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720A - 치간칫솔 - Google Patents

치간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720A
KR20170111720A KR1020160037703A KR20160037703A KR20170111720A KR 20170111720 A KR20170111720 A KR 20170111720A KR 1020160037703 A KR1020160037703 A KR 1020160037703A KR 20160037703 A KR20160037703 A KR 20160037703A KR 20170111720 A KR20170111720 A KR 2017011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wire
toothbrush body
user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이종훈
박미정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3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720A/ko
Publication of KR2017011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치간칫솔이 개시된다.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지는 칫솔몸체; 및 상기 칫솔몸체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외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를 구비하는 칫솔머리를 포함하여, 입 속 깊숙한 위치의 어금니 사이 삽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치간칫솔{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치간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 사이 프라그 제거에 이용되는 치간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후 일반 칫솔로는 닦기 어려운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일단 혹은 양단이 날카롭게 형성된 이쑤시개 또는 치간칫솔(Interdental Brush)을 사용하여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이쑤시개와 치간칫솔은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에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쑤시개는 나무, 플라스틱, 전분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때 사용된다. 이때, 치아들 사이에 간격이 좁으면 날카로운 이쑤시개의 단부가 치아 사이로 잘 들어가지 않아 음식물 찌꺼기가 잘 제거되지 못하며, 딱딱하고 뾰족한 끝부분은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브러쉬가 장착된 치간칫솔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간칫솔은 사용자가 손에 파지할 수 있는 칫솔몸체와, 칫솔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칫솔머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칫솔머리는 와이어와, 서로 꼬여져 형성되는 두 개의 와이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브러쉬를 포함한다.
즉, 치간칫솔은, 와이어가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동작과 치아 사이를 문지르게 되는 브러쉬를 통해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 치간칫솔은, 막대 형태의 칫솔몸체를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하고 있는데, 와이어가 치아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칫솔몸체가 급격히 틀어지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와이어의 각도 조절이 힘들어, 입 속 깊숙한 위치에 있는 어금니 등의 치아 사이에 삽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칫솔몸체의 파손 우려가 없고, 입 속 깊숙한 위치의 어금니 사이 삽입이 용이한 치간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칫솔은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지는 칫솔몸체; 및 상기 칫솔몸체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외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를 구비하는 칫솔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와 상기 칫솔몸체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상기 칫솔몸체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칫솔몸체는 연성재질일 수 있다.
상기 칫솔몸체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상기 칫솔몸체는, 상기 와이어가 위치하는 외주면과 동일 선상에, 상기 와이어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굽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칫솔머리는, 상기 와이어 일단에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칫솔머리는, 상기 연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칫솔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굽힘 동작에 따라 형상 변경되는 칫솔몸체를 적용함으로써, 칫솔몸체의 파손 우려가 없고, 치아 사이 삽입이 용이한 각도로 칫솔머리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으며, 입 속 깊숙한 위치의 어금니 사이 삽입도 손쉽게 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칫솔(100)은 칫솔몸체(110), 칫솔머리(120) 및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며, 칫솔몸체(110)가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칫솔모를 구비한 칫솔머리(120)가 연결부재(130)를 통해 칫솔몸체(110)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양치시 입 속 깊숙한 곳에 위치한 어금니 등의 치아 사이 세정이 손쉽게 되도록 한다.
칫솔몸체(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형상일 수 있다. 칫솔몸체(110)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될 수 있다. 칫솔몸체(110)는, 내부가 사용자 손가락이 잘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칫솔몸체(110)는 사용자의 손가락 굽힘 동작에 의해 형상 변형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굽힘 동작이 없을 시 본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칫솔몸체(110)는 사용자의 손가락 굽힘 동작에 의해 잘 굽혀지도록 연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칫솔몸체(1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칫솔몸체(110)는, 사용자의 손가락 굽힘 동작에 의해 굽혀지도록 일측 외주면에 굽힘부(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굽힘부(111, 112)는 칫솔몸체(110) 일측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굽힘부(111, 112)는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와 대응되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굽힘부(111, 112)는, 칫솔몸체(110) 상측 외주면에 칫솔머리(120)가 고정될 시, 칫솔머리(120)가 위치하는 칫솔몸체(110) 외주면과 동일 선상에, 칫솔머리(120)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굽힘부(111, 112)가 사용자의 손가락 굽힘 동작에 따라 굽혀지면, 칫솔머리(120)가 사용자 치아 사이 침투가 용이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칫솔머리(120)는 와이어(121), 칫솔모(122) 및 걸림부재(123)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21)는, 연결부재(130)를 통해 칫솔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칫솔몸체(110)에 고정되는 와이어(121)와 칫솔몸체(110)(칫솔몸체(110)와 수평한 가상선(A))가 이루는 각도(θ)는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와이어(121)와 칫솔몸체(110)가 이루는 각도는 74도 내지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121)와 칫솔몸체(110)가 이루는 각도가 74도 내지 90도 미만이어야 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치아 사이 세정시, 와이어(121)의 치아 사이 삽입이 손쉬워야 하는데, 와이어(121)와 칫솔몸체(110)가 이루는 각도가 74도 내지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치간칫솔(100)을 사용하기에 별다른 불편함이 없지만, 와이어(121)와 칫솔몸체(11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상의 둔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치간 사이 와이어(121) 삽입을 위해 상대적으로 입을 많이 벌려야 하거나, 치아 안쪽 방향에서 와이어(121)의 치아 사이 삽입이 어려우며, 와이어(121)와 칫솔몸체(110)가 이루는 각도가 74도 미만의 좁은 각도인 경우에는 앞니 세정시 칫솔몸체(110)가 사용자의 턱이나 볼에 걸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와이어(121)와 칫솔몸체(110)가 이루는 최소 각도인 74도는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해진다.
74도는 치아 앞니 세정시, 칫솔몸체(110)가 사용자의 턱이나 볼에 걸리지 않게 하는 최소각도이며,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칫솔몸체(110)와 와이어(12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의 두께 및 사용자 앞니부터 턱까지의 최대 길이가 필요하다.
보통 사용자의 앞니부터 턱까지의 길이는 10cm를 넘지 않으므로, 상기한 최대 길이는 10cm로 정하고, 연결부재(130)의 두께는 1.7cm 내지 2.61cm로 적절하게 정한다.
그리고 나서, 하기 수학식1에 최대 길이 및 두께를 대입하면 최소 각도가 구해진다.
<수학식1>
최소각도=tan-1(
Figure pat00001
)
수학식1에서, Lm은 사용자 앞니부터 턱까지의 최대 길이이고, T는 연결부재(130)의 두께를 나타낸다. 수학식1의 Lm에 10을 대입하고 T에 2.61을 대입하면 75도가 나오고, 수학식1의 Lm에 10을 대입하고 T에 1.7을 대입하면 74도 가 나오므로, 최소각도는 74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121)가 예각으로 칫솔몸체(110)에 고정되면, 치아 사이 세정시 종래보다 입을 덜 벌린 상태에서 치아 안쪽 방향으로부터 치아 사이 삽입이 용이해지고, 칫솔몸체(110)가 턱이나 볼에 걸리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그리고, 와이어(121)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121)는 두 개인 경우, 서로 꼬여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121) 사이에 칫솔모(122)가 고정될 수 있다.
칫솔모(122)는 두 개의 와이어(121)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와이어(121)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칫솔모(122)는, 와이어(121)가 사용자 치아 사이에서 왕복 직진 운동을 하게 되면, 차이 사이를 문지르게 되어 치아 사이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칫솔몸체(110) 반대 방향의 와이어(121) 일단에는 걸림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23)는, 와이어(121)가 사용자 치아 사이에서 왕복 직진 운동할 시, 와이어(121)가 치아 사이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는 것을 막아, 와이어(121)의 치아 사이 재삽입을 방지함으로써, 치간칫솔(100)의 양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130)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면, 도 1과 같이 치간칫솔(100) 전체 형상이 새 머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치간칫솔(100)은 귀여운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자 친밀감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바닥면이 칫솔몸체(110) 상측 외주면에 고정되고, 꼭짓점에 칫솔머리(1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칫솔머리(120)는 연결부재(130)의 꼭짓점에 찰탁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칫솔머리(120)는 새로운 칫솔머리로 손쉽게 대체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치간칫솔(100)이 사용자 치아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칫솔몸체(110)는 사용자 손가락의 굽힘 동작에 따라 굽힘부(111, 112)가 적절히 굽혀짐으로써, 사용자 치아 세정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칫솔머리(120)는 치아 사이 삽입이 용이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사용자 손가락 동작에 따라 치아 사이를 왕복 직진 운동하여 치아 사이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칫솔(100)은, 사용자의 손가락 굽힘 동작에 따라 형상 변경되는 칫솔몸체(110)를 적용함으로써, 치아 사이 삽입이 용이한 각도로 칫솔머리(120)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고, 입 속 깊숙한 위치의 어금니 사이 삽입도 손쉽게 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치간칫솔
110: 칫솔몸체
111, 112: 굽힘부
120: 칫솔머리
121: 와이어
122: 칫솔모
123: 걸림부
130: 연결부재

Claims (8)

  1.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지는 칫솔몸체; 및
    상기 칫솔몸체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외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를 구비하는 칫솔머리;
    를 포함하는 치간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와 상기 칫솔몸체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몸체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치간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몸체는 연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몸체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몸체는,
    상기 와이어가 위치하는 외주면과 동일 선상에, 상기 와이어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굽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머리는, 상기 와이어 일단에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머리는, 상기 연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KR1020160037703A 2016-03-29 2016-03-29 치간칫솔 KR20170111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03A KR20170111720A (ko) 2016-03-29 2016-03-29 치간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03A KR20170111720A (ko) 2016-03-29 2016-03-29 치간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20A true KR20170111720A (ko) 2017-10-12

Family

ID=6014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703A KR20170111720A (ko) 2016-03-29 2016-03-29 치간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253B2 (ja) 異なる歯科領域に対し異なるブラシ毛区画を有する歯磨き用マウスピース
JP3154935U (ja) 歯間ブラシ
JP2008540029A (ja) 口腔衛生器具
KR10256901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구강 관리 칫솔
US7698772B1 (en) Orthodontic toothbrush
GB2366719A (en) Toothbrush
EP3777607A1 (en) Toothbrush
JP3206056U (ja) L字型歯ブラシ
KR101673095B1 (ko) 치아 교정장치가 부착된 치아를 닦기 위한 교정용 칫솔
KR20170111720A (ko) 치간칫솔
KR200493005Y1 (ko)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JP2610879B2 (ja) 歯間擦り棒
US11464323B2 (en) Toothbrush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0469882Y1 (ko) 칫솔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CN211747677U (zh) 一种便携剔除齿间残渣的牙间刷
KR20170111723A (ko) 치간칫솔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JP2015226697A (ja) ループ状ブラシ
KR102107528B1 (ko) 교정용 칫솔
KR20200000359U (ko) 헤드부 교체 구조를 갖는 칫솔
RU213188U1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20190124290A (ko)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의 제조 방법
CN211608486U (zh) 易清洁的曲线型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