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776A - 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 Google Patents

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776A
KR20170109776A KR1020160033769A KR20160033769A KR20170109776A KR 20170109776 A KR20170109776 A KR 20170109776A KR 1020160033769 A KR1020160033769 A KR 1020160033769A KR 20160033769 A KR20160033769 A KR 20160033769A KR 20170109776 A KR20170109776 A KR 20170109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in
bracket
support
profi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홍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씨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씨진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씨진명
Priority to KR102016003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776A/en
Publication of KR2017010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7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자동차 관련 부품 생산 현장에서 작업자의 수작업 형태로 진행되는 공정이 이루어질 때 작업자에게 작업 대상물을 전체 흐름에 맞게 공급 및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하는 박스형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돌출형 힘살판(1a)이 형성된 지지판(101)과, 상기 지지판(101)의 상단 편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브라켓(725)과, 상기 고정브라켓(725)의 양측에 구성된 지지브라켓(728)이 구성된 하부플레이트(1)와,상기 하부플레이트(1)의 지지판(101) 상단 편측에는 모터(710)에 의해 체인구동기어(7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속도가변제어유닛(7)와, 상기 속도가변제어유닛(7)의 양측에는,상기 한쪽이 개방된 레일홈(302)을 구성하되, 그 레일홈(302)의 외주면에는 제품경량화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다수개가 구성된 힘살부(3a)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형강(3)(3-1)과,상기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0)의 상측에는,지지고리(210)에 수평으로 축 고정된 힌지축봉(211)과,상기 힌지축봉(211)에 끼워져 회전되는 체인회전기어(212)로 이루어진 상부플레이트(2)와,상기 체인회전기어(212)와 상기 체인구동기어(720)는 체인(C)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역회전 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수단(T)과,상기 동력전달수단(T)에는,상기 체인(C)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의 레일홈(302)을 따라 승하강 하는 물품적제용 캐이어(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type lift apparatus capable of smoothly supplying and discharging workpieces to a worker in accordance with the entire flow when a process is performed in an operator's manual form at various automobile-related parts production sites.
A fixing bracket 725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01 and a supporting bracket 72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racket 725 are formed A speed variable control unit 7 capable of rotating the chain drive gear 720 by a motor 710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1 of the lower plate 1, The rail groove 30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7 so as to form the rail groove 302. The rail groove 302 has a profile formed by a plurality of power cut- A hinge shaft rod 211 horizontally fixed to the support ring 210 and a hinge shaft 211 fixed to the hinge shaft rod 211 And an upper plate 2 composed of a chain drive gear 212 and a chain drive gear 212,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 is coupled to the chain C so as to be forward and revers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ain C, And a cair 6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product along the rail groove 302 of the both side profile steel bars 3 and 3-1.

Description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본 발명은 다양한 자동차 관련 부품 생산 현장에서 작업자의 수작업 형태로 진행되는 공정이 이루어질 때 작업자에게 작업 대상물을 전체 흐름에 맞게 공급 및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하는 박스형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업테이블에 작업자가 작업 행동반경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소재 및 재료를 공급 배출시켜주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type lifting device that allows a worker to smoothly supply and discharge workpieces in accordance with the entire flow when a process is performed in an operator's manual form at various automobile- To a box-type lift apparatus for an automobile part assembly line which supplies and discharges materials and materials so that an operator can minimize a work action radius on a work table made by manual operation.

일반적으로 시중에 사용되는 리프트의 경우 압력 또는 동력을 인가받아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in the case of a lift used in the market,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as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by receiving pressure or power.

이러한 다양한 분야게 사용되는 실시예 중에서 등록특허 제10-1446550호의 경우에는 In the case of Patent No. 10-1446550, among the embodiments used in these various fields,

"부품박스를 적치할 수 있는 적재부(2); 상기 적재부(2)를 받쳐주는 지지부(1); 이동이 용이하게 상기 지지부(1) 하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바퀴(12); 상기 적재부(2)의 상, 하의 이동을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1)의 일단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좌우 2개의 레일(3); 상기 레일(3)의 안내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적재부(2)의 일단이 고정 결합된 베어링 앗세이(4); 상기 적재부(2)를 상,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적재부(2)가 고정된 상기 베어링 앗세이(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5a)를 경유하여 상기 지지부(1)에 고정되는 연결체인(5b); 상기 지지부(1)에 기립하여 설치되며, 오일의 공급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상하로 출몰하며, 그 피스톤 로드 상부에 상기 롤러(5a)가 설치된 실린더 유닛트 앗세이(5); 상기 실린더 유닛트 앗세이(5)에 압력변화를 주기 위한 기체 및 오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실린더 유닛트 앗세이(5)와 오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기체 및 오일탱크(6); 상기 실린더 유닛트 앗세이(5) 내부의 압력변화로 상기 적재부(2) 중량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유닛트 앗세이(5)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압력조절 실린더(7); 상기 압력조절 실린더(7)와 상기 실린더 유닛트 앗세이(5)와 상기 기체 및 오일탱크(6) 사이에, 상기 기체 및 오일탱크(6) 내부의 오일이 서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 배관(10); 외부에서 상기 기체 및 오일탱크(6) 내에 오일 및 기체를 주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체 및 오일주입 체크밸브(6b); 및 상기 압력조절 실린더(7)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조절 실린더(7)의 상부에 마련되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하게 되면, 상기 압력조절 실린더(7) 내부의 오일의 방출 또는 유입에 따른 용적 변화를 일으켜 내부의 오일 량 변화에 따라 상기 기체 및 오일탱크(6) 내부의 기체압력이 변환되게 함으로써 상기 적재부(2)의 최대 중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압력조절볼트(7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귀 중량조절 테이블 리프트."가 출원된 바가 있다. (1) for supporting the loading part (2), a plurality of wheels (12)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part (1) so as to be easily moved, a loading part Two left and right rails 3 standing on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 so as to smoothly move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rail 2 up and down along the guide of the rail 3, A bearing assembly 4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earing assembly 2 and a bearing assembly 4 fixed to the bearing assembly 2 to move the bearing assembly 2 up and dow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1 via a roller 5a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nd is installed to stand on the support portion 1, A cylinder unit assy (5) having the rollers (5a)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rod, A gas and oil tank 6 for storing gas and oil for changing the pressure in the shoe 5 and installed side by side on one side so as to exchange oil with the cylinder unit assy 5, A pressure regulating cylinder 7 install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cylinder unit assy 5 for changing the weight of the loading unit 2 by a change in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5, A pipe 10 connected between the cylinder unit assy 5 and the gas and oil tank 6 so that the oil inside the gas and oil tank 6 can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n oil injection check valve 6b installed to inject oil and gas into the pressure regulating cylinder 7 and a pressure regulating cylinder 7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regulating cylinder 7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regulating cylinder 7, opposite direction The gas pressure in the gas and oil tank 6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amount of oil in the interior of the pressure control cylinder 7 due to the change in the volume due to the release or inflow of the oil in the pressure control cylinder 7 And a pressure adjusting bolt (7a) configured to adjust the maximum weight of the loading unit (2). "

그러나 종래 리프트는 유압 승 하강 방식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종래 리프트가 외형적으로 크고 비효율적인 작동구조를 내재하고 있으며, However, the conventional lift uses a method using a hydraulic up-and-down method, so that the conventional lift has an outwardly large and inefficient operation structure,

게다가 이러한 비효율적인 작동구조를 가진 리프팅의 경우 부피가 큰 물건들을 리프핑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수작업에 의해 소형 작업라인에 적용하기에는 설치장소와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In addition, lifting with such an ineffective operating structure is often used when lifting bulky object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apply to small-sized work lines due to manual operation due to installation site and structural problems. However,

또한, 유압방식 리프트의 경우 피스톤의 승하강 작동시간이 상대적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작동반응 시간이 길어 작업에 신속하게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Further, in the case of the hydraulic type lif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pe with the operation because the operation reaction time is longer than that of the piston in which the up / down operation time is relatively different.

더욱이 정밀한 미세조절이 어려워 정확한 세팅을 요구하는 장소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어 이이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fine details, it is exposed to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use in a place requiring precise setting.

등록특허공보 제10-1446550호(등록일자 2014.09.25)Patent Registration No. 10-1446550 (Registration date 2014.09.25)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0685호(공개일자 2001년10월19일)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90685 (published on October 19, 2001) 등록특허공보 제10-1006695호(등록일자 2010.12.31)Patent Registration No. 10-1006695 (registered on December 31,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관련 부품 생산 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 흐름에 맞게 적층과 배출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이 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작업 흐름의 용이함과 동시에 좁은 공간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력절단수단을 이용한 박스형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utomobile- There is provided a box-type lift apparatus using power cutting means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installed and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돌출형 힘살판(1a)이 형성된 지지판(101)과, 상기 지지판(101)의 상단 편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브라켓(725)과, 상기 고정브라켓(725)의 양측에 구성된 지지브라켓(728)이 구성된 하부플레이트(1)와,상기 하부플레이트(1)의 지지판(101) 상단 편측에는 모터(710)에 의해 체인구동기어(7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속도가변제어유닛(7)와, 상기 속도가변제어유닛(7)의 양측에는,상기 한쪽이 개방된 레일홈(302)을 구성하되, 그 레일홈(302)의 외주면에는 제품경량화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다수개가 구성된 힘살부(3a)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형강(3)(3-1)과,상기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0)의 상측에는 양측에 연결홈(225)을 구성하되, 그 편측에는 고정판(229)을 구성한 수평판(228)과, 상기 수평판(228)의 하면 중앙에는 "

Figure pat00001
"형 지지고리(210)에 축설된 힌지축봉(211)과, 상기 힌지축봉(211)에는 끼워져 회전되는 체인회전기어(212)로 이루어진 상부플레이트(2)와,와,상기 체인회전기어(212)와 상기 체인구동기어(720)는 체인(C)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역회전 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수단(T)과,상기 동력전달수단(T)에는,상기 체인(C)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의 레일홈(302)을 따라 승하강 하는 물품적제용 캐이어(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bracket 725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01 and the fixing bracket 725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01. The fixing bracket 725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01, And a speed at which the chain drive gear 720 can be rotated by the motor 71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support plate 101 of the lower plate 1, The rail groove 30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control unit 7 and the speed variable control unit 7. The rail groove 30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groove 302 so as to reduce the weight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And a connecting groove 22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 side profiled steel 3 and the upper side of the both side profiled steel 3 and 3-10, A horizontal plate 228 constituting a fixing plate 229 and a lower plate 228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horizontal plate 228,
Figure pat00001
An upper plate 2 constituted by a hinge shaft rod 211 axially installed in a cylindrical support ring 210 and a chain rotary gear 212 inserted and rotated in the hinge shaft rod 211; And the chain drive gear 7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C so as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 is fastened to the chain C, And a cair 6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product along the rail grooves 302 of the both side profile steel bars 3 and 3-1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본 발명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는 체인형태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정밀한 제어를 통해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The box-type lif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part assembly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through quick and precise control using a chain-type power transmission means,

또한, 속도가변제어유닛를 이용하여 특정위치에 고정시켜 움직임이 없을시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아도 고정되도록 작동되는 구조로 인해 작동시에 전력을 소비하여 이에 따른 작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speed control unit is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and is operated so as to be fixed even when power is not needed when there is no motion, power is consumed during operation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게다가, 별도로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위치를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 요구조건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In addition, a separate location sensor can be installed to se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irement, which can be used according to various user requirements,

그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캐리어를 안전하게 레일홈을 따라 승 하강하도록 작동됨으로 작업회전이 빠른 작업환경에도 쉽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고, In addition, since the carrier is structurally operated to safely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il groove, it can be easily applied even in a work environment with a high rotation speed,

제품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라 좁은 경우에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 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The product structure has been dramatically improved, so that it can be used in a narrow range depending on various work environ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작동 실시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조립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따른 분해 조립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캐리어 부분 파절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캐리어 또 다른 부분 파절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속도가변제어유닛 및 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작동실시 상태를 분해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캐리어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캐리어의 회전롤러의 레일홈을 따라 승하강 하는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측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형강의 부분 확대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가이드판의 부분확대 상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2 is a side view example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assembl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of a carrier partial fra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artial fracture of th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eed variable control unit and the low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view showing still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il groove of the rotating roller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profile section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etailed enlarged view of a portion enlargement of the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돌출형 힘살판(1a)이 형성된 지지판(101)과, A support plate 101 on which a projecting force plate 1a is formed,

상기 지지판(101)의 상단 편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브라켓(725)과, A fixing bracket 725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1,

상기 고정브라켓(725)의 양측에 구성된 지지브라켓(728)이 구성된 하부플레이트(1)와, A lower plate 1 having support brackets 72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racket 725,

상기 하부플레이트(1)의 지지판(101) 상단 편측에는 모터(710)에 의해 체인구동기어(7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속도가변제어유닛(7)와, A variable speed control unit 7 that can rotate the chain drive gear 720 by a motor 710,

상기 속도가변제어유닛(7)의 양측에는, On both sides of the speed variable control unit 7,

상기 한쪽이 개방된 "

Figure pat00002
" 형태로 구성된 레일홈(302)을 구성하되, 그 레일홈(302)의 외주면에는 제품경량화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다수개가 구성된 힘살부(3a)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형강(3)(3-1)과,When the one of the above-
Figure pat00002
(3) and (3-1) formed of a plurality of power cut-off portions (3a) for improving the product weight and durability,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ail- ,

상기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0)의 상측에는,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side profiled steel (3) (3-10)

양측에 연결홈(225)을 구성하되, 그 편측에는 고정판(229)을 구성한 수평판(228)과,  A horizontal plate 228 constituting a fixing plate 229,

상기 수평판(228)의 하면 중앙에는 "

Figure pat00003
"형 지지고리(210)에 축설된 힌지축봉(211)과,At the lower center of the horizontal plate 228,
Figure pat00003
A hinge shaft rod 211 shrouded in a die support ring 210,

상기 힌지축봉(211)에는 끼워져 회전되는 체인회전기어(212)로 이루어진 상부플레이트(2)와, An upper plate 2 composed of a chain rotating gear 212 which is inserted and rotated in the hinge shaft rod 211,

상기 체인회전기어(212)와 상기 체인구동기어(720)는 체인(C)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역회전 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수단(T)과, The chain rotating gear 212 and the chain driving gear 7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C so as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상기 동력전달수단(T)에는,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

상기 체인(C)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의 레일홈(302)을 따라 승하강 하는 물품적제용 캐이어(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rticle dispenser cayer 6 which is fastened to the chain C and ascends and descends along a rail groove 302 of both side profiled steel bars 3-1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

일반적으로 자동화 라인 적용이 힘든 작업자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범위를 최소화 시킬 수 있음은 비중이 있는 물건들을 작업자가 인의적으로 옮기지 않고 쉽게 적층 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건적재판(후크, 지지판 등)을 탈부착 형태로 캐리어(6)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캐리어(6)에 의해 적층되어 쌓여 있는 상태의 소재들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 힘살판(1a)을 구비한 지지판(101)을 구성하여 무거운 소재가 적층되더라고 지탱할 수 있도록 작동 되고, In gener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ork range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where the work is performed by the worker who is hard to apply the automatic line. In order to allow the worker to easily stack and move the heavy objects without relocating them, (6) so 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materials stacked and stacked by the carrier (6)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hook, support plate, etc.) The support plate 101 having the support portion 1a is constructed so that the heavy material is supported so as to be laminated,

상기 지지판(101)에는 고정브라켓(725)과 상부플레이트(2)의 고정판(229)에 The fixing bracket 725 and the fixing plate 229 of the upper plate 2 are fixed to the supporting plate 101

가이드판(4)의 상,하로 체결시켜 탈부착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되고,Is fastened on the guide plate (4) so as to be fixed in a detachable form,

상기 고정브라켓(725)의 양측 지지판(101)에는 프로파일 형강(3)(3-1)이 상기 지지판(101)의 하부에서 볼트를 결합시켜 체결되도록 설치되며, Profile steel bars 3 and 3-1 are installed on both side support plates 101 of the fixing bracket 725 so as to be engaged with bolts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1,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이 상기 지지판(101)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는 지지브라켓(728)을 추가로 더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판(101)과 프로파일 형강(3)(3-1)에 무게가 집중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볼트 너트 같은 체결방식과 더불어 이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주도록 작동되고, The supporting bracket 728 is further fixed to the outside of the profile shaped steel 3-1 while the profiled steel 3-1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plate 101, (3-1), it is operated so as to disperse the force applied to the profiled steel (3) (3-1) so as to be able to reinforce it together with a fastening method such as a basic bolt nut,

상기 양측 지지브라켓(728)의 사이에는 케리어(6)가 동력전달수단(T)에 의해 승, 하강 되도록 작동될 때 프로파일 형강(3)(3-1)의 레일홈(302)에 회전롤러(620)가 마찰되어 회전되면서 승,하강되도록 작동되며, A pair of support brackets 728 are disposed between the carrier grooves 621 and the support brackets 728 so that when the carrier 6 is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by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 620 are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rubbed and rotated,

이때 상기 회전롤러(620)에 구성된 이탈방지레일(621)에 의해 승,하강시 흔들림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레일홈(302)을 따라 이동되도록 작동되고, At this time, it is operated to move along the rail groove (302) while preventing the rail (620) from being shaken or detached by raising and lowering by the escape prevention rail (621)

상기 지지판(101)의 상단 편 측에는 모터(710)의 정역회전에 따라 구동되는 체인구동기어(720)가 구성된 속도가변제어유닛(7)을 설치하여 외부 또는 내부 제어부(550)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방법에 따라 승,하강 타입을 선정할 수 있도록 작동되며, A variable speed control unit 7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1 and configured by a chain drive gear 720 driven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710, Depending on the method, it is operated so that it can select the win or fall type,

상기 속도가변제어유닛(7)의 작동에 따라 모터(710)가 구동되어 구동체인기어(720)의 정, 역회전에 따라 동력전달수단(T)의 체인(C)에 의해 상부플레이트(2)의 체인회전기어(212)가 동시에 정,역회전 되도록 작동되고, The motor 710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peed variable control unit 7 to drive the upper plate 2 by the chain C of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T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gear 720, And the chain rotating gear 212 of the chain rotating gear 212 are operated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t the same time,

이때, 상측플레이트(2)와 하측플레이트(1) 사이에는, At this time, between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1,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610)의 내측에 일체로 용접형태로 고정된 "

Figure pat00004
" 형 고정브라켓(640)의 연결홈(643)에는 체인(C)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고,As shown in FIGS. 5 to 8, the support bracket 610 is integrally weld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bracket 610,
Figure pat00004
The chain C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groove 643 of the bracket 640,

상기 고정브라켓(640)의 편측에는 텐션조절블럭(641)을 구성시켜 상기 캐리어(6) 승하강시 상측플레이트(2)와 하측플레이트(1)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길이만큼의 체인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텐션조절블럭(641)에 의해 체인(C)을 일정한 텐션으로 밀어주도록 작동되며, A tension adjusting block 64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640 so that a chai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lengths is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1 when the carrier 6 ascends and descends , The chain (C) is actuated to push the chain (C) to a predetermined tension by the tension control block (641)

상기 텐션조절블럭(641)의 케리어(6) 승,하강시 발생되는 체인(C)의 흔들림과 진동 잡아주도록 하고, The tension of the chain (C) generated when the carrier (6) is raised or lowered by the tension adjusting block (641)

상기 캐리어(6)는 체인(C)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의 레일홈(302)을 따라 회전롤러(620)에 의해 적층 물품 및 소재 무게를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작동되며, The carrier 6 is moved along the rail groove 302 of the profiled steel 3-1 so as to sufficiently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tacked article and the material by the rotating roller 6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C Operating,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의 편측에는 작언환경과 사용 방식에 따라 상측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작동방향을 임의 세팅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로파일 형강(3)(3-1)의 외측 또는 내측에 상기 자동높이조절센서(900)를 설치하여 작동방향에 따라 설치된 자동높이조절센서(900)에 따라 캐기어(6)를 감지하여 작동이 멈추도록 작동되고, On the one side of the profiled steel 3-1, the operating direction may be arbitrarily set in the upward direction or the downward direction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use and the manner of use, and the outside of the profiled steel 3-1 Or the automatic height-adjusting sensor 9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the automatic height-adjusting sensor 900 install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direction senses the cow gear 6 and is actuated to stop the operation,

통상 상측플레이트(2)와 하측플레이트(1)사이에는 승,하강 최대값과 최저값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근접센서(미도시)들이 상,하로 부착되어 캐리어(6) 승하강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값을 임의 세팅할 수 있도록 작동되며, Normally, proximity sensors (not shown) for arbitrarily sett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rise and fall are attached upward and downward between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1, It works to set any value,

게다가 상기 동력전달수단(T)은 상·하 상측플레이트(2)와 하측플레이트(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T)의 상·하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바형태의 지지력 보강용 지지레일바(8)을 추가로 더 설치하여 이를 보완하여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upper plates 2 and the lower plate 1 and is provided with a vertical bar type supporting force for reinforc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force of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T The support rail bar 8 is further provided to be supplemented and operated so as to be firmly maintained,

또한, 작업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가벼운 물건을 옮기는 경우에는 동력전달수단(T)의 여러 타이밍벨트(미 도시)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제조원가 절감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고, Further, in case of moving a light article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 or conditions, various timing belts (not show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 are selectively applied to improve the product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structural features Can,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의 전측과 후측에는 캐리어(6) 승, 하강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파일 형강(3-1)의 외측에는 경첩(501)을 상·하로 편 측에 구성시킨 상태에서 승 하강 활동공간(510)을 구비한 보호커버(5)를 설치하여 작업자 보호 및 제품 보호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그 반대 측에는 가이드판(4)를 설치하여 캐리어(6) 승하강시 발생되는 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A hinge 501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filed steel 3-1 so a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carrier 6 is lifted or lower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rofile steel 3-1, And a lifting and lowering action space 5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space 51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lower side, So that the inside of the carrier 6 can be protected.

C: 체인 T: 동력전달수단
1: 하부플레이트 1a: 힘살판
2: 상부플레이트 3,3-1: 프로파일 형강
6: 캐이어 101: 지지판
210: 지지고리 211: 힌지축봉
212: 체인회전기어 302: 레일홈
302: 레일홈 303: 안내홈
720: 체인구동기어 725: 고정브라켓
728: 지지브라켓
C: Chain T: Power transmission means
1: Lower plate 1a: Force rescue
2: upper plate 3, 3-1: profiled steel
6: Caiar 101: Support plate
210: support collar 211: hinge shaft
212: chain rotating gear 302: rail groove
302: rail groove 303: guide groove
720: chain drive gear 725: stationary bracket
728: support bracket

Claims (7)

돌출형 힘살판(1a)이 형성된 지지판(101)과,
상기 지지판(101)의 상단 편측에 고정설치된 고정브라켓(725)과,
상기 고정브라켓(725)의 양측에 구성된 지지브라켓(728)이 구성된 하부플레이트(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의 지지판(101) 상단 편측에는 모터(710)에 의해 체인구동기어(7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속도가변제어유닛(7)와,

상기 속도가변제어유닛(7)의 양측에는,
상기 한쪽이 개방된 "
Figure pat00005
" 형태로 구성된 레일홈(302)을 구성하되, 그 레일홈(302)의 외주면에는 제품경량화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다수개가 구성된 힘살부(3a)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형강(3)(3-1)과,

상기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0)의 상측에는,
양측에 연결홈(225)을 구성하되, 그 편측에는 고정판(229)을 구성한 수평판(228)과,
상기 수평판(228)의 하면 중앙에는 "
Figure pat00006
"형 지지고리(210)에 축설된 힌지축봉(211)과,
상기 힌지축봉(211)에는 끼워져 회전되는 체인회전기어(212)로 이루어진 상부플레이트(2)와,

상기 체인회전기어(212)와 상기 체인구동기어(720)는 체인(C)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역회전 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수단(T)과,

상기 동력전달수단(T)에는,
상기 체인(C)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양측 프로파일 형강(3)(3-1)의 레일홈(302)을 따라 승하강 하는 물품적제용 캐이어(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A support plate 101 on which a projecting force plate 1a is formed,
A fixing bracket 725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1,
A lower plate 1 having support brackets 72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racket 725,

A variable speed control unit 7 that can rotate the chain drive gear 720 by a motor 710,

On both sides of the speed variable control unit 7,
When the one of the above-
Figure pat00005
(3) and (3-1) formed of a plurality of power cut-off portions (3a) for improving the product weight and durability,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ail- ,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side profiled steel (3) (3-10)
A horizontal plate 228 constituting a fixing plate 229,
At the lower center of the horizontal plate 228,
Figure pat00006
A hinge shaft rod 211 shrouded in a die support ring 210,
An upper plate 2 composed of a chain rotating gear 212 which is inserted and rotated in the hinge shaft rod 211,

The chain rotating gear 212 and the chain driving gear 7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C so as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
And a cair 6 for loading articles which is fastened to the chain C and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rail grooves 302 of the both side profiled steel bars 3 and 3-1 in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A box-type lift device for an automobile component assembly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6)는,
수평 길이방향으로 구성한 지지브라켓(610)과,
상기 지지브라켓(610)의 양측으로 90°로 접혀진 절곡부(601)로 구성된 수직브라켓(602)과,
상기 수직브라켓(602)의 외측으로 구성된 돌출턱(603)과,
상기 양측 돌출턱(603)에 일체로 구성된 다수개의 지지홈(605)를 구비한 고정판(604)과,

상기 고정판(604)의 외측에는 작업환경과 사용목적에 따라 탈부착 형태로 후크 또는 지지판을 탈부착 형태로 구성시킨 것과,

상기 수직브라켓(602)에는,
최소 하나 이상 상,하로 설치된 이탈방지레일(621)이 형성된 회전롤러(620)와,

상기 지지브라켓(610)의 내측에는,
탈부착 또는 용접형태로 고정설치되는 "
Figure pat00007
" 형 고정브라켓(640)과,
상기 고정브라켓(640)의 연결홈(643)에 체결된 체인(C)과,
상기 체인(C)의 반대측에는 고정브라켓(640)의 편측 고정설치되는 텐션조절블럭(641)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rrier (6)
A support bracket 610 configured in a horizontal length direction,
A vertical bracket 602 composed of bent portions 601 folded at 90 °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bracket 610,
A protrusion 603 formed outside the vertical bracket 602,
A fixing plate 604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605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ding jaws 603,

A hook or a support plat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plate 604 in a detachable form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urpose of use,

In the vertical bracket 602,
A rotation roller 620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departure prevention rails 621 provided thereon,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610,
Which is fixedly installed in a removable or welded form,
Figure pat00007
Shaped fixing bracket 640,
A chain C fastened to the connection groove 643 of the fixing bracket 640,
And a tension adjusting block (641)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64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hain (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T)은,
작업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타이밍벨트(미도시)에 의해 동력전달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T)
And a power transmission is generated by a timing belt (not shown) according to a working environment or a cond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은,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의 후측에는,
작업자 보호 및 제품 안전 사고등 을 방지하기 위해 탈부착형태로 프로파일 형강(3)(3-1)의 외부 편측면에 상,하로 설치된 경첩(501)을 통해 승하강 활동공간(510)을 구비한 보호커버(5)가 힌지회전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의 전측에는,
상기 상측플레이트(2)와 하측플레이트(1)의 고정브라켓(725)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판(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filed steel (3) (3-1)

On the rear side of the profiled steel (3) 3-1,
(5) with a lifting / lowering activity space (510) through a hinge (501) installed up and down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rofiled steel (3) (3-1) in a detachable form in order to prevent worker protection and product safety accident. The cover 5 is configured to be hi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profiled steel (3) 3-1,
And a guide plate (4) fixedly installed in a vertical length direction to the fixing bracket (725) of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의 하부플레이트(1) 사이에는 지지력 보강용 지지레일바(8)을 추가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ing rail bar (8)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s (1) of the upper plate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1)에는,
작업환경과 작업용도에 따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롤러(미도시)등을 설치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lower plate 1,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working purpose,
And a roller (not shown) or the like can be installed to move the box-type lift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형강(3)(3-1)의 편측에는,
상기 캐리어(6) 승하강 작동 방식에 따라 자동높이조절센서(9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profiled steel (3) 3-1,
Wherein the automatic height adjustment sensor (900)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carrier (6) up / down operation mode.
KR1020160033769A 2016-03-22 2016-03-22 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KR201701097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69A KR20170109776A (en) 2016-03-22 2016-03-22 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69A KR20170109776A (en) 2016-03-22 2016-03-22 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776A true KR20170109776A (en) 2017-10-10

Family

ID=6019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769A KR20170109776A (en) 2016-03-22 2016-03-22 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77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3956A (en) * 2020-12-03 2021-04-02 重庆文理学院 Reinforcing equipment for tunnel TBM construction and using method
CN114852719A (en) * 2022-05-16 2022-08-05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Lifting device for coil collecting tr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3956A (en) * 2020-12-03 2021-04-02 重庆文理学院 Reinforcing equipment for tunnel TBM construction and using method
CN114852719A (en) * 2022-05-16 2022-08-05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Lifting device for coil collecting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305B1 (en) A stone polishing device which adjusts a going up and coming down height of the polishing part which has the reduction device.
KR100956177B1 (en)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KR20170109776A (en) The Boxed lifts Automotive parts of assembly line
US20080277208A1 (en) Balanced actuator device and hois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incorporating such device
KR101346024B1 (en) Installing device for robot
CN212798549U (en) Automatic discharging device for base material plate
KR101055521B1 (en) A crane
US5143198A (en) Turnable cylinder for a conveyor system
KR101761260B1 (en) Up-down work table
KR20170035171A (en) Up-down work table
AU2014308564A1 (en) Portable conveyor belt lifter
KR101635367B1 (en) Carrier
US5947407A (en) In-line automated roll stand
KR100912499B1 (en) Roll chock turner
KR20180003229U (en) Work platform moving device for tunnel construction
CN212355517U (en) Food raw material lifting machine
JP2010215119A (en) Lifting device for work, and tank lorry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N106477263A (en) DC track flatcar
KR101224837B1 (en) Pin zigger for supporting curved blocks of ship
KR101933174B1 (en) Rotary freight load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transfer device
KR100622102B1 (en) An apparatus and its method of automatically assembling and separating a chock bearing for rolling roll
KR102602013B1 (en) Lifting structure's head apparatus
KR101828390B1 (en) Chain lift
CN220998162U (en) Auto parts conveyor
CN214651493U (en) Liftable high-efficient scraper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