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833A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833A
KR20170111833A KR1020160038005A KR20160038005A KR20170111833A KR 20170111833 A KR20170111833 A KR 20170111833A KR 1020160038005 A KR1020160038005 A KR 1020160038005A KR 20160038005 A KR20160038005 A KR 20160038005A KR 20170111833 A KR20170111833 A KR 20170111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main
auxiliary
jew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401B1 (ko
Inventor
유승구
Original Assignee
유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구 filed Critical 유승구
Priority to KR102016003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40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신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장신구는: 메인보석과, 메인보석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조보석 및 메인보석과 보조보석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JEWELRY}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석들의 집합으로 큰 보석의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물론, 메인보석이 돋보이도록 표현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서 착용하는 것으로, 여성 또는 남성들이 손에 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 장신구로 이용된다.
이러한 반지는, 외면에 다수개의 보석이 박히거나, 혹은 다양한 문양 또는 모양들이 형성되어 착용자로 하여금 서로 다른 미적 아름다움을 표현하게 되는데, 특히 장식용 보석이 달린 대표적인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과, 상기 링의 외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빠지지 않도록 장착되는 장식용 보석으로 이루어진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000143호(2010.01.06, 발명의 명칭 : 장식물 교체식 반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석들의 집합으로 큰 보석의 효과를 낼 수 있고, 메인보석과 보조보석의 고정위치에 의해 메인보석이 돋보이며, 간단한 구조에도 보석들의 고정이 견고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메인보석과, 상기 메인보석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조보석 및 상기 메인보석과 상기 보조보석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보석과 상기 보조보석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보석을 고정하는 고정발과, 상기 보조보석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보조보석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보석의 상면은 상기 보조보석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보석은 상기 메인보석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보석은 일측이 상기 메인보석에 접하며, 타측은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발과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메인보석을 중심으로 둘레에 복수개의 보조보석이 구비됨으로 큰 보석의 효과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보석이 보조보석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메인보석의 가려짐을 방지할 수 있어 메인보석이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발에 의해 고정되는 메인보석과 고정부의 플랜지부에 의해 보조보석이 고정될 수 있어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100)는, 메인보석(110), 보조보석(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메인보석(110)과 보조보석(120)은 보석 또는 큐빅 등의 스톤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보석(110)은 고정부(130)의 중심부에 위치되며, 보조보석(120)은 메인보석(110)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구비되는 메인보석(110)을 중심으로 메인보석(110)의 둘레면을 따라 보조보석(120)이 구비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해 큰 보석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고정부(130)는 메인보석(110)과 보조보석(120)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메인보석(110)과 보조보석(12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32)와, 본체(132)에 구비되어 메인보석(110)을 고정하는 고정발(134)과, 보조보석(120)이 안착되는 안착부(136) 및 보조보석(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138)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발(134)은 본체(13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메인보석(110)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턱(134a)과, 메인보석(110)의 상단을 눌러 고정하는 이탈방지턱(134b)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발(134)은 본체(132)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복수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136)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2)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보조보석(120)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복수개의 안착홀(137)이 형성된다. 이때, 보조보석(120)의 하단부는 안착홀(137)에 끼워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138)는 보조보석(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플랜지부(138)는 본체(1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32)의 둘레면을 커버한다. 그리고, 상단이 내측으로 구부러져 보조보석(120)의 상단에 접하여 보조보석(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138)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보석(120) 전체의 상면 외측과 접촉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각각의 보조보석(120)과 접촉되도록 구획되거나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보석(110)의 상면은 보조보석(12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는 메인보석(110)과 메인보석(110)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보조보석(120)들의 모음으로 큰 보석의 효과를 내는 것은 물론, 메인보석(110)의 전체 크기가 노출될 수 있어 메인보석(110)을 부각시킬 수 있다.
보조보석(120)은 메인보석(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메인보석(110)의 둘레에 보조보석(120)이 구비되어 링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메인보석(110)의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보조보석(120)은 메인보석(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보석(120)은 일측이 메인보석(110)에 접하며, 타측은 플랜지부(138)에 접하여 고정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석(110)은 고정발(134)에 의해 고정되고, 보조보석(120)들의 외측은 플랜지부(138)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은 메인보석(110)에 눌려 고정되므로 보조보석(12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없어 간단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고정발(134)과 안착부(136)는 본체(132)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132)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132)의 사출성형시 고정발(134)과 안착부(136)는 일체로 사출성형 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착부(136)에 보조보석(120)을 안착시킨다. 이때, 보조보석(120)의 하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고, 안착부(136)에는 보조보석(120)의 하단부가 끼움결합되는 안착홀(137)이 형성되어 보조보석(120)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메인보석(110)을 본체(132)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발(134)에 고정한다. 즉, 고정발(134)의 지지턱(134a)에 메인보석(110)을 안착시킨 후, 이탈방지턱(134b)을 구부려 메인보석(110)의 상단을 눌러줌으로써, 메인보석(110)을 고정한다.
이후, 본체(132)의 둘레면에 플랜지부(138)이 결합된다. 플랜지부(138)는 본체(132)가 수용되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132)의 둘레면을 커버하며, 내측으로 구부러진 상단이 보조보석(120)의 외측에 접촉된다. 따라서, 보조보석(12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배치되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은 플랜지부(138)의 상단에 눌려 고정되고, 내측은 메인보석(110)에 의해 눌려 고정된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보조보석(120)은 별도의 부품없이 고정부(130)에 결합될 수 있어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보석(110)과 보조보석(120)의 모음으로 큰 보석의 효과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보석(110)이 전면으로 노출되는 구조에 의해 메인보석(110)의 크기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보석(110)이 부각되는 효과를 지닌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에 링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될 수 있는 반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고리를 통해 체인이 결합되어 목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신구(100)가 반지, 목걸이로 활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귀걸이, 브로치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에 의하면, 보석들의 집합으로 큰 보석의 효과를 낼 수 있고, 메인보석과 보조보석의 고정위치에 의해 메인보석이 돋보이며, 간단한 구조에도 보석들의 고정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장신구 110 : 메인보석
120 : 보조보석 130 : 고정부
132 : 본체 134 : 고정발
134a : 지지턱 134b : 이탈방지턱
136 : 안착부 137 : 안착홀
138 : 플랜지부

Claims (5)

  1. 메인보석;
    상기 메인보석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조보석; 및
    상기 메인보석과 상기 보조보석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보석과 상기 보조보석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보석을 고정하는 고정발;
    상기 보조보석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보조보석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석의 상면은 상기 보조보석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석은 상기 메인보석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보석은 일측이 상기 메인보석에 접하며, 타측은 상기 플랜지부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발과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160038005A 2016-03-29 2016-03-29 장신구 KR10187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05A KR101871401B1 (ko) 2016-03-29 2016-03-29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05A KR101871401B1 (ko) 2016-03-29 2016-03-29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33A true KR20170111833A (ko) 2017-10-12
KR101871401B1 KR101871401B1 (ko) 2018-06-26

Family

ID=6014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05A KR101871401B1 (ko) 2016-03-29 2016-03-29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4289A (zh) * 2021-09-30 2022-01-28 周六福珠宝股份有限公司 一种宝石托及一种链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8750A1 (en) * 2001-05-30 2002-12-05 Anthony Pinto Jewelry assembly with central raised stone and side lower stones
KR20120005567U (ko) * 2011-01-25 2012-08-02 이승재 반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8750A1 (en) * 2001-05-30 2002-12-05 Anthony Pinto Jewelry assembly with central raised stone and side lower stones
KR20120005567U (ko) * 2011-01-25 2012-08-02 이승재 반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4289A (zh) * 2021-09-30 2022-01-28 周六福珠宝股份有限公司 一种宝石托及一种链子
CN113974289B (zh) * 2021-09-30 2024-03-29 周六福珠宝股份有限公司 一种宝石托及一种链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401B1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882564U (zh) 能够更换饰物的首饰系统及与其一起使用的能够更换的钥匙、能够更换饰物的首饰套件
US8499582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strand
US20080289363A1 (en) Selectable component jewelry system
USD683935S1 (en) Jeweled trim for a sandal
US20150366294A1 (en) Decorative Ornament
US10537160B1 (en) Jewelry device
US10506852B2 (en) Multi-functional bracelet
EP2522242A2 (en) Decorative clip assembly
US8091383B1 (en) Two finger ring and two toe ring
US20160174670A1 (en) Interchangeable wafer rings
KR101364522B1 (ko) 피어싱 또는 귀걸이로 전환 사용이 용이한 액세서리
KR101871401B1 (ko) 장신구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KR200468937Y1 (ko) 보석체의 움직임이 가능한 장신구용 보석난집
US7856849B2 (en) Interchangeable ornament ring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200418686Y1 (ko) 귀고리
KR101816276B1 (ko) 장신구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KR200469408Y1 (ko)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CN111050592B (zh) 用于保持可更换的装饰物的首饰
KR101883965B1 (ko) 연결형 장신용구
KR101973714B1 (ko) 유동 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9149094B2 (en) Adapter for ornamental accessory
KR101638181B1 (ko) 형틀을 이용한 줄난 성형방법 및 줄난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