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360A -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360A
KR20170109360A KR1020160033382A KR20160033382A KR20170109360A KR 20170109360 A KR20170109360 A KR 20170109360A KR 1020160033382 A KR1020160033382 A KR 1020160033382A KR 20160033382 A KR20160033382 A KR 20160033382A KR 20170109360 A KR20170109360 A KR 2017010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plate
driven gear
concret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361B1 (ko
Inventor
문정복
Original Assignee
(주)엘더스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더스티앤엘 filed Critical (주)엘더스티앤엘
Priority to KR102016003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3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40Means or arrangements for temporarily supporting laid tracks, or rails or sleepers in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6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bevel-wheel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worm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도상 위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A jack for constructing concrete ballast turnou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 설치된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시 교체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정상적인 열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레일을 임시로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운행시 도상(ballast)은 레일 및 침목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포시켜 노반에 전달하여 감소시키고, 온도 변화에 의한 레일 신축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침목 이동을 도상저항력으로 막아 방지하며,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도 1은 기존 터널 구간의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10)은 내부에 방진패드(14a)가 삽입된 방진상자(14)에 감싸져 콘크리트 도상(1) 속에 매립되는 목침목(12)과, 목침목(12) 상에 나사스파이크(18)를 통해 고정되게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6)와, 베이스플레이트(16)의 상부에 얹혀지는 레일(2)을 고정하는 코일스프링클립(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10)의 목침목(12)은 재료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서 부패되거나 갈라지기 때문에 기능 유지를 위해서 정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방진상자(14)와 방진패드(14a)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부식이 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특히 중량의 고속열차 운행으로 인해 압착되거나 마모 또는 파손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 한다.
이와 같이, 기존 노후된 목침목(12)과 방진상자(14)의 교체를 위해서는 기 설치된 목침목(12)과 방진상자(14)를 모두 철거하고, 다시 신품 목침목, 방진패드 및, 방진상자 등을 설치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목침목, 방진패드 및, 방진상자는 노후될 수밖에 없어 보수작업이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악순환이 계속되어 경제적인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은 기존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의 목침목이 부설되어 있던 공간에 콘크리트로 채운 후 방진직결장치로 교체하는 콘크리트직결 궤도구조이다.
그러나,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열차 운행을 중단시킨 후 교체작업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철도 이용객에게 불편함을 끼침과 아울러 교체작업이 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되는 심야시간대에 이루어짐으로써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5656호(2013.1.17)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시 교체작업을 위해 열차운행을 중단하지 않고 정상적인 열차운행을 유지하면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 개선되고, 철도 이용객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도상 위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시 교체작업을 위해 열차운행을 중단하지 않고 정상적인 열차운행을 유지하면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 개선되고, 철도 이용객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터널 구간의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II-II' 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는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100)은 베이스(110), 지지플레이트(120), 승하강부재(130), 스토퍼(140)로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콘크리트 도상 위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승하강부재(130)가 설치되는 공간부(110a)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는 후술하는 지지플레이트(120)가 수용될 수 있게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110)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손잡이(1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120)는 기 설치된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시 철거된 목침목 및 레일 체결구를 대신하여 레일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승하강부재(130)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베이스(110)에 설치된다.
여기서, 레일 체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16), 나사스파이크(18), 코일스프링클립(20)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는 탄성패드(122)가 마련되는데, 이 탄성패드(122)는 열차 통과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패드(122)는 우레탄, 합성고무 및, 탄성이 있는 소정의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승하강부재(130)는 베이스(110)에 대해 지지플레이트(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러한, 승하강부재(130)는 베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기어(132)와, 구동기어(132)와 치합되는 피동기어(134)와, 하부가 피동기어(134)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승하강축(13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피동기어(134)가 회전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축(136) 및 이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120)가 베이스(110)에 대해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승하강축(136)의 상부는 지지플레이트(12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승하강축(136)의 회전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20)가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구동기어(132)에는 일측이 구동기어(132)와 연결되고 타측이 베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구동기어(132)와 동일회전축을 갖는 공구결합부(13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구결합부(138)에 작업자가 스패너,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결합시켜 공구결합부(138)를 회전시켜 구동기어(132)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구동기어(132)와 피동기어(134)는 각각의 회전축 방향이 상호 90˚가 되도록 배치되는데, 이는 작은 힘으로도 레일(2)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지지플레이트(120)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동기어(132)와 피동기어(134)는 각각 웜과 웜휠로 구성되거나, 한 쌍의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동기어(134)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피동기어(134)의 하부면에는 회전지지부(134a)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회전지지부(134a)는 베이스(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홈(110b)에 삽입된다. 이때, 회전지지부(122a)와 안내홈(110b) 사이에는 베어링(B)이 설치된다.
스토퍼(140)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양측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140)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레일(2)이 안착되었을 때 레일(2)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레일(2)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토퍼(140)는 지지플레이트(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 설치된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의 목침목 및 레일 체결구를 철거한 후,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이 직결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가 완료될 때 까지 레일(2)을 지지하여 열차의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철거된 목침목 및 레일 체결구와 인접되는 곳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100)를 설치한다.
이때, 레일(2)은 잭(100)의 지지플레이트(120) 상부면에 안착되고, 레일(2)의 양측면은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1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승하강부재(130)의 구동기어(132)의 일측에 형성된 공구결합부(138)에 스패너,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결합시켜 공구결합부(138)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32)가 공구결합부(138)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132)가 회전을 하게 되면 구동기어(132)와 치합되어 있는 피동기어(134)가 구동기어(1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 역회전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피동기어(134)가 정, 역회전을 하게 되면 피동기어(134)의 회전방향에 따라 피동기어(134)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승하강축(136)이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되고, 승하강축(136)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승하강축(136)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120)도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즉, 스패너,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공구결합부(138)에 결합시켜 공구결합부(138)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레일(2)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플레이트(120)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에 의하면, 기 설치된 침목 매입식 콘크리트 도상을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시 교체작업을 위해 열차운행을 중단하지 않고 정상적인 열차운행을 유지하면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 개선되고, 철도 이용객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베이스
110a; 공간부
110b; 안내홈
112; 손잡이
120; 지지플레이트
122; 탄성패드
130; 승하강부재
132; 구동기어
134; 피동기어
132a; 회전지지부
136; 승하강축
138; 공구결합부
140; 스토퍼

Claims (9)

  1. 콘크리트 도상 위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우레탄, 합성고무 및, 탄성이 있는 소정의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
    하부가 상기 피동기어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된 승하강축;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가 회전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하강축 및 이에 고정된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는 각각 웜과 웜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는 한 쌍의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의 하부면에는 회전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9. 청구항 5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동일회전축을 갖는 공구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KR1020160033382A 2016-03-21 2016-03-21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KR10188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82A KR101884361B1 (ko) 2016-03-21 2016-03-21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82A KR101884361B1 (ko) 2016-03-21 2016-03-21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360A true KR20170109360A (ko) 2017-09-29
KR101884361B1 KR101884361B1 (ko) 2018-08-02

Family

ID=6003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382A KR101884361B1 (ko) 2016-03-21 2016-03-21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4248A (zh) * 2019-12-06 2020-03-27 中铁一局集团新运工程有限公司 一种散铺钉联扣件安装控制装置
KR20220062944A (ko) * 2020-11-09 2022-05-17 (주)엘더스티앤엘 철도 레일 시공용 가받침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7347A (en) * 1922-01-03 1926-08-24 Medina Mfg Company Lifting jack
KR20020091114A (ko) * 2001-02-08 2002-12-05 외르크 슈바르츠비히 레일 하부구조 상에서 레일을 조절하는 장치
KR20100029694A (ko) * 2009-07-10 2010-03-17 김태일 온실 기둥 승강 장치
US20100140573A1 (en) * 2008-12-08 2010-06-10 Gkss-Forschungszentrum Geesthacht Gmbh Lifting device
KR101067832B1 (ko) * 2010-12-29 2011-09-2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KR20120113900A (ko) * 2011-04-06 2012-10-16 권영주 베벨기어 구동식 승강 스테이지
KR101225656B1 (ko) 2012-07-04 2013-01-23 대구도시철도공사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갱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7347A (en) * 1922-01-03 1926-08-24 Medina Mfg Company Lifting jack
KR20020091114A (ko) * 2001-02-08 2002-12-05 외르크 슈바르츠비히 레일 하부구조 상에서 레일을 조절하는 장치
US20100140573A1 (en) * 2008-12-08 2010-06-10 Gkss-Forschungszentrum Geesthacht Gmbh Lifting device
KR20100029694A (ko) * 2009-07-10 2010-03-17 김태일 온실 기둥 승강 장치
KR101067832B1 (ko) * 2010-12-29 2011-09-2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KR20120113900A (ko) * 2011-04-06 2012-10-16 권영주 베벨기어 구동식 승강 스테이지
KR101225656B1 (ko) 2012-07-04 2013-01-23 대구도시철도공사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갱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4248A (zh) * 2019-12-06 2020-03-27 中铁一局集团新运工程有限公司 一种散铺钉联扣件安装控制装置
CN110924248B (zh) * 2019-12-06 2021-07-09 中铁一局集团新运工程有限公司 一种散铺钉联扣件安装控制装置
KR20220062944A (ko) * 2020-11-09 2022-05-17 (주)엘더스티앤엘 철도 레일 시공용 가받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361B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4244A (ko) 자갈이 깔린 궤도를 슬래브 궤도로 변환하는 방법
KR101884361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CN103510431A (zh) 过渡段用撮砂型无级自动沉降补偿装置
CN106702824A (zh) 锯齿互锁式沉降自动补偿钢枕
CN102817292A (zh) 一种无挡肩轨枕打磨装置
CN106436495A (zh) 宽枕板式粘结型有砟轨道
US3643864A (en) Railroad grade crossing
JP2001107301A (ja) 鉄道レールの防振装置
CN108532403B (zh) 一种道路平交道口旋转铺垫板装置及方法
KR100613412B1 (ko)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CN206448111U (zh) 锯齿互锁式沉降自动补偿钢枕
KR20070008034A (ko)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CN206289472U (zh) 跨座式螺纹自锁轨道自动补偿垫板
KR20040027777A (ko)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보수방법 및 침목 보수용보조기구
CN211395193U (zh) 轨枕
CN103437260B (zh) 钢筋混凝土道口铺面轮缘槽盖板结构
KR102483093B1 (ko) 철도 레일 시공용 가받침 장치
CN113957756A (zh) 一种铁路施工用碎石整平设备
CN107700321B (zh) 一种用于无轨智能摊铺机的摊铺振动辊装置
KR100383578B1 (ko) 철도 레일 방진장치
CN203160071U (zh) 用于无砟轨道轨枕铺设的侧压装置
CN202099704U (zh) 一种无挡肩轨枕打磨装置
KR200245911Y1 (ko) 철도 레일 방진장치
CN103174070B (zh) 一种用于无砟轨道轨枕铺设的侧压装置
CN215906566U (zh) 一种轨道桥支柱减震系统及其减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