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927A - 휴대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927A
KR20170110927A KR1020160035356A KR20160035356A KR20170110927A KR 20170110927 A KR20170110927 A KR 20170110927A KR 1020160035356 A KR1020160035356 A KR 1020160035356A KR 20160035356 A KR20160035356 A KR 20160035356A KR 20170110927 A KR20170110927 A KR 20170110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rotation
support
cent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244B1 (ko
Inventor
문창식
Original Assignee
문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식 filed Critical 문창식
Priority to KR102016003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2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구비되는 컵받침대에 거치하여 설치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테이블은, 관중석 의자에 구비된 컵받침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편심되어 위치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테이블{PORTABLE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구비되는 컵받침대에 거치하여 음식물을 받칠 수 있는 휴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경기의 관람을 통해 문화생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요구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스포츠 경기의 관중 수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프로야구의 경우 관중 수가 해마다 증가하여 700만 관중을 넘어 1000만 관중의 시대를 향해 가고 있다.
상기 스포츠 경기의 관중은 친구 사이 뿐만 아니라 각종 동호회 모임, 가족 단위의 관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스포츠 경기의 관람 시, 관중들은 여러 종류의 음식 또는 음료를 섭취하면서 경기를 관람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관중석은 의자를 전, 후, 좌, 우 좁은 간격으로 협소하게 배치하여 관중들이 음식물을 놓을 공간이 없어 경기 관람시 손에 음식물을 들고 있거나, 무릎 위에 올린 상태에서 경기를 관람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일부 스포츠 경기장의 경우 의자에 테이블을 일체로 결합시킨 좌석을 제공하고 있으나, 그러한 좌석의 수가 한정되어 있고 가격이 비싸 일반 관중이 이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 제20-0479411호에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는,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하중으로 인해 팔걸이에 걸림되는 걸림부재와,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걸림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음식물을 놓을 수 있는 받침대를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거치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는, 받침부재를 좌석의 팔걸이를 거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걸림부재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고 그 중량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고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테이블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구비되는 컵받침대에 거치하여 설치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테이블은, 관중석 의자에 구비된 컵받침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편심되어 위치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회전부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는 제1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는 제2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와 회전부를 연결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커넥팅너트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과 플랜지부가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제1원형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수용되는 제2원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과 플랜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플랜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평면부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의 평면부가 삽입되는 제1직선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2직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직선부는 상기 제1원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직선부는 상기 제2원형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원형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직선부에는, 상기 제1원형부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대향된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받침대는 상기 지지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형태의 지지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지틀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지틀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사직선부와, 상기 경사직선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틀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상면에는 시트지가 부착되어,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는 경계부를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연결되는 중간부의 두께가 외측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상기 중간부와 외측부에 걸쳐지도록 소정 깊이의 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의 바닥은, 상기 중간부의 위치에서는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부의 위치에서는 상하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경계부의 저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부에 형성된 리브와 상기 제2받침부에 형성된 리브가 맞닿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관통되는 대직경부와, 상기 대직경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소직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직경부에 연결되는 상기 직선부에는, 상기 소직경부에 수용되는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대향된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과 플랜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는 절첩부에 의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 의하면, 관중석 의자에 구비된 컵받침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제1회전중심을 갖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제2회전중심을 가지며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받침부로 구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자와 받침부 간의 간격 조절 가능한 범위를 증대시켜 사용 편의성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와 받침부가 끼움방식으로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부와 받침부 간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휴대 및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받침부를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로 구성하고,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상면에는 시트지를 부착함으로써,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경계부를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함과 아울러 시트지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구 및 문양을 포함시켜 광고 또는 응원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 의하면, 관중석 의자에 구비된 컵받침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편심되어 위치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받침부로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경기장의 의자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경기장 의자의 팔걸이에 구비되는 컵받침대의 다양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이 팔걸이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이 좌석 팔걸이에 결합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회전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조립체가 받침부에 조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로서, (a)는 조립되기 전의 모습, (b)는 조립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a) 저면도와, (b) A-A 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제1상태를 보여주는 (a) 사시도와, (b)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제2상태를 보여주는 (a) 사시도와, (b)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제3상태를 보여주는 (a) 사시도와, (b)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서 (a) 받침부가 제1상태에서 제2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와, (b) 받침부가 제2상태에서 제2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 핸드폰이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a) 평면도와, (b) B-B 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서 받침부의 상면에 시트지가 부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서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절첩부에 의해 연결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이 좌석 팔걸이에 결합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a) 저면도와, (b) C-C 선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a) 사시도와, (b) 저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서 받침부의 상면에 시트지가 부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에서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절첩부에 의해 연결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경기장 등의 관중석에 구비된 의자(10)는, 등받이(11)와 좌석부(12) 및 팔걸이(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팔걸이(13)에는 컵받침대(14)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컵받침대(14)는, 경기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컵받침대(14)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형태의 지지틀(14a)로 이루어진 컵받침대(14-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원추형의 컵받침대(14-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원통형의 컵받침대(14-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100)은, 관중석 의자(10)의 팔걸이(13)에 구비된 다양한 구조의 컵받침대(14)에 호환적으로 결합시켜 사용 가능하고, 회전 및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 음식물이나 기타 개인 용품을 올려놓고 경기 등을 관람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10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100)은, 관중석 의자(10)의 팔걸이(13)에 구비된 컵받침대(1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중앙(B1)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는 제1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120), 및 상기 회전부(120)의 중앙(B2)에서 타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는 제2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받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1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또는 원추형 몸체(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11)의 상면 중앙(B1)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관통홀(112)이 형성된다.
일실시예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형태의 지지틀(14a)로 이루어진 컵받침대(14;14-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틀(14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3)은 상기 지지틀(14a)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부(113a)와, 상기 수직부(113a)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수평부(1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113a)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틀(14a)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113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3)은 지지틀(14a)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113)은 지지부(110)의 하단에 90°간격을 두고 4개소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지지부(110)의 상면에 안착되며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원반형 몸체(121)의 중앙(B1)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상기 지지부(110)에 형성된 제1관통홀(112)과 대응되며 상하로 관통된 제2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홀(112)과 제2관통홀(122)에는 회전부(120)의 지지부(110)에 대한 상대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중심(C1)을 구성하는 체결수단(140)이 결합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체결수단(140)은 상기 제1관통홀(112)과 제2관통홀(122)을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40a)와 암나사부(140b)로 이루어진 커넥팅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120)의 몸체(121) 일측에는 후술되는 받침부(130)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축(131)과 플랜지부(132)가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21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1a)의 상부 양측에는 제1직선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직선부(123)의 끝단에는 제1원형부(124)가 연결되며, 상기 제1직선부(123)의 끝단에는 대향된 위치에 돌기(127;127a,12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21a)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1직선부(123)보다 넓은 간격을 갖는 제2직선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직선부(125)의 끝단에는 상기 제1원형부(124)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원형부(126)가 연결된다.
상기 받침부(130)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회전중심(C2)을 형성하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1)과 플랜지부(132)는 받침부(130)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자(10)의 양측 팔걸이(13)에 구비된 컵받침대(14) 중 어느 하나에 지지부(110)를 고정시킨 후 상기 받침부(130)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회전축(131)와 플랜지부(132) 중 어느 일측을 회전부(12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31)은 플랜지부(13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평면부(131a)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20)와 받침부(130) 간의 결합시, 상기 받침부(130)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축(131)과 플랜지부(132)는, 회전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21a)를 통해 측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31)의 평면부(131a)는 회전부(121)의 제1직선부(123)를 따라 삽입되어 제1원형부(124)에 수용되고, 상기 플랜지부(132)는 제2직선부(125)를 따라 삽입되어 제2원형부(126)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1원형부(124)에 수용된 회전축(131)은 제1직선부(123)에 형성된 돌기(127;127a,127b)에 의해 걸림되므로 회전축(131)이 제1원형부(124)의 밖으로 위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120)와 받침부(130)가 끼움방식으로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부(120)와 받침부(130) 간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휴대 및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지지부(110)의 상면에 회전부(120)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받침부(130)는 사용자(미도시됨)의 전면측으로 당겨진 상태(제1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제1상태)로부터 회전부(120)가 제1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180°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받침부(130)는 제2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부(120)와 상대회전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제2상태)를 보여준다. 이 경우 받침부(13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볼 때, 전방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흉부 또는 복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제2상태)로부터 받침부(130)가 제2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90°회전된 상태(제3상태)를 보여준다. 이 경우, 사용자가 관람석 의자(10)와 출입통로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받침부(130)가 제1상태에서 제2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고, (b) 받침부(130)가 제2상태에서 제2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10)와 회전부(120) 간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중심(C1)과, 회전부(120)와 받침부(130) 간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중심(C2)이 일정 간격(L)으로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받침부(130)의 회전이동시 사용자의 신체 조건 또는 관중석 의자(10)의 설치 상황에 따라서 (a)와 같이 회전부(120)가 제1상태일 때 받침부(130)를 곧바로 회전시키거나, (b)와 같이 회전부(120)를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이동시켜 여유간격(2L)을 확보한 후에 받침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흉부 내지 복부와 받침부(130) 간의 간격 조절 가능한 범위를 증대시켜 사용 편의성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1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의 상면에는 시트지(135)가 부착되어, 상기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는 그 경계부(130c)를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트지(135)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구 및 문양을 포함시켜 광고 또는 응원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경기장에서는 상기 시트지(135)에 응원하는 팀의 로고나, 선수의 이름, 등번호 등을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30)는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가 연결되는 중간부(A1)의 두께(d1)가 외측부(A2)의 두께(d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시트지(135)에 의해 연결된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의 경계부(130c)에서 맞닿는 부위의 두께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 간에 맞닿는 면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받침부(130)의 전체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30)의 상면에는 상기 중간부(A1)와 외측부(A2)에 걸쳐지도록 소정 깊이의 안착부(133)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133)의 바닥은, 상기 중간부(A1)의 위치에서는 막힌 면(13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부(A2)의 위치에서는 상하로 관통된 홀(13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33) 내에 핸드폰(P)을 놓을 경우, 핸드폰(P)의 두께가 외측부(A2)의 두께(d2)보다 더 두꺼운 경우에도 상기 안착부(133)의 막힌 면(133a) 상에 놓인 핸드폰(P)의 끝단(P')은 상기 홀(133b)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중간부(A1)와 외측부(A2)의 두께 차이와 무관하게 핸드폰(P)을 안정적인 수평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부(130)의 상면에는 컵거치홀(134)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130)의 다른 실시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130a)와 제2받침부(130b)는 절첩부(136)에 의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20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200)은, 관중석 의자(10)의 팔걸이(13)에 구비된 컵받침대(1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의 중앙(B)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는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받침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또는 원추형 몸체(2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11)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몸체(21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굴곡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1)의 하단에는 지지틀(14a)이 컵받침대(14)의 지지틀(14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3)은, 상기 지지틀(14a)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사직선부(213a)와, 상기 경사직선부(213a)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틀(14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의 걸림부(213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경사직선부(213a)를 포함하여 결합홈(213)을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지지틀(14a) 간에 높낮이의 차이가 있는 경우라도 결합홈(213)에 삽입된 지지틀(14a)은 경사직선부(213a)의 경사면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지지부(210)에 결합되는 받침부(220)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직선부(213a)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틀(14a)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213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3)은 지지틀(14a)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213)은 지지부(210)의 하단에 90°간격을 두고 4개소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받침부(220)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중심(C)을 형성하는 회전축(221)과, 상기 회전축(221)의 하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22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10)의 상면에는, 상기 플랜지부(222)가 관통되는 대직경부(214)와, 상기 대직경부(21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1)이 삽입되는 직선부(215)와, 상기 직선부(215)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21)이 수용되는 소직경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부(214)는 플랜지부(2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216)는 플랜지부(2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직경부(216)에 연결되는 상기 직선부(215)에는, 상기 소직경부(216)에 수용되는 회전축(2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17;217a,217b)가 대향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10)와 받침부(220) 간의 조립시, 플랜지부(222)를 대직경부(21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시킨 후, 회전축(221)이 직선부(215)를 통과하여 소직경부(216)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소직경부(216)에 수용된 회전축(221)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상기 돌기(217;217a,217b)에 의해 걸림되어 측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플랜지부(222)는 소직경부(216)의 측벽에 걸림되므로 상하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축(221)과 플랜지부(222)는 받침부(220)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자(10)의 양측 팔걸이(13)에 구비된 컵받침대(14) 중 어느 하나에 지지부(210)를 고정시킨 후 상기 받침부(220)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회전축(221)와 플랜지부(222) 중 어느 일측을 지지부(21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20)의 상면에는 핸드폰 등의 소지품을 놓을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안착부(223)가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220)의 양측부에는 컵거치홀(224)과 컵의 측면과 저면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225a)와 저면지지부(225b)를 구비한 컵지지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7과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22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의 상면에는 시트지(227)가 부착되어, 상기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는 그 경계부(220c)를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지(227)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구 및 문양을 포함시켜 광고 또는 응원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의 저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리브(226a,226b)가 돌출되어, 상기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부(220a)에 형성된 리브(226a)와, 제2받침부(220b)에 형성된 리브(226b)가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 간에 맞닿는 면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받침부(220)의 전체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부(220)의 회전중심(C)이 지지부(210)의 중앙(B)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므로, 받침부(220)의 회전중심(C)이 지지부(210)의 중앙(B)과 일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받침부(220)는 사용자의 흉부 또는 복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22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220a)와 제2받침부(220b)는 절첩부(228)에 의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100,200)은, 종래기술에 비해 구조를 보다 간소화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어, 스포츠 경기장은 물론 극장, 공연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 의자 11 : 등받이
12 : 좌석부 13 : 팔걸이
14 : 컵받침대 14a : 지지틀
100 : 휴대용 테이블 110 : 지지부
111 : 몸체 112 : 제1관통홀
113 : 결합홈 113a : 수직부
113b : 수평부 113c : 확장부
120 : 회전부 121 : 몸체
121a : 개구부 122 : 제2관통홀
123 : 제1직선부 124 : 제1원형부
125 : 제2직선부 126 : 제2원형부
127 : 돌기 130 : 받침부
130a : 제1받침부 130b : 제2받침부
131 : 회전축 131a : 평면부
132 : 플랜지부 133 : 안착부
134 : 컵거치홀 135 : 시트지
136 : 절첩부 140 : 체결수단(커넥팅너트)
140a : 수나사부 140b : 암나사부
C1 : 제1회전중심 C2 : 제2회전중심
P : 핸드폰 200 : 휴대용 테이블
210 : 지지부 211 : 몸체
212 : 굴곡부 213 : 결합홈
214 : 대직경부 215 : 직선부
216 : 소직경부 217 : 돌기
220 : 받침부 220a : 제1받침부
220b : 제2받침부 221 : 회전축
222 : 플랜지부 223 : 안착부
224 : 컵거치홀 225 : 컵지지부
226a,226b : 리브 227 : 시트지
228 : 절첩부

Claims (20)

  1. 관중석 의자에 구비된 컵받침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편심되어 위치하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회전부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는 제1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는 제2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중심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와 회전부를 연결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커넥팅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과 플랜지부가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제1원형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수용되는 제2원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플랜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플랜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평면부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의 평면부가 삽입되는 제1직선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2직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직선부는 상기 제1원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직선부는 상기 제2원형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직선부에는, 상기 제1원형부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대향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받침대는 상기 지지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형태의 지지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지틀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지틀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사직선부와, 상기 경사직선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틀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상면에는 시트지가 부착되어,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는 경계부를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연결되는 중간부의 두께가 외측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상기 중간부와 외측부에 걸쳐지도록 소정 깊이의 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의 바닥은, 상기 중간부의 위치에서는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부의 위치에서는 상하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경계부의 저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부에 형성된 리브와 상기 제2받침부에 형성된 리브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관통되는 대직경부와, 상기 대직경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소직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에 연결되는 상기 직선부에는, 상기 소직경부에 수용되는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대향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플랜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저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는 절첩부에 의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KR1020160035356A 2016-03-24 2016-03-24 휴대용 테이블 KR10178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56A KR101787244B1 (ko) 2016-03-24 2016-03-24 휴대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56A KR101787244B1 (ko) 2016-03-24 2016-03-24 휴대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927A true KR20170110927A (ko) 2017-10-12
KR101787244B1 KR101787244B1 (ko) 2017-10-17

Family

ID=6014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356A KR101787244B1 (ko) 2016-03-24 2016-03-24 휴대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11B1 (ko) * 2019-11-21 2020-03-31 진영매 경기 및 공연 관람석용 분리형 스마트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84Y1 (ko) * 2014-01-10 2015-06-12 (주)에이블포인트 휴대폰 거치대가 설치된 접이식 의자
KR101519579B1 (ko) * 2014-10-17 2015-05-12 주식회사 스마츠 관람용 휴대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11B1 (ko) * 2019-11-21 2020-03-31 진영매 경기 및 공연 관람석용 분리형 스마트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244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8694A1 (en) Concession tray
US9192235B2 (en) iChair
JPH042241B2 (ko)
US6675721B2 (en) Adjustable sporting event table
US20150173518A1 (en) Dine R' Tray
AU2015203652A1 (en) An article of furniture
KR101369947B1 (ko)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US11382444B2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pparatus and method
KR101787244B1 (ko) 휴대용 테이블
KR101758694B1 (ko) 관람석 시트 부착용 휴대 테이블
EP2630895B1 (en) Securing element,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with tablet-arm chairs
US20150054318A1 (en) Slotted chai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40112259A1 (en) Adjustable sporting event table
US20140327277A1 (en) Dine R' Tray
US5116098A (en) Multiple desk and seat apparatus
KR200460507Y1 (ko) 휴대용 소형 테이블
US11503916B2 (en) Adjustable bench-mountable cup holder
KR20100108153A (ko) 일회용 음식물 받침대
KR20170003722U (ko) 휴대용 테이블
US20110315593A1 (en) Apparatus for securing dishware
KR200479411Y1 (ko)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KR101916381B1 (ko) 극장용 의자의 팝콘 거치 장치
KR101634323B1 (ko) 의자용 휴대식 간이 테이블
KR20160120584A (ko) 관람석 시트 부착용 휴대 테이블
KR20090052434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