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843A - Brake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rake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843A
KR20170110843A KR1020160035126A KR20160035126A KR20170110843A KR 20170110843 A KR20170110843 A KR 20170110843A KR 1020160035126 A KR1020160035126 A KR 1020160035126A KR 20160035126 A KR20160035126 A KR 20160035126A KR 20170110843 A KR20170110843 A KR 2017011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operating force
push
convers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7984B1 (en
Inventor
최규범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984B1/en
Publication of KR2017011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5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0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작동시에 가압판이 벌어지는 힘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하우징과;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과 차축에 교대로 설치되어 상호 밀착될 때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판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다판 디스크와 나란히 위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가압판이 이동하면서 상기 다판 디스크를 상호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진 가압기구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가압기구 방향으로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하는 푸시기구와; 상기 푸시기구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상기 가압판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푸시기구로부터 가해진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의 작동방향을 변환하여 작동방향이 변환된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압판에 전달하는 변환기구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ake device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by compressing a disk by using a force generated by a pressure plate when a brake is operated, the brake device comprising: a brake housing; A multi-plate disk disposed alternately on the brake housing and the axle and performing a braking action when the brake housing and the brake housin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pressing mechanism positioned inside the brake housing in parallel with the multi-plate disk, the pressing plate being moved during braking operation to closely contact the multi-plate disk; A push mechanism provided in the brake housing for applying a brake operat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mechanism when the brake is operated; And a converting mechanism that converts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operating force applied from the pushing mechanism so that the pressing plate rotates in one direction when the pushing mechanism applies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ng force converted in the operating direction to the pressing plate.

Figure P1020160035126
Figure P1020160035126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Brake system for vehicle}[0001] DESCRIPTION [0002] BRAKE SYSTEM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레이크 작동시에 가압판이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device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rake device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by pressing a disk by using a force of a pressure plate moving during a brake opera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브레이크는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운전석에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이 유압 라인을 통해서 각 바퀴에 있는 슬레이브 실린더에 전달되어 작동한다.Generally, an automobile brake is a device for decelerating or stopping the speed of a running vehicle. Generally, when a brake pedal is depressed in a driver's seat,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a master cylinder is transmitted to a slave cylinder in each wheel through a hydraulic line .

이러한 자동차용 브레이크는 크게 드럼 브레이크와 디스크 브레이크 등으로 나누어진다. Such automotive brakes mainly include drum brakes and disc brakes.

드럼 브레이크는 차량의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안에서 슈가 휠 실린더에 의해 드럼에 압착되어, 마찰을 일으켜 브레이크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The drum brake is pressed against the drum by the wheel of the wheel in the drum,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wheel of the vehicle, so as to perform the brake function by causing friction.

디스크 브레이크는 드럼 브레이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되었는데,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를 양 방향에서 패드로 압착하여 마찰을 일으키게 되어 있다.Disc brakes are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drum brakes. The discs that rotate with the wheels are pressed against the pads in both directions to cause friction.

트랙터 등 농기계용 작업차 등은 자체가 고중량이기 때문에 제동시 충분한 제동력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판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Since a work truck for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tractor has a high weight, a multi-disc brake apparatus is used to secure sufficient braking force and safety in braking.

이러한 다판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압판에 전달하여, 이 가압판이 이동하면서 다판 디스크를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상대적으로 작은 브레이크 작동력으로 충분한 압착력을 다판 디스크에 제공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Such a multi-disc brake apparatus transmits a brake operating force to a pressure plate, and presses the multi-plate disc while moving the pressure plate to generate a braking force. The brak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brak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ufficient compression force to a multi- .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이 건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contents of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are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not.

KR 등록특허 10-0760357KR Patent No. 10-0760357 KR 등록특허 10-0583661KR Patent No. 10-058366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대적으로 작은 브레이크 작동력으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브레이크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ular brake device capable of obtaining a braking force with a relatively small brake operating force at the time of brak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brake operating efficienc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하우징(40)과;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과 차축(55)에 교대로 설치되어 상호 밀착될 때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판 디스크(50)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의 내측에서 상기 다판 디스크(50)와 나란히 위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가압판(62, 65)이 이동하면서 상기 다판 디스크(50)를 상호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진 가압기구(60)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가압기구(60) 방향으로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하는 푸시기구(70)와; 상기 푸시기구(70)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상기 가압판(62, 6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푸시기구(70)로부터 가해진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의 작동방향을 변환하여 작동방향이 변환된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상기 가압판(62, 65)에 전달하는 변환기구(80)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rake housing (40) provided on a vehicle body; A multi-disc disc (50) alternately installed on the brake housing (40) and the axle (55) to perform a braking action when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pressing mechanism 60 disposed inside the brake housing 40 in parallel with the multi-plate disk 50 and adapted to contact the multi-plate disk 50 while moving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during braking operation; ; A push mechanism (70) installed in the brake housing (40) for applying a brake operat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mechanism (60) when the brake is operate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operating force applied from the push mechanism (70) is changed so that the pushing plate (62, 65) rotates in one direction when the pushing mechanism (70) applies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pressure plate (62, 65).

상기 푸시기구(70)는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가압판(62, 65)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변환기구(80)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mechanism (7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pply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conversion mechanism (8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ressure plate (62, 65) during the brake operation.

상기 변환기구(80)는 상기 가압판(62, 65)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가압판(62, 65)의 회전 접선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rting mechanism 8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ng force in the rotational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when transmit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상기 변환기구(80)는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지지된 변환축(83, 84)과, 상기 변환축(83, 8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기구(70)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판(62, 65)을 회전시키는 변환 레버(86, 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version mechanism 80 includes conversion shafts 83 and 84 supported by the brake housing 40 and switching shafts 83 and 84 rotatably mounted on the conversion shafts 83 and 84 so that the push mechanism 70 And rotation lever (86, 87) for rotating the pressure plate (62, 65) while rotating when the pressure plate (62, 65) is rotated.

이때, 상기 변환축(83, 84) 및 변환 레버(86, 87)는 상기 푸시기구(70)의 양측으로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version shafts 83 and 84 and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prefer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ush mechanism 70 in pairs.

상기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는 상기 푸시기구(70)가 접촉되는 부분이 일정 구간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푸시기구(70)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압판(62, 6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arranged so that the portions to which the push mechanism 70 contact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when the push mechanism 70 applies the brake actuating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can be rotated.

상기 푸시기구(70)는 외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푸시 로드(71)와, 상기 푸시 로드(71)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를 동시에 밀어주는 푸시 조인트(7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mechanism 70 includes a push rod 71 linearly mov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push joint 75 provided at an end of the push rod 71 for pushing the pair of the conversion levers 86, As shown in FIG.

상기 푸시 로드(71)는 볼트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ush rod 71 has a bolt-like structure and is adjustable in length.

상기 푸시 조인트(75)는 전방이 개방된 'U'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joint 75 is preferably formed in a U-shaped structure with the front open.

상기 변환 레버(86, 87)의 일측은 상기 푸시기구(70)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판(62, 65)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conversion lever 86 or 87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ush mechanism 70 and the other side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62 or 65.

상기 가압판(62, 65)에는 레버 결합구(62a, 65a)가 형성되고, 상기 변환레버(86, 87)는 상기 레버 결합구(62a, 65a)에 연결축(88, 89)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62, 65)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ever engagement holes 62a and 65a are formed in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and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connected to the lever engagement holes 62a and 65a through connection shafts 88 and 89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pressure plates (62, 65).

상기 연결축(88, 89)의 중심 위치는, 브레이크 작동 전에는 상기 가압판(62, 65)의 중심과 상기 변환축(83, 84)을 잇는 직선(L)에서 일정 각도 벗어난 위치(P)에 있도록 구성되고,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상기 위치(P)에서 상기 직선(L) 상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직선(L)을 넘어가면서 상기 가압판(62, 65)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positions of the connecting shafts 88 and 89 are set such that they are at a position P deviated from a straight line L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ressing plates 62 and 65 and the conversion shafts 83 and 84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brake actuating force to the pressure plate (62, 65) while moving on the straight line (L) at the position (P) or exceeding the straight line (L) when the brake is operated.

상기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기구(10)와, 상기 푸시기구(70)에 상기 조작기구(10)의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 전달기구(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작기구(10)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풋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력 전달기구(20)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기구(70)를 밀어주는 브레이크 암(30)과, 상기 조작기구(10)와 상기 브레이크 암(30)에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식 전달기구 또는 링크식 전달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bra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operating mechanism (10) for genera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and an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20) for transmit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mechanism (10) to the pushing mechanism (70) The operating mechanism 10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of a foot brake and a parking brake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 includes a brake arm 30 And a hydraulic transmission mechanism or a link transmission mechanism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chanism 10 and the brake arm 30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ng for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In addition to the principal task solutions as described above, various task solu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illustrated and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작동시에 푸시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브레이크 작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가압판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작은 브레이크 작동력으로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하여, 브레이크 작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pressure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loss of the brake operat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ush mechanism is minimized during braking operation so that a sufficient braking force is secured by a small brake operating forc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작동시에 푸시기구를 통해 가압판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압판의 회전 접선 방향으로 전달하면서 다판 디스크를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작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다판 디스크를 압착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브레이크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ake operating force transmitted to the pressure plate through the push mechanism during the brake operation is transmitted in the rotational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ressure plate, the multi-plate disk can be pres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brake operating efficiency as a 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일부 절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에서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에서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서 한 쌍의 가압판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서 가압기구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와 다른 메커니즘을 갖는 브레이크 장치의 작용력을 보여주기 위한 참고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vehicl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partially cutaway state in which a main part of a vehicl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vehicle brake device shown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vehicl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structure of a main portion of a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ain portion of a vehicular brak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front views showing a pair of pressure plates in a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ressurizing mechanism in a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force acting on the brake apparatus having the mechanism different from that of the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를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a vehicle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ing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기구(10)와, 이 조작기구(10)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 전달기구(20)와, 차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하우징(40)과, 브레이크 하우징(40)과 차축에 교대로 설치되어 상호 밀착될 때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판 디스크(50)와, 브레이크 하우징(40)의 내측에서 상기 다판 디스크(50)와 나란히 위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가압판(62, 65; 도 4 참조)이 이동하면서 다판 디스크(50)를 상호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진 가압기구(60)와,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가압기구(60) 방향으로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하는 푸시기구(70)와, 이 푸시기구(70)가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상기 가압판(62, 6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푸시기구(70)로부터 가해진 브레이크 작동력의 작동방향을 변환하여 작동방향이 변환된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압판(62, 65)에 전달하는 변환기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vehicl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mechanism 10 for generating a brake operating force, an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 for transmitting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mechanism 10, A multi-plate disc 50 installed alternately in the brake housing 40 and the axle so as to perform a braking action when the brake housing 40 and the brake housing 4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pressing mechanism 60 placed side by side with the disc 50 and adapted to bring the multi-plate discs 50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moving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see FIG. 4) A push mechanism 70 for applying a brake actuat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ushing mechanism 60 when the brake is operated and a push mechanism 70 for pushing the pushing mechanism 62 in such a manner that the pushing plates 62, And a conversion mechanism (80) for converting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operating force applied from the push mechanism (70) and transmit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converted in the operating direction to the pressure plates (62, 65).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respective constitutions of the vehicle braking devic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조작기구(10)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에 설치되는 풋 브레이크(11)와 주차 브레이크(13)로 구성될 수 있다. First, the operating mechanism 10 may be constituted by a foot brake 11 and a parking brake 13, which are generally installed in a driver's seat.

조작기구(10)는 풋 브레이크(11)와 주차 브레이크(13) 중 하나의 브레이크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외에 손으로 작동하는 핸드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operating mechanism 10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brake of the foot brake 11 and the parking brake 13, or may be constituted by a hand brake or the like which operates by hand.

이와 같은 조작기구(10)는 도면에 예시된 것 외에 브레이크의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여러 브레이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Such an operating mechanism 10 may be constructed by applying various known brakes for genera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brake in addition to thos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다음, 상기 작동력 전달기구(20)는, 앞서 설명한 조작기구(10)의 작동력을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기구로서, 유압식 전달기구, 또는 케이블 전달기구, 링크식 전달기구 등 공지의 작동력 전달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 is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mechanism 10 to the brake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a hydraulic transmission mechanism or a known transmission mechanism such as a cable transmission mechanism,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도 1에서는 풋 브레이크(11)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 전달기구(20)가 유압식 전달기구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작동력 전달기구(20)는 풋 브레이크(11) 작동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21)와, 이 마스터 실린더(21)에서 발생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 라인(23)과, 이 유압 라인(23)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암(30)을 밀어주는 슬레이브 실린더(25)로 이루어질 수 있다.1 illustrates that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foot brake 11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transmission mechanism.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 includes a master cylinder 21 for generating a hydraulic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oot brake 11, a hydraulic line 23 for transmitting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21, And a slave cylinder 25 which is connected to the brake arm 23 and pushes the brake arm 30.

또한, 주차 브레이크(13)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 전달기구(20)는 링크식 전달기구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링크식 전달기구는 주차 브레이크(13)와 브레이크 암(30) 사이에 다수의 링크(27)로 연결되어 주차 브레이크(13)의 작동력을 링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parking brake 13 is constituted by a link-type transmission mechanism. The link-type transmission mechanism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arking brake 13 and the brake arm 30 by a plurality of links 27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the operating force of the parking brake 13 through the link.

상기 브레이크 암(30)은 도 2를 참조하면, 차체에 회동축(32)으로 지지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회동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아래에서 설명할 푸시기구(70)를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2, the brake arm 30 is supported by a pivot shaft 32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push the push mechanism 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hile rotating around the pivot shaft 32 in the brake operation do.

다음,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은, 차량의 차체에 지지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휠 또는 차축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여러 구성 요소들이 설치된다. Next, the brake housing 4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and various components that generate a braking force on the wheel or the axle are installed inside the brake housing 40.

이제,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지지되거나 그 내측에 설치되는 여러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Now, various components which are supported in the brake housing 40 or installed inside the brake housing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다음, 상기 다판 디스크(50)는, 도 4를 참조하면, 차축(55)에 스플라인 방식으로 결합된 브레이크 디스크(51)와, 이 브레이크 디스크(51)들 사이에서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지지된 브레이크 압력판(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the multi-plate disk 50 includes a brake disk 51 coupled to the axle 55 in a splined manner and a brake disk 51 supported between the brake disk 51 and the brake housing 40 And a brake pressure plate 53.

이러한 다판 디스크(50)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압기구(60)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씩 구성되는데, 각 쌍은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51)와 그 사이에 배치된 브레이크 압력판(53)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기구(60)에 의해 상호 밀착됨으로써 차축(55)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se multi-plate discs 50 are constituted by a pair of brake discs 51 and brake pressure plates 53 disposed therebetween on both sides of a pressurizing mechanism 6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axle 55 can be brak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pressurizing mechanism 60.

압력판(5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브레이크 하우징(40)에 고정되는 고정부(54)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pressure plate 53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54 fixed to the brake housing 4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다음, 상기 가압기구(6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압판(62, 65)과, 이 한 쌍의 가압판(62, 65)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가압판(62, 65)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한 쌍의 가압판(62, 65)가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동하게 하는 캠수단과, 이 한 쌍의 가압판(62, 65)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작동이 중지될 때 상기 한 쌍의 가압판(62, 65)을 원위치 시키는 리턴기구(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o 6, the pressure mechanism 60 includes a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formed of a ring-shaped flat plate, and a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 cam means for causing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to move in such a manner as to flare when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rotate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nd a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connected to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nd a return mechanism (68) for restoring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65) when the brake operation is stopped.

여기서, 한 쌍의 가압판(62, 65)은 도 8 및 도 9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일부분에 아래에서 설명할 변환기구(80)의 변환 레버(86, 87 ; 도 5 및 도 6 참조)가 결합되는 레버 결합구(62a, 65a)가 형성되고, 이 레버 결합구(62a, 65a)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대 변환 레버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회피부(62b, 65b)가 형성된다. Here,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for example, with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see Figs. 5 and 6) of the conversion mechanism 80 65b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lever coupling holes 62a, 65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lative conversion lever.

또한 한 쌍의 가압판(62, 65)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캠 수단을 구성하는 캠 그루브(62c, 65c)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Further,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re formed with cam grooves 62c and 65c, which constitute the cam means,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한 쌍의 가압판(62, 65)에는 지지 볼트(45)가 삽입되는 호형홈 구조의 볼트 위치부(62d, 65d)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브레이크 하우징(40) 내에서 일정 정도 자유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62e, 65e)들이 형성된다. Bolt positioning portions 62d and 65d are formed on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so that the support bolt 45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housing 40. The bolt positioning portions 62d and 65d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cket housing 40, The protrusions 62e and 65e ar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한 쌍의 가압판(62, 65) 내주면에는 상기 리턴기구(68)가 결합되는 리턴 연결부(69)들이 각각 구성된다.Also, return connection portions 69 to which the return mechanism 68 is coupled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respectively.

캠 수단은 원주 방향으로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판(62, 65)에 각각 형성된 캠 그루브(62c, 65c)와, 이 캠 그루브(62c, 65c) 사이에 끼워져 한 쌍의 가압판((62, 65)이 서로 반대방향 회전시에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동하게 하는 캠 볼(6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 수단은 캠 볼(66)을 이용하지 않고, 한 쌍의 가압판(62, 65)에서 돌출된 캠이 상호 작용하여 브레이크 작동시에 한 쌍의 가압판(62, 65)이 벌어지는 형태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등 여러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The cam means has cam grooves 62c and 65c which are formed at different depth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nd a pair of pressure plates (not shown) sandwiched between the cam grooves 62c and 65c And a cam ball 66 for moving the cams 62 and 65 in such a manner that the cams 66 and 65 move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cams 62 and 65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65 are configured to move in such a manner that the pair of pressing plates 62, 65 are opened when the brakes are operated.

리턴기구(68)는 한 쌍의 가압판(62, 65)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가 브레이크 작동력이 제거되면, 한 쌍의 가압판(62, 65)을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기구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return mechanism 68 holds the elastic force when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rotate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nd when the brake operating force is removed,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re rotated back As a mechanism, a coil spring or the like can be use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다음, 상기 푸시기구(70)는,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설치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암(30)의 움직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브레이크 암(30)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푸시 로드(71)와, 이 푸시 로드(71) 끝단에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를 동시에 밀어주는 푸시 조인트(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ush mechanism 70 is configured to move linearl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rake arm 30 in a state where the push mechanism 70 is installed on the brake housing 40 to apply the brake operating force. And a push joint 75 provided at the end of the push rod 71 for simultaneously pushing 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to be described below.

푸시 로드(71)는 볼트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푸시 로드(71)는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된 외부 로드와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된 내부 로드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부 로드 내경에 상기 내부 로드 외경이 나사결합 되고 상기 외부 로드에 대해 상기 내부 로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ush rod 71 preferably has a bolt-like structure and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For example, the push rod 71 is composed of an outer rod having an inner diameter formed with a female screw and an inner rod having an outer diameter formed with a male screw, the inner ro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outer rod, So that the length thereof can be adjusted.

푸시 조인트(75)는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를 동시에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U'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joint 75 is preferably formed in a 'U' -shaped structure that is open at the front so that 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can be easily pushed simultaneously.

이러한 푸시기구(70)는 상기 가압판(62, 65)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 mechanism 70 is configured to be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This is explained below again.

다음, 상기 변환기구(80)는, 푸시기구(70)가 이동하여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회전하면서 가해진 브레이크 작동력의 작동방향을 변환하여 작동방향이 변환된 브레이크 작동력을 상기 한 쌍의 가압판(62, 65)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Next, the switching mechanism 80 changes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applied brake operating force while rotating the pushing mechanism 70 to apply the brake operating force, thereby switching the operated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pair of pressing plates 62, 65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이를 위한 변환기구(80)는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지지된 변환축(83, 84)과, 변환축(83, 8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기구(70)가 이동하여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회전하면서 가압판(62, 65)을 회전시키는 변환 레버(86, 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version mechanism 80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the conversion shafts 83 and 84 supported by the brake housing 40 and the switching shafts 83 and 84 so that the push mechanism 70 moves, And conversion levers 86 and 87 for rotating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while rotating when applying pressure.

이때, 변환축(83, 84) 및 변환 레버(86, 87)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기구(7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쌍을 이루어 균형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rsion shafts 83 and 84 and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balancedly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ush mechanism 70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는 상기 푸시기구(70)가 동시에 밀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바, 각 변환 레버(86, 87)는 'L'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푸시기구(70)의 푸시 조인트(75)가 접촉되고, 타측은 각 가압판(62, 65)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arranged so that the push mechanism 70 can simultaneously rotate by pushing. Each of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is formed in an L-shaped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 joint 75 of the mechanism 70 is contacte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ressure plates 62 and 65. [

각 변환 레버(86, 87)는 각 가압판(62, 65)의 외주면에 형성된 레버 결합구(62a, 65a)에 연결축(88, 89)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가압판(62, 65)의 레버 결합구(62a, 65a)는 개방된 슬롯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변환 레버(86, 87)에 고정된 연결축(88, 89)이 레버 결합구(62a, 65a)에서 어느 정도 자유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변환 레버(86, 87) 회전시에 연결축(88, 89)의 이동 궤적과 가압판(62, 65)의 레버 결합구(62a, 65a)의 회전 궤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해소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Each of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ever engagement holes 62a and 65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pressure plates 62 and 65 via connection shafts 88 and 89. At this time, the lever engagements 62a and 65a of the respective pressure plates 62 and 65 are preferably formed in an open slot structure.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connection shafts 88 and 89 fixed to the respectiv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to freely move freely to some extent at the lever engagement holes 62a and 65a, 88 and 89 and the rotation locus of the lever coupling apertures 62a and 65a of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As shown in FIG.

레버 결합구(62a, 65a)는 개방된 슬롯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연결축(88, 89)이 회전 궤적에 따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닫힌 슬롯 구조로 구성하여도 가능하다. The lever fittings 62a and 65a are not limited to the open slot structure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losed slot structure so that the connecting shafts 88 and 89 can move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또한,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는 푸시기구(70)의 푸시 조인트(75)가 접촉되는 부분이 일정 부분 서로 중첩되게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푸시기구(70)의 푸시 조인트(75)가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의 중첩된 부분을 밀어서,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가압판(62, 65)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portions where the push joints 75 of the push mechanism 70 contact with each oth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push joint 75 of the push mechanism 70 pushes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to rotate 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can be rotat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한편,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전, 초기의 연결축(88, 89)의 중심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62, 65)의 중심에서 각 변환 레버(86, 87)가 회전하는 변환축(84, 83)의 중심을 잇는 반경 방향의 직선(L)에서 일정 각도 벗어난 위치(P)에 있도록 구성되고,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상기 위치(P)에서 상기 직선(L) 상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직선(L)을 넘어가면서 한 쌍의 가압판(62, 65)에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상기 연결축(88, 89)이 상기 위치(P)에서 상기 선(L) 상으로 이동할 때, 변환 레버(86, 87)에서 가압판(62, 65)에 전달하는 작동력이 가압판의 회전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최대가 된다. 따라서, 연결축(88, 89)이 상기 직선(L)에서 일정 각도 벗어난 위치에 있다가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직선(L) 상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3, the center positions of the initial connection shafts 88 and 89 are set so that the center of each of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before the brakes are operated, (P) deviating from a straight line (L) of the radial direction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84, 83), and moves on the straight line (L)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k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This is because when the brake is actuated and the connecting shafts 88 and 89 move from the position P to the line L, the operat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converting levers 86 and 87 to the pressing plates 62 and 65, And is maximized while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tangential line. Accordingly, the linking shafts 88 and 89 are locat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straight line L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re moved on the straight line L during the brake operation, thereby ensuring more stable and sufficient braking for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풋 브레이크(11) 또는 주차 브레이크(13)를 작동하면 유압 및 기구적 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암(30)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브레이크 암(30)의 움직임에 따라 푸시 로드(71)가 전진하게 된다.1, when the foot brake 11 or the parking brake 13 is actuated, the brake arm 3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hydraulic pressure and mechanical action, and the brake arm 30 The push rod 71 is advance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푸시기구(70)의 푸시 로드(71)가 전진함에 따라 양쪽 변환 레버(86, 87)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양쪽 변환 레버(86, 87)의 움직임에 따라 한 쌍의 가압판(62, 65)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2 to 4, as the push rod 71 of the push mechanism 70 advances, both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both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rotated,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이때 한 쌍의 가압판(62, 6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구비된 캠 볼(66) 및 캠 그루브(62c, 65c)의 작용으로 양쪽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한 쌍의 가압판(62, 65)이 벌어지면서 브레이크 디스크(51) 및 브레이크 압력판(53)을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re moved in such a manner as to spread in both directions by the action of the cam ball 66 and the cam grooves 62c and 65c provided therebetween,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are opened to press the brake disc 51 and the brake pressure plate 53 to generate the braking forc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작동시에 푸시 로드(71)가 전진하면서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한 쌍의 가압판(62, 65)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71)를 통해 전달되는 F의 힘은 각 변환 레버(86, 87)에 1/2F의 힘이 전달되고, 이러한 각 변환 레버(86, 87)의 힘은 가압판(62, 65)의 회전 방향 즉, 회전 접선(tangential)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브레이크 작동력이 푸시 로드(71)에서 양쪽 가압판(62, 65)에 전달될 때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전달되어 보다 우수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sh rod 71 is advanced during the brake operation, 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87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7, the force of F transmitted through the push rod 71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conversion levers 86, 87 by a force of 1 / 2F, and each of the conversion levers 86, 87 Is transmit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that i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rotation, so that when the brak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push rod 71 to both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So that a more excellent braking force can be obtained.

이는 도 11에 예시된 구조에 대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되는데, 도 11에서와 같이 당김 구조를 갖게 되면, 브레이크 작동력이 가압판의 작동 방향 즉, 회전 접선(tangential) 방향이 아니어서 실제 브레이크 구동에 필요한 것보다 더 큰 작동력을 가해야 한다.11, the brake operating force is not in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ressure plate, that i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rotation, so that the brake operating force required to drive the actual brake It is necessary to apply a greater operating force than

즉, 본 발명에서는 푸시기구(70)가 전진하고, 변환 레버(86, 87)가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한 쌍의 가압판(62, 65)을 회전 접선 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면, 도 11에서는 당김 구조로 한 쌍의 가압판을 가운데 방향으로 당기듯이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당기는 힘 F가 브레이크 작동력으로 작용할 때, 실제 한 쌍의 가압판이 브레이크 구동에 활용되는 힘은 각각 1/2Fcosαcosβ의 크기이다. 이는 α, β의 각도가 모두 0에 가까워져야 F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당김 구조 상 두 각도 α, β는 서로 영향을 미쳐 α와 β가 동시에 0에 가까운 작은 값을 가지도록 하기는 대단히 어려우므로, 그만큼 당기는 힘 F의 손실이 커져서 더 많은 작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mechanism 70 advances, and the pair of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rotating tangential direction while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87 spread on both sides, The pulling structure causes the pair of pressure plates to rotate as if pulling in the middle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pulling force F acts as the brake operating force, the force that is actually applied to the brake driving force of the pair of pressure plates is 1 / 2F cos? Cos? As shown in the figure, two angles α and β affect the mutual angles α and β, so that α and β have a small value close to 0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loss of the pulling force F becomes larger and more operating force is required.

그리고, 상기 푸시기구(70)는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한 쌍의 가압판(62, 65)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푸시기구(70)의 이동 방향이 한 쌍의 가압판(62, 65)의 중심을 향하지 않고 다른 방향을 향한다면, 푸시기구(70)에서 변환기구(80)로 브레이크 작동력이 전달될 때 힘이 손실될 수 밖에 없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 mechanism 70 linearly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when the brake is operated. I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ushing mechanism 70 is directed to the other direction without facing the center of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and 65 then a force acts on the pushing mechanism 70 when the brak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verting mechanism 80 It can not but be lost.

따라서, 본 발명은 가압판(62, 65)의 중심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푸시 로드(71)와 회전 접선 방향으로 힘을 전환하여 제공하는 변환 레버(86, 87)를 이용하여 양쪽 가압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작동력의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브레이크 작동이 가능해지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rod 71 for provid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and the switching lever 86 and 87 for switching the force in the rotational tangential direction are used to rotate both pressure plates So that the brake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loss of the brake operating force is minimized, so that efficient brake operation becomes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조작기구 11 : 풋 브레이크
13 : 주차 브레이크 20 : 작동력 전달기구
30 : 브레이크 암 40 : 브레이크 하우징
50 : 다판 디스크 51 : 브레이크 디스크
53 : 브레이크 압력판 55 : 차축
60 : 가압기구 62, 65 : 가압판
62a, 65a : 레버 결합구 62c, 65c : 캠 그루브
66 : 캠 볼 68 : 리턴기구
70 : 푸시기구 71 : 푸시 로드
75 : 푸시 조인트 80 : 변환기구
83, 84 : 변환축 86, 87 : 변환 레버
88, 89 : 연결축
10: operating mechanism 11: foot brake
13: parking brake 20: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30: Brake arm 40: Brake housing
50: multi-disc disc 51: brake disc
53: brake pressure plate 55: axle
60: pressure applying mechanism 62, 65: pressure plate
62a, 65a: Lever engagement holes 62c, 65c: Cam groove
66: cam ball 68: return mechanism
70: push mechanism 71: push rod
75: push joint 80: conversion mechanism
83, 84: conversion shaft 86, 87: conversion lever
88, 89: Connection axis

Claims (13)

차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하우징(40)과;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과 차축(55)에 교대로 설치되어 상호 밀착될 때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판 디스크(50)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의 내측에서 상기 다판 디스크(50)와 나란히 위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가압판(62, 65)이 이동하면서 상기 다판 디스크(50)를 상호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진 가압기구(60)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가압기구(60) 방향으로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하는 푸시기구(70)와;
상기 푸시기구(70)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상기 가압판(62, 6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푸시기구(70)로부터 가해진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의 작동방향을 변환하여 작동방향이 변환된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상기 가압판(62, 65)에 전달하는 변환기구(80)를 포함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A brake housing (40)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 multi-disc disc (50) alternately installed on the brake housing (40) and the axle (55) to perform a braking action when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pressing mechanism 60 disposed inside the brake housing 40 in parallel with the multi-plate disk 50 and adapted to contact the multi-plate disk 50 while moving the pressure plates 62 and 65 during braking operation; ;
A push mechanism (70) installed in the brake housing (40) for applying a brake operat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mechanism (60) when the brake is operate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operating force applied from the push mechanism (70) is changed so that the pushing plate (62, 65) rotates in one direction when the pushing mechanism (70) applies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pressure plate (62, 6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기구(70)는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가압판(62, 65)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변환기구(80)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mechanism (70) is configured to apply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conversion mechanism (80)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ressure plate (62, 65) during a brake opera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80)는 상기 가압판(62, 65)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가압판(62, 65)의 회전 접선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verting mechanism (8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ng force in a rotating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ressure plate (62, 65) when transmit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to the pressure plate (62, 6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80)는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0)에 지지된 변환축(83, 84)과, 상기 변환축(83, 8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기구(70)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판(62, 65)을 회전시키는 변환 레버(86, 8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sion mechanism 80 includes conversion shafts 83 and 84 supported by the brake housing 40 and switching shafts 83 and 84 rotatably mounted on the conversion shafts 83 and 84 so that the push mechanism 70 And a switching lever (86, 87) for rotating the pressure plate (62, 65) while rotating when the pressure plate (62, 65) is turned 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환축(83, 84) 및 변환 레버(86, 87)는 상기 푸시기구(70)의 양측으로 쌍을 이루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version shafts (83, 84) and the conversion levers (86, 87) are paired on both sides of the push mechanism (7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는 상기 푸시기구(70)가 접촉되는 부분이 일정 구간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푸시기구(70)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가할 때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압판(62, 6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air of conversion levers 86 and 87 are arranged so that the portions to which the push mechanism 70 contact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when the push mechanism 70 applies the brake actuating force,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pair of pressure plates (62, 6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푸시기구(70)는 외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푸시 로드(71)와, 상기 푸시 로드(71)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변환 레버(86, 87)를 동시에 밀어주는 푸시 조인트(7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push mechanism 70 includes a push rod 71 linearly mov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push joint 75 provided at an end of the push rod 71 for pushing the pair of the conversion levers 86, And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청구항 7에 있어서,
푸시 로드(71)는 볼트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ush rod (71) has a bolt-like structure and is adjustable in length.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푸시 조인트(75)는 전방이 개방된 'U'자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ush joint (75) is formed in a U-shaped structure with the front ope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환 레버(86, 87)의 일측은 상기 푸시기구(70)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판(62, 6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side of the conversion lever (86, 87) is connected to the push mechanism (7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62, 6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62, 65)에는 레버 결합구(62a, 65a)가 형성되고,
상기 변환레버(86, 87)는 상기 레버 결합구(62a, 65a)에 연결축(88, 89)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62, 65)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Lever fitting holes 62a and 65a are formed in the pressing plates 62 and 65,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nversion lever (86, 87) is connected to said lever coupling means (62a, 65a) via connecting shafts (88, 89) so as to transmit said brake operating force to said pressure plates (62, 65) Brake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88, 89)의 중심 위치는, 브레이크 작동 전에는 상기 가압판(62, 65)의 중심과 상기 변환축(83, 84)을 잇는 직선(L)에서 일정 각도 벗어난 위치(P)에 있도록 구성되고,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상기 위치(P)에서 상기 직선(L) 상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직선(L)을 넘어가면서 상기 가압판(62, 65)에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entral positions of the connecting shafts 88 and 89 are set such that they are at a position P deviated from a straight line L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ressing plates 62 and 65 and the conversion shafts 83 and 84 And the brak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ressure plate (62, 65) while moving on the straight line (L) at the position (P) or exceeding the straight line (L) Brak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기구(10)와, 상기 푸시기구(70)에 상기 조작기구(10)의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 전달기구(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작기구(10)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풋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력 전달기구(20)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기구(70)를 밀어주는 브레이크 암(30)과, 상기 조작기구(10)와 상기 브레이크 암(30)에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작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식 전달기구 또는 링크식 전달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bra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operating mechanism (10) for genera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and an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20) for transmit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mechanism (10) to the pushing mechanism (70)
The operating mechanism (10)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of a foot brake and a parking brake provided on a driver's seat,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 includes a brake arm 30 that is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and pushes the pushing mechanism 70 while rotating and a brake arm 30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chanism 10 and the brake arm 30, And a hydraulic transmission mechanism or a link-type transmission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hydraulic pressure.
KR1020160035126A 2016-03-24 2016-03-24 Brake system for vehicle KR102127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26A KR102127984B1 (en) 2016-03-24 2016-03-24 Brake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26A KR102127984B1 (en) 2016-03-24 2016-03-24 Brake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43A true KR20170110843A (en) 2017-10-12
KR102127984B1 KR102127984B1 (en) 2020-06-30

Family

ID=6013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126A KR102127984B1 (en) 2016-03-24 2016-03-24 Brake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9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123A (en) 2020-02-27 2021-09-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ub-zig for brake pipe engagement with the hydraulic adjuster module of the c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9271A2 (en) * 1985-07-06 1987-01-21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Improvements in self-energising disc brakes
KR100583661B1 (en) 1999-12-29 2006-05-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Brake in industrial vehicle
KR100760357B1 (en) 2001-10-31 2007-09-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Brake in wheel type industrial vehicle
JP2015161344A (en) * 2014-02-26 2015-09-07 ジヤトコ株式会社 Vehicular brak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9271A2 (en) * 1985-07-06 1987-01-21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Improvements in self-energising disc brakes
KR100583661B1 (en) 1999-12-29 2006-05-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Brake in industrial vehicle
KR100760357B1 (en) 2001-10-31 2007-09-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Brake in wheel type industrial vehicle
JP2015161344A (en) * 2014-02-26 2015-09-07 ジヤトコ株式会社 Vehicular brak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123A (en) 2020-02-27 2021-09-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ub-zig for brake pipe engagement with the hydraulic adjuster module of the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984B1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977B1 (en) Brake apparatus
US9476470B2 (en) Electro-mechanical brake
JPH03113133A (en) Front/rear wheel drum brake with servo parking brake
JP2017502228A (en) Actuator having irreversible screw nut system, drum brake, and brake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683608A (en) Brake device
US3435922A (en) Hydraulic disk brake with auxiliary brake-operating mechanism operable from one side of the disk
US3337009A (en) Brake system with twin fluid-supply networks
TWI555667B (en) Linked brake system
KR101904713B1 (en) Brake for vehicle
KR20170110843A (en) Brake system for vehicle
JP4170761B2 (en) Disc brake
US3482657A (en) Disk brake with mechanical actuator and adjusting means
US11649866B2 (en) Friction brake system for a vehicle
KR20200084553A (en) Drum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102265283B1 (en) Brake disc unit for vehicles
CN210101914U (en) Linkage brake system
KR20000044704A (en) Electromotive drum brake device
TWM548123U (en) Improvement of brake pump for interlocking brake system
KR101396866B1 (en) Caliper for parking brake in vehicles
JP3306524B2 (en)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motorcycles
KR102295466B1 (en) Disc brake device for railway vehicle
US4387791A (en) Parking brake for front wheel drive vehicle including brake band for universal joint
KR100398257B1 (en) drum break for vehicle
KR101255369B1 (en) Parking brake using brake caliper in vehicle
JPH0312982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