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590A -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590A
KR20170111590A KR1020160037380A KR20160037380A KR20170111590A KR 20170111590 A KR20170111590 A KR 20170111590A KR 1020160037380 A KR1020160037380 A KR 1020160037380A KR 20160037380 A KR20160037380 A KR 20160037380A KR 20170111590 A KR20170111590 A KR 2017011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cable
circuit
cutter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기
김광민
박진홍
홍순창
윤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3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590A/ko
Publication of KR2017011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는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절단하는 커터로 구성되어, 차량 충돌 시 배터리팩 내부 회로 상에 있는 커터를 통해 배터리팩 회를 차단하여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상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circuit cut off structure of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 시 배터리팩 내부 회로 상에 있는 커터가 회로를 차단하여 배터리팩 내부의 단락과 발화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각각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진 양극, 음극으로 된 전극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양극을 도체로 연결하면 각 전극의 작용물질과 전해액이 가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며, 반대로 전기적 에너지를 부여하면 또다시 화학적 에너지를 가진 원래의 작용 물질로 되돌아가 축전되는 2차 전지이므로 필요에 따라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또 전기를 보충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양극판, 음극판 및 전해액을 수용한 본체와, 양극 및 음극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터미널 단자는 와이어단자 및 와이어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통해 차량의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는 차량 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 발생 시 구조가 변형되면서 배터리팩 내부에 있는 케이블 회로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배터리팩에서 발화가 발생되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3612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 시 배터리팩 내부 회로 상에 있는 커터가 회로를 차단하여 배터리팩 내부의 단락과 발화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는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커터는 상기 프로텍터 내부 양단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커터 사이에 구비되어 충돌 발생 시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은 저압전선 라인의 전선다발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예상 포인트를 설정하여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 상기 커터가 설치되어 충돌 발생 시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서 회로가 차단되게 하여 단락에 의한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저압전선 라인의 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는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 내부 양단에 구비되며, 그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여 충돌 발생 시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절단하는 세라믹 소재의 커터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예상 포인트를 설정하여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 상기 커터가 설치되어 충돌 발생 시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서 회로가 차단되게 하여 단락에 의한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 배터리팩 내부 회로 상에 있는 커터를 통해 배터리팩 회를 차단하여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상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의 배터리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에서 커터에 의해 케이블이 절단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과, 배터리팩(10)에 형성되어 내부에 케이블(110)이 구비된 프로텍터(100)와, 케이블(110)을 절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파우치 타입의 셀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100)는 배터리팩(10) 내부에 장착되어 배터리팩(10)과 연결되는 케이블(110)을 커버한다.
이때, 케이블(110)은 프로텍터(100)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케이블(110)은 저압전선 라인의 전선다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터(120)는 프로텍터(100)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블(110)을 절단한다.
또한, 커터(120)는 프로텍터(100) 내부 양단에 구비되어 케이블(110) 절단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텍터(100)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110)은 커터(120) 사이에 구비되어 충돌 발생 시 외력에 의해 케이블(110)을 절단시키도록 한다.
이때, 커터(120)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케이블(110) 절단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팩(1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예상 포인트를 설정하여 단락 예상 포인트에 커터(120)가 설치되어 충돌 발생 시 단락 예상 포인트에서 회로가 차단되게 하여 단락에 의한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 충돌 시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팩(10) 내부에 변형이 발생되며, 이때 발생하는 외부 힘으로 배터리팩(10) 내부 단락 예상 포인트에 세라믹 소재의 커터(120)를 설치하여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단락에 의한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터리팩(10)과, 배터리팩(10)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저압전선 라인의 케이블(110)이 구비되어 케이블(110)을 커버하는 프로텍터(100)와, 프로텍터(100) 내부 양단에 구비되며, 그 사이에 케이블(110)이 위치하여 충돌 발생 시 외력에 의해 케이블(110)을 절단하는 세라믹 소재의 커터(120)를 포함하되, 배터리팩(1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예상 포인트를 설정하여 단락 예상 포인트에 커터(120)가 설치되어 충돌 발생 시 단락 예상 포인트에서 회로가 차단되게 하여 단락에 의한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팩 100 : 프로텍터
110 : 케이블 120 : 커터

Claims (7)

  1.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는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프로텍터 내부 양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커터 사이에 구비되어 충돌 발생 시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저압전선 라인의 전선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예상 포인트를 설정하여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 상기 커터가 설치되어 충돌 발생 시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서 회로가 차단되게 하여 단락에 의한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7.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저압전선 라인의 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는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 내부 양단에 구비되며, 그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여 충돌 발생 시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절단하는 세라믹 소재의 커터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예상 포인트를 설정하여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 상기 커터가 설치되어 충돌 발생 시 상기 단락 예상 포인트에서 회로가 차단되게 하여 단락에 의한 쇼트와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KR1020160037380A 2016-03-29 2016-03-29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KR20170111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80A KR20170111590A (ko) 2016-03-29 2016-03-29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80A KR20170111590A (ko) 2016-03-29 2016-03-29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90A true KR20170111590A (ko) 2017-10-12

Family

ID=6013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80A KR20170111590A (ko) 2016-03-29 2016-03-29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5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8415A (zh) * 2018-09-17 2019-02-22 杨志刚 一种新能源汽车电池保护装置
CN109649174A (zh) * 2018-12-05 2019-04-19 江苏敏安电动汽车有限公司 电动汽车紧急制动下主动防护系统
KR20190112580A (ko) 2018-03-26 2019-10-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단락 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에너지 배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580A (ko) 2018-03-26 2019-10-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단락 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에너지 배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378415A (zh) * 2018-09-17 2019-02-22 杨志刚 一种新能源汽车电池保护装置
CN109649174A (zh) * 2018-12-05 2019-04-19 江苏敏安电动汽车有限公司 电动汽车紧急制动下主动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6948B2 (en) Safety element for battery cell
KR101036070B1 (ko) 이차 전지
JP5517974B2 (ja) 二次電池
EP2672548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afety
TWI431838B (zh) 電池模組及電池組
JP6162899B2 (ja) 過電圧保護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セル
KR101667966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P2924763B1 (en) Secondary battery
US20160072108A1 (en) Traction battery for an electric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electric motor vehicle
KR101744090B1 (ko)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KR20150058730A (ko)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KR20130003381A (ko)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셀 보호장치
KR20170111590A (ko) 배터리팩 회로 차단 구조
KR102371193B1 (ko) 이차전지
CN106654422A (zh) 具有过量充电保护和/或过度放电保护的电池组系统
KR101794428B1 (ko) 배터리
KR20140115756A (ko) 배터리팩용 보호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팩
KR20170024842A (ko) 전지 모듈
KR20160030688A (ko)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KR20150121518A (ko) 단락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팩
KR101895365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KR102332443B1 (ko) 전지 모듈
KR102379765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EP3491688B1 (en) Overcharge protection assembly for a battery cell
KR100428978B1 (ko) 이차전지 유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