피드백 결과에 따라 최적의 RF 웨이브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403)는 제 1 지점(610)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장치(403)는 통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통신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파의 형태로 공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면파는 제 1 지점(610)을 중심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지점(610)은 통신용 안테나(620)가 배치된 지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통신용 안테나(601)에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시각, 제 2 통신용 안테나(602)에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시각 및 제 3 통신용 안테나(603)에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시각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점(610)에 가장 가까운 제 1 통신용 안테나(601)가 가장 먼저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통신용 안테나(602)가 그 다음으로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제 3 통신용 안테나(603)가 마지막으로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통신 신호가 지향성 파형을 가진 경우에도 통신용 안테나들(601,602,603) 각각에 수신되는 시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3개 이상의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3차원 상에서의 통신 신호의 수신 방향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401)의 프로세서는 통신용 안테나(601, 602, 603)에서 통신 신호가 수신된 시각(예를 들어, t1, t2, t3)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1)에 대한 전자장치(403)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t1-t2, t2-t3, t3-t1의 시각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1)에 대한 전자장치(403)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t2가 0에 가까울수록 전자장치(403)는 통신용 안테나(601) 및 통신용 안테나(602)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심을 직교하여 통과하는 선상에 전자 장치(403)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아울러, t1-t2가 상대적으로 큰 양의 값을 가질수록 전자장치(403)는 통신용 안테나(602) 측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t1-t2가 상대적으로 작은 음의 값을 가질수록 전자장치(403)는 통신용 안테나(601) 측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t1-t2뿐만 아니라, t2-t3와 t3-t1을 모두 고려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401)에 대한 전자장치(403)의 3차원적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자장치(403)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용 안테나별 수신 시각의 차이와 전자장치의 방향 사이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전자장치(403)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1)(또는, 프로세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장치(403)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F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의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전자 장치의 방향이 결정된 이후에, 전자 장치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7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또는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 수신할 수 있다. 7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의 통신 신호 수신 시각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로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의 통신 신호 수신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로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또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는 판단된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복수 개의 테스트 거리만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7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자 장치로부터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에 제 1 크기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RF 웨이브가 제 1 거리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에 제 2 크기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RF 웨이브가 제 2 거리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RF 웨이브의 형성 거리를 변경한다는 것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는 지점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패치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RF 웨이브의 형성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제 2 거리의 RF 웨이브를 형성한 경우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값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자 장치로부터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자 장치의 방향 및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의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자 장치(950)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810 동작에서,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결정된 방향(θ,φ)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도록 각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900)로부터 상대적으로 우측에 전자 장치(950)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딜레이를 적용함으로써,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들 각각으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들이 상대적으로 우측에서 보강 간섭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900)로부터 상대적으로 상측에 전자 장치(950)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딜레이를 적용함으로써,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들 각각으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들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보강 간섭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2차원으로 배치되는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들 각각에 상이한 딜레이를 적용함으로써,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들 각각이 발생시키는 RF 웨이브의 위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8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제 1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검출용 RF 웨이브(931)가 형성되도록, 각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별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거리를 판단하지 않고, 바로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에 제공되는 제 1 테스트용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테스트 거리 또는 제 1 테스트용 전력의 크기는 디폴트된 값일 수 있다.
8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와,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별 인가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검출용 RF 웨이브(931)를 제 1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8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전자 장치(950)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85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인 전자 장치(950)의 정류기 출력단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못하면, 88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다음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검출용 RF 웨이브(932)가 형성되도록, 각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별 인가되는 전력을 조정하여, 검출용 RF 웨이브(932)를 다음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테스트 거리에 대한 판단 없이, 바로 다음 테스트용 전력의 크기를 결정하여, 이를 각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에 인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900)가 테스트 거리를 증가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테스트 거리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은 만족할 때까지 각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에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87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RF 웨이브를 송신하기 위한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을 유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 3 테스트 거리로 형성된 RF 웨이브(933)가 형성된 경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제 3 테스트 거리로 RF 웨이브(933)의 형성이 유지되도록,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전자 장치(950)까지의 거리가 제 3 테스트 거리(R)라는 것을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전자 장치(950)까지의 거리에 대한 판단 없이 패치 안테나(911 내지 926)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전자 장치(950)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되도록 패치 안테나를 제어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효율로 전력이 무선 송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950)의 방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수신된 방향과, 무선 전력 송신기(900)와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900)로부터 전자 장치(950)의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900)는 판단된 방향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용 RF 웨이브를 발생시키고, 피드백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전자 장치(95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010 동작에서, 전자 장치(403)는 제 1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02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의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의 제 1 통신 신호의 수신 시각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부터 전자 장치(403)로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103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판단된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복수 개의 테스트 거리만큼 형성할 수 있다. 1040 동작에서, 전자 장치(403)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신호를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 송신할 수 있다. 105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검출용 RF 웨이브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RF 웨이브의 인가를 유지함으로써 전자 장치(403)를 충전할 수 있다.
106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부터 전자 장치(403)로의 방향을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3개 이상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배치된 환경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체 무선 전력 송신기들과 전자 장치(403)로의 방향을 공유할 수도 있다.
107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부터 전자 장치(403)로의 방향 및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와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검출용 RF 웨이브를 복수 개의 테스트 거리만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부터 전자 장치(403)로의 방향 및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와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로부터 전자 장치(403)로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3)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로부터 전자 장치(403)로의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크기를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108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09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와 함께 전자 장치(403)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에 대한 충전을 중단하면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 단독으로 전자 장치(403)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의 실시예는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전자 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111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의 통신 신호의 수신 시각에 따라서 전자 장치(403)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검출용 RF 웨이브 인가 및 피드백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3)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로부터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3)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에서는 송신시점에서의 세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통신 신호에 포함된 송신시점에서의 세기와 수신된 통신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403)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로부터 위치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403)는 다양한 실내 측위 방법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3)는 특정 실내 지자기 맵을 획득하고, 지자계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지자기 맵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3)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3)의 실내에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3)는 Wi-fi 신호 기반 실내 측위 방식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3)의 실내에서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3)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403)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3)는 판단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신 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도 있으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3)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도 12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403)가 (r,θ,φ)에 위치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403)의 좌표가 구면좌표계인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403)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뿐만 아니라,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403)의 좌표가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를 원점으로 하여서 설정된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403)의 좌표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가 아닌 다른 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를 원점으로 하는 상대좌표계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특정 지역에 대한 절대좌표계가 이용될 수도 있다.
112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3)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의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이 될 수 있도록, 패치 안테나들 각각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113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의 위치를 제 2 무선 전력 송시기(402)로 송신할 수 있다.
114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전자 장치(403)의 위치와, 제1무선 전력 송신기(401) 및 제2무선 전력 수신기(402)의 위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3)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전자 장치(403)의 위치인 (r,θ,φ)를, 자신의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에 대한 상대좌표인 (R,0,0)를 고려하여,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를 원점으로한 상대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변환된 상대좌표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간섭될 수 있도록, 패치 안테나들 각각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전자 장치(403)의 절대 좌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별다른 변환 과정 없이, 전자 장치(403)의 절대 좌표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간섭될 수 있도록, 패치 안테나들 각각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의 실시예는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핸드 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 및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404) 각각은 제 1 전력 범위(501), 제 2 전력 범위(502) 및 제 3 전력 범위(503)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전력 범위(501), 제 2 전력 범위(502) 및 제 3 전력 범위(503)의 각각이 서로 일부 겹칠 수 있도록, 무선 전력 송신기(401,402,404)들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특정 지역에서 무선 충전의 음영 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선 전력 송신기(401,402,404)들이 배치될 수 있다.
131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도 14의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 및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404) 각각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 및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404) 각각에 대한 위치를 미리 측정할 수도 있으며,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 및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404)의 위치가 변경되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변경된 위치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132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핸드 오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핸드 오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조건은, 전자 장치로부터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핸드 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것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 16 및 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133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134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판단된 전자 장치(403)의 방향에 기초하여,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 중 핸드 오프를 수행할 무선 전력 송신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가 전자 장치(403)의 방향과 연관됨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를 전자 장치(403)에 대한 핸드 오프를 수행할 무선 전력 송신기로 결정할 수 있다.
135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 오프 신호를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로 송신할 수 있다. 136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전자 장치(403)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전자 장치(403)의 방향을 이용하여,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를 기준으로 한 전자 장치(403)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를 기준으로 한 전자 장치(403)의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무선 전력 송신기(401,402)가 모두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영역(1410)에서 핸드 오프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403)의 위치를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가 파악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감소됨에 따라, 연속적인(seamless) 무선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프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151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152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핸드 오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핸드 오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조건은, 전자 장치(403)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이 임계치 미만으로 강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153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154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판단된 전자 장치의 방향에 기초하여,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 중 핸드 오프를 수행할 무선 전력 송신기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의 방향에,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가 위치한 것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를 핸드 오프를 수행할 무선 전력 송신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가 위치한 방향과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 사이의 차이와,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404)가 위치한 방향과 전자 장치(403) 위치한 방향 사이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와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 사이의 차이가,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404)와 전자 장치(403)가 위치한 방향 사이의 차이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를 핸드 오프를 수행할 무선 전력 송신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155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156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 오프 신호를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로 송신할 수 있다. 157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수신된 전자 장치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서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하드(hard) 핸드 오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403)는 핸드 오프 과정 동안 전력을 수신할 수 없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soft) 핸드 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510 동작 내지 1570 동작은 도 15a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의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1560 동작에서, 핸드 오프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에서도 전자 장치(403)에 대한 무선 충전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158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핸드 오프 완료 신호를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402)는 전자 장치(403)를 인식하고, 충전 여부를 결정하고,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자 장치(403)로 송신하는 등의 무선 충전 관련 절차(procedure)를 완료하고, 핸드 오프 완료 신호를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 송신할 수 있다. 159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핸드 오프 완료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403)에 대한 무선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403)는 핸드 오프 과정 중에서도 중단 없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은 거리에 따른 RF 웨이브의 세기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송신 시점에서는 L1의 세기의 RF 웨이브를 송신할 수 있다. RF 웨이브 자체의 세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dBm(decibels above 1 milli- watt)의 단위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RF 웨이브를 수신한 전자 장치에서 측정하는 RF 웨이브의 단위는 전력(W), 전압(V), 전류(A) 등 세기를 나타낼 수 있는 단위라면 제한이 없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로부터 발생한 RF 웨이브의 세기는 거리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L2의 세기는, 전자 장치(403)가 양호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담보된 세기일 수 있으며, 해당 세기보다 작은 RF 웨이브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403)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3)가 L2의 세기의 RF 웨이브를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403)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 예를 들어 정류기의 출력단에서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강하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로부터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정류기의 출력단에서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강하함을 보고받으면, 전자 장치(403)의 핸드 오프 조건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403)의 핸드 오프 조건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71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1720 동작에서, 전자 장치(403)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는, 전자 장치(403) 내부의 일 지점에서의 전압, 전류 또는 전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 전류 또는 전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173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전자 장치(403)의 정류기의 출력단에서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핸드 오프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74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핸드 오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81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1821 동작에서, 전자 장치(403)는, 전자 장치(403)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조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3)는 정류기 출력단에서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핸드 오프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831 동작에서, 전자 장치(403)는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84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401)는 핸드 오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8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403)가 주도적으로 핸드 오프를 요청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보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9의 실시예는 도 2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보 공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9에서와 같이, 1901 과정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는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쿼리(query)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장치(SVC)(1951)는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 자체일 수도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한 충전 과금을 수행하는 장치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와 관련된 정보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하여 판단하였던, 위치에 대한 정보나, 또는 충전량에 대한 정보, 충전량에 대응하는 과금 정보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충전량에 대한 정보 또는 과금에 대한 정보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송출한 전력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전자 장치가 수신한 전력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의 충전량 정보를 요청한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예를 들어, 도 19에서와 같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로 쿼리를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통신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기 중 하나로 쿼리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쿼리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또는 원거리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쿼리를 송신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가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의 근거리 통신 범위내에 포함된 경우에는,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쿼리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송신기들(TX1 내지 TX3) 중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로 판단된 경우에는,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61)로 쿼리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무선 전력 송신기들(1952,1953,1954)가 배치된 공간에서 벗어난 경우에도, 원격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1903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는 수신한 쿼리에 응답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RX'')에 대한 정보의 요청(request Rx'' info)을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로 송신할 수 있다. 1905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는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한 정보의 요청(request Rx'' info)을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Tx3)(1954)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도 19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들이 애드 혹(ad-hoc)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특정 마스터 노드 없이 통신이 가능한 노드들 간 자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들 각각은 미리 토폴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RX'')에 대한 정보의 요청(request Rx'' info)을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포워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폴로지 내의 모든 무선 전력 송신기들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모든 무선 전력 송신기들이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응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가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의 무선 전력 송신기들 각각에 대한 충전량에 대한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2에서와 같이 하나의 화면 상에 전체 충전 이력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는 이전에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 이력이 있으면, 1907 동작에서, 이를 쿼리를 송신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한 정보(Tx2's Rx'' info)를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로 송신할 수 있다. 1909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는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로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의 충전량에 대한 정보(Rx'' chg info)를 송신할 수 있다. 1911 동작에서,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수신한 충전량에 대한 정보(Rx'' chg info)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1913 동작에서,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Tx3)(1954) 또한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한 정보(Tx3's Rx'' info)를 쿼리를 송신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로 송신할 수 있다. 1915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2)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에 대한 정보(Tx3's Rx'' info)를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로 포워딩할 수 있다. 1917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는 수신한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Rx'')(1963)의 충전 정보(chg info)를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로 송신할 수 있다. 1921 동작에서,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수신한 충전량에 대한 정보(Rx'' chg info)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1923 동작에서, 다른 서비스 요청 장치(SVC')(1955)는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Tx3)(1954)로 무선 전력 수신기(Rx)(1961)의 정보를 요청하는 쿼리를 송신할 수도 있다. 1925 동작에서,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Tx3)(1954) 또한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으로 쿼리를 전달할 수 있으며, 1927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은 수신한 쿼리를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로 전달할 수 있다. 1929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Tx1)(1952)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Rx)(1961)에 대한 정보(Txs Rx info)를 송신할 수 있다. 1931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Tx2)(1953)는 전달받은 무선 전력 수신기(Rx)(1961)에 대한 정보(Txs Rx info)를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Tx3)(1954)로 전달할 수 있다. 1933 동작에서,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Tx3)(1954)는 전달받은 무선 전력 수신기(Rx)(1961)에 대한 정보(Txs Rx info)를 다른 서비스 요청 장치(SVC')(1955)로 전달할 수 있다. 1935 동작에서, 다른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5)는 수신한 충전량에 대한 정보(Rx chg info)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요청 장치들은 다양한 무선 전력 송신기에 대하여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해당 요청을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공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을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으로, 서비스 요청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와 관련된 정보를 관심 지역에 배치된 모든 무선 전력 송신기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이력 및 과금 정보의 합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에,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관심 지역의 모든 전자 장치들로부터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이력 및 과금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서비스 요청 장치(service: SVC)(1951)는 관심 지역을 벗어나더라도 원격에서, 관심 지역 내 모든 무선 전력 송신기들로부터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정보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211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101)는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101)는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을 수행하면서,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101)는 특정 전자 장치로 송신한 전력량 또는 충전 시간을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2120 동작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101)는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2104)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2101)는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미도시)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미도시)는 수신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2104)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와 관리 서버(2104) 사이에 중계 장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104)는 무선 전력 송신기별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연관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104)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된 서버로 구현되거나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104)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할 수 있어, 서비스 요청 및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104)는 서비스 요청 장치로부터 특정 전자 장치에 관한 충전 이력과 과금 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다. 관리 서버(2104)는, 관리하고 있던 특정 전자 장치의 충전 이력과 과금 정보를 서비스 요청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는, 전자 장치의 충전 이력, 과금 정보,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자 장치에 대하여 파악하였던 정보의 제공을 의미할 수 있다.
213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2)는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140 동작에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2)는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103)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2)는 관리 서버(2104)로 직접 정보를 송신할 능력이 없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2)는 관리 서버(2104)로 정보 송신 능력을 가진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인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103)로 포워딩을 요청할 수 있다. 2150 동작에서,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103)는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2102)의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2104)로 송신할 수 있다.
2160 동작에서,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103)는 특정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170 동작에서, 제 3 무선 전력 송신기(2103)는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2104)로 송신할 수 있다.
2180 동작에서, 관리 서버(2104)는 전자 장치별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104)는 하기 표 1과 같은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 충전을 한 무선 전력 송신기 충전량
(Wh)
충전 시간 과금액
제1
무선전력수신기
제1
무선전력송신기
30 2016.04.13. 13:00~13:15 21
제2
무선전력송신기
45 2016.04.13. 13:15~13:24 44
제3
무선전력송신기
10 2016.04.13. 13:24~13:28 11
제2
무선전력수신기
제1
무선전력송신기
24 2016.04.13. 11:00~11:10 18
제5
무선전력송신기
5 2016.04.13. 11:10~11:12 5
제6
무선전력송신기
3 2016.04.13. 11:12~11:13 3
제3
무선전력수신기
제1
무선전력송신기
22 2016.04.13. 13:00~13:15 17
제6
무선전력송신기
3 2016.04.13. 13:00~13:15 3
제7무선전력송신기 17 2016.04.13. 13:00~13:15 14
2190 동작에서, 관리 서버(2104)는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요청받으면, 요청 대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전자 장치와 같은 서비스 요청 장치로부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의 과금액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18+5+3의 과금액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2104)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직접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요청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2200)는 충전 총량(220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는 충전 이력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는 조작바(2202)를 표시할 수도 있다. 조작바(220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충전 히스토리창(2203)에 표시되는 시각이 변경될 수 있다. 충전 히스토리창(2203)에는 시간별 충전량과 무선 전력 송신기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2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3a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력 범위(2302)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범위(2303)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11)는 전력 범위(2312)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범위(2313)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30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i)에서 통신 범위(2303) 외부에 있었던 전자 장치(2321)가 (ii)에서 통신 범위(2303)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iii)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진입하는 전자 장치(232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31)의 방향 또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21)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321)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21)의 위치를 판단하여, 테스트용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21)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321)가 전력 범위(2302)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321)가 전력 범위(2302) 밖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 전력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정류기 후단의 전압은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이에 따라, 전자 장치(2321)가 전력 범위(2302)에 밖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3b에서는, (i)에서 전자 장치(2321)가 전력 범위(2302) 이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321)는 무선 전력 송신기(2301)로부터 충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류기 후단의 전압 또한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21)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전력 수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321)가 전력 범위(2302)내로 진입함을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21)에 충전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ii)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2321)와 관련된 정보를 핸드 오프의 수행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231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21)의 식별 정보, 캐퍼빌리티 정보, 충전 전력량, 충전 시간과 같은 충전 관련 정보, 전자 장치(2321)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2311)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iii)에서 전자 장치(2321)는 무선 전력 송신기(2311)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통신 범위(2313)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2311)는 전자 장치(232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2301)에 대하여 전자 장치(2321)에 관련된 정보를 문의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23c를 참조하면, (i)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2311)는 전자 장치(232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23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301)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2321)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321)에 대하여 테스트용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2321)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2311)로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311)는 수신된 전력 관련 수신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321)에 대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ii)에서, 전자 장치(2321)는 전력 범위들(2302,2312)이 겹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자 장치(2321)는 무선 전력 송신기(2301,2032)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무선 전력 송신기(2302)로 전자 장치(2321)를 핸드 오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전자 장치(2321)로부터 최대로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크기와 충전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321)에 대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2301)는 무선 전력 송신기(2311)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2321)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협동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이 상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통신 신호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일 지점에서의 전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핸드 오프 요청 신호 송신 이후에,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이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은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와 같은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외부 서버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다운로드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4)

  1.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고,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시에 상기 통신 회로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충전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을 유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위치한 지역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충전 시간, 충전량 및 과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요청받은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핸드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전력의 송신을 개시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1.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전력을 송신하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이 상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전력을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통신 신호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신호에 포함된 송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 1 통신 신호의 수신 세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거리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고,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시에 상기 통신 회로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을 유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핸드 오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핸드 오프 신호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에 포함된, 전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핸드 오프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핸드 오프 신호를 송신한 이후에, 상기 전력의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핸드 오프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력의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핸드 오프 신호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용 안테나;
    통신 회로;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일 지점에서의 전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수신용 안테나는, 상기 핸드 오프 요청 신호 송신 이후에,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이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 중 적어도 하나에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전자 장치.
  23.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있어서,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고,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시에 수신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충전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을 유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세기를 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 및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배치된 지역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충전 시간, 충전량 및 과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요청받은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핸드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전력을 송신을 개시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3.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이 상기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전력을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통신 신호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거리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통신 신호에 포함된 송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 1 통신 신호의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거리를 판단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시에 상기 통신 회로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판단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을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RF 웨이브의 세기를 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8. 제 33 항에 있어서,
    핸드 오프 조건이 만족되면, 핸드 오프 신호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프 조건이 만족되면, 핸드 오프 신호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에 포함된, 전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핸드 오프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프 신호를 송신한 이후에, 상기 전력을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핸드 오프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력을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프 조건이 만족되면, 핸드 오프 신호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핸드 오프 신호를 상기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43.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일 지점에서의 전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핸드 오프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핸드 오프 요청 신호 송신 이후에,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이한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 중 적어도 하나에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및
    상기 요청한 무선 충전 관련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제 2 무선 전력 송신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104168A 2016-03-31 2016-08-17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775856.2A EP3439144B1 (en) 2016-03-31 2017-03-3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03490 WO2017171432A1 (ko) 2016-03-31 2017-03-3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475,267 US10148320B2 (en) 2016-03-31 2017-03-31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15869P 2016-03-31 2016-03-31
US62/315,869 201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900A true KR20170112900A (ko) 2017-10-12
KR102607104B1 KR102607104B1 (ko) 2023-11-29

Family

ID=6014119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32A KR102592492B1 (ko) 2016-03-31 2016-08-02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0104168A KR102607104B1 (ko) 2016-03-31 2016-08-17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0104119A KR102574145B1 (ko) 2016-03-31 2016-08-17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0130790A KR20170112934A (ko) 2016-03-31 2016-10-10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32A KR102592492B1 (ko) 2016-03-31 2016-08-02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19A KR102574145B1 (ko) 2016-03-31 2016-08-17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0130790A KR20170112934A (ko) 2016-03-31 2016-10-10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3) EP3439143B1 (ko)
KR (4) KR1025924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431A (ko) * 2017-12-21 2019-07-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90087033A (ko) * 2018-01-15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중단 사유 전송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039921B1 (ko) * 2018-05-18 2019-11-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상배열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8926A (ko) * 2018-05-09 2019-11-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적 원거리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EP3776799A4 (en) * 2018-03-27 2021-12-29 Guru Wireless, Inc. Situation awar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384B1 (ko) 2017-10-20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9310B1 (ko) * 2017-11-23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2844B1 (ko) * 2017-12-27 2019-11-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72171B1 (ko) * 2018-05-15 2020-10-3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송신기
KR101958595B1 (ko) * 2018-06-18 2019-03-1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배열안테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607259B1 (ko) 2018-08-23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3809B1 (ko) * 2018-11-16 2020-09-08 한국과학기술원 Iot 센서의 정류기 성능을 고려한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607787B1 (ko) * 2018-11-30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A3144005A1 (en) * 2019-07-10 2021-01-14 Ulink Lab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wireless link
KR102215912B1 (ko) * 2019-09-27 2021-02-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3d 스캐닝을 이용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US11557929B2 (en) * 2020-01-06 2023-01-17 Aira, Inc. Device movement detection in a multi-coil charging surface
GB202000370D0 (en) * 2020-01-10 2020-02-26 Metaboards Ltd Electrical resonators
WO2022114270A1 (ko) * 2020-11-26 2022-06-02 한국과학기술원 Radar 센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전송 송수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359A (ko) * 2012-02-29 2014-09-04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급전 장치, 수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150155718A1 (en) * 2011-11-10 2015-06-04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method
JP2015111998A (ja) * 2013-10-29 2015-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50084541A (ko) * 2014-01-14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9296A2 (en) * 1999-08-06 2001-02-28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onically steerable embedded laptop computer antenna array
US8159364B2 (en) * 2007-06-14 2012-04-17 Omnilectric,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197316B1 (ko) * 2010-07-22 2012-11-05 한국과학기술원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HUE059304T2 (hu) * 2010-10-27 2022-11-28 The Aes Corp Eljárás energiaszolgáltatások menedzselésére különbözõ típusú létesítményekhez
CN104094497B (zh) * 2011-12-27 2017-05-17 中国电力株式会社 非接触供电系统、供电装置及非接触供电系统的控制方法
US10128699B2 (en) * 2014-07-14 2018-11-13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wireless power using receiver device sensor inputs
US9941754B2 (en) * 2012-07-06 2018-04-10 Energous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selective range
US10103582B2 (en) 2012-07-06 2018-10-16 Energous Corporation Transmitter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9302594B2 (en) * 2012-07-31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communication based on distance from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wireless charging stations in a facility
US9197095B2 (en) * 2013-01-24 2015-11-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the apparatus
JP6384991B2 (ja) * 2013-10-28 2018-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6078812B2 (ja) * 2015-08-26 2017-02-15 株式会社ユピテル 脈波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5718A1 (en) * 2011-11-10 2015-06-04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method
KR20140107359A (ko) * 2012-02-29 2014-09-04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급전 장치, 수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15111998A (ja) * 2013-10-29 2015-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50084541A (ko) * 2014-01-14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431A (ko) * 2017-12-21 2019-07-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90087033A (ko) * 2018-01-15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중단 사유 전송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EP3776799A4 (en) * 2018-03-27 2021-12-29 Guru Wireless, Inc. Situation awar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1322990B2 (en) 2018-03-27 2022-05-03 GuRu Wireless, Inc. Situation awar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90128926A (ko) * 2018-05-09 2019-11-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적 원거리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9921B1 (ko) * 2018-05-18 2019-11-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상배열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9145B1 (en) 2020-07-22
EP3439144B1 (en) 2020-11-04
KR102592492B1 (ko) 2023-10-23
KR102607104B1 (ko) 2023-11-29
EP3439143B1 (en) 2021-05-05
KR102574145B1 (ko) 2023-09-05
KR20170112899A (ko) 2017-10-12
KR20170112896A (ko) 2017-10-12
EP3439145A4 (en) 2019-02-06
EP3439145A1 (en) 2019-02-06
EP3439144A4 (en) 2019-04-03
EP3439143A2 (en) 2019-02-06
KR20170112934A (ko) 2017-10-12
EP3439143A4 (en) 2019-02-06
EP3439144A1 (en)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2900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148320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77698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44448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565087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108284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444925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92887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2522A (ko)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5207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11438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01890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94692B2 (e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8147598A1 (ko) 전력 증폭기 및 임피던스 조정 회로
KR20190125156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