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909A -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 Google Patents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909A
KR20170111909A KR1020160038194A KR20160038194A KR20170111909A KR 20170111909 A KR20170111909 A KR 20170111909A KR 1020160038194 A KR1020160038194 A KR 1020160038194A KR 20160038194 A KR20160038194 A KR 20160038194A KR 20170111909 A KR20170111909 A KR 2017011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support
ray generator
shielding film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김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6003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909A/ko
Publication of KR2017011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장치를 거치하여 촬영할 때, 후방 산란선을 차폐시켜, 촬영자를 엑스선의 피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holder of x-ray generator for shielding back scattered radiation}
본 발명은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엑스선 촬영장치를 거치하여 촬영할 때, 후방 산란선을 차폐시켜, 촬영자를 엑스선의 피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의 투과 특성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촬영 대상의 후방에 필름이나 엑스선 검출 센서를 위치시키고, 촬영 대상의 전방에서 엑스선을 조사하여, 촬영 대상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의료 분야, 시료 분석 분야, 비파괴검사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구강 엑스선 촬영의 경우, 구강 내 구조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해야 하므로, 엑스선 조사를 위해 주로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가 이용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84549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엑스선을 생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생성된 엑스선을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하는 엑스선 방출구 및 촬영자가 손으로 잡고 촬영 버튼을 눌러 엑스선을 조사할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촬영자가 손으로 잡고 여러 방향에서 엑스선을 자유롭게 조사할 수 있으므로 구강 엑스선 촬영에 유리한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엑스선이 조사될 때, 산란에 의해 반사되는 후방 산란선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후방 산란선이 촬영자에게 장시간 노출될 경우, 질병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촬영자가 손으로 잡고 촬영하므로, 촬영자의 미세한 움직임에 의해 엑스선 촬영 영상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중 산란에 의해 반사되는 후방 산란선을 차폐시켜, 촬영자를 엑스선의 피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거치한 채,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촬영 영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촬영 대상을 향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의 엑스선 출사구가 상기 촬영 대상을 향해 노출되도록 체결될 수 있는 엑스선 차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차폐막은 촬영 대상에 엑스선이 입사되었을 때, 산란에 의해 반사되는 후방 산란선을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차폐막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판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차폐막은 콘 형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소정부분에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을 x축, y축 또는 z축 상에서 직선이동하게 하거나, 피치(pitch), 롤(roll) 또는 요(yaw) 방향으로 회동하게 하는 다자유도 구동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면상에서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차폐막 또는 상기 지지대의 소정부분에는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프레임;이 더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소정 위치에는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거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가 거치된 채로 충전될 수 있게 하는 충전 크레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 크레들을 통해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의하면, 촬영 대상에 엑스선이 입사되었을 때, 산란에 의해 반사되는 후방 산란선을 엑스선 차폐막으로 차폐시킴으로써, 촬영자를 엑스선의 피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의하면,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거치한 채,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촬영 영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의하면, 다자유도 구동부에 의해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엑스선의 조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의 차폐막이 구비된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형의 차폐막이 구비된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는 촬영 대상을 향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지지대(110) 및 차폐막(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10)의 소정 부분에는 다자유도 구동부(110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자유도 구동부(110a)는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111)을 X축, Y축 또는 Z축 상에서 직선 이동하게 하거나, 피치, 롤 또는 요 방향으로 회동하게 하여, 상기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10)가 거치된 상태에서 엑스선의 조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다자유도 구동부(110a)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핀 결합한 링크장치들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자유도로 구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볼 조인트나, 3차원 스테이지장치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기 차폐막(12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엑스선을 차단할 수 있는 시트로서,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11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폐막(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의 엑스선 출사구(11)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는 체결홀(1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막은(120)에는 상기 체결홀(121)을 통해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의 엑스선 출사구(11)가 촬영 대상을 향해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차폐막(120)을 사각형 형태의 판재로 도시하였으나, 면적이 있다면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막(120)은 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엑스선 출사구(11)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반사되는 후방 산란선(a)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차폐막(120)은 무연(Pb-free) 시트, 텅스텐 필라멘트로 직조한 텅스텐 시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엑스선을 차폐할 수 있는 재질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는 지지몸체(130) 및 바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130)는 상기 지지대(110)의 타측(112)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110)를 지면상에서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상기 지지대(110)가 지면상에서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바퀴(130)는 상기 지지몸체(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엑스레이 촬영장치(10)가 지면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촬영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130)에는 상기 바퀴(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외부의 컨트롤러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차폐막(120) 또는 상기 지지대(110)의 소정부분에는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를 거치하였을 때, 상기 엑스선 출사구(11)가 상기 엑스선 차폐막(120)의 체결홀(121)에 삽입되며 거치될 수 있는 거치프레임(15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100)는 배터리(160) 및 충천 크레들(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60)는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지지몸체(13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터리(160)가 하부 방향에 위치되게 하여, 지면상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충천 크레들(170)은 상기 거치프레임(150)에 형성되며,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가 거치되었을 때, 전원이 충천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배터리(160)의 출력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충전 크레들(170)의 출력단자(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충천 크레들(170)에는 상기 출력단자(171) 대신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용 코일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1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는 상기 지지대(120)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는 모니터(1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180)를 통해 엑스선 촬영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에 의하면, 기존의 휴대용 엑스선 발생 장치(10)를 거치한 채, 엑스선의 조사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면서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자의 손떨림 등의 움직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엑스선 촬영 영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 대상에 엑스선이 입사되었을 때, 산란에 의해 반사되는 후방 산란선(a)을 상기 엑스선 차폐막(120)으로 차폐시킴으로써, 촬영자를 엑스선의 피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는 구강용 엑스선 촬영에 국한되지 않고, 그 밖의 의료 분야, 시료 분석 분야, 비파괴검사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엑스선 발생장치
110 : 지지대 111 : 지지대의 일측
112 : 지지대의 타측 110a : 다자유도 구동부
120 : 엑스선 차폐막 130 : 지지몸체
140 : 바퀴 150 : 거치프레임
160 : 배터리 170 : 충전 크래들
180 : 모니터

Claims (7)

  1. 촬영 대상을 향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의 엑스선 출사구가 상기 촬영 대상을 향해 노출되도록 체결될 수 있는 엑스선 차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차폐막은 촬영 대상에 엑스선이 입사되었을 때, 산란에 의해 반사되는 후방 산란선을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차폐막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차폐막은
    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소정부분에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을 x축, y축 또는 z축 상에서 직선이동하게 하거나, 피치, 롤 또는 요 방향으로 회동하게 하는 다자유도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면상에서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차폐막 또는 상기 지지대의 소정부분에는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소정 위치에는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거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가 거치된 채로 충전될 수 있게 하는 충전 크레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 크레들을 통해 상기 엑스선 발생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KR1020160038194A 2016-03-30 2016-03-30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KR20170111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94A KR20170111909A (ko) 2016-03-30 2016-03-30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94A KR20170111909A (ko) 2016-03-30 2016-03-30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909A true KR20170111909A (ko) 2017-10-12

Family

ID=6014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94A KR20170111909A (ko) 2016-03-30 2016-03-30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9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396A (ko) * 2018-07-16 2020-01-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엑스선 차폐장치
KR20230002107A (ko)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일렉필드퓨처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벽체형 방사선 차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396A (ko) * 2018-07-16 2020-01-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엑스선 차폐장치
KR20230002107A (ko)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일렉필드퓨처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벽체형 방사선 차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8569B (zh) 放射线照射装置、放射线照射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7099432B2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and X-ray inspection method
US10455664B2 (en) Analyte-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US9861327B2 (en) Radiation blocking unit,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radiographic imaging method
JP6402720B2 (ja) X線装置
JP2011092612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7530979A (ja) デジタルx線カメラ
US20070189442A1 (en) Self-shielded ct scanner
JP2015167603A (ja) 撮影台
JP6618304B2 (ja) 乳房撮影装置
JP2020509899A (ja) 多位置コリメーションデバイス及びx線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
TW201927367A (zh) 中子捕獲治療系統、中子捕獲治療用患者載置台、患者姿勢確認系統及患者姿勢確認方法
KR20170111909A (ko) 후방 산란선 차폐용 엑스선 발생장치 거치대
KR20130059489A (ko)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콜리메이터
KR101211617B1 (ko) 엑스선 차폐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엑스선 장치
KR20140044158A (ko) 치아 모형 x-선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지그 장치
US6048097A (en) X-ray examination device with a C-arm
US20220061788A1 (en) X-ray tube holding apparatus and x-ray imaging system
JP2012183283A (ja) 回転動作検証システム、回転動作検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335888B2 (en) Imaging apparatus to acquire tomography projections with improved orbit
US20060291614A1 (en) Radiographic apparatus
KR20140137731A (ko) 수평 및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방사선 선량 측정 장치
JP6661391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8007923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CN112900258B (zh) 一种桥梁检测车作业稳定性监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