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92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9926A KR20170109926A KR1020160034149A KR20160034149A KR20170109926A KR 20170109926 A KR20170109926 A KR 20170109926A KR 1020160034149 A KR1020160034149 A KR 1020160034149A KR 20160034149 A KR20160034149 A KR 20160034149A KR 20170109926 A KR20170109926 A KR 20170109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l
- mold
- contact
- contact terminals
- mold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100)는 부품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의 일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상부접촉단자(110); 상기 부품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타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하부접촉단자(120); 상기 상부접촉단자(110)들 및 상기 하부접촉단자(120)들이 결합된 몰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140)에는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내부 삽입구(142)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부(140)의 양측면 일부를 각각 감싸는 쉘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수지를 몰딩하여 형성된 몰드부의 양측면 일부를 각각 감싸는 쉘부를 장착하여 커넥터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켜 커넥터 적용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 프린터 등에서 마더 보드로 그래픽 카드의 연결, 기판 끼리의 연결, 메인 보드와 서브 보드 간의 체결 시 카드 엣지형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10)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접속단자들(12)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절연몰드부(11)와, 상기 절연몰드부(11)의 외주면을 감싸는 쉘부(13)를 포함한다.
커넥터(10)는 절연몰드부(11)에 전기부품을 체결하거나 해제 시 고정된 전기부품을 뽑아내거나 삽입할 때 발생하는 힘에 의해 절연몰드부(11)가 파손되어 커넥터(10)의 성능 불량 및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절연몰드부(1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커넥터(10)는 절연몰드부(11)에 쉘부(13)를 장착하게 되는데 절연몰드부(11)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쉘부(13)의 추가적인 장착으로 커넥터(10)의 전체적인 사이즈(높이와 폭)가 증가되며, 이로 인하여 커넥터(10)를 구비한 제품을 소형화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수지를 몰딩하여 형성된 몰드부의 양측면 일부를 각각 감싸는 쉘부를 장착하여 커넥터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켜 커넥터 적용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커넥터(100)는,
부품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의 일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상부접촉단자(110);
상기 부품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타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하부접촉단자(120); 및
상기 상부접촉단자(110)들 및 상기 하부접촉단자(120)들이 결합된 몰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140)에는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내부 삽입구(142)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부(140)의 양측면 일부를 각각 감싸는 쉘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수지를 몰딩하여 형성된 절연몸체의 양측면 일부를 각각 감싸는 쉘부를 장착하여 커넥터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켜 커넥터 적용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전기부품을 체결, 해제시 쉘부의 장착 구조로 인한 몰드부의 파손 및 이물 끼움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접촉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접촉단자가 구비된 서브 몰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접촉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몸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측쉘부와 우측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접촉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접촉단자가 구비된 서브 몰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접촉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몸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측쉘부와 우측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접촉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접촉단자가 구비된 서브 몰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접촉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컴퓨터 등에서 마더보드로 그래픽 카드의 연결, 기판끼리의 연결, 메인보드와 서브보드 간의 체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커넥터(100)는 전자기기에서 대상물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몰드부(140) 및 쉘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부(140)는 플라스틱 수지를 몰딩하여 형성되어 내부 삽입구(142)를 갖는 일정 크기의 절연몸체(141)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몸체(141)는 내부 상단에 복수의 상부접촉단자(110)가 나란하게 배열되고, 내부 하단에 상기 상부접촉단자(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접촉단자(120)가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상부접촉단자(110)와 상기 하부접촉단자(120)의 사이의 공간으로 대상물이 삽입되는 내부 삽입구(142)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몸체(141)는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인 상기 절연몸체(141)의 양측면 일부를 감싸는 쉘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몸체(141)는 내부 상단에 복수의 상부접촉단자(110)의 일부가 매립되고, 내부 하단에 각각의 상부접촉단자(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하부접촉단자(120)의 일부가 매립된다.
서브 몰드부(130)는 상부접촉단자(1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절연부재로서 몰드부(140)의 후단 즉,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상부접촉단자(110)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서브 몰드부(130)와 결합된다.
상부접촉단자(110)들은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몰드부(140)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접촉단자(110)들 중 하나의 상부접촉단자(1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접촉단자(110)는 'ㄱ' 형태로 서브 몰드부(130)에 관입되어 결합된 제1 후단지지부(111)와, 상기 제1 후단지지부(111)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고 일정 각도로 하향으로 기울어진 제1 선단지지부(112)와, 상기 제1 후단지지부(111)의 타단에 연장된 제1 단자부(113)와, 상기 제1 선단지지부(112)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대상물의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후단 지지부(111)는 'ㄱ' 형태로 서브 몰드부(130)에 관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 후단 지지부(111)의 일측이 제1 선단지지부(112)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단자부(11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단지지부(112)는 제1 접촉부(114)와 제1 후단지지부(11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선단지지부(112)는 제1 후단지지부(111)에서 제1 접촉부(114)로 향할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113)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단자부(113)는 표면실장기술(SMT)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이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113)는 상기 제1 후단지지부(111)의 타단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114)는 대상물의 접속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접촉부(114)는 상기 제1 선단지지부(112)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접촉단자(120)들은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부접촉단자(11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도록 상기 몰드부(140)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접촉단자(120)들 중 하나의 하부접촉단자(12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접촉단자(120)는 몰드부(14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후단지지부(121)와, 상기 제2 후단지지부(121)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고 일정 각도로 상향으로 기울어진 제2 선단지지부(122)와, 상기 제2 후단지지부(121)의 타단에 연장된 제2 단자부(123)와, 상기 제2 선단지지부(122)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대상물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후단지지부(121)는 몰드부(140)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되면서 몰드부(140)의 절연부재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후단지지부(112)의 일측이 제2 선단지지부(122)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단자부(12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단지지부(122)는 제2 접촉부(124)와 제2 후단지지부(12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선단지지부(122)는 제2 후단지지부(121)에서 제2 접촉부(124)로 향할수록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부(123)는 상기 제2 후단지지부(121)의 타단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124)는 대상물의 접촉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접촉부(124)는 상기 제2 선단지지부(122)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甕?, 상기 대상물의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몰드부(140)는 상부접촉단자(110)와 하부접촉단자(120)의 사이의 공간인 내부 삽입구(142)에 대상물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대상물의 접속단자가 상부접촉단자(110)의 제1 접촉부(114)와 하부접촉단자(120)의 제2 접촉부(124)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절연몸체(141)의 앞단에는 각각의 상부접촉단자(110)의 제1 접촉부(1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삽입구(143)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각의 하부접촉단자(120)의 제2 접촉부(124)를 외부로 노출하도록 하부삽입구(144)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후단지지부(111)와 상기 복수의 제1 선단지지부(112)는 몰드부(140)의 내부 상단에 매립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촉부(114)는 상기 몰드부(140)의 앞단에 형성된 각각의 상부삽입구(143)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복수의 제2 후단지지부(121)와 상기 복수의 제2 선단지지부(122)는 몰드부(140)의 내부 하단에 매립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접촉부(124)는 상기 몰드부(140)의 앞단에 형성된 각각의 하부삽입구(144)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몸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측쉘부와 우측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절연몸체(141)의 후단에는 서브 몰드부(130)가 결합되는 몰드홈(145)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홈(145)에 상기 서브 몰드부(130)가 체결되어 장착된다.
상기 절연몸체(141)의 양측면 일부에는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가 각각 결합되는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는 절연몸체(141)의 상부면 양쪽의 가장자리에서 앞쪽 부분에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상부단차면(151, 161)을 포함하고, 상부단차면(151, 161)의 단부 일부 즉,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결합부(154, 164)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절연몸체(141)의 상부면과 상부단차면(151, 161) 사이의 공간인 제1 함몰부(157, 167)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는 절연몸체(141)의 하부면 양쪽의 가장자리에서 앞쪽 부분에 하부면보다 높이가 높아지는 하부단차면(152. 162)을 포함하고, 하부단차면(152. 162)의 단부 일부 즉,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3 결합부(156, 166)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절연몸체(141)의 하부면과 하부단차면(152. 162) 사이의 공간인 제2 함몰부(158, 168)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는 상부단차면(151, 161)과 하부단차면(152. 162)을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부(153, 163)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153, 163)의 일측 끝단(153a, 163a)에서 대상물이 삽입되는 위치에 일정 깊이로 굴곡져서 형성된 제2 결합부(155, 165)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153, 163)는 절연몸체(141)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단차진 면이다.
측면부(153, 163)의 일측 끝단(153a, 163a)은 제1 결합부(154, 164)와 제2 결합부(155, 165)보다 대상물이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몸체(141)의 양측면 일부는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홈(159, 169)이 파져 형성된다. 슬라이드홈(159, 169)은 상기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의 측면부(153, 163) 일측 부분에서 상기 절연몸체(141)의 타측 끝단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부분은 상기 좌측쉘부(180) 및 우측쉘부(190)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타측 부분은 그에 반대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각각의 슬라이드홈(159, 169)의 일측 끝단에는 함몰부 걸림턱(159a, 169a)이 형성된다.
쉘부(170)는 상기 절연몸체(141)의 양측면 중에서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절연몸체(141)의 일측 끝단 부분에 결합되며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쉘부(170)는 몰드부(140)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SUS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쉘부(170)는 몰드부(14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 및 접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쉘부(17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으며, 몰드부(14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쉘부(180) 및 우측쉘부(19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는 절연몸체(141)의 상부단차면(151, 161)에 안착되는 상부면쉘(181, 191)과, 절연몸체(141)의 하부단차면(152. 162)에 안착되는 하부면쉘(182, 192)과, 측면부(153, 163)에 안착되는 측면부쉘(182, 19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의 높이 d(도 11 참조)는 상부단차면(151, 161)과 하부단차면(152, 162)의 높이 d(도 9 참조)와 같을 수 있다.
절연몸체(141)은 상부면 양쪽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단차면(151, 161)까지의 높이를 상기 상부면쉘(181, 19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절연몸체(141)은 하부면 양쪽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단차면(152. 162)까지의 높이를 하부면쉘(182, 192)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는 상기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에 결합하는 경우, 상부면쉘(181, 191)과 하부면쉘(182, 192)이 절연몸체(14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일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는 상부면쉘(181, 191)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된 제1 가이드암(184, 194)과, 측면부쉘(182, 193)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된 제2 가이드암(185, 195)과, 하부면쉘(182, 192)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된 제3 가이드암(186, 196)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암(184, 194)과 제2 가이드암(185, 195) 및 제3 가이드암(186, 196)은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를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에 체결하여 후크 형태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좌측몰드부(150)와 우측몰드부(160) 및 상기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 간의 결속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가이드암(184, 194)은 제1 결합부(154, 164)를 감싸 안으며 제1 결합부(154, 164)에 결합되어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제1 가이드암(184, 194)의 굴곡진 곡면부가 상기 제1 결합부(154, 164)에 맞닿으면서 쉘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암(185, 195)은 제2 결합부(155, 165)를 감싸 안으며 제2 결합부(155,165)에 결합되어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제2 가이드암(185, 195)의 굴곡진 곡면부가 상기 제2 결합부(155, 165)에 맞닿으면서 쉘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이드암은(186, 196)은 제3 결합부(156, 166)를 감싸 안으며 제3 결합부(156, 166)에 결합되어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제3 가이드암(186, 196)의 굴곡진 곡면부가 상기 제3 결합부(156, 166)에 맞닿으면서 쉘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암(184, 194)과 제2 가이드암(185, 195) 및 제3 가이드암(186, 196)은 몰드부(140)에 대상물의 삽입시 최초 접속 시 올바른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기 대상물을 몰드부(140)의 내부 삽입구(142)에 삽입 할 시 대상물이 내부삽입구(142)에 제대로 안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암(184, 194)과 제2 가이드암(185, 195) 및 제3 가이드암(186, 196)은 대상물의 삽입시 대상물과의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손상될 수 있는 몰드부(14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부면쉘(181, 191) 및 하부면쉘(182, 192)에는 중앙 부분에 상부홀(187, 197)과 하부홀(188, 19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홀(187, 197)과 하부홀(188, 198)은 PCB와 커넥터(100)의 솔더링시 납이 안착되어 Well(우물) 역할을 통해 납 체결력을 향상시킨다.
이 때, 상기 상부홀(187, 197)과 하부홀(188, 198)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홀(187, 197)과 하부홀(188, 198)에 납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쉘(182, 193)에는 일측에서 돌출되어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진 걸림부(189, 199)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가 몰드부(140)에 결합될 시 제1 가이드암(184, 194), 제2 가이드암(185, 195), 및 제3 가이드암(186, 196)이 각각 제1 결합부(154, 164), 제2 결합부(155, 165), 및 제3 결합부(156, 166)에 안착됨과 동시에 걸림부(189, 199)가 절연몸체(141)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59, 169)에 안착된다.
상기 좌측쉘부(180)와 우측쉘부(190)가 몰드부(140)에 결합이 완료되면 걸림부(189, 199)의 일측 끝단이 슬라이드홈(159, 169)의 함몰부 걸림턱(159a, 169a)에 걸리게 되어 쉘부(170)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커넥터 110: 상부접촉단자
111: 제1 후단지지부 112: 제1 선단지지부
113: 제1 단자부 114: 제1 접촉부
120: 하부접촉단자 121: 제2 후단지지부
122: 제2 선단지지부 123: 제2 단자부
124: 제2 접촉부 130: 서브 몰드부
140: 몰드부 141: 절연몸체
142: 내부삽입구 143: 상부삽입구
144: 하부삽입구 145: 몰드홈
150: 좌측몰드부 160: 우측몰드부
151, 161: 상부단차면 152, 162: 하부단차면
153, 163: 측면부 153a, 163a: 일측 끝단
154, 164: 제1 결합부 155, 165: 제2 결합부
156, 166: 제3 결합부 157, 167: 제1 함몰부
158, 168: 제2 함몰부 159, 169: 슬라이드홈
159a, 169a: 함몰부 걸림턱 170: 쉘부
180: 좌측쉘부 190: 우측쉘부
181, 191: 상부면쉘 182, 192: 하부면쉘
183, 193: 측면부쉘 184, 194: 제1 가이드암
185, 195: 제2 가이드암 186, 196: 제3 가이드암
187, 197: 상부홀 188, 198: 하부홀
189, 199: 걸림부
111: 제1 후단지지부 112: 제1 선단지지부
113: 제1 단자부 114: 제1 접촉부
120: 하부접촉단자 121: 제2 후단지지부
122: 제2 선단지지부 123: 제2 단자부
124: 제2 접촉부 130: 서브 몰드부
140: 몰드부 141: 절연몸체
142: 내부삽입구 143: 상부삽입구
144: 하부삽입구 145: 몰드홈
150: 좌측몰드부 160: 우측몰드부
151, 161: 상부단차면 152, 162: 하부단차면
153, 163: 측면부 153a, 163a: 일측 끝단
154, 164: 제1 결합부 155, 165: 제2 결합부
156, 166: 제3 결합부 157, 167: 제1 함몰부
158, 168: 제2 함몰부 159, 169: 슬라이드홈
159a, 169a: 함몰부 걸림턱 170: 쉘부
180: 좌측쉘부 190: 우측쉘부
181, 191: 상부면쉘 182, 192: 하부면쉘
183, 193: 측면부쉘 184, 194: 제1 가이드암
185, 195: 제2 가이드암 186, 196: 제3 가이드암
187, 197: 상부홀 188, 198: 하부홀
189, 199: 걸림부
Claims (10)
- 부품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의 일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상부접촉단자;
상기 부품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타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하부접촉단자; 및
상기 상부접촉단자들 및 상기 하부접촉단자들이 결합된 몰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내부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부의 양측면 일부를 각각 감싸는 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촉단자는 플라스틱 수지를 몰딩하여 형성된 서브 몰드부에 'ㄱ' 형태로 관입되어 결합된 제1 후단지지부와, 상기 제1 후단지지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고 일정 각도로 하향으로 기울어진 제1 선단지지부와, 상기 제1 후단지지부의 타단에 연장된 제1 단자부와, 상기 제1 선단지지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접촉단자는 상기 몰드부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후단지지부와, 상기 제2 후단지지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고 일정 각도로 상향으로 기울어진 제2 선단지지부와, 상기 제2 후단지지부의 타단에 연장된 제2 단자부와, 상기 제2 선단지지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대상물의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의 내부 삽입구를 형성하고, 내부 상단에 상기 복수의 상부접촉단자의 일부가 매립되고, 내부 하단에 상기 각각의 상부접촉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하부접촉단자의 일부가 매립되며,
상기 몰드부의 앞단에는 상기 각각의 상부접촉단자의 제1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부삽입구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각각의 하부접촉단자의 제2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부삽입구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부는 상기 몰드부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몰드부의 일측 끝단 부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몰드부의 상부면 양쪽의 가장자리에서 앞쪽 부분에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상부단차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단차면의 단부 일부인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결합부로 각각 형성하며,
상기 몰드부의 하부면 양쪽의 가장자리에서 앞쪽 부분에 하부면보다 높이가 높아지는 하부단차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단차면의 단부 일부인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3 결합부로 각각 형성하며,
상기 상부단차면과 상기 하부단차면을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의 일측 끝단에서 대상물이 삽입되는 위치에 일정 깊이로 굴곡져서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외주면을 따라 일측 부분에서 상기 측면부의 타측 끝단까지 연장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의 일측 끝단에는 함몰부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쉘부는 상기 몰드부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몰드부의 일측 끝단 부분에 결합하는 단면이 'ㄷ' 형상의 좌측쉘부와 우측쉘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쉘부와 상기 우측쉘부는 상기 몰드부의 상부단차면에 안착되는 상부면쉘과, 상기 몰드부의 하부단차면에 안착되는 하부면쉘과, 상기 측면부에 안착되는 측면부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쉘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1 가이드암과, 상기 측면부쉘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가이드암과, 상기 하부면쉘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 가이드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부는 단면이 'ㄷ' 형상의 좌측쉘부와 우측쉘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쉘부와 상기 우측쉘부는 수평 방향의 상부면쉘과, 상기 상부면쉘과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수평 방향의 하부면쉘과, 상기 상부면쉘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면쉘과 연결되는 측면부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면쉘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된 제1 가이드암과, 상기 측면부쉘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된 제2 가이드암과, 상기 하부면쉘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크 형태로 형성된 제3 가이드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쉘과 상기 하부면쉘은 솔더링시 납 체결력을 향상하도록 상부홀과 하부홀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쉘은 일측에서 돌출되어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진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4149A KR20170109926A (ko) | 2016-03-22 | 2016-03-22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4149A KR20170109926A (ko) | 2016-03-22 | 2016-03-22 |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9926A true KR20170109926A (ko) | 2017-10-10 |
Family
ID=6019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4149A KR20170109926A (ko) | 2016-03-22 | 2016-03-22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0992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6677A (ko) | 2019-08-05 | 2021-02-17 | 주성근 | 다기능 주차장치 |
-
2016
- 2016-03-22 KR KR1020160034149A patent/KR20170109926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6677A (ko) | 2019-08-05 | 2021-02-17 | 주성근 | 다기능 주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800169B (zh) | 电连接器装置 | |
KR101874182B1 (ko)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 |
KR101816410B1 (ko)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
CN101331654B (zh) | 板安装连接器 | |
CN108258468B (zh) | 电连接器 | |
US20170302031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device assembled with the same therein | |
US7794253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 |
US7766674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profile | |
EP2228871A2 (en) | EMI shielded connector mounted on a PCB | |
JP3200315U (ja) | 電気コネクタ | |
US7179095B1 (en) | Matrix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 |
US11158967B2 (en) |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disengageable by an operation portion | |
US8439691B1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realizing a high signal transmission rate | |
TWI583073B (zh) | 電連接器組合 | |
US20150031220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magnetic element | |
US20200176909A1 (en) | Terminal,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 |
JP2011175834A (ja) | 電気コネクタとその成形方法 | |
KR20170042484A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US20130288497A1 (en) |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normal force in electrical connector | |
US72615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 |
JP5298044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7758355B2 (en) | Connector | |
US7575466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70109926A (ko) | 커넥터 | |
KR101651653B1 (ko) |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