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875A -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875A
KR20170111875A KR1020160038109A KR20160038109A KR20170111875A KR 20170111875 A KR20170111875 A KR 20170111875A KR 1020160038109 A KR1020160038109 A KR 1020160038109A KR 20160038109 A KR20160038109 A KR 20160038109A KR 20170111875 A KR20170111875 A KR 2017011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ation
function
specific
unit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민
Original Assignee
얄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얄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얄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875A/ko
Publication of KR2017011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부모, 유아동, 교사)가 선호하는 학습 영역을 앱으로 선택하거나, 학습카드를 대화장치에게 인식시켜서 특정 대화기능을 활성화시켜, 양방향 음성대화를 통해서 선호 영역 학습을 진행하는 수행장치 및 그러한 기능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OLL CONTROL USING APP}
본 발명은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앱에서 특정 대화 기능을 선택하면, 로봇이나, 완구, 인형 등이 특정 대화 기능을 사용하게 하는 장치 및 그러한 기능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완구, 로봇 등에 사용자와의 질의 응답을 수행하는 기능들이 포함된 발명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특정 질문을 음성으로 말하면, 특정 답변을 음성으로 대답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대화 기능을 선택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특정 대화 기능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시 발화를 통해서 특정 대화를 원한다는 것을 알려줘야 하지만, 이 역시 번거롭거나 정확한 사용자 의도를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앱을 통해서 어떤 주제의 대화를 할 것인가를 선택하면, 무선으로 대화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 또는 다운로드가 되어, 해당 대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완구 등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의 대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앱을 통해서 특정 대화기능을 선택하면, 어린이가 해당 대화를 로봇, 완구, 인형 등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에게 필요한 대화를 어른이 선택할 수 있어서, 어린이가 학습 등 다양한 형태로 대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수행 방법은 (a)앱에서 특정 대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b)앱이 특정 장치로 대화 기능을 전달하는 단계, (c)특정 장치가 대화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a)에서, 앱에서 특정 대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는, 다수의 대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특정 대화 기능을 누르거나, 음성입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b)에서, 앱이 특정 장치로 대화 기능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단계(a)에서 선택한 기능을 특정 장치로 전달하여, 특정 장치가 특정 대화기능을 인터넷을 통해서 내려받기하거나, 자체 구비한 특정 대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특정 장치가 대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특정 장치가 사용자에게 어떤 세부 대화 기능을 선택할 것인지 묻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이나 카드로 답하는 단계, 특정 장치가 세부 대화 기능을 활성화해서, 주도적으로 대화를 전개해 나가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단계(c)에서, 사용자가 카드로 답하는 단계는, 카드에 태그(NFC, RFID 등)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특정 장치가 태그리더(NFC, RFID 등)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제시하는 카드에 포함된 기능을 읽어 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는 스마트폰과 대화장치, 대화서버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는 대화선택부, 대화장치통신부를 포함하고, 대화장치는 스마트폰통신부, 대화서버통신부, 음성입력부, 태그인식부, 대화기능활성화부, 음성출력부를 포함한다. 대화서버는 대화엔진부과 대화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대화선택부에서 특정 대화기능을 선택하면, 대화장치통신부가 대화장치로 특정 대화기능을 전달하고, 대화장치의 스마트폰통신부에서 특정 대화기능을 수신하여, 대화서버통신부를 통해서 대화서버와 통신환경이 구비되며, 대화기능활성부를 통해서 특정 대화기능이 활성화된 대화 데이터를 대화서버의 대화엔진부와 주고 받을 수 있다. 대화엔진부는 대화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서 대화를 진행한다.
대화장치의 태그인식부는 학습카드로부터 태그를 인식해서, 대화기능활성부를 통해서 특정 대화기능이 활성화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앱으로 특정대화기능을 활성화시켜서, 대화장치를 통해서 대화를 진행하게 하여, 특정 대화만 전문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대화 기능을 한정할 수 있고, 특정 대화를 하나의 아이템으로 팔아서 수익모델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부모, 유아동, 교사)가 선호하는 학습 영역에 해당하는 학습카드를 선택하고, 이 학습카드를 대화장치에게 인식시켜서 특정 대화기능을 활성화시켜, 음성인식부와 음성출력부를 이용해서 사용자와 양방향 음성대화를 통해서 선호 영역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폰, 대화장치, 대화서버, 학습카드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수행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기본 학습기능 대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구구단 대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국가맞추기 대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슬리핑모드 및 알람맞추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폰, 대화장치, 대화서버, 학습카드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폰(대화앱)에는 대화선택부, 대화장치통신부를 포함하고, 대화장치는 스마트폰통신부, 대화서버통신부, 음성입력부, 태그인식부, 대화기능활성화부, 음성출력부를 포함한다. 대화서버는 대화엔진부과 대화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대화선택부에서 특정 대화기능을 선택하면, 대화장치통신부가 대화장치로 특정 대화기능을 전달하고, 대화장치의 스마트폰통신부에서 특정 대화기능을 수신하여, 대화서버통신부를 통해서 대화서버와 통신환경이 구비되며, 대화기능활성부를 통해서 특정 대화기능이 활성화된 대화 데이터를 대화서버의 대화엔진부와 주고 받을 수 있다. 대화엔진부는 대화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서 대화를 진행한다.
대화장치의 태그인식부는 학습카드로부터 태그를 인식해서, 대화기능활성부를 통해서 특정 대화기능이 활성화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수행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수행 방법은 (a)앱에서 특정 대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b)앱이 특정 장치로 대화 기능을 전달하는 단계, (c)특정 장치가 대화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a)에서, 앱에서 특정 대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는, 다수의 대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특정 대화 기능을 누르거나, 음성입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b)에서, 앱이 특정 장치로 대화 기능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단계(a)에서 선택한 기능을 특정 장치로 전달하여, 특정 장치가 특정 대화기능을 인터넷을 통해서 내려받기하거나, 자체 구비한 특정 대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특정 장치가 대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특정 장치가 사용자에게 어떤 세부 대화 기능을 선택할 것인지 묻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이나 카드로 답하는 단계, 특정 장치가 세부 대화 기능을 활성화해서, 주도적으로 대화를 전개해 나가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단계(c)에서, 사용자가 카드로 답하는 단계는, 카드에 태그(NFC, RFID 등)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특정 장치가 태그리더(NFC, RFID 등)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제시하는 카드에 포함된 기능을 읽어 들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모가 학습앱을 통해서 학습할 기능을 선택하거나, 학습카드를 대화장치에 인식시키면, 특정 학습영역에 대해서 대화가 시작된다. 대화장치가 유아동에게 먼저 말을 걸 수도 있고, 유아동이 대화장치에게 먼저 말을 할 수도 있으며, 대화장치는 학습에 맞는 대화를 유도해서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유아동은 대화장치와 대화시에 음성으로 말을 하거나, 학습카드를 대화장치에 인식시킬 수도 있다.
또한, 부모는 학습앱을 통해서 학습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고, 음성을 통해서 대화장치와 대화를 통해서 학습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기본 학습기능 대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 학습기능은 부모가 학습앱으로 학습모드 및 레벨을 선택하면, 대화장치가 음성으로 유아동에게 문제를 내고, 아이가 음성으로 정답을 맞추는 기능을 지원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화장치가 “학습카드를 선택해주세요”라고, 학습실행 카드 선택을 요청하면, 부모가 대화앱(학습앱)으로 “동물이름학습”을 선택한다. 대화장치가 “동물이름맞추기를 선택했네요”라고 선택한 기능에 대해서 다시 확인해주고, “동물 울음소리를 듣고 이름을 맞춰보세요”라고 대화를 출력한다.
유아동은 “호랑이”라고 음성으로 대답하면, 대화장치가 상기 음성입력을 분석하여 정답이면, “와우, 정답이에요. 다음 문제를 낼게요”라고 응답을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구구단 대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모가 대화앱으로 구구단 대화를 선택하면, 대화장치가 유아동에게 대화로 학습을 유도한다.
아이가 정답을 맞출 경우 칭찬하고, 다음 문제를 내며, 3번 연속 오답일 경우 정답을 알려 주고 다음 문제로 넘어갈 수도 있다. 이때, 아이의 발화 중 숫자를 인식해서 정답을 체크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부모가 대화앱에서 “구구단 대화”를 선택하면, 대화장치가 “구구단 놀이를 시작합니다. 몇단 문제를 낼까요”라고 대화를 출력하고, 아이가 “7단”이라고 말하면, “7단 문제를 냅니다. 잘 듣고 맞춰 보세요. 7 곱하기 2”라고 대화장치가 선택한 단수에 맞는 문제를 제시한다.
아이가 “정답은 십사”라고 입력하면, “와우, 정답이에요. 7곱하기 6”이라고 말하면서, 음성입력 결과를 분석해서 정답유무를 알려주고, 다시 이어서 문제를 내게 된다.
아이가 “나 피곤해. 그만할래”라고 말하면, 대화장치가 점수를 체점하고 학습유도 대화를 다음과 같이 하게 된다. “이번 구구단 놀이 점수는 100점이에요. 정말 잘하시네요. 다음에 우리 또 해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국가맞추기 대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모가 대화앱으로 국가 맞추기 대화를 선택하여, 아이와 대화로 학습을 유도한다.
아이가 정답을 맞출 경우 칭찬하고, 국가에 대한 설명을 해주며(크기, 인구, 유명한 것 등의 특징), 3번 오답일 경우 정답을 알려주고 다음 문제로 넘어갈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모가 대화앱으로 국가 맞추기 대화를 선택하면 대화장치가 “어느 대륙을 선택하시겠어요”라고 질문한다.
부모나 유아동이 “아메리가와 유럽”이라고 대답하면, 대화장치가 선택한 레벨에 맞게 문제를 낸다. “자 문제를 냅니다. 수도가 뉴욕인 나라는 어디일까요”
유아동이 “정답은 미”” 또는 “미국”, 또는 “미국이야”라고 대답하면, “와우, 정답이에요. 잘하시네요. 에펠탑이 있는 나라는” 하면서 유아동이 말한 내용을 분석해서 정답이면 칭찬하고, 정답이 아니면, 정답을 알려주거나, 힌트를 주기도 한다.
유아동이 “나 피곤해. 그만할래” 하면서 중지를 요청하면, 대화장치가 점수를 채점해서 학습유도 대화를 진행한다. “이번 국가 맞추기 점수는 100점이에요. 정말 잘하시네요. 다음에 우리 또 해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에서 슬리핑모드 및 알람맞추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모가 대화앱으로 슬리핑모드를 선택하면, 선택한 시간(10 or 20분)에 따라 한국전래동화, 외국어동화, 영어단어, 자장가 등을 들려주거나, 알람 맞추기 기능을 선택하여 아침에 동요나 알람으로 아이를 깨워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부모가 대화앱으로 알람모드를 선택하고 오전 9시를 설정하면, 대화장치가 “오전 9시에 알람모드를 설정하였습니다.”라고 대화를 출력하고, 대화장치의 메모리상에 알람을 기록한다.
오전 9시에 “주인님, 일어나세요”라고 말하면서, 대화장치가 유아동을 깨우는 동작을 실행한다.
100: 학습앱
200: 대화장치
300: 대화서버
400: 학습카드

Claims (8)

  1. (a)앱에서 특정 대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b)앱이 특정 장치로 대화 기능을 전달하는 단계, (c)특정 장치가 대화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수행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앱에서 특정 대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는, 다수의 대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특정 대화 기능을 누르거나, 음성입력으로 선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대화 수행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앱이 특정 장치로 대화 기능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단계(a)에서 선택한 기능을 특정 장치로 전달하여, 특정 장치가 특정 대화기능을 인터넷을 통해서 내려받기하거나, 자체 구비한 특정 대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대화 수행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특정 장치가 대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특정 장치가 사용자에게 어떤 세부 대화 기능을 선택할 것인지 묻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이나 카드로 답하는 단계, 특정 장치가 세부 대화 기능을 활성화해서, 주도적으로 대화를 전개해 나가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대화 수행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사용자가 카드로 답하는 단계는, 카드에 태그(NFC, RFID 등)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특정 장치가 태그리더(NFC, RFID 등)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제시하는 카드에 포함된 기능을 읽어 들일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대화 수행 방법.
  6. 스마트폰(대화앱)과 대화장치, 대화서버를 포함하며, 스마트폰(대화앱)에는 대화선택부, 대화장치통신부를 포함하고, 대화장치는 스마트폰통신부, 대화서버통신부, 음성입력부, 태그인식부, 대화기능활성화부, 음성출력부를 포함한다. 대화서버는 대화엔진부과 대화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스마트폰 대화선택부에서 특정 대화기능을 선택하면, 대화장치통신부가 대화장치로 특정 대화기능을 전달하고, 대화장치의 스마트폰통신부에서 특정 대화기능을 수신하여, 대화서버통신부를 통해서 대화서버와 통신환경이 구비되며, 대화기능활성부를 통해서 특정 대화기능이 활성화된 대화 데이터를 대화서버의 대화엔진부와 주고 받을 수 있다. 대화엔진부는 대화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서 대화를 진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대화장치의 태그인식부는 학습카드로부터 태그를 인식해서, 대화기능활성부를 통해서 특정 대화기능이 활성화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KR1020160038109A 2016-03-30 2016-03-30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KR20170111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09A KR20170111875A (ko) 2016-03-30 2016-03-30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09A KR20170111875A (ko) 2016-03-30 2016-03-30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75A true KR20170111875A (ko) 2017-10-12

Family

ID=6014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09A KR20170111875A (ko) 2016-03-30 2016-03-30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8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021A (ko) 2017-12-08 2019-06-18 전자부품연구원 감정 및 윤리 상태 모니터링 기반 사용자 적응형 대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12822B1 (ko) * 2019-08-19 2020-05-19 주식회사 샤크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US11328711B2 (en) 2019-07-05 2022-05-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User adaptive convers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nitoring of emotional and ethical stat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021A (ko) 2017-12-08 2019-06-18 전자부품연구원 감정 및 윤리 상태 모니터링 기반 사용자 적응형 대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328711B2 (en) 2019-07-05 2022-05-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User adaptive convers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nitoring of emotional and ethical states
KR102112822B1 (ko) * 2019-08-19 2020-05-19 주식회사 샤크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8933A1 (en) Ai story platform with customizable personality for education, entertainment, and therapy
Pearl Designing voice user interfaces: Principles of conversational experiences
Cheng et al. Why doesn't it work? Voice-driven interfaces and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US10217453B2 (en) Virtual assistant configured by selection of wake-up phrase
US10963493B1 (en) Interactive game with robot system
US11222633B2 (en) Dialogue method, dialogue system, dialogue apparatus and program
Xu et al. Young children's reading and learning with conversational agents
US9039482B2 (en) Interactive toy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8182830B (zh) 机器人、机器人控制装置、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11501768B2 (en) Dialogue method, dialogue system, dialogue apparatus and program
US202003208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ding Assistance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Error Tracking Mechanisms
CN116009748B (zh) 儿童互动故事中图片信息交互方法及装置
KR102367862B1 (ko)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11875A (ko) 앱을 이용한 대화 제어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US20200034434A1 (en) Dialogue method, dialogue system, dialogue apparatus and program
CN110610627A (zh) 启发式诗词学习方法及装置
Coates Voice applications for Alexa and Google assistant
CN106251717A (zh) 智能机器人语言跟读学习方法和装置
TW201727595A (zh) 外語口說學習系統、方法及電腦程式產品
KR20170122616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CN113516878A (zh) 用于语言启蒙的多模态交互方法、系统及智能机器人
Quach Agent-based programming interfaces for children supporting blind children in creative computing through conversation
KR102475038B1 (ko) 음성 기반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634684B (zh) 智能教学方法和装置
Eriksson Onboarding Users to a Voice User Interface: Comparing Different Teaching Methods for Onboarding New Users to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