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028A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0028A KR20170110028A KR1020170034508A KR20170034508A KR20170110028A KR 20170110028 A KR20170110028 A KR 20170110028A KR 1020170034508 A KR1020170034508 A KR 1020170034508A KR 20170034508 A KR20170034508 A KR 20170034508A KR 20170110028 A KR20170110028 A KR 201701100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developing unit
- developing
- cente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공된다.The develop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unit includ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 developing frame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The developing unit is pivotably supported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 biasing member configured to bias the first shaft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식(전자 사진 프로세스)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system (electrophotographic process) and a developing apparatus us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재(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워드 프로세서 및 이러한 장치들을 포함하는 복합기(다기능 프린터)를 포함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ms an image on a recording material (recording medium)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Example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 a printer (a laser beam printer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printer), a copying machine, a facsimile apparatus, a word processor, and a multifunction printer (multifunction printer) including these devices.
또한, 현상 장치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하, “감광체”라 칭함)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하기 위한 장치이다. 현상 장치는 현상 유닛, 현상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현상 프레임 부재 및 현상 유닛에 관련되는 부품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의 예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 및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한다.Further, the develop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a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hotoconductor ") as an image bearing member by using a developer. The develop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unit, a developing frame member for supporting the developing unit, and a component associated with the developing unit. An example of the developing unit includes a developing roller as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 developing blade as a developer regulating member.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를 균등하게 대전시킨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는 대전된 감광체를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 후,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서 가시화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시트 및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기록재에 전사하고,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재에 정착시켜, 화상이 기록된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charges the photoconductor uniformly. Thereaft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electively exposes the charged photoreceptor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photoreceptor. Thereafter, using the toner as the develop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visualize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conductor as a toner imag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ransfers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onto a recording material such as a recording sheet and a plastic sheet, fixes the toner image on the recording material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transferred toner image on the recording material, Is recorded.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다양한 프로세스 유닛의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프로세스 유닛의 예는, 감광체에 작용하는 대전 유닛, 현상 유닛 및 클리닝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세스 유닛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감광체, 대전 유닛, 현상 유닛 및 클리닝 유닛을 카트리지에 일체화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방식에 따르면, 사용성(usability)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Generally, 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requires maintenance of various process units used in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An example of the process unit includes a charging unit, a developing unit and a cleaning unit that act on the photoreceptor. In order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se various process units, a method of integrat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the charging unit, the develop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into the cartridge and detachably attaching the same to the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According to such a cartridge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excellent in usability.
카트리지,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 현상 유닛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A cartridge, a drum cartridge including a photosensitive drum, a developing cartridge as a develop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unit, and a toner cartridge for supplying the developer are known.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182036호의 공보에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를 피벗(pivot)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현상 유닛 및 현상 유닛의 양단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프레임은, 현상 유닛이 피벗할 수 있고,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에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There is a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a developing unit for pivotably supporting the developing roller and a frame for pivotal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developing unit,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182036 . In this configuration, the frame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o that the developing unit can pivot and the developing roller can be contacted with and spaced from the photosensitive drum.
현상 유닛이 피벗하고,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가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에 접촉하는 구성에서, 현상 유닛의 피벗 중심 위치의 시프트(shift)가 감광 드럼에 대한 현상 롤러의 접촉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The shift of the pivot center position of the develop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eveloping unit is pivoted and the developing roller as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photosensitive drum as the image carrier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contact of the developing roller to the photosensitive drum .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장치로서,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pivot)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biasing)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eloping apparatus comprising: a developing unit includ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 development frame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 developing unit, at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b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 second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l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t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 first shaft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And a second shaft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other end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support member so as to support the first shaft so that the development unit pivots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 first hole configured to allow said first shaft to mov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said axial direction, Wherein the developing unit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member and the developing un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shaft so as to pivot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 second hole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And a biasing member configured to biasing the first shaf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Fur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유닛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shift in alignment)가 발생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현상 유닛이 정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8b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에서 타단(other-end) 지지 부재가 생략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유닛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현상 유닛이 정규 위치에 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a 및 14b는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장치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a 및 15b는 제1 구멍과 제2 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및 16b는 제1 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유닛 바이어싱(biasing)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및 18b는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바이어싱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실시예 3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a는 실시예 3에 따른, 현상 유닛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b는 현상 유닛이 정규 위치에 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a 및 22b는 실시예 3에 따른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3a 및 23b는 실시예 3에 따른 바이어싱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FIG. 1A is a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when a shift in alignment occurs in the develop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B is a view showing the developing apparatus when the developing unit is located at the normal posi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3 is a view showing a drum cartridg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cartridge according to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drum cartridge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support hole according to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ther-end support member is omitted from 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1A is a view showing a developing device when an alignment shift occurs in the develop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1B is a view showing the developing device when the developing unit is in the normal posi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4A and 14B are views showing an assembly of 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5A and 15B show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16A and 16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le.
17 shows a unit biasing member;
18A and 18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alignment shift.
1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biasing member;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21A is a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when an alignment shift occurs in the develop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21B is a view showing the developing apparatus when the developing unit is in the normal position.
22A and 22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alignment shift according to
23A and 23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biasing memb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고 칭함)의 장치 본체(10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에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을 갖고 장치 본체(100)로부터 착탈 가능한 4개의 감광 드럼 카트리지(이하, “드럼 카트리지”라고 칭함)(9)(9Y, 9M, 9C, 9K)가 장착된다. 또한, 장치 본체(100)에는, 4개의 현상 장치(이하, “현상 카트리지”라고 칭함)(4)(4Y, 4M, 4C, 4K)가 장착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는, 장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장치 본체(100) 내에 나란히 설치된다.First,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각 드럼 카트리지(9)는 감광 드럼(1)(1a, 1b, 1c, 1d)을 갖는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대전 부재로서의 대전 롤러(2)(2a, 2b, 2c, 2d)와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부재(6)(6a, 6b, 6c, 6d)와 같은 프로세스 유닛이 일체적으로 배치된다.Each
각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5)(25a, 25b, 25c, 25d)를 갖는다.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35)(35a, 35b, 35c, 35d)와 같은 프로세스 유닛이 일체적으로 배치된다.Each of the developing cartridges 4 (4Y, 4M, 4C, 4K) has developing rollers 25 (25a, 25b, 25c, 25d) as developer carrying members. Process units such as the developing blades 35 (35a, 35b, 35c, and 35d) as the developer regulating members are integrally disposed.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등하게 대전시킨다.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접촉하여,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이하, “토너”라고 칭함)를 이용하여 현상하여, 정전 잠상이 토너 화상으로서 가시화된다. 그리고, 클리닝 부재(6)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 S로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한다.The charging
또한, 장치 본체(100)에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아래에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인 스캐너 유닛(3)이 제공된다.Below the
장치 본체(100)의 하부에는, 기록 매체 S를 수납한 카셋트(17)가 장착된다. 그리고, 기록 매체 S를 2차 전사 롤러(69) 및 정착 유닛(74)을 통과하여 장치 본체(100)의 상부로 반송하도록 기록 매체 반송 유닛이 제공된다. 즉, 급송 롤러(54), 반송 롤러쌍(76)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5)이 제공된다. 급송 롤러(54)는 카셋트(17) 내의 기록 매체 S를 1매씩 분리하여 기록 매체 S를 급송한다. 반송 롤러쌍(76)은 급송된 기록 매체 S를 반송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5)은 감광 드럼(1)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과 기록 매체 S를 동기화한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또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윗쪽에는, 각 감광 드럼(1)(1a, 1b, 1c, 1d)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중간 전사 수단으로서의 중간 전사 유닛(5)이 제공된다. 중간 전사 유닛(5)은 구동 롤러(56), 종동(從動) 롤러(57), 각 컬러의 감광 드럼(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58d), 2차 전사 롤러(69)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대향 롤러(59)를 갖는다. 중간 전사체로서의 전사 벨트(14)가 이러한 롤러 둘레에 걸쳐 있다. 전사 벨트(14)는 모든 감광 드럼(1)에 대향하여 접하도록 화살표 E 방향으로 순환 이동한다.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58d)에 전압이 인가되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사 벨트(14) 상으로 1차 전사된다. 그리고, 전사 벨트(14) 내에 배치된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 벨트(14) 상의 토너가 기록 매체 S로 전사된다.Above the
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감광 드럼(1)이 회전되어, 스캐너 유닛(3)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등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따라서,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1)에 형성되어 현상 롤러(25)에 의해 현상된다. 이에 의해,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1)에 형성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과 동기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5)이 기록 매체 S를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가 전사 벨트(14)를 개재시켜 서로 접촉하고 있는 2차 전사 위치로 반송한다. 그리고, 2차 전사 롤러(69)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 벨트(14) 상의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 S로 2차 전사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 S에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칼라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 S는 정착 유닛(7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그 후, 기록 매체 S는 배출 롤러(72)에 의해 배출부(75)로 배출된다. 정착 유닛(74)은 장치 본체(100)의 상부에 제공된다.In forming an image, the
또한, 각 현상 카트리지(4)의 아래쪽에는, 현상 카트리지(4)에 보유 지지된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키기 위해, 장치 본체(100)에 유닛 바이어싱 부재(80)(80a, 80b, 80c, 80d)가 제공된다.A
(드럼 카트리지)(Drum cartridge)
다음으로,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9)에 대해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Y, 9M, 9C, 9K)는 동일 구성을 갖는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가까운 측으로 규정되고,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에서의 하류측이 먼 측으로 규정된다.Next, the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의 클리닝 프레임 부재(27)에는, 감광 드럼(1)이 드럼 전방측 베어링(drum front bearing)(10)과 드럼 후방측 베어링(drum rear bearing)(11)을 개재시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감광 드럼(1)의 축선 방향에서의 일단 측에는, 드럼 커플링(16)과 플랜지가 제공된다.The
도 4는 드럼 카트리지(9)의 단면도이다. 도 4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2)와 클리닝 부재(6)가 제공된다. 클리닝 부재(6)는 고무 블레이드(7)와 클리닝 지지 부재(8)를 포함한다. 고무 블레이드(7)의 선단부(extremity portion)(7a)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감광 드럼(1)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클리닝 부재(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제거 토너실(27a)에 낙하한다. 또한, 제거 토너실(27a) 내의 제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링 시트(sealing sheet)(21)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드럼 카트리지(9)의 드럼 커플링(16)으로 구동원인 본체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감광 드럼(1)을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 구동시킨다. 대전 롤러(2)는 대전 롤러 베어링(28)을 개재시켜 드럼 카트리지(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전 롤러 가압 부재(33)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 대전 롤러(2)가 가압되어, 감광 드럼(1)에 종동 회전한다.4 is a sectional view of the
(현상 카트리지)(Developing cartridge)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4)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옐로우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Y), 마젠타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M), 시안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C), 블랙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K)가 동일 구성을 갖는다. 각 현상 카트리지(4)의 일부의 구성은 다를 수 있다.Next, the developing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와 현상 프레임 부재(31)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39)을 포함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현상 프레임 부재(31)는 현상 롤러(25)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롤러(25) 상의 토너층을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35)를 포함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는 현상 롤러(25)가 배치된 현상실(31c)과, 현상실(31c)의 하부에 제공되는 토너 수납실(31a)을 포함한다. 현상실(31c)과 토너 수납실(31a)은 격벽(31d)에 의해 분할된다. 또한, 격벽(31d)에는, 토너 수납실(31a)로부터 현상실(31c)에 토너가 반송될 때 토너가 통과하는 개구(31b)가 제공된다. 또한, 현상 프레임 부재(31)에는, 장치 본체(100)의 유닛 바이어싱 부재(80)(80a, 80b, 80c, 80d)(도 2 참조)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피바이어싱부(biased portion)(31e)가 제공된다.The developing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의 양측에 제공된 현상 유닛 후방측 베어링(12) 및 현상 유닛 전방측 베어링(13)을 개재시켜 현상 프레임 부재(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7 참조).The developing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토너 수납실(31a)에는, 도 5의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너 수납실(31a)에 수납된 토너를 교반하고 또한 개구(31b)를 통해 현상실(31c)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해 토너 반송 부재(36)가 제공된다.The toner stored i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에는, 화상 형성시에, 토너 반송 부재(36)의 회전 중심이 개구(31b)의 중력 방향 아래측에 있는 개구 하측부(31b1)보다 중력 방향으로 아래 쪽에 위치하고, 현상 롤러(25)의 중심이 개구 하측부(31b1)보다 중력 방향으로 위 쪽에 위치한다. 토너 반송 부재(36)가 현상실(31c)의 아래에 제공된 토너 수납실(31a)로부터, 토너를 스쿠핑 업(scooping up)한다. 토너 반송 부재(36)가 현상실(31c)에 토너를 공급한다.The developing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구성)(Configuration in which the drum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are inserted into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본체(100)로 삽입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장치 본체(100)에는, 각 드럼 카트리지(9)와 각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되는 장착 개구(101)(101a, 101b, 101c, 101d)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가 장착 개구(101)에 대해, 드럼 카트리지(9)의 착/탈 방향이 감광 드럼(1)의 축선 방향이 되도록 착탈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는, 장착 개구(101)에 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착/탈 방향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이 되도록 착탈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는,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이 방향을 “삽입 방향 F”라고 칭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는 각각 독립하여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 즉,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에 의해 잠상이 현상되는 감광 드럼(1)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에 의해 잠상이 현상되는 감광 드럼(1)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9)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Next, a configuration for inserting the
장치 본체(100)의 위 쪽에는, 제3 본체 가이드부인 드럼 카트리지 상부(upper) 가이드부(103)(103a, 103b, 103c, 103d)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의 아래 쪽에는, 제4 본체 가이드부인 드럼 카트리지 하부(lower) 가이드부(102)(102a, 102b, 102c, 102d)가 제공된다. 드럼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와 드럼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2)는 각각 드럼 카트리지(9)의 삽입 방향 F를 따라 연장된다.Upper guide portions 103 (103a, 103b, 103c, 103d) of a drum cartridge, which is a third body guide portion,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pparatus
또한, 장치 본체(100)의 위 쪽에는, 제1 본체 가이드부인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105a, 105b, 105c, 105d)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의 아래 쪽에는, 제2 본체 가이드부인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104a, 104b, 104c, 104d)가 제공된다.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는 각각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 F를 따라 연장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apparatus
드럼 카트리지(9)가 삽입될 때, 드럼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2)와 드럼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의 장착 방향의 가까운 측에 드럼 카트리지(9)가 배치된다. 그리고, 드럼 카트리지(9)가 드럼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와 드럼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2)를 따라 삽입 방향 F로 이동되어, 장치 본체(100)로 삽입된다.When the
현상 카트리지(4)가 마찬가지로 드럼 카트리지(9)로 삽입된다.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의 장착 방향의 가까운 측에 현상 카트리지(4)가 배치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를 따라 삽입 방향 F로 이동되어 장치 본체(100)로 삽입된다.The developing
(현상 카트리지 구성의 상세)(Details of the development cartridge configur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의 상세를 도 1a, 1b, 7, 8a, 8b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details of the construction of the developing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의 일단 측의 단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부 지지 부재(제1 단부 지지 부재)(38)가 제공된다. 한편,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의 타단 측의 단부(단부 지지 부재(38)가 제공되는 단부의 반대 측의 단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타단부 지지 부재(제2 단부 지지 부재)(37)가 제공된다. 즉,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 사이에 배치된 현상 유닛(39)을 사이에 두고 현상 유닛(39)의 양단 측에 제공된다.7, an end supporting member (first end supporting member) 38 for pivotally supporting an end of the developing
타단부 지지 부재(37)에는, 현상 유닛(39)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여,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의 제2 구멍(37a)이 제공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에는, 현상 유닛(39)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여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이 이동 가능하도록 현상 유닛(39)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멍으로서의 제1 구멍(38a)이 제공된다.The other
또한, 현상 유닛(39)에는, 제1 구멍(38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샤프트로서 보스(13a)(제1 샤프트에 대응)가 제공된다. 현상 유닛(39)의 보스(13a)에 반대로,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의 타단 측에는, 제2 구멍(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위치 결정 샤프트로서 보스(12a)(제2 샤프트에 대응)가 제공된다. 보스(12a, 13a)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2a, 13a)는 서로 동심이며,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평행하게 제공된다.Further, the developing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결합하고,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한다. 그리고,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제1 구멍(38a)과 제2 구멍(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보스(13a, 12a)를 중심으로 현상 유닛(39)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39)에 대해 각각 독립하여 이동 가능(피벗 가능)하다. 즉, 단부 지지 부재(38)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일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타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타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일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단부 지지 부재(38)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환언하면,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현상 유닛(39)에 대해 피벗할 때, 단부 지지 부재(38)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대해 그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가 현상 유닛(39)에 대해 피벗할 때,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에 대해 그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The
제2 구멍(37a)은 원형의 구멍 형상이다. 즉, 보스(12a)는 제2 구멍(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위치 결정부이다.The
한편, 도 8a 및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멍(38a)은 보스(13a)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고, 보스(13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긴 구멍으로 형성된다. 즉, 제1 구멍(38a)은 보스(13a)의 직경 방향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38a1)와, 제1 규제부(38a1)와 교차하고 제1 규제부(38a1)보다 큰 제2 규제부(38a2)를 갖는 긴 구멍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멍(38a)이 긴 구멍이므로,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보스(13a, 12a)의 중심이 치수 공차 등으로 인해 시프트되는 영향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멍(38a)은 긴 원형의 구멍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제1 구멍(38a)의 구멍 형상은 긴 원형 구멍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1 구멍(38a)의 구멍 형상은 각진(angular) 구멍일 수도 있다.8A and 8B, the
제1 구멍(38a)과 제2 구멍(37a)에 대해, 도 15a 및 15b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15a는 제1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각 도면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교차(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구멍(38a)의 제1 규제부(38a1)에 의해 보스(13a)가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방향이 제1 방향 V1로 규정된다.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교차(바람직하게는 직교)하고, 또한 제1 방향 V1에 직교하는 방향(제2 규제부(38a2)를 향하는 방향)이 제2 방향 V2로 규정된다. 긴 구멍인 제1 구멍(38a)은, 보스(13a)가 제2 방향 V2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은 제1 방향 V1과 제2 방향 V2로 보스(12a)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적어도 제2 방향 V2에서, 제1 구멍(38a)에서 보스(13a)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 D2는 제2 구멍(37a)에서 보스(12a)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보다 더 길다. 도 16a 및 16b를 참조하여, 제1 구멍(38a)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16a 및 1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멍(38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16b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고 있다.The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멍(38a)이, 보스(13a)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향(제1 구멍(38a)에서 보스(13a)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이 L1로 규정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고 제1 구멍(38a)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이 L2로 규정된다. 그리고, 감광 드럼(1)의 중심과 제1 구멍(38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L3으로 규정된다. 이 상태에서, L1은 L2와 교차한다. 또한, L1은 L3에 대해 경사진다. L1의 방향은 도 16a에 나타내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L1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16A,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결합하고,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한다. 제1 구멍(38a)은, 보스(13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은 단부 지지 부재(38)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2 구멍(37a)은, 보스(12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은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리고, 현상 유닛(39)은 보스(12a)와 보스(13a)를 중심으로, 각각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대해 피벗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 지지 부재(37)에는, 제3 피결합부(37b)와 제4 피결합부(37c)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제3 피결합부(37b)와 제4 피결합부(37c)는 장치 본체(100)에 제공된 제3 본체 결합부(98a)와 제4 본체 결합부(98b)와 각각 결합한다. 따라서,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타단부 지지 부재(37)에는,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될 때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는 제3 피가이드부(37d)와 제4 피가이드부(37e)가 제공된다(도 7 참조).9, the other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에는, 제1 피결합부(38b)와 제2 피결합부(38c)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제1 피결합부(38b)와 제2 피결합부(38c)는 장치 본체(100)에 제공된 제1 본체 결합부(99a)와 제2 본체 결합부(104e)에 각각 결합한다. 따라서, 단부 지지 부재(38)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본체 결합부(104e)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가 동일 부품이다. 또한, 제1 피결합부(38b)와 제2 피결합부(38c)는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는 제1 피가이드부와 제2 피가이드부로서도 기능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main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제2 구멍(37a)과 제1 구멍(38a)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며, 서로 중첩된다. 즉,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구멍(38a)과 제2 구멍(37a)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멍(38a)의 중심은 제2 구멍(37a)의 중심과 일치한다(도 8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2a, 13a)는 서로 동심이며,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평행하게 제공된다. 즉,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보스(13a)가 제1 구멍(38a)의 중심에 위치했을 때,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다.The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 지지 부재(37)와 단부 지지 부재(38)가 각각 장치 본체(100)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보스(12a, 13a)는 모두 현상 유닛(39)의 피벗 중심을 형성한다. 현상 유닛(39)은 보스(12a, 13a)를 중심으로 피벗하여,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2a), 보스(13a), 제2 구멍(37a) 및 제1 구멍(38a)은 현상 유닛(39) 자체의 중량에 의해 감광 드럼(1)에 현상 롤러(25)가 접촉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되는 위치에 제공된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될 때,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여 화상을 가시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biased portion)(31e)(힘 수용부에 대응)가 장치 본체(100)의 유닛 바이어싱 부재(80)(힘 부여부에 대응)(도 2 참조)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로 바이어싱되어,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즉, 피바이어싱부(31e)는, 피바이어싱부(31e)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바이어싱되었을 때,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현상 롤러(25)가 이동하도록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is formed, the developing
도 17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7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면의 먼 측에, 현상 유닛(39)이 위치된다. 지면 가까운 측에, 단부 지지 부재(38)가 위치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31e)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방향 A와 동일)로 바이어싱된다. 그 결과, 현상 유닛(39)은 방향 R1로 피벗하고,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또한,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31e)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인 방향 A2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유닛은 방향 R2로 피벗하고,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17 shows the structur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피바이어싱부(31e)는, 현상 롤러(25)의 중심으로부터 피바이어싱부(31e)까지의 거리가 현상 롤러(25)의 중심으로부터 보스(13a)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25)의 중심과 보스(13a)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Q1과 직선 Q1에 직교하는 직선 Q2가 보스(13a)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그려졌을 때, 피바이어싱부(31e)는 직선 Q2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와 반대측의 영역에 배치된다.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developing
피바이어싱부(31e)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려고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긴 구멍인 제1 구멍(38a) 내에서, 보스(13a)는 제2 규제부(38a2)를 향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반대측의 보스(12a)는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보스(12a)는 보스(12a)와 제2 구멍(37a)과의 사이의 작은 갭을 넘어 이동할 수 없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으로부터 시프트된 상태, 즉 현상 유닛(39)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에 있다. 또한, 현상 유닛(39) 내의 토너의 소비의 결과로 현상 유닛(39)의 무게 중심 위치가 G1로부터 G2로 이동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유사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18a 및 18b는 상술한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a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b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하지 않는 상태, 즉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 및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3a)는 긴 구멍인 제1 구멍(38a)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한편, 보스(12a)는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는, 감광 드럼(1)의 축선에 대해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평행하지 않은 상태(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할 수 없을 수도 있다.When the to-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는 단부 지지 부재(38)에서 바이어싱부 또는 바이어싱 부재로서의 탄성 부재인 인장 스프링(40)을 포함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는 인장 스프링(40)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38d)를 포함한다. 인장 스프링(40)의 일단은 단부 지지 부재(38)의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38d)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보스(13a)에 의해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veloping
인장 스프링(바이어싱 부재)(40)은 보스(13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3a)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와 역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즉,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으로 근접하는 방향(보스(13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보스(13A)가 바이어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방향은, 보스(13a)의 중심이 제2 구멍(37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따라서,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것에 가까워진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도가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The tension spring (biasing member) 40 biases the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축들은 완전하게 평행할 필요는 없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도 19는 바이어싱 부재로서의 인장 스프링(4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과 마찬가지로, 도 19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본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면의 먼 측에, 현상 유닛(39)이 위치된다. 지면의 가까운 측에 단부 지지 부재(38)가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유닛(39)의 일부로서의 돌출부(13c1 또는 13c2)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고정 보스(38d)와 돌출부(13c1) 사이에 인장 스프링(4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고정 보스(38d)와 돌출부(13c2) 사이에 인장 스프링(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 방향)으로 보스(13a)가 바이어싱될 수 있다. 그리고,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 방향)으로 보스(13a)가 감광 드럼(1)의 중심으로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1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한편, 인장 스프링(40)이 보스(13a)를 직접 바이어싱하는 구성에서는, 인장 스프링(40)은 현상 유닛(39)을 회전시키는 힘(모멘트)을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될 때, 큰 부하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인가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돌출부(13c2)에 인장 스프링(40)이 걸린(hooked) 경우에는,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움직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힘이 인가된다. 또한, 돌출부(13c1)에 인장 스프링이 걸린 경우에는,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움직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힘이 인가된다. 따라서, 보스(13a)가 직접 바이어싱되어, 큰 부하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인가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또한, 돌출부(13c1)에 인장 스프링(40)이 걸려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도록 현상 유닛(39)이 도 19의 방향 R1로 피벗하는 것을 상정한다. 그 결과, 돌출부(13c1)는 또한 도 19의 방향 R1로 피벗한다. 한편, 스프링 고정 보스(38d)는 단부 지지 부재(38)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38)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이 도 19의 방향 R1로 피벗하면, 돌출부(13c1)와 스프링 고정 보스(38d) 사이의 거리가 단축된다. 그 결과, 인장 스프링(40)이 돌출부(13c1)를 당기는 힘이 감소한다. 따라서, 인장 스프링(40)의 힘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It is also assumed that the developing
한편, 보스(13a)가 직접 바이어싱되는 구성에서는, 현상 유닛(39)이 피벗하는 경우에도, 보스(13a)와 스프링 고정 보스(38d)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장 스프링(40)이 보스(13a)를 당기는 힘이 감소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즉, 인장 스프링(40)이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인장 스프링(40)이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lthough the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 중에, 인장 스프링(40)은 단부 지지 부재(38)에 제공된다. 인장 스프링(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 중에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In summary, in this embodiment, in the developing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현상 유닛(39)의 단부들에 제공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단부 지지 부재(38)가 제공되는 단부의 반대 측의 단부)의 현상 유닛(39)의 단부에 대해, 현상 유닛(39)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측 지지부(137)가 제공된다. 장치측 지지부(137)는 장치 본체(100)의 먼 측에 고정되어 제공된다. 보스(12a)가 피지지부(위치 결정 샤프트)가 되도록 하여, 장치측 지지부(137)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멍(37a)에 상당하는 구멍(137a)(위치 결정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스(12a)가 구멍(1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멍(137a)에 의해 규제되는 위치 결정부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 경우, 보스(12a)는 구멍(137a)에 착탈 가능하고, 현상 카트리지(4)는 보스(12a)를 개재시켜 구멍(1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단부 지지 부재(38)는 장치측 지지부(137)에 독립적이므로, 장치측 지지부(137)로부터 독립하여 현상 카트리지(4)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장치측 지지부(137)의 기능은,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타단부 지지 부재(37)의 기능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장치측 지지부(137)는 드럼 카트리지(9)의 먼 측의 벽면을 연장함으로써 얻어진 부분의 일부에 고정되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pparatu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39)의 위치 결정부로서 제2 구멍(37a)이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제공되고, 보스(12a)가 현상 유닛(39)에 제공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멍(37a)(위치 결정 구멍)에 상당하는 구멍은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보스(12a)에 상당하는 위치 결정 샤프트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다른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생략된 구성에서는, 보스(12a)에 상당하는 위치 결정 샤프트가 현상 유닛(39)과 장치측 지지부(1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구멍(37a)에 상당하는 구멍은 현상 유닛(39)과 장치측 지지부(137)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에 대해, 도 11a, 11b, 12 및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와 상이한 구성 요소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며, 기본적으로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Next, the construction of the developing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의 현상 유닛(39)의 일단 측에는, 단부 지지 부재(48)(실시예 1에서의 단부 지지 부재(38)에 대응)가 제공된다. 단부 지지 부재(48)에는, 현상 유닛(39)에 제공된 보스(13a)와 결합하는 제1 구멍(48a)이 제공된다. 제1 구멍(48a)은 실시예 1에서의 제1 구멍(38a)과 유사하며, 보스(13a)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48)에는, 제1 피결합부(48b)와 제2 피결합부(48c)가 제공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100)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제1 피결합부(48b)와 제2 피결합부(48c)는, 장치 본체(100)에 제공된 제1 본체 결합부(99a)와 제2 본체 결합부(104a)와 각각 결합한다(도 13 참조).12, an end supporting member 48 (corresponding to the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부로서 가압 부재로서의 가압 레버(41)가 이용되고, 가압 레버(41)를 보스(13a)를 향해 바이어싱하는 레버 바이어싱 부재로서 인장 스프링(140)이 이용된다.In this embodiment, a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48)는 가압 레버(41)를 포함한다. 가압 레버(41)에서, 가압 피지지부로서 레버 피지지부(41b)와, 레버 피지지부(41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바이어싱 부재 계지부(locking portion)로서 스프링 고정부(41a)가 형성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48)는 가압 지지부로서 레버 지지 보스(48e)와 바이어싱 부재 피계지부로서 스프링 고정 보스(48d)를 포함한다. 레버 지지 보스(48e)는, 가압 레버(41)가 보스(13a)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대해 제1 구멍(48a)의 중심보다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레버 피지지부(41b)는 레버 지지 보스(48e)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인장 스프링(140)의 일단은 스프링 고정부(41a)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스프링 고정 보스(48d)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가압 레버(41)는 단부 지지 부재(48)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인 레버 피지지부(41b)와, 인장 스프링(140)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위치인 스프링 고정부(41a) 사이에서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1A, the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인장 스프링(40)과 마찬가지로, 현상 롤러(25)의 얼라인먼트 시프트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압 레버(41)가 보스(13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레버(41)의 레버 피지지부(41b)로부터 프레스 레버(41)가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가압 레버(41)의 레버 피지지부(41b)로부터 스프링 고정부(41a)까지의 거리가 더 길다. 따라서,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데 필요한 힘을 얻기 위한 인장 스프링(140)의 스프링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alignment shift of the developing
즉,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3a)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와 역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즉,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으로 근접하는 방향(보스(13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제1 구멍(48a)에서 바이어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방향은, 보스(13a)의 중심이 제2 구멍(37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게 되도록,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가압 레버(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에 가까워진다. 즉, 바이어싱부인 가압 레버(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도가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1B, the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축선은 완전하게 평행할 필요는 없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가압 레버(41)가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가압 레버(41)가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to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48) 중에 가압 레버(41)와 인장 스프링(140)은 단부 지지 부재(48)에 제공된다. 그리고, 가압 레버(41) 및 인장 스프링(1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48) 중에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In summary, 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도 14a 및 14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현상 카트리지(4)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14A and 14B, a method for assembling the developing
우선, 현상 프레임 부재(31)가 토너로 충전되고,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롤러(25)가 조립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이 조립된다(제1 공정).First, the developing
다음으로, 미리 가압 레버(41)가 레버 지지 보스(48e)에 장착되고, 미리 인장 스프링(140)이 스프링 고정부(41a)와 스프링 고정 보스(48d)에 추가로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 지지 부재(48)가 제1 공정을 거친 현상 유닛(39)에 장착된다(제2 공정).Next, in a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 카트리지(4)가 조립된다.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이용되는 경우,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다른 공정에서 현상 유닛(39)에 장착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developing
이러한 조립 방법에 따르면, 단부 지지 부재(48)가 현상 유닛(39)에 조립된 후에, 인장 스프링(140)을 조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sembling method, after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및 2의 구성 요소와 상이한 구성 요소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며, 기본적으로 실시예 1 및 2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developing
실시예 1 및 2에서는, 현상 유닛(39)이 보스(13a)를 포함한다. 제1 구멍(38a, 48a)은 각각 단부 지지 부재(38, 48)에 포함된다. 그러나, 지지 샤프트로서의 제1 샤프트(보스(13a)에 상당함)는 현상 유닛과 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샤프트로서의 제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1 구멍은 현상 유닛과 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In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2a)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보스(12a)와 결합되는 제2 구멍(37a)은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도 2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이다.The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eloping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샤프트(제1 샤프트)로서의 보스(138a)(실시예 1 및 2의 보스(13a)에 상당함)가 단부 지지 부재(138)(실시예 1 및 2의 단부 지지 부재(38, 48)에 상당함)에 제공된다. 또한, 현상 유닛(139)에는, 지지 구멍으로서의 제1 구멍(139a)(실시예 1 및 2의 제1 구멍(38a)에 상당함)이 제공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2a)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된다. 보스(12a)와 결합되는 제2 구멍(37a)은 현상 유닛(1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된다.20, the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구멍(139a)과 보스(138a)가 서로 결합하고,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구멍(139a)은 보스(138a)에 대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139)은 단부 지지 부재(138)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2 구멍(37a)은, 보스(12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139)은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현상 유닛(139)은 보스(12a, 138a)를 연결한 선이 피벗 중심이 되도록, 보스(12a, 138a)를 중심으로 피벗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할 수 있고,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Similar to other embodiments, the
도 21a 및 21b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21A and 21B are views showing the
실시예 1과 유사하게, 단부 지지 부재(1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139)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피벗 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 지지 부재(1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감광 드럼(1)도 드럼 카트리지(9)를 개재시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31e)는 장치 본체(100)의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로 바이어싱된다. 그리고, 현상 유닛(139)이 화살표 R1 방향으로 피벗하여,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피바이어싱부(31e)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2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Similarly to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현상 롤러(25)의 중심과 보스(138a)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Q1과, 직선 Q1에 직교하는 직선 Q2가 보스(138a)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그려졌을 때, 피바이어싱부(31e)는 직선 Q2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와 반대측의 영역에 배치된다.When a straight line Q1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developing
피바이어싱부(31e)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유닛(139)이 피벗하여,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려고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긴 구멍인 제1 구멍(139a)은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보스(138a)는 단부 지지 부재(138)에 제공되기 때문에, 감광 드럼(1)에 대한 보스(138a)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When the to-
한편, 반대측에 있는 보스(12a)와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현상 카트리지(4)는 감광 드럼(1)의 축선에 대해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비스듬한 상태, 즉 현상 유닛(39)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가 된다. 도 22a 및 22b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18a 및 18b와 유사하게, 상술한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a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b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지 않은 상태, 즉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a 및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구멍인 제1 구멍(139a)은 보스(138a)와 결합되면서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보스(12a)와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감광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대응하여,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유닛(139)에 바이어싱부로서의 탄성 부재인 인장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 유닛(139)은 인장 스프링(240)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239d)를 포함한다. 인장 스프링(240)의 일단은 현상 유닛(139)의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239d)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단부 지지 부재(138)의 보스(138a)에 의해 지지된다.Correspondingly, as shown in Fig. 23A, the developing
인장 스프링(240)은 보스(138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즉,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멍(139a)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인장 스프링(240)에 의해 보스(138a)가 가압된다.The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240)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스(138a)를 바이어싱한다. 그리고,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하는 방향(제1 구멍(139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향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아지도록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2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그리고,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이 되도록 가까워진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2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이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축은 완전하게 평행일 필요는 없다.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인장 스프링(240)이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인장 스프링(240)이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서, 현상 유닛(1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인장 스프링(240)은 현상 유닛(139)에 제공된다. 따라서, 인장 스프링(2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Also, similar to
또한, 다른 구성에서,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40) 대신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바이어싱 부재로서의 가압 레버와 레버 바이어싱 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23B, a pressing lever and a lever biasing member as the biasing member described in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부로서, 가압 레버(241)와 가압 레버(241)를 보스(138a)를 향해 바이어싱하는 인장 스프링(340)이 이용된다.In this configuration, as the biasing part for biasing the
현상 유닛(139)은 가압 레버(241)를 포함한다. 가압 레버(241)는 가압 피지지부로서의 레버 피지지부(241b)와, 레버 피지지부(241b)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바이어싱 부재 계지부로서의 스프링 고정부(241a)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유닛(139)은 가압 지지부로서의 레버 지지 보스(139e)와, 바이어싱 부재 피계지부로서의 스프링 고정 보스(139d)를 포함한다. 레버 지지 보스(139e)는, 가압 레버(241)가 보스(138a)를 가압하여 현상 유닛(139)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보스(138a)의 중심보다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레버 피지지부(241b)는 레버 지지 보스(139e)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인장 스프링(340)의 일단은 스프링 고정부(241a)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스프링 고정 보스(139d)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가압 레버(241)는 현상 유닛(139)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있는 레버 피지지부(241b)와, 인장 스프링(340)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위치에 있는 스프링 고정부(241a) 사이에서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다.The developing
인장 스프링(240)과 유사하게, 현상 롤러(25)의 얼라인먼트 시프트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압 레버(241)는 보스(138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The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스(138a)를 바이어싱한다.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하는 방향(제1 구멍(139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에 의해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향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가압 레버(2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그리고,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도록 가까워진다. 즉, 가압 레버(2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도가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The
제1 구멍(139a)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축선은 완전하게 평행일 필요는 없다.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또한, 실시예 2와 유사하게, 가압 레버(241)가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가압 레버(241)가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서, 현상 유닛(1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은 현상 유닛(139)에 제공된다.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Also,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에 대한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의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contact of the developing roller as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to the photosensitive drum as the image bearing member.
본 발명이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all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structures and functions.
Claims (23)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pivot)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biasing)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As a developing apparatus,
A developing unit includ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 development frame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b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t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 other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l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t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 first shaft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A second shaft provided on one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developing un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irst shaft so as to pivot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nd the first shaft is provided in the end supporting memb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A first hole configured to permit movement;
Wherein the developing unit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member and the developing un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shaft so as to pivot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 second hole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And
And a biasing member configured to biasing the first shaf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axial direction.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이 화상 담지체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asing member biases the first shaf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is close to the center of the image bearing member.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화상 담지체에 접촉하게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되는 힘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forc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the force receiving portion being configured to bias the developer bear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image bearing member.
상기 힘 수용부가 바이어싱되었을 때,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화상 담지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when the force receiving portion is biased, the first shaf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bearing member.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에 대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반대 측의 영역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orce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and perpendicular to a second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developing device.
상기 힘 수용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힘 부여부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현상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orce receiving portion is biased by an urging force provid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일단이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인, 현상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iasing member is an elastic member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end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haft.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부재; 및
상기 레버 부재를 상기 제1 샤프트를 향해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iasing member
A lever member rotatably supported by the end support member; And
And a lever biasing member configured to bias the lever member toward the first shaft.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위치와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ever member biases the first shaft between a position biased by the lever biasing member and a position supported by the end support member.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샤프트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규제부와, 상기 제1 규제부가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직경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위치를 규제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샤프트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규제부를 포함하는 긴 구멍이고,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규제부보다 더 큰, 현상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hole is configured to restrict a position of the first shaft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and a second restriction portion that restricts a position of the first shaf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regul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egulate a position of the first shaf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direction of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developing roller, wherein the second regulat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first regulating portion, .
상기 단부 지지 부재와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벗 가능한, 현상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nd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support member are independently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developing unit.
상기 현상 장치는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현상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veloping device is detachable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접촉하는 화상 담지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현상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veloping device is detachable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e bearing member to which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is in contact.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As a developing apparatus,
A developing unit includ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 development frame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l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t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 other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l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t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 first shaft provided on the end support member;
A second shaft provided on one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developing unit is provided and the developing unit supports the first shaft so as to pivot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nd moves about the first shaf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axial direction A first hole configured to be permitted;
Wherein the developing unit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member and the developing un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shaft so as to pivot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 second hole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And
And a biasing member configured to bias the first shaf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axial direction.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1 구멍의 중심이 화상 담지체의 중심에 접근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biasing member biases the first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hole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image bearing member.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화상 담지체에 접촉하게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되는 힘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Further comprising a forc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the force receiving portion being configured to bias the developer bear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image bearing member.
상기 힘 수용부가 바이어싱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화상 담지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when the force receiving portion is biased, the first hole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bearing member.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에 대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반대 측의 영역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orce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and perpendicular to a second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developing device.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지지 부재와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벗 가능한, 현상 장치.A developing unit includ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 development frame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l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t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 other end supporting member configured to pivotally support the developing unit at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 first shaft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end supporting member;
A second shaft provided on one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developing unit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end supporting member and is coupled with the first shaft so that the developing unit pivots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 first hole configured to allow movement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Wherein the developing unit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member and is coupled with the second shaft so that the developing unit pivots about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 second hole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hole; And
And a biasing member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end supporting member and configured to bias the other of the developing unit and the end supporting memb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Wherein the end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support member are independently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developing unit.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biasing member biases the first shaft.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화상 담지체에 접촉하도록 바이어싱되는 힘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2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r 20,
Further comprising a forc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the force receiving portion being biased such that the developer bearing member contacts the image bearing member.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에 대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반대 측의 영역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orce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and perpendicular to a second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developing device.
제1항에 따른 현상 장치; 및
화상 담지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bear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56987 | 2016-03-22 | ||
JPJP-P-2016-056987 | 2016-03-22 | ||
JPJP-P-2017-031355 | 2017-02-22 | ||
JP2017031355A JP7076945B2 (en) | 2016-03-22 | 2017-02-22 | Developing equipment and image form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0028A true KR20170110028A (en) | 2017-10-10 |
KR102100541B1 KR102100541B1 (en) | 2020-05-15 |
Family
ID=5997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4508A KR102100541B1 (en) | 2016-03-22 | 2017-03-20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7076945B2 (en) |
KR (1) | KR10210054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21699B2 (en) * | 2017-09-29 | 2021-08-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Developing equipment and image forming equipment |
JP7106300B2 (en) * | 2018-03-06 | 2022-07-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ing device |
JP2020052358A (en) * | 2018-09-28 | 2020-04-0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Image forming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2675A (en) * | 1993-06-28 | 1995-03-17 |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 Process cartridge |
JP2012063391A (en) * | 2010-09-14 | 2012-03-29 | Canon Inc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4102425A (en) * | 2012-11-21 | 2014-06-05 | Canon Inc |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5169876A (en) * | 2014-03-10 | 2015-09-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4867A (en) * | 1995-03-16 | 1996-10-01 | Canon Inc | Image forming device |
JPH09230694A (en) * | 1996-02-27 | 1997-09-05 | Canon Inc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
JP4677093B2 (en) | 2000-12-25 | 2011-04-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Process cartridge |
JP2005043538A (en) * | 2003-07-25 | 2005-02-17 | Canon Inc | Process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KR20060014973A (en) * | 2004-08-13 | 2006-0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elo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
JP5935391B2 (en) * | 2012-02-29 | 2016-06-1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Image forming apparatus |
JP6164935B2 (en) * | 2013-05-27 | 2017-07-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Process cartridge |
-
2017
- 2017-02-22 JP JP2017031355A patent/JP7076945B2/en active Active
- 2017-03-20 KR KR1020170034508A patent/KR1021005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2675A (en) * | 1993-06-28 | 1995-03-17 |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 Process cartridge |
JP2012063391A (en) * | 2010-09-14 | 2012-03-29 | Canon Inc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4102425A (en) * | 2012-11-21 | 2014-06-05 | Canon Inc |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5169876A (en) * | 2014-03-10 | 2015-09-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076945B2 (en) | 2022-05-30 |
KR102100541B1 (en) | 2020-05-15 |
JP2017173806A (en) | 2017-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3831B1 (en) |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roller | |
US884915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 |
KR102251926B1 (en) | Developing cartridge mountable to main assembly of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015679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 |
JP579396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 |
KR102100541B1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07219742B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882516B2 (en) | Process unit and developer cartridge | |
JP6938166B2 (en) | Image forming device | |
JP2012103427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21441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cartridge | |
KR102574239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 |
CN109581838B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9066615A (en) | Developmen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20071351A (en) |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