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755A -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755A
KR20170111755A KR1020160037789A KR20160037789A KR20170111755A KR 20170111755 A KR20170111755 A KR 20170111755A KR 1020160037789 A KR1020160037789 A KR 1020160037789A KR 20160037789 A KR20160037789 A KR 20160037789A KR 20170111755 A KR20170111755 A KR 2017011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subframe
slot
srs
dm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905B1 (ko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6003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90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3Rate matching, e.g. puncturing or repetition of code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비면허 서빙셀에서 상향링크제어정보(UCI)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CCA(Clear Channel Assessment) 갭, 사운딩참조신호(SRS), 또는 하향링크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ment)이 요구되는 하향링크 전송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CCA 갭, 상기 SRS, 또는 상기 하향링크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펑처링된-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PUCCH)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P-PUCCH 포맷을 통해서 상기 HARQ-ACK을 포함하는 상기 UCI 및 복조참조신호(DM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UNLICENSED SPECTRU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장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기록 매체에 대한 것이다.
비면허(unlicensed) 스펙트럼(또는 비면허 대역, 비면허 캐리어, 또는 비면허 주파수) 상에서의 셀룰러 무선 통신과 같은 면허 기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서, 면허-지원 액세스(Licensed-Assisted Access, LAA)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장치는 기본적으로 리슨-비포-토크(LBT)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는 장치는,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현재 채널이 사용중인지를 체크하고 채널이 사용중이지 않은 경우에 신호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특히, LAA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LBT 동작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 중에서 일부는 LBT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LAA 동작을 고려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예를 들어,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의 새로운 포맷, 및 새로운 PUCCH 포맷을 고려한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의 단말 및 기지국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까지 정하여진 바 없다.
본 발명은 비면허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면허 서빙셀에서 LBT 동작을 위한 심볼, 사운딩참조신호 전송을 위한 심볼, 부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위한 심볼 중의 하나 이상을 고려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펑처링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비면허 서빙셀에서 상향링크제어정보(UCI)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CCA(Clear Channel Assessment) 갭, 사운딩참조신호(SRS), 또는 하향링크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ment)이 요구되는 하향링크 전송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CCA 갭, 상기 SRS, 또는 상기 하향링크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펑처링된-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PUCCH)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P-PUCCH 포맷을 통해서 상기 HARQ-ACK을 포함하는 상기 UCI 및 복조참조신호(DM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면허 서빙셀에서 LBT 동작을 위한 심볼, 사운딩참조신호 전송을 위한 심볼, 부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위한 심볼 중의 하나 이상을 고려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펑처링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LAA 서빙셀에서 P-PUCCH 주파수 축에서의 매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P-PUCCH 포맷 1/1a/1b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P-PUCCH 포맷 1/1a/1b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P-PUCCH 포맷 1/1a/1b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4 개의 심볼에서 전송되는 새로운 P-PUCCH 포맷을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향링크 LAA를 위해서 새롭게 설계되는 PUCCH 포맷을 펑처링된-PUCCH(Punctured-PUCCH, P-PUCCH) 포맷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P-PUCCH 라는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면허 서빙셀(예를 들어, PUCCH를 지원하는 LAA SCell(Serving Cell 또는 Secondary Cell)) 상에서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의 전송에 이용되는 P-PUCCH 포맷은 비면허 서빙셀의 특성과 환경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LAA 상향링크(UL) 전송을 위한 LBT 동작에 따라서, 다양한 CCA(Clear Channel Assessment) 갭의 위치(즉, 시간 도메인 상에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P-PUCCH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LBT 성공 후, 지속적인 채널 점유를 위한 CR(Channel Reservation) 신호의 잠재적인 전송을 고려하여 P-PUCCH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P-PUCCH 포맷은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ment) 및/또는 SR(Scheduling Request) 전송을 위한 송신 정보 크기 등을 고려하여 P-PUCCH 포맷 1/1a/1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LAA 서빙셀 환경에서 P-PUCCH 포맷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DL 전송에 대한 확인응답(즉, HARQ-ACK) 등)에 해당하는 UCI DATA 및 P-PUCCH 포맷의 복조를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을 나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UCI DATA 및 DMRS 모두에 대해서 OCC(Orthogonal Cover Code) 매핑이 적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다. UCI DATA를 위한 OCC를 UCI DATA가 매핑되는 심볼에 걸쳐서 시간 확산(time spread)되고, DMRS를 위한 OCC는 DMRS가 매핑되는 심볼에 걸쳐서 시간 확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UL LBT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LAA 서빙셀에서 단말이 UL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채널 점유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LBT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조건에서는 단말이 UL LBT를 수행하지 않고 UL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의 설정, 전송 채널의 종류, 전송 신호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다양한 LBT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셀프-스케줄링 또는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으로 설정되는지에 따라서 아래와 같은 LBT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셀프-캐리어 스케줄링(self-carrier scheduling)을 위해 다음과 같은 UL LBT 캔디데이트 과정(candidate procedure)을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시로서,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UL burst transmission) 전에, 25 마이크로초(us)의 CCA(Clear Channel Assessment) 듀레이션(duration)을 정의하여, CCA 듀레이션 동안 채널을 센싱(sensing)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이 수행되는 듀레이션은 CCA 듀레이션 이하일 수 있다.
두 번째 예시로서, 25us의 지연 구간(defer period)을 적용하면서, 최대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는 {3, 4, 5, 6, 7}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UL CCA를 수행하는 시간에서 단말은 25us 지연 구간 동안 채널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면, 경쟁 윈도우 크기에 해당하는 개수의 CCA 슬롯(즉, contention window size * CCA slot duration)만큼 추가적인 채널 센싱(sensing)을 수행하여 N=0이면, UL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랜덤으로 정해지는 초기 값에서 슬롯 듀레이션 동안 채널이 아이들한 경우에 1 씩 감소하는 카운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CCA 슬롯 듀레이션(CCA slot duration)은 9us일 수 있다.
Self-carrier scheduling 에서 하향링크 버스트(DL burst) 전송 바로 다음에, 미리 정의된 시간 갭(time gap)을 두고 상향링크 전송 버스트(UL burst) 전송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갭은 최대 16us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UL LBT candidate procedure를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시로서, UL burst transmission 전에, 25us의 CCA duration을 정의하여, CCA 듀레이션 동안 채널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이 수행되는 듀레이션은 CCA 듀레이션 이하일 수 있다.
두 번째 예시로서, UL burst transmission 전에 지연 구간 및 추가적인 채널 센싱 구간을 적용할 수 있는데, 지연 구간의 크기는 25us 이하일 수 있고, 위의 self-carrier scheduling과 같이 추가적인 채널 센싱 구간을 결정하는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는 하향링크 LBT(DL LBT)의 경우에 적용되는 것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심볼 듀레이션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심볼은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에 해당할 수 있다.
CCA 갭은 1 또는 2 심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사운딩참조신호(SRS)는 1 심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CR은 CCA 갭 구간 또는 SRS 심볼 구간 동안에 1 또는 2 심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CCA 갭 구간과 SRS 심볼 구간에서 CR이 대신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CA 갭 구간 동안에 이미 채널 점유에 성공했지만 해당 시점이 PUCCH 전송 심볼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채널점유를 위해 CR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SRS가 드랍되었지만 지속적인 UL 전송(예를 들어, PUCCH,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의 전송)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노드들에게 채널을 뺏기지 않기 위해 드랍된 SRS 심볼 구간에서 CR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LAA 서빙셀에서 P-PUCCH 주파수 축에서의 매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a)는 P-PUCCH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 상에서 전송 노드가 소정의 규정(예를 들어,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규정)에 의해 준수해야 하는 점유 채널 대역폭(occupied channel bandwidth)을 고려한 P-PUCCH 매핑 방식을 나타낸다. 도 1에서 (b)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의 양 끝단(edge)에 PUCCH가 매핑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어떤 매핑 방식을 따르는지는 구현 이슈로서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축에서의 P-PUCCH 매핑 방식에 추가적으로, 시간축 상에서 P-PUCCH 전송 포맷의 구조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P-PUCCH 포맷의 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주파수 축에서의 매핑 방식 중의 어느 것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PUCCH 포맷 1/1a/1b 전송이 존재할 수 있는 3 가지의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을 고려하여 새로운 P-PUCCH 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예시들은 P-PUCCH 및 CCA 갭이 동일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특히, P-PUCCH 전송 서브프레임의 처음 1 개 또는 2 개의 심볼에서 CCA 갭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2의 (a)는 SRS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b)는 SRS 심볼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경우, (c)는 SRS 심볼이 CCA 갭에 후속하여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P-PUCCH 포맷 1/1a/1b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CCA 갭, SRS 심볼의 존재 여부 및 위치에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에 있어서 CCA 갭 및/또는 SRS 심볼을 고려하여 데이터와 DMRS 를 물리자원에 할당하는 OCC 매핑을 정의해야 한다.
P-PUCCH 포맷 1/1a/1b 에서는 DMRS에 OCC 매핑이 수행되므로, 슬롯마다 DMRS가 할당되는 심볼의 개수
Figure pat00001
및 직교 시퀀스
Figure pat00002
에 따라서 DMRS 전송 심볼에 OCC를 매핑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P-PUCCH 포맷 1/1a/1b 구조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는 노멀 CP(Cyclic Prefix)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의 7개의 심볼(즉, SB#0 내지 SB#6)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1에서 CCA로 표기된 것은 CCA 전송 심볼이고, DMRS로 표기된 것은 DMRS 전송 심볼이다. DMRS 전송 심볼마다 각각 OCC 시퀀스의 값
Figure pat00004
(n=0, 1, ...,
Figure pat00005
-1)가 곱해지는 것으로 고려한다.
Figure pat00006
는 확산인자를 나타내며, 상향링크 제어 정보(즉 UCI DATA)가 전송되는 심볼의 개수, 또는 UCI DATA에 적용되는 OCC 시퀀스의 길이에 대응한다. UCI DATA 전송 심볼마다 각각 OCC 시퀀스의 값
Figure pat00007
(n=0, 1, ...,
Figure pat00008
-1)가 곱해지는 것으로 고려한다. 표 1에서는 7개의 심볼 중에서 SB#0에는 CCA가 매핑되고, SB#1, SB#5 및 SB#6에는 OCC 시퀀스
Figure pat00009
가 곱해진 UCI DATA가 매핑되고, SB#2, SB#3, SB#4에는 OCC 시퀀스
Figure pat00010
가 곱해진 DMRS가 매핑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아래의 표 2는 P-PUCCH 1/1a/1b에서의 DMRS를 위한 직교 시퀀스
Figure pat00011
를 나타낸다. 만약
Figure pat00012
=1 이면
Figure pat00013
=1 로 정의된다. 여기서, 프레임 스트럭쳐 타입 3는 LLA 셀에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의미하며,
Figure pat00014
는 OCC의 시퀀스 인덱스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5
아래의 예시들에서와 같이 서브프레임 내에서 CCA 갭 및 SRS 심볼의 존재에 따라서 PUCCH 심볼(즉, UCI DATA 심볼 및 DMRS 심볼)에 대한 OCC 인덱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CCA 갭과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에서 PUCCH 제어 정보(즉, UCI DATA) 및 DMRS를 매핑하고, 각각에 대응하는 OCC를 매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길이 3을 가지는 OCC 시퀀스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3 및 표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P-PUCCH 포맷 1/1a/1b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표 3의 P-PUCCH 포맷 1/1a/1b 구조는 도 2와 같은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1 및 노멀 CP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16
도 3 및 표 3에서는 노멀 CP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슬롯(N)의 7개의 심볼을 나타낸다. 첫 번째 심볼(SB#0)은 CCA 수행을 위해서 펑처링된다. UCI DATA 전송(SB#1, SB#5, SB#6)을 위한 OCC 시퀀스의 길이는
Figure pat00017
=3 을 사용하고, DMRS(SB#2, SB#3, SB#4)를 위한 OCC 시퀀스의 길이도
Figure pat00018
=3 을 사용하여(표 2) P-PUCCH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 및 표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P-PUCCH 포맷 1/1a/1b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표 4의 P-PUCCH 포맷 1/1a/1b 구조는 도 2의 (c)와 같은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1 및 노멀 CP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19
도 4 및 표 4에서는 노멀 CP 서브프레임의 어떤 슬롯(임의의 슬롯(N))의 7개의 심볼을 나타낸다. 첫 번째 심볼(SB#0)은 CCA 수행을 위해서 펑처링되고, 두 번째 심볼(SB#1)은 SRS 전송을 위해서 펑처링된다. UCI DATA 전송(SB#5, SB#6)을 위한 OCC 시퀀스의 길이는
Figure pat00020
=2 을 사용하고, DMRS(SB#2, SB#3, SB#4)를 위한 OCC 시퀀스의 길이는
Figure pat00021
=3 을 사용하여 P-PUCCH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PUCCH를 통해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있어서 복소값의 심볼(complex-valued symbol)은 d(0)로 표기되며, 이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HARQ-ACK 비트 b(0), ..., b(Mbit-1) 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하여 생성된다. Mbit는 PUCCH 포맷 1a의 경우에는 1, PUCCH 포맷 1b의 경우에는 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d(0)는 길이 12를 가지는 순환 시프트된(cyclic shifted) ZC(Zadoff-Chu) 시퀀스
Figure pat00022
가 각각의 안테나 포트마다 곱해진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23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24
=12 이다. 안테나 포트-특정 순환 시프트 값
Figure pat00025
는 슬롯과 심볼마다 다르게 생성된다. P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이고 p는 안테나 포트 인덱스에 해당한다. 또한, 시퀀스 생성에 있어서 u는 베이스 시퀀스들의 그룹 번호에 해당하고, v는 그룹 내의 베이스 시퀀스 번호에 해당한다.
복소값의 심볼들
Figure pat00026
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서 S(ns)에 의해서 스크램블링되고, 안테나 포트-특정 시퀀스
Figure pat00027
(즉, OCC 시퀀스) 를 이용하여 블록-단위로(block-wise) 확산된다.
Figure pat00028
상기 수학식 2의 S(ns)에서 ns는 슬롯 인덱스이다.
Figure pat00029
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두 개의 슬롯에서 P-PUCCH가 매핑되는 두 개의 자원 블록 내에서 자원 인덱스를 나타낸다.
면허 서빙셀에서 일반적인 PUCCH 포맷 1/1a/1b 구조에서는 2개의 슬롯 모두에서
Figure pat00030
=4이고, 펑처링된 PUCCH 포맷 1/1a/1b 구조(여기서, 면허 서빙셀에서의 펑처링된 PUCCH 포맷은 SRS 전송 심볼에 의한 펑처링을 의미함)에서는 첫 번째 슬롯(또는 슬롯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는 경우 짝수 인덱스를 가지는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31
=4 이고 두 번째 슬롯(또는 슬롯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는 경우 홀수 인덱스를 가지는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32
=3이다.
아래의 표 5, 표 6, 표 7은 각각
Figure pat00033
=4,
Figure pat00034
=3,
Figure pat00035
=2인 경우의 직교 시퀀스를 나타낸다. 아래 표 5, 표 6, 표 7에 따라서 수학식 2에서 적절한
Figure pat00036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Figure pat00037
=1 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38
=1 이다.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이하에서는 P-PUCCH 포맷 1/1a/1b를 위한 DMRS에 대해서 설명한다.
P-PUCCH DMRS 시퀀스
Figure pat00042
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43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pat00044
는 DMRS 시퀀스의 길이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P-PUCCH 포맷 1/1a/1b의 경우에 z(m)=1이다.
Figure pat00045
은 순환 시프트된 ZC 시퀀스이다. 순환 시프트 값
Figure pat00046
는 PUCCH 포맷마다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P-PUCCH 포맷 1/1a/1b에서
Figure pat00047
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ns는 슬롯 인덱스이고, l은 심볼 인덱스이다.
Figure pat00048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pat00049
는 하나의 슬롯의 DMRS 심볼의 개수이고, 시퀀스
Figure pat00050
(즉, OCC 시퀀스) 는 상기 표 2에서 정의한 것을 따를 수 있다.
Figure pat00051
는 직교 시퀀스 인덱스이고,
Figure pat00052
는 상위계층에 의해서 시그널링되는 파라미터이며 1, 2, 또는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53
는 P-PUCCH 포맷 1/1a/1b의 자원 인덱스이고,
Figure pat00054
은 PUCCH 포맷 2와 P-PUCCH 포맷 1/1a/1b가 같은 PRB내에서 멀티플렉싱 되는 경우에 P-PUCCH 포맷 1/1a/1b 를 위해 사용되는 순환 시프트의 개수이다. 상기 값은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서 단말마다 설정된다.
Figure pat00055
는 하나의 자원 블록의 크기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이다.
Figure pat00056
은 셀 내에서 모든 PUCCH 포맷에서 적용되며 각 슬랏 및 각 OFDM 심볼 마다 랜덤한 순환 시프트 값
Figure pat00057
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값에 해당한다. 상기
Figure pat00058
는,
Figure pat00059
와 같으며,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SC-FDMA 심볼에 따라서 랜덤한 특성을 지닌 골드시퀀스를 통해서 그 값을 생성하여 위에 활용된다.
방안 1-1은 P-PUCCH 포맷 1/1a/1b의 구조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또는 슬롯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는 경우 짝수 인덱스를 가지는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60
=3 이고, 두 번째 슬롯(슬롯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는 경우 홀수 인덱스를 가지는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61
=4 이며, 두 슬롯 모두에서
Figure pat00062
=3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의 확산인자 값이 3 및 4로 서로 다르지만, P-PUCCH 포맷 1/1a/1b의 전체 다중화 용량(최대 36개 자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DMRS가 매핑되는 심볼의 개수도 각각의 슬롯에서 3개이다. 마찬가지로, PUCCH 자원 인덱스
Figure pat00063
로부터 유도된 직교 시퀀스 인덱스
Figure pat00064
및 순환 시프트
Figure pat00065
는 아래의 수학식 5와 6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6는 PUCCH 자원 인덱스에 대한 할당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PUCCH 자원에 대한 정보는 하기 수학식 6에 따라 유도된 PUCCH 자원이 PUCCH format 2와 같은 PRB에 할당되는 것인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각 슬랏 및 각 심볼 마다 새로운 PUCCH 자원 인덱스로 맵핑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66
는 OCC 매핑 인덱스이며, 유도된
Figure pat00067
값과 상기 표 2, 표 5, 표 6, 또는 표 7의 OCC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각의 심볼마다 곱해지는 직교 시퀀스 값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방안 1-2는 P-PUCCH 포맷 1/1a/1b의 구조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70
=3 이고, 두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71
=3 이며, 두 슬롯 모두에서
Figure pat00072
=3 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의 확산인자 값이 3으로 동일하고, P-PUCCH 포맷 1/1a/1b의 전체 다중화 용량은 최대 36개 자원이 유지된다. 또한, DMRS가 매핑되는 심볼의 개수도 각각의 슬롯에서 3개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슬롯마다 하나의 심볼을 SRS 또는 CCA 갭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각각의 슬롯에서의 DMRS 심볼 수를 3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채널 추정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방안 1-3은 P-PUCCH 포맷 1/1a/1b의 구조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73
=3,
Figure pat00074
=2 또는 1이고, 두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75
=4,
Figure pat00076
=3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슬롯에서 CCA 갭 및 SRS 심볼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상향링크 제어 정보(즉, UCI DATA) 전송 심볼 개수와 DMRS 전송 심볼 개수가 모두 잠재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나의 슬롯에서 3 개의 심볼이 UCI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2개의 심볼이 DMRS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DMRS 전송 심볼의 개수가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하여 채널 추정 성능의 열화는 방지할 수 있지만, 첫 번째 슬롯에서 2 개의 DMRS 심볼을 사용하므로 전체 다중화 용량이 36에서 18로 감소하게 된다.
이하의 표 8, 표 9 및 표 10에서는 도 2의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1(즉, CCA 갭이 서브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존재하는 경우)의 경우에 SRS 심볼 및 CCA 갭의 존재 및 길이에 따른 다양한 UCI DATA 심볼 및 DMRS 심볼의 위치 및 개수와, 이 경우의 OCC 적용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즉, 이하의 표 8, 표 9 및 표 10에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 CCA 갭, 또는 SRS 전송 중의 하나 이상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2 개의 슬롯에서 UCI DATA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077
=3 또는
Figure pat00078
=4를 가지고, DMRS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079
=3인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36 개의 다중화 용량이 유지된다. 한편, UCI DAT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080
=2 이거나 DMRS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081
=2인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중화 용량이 18 개로 감소하게 되지만,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CCA 갭 및 SRS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표 8은 P-PUCCH 및 DMRS에 대한 슬롯 당 OCC 매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표 9는 SRS가 존재할 수 있는 경우 P-PUCCH 및 DMRS에 대한 슬롯 당 OCC 매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표 10은 CCA 갭 및 SRS가 존재할 수 있는 경우 P-PUCCH 및 DMRS에 대한 슬롯 당 OCC 매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시들에서, 하나의 슬롯에서 UCI DATA를 위한 확산인자
Figure pat00085
=2, 3 또는 4의 값을 가질 수 있고, DMRS를 위한 확산 인자
Figure pat00086
=1, 2 또는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서 CCA 갭 및 SRS 심볼의 존재여부 및 위치에 따라서 UCI DATA 전송 심볼의 개수(즉, 2, 3, 또는 4) 및 위치와 DMRS 전송 심볼의 개수(즉, 1, 2, 또는 3) 및 위치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LAA SCell에서의 PUCCH 전송에 있어서 다중화 용량, CCA 갭을 위한 심볼 개수, SRS와의 다중화 여부에 따라서 위와 같은 조합을 통해서 새로운 P-PUCCH 포맷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들은 P-PUCCH 및 CCA 갭이 동일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특히, P-PUCCH 전송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1 개 또는 2 개의 심볼에서 CCA 갭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5의 (a)는 SRS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b)는 SRS 심볼이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에 존재하는 경우, (c)는 SRS 심볼이 CCA 갭의 직전에 존재하는 경우, (d)는 P-PUCCH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에서 SRS 심볼이 직전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 부분의 CCA 갭에 후속하여 (즉, P-PUCCH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의 처음 부분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P-PUCCH 포맷 1/1a/1b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CCA 갭, SRS 심볼의 존재 여부 및 위치에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에 있어서 CCA 갭 및/또는 SRS 심볼을 고려한 OCC 매핑을 정의해야 한다.
방안 2-1은 P-PUCCH 포맷 1/1a/1b의 구조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87
=4 이고, 두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88
=3 이며, 두 슬롯 모두에서
Figure pat00089
=3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의 확산인자 값이 4 및 3으로 서로 다르지만, P-PUCCH 포맷 1/1a/1b의 전체 다중화 용량(최대 36개 자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DMRS가 매핑되는 심볼의 개수도 각각의 슬롯에서 3개이다. 마찬가지로, PUCCH 자원 인덱스
Figure pat00090
로부터 유도된 직교 시퀀스 인덱스
Figure pat00091
및 순환 시프트
Figure pat00092
는 상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93
는 OCC 매핑 인덱스이며, 유도된
Figure pat00094
값과 상기 표 2, 표 5, 표 6, 또는 표 7의 OCC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각의 심볼마다 곱해지는 직교 시퀀스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방안 2-2는 P-PUCCH 포맷 1/1a/1b의 구조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95
=3 이고, 두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96
=3 이며, 두 슬롯 모두에서
Figure pat00097
=3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의 확산인자 값이 3으로 동일하고, P-PUCCH 포맷 1/1a/1b의 전체 다중화 용량은 최대 36개 자원이 유지된다. 또한, DMRS가 매핑되는 심볼의 개수도 각각의 슬롯에서 3개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슬롯마다 하나의 심볼을 SRS 또는 CCA 갭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각각의 슬롯에서의 DMRS 심볼 수를 3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채널 추정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방안 2-3은 P-PUCCH 포맷 1/1a/1b의 구조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098
=4,
Figure pat00099
=3이고, 두 번째 슬롯에서는
Figure pat00100
=3,
Figure pat00101
=2 또는 1로 정의한다.
이 경우, 두 번째 슬롯에서 CCA 갭 및 SRS 심볼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상향링크 제어 정보(즉, UCI DATA) 전송 심볼 개수와 DMRS 전송 심볼 개수가 모두 잠재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나의 슬롯에서 3 개의 심볼이 UCI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2개의 심볼이 DMRS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DMRS 전송 심볼의 개수가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하여 채널 추정 성능의 열화는 방지할 수 있지만, 두 번째 슬롯에서 2 개의 DMRS 심볼을 사용하므로 전체 다중화 용량이 36에서 18로 감소하게 된다.
이하의 표 11, 표 12, 표 13, 표 14, 표 15에서는 도 5의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1(즉, CCA 갭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에 존재하는 경우)의 경우에 SRS 심볼 및 CCA 갭의 존재 및 길이에 따른 다양한 UCI DATA 심볼 및 DMRS 심볼의 위치 및 개수와, 이 경우의 OCC 적용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즉, 이하의 표 11, 표 12, 표 13, 표 14, 표 15에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 CCA 갭, 또는 SRS 전송 중의 하나 이상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2 개의 슬롯에서 UCI DATA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102
=3 또는
Figure pat00103
=4를 가지고, DMRS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104
=3인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36 개의 다중화 용량이 유지된다. 한편, UCI DATA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105
=2 이거나 DMRS를 위한 확산인자의 값이
Figure pat00106
=2인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중화 용량이 24 개로 감소하게 되지만,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CCA 갭 및 SRS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표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P-PUCCH 포맷 1/1a/1b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표 11의 P-PUCCH 포맷 1/1a/1b 구조는 도 5의 (c)와 같은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2 및 노멀 CP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107
도 6 및 표 11에서는 노멀 CP 서브프레임의 어떤 슬롯의 7개의 심볼을 나타낸다. 마지막 심볼(SB#6)은 CCA 수행을 위해서 펑처링되고, 그 직전의 심볼(SB#5)은 SRS 전송을 위해서 펑처링된다. UCI DATA 전송을 위한 OCC 시퀀스의 길이는
Figure pat00108
=2을 사용하고, DMRS를 위한 OCC 시퀀스의 길이는
Figure pat00109
=3 을 사용하여 P-PUCCH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표 12는 슬롯의 마지막 부분에 CCA 갭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의 P-PUCCH 및 DMRS에 대한 슬롯 당 OCC 매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표 13은 슬롯의 시작 부분에 SRS가 존재하고 슬롯의 마지막 부분에 CCA 갭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 P-PUCCH 및 DMRS에 대한 슬롯 당 OCC 매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표 14는 슬롯의 마지막 부분에 SRS 및 CCA 갭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 P-PUCCH 및 DMRS에 대한 슬롯 당 OCC 매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표 15는 슬롯의 처음 부분에 SRS가 존재할 수 있는 경우 P-PUCCH 및 DMRS에 대한 슬롯 당 OCC 매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Figure pat00110
Figure pat00111
Figure pat00112
Figure pat00113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시들에서, 하나의 슬롯에서 UCI DATA를 위한 확산인자
Figure pat00114
=2, 3 또는 4의 값을 가질 수 있고, DMRS를 위한 확산 인자
Figure pat00115
=1, 2 또는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서 CCA 갭 및 SRS 심볼의 존재여부 및 위치에 따라서 UCI DATA 전송 심볼의 개수(즉, 2, 3, 또는 4) 및 위치와 DMRS 전송 심볼의 개수(즉, 1, 2, 또는 3) 및 위치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LAA SCell에서의 PUCCH 전송에 있어서 다중화 용량, CCA 갭을 위한 심볼 개수, SRS와의 다중화 여부에 따라서 위와 같은 조합을 통해서 새로운 P-PUCCH 포맷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 타입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예시들은 하향링크 채널이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CI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P-PUCCH를 활용하는 예시에 대한 것이다. 즉, 하향링크 채널, P-PUCCH 및 CCA 갭이 동일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존재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향링크 채널의 대표적인 예시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나타내지만, PDSCH 대신에 또는 PDSCH에 추가적으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DCCH)) 등의 다양한 하향링크 채널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7의 (a), (b) 및 (c)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부분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종료(end) DL 부분 서브프레임에 해당하고, (d), (e) 및 (f)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개시(initial) DL 부분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각각의 예시들에서 CCA 갭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DL 수신에서 UL 전송으로 스위칭되는 사이, 또는 UL 전송에서 DL 수신으로 스위칭하는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종료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SRS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b)는 종료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SRS 심볼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존재하는 경우, (c)는 종료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SRS 심볼이 CCA 갭에 후속하여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의 (d)는 개시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SRS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e)는 개시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SRS 심볼이 CCA 갭 직전에 존재하는 경우, (f)는 개시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SRS 심볼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심볼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P-PUCCH 포맷 1/1a/1b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채널, CCA 갭, SRS 심볼의 존재 여부 및 위치에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P-PUCCH 포맷 1/1a/1b 전송에 있어서 하향링크 채널, CCA 갭, 및/또는 SRS 심볼을 고려한 OCC 매핑을 정의해야 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종료 DL 부분 서브프레임 또는 개시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 DL 전송에 해당하는 심볼이 개수를 K라 한다. 예를 들어, 종료 부분 DL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CC-RNTI(Common Contro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서 스크램블링된 공통 하향링크제어정보(DCI) 포맷 1C를 전송하는 PDCCH에서 아래의 표 16을 통해서 K 값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종료 부분 DL 서브프레임에서 DL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 심볼의 개수 K의 값은 {3, 6, 9, 10, 11, 12, 14} 중의 하나일 수 있다. 한편, 개시 부분 DL 서브프레임에서 두 번째 슬롯에서 DL 전송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K=7 일 수 있다.
Figure pat00116
도 8 및 도 9는 4 개의 심볼에서 전송되는 새로운 P-PUCCH 포맷을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및 시간 도메인에서 확산을 수행하지 않는 새로운 P-PUCCH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하나의 슬롯 내에서 CCA 갭, SRS 전송, DL 수신에 해당하는 심볼의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심볼의 개수를 반영한 새로운 P-PUCCH 포맷에 해당한다. 전술한 P-PUCCH 1/1a/1b와는 달리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확산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더 많은 UCI DATA를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 전송할 수 있다. 즉, 시간 도메인에서 2 또는 4개와 같이 적은 SC-FDMA 심볼 수와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1개보다 많은 PRB를 이용하여 새로운 P-PUC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는 종료 부분 DL 서브프레임에서 처음 2개의 OFDM 심볼(SB#0, SB#1)이 DL 수신을 위해 사용되고, 그 다음 심볼(SB#2)이 CCA 갭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4 개의 심볼 중에서 3 개(SB#3, SB#5, SB#6)는 UCI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하나의 심볼(SB#4)은 DMRS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주파수 영역에서는 도 1와 같이 만약 하나 보다 많은 PRB가 새로운 P-PUCCH 포맷을 위해서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서 설정 및 지시된 단말이 있다면, 위의 시간 도메인에 대한 디자인과 함께 하나 이상의 PRB를 이용하여 새로운 P-PUC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pat00117
상기 수학식 7에서
Figure pat00118
은 P-PUCCH 포맷이 전송되는 SC-FDMA 심볼 수이다. UCI(제어정보)가 전송되는 SC-FDMA 심볼(l)마다 그것이 전송되는 PRB수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RE)수에 따라서 위의 트랜스폼 프리코딩(IFFT/FFT)을 수행한다.
Figure pat00119
는 하나의 SC-FDMA 심볼에서 UCI/DMRS가 할당되는 RE의 수(주파수 도메인)이다. k는
Figure pat00120
까지의 인덱스이다. d()는 SC-FDMA 심볼(l)과 RE 인덱스(k)에 따라 위의 트랜스폼 프리코딩(IFFT/FFT)를 수행해야하는 UCI 데이터 심볼이고 그 결과 안테나포트
Figure pat00121
에 연관된
Figure pat00122
가 생성되어 단말에 의해서 기지국에게 전송된다.
도 9의 예시는 종료 부분 DL 서브프레임에서 처음 3개의 OFDM 심볼(SB#0, SB#1)이 DL 수신을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 4 개의 심볼 중에서 3 개(SB#3, SB#5, SB#6)는 UCI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하나의 심볼(SB#4)은 DMRS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아래의 표 17은 종료 부분 DL 서브프레임에서 CCA 갭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고려한 OCC 매핑의 다양한 예시들은 나타낸다. 표 17의 예시에서는 DL 수신에 이용되는 심볼의 개수, CCA 갭으로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만을 고려하였지만, SRS 심볼 하나가 해당 슬롯에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 내에서 UCI DATA 및 DMRS가 매핑될 수 있다.
Figure pat00123
개시 DL 부분 서브프레임에서는 전술한 표 8 내지 표 15의 구조에 따라서 새로운 P-PUCCH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010에서 기지국(eNB)은 CCA 갭, SRS 서브프레임, DL 부분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UE)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CCA 갭을 위해 사용가능한 심볼의 개수 및 위치,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SRS 전송을 위해 사용가능한 심볼의 개수 및 위치,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내에서 DL 수신을 위해 사용가능한 심볼의 개수 및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기지국은 HARQ-ACK이 요구되는 DL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DL 전송은 PDSCH, PDCCH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해제 지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DL 전송은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HARQ-ACK 전송을 요구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단말은 HARQ-ACK을 전송할 서브프레임에서 CCA 갭, SRS, 또는 DL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P-PUCCH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A 갭, SRS, DL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P-PUCCH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P-PUCCH 포맷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예시들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HARQ-ACK을 전송할 서브프레임에서 CCA 갭, SRS, DL 부분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P-PUCCH가 아닌 PUCCH 포맷을 이용하여 해당 HARQ-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40에서 단말은 HARQ-ACK 전송할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계 S1030에서 결정한 P-PUCCH 포맷을 이용하여 UCI DATA(예를 들어, HARQ-ACK) 및 DMRS를 매핑할 수 있다. UCI DATA 및 DMRS가 매핑되는 심볼, 적용되는 OCC 시퀀스 등은 본 발명에 제안하는 다양한 예시들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050에서 단말은 P-PUCCH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P-PUCCH에서 DM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UCI DATA를 복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제어정보/신호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모든 단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대한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처리 또는 구현하는 장치(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무선 디바이스 및 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하향링크 수신 장치 또는 상향링크 전송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100)와, 하향링크 전송 장치 또는 상향링크 수신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는 기지국 장치(200)를 도시한다.
단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안테나부(120), 트랜시버(130),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듈은 상위계층 처리부에 해당할 수 있고, 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 2 모듈은 물리계층 처리부에 해당할 수 있고, 물리(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3 이상의 모듈로서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30)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안테나부(220), 트랜시버(230),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듈은 상위계층 처리부에 해당할 수 있고, 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 2 모듈은 물리계층 처리부에 해당할 수 있고, 물리(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3 이상의 모듈로서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2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23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2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100)의 프로세서(110)의 제 1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CCA 갭, SRS, DL 부분 서브프레임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PUCCH 포맷 결정 기초 정보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고, 획득된 PUCCH 포맷 결정 기초 정보 정보를 제 2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HARQ-ACK이 요구되는 DL 전송의 디코딩을 시도하여 그 결과에 따라 HARQ-ACK 정보를 생성하는 HARQ-ACK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생성된 HARQ-ACK 정보를 제 2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모듈은, CCA 갭, SRS, DL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및 위치를 고려하여 P-PUCCH 포맷을 결정하는 P-PUCCH 포맷 결정부, 결정된 P-PUCCH 포맷에 따라서 HARQ-ACK를 포함하는 UCI DATA 및 DMRS를 자원에 매핑하고 OCC를 적용하는 매핑부, 매핑된 UCI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200)의 프로세서(210)의 제 1 모듈은, 단말의 UL 전송에 필요한 CCA 갭, SRS, DL 부분 서브프레임 등의 정보(즉, PUCCH 포맷 결정 기초 정보)를 생성하는 PUCCH 포맷 결정 기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듈은, 단말에 의해 구성되는 P-PUCCH를 수신하는 P-PUCCH 수신부, DM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 추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UCI DATA를 복조하는 UCI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듈은 제 2 모듈로부터 복조된 UCI DATA를 전달받아, HARQ-ACK이 요구되는 DL 전송이 단말에서 올바르게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재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기지국(200)의 프로세서(210)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처리 또는 하드웨어 처리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처리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또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medium)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3GPP LTE 또는 LTE-A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비면허 서빙셀에서 상향링크제어정보(UCI)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CCA(Clear Channel Assessment) 갭, 사운딩참조신호(SRS), 또는 하향링크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ment)이 요구되는 하향링크 전송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CCA 갭, 상기 SRS, 또는 상기 하향링크 부분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펑처링된-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PUCCH)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P-PUCCH 포맷을 통해서 상기 HARQ-ACK을 포함하는 상기 UCI 및 복조참조신호(DM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CI 전송 방법.
KR1020160037789A 2016-03-29 2016-03-29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5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89A KR102457905B1 (ko) 2016-03-29 2016-03-29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89A KR102457905B1 (ko) 2016-03-29 2016-03-29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55A true KR20170111755A (ko) 2017-10-12
KR102457905B1 KR102457905B1 (ko) 2022-10-24

Family

ID=6014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789A KR102457905B1 (ko) 2016-03-29 2016-03-29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690A1 (ko) * 2018-08-09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1134* *
3GPP R1-152872* *
3GPP R1-15297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690A1 (ko) * 2018-08-09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US11611976B2 (en) 2018-08-09 2023-03-21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terminal transmits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unlicensed band, and device using method
US11895643B2 (en) 2018-08-09 2024-0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terminal transmits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unlicensed band, and device u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905B1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4691A1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 resource allocation for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N109417525B (zh) 用于发送和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设备
JP719567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共有チャネル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3579515B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s
US11671295B2 (en) Method and NB wireless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SR
US8644199B2 (en) Indexing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acknowledgement signals in multi-cell TDD communication systems
EP3500018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6015052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316731A (zh) 无线通信系统中的上行链路传输和下行链路接收的方法、设备和系统
JP6446743B2 (ja) 端末、基地局、および、通信方法
EP3681189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2124980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EP3013092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2404565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共有チャネルの送信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装置
EP336470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14038908A1 (ko)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504698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20180152271A1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spreading code
KR20180131547A (ko) 디바이스를 위한 캐리어 결정
KR20220146682A (ko) 비면허 대역에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457905B1 (ko)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05353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EP4322662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70112633A (ko)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과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을 멀티플렉싱하는 방법 및 장치
CN117280814A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