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434A -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434A
KR20170111434A KR1020160036881A KR20160036881A KR20170111434A KR 20170111434 A KR20170111434 A KR 20170111434A KR 1020160036881 A KR1020160036881 A KR 1020160036881A KR 20160036881 A KR20160036881 A KR 20160036881A KR 20170111434 A KR20170111434 A KR 2017011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communication module
charging
communica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688B1 (ko
Inventor
김동조
김광섭
박세호
김유수
박한석
송금수
이주향
하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688B1/ko
Priority to CN201710053407.4A priority patent/CN107248786B/zh
Priority to US15/412,764 priority patent/US10056945B2/en
Priority to EP17153597.4A priority patent/EP3226381B1/en
Publication of KR2017011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통해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과 이와 관련한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Processing method for leakage power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는 누설 전력 처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전자 장치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배터리로 사용한다. 종래 전자 장치는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해 왔다. 최근 전자 장치는, 충전 케이블을 대신하여,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충전 장치는 지정된 주파수를 기반으로 무선으로 전력 신호를 송출하고, 전자 장치는 안테나를 기반으로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전자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력 신호가 상기 통신 모듈에 유기되어 통신 모듈 또는 통신 모듈과 관련한 소자들에 피해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력 신호에 의한 누설 전력을 처리하여 전자 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기반으로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누설 전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통해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통신용 도전 패턴 및 제2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2 통신용 도전 패턴,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1 충전용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충전용 도전 패턴,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이벤트가 발생하면, 충전 타입을 확인하고, 충전 타입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력 신호와 관련이 없는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와 누설 전력 처리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다른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에 유기된 누설 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루프 형성에 따른 신호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관련 전자 장치 일부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력 처리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무선 충전 환경은 전자 장치(100) 및 무선 충전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200)는 예컨대, 송신 안테나(또는 송신 코일)을 기반으로 전력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 충전 장치(200)는 송신 코일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200)는 일정 주기로 전자 장치(100) 배치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 장치(100)가 배치되는 경우, 지정된 크기의 전력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200)는 예컨대, 충전 전력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와, 송신 안테나 제어를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상기 송신 안테나와 무선 전력 송신기 등을 감싸는 충전 케이스(201),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케이블(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무선 충전 장치(200)의 지정된 위치(예: 충전 케이스(201)의 중심부 등)에 배치되면, 무선 충전 장치(200)가 제공하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 상태인 경우, 배터리 충전과 관련한 수신 안테나(또는 수신 코일, 도전성 패턴, 또는 충전용 도전 패턴)과 인접된 영역에 배치된 안테나(예: 통신용 도전 패턴)를 운용하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0)는 무선 충전 장치(200)의 송신 코일로부터 유도되거나 공명되는 전력 신호가 통신 모듈을 구성하는 소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충전이 완료되거나, 충전이 종료되어 송신 코일로부터 유도되거나 공명되는 전력 신호가 없는 경우 통신 모듈을 초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이 폐루프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스위치 제어를 위한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제1 통신 모듈(180), 제2 통신 모듈(170), 전원 충전 모듈(190), 제1 안테나(101), 제2 안테나(102) 및 배터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11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예: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제1 통신 모듈(180), 제2 통신 모듈(170) 및 전원 충전 모듈(190)) 간의 신호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110)는 전원 충전 모듈(190)의 무선 충전 장치(200) 인식 신호를 프로세서(120)에 전달하고, 프로세서(120) 제어에 대응하여 폐루프 형성 신호를 제1 통신 모듈(1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원 충전 모듈(190) 및 제1 통신 모듈(18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전원 충전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예: 무선 충전 장치(200)가 송출한 충전과 관련한 신호 또는 전력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 충전 모듈(190)을 제어하여 배터리(103)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모듈(180)을 제어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전원 충전이 해제되거나 완료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180)을 제어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충전 상황에 따라 제1 통신 모듈(180) 제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통신 모듈(180) 관련 데이터는 제1 통신 모듈(180) 운용 시, 제1 통신 모듈(180)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명령어 셋을 기반으로 전원 충전 시, 제1 통신 모듈(180)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명령어 셋을 기반으로 전원 충전 완료 또는 해제 시, 제1 통신 모듈(180)의 상태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는 상기 전원 충전 모듈(19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정보(예: 전원 충전 시작, 설정된 충전 목표치 도달 상태, 충전 완료 상태, 충전 해제 상태, 통신 기능 이용 가능 여부 등)과 관련하여 메모리(130)에 사전 저장된 안내 정보 또는 효과음)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0)는 전원 충전 모듈(190) 운용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 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무선 충전 중인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 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무선 충전 중인 경우 제1 통신 모듈(180) 기반의 지정된 기능을 사용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무선 충전이 완료되었거나 무선 충전이 해제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180) 기반의 지정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80)은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모듈(180)은 프로세서(120) 제어에 대응하여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기능 운용과 관련하여 지정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모듈(180)은 제1 안테나(101)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POS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180)은 MST 모듈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80)이 MST 모듈 및 NFC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1 안테나(101)는 MST 모듈 운용과 관련한 안테나 및 NFC 모듈 운용과 관련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80)은 무선 충전 중인 경우, 프로세서(120) 제어에 대응하여 내부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101)를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80)은 무선 충전이 완료되었거나 해제된 경우, 프로세서(120) 제어에 대응하여 원래의 브릿지 회로 상태를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지정된 통신 기능(예: 이동통신 기능 등)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통신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예: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모듈(17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2 통신 모듈(170)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BT, WIFI 통신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통신 모듈(170)은 스캐너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 모듈(170)운용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충전 모듈(190)은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103)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충전 모듈(190)은 제2 안테나(102)와 연결되고, 제2 안테나(102)가 무선 충전 장치(200)가 전송한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101)는 제1 통신 모듈(180)과 연결되어, 제1 통신 모듈(180)을 통한 신호의 송출 또는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테나(101)는 MST 용 안테나 또는 NFC 용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ST 용 안테나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주파수 운용과 관련하여 NFC 용 안테나에 비하여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101)(예: 통신용 도전 패턴)는 제2 안테나(102)(예: 충전용 도전 패턴)와 유사한 체적 또는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안테나(101)의 턴수는 제2 안테나(102)의 체배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101)는 무선 충전 장치(200)가 무선으로 송출하는 전력 신호의 적어도 일부(예: 누설 전력)을 유도 방식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공명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102)는 전원 충전 모듈(19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102)는 무선 충전 장치(200)에 배치된 안테나와 정렬되어, 무선 충전 장치(200)가 제공한 전력 신호를 수신한 후 전원 충전 모듈(19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안테나(102)는 무선 충전 장치(200)가 무선으로 송출하는 전력 신호를 유도 방식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공명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2 안테나(102)는 물리적으로 제1 안테나(101)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안테나(102)는 제1 안테나(101)에 유도된 또는 공명된 전력 신호에 의한 유도 전류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안테나(101)와 유사한 턴 수, 길이, 체적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103)는 전원 충전 모듈(190)에 연결되어, 전원 충전 모듈(190)의 제어에 대응하여,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103)에 저장된 전원은 프로세서(120) 제어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들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03)에 저장된 전원은 제1 통신 모듈(180)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상태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충전 제어부(121) 및 통신 모듈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121)는 전자 장치(100)의 충전 제어와 관련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제어부(121)는 전원 충전 모듈(190)을 모니터링하고,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제어부(121)는 전자 장치(100)가 무선 충전 장치(200)에 놓임에 따라, 제2 안테나(102)에 일정 크기 이상의 전력 신호가 유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21)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검출되면, 충전 시작과 관련한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고, 해당 이벤트를 통신 모듈 제어부(123)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제어부(121)는 일정 주기로 제2 안테나(102)를 기반으로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검출되는지 확인하여, 충전이 유지되고 있는지 또는 충전이 종료되거나 완료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21)는 충전이 종료되거나 완료된 경우, 해당 이벤트를 통신 모듈 제어부(123)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제어부(121)는 제2 안테나(102)와 연결된 전원 충전 모듈(190)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예: 정류 회로, 컨버터 등)의 신호 변화를 검출하고, 신호 변화 검출에 따라 충전 시작 또는 종료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121)는 충전 전류가 유기되면, 해당 충전 전류를 기반으로 배터리(103)를 충전하도록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통신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제1 통신 모듈(180)을 제어하여 지정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80)이 NFC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제1 통신 모듈(180) 기반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충전 제어부(121)가 전달하는 이벤트에 따라, 제1 통신 모듈(180)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충전 제어부(121)로부터 충전 시작 또는 충전 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제1 통신 모듈(180)을 제어하여 제1 안테나(101)를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충전 제어부(121)로부터 충전 종료 또는 충전 완료를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제1 통신 모듈(180)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제1 통신 모듈(180)의 상태 제어에 대응하여 지정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충전과 관련하여 제1 통신 모듈(180)을 이용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충전 시작 시, 또는 충전 중에 제1 통신 모듈(180)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가이드 정보(예: 제1 통신 모듈(180)의 이용 불가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충전 종료 또는 충전 완료에 따라 제1 통신 모듈(180)이 다시 이용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이용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와 누설 전력 처리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충전 제어와 관련한 누설 전력 처리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20)(예: 충전 제어부(121))는 충전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또는 충전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비충전 상태인 경우, 동작 403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예: 충전 제어부(121))는 비충전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비충전 상태 제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20)는 일정 주기로 충전 시작과 관련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예: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제1 통신 모듈(180)의 브릿지 회로는 초기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 기능(예: MST 기능 또는 NFC 기능) 운용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충전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120)(예: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통신 모듈(예: 제1 통신 모듈(180)) 관련 폐루프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프로세서(120)(예: 충전 제어부(121))는 충전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403으로 분기하여 비충전 상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충전 제어부(121)는 통신 모듈 제어부(123)에 충전 완료 또는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충전이 완료되면, 통신 모듈과 관련하여 수행된 브릿지 회로의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여 폐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를 종료하고, 브릿지 회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 제어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충전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 없이, 충전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면, 프로세서(120)(예: 통신 모듈 제어부(123))는 동작 405 이전으로 분기하여, 통신 모듈 관련 폐루프 형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누설 전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통해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을 동시에 턴온시키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하부 스위치들을 동시에 턴온시키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통해 유기된 신호가 지정된 크기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폐루프 형성을 해제하도록 해제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해제 동작은 상기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을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충전 중에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불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충전 종료 또는 해제 시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은 무선 충전 장치(200) 및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기(203) 및 송신 안테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은 제1 통신 모듈(180), 전원 충전 모듈(190), 배터리(103), 제1 안테나(101) 및 제2 안테나(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80)은 예컨대, 기능 제어 스위치(70), 커패시터(Cm), 브릿지 회로(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 모듈(180)에서, 브릿지 회로(80)가 오프(turn-off) 상태인 경우, 브릿지 회로(80)를 구성하는 스위치들의 Body PN Diode 영향에 의해 브릿지 회로(80)는 PN Diode Full-bridge Rectifier 처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제어 스위치(70)는 배터리(103)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스위칭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기능 수행 요청에 대응하여, 제1 통신 모듈(180)이 브릿지 회로(80)를 이용하여 지정된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기능 제어 스위치(70)는 턴-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기능 제어 스위치(70)는 충전 동작 중에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커패시터(Cm)는 기능 제어 스위치(7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통신 모듈(180)에 흐르는 누설 전류(예: AC 성분)를 바이패스 시켜, 제1 통신 모듈(180)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브릿지 회로(80)는 예컨대, 제1 스위치(81), 제2 스위치(82), 제3 스위치(83), 제4 스위치(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81) 및 제2 스위치(82)는 기능 제어 스위치(70)의 일단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83)는 제1 스위치(81)에 직렬 연결되며, 제4 스위치(84)는 제2 스위치(82)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83) 및 제4 스위치(84)는 공통으로 접지(GND)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81), 제2 스위치(82), 제3 스위치(83) 및 제4 스위치(84)의 각각의 제어 라인(예: 게이트 단자)은 프로세서(120)(또는 제1 통신 모듈(180) 제어와 관련해 배정된 전자 장치 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81), 제2 스위치(82), 제3 스위치(83) 및 제4 스위치(84)의 제어 라인은 제1 통신 모듈(180)이 MST 용 통신 모듈인 경우 프로세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80)이 NFC 용 통신 모듈인 경우, 제1 스위치(81), 제2 스위치(82), 제3 스위치(83) 및 제4 스위치(84)의 각각의 제어 라인은 프로세서(120) 또는 NFC 통신 모듈 내에 위치한 제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 내에 제어 회로가 배치된 경우, 프로세서(120)가 NFC 통신 모듈에 전달한 제어 신호에 따라, NFC 통신 모듈은 상기 브릿지 회로(80)의 상태를 제어(예: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지정된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충전 모듈(190)은 정류 회로(91), 컨버터(92), 충전 회로(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91)는 전달된 신호의 정류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정류 회로(91)는 제2 안테나(102)를 통해 AC(교류) 방식으로 생성된 신호의 평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92)는 정류 회로(91)의 출력을 지정된 크기의 다른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컨버터(92)는 정류 회로(91)에서 정류된 제1 크기의 직류 전원을 배터리(103)를 충전할 수 있는 제2 크기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회로(93)는 컨버터(92)의 출력(예: 제2 크기의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배터리(103)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회로(93)는 배터리(103) 충전이 완료되면, 이를 프로세서(120)에 안내할 수 있다. 충전 회로(93) 또는 프로세서(120)는 충전 완료에 따른 전력 신호 송신 중지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충전 회로(93) 또는 프로세서(120)는 충전 완료와 관련한 지정된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203)가 송신 안테나(204)를 이용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안테나(102)에는 지정된 크기의 커플링된 제1 전력 신호(K1)(예: 유도 전류)가 송신 안테나(204)를 기반으로 하는 유도 방식 또는 공명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102)가 수신한 제1 전력 신호(K1)는 전원 충전 모듈(190)의 정류 회로(91)에 의해 정류되고, 컨버터(92)를 기반으로 지정된 크기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충전 회로(93)는 컨버터(92)가 컨버팅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03)를 충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안테나(102)에 인접된 제1 안테나(101)에는 송신 안테나(204)가 출력하는 전력 신호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유도된 또는 공명된 신호(K3)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안테나(101)에는 제2 안테나(102)에 흐르는 제1 전력 신호(k1)에 의해 지정된 크기의 커플링된 제2 전력 신호(K2)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10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3)이 송출한 전력 신호에 의하여 커플링된 제3 전력 신호(K3)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테나(101)에 의해 형성된 전력 신호들(K3 또는 K2)은 연결된 신호 라인을 따라 통신 모듈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크기의 누설 전력의 전압(예: Vp, Vn)은 연결된 신호 라인을 따라 브릿지 회로(8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회로(8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예: 제1 통신 모듈(180) 제어를 담당하도록 할당된 지정된 프로세서의 제어 또는 NFC 통신 모듈의 제어)에 따라 제1 안테나(101)를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브릿지 회로(80) 중 하부 스위치들(예: 제3 스위치(83) 또는 제4 스위치)이 동시 턴-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테나(101), 제3 스위치(83), 제4 스위치(84)를 포함하는 폐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회로(80)가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스위치들이 세팅되면, 브릿지 회로(80)에 전달된 제1 누설 전압(Vp)은 브릿지 회로(80)를 통해 통과하면서 위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제2 누설 전압(Vn)은 브릿지 회로(80)를 통해 통과하면서 위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전력의 제1 누설 전압(Vp) 및 누설 전력의 제2 누설 전압(Vn)은 서로 다른 위상의 신호(예: 180 위상 차를 가지는 신호)로 폐루프에 흐를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제1 누설 전압(Vp) 및 제2 누설 전압(Vn)은 브릿지 회로(80)를 통과하면서 서로 상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릿지 회로(80)와 기능 제어 스위치(70) 사이의 노드에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노드 전압(Vm)이 형성될 수 있다. 폐루프 형성에 따라, 제1 안테나(101)를 통해 유도 또는 공명된 자유 전류(freewheeling current)는 폐루프 내에서만 흐르게 되고, 제1 통신 모듈(180)의 다른 구성들을 보호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101)를 통해 전달된 누설 전력은 브릿지 회로(80)를 통하여 폐루프 내에서 상쇄됨에 따라, 제1 통신 모듈(180)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모듈(180)에 포함된 과전압 보호 회로(또는 과전류 보호 회로 등)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다른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충전 동작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의 제1 통신 모듈(180)은 충전 시, 브릿지 회로(80)의 폐루프 형성을 도 5에서 설명한 방식과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브릿지 회로(80) 중 상부 스위치들(예: 제1 스위치(81) 또는 제2 스위치(82))을 동시 턴-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테나(101), 제1 스위치(81) 및 제2 스위치(82)를 포함하는 폐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누설 전압(Vp)은 브릿지 회로(80)의 제1 스위치(81) 및 제2 스위치(82)를 통해 위상이 다른 제2 누설 전압(Vn)과 교차되고, 이에 따라, 두 신호는 상쇄될 수 있다. 자유 전류(FC2)는 제1 안테나(101), 제1 스위치(81) 및 제2 스위치(82)를 포함하는 폐루프에서만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서의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노드(기능 제어 스위치(70)의 일단)에서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노드 전압(Vm)이 형성되어, 누설 전력에 의한 제1 통신 모듈(18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폐루프 형성과 관련하여, 브릿지 회로(80)의 하부 스위치들(제3 스위치(83) 및 제4 스위치(84))를 동시 턴-온하거나, 상부 스위치들(제1 스위치(81) 및 제2 스위치(82))를 동시 턴-온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상부 스위치들 및 하부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동시 턴-온 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상부 스위치들(예: 제1 스위치(81) 또는 제2 스위치)과 하부 스위치들(예: 제3 스위치(83) 또는 제4 스위치)을 동시 턴-온 시킬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충전 시에 따라 교번적으로 상부 스위치들과 하부 스위치들을 동시 턴-온 시킬 수 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도전성 패턴(제1 안테나, 제1 통신 안테나, 제2 통신 안테나),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도전성 패턴(제2 안테나, 제1 충전 안테나 또는 제2 충전 안테나),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기반으로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츠들을 동시에 턴-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 형성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의 폐루프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통신 모듈의 브릿지 회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MST 모듈이고,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WPC 방식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이고,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A4WP 방식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유기된 신호가 동일한 위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일정 면을 가지는 차폐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은 상기 차폐층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턴 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상기 차폐층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턴 수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성 패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이 종료되거나 완료되면, 상기 폐루프 형성을 해제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중에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불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종료 또는 해제 시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모듈에 포함되는 4개 이상의 스위치(예: MOSFET)로 구성된 Full bridge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스위치들을 폐루프 형성이 가능하도록 턴-온시켜 누설 전력의 차동(Differential) 전압을 상쇄(Cancel out) 시키고 자유 전류(Freewheeling Current)를 발생시켜 고전압에 의한 회로손실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누설전력에 의한 회로손실의 영향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부품(AC Isolation Switch) 또는 내압 상승 부품 교체 없이, 지정된 구성의 제어 동작을 기반으로 누설 전력에 의향 영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된 자유 전류(Freewheeling Current)를 활용하여 도전성 패턴의 외곽 영역(Relay Resonator 역할)까지 무선 충전과 관련한 동작 영역으로 확대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에 유기된 누설 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모듈(180)이 운용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전자 장치(100)가 무선 충전 장치(200)에 놓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200)의 전력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안테나(101)에 지정된 크기의 신호(예: AC 신호)가 유도 또는 수신(예: 공명 방식의 전달된 신호의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테나(101)와 브릿지 회로(80) 사이에는 제1 누설 전압(Vp) 및 제2 누설 전압(Vn)이 도 7의 701 화면에서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누설 전압(Vp)과 제2 누설 전압(Vn)은 각각 180도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브릿지 회로(80)의 스위치 제어(예: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의 동시 턴-온)에 따라, 제1 안테나(101)와 브릿지 회로(80)가 폐루프를 형성하면, 제1 누설 전압(Vp) 및 제2 누설 전압(Vn)은 서로 상쇄되어, 703 화면에서와 같이 지정된 크기 이하의 누설 전압이 폐루프에 연결된 노드의 노드 전압(V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드 전압(Vm)은 예컨대, 브릿지 회로(80)에 포함된 스위치들의 문턱 전압(예: MOSFET의 Rds_on 저항에 의해 오프셋되는 전압)까지 낮아질 수 있다. 예컨대, 노드 전압(Vm)은 0.1V ~ 0.99V(또는 0.3V ~ 0.7V)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루프 형성에 따른 신호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브릿지 회로(80)를 이용한 폐루프 형성 이전에는, 801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안테나(101)에 유기되는 교류 전압이 일정 크기를 가지며 전달되며, 이에 따른 누설 전압(또는 노드 전압(Vm))은 일정 크기 이상의 전압(예: 8.4V)이 될 수 있다. 상기 일정 크기 이상의 누설 전압은 제1 통신 모듈(180)에 포함된 구성들(예: 과전압 보호 회로 또는 과전류 보호 회로 등, 기능 제어 스위치(70) 등)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또는 일정 크기 이상의 누설 전압은 제1 통신 모듈(180)에 포함된 구성들에 피로를 증가시켜 구성들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브릿지 회로(80)를 이용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8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안테나(101)에 유기되는 교류 전압은 거의 직류 형태(교류 전압들의 상쇄)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누설 전압(또는 노드 전압(Vm))은 일정 크기 이하의 전압(예: 0.9V)이 될 수 있다. 일정 크기 이하의 누설 전압은 제1 통신 모듈(180)을 구성한 구성들의 내구성 설계의 허용 가능한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은 소자들을 이용하지 않고도, 제1 통신 모듈(180)을 구성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제1 안테나(101) 및 제2 안테나(102), 차폐층(9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차폐층(9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턴수를 가지며 원형으로 감겨진 제1 안테나(101)가 배치되고, 상기 차폐층(9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턴수를 가지며 원형으로 감겨지되 상기 제1 안테나(101)의 바깥쪽에 제2 안테나(102)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폐층(910)은 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안테나(101)와 제2 안테나(102) 사이에 절연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제1 안테나(101)를 제1 통신 모듈(180)에 연결하는 신호 라인들 및 제2 안테나(102)를 전원 충전 모듈(190)에 연결하는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안테나(101), 제2 안테나(102), 차폐층(910) 등은 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커버, 배면 커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9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충전과 관련한 제2 안테나(102)가 무선 충전 장치(200)에서 송출하는 신호로부터 유기된 제1 파형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파형의 신호는 배터리(103)를 충전하는데 이용되는 메인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101)는 무선 충전 장치(200) 및 제2 안테나(102)를 기반으로 유기된 제2 파형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형의 신호는 제1 안테나(101)를 포함하는 폐루프에 유기된 자유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형의 신호 및 제2 파형의 신호는 진폭은 다르되,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위상을 가지도록 제1 안테나(101) 및 제2 안테나(102)의 턴수, 라인의 두께, 라인 간의 간격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101)가 충전에 이용되는 제2 안테나(102)와 유사한 위상이 유기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1 안테나(101)를 포함하는 폐루프에 흐르는 자유 전류는 제2 안테나(102)에 유기되는 전류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제2 안테나(102)에 의한 충전 전원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101) 및 제2 안테나(102)에 유기되는 전류 위상(Current Phase)과 안테나에 유기된 자유 전류 위상(Freewheeling Current Phase)를 동위상으로 맞추도록 제1 안테나(101) 및 제2 안테나(102)를 구성하면, 제2 안테나(102)의 필드(예: 전류장)가 강화되어(Relay Resonator 역할 수행), 무선 충전 동작 시, 제1 안테나(101)의 패턴 영역까지 충전용 도전 패턴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관련 전자 장치 일부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0)의 일부 구성은 예컨대, 프로세서(1120)(예: 상기 프로세서(120), MST 모듈(1081), NFC 모듈(1082), WPC/A4WP 모듈(1090), 배터리(1103), 단말 케이스(1110)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케이스(111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루프들 및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PC/A4WP 모듈(1090)은 예컨대, 앞서 도 5 등에서 설명한 정류 회로 및 컨버터 등은 공유하여 사용하고, WPC 방식 및 A4WP 방식의 충전 회로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WPC 방식은 신호 유도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4WP 방식은 신호 공명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MST 모듈(1081)은 앞서 도 5 등에서 설명한 브릿지 회로 및 기타 MST 통신에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1082)은 MST 모듈(1081)과 독립적으로 별도의 브릿지 회로 및 NFC 통신에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케이스(1110)는 안테나들이 놓이는 적어도 일부 영역은 비금속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케이스(1110)는 예컨대, WPC 방식으로 배터리(1103)를 충전시키는데 이용되는 제1 충전 안테나(1001), A4WP 방식으로 배터리(1103)를 충전시키는데 이용되는 제2 충전 안테나(1004), MST 모듈(1081)의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통신 안테나(1002), NFC 모듈(1082) 운용과 관련한 제2 통신 안테나(1003)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충전 안테나(1001)와 제2 충전 안테나(1004)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전환 스위치(10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안테나들의 시작과 끝 부분은 해당하는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WPC 방식으로 운용되는 제1 충전 안테나(1001) 및 제1 통신 안테나(1002)와 단말 케이스(1110) 사이에는 차폐층(10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케이스(1110)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2 충전 안테나(1004)가 배치된 영역은 비금속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20)는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충전 장치(200)가 WPC 방식인지 또는 A4WP 방식인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무선 충전 장치(200)의 종류에 대응하여, 관련된 통신 모듈(예: MST 모듈(1081) 또는 NFC 모듈(1082))의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여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20)는 WPC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 MST 모듈(1081)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안테나(1002)를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20)는 A4WP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 NFC 모듈(1082)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와 제2 통신 안테나(1003)를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20)는 전환 스위치(1030)를 제어하여 MST 모듈(1081)을 운용하는 동안 제1 충전 안테나(1001)와 제1 통신 안테나(1002)가 연결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ST 모듈(1081)은 제1 충전 안테나(1001) 및 제1 통신 안테나(1002)를 이용하여 지정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력 처리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누설 전력 처리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1101에서, 전자 장치(1100)의 프로세서(1120)(예: 충전 제어부)는 충전 시작과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시작과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동작 1103에서, 프로세서(1120)(예: 통신 모듈 제어부)는 비충전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20)는 통신 모듈(예: MST 모듈(1081) 또는 NFC 모듈(1082))의 상태를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한 대기 상태 또는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충전 시작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1120)(예: 충전 제어부)는 동작 1105에서, 충전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20)는 무선 충전 장치(200)가 송출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충전 장치(200)의 타입(예: WPC 또는 A4WP)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20)는 충전과 관련한 설정이 있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타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20)는 무선 충전과 관련한 신호가 수신되면, 타입 확인을 위한 팝업창 등을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200)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에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200)가 WPC 타입인 경우, 동작 1107에서, 프로세서(1120)(예: 통신 모듈 제어부)는 MST 모듈(1081) 관련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20)는 MST 모듈(1081)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적어도 일부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MST 모듈(1081)과 관련한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200)가 A4WP 타입인 경우, 동작 1109에서, 프로세서(1120)(예: 통신 모듈 제어부)는 NFC 모듈(1082) 관련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20)는 NFC 모듈(1082)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적어도 일부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NFC 모듈(1082)과 관련한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20)는 상기 MST 모듈(1081)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 또는 NFC 모듈(1082)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동시 턴-온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ST 모듈(1081)의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 제어는 프로세서(1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NFC 모듈(1082)의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 제어는 NFC 모듈(108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11에서, 프로세서(1120)(예: 충전 제어부)는 충전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종료(또는 충전 완료)와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1120)는 동작 1103으로 분기하여 비충전 상태 제어(예: 브릿지 회로의 초기 상태 복원)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 현재의 충전 방식에 따라, 프로세서(1120)는 동작 1107 또는 동작 1109로 분기하여 해당 블록과 관련한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1100)가 WPC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또는 WPC 방식과 A4WP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0)는 A4WP 방식만을 지원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100)는 통신 모듈로서, MST 모듈(1081)과 NFC 모듈(108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0)는 NFC 모듈(1082)이 포함되는 경우, A4WP의 운용 주파수와 체배수로 운용되는 경우, NFC 모듈(1082)의 폐루프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NFC 모듈(1082)은 지정된 설정에 따라, 충전 중인 경우, 폐루프 형성을 제어하고, 충전이 해제되면, 폐루프 해제(예: 브릿지 회로의 초기 상태 복원)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통신용 도전 패턴(예: 제2 안테나(1002)) 및 제2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2 통신용 도전 패턴(제3 안테나(1003)),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1 충전용 도전 패턴(예: 제1 안테나(1001)) 및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충전용 도전 패턴(예: 제4 안테나(1004)),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예: MST 모듈(1081)) 및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통신 모듈(예: NFC 모듈(1082)),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이벤트가 발생하면, 충전 타입을 확인하고, 충전 타입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되며,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브릿지 회로,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포함되며,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타입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통신 모듈의 브릿지 회로 중 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츠들을 동시에 턴-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된 브릿지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폐루프 형성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MST 모듈이고, 상기 제1 충전용 도전 패턴은 WPC 방식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이고, 상기 제2 충전용 도전 패턴은 A4WP 방식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충전용 도전 패턴과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은 유기된 신호가 동일한 위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충전용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은 유기된 신호가 동일한 위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 및 상기 제1 충전용 도전 패턴 하부에는 금속성 차폐층이 배치되고, 상기 금속성 차폐층과 상기 도전 패턴들 사이에는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타입의 종류에 관현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중에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불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충전 종료 또는 해제 시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프로세서(1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통해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기반으로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츠들을 동시에 턴-온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 형성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의 폐루프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통신 모듈의 브릿지 회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MST 모듈이고,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WPC 방식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이고,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A4WP 방식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유기된 신호가 동일한 위상을 가지도록 마련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일정 면을 가지는 차폐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은 상기 차폐층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턴 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은 상기 차폐층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턴 수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성 패턴 내측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이 종료되거나 완료되면, 상기 폐루프 형성을 해제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중에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불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종료 또는 해제 시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도전성 패턴, 상기 제1 도전성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누설 전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통해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유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을 동시에 턴온시키는 동작;
    상기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브릿지 회로의 하부 스위치들을 동시에 턴온시키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패턴을 통해 유기된 신호가 지정된 크기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폐루프 형성을 해제하도록 해제 동작;을 더 포함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동작은
    상기 브릿지 회로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을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충전 중에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불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충전 종료 또는 해제 시 상기 통신 모듈 운용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누설 전력 처리 방법.
  19. 제1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1 통신용 도전 패턴 및 제2 통신 기능 운용과 관련된 제2 통신용 도전 패턴;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1 충전용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충전에 이용되는 제2 충전용 도전 패턴;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이벤트가 발생하면, 충전 타입을 확인하고, 충전 타입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되며, 상기 제1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브릿지 회로;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포함되며, 상기 제2 통신용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타입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통신 모듈의 브릿지 회로 중 의 상부 스위치들 또는 하부 스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츠들을 동시에 턴-온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036881A 2016-03-28 2016-03-28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4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81A KR102548688B1 (ko) 2016-03-28 2016-03-28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201710053407.4A CN107248786B (zh) 2016-03-28 2017-01-22 泄漏电力的处理方法及支持该处理方法的电子装置
US15/412,764 US10056945B2 (en) 2016-03-28 2017-01-23 Processing method for leakage power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7153597.4A EP3226381B1 (en) 2016-03-28 2017-01-27 Processing method for leakage power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81A KR102548688B1 (ko) 2016-03-28 2016-03-28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434A true KR20170111434A (ko) 2017-10-12
KR102548688B1 KR102548688B1 (ko) 2023-06-28

Family

ID=5801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881A KR102548688B1 (ko) 2016-03-28 2016-03-28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56945B2 (ko)
EP (1) EP3226381B1 (ko)
KR (1) KR102548688B1 (ko)
CN (1) CN1072487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4639B2 (en) 2018-10-12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coi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4111B2 (en) * 2017-09-01 2019-11-19 Powercas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RF power transmission and single antenna energy harvesting
US10230257B1 (en) 2017-09-12 2019-03-12 Video Gaming Technologies, Inc. Electronic gaming machine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20190100601A (ko) * 2018-02-21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신호 단자에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로 출력하는 전압을 제어 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DE112019003311A5 (de) * 2018-06-29 2021-03-18 Brusa Elektronik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e Spule
US11132862B2 (en) 2018-10-05 2021-09-28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ticketing at a gaming table
US11972659B2 (en) 2018-10-05 2024-04-30 Aristocra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beacon identifiers for secure mobile communications
AU2019240623A1 (en) 2018-10-05 2020-04-23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wallets
US11847885B2 (en) 2018-10-05 2023-12-19 Aristocr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ashless exchange at smart tables
WO2020072362A1 (en) 2018-10-05 2020-04-09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beacon identifiers for secure mobile communications
US11258307B2 (en) 2019-08-14 2022-02-22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foreign object detection
US11227466B2 (en) 2019-08-30 2022-01-18 Aristocrat Technologies, Inc. Multi-currency digital wallets and gaming architectures
WO2021131128A1 (ja) * 2019-12-23 2021-07-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近距離無線通信装置
EP3863185A1 (en) * 2020-02-07 2021-08-11 Nxp B.V.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544994B2 (en) 2020-03-27 2023-01-03 Aristocrat Technologies, Inc. Beacon to patron communications for electronic gaming devices
EP3890196B1 (en) * 2020-04-03 2023-06-21 Nxp B.V.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11276271B2 (en) 2020-04-03 2022-03-15 Aristocra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connecting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to an end user device
USD968513S1 (en) 2020-05-15 2022-11-01 Aristocrat Technologies, Inc. (ATI) Gaming machine divi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902A (ja) * 2011-06-15 2013-01-31 Tdk Corp 非接触伝送デバイス、並びにそれを備える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バッテリリッドユニット
US20140347233A1 (en) * 2013-05-21 2014-11-27 Alireza Mahanfar Integrated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wireless charging
JP2015029404A (ja) * 2013-06-27 2015-02-12 Tdk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WO2015099065A1 (ja) * 2013-12-27 2015-07-02 日立化成株式会社 非接触受電回路、非接触受電装置及び非接触送受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127B2 (ja) 2003-03-07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装置、及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方法
US8823219B2 (en) * 2009-09-14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Headset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KR101184503B1 (ko) * 2010-08-13 2012-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전송 방법
KR101850527B1 (ko) * 2011-03-25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바이스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KR101968615B1 (ko) 2011-05-17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124122B2 (en) * 2011-05-18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system, and impedan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7081B1 (ko) * 2011-11-04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324008B1 (ja) 2013-03-28 2013-10-2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6087740B2 (ja) 2013-05-20 2017-03-01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通信装置
KR102114402B1 (ko) * 2013-08-07 202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중계 장치
KR102350491B1 (ko) 2015-11-18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902A (ja) * 2011-06-15 2013-01-31 Tdk Corp 非接触伝送デバイス、並びにそれを備える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バッテリリッドユニット
US20140347233A1 (en) * 2013-05-21 2014-11-27 Alireza Mahanfar Integrated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wireless charging
JP2015029404A (ja) * 2013-06-27 2015-02-12 Tdk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WO2015099065A1 (ja) * 2013-12-27 2015-07-02 日立化成株式会社 非接触受電回路、非接触受電装置及び非接触送受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4639B2 (en) 2018-10-12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coi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48786A (zh) 2017-10-13
US10056945B2 (en) 2018-08-21
EP3226381B1 (en) 2019-07-31
EP3226381A1 (en) 2017-10-04
US20170279495A1 (en) 2017-09-28
KR102548688B1 (ko) 2023-06-28
CN107248786B (zh)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688B1 (ko)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276791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3552300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position type
KR102649669B1 (ko)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CN107681709B (zh) 用于发送电力的方法及支持其的电子设备
KR102341531B1 (ko) 전자장치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10622840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10236722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2137691A1 (ja) 送電装置、受電装置、送電装置の送電方法、及び受電装置の受電方法
KR2017002440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온도 제어 방법
KR102399167B1 (ko)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46582B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102374467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6686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260717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
KR10249936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31274A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KR102121987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230387724A1 (en)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EP2924537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ttling part for battery member
US9762080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KR20230163904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독출 가능 저장매체
CN117118092A (zh) 电子设备、无线充电方法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