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263A - 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263A
KR20170109263A KR1020160033130A KR20160033130A KR20170109263A KR 20170109263 A KR20170109263 A KR 20170109263A KR 1020160033130 A KR1020160033130 A KR 1020160033130A KR 20160033130 A KR20160033130 A KR 20160033130A KR 20170109263 A KR20170109263 A KR 2017010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ar
movable
loa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0383B1 (en
Inventor
김민근
백병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383B1/en
Publication of KR2017010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01G19/035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us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02Arrangements of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02Arrangements of bearings
    • G01G21/06Arrangements of bear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02Arrangements of bearings
    • G01G21/08Bearing mountings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02Arrangements of bearings
    • G01G21/12Devices for preventing deran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oad application device capable of planar movement. According to the load application device to add and measure loa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vice fixing unit vertically supported by a floor surface; and a load generation unit provided to the device fixing unit t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evice fixing unit and the direction in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Description

하중부가장치{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pplying a vertical force with a planar movement,

본 발명은 하중 부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면 방향 이동이 가능한 하중부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attac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ad attaching device capable of moving in a plane direction.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TV나 모니터 등과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 처리된 영상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PDP(Plasma Display Panel)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Generally,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TV or a monitor. The display device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ignal processed image information on the screen. Recent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etho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method are widely used.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 내부에는 전자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전장부품들이 마련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case serving as a frame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display module. Various electric parts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case.

한편,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국제 규격(IEC60065)을 취득해야 하는데, 규격 항목 중 수직 부가 하중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복되지 않아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such a display device is required to acquire the international standard (IEC 60065), and it includes a provision that the display device should not be overtur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oad of the specification item.

이러한, 수직 하중 시험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단 좌측 또는 우측 끝단에 수직 하중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복되는 시점의 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The vertical load tes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load at the time when the display device is rolled over by adding a vertical load to the upper left or right end of the display device.

이때, 수직 하중은 측정자가 손으로 수직 정렬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하중을 부가하여야 해서 정확한 수직 하중 부가가 어려웠다.At this time, since the vertical load has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measuring person is vertically aligned by h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load the vertical load.

또한, 측정자가 손으로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부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복 과정에서 전복을 방해하는 불필요한 하중이 측정자 마다 상이하게 개입하여 측정 산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asurer adds a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hand, an unnecessary load that interferes with the rollover during the rollover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interferes with each other differently to cause measurement scattering.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정확한 수직 하중을 부가할 수 있는 하중부가장치를 개시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oad applying device capable of adding an accurate vertical loa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수직 하중을 부가하는 동안 평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하중부가장치를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oad attaching device that is free to move in a planar direction during the application of a vertical loa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측정자 간 측정 산포 최소화와 측정 반복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하중부가장치를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oad attaching device capable of ensuring minimization of measurement scattering between measurers and measurement repeatab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중 부가 및 측정을 하기 위한 하중부가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장치 고정부와, 상기 장치 고정부의 상하 방향 및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 고정부에 마련되는 하중 발생부를 포함한다.A load attaching device for carrying out a load portion and a measure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fixing portion vertically supported on a bottom surface and a device fixing portion vertical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a load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apparatus fixing unit.

또한, 상기 하중 발생부는, 상기 장치 고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에 연동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며, 하중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 설치부를 포함한다.The load genera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oving portion provided on the apparatus fixing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ortion and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a gauge mounting portion provided to interlock with the first moving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portion and provided to apply a load.

또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장치 고정부에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하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한다.The first moving unit may include a frame provided in the apparatus fixing unit, a rotating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frame, a shaft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ng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moving block that moves up and down linearly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동 블록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haft includes a lead screw that linearly reciprocates the moving block.

또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제1이동바와, 상기 제1이동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1이동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마련되는 제2이동바를 포함한다.The second mo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moving bar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 sliding block slidably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ar, and a second moving bar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bar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oving bar. And a second movable bar provided on the second movable bar.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바 설치부와, 상기 제2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바 설치부와 제2이동바 설치부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sliding block may include a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moving bar is slidably installed and a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second moving bar is slidably installed, The bar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art are arranged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이동바 설치부와 제2이동바 설치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liding block includes at least one ball between the first moving bar and the second moving bar.

또한, 상기 게이지 설치부는, 상기 제2이동바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지 설치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게이지를 포함한다.The gauge mounting part includes a gauge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ar and installed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gauge mounting part.

또한, 상기 장치 고정부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ixing unit includes a fixing ba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fixing bar.

또한, 상기 장치 고정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상기 고정바에 고정 및 분리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member provided to fix and separat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to the fixing ba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하중을 부가하도록 마련되는 하중부가장치로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장치 고정부와, 상기 장치 고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에 연동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하중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 설치부를 포함한다.A load attaching device provided to impart a loa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 attaching device provided with a device fixing part vertically supported on a floor surface, a first moving part provided to the device fixing par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second moving par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ving part and is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a second moving part that is provided to interlock with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And a gauge mounting portion provided to apply a load.

또한, 상기 제1이동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하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한다.The first moving unit may include a frame, a rotating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frame, a shaft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moving block provided so as to move up and down linearly.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동 블록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haft includes a lead screw that linearly reciprocates the moving block.

또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제1이동바와, 상기 제1이동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1이동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마련되는 제2이동바를 포함한다.The second mo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moving bar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 sliding block slidably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ar, and a second moving bar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bar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oving bar. And a second movable bar provided on the second movable bar.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바 설치부와, 상기 제2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바 설치부와 제2이동바 설치부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sliding block may include a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moving bar is slidably installed and a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second moving bar is slidably installed, The bar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art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베어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liding block includes at least one ball bearing between the first moving bar and the second moving bar.

또한, 상기 게이지 설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사이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를 더 포함한다.The gauge se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auge configured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장치 고정부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ixing unit includes a fixing bar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fixing bar.

또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샤프트는, 베벨 기어로 연결된다.Further, the rotary member and the shaf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vel ge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한 수직 하중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urate vertical load can be added.

또한, 수직 하중을 부가하는 동안 평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장치에 정확한 수직 하중을 부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측정자 간 측정 산포 최소화와 측정 반복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vertical load can be freely moved in the plane direction during the addition of the vertical load, an accurate vertical load can be added to the display device, thereby minimizing the scattering of the measurement between the measurers and securing the measurement repeatability.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하중부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장치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도 2 의 A-A' 부분 단면도로, 장치 고정부의 높이조절부재와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게이지 설치부에 장착되는 게이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제1이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제2이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도 7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 슬라이딩 블록과 제1이동바의 결합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nd a load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device fixing part of a load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show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of the apparatus fixing por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uge mounted on a gauge mounting portion of a load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ving part of the load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ving part of a load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portion of FIG. 7, illustrating the engagement of the sliding block with the first ba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정확한 수직 하중을 부가 및 측정하기 위한 모든 시험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test products for adding and measuring accurate vertical loads. For example, an embodiment in which a load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isp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front end", "rear end", "lower", "upper end", and "lower end"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o.

디스플레이장치 제품이 시장에서 판매되려면 국제 규격(IEC60065)을 취득해야 하는데, 이러한 국제 규격에서는 지정한 수직 부가 하중에 대해 제품이 전복되지 않아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한다.In order for a display device product to be marketed, an international standard (IEC 60065) must be obtained, which includes the provision that the product should not be rolled over for a specified vertical load.

이러한, 수직 부가 하중은 하중부가장치(1)에 의해 부가 및 측정될 수 있다.This vertical addition load can be added and measured by the load addition device 1. [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하중부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장치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도 2 의 A-A' 부분 단면도로, 장치 고정부의 높이조절부재와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nd a load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device fixing part of a load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showing the height adjus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of the apparatus fixing portion.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과, 디스플레이모듈(11)의 외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모듈(11) 및 내부의 전장 부품들을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12)를 포함한다.1 to 3, 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display module 11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 display module 11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11 to display the display module 11 and internal electronic components And a case 12 provided for protecting.

디스플레이모듈(11)은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로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디스플레이패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패널(미도시)을 포함한다.The display module 11 includes a display panel (not shown) form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and a base panel (not show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and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케이스(12)는 디스플레이모듈(11)의 전면 테두리와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2)의 하부에는 테이블 또는 바닥면(B) 등 디스플레이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면에 지지되기 위한 베이스(13)가 마련될 수 있다.The case 1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11. A base 13 for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10 such as a table or a bottom surface B may be provided under the case 12. [

디스플레이모듈(11)과 베이스(13)는, 베이스(13)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스탠드(13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se 13 may be connected by a stand 13a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base 13. [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수직 부가 하중 시험을 위한 게이지(400)가 설치되는 하중부가장치(1)를 이용한다.The load attaching device 1 in which the gauge 400 for the vertical load test of the display device 10 is installed is used.

하중부가장치(1)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수직 방향 하중에 대한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수직 부가 하중 시험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케이스(12) 상단 일측에 수직 하중을 부가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전복되는 시점의 하중을 측정하여 규격에 명시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The load addition device (1)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display device (10) with respect to a vertical load. The vertical additional load test is a method of adding a vertical loa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ase 12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measuring the load at the tim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rolled over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standard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s satisfied Lt; / RTI >

하중부가장치(1)에 설치되는 게이지(400)는 하중부가장치(1)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에 수직 하중을 부가 및 측정하도록 마련된다.The gage 400 installed in the load addition device 1 is vertically moved by the load addition device 1 and is provided to add and measure the vertical load to the display device 10. [

하중부가장치(1)는 장치 고정부(200)와, 장치 고정부(200)에 설치되는 하중 발생부(100)를 포함한다.The load addition device 1 includes a device fixing part 200 and a load generating part 100 installed in the device fixing part 200. [

장치 고정부(200)는 바닥면(B)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장치 고정부(200)는 바닥면(B)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202)와, 지지부(20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바(2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ixing portion 200 is provided so as to be vertical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B. [ The apparatus fixing part 200 may include a supporting part 202 provided to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B and a fixing bar 202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supporting part 202.

고정바(20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202)는 바닥면(B)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bar 202 may be formed in a columnar shape. The fixing bar 202 may be arranged to be vert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B.

고정바(202)에는 높이조절부재(203)가 마련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3)는 고정바(202)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높이조절부재(203)는 고정바(202)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높이조절부재(203)는 고정바(202)에 고정 및 분리되도록 마련된다.The fixing bar 202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mber 203.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fixing bar 202.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bar 202.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is fixed and separated from the fixing bar 202.

또한, 높이조절부재(203)는 고정부재(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3)는 고정부재(204)에 의해 고정바(202)의 어느 적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204.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is provided so as to be fixed at a proper position of the fixing bar 202 by the fixing member 204. [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1높이(H1)에 대응되게 하중 발생부(100)가 위치되도록 고정바(202)의 대응되는 하측 위치에 높이조절부재(203)를 고정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may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ar 202 so that the load generating unit 100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ight H1 of the display device 10 .

또, 높이조절부재(203)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2높이(H2)에 대응되는 고정바(202)의 상측 위치에 높이조절부재(203)를 고정시켜 하중 발생부(100)가 위치되게 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is moved to fix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at an upper position of the fixing bar 20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eight H2 of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positioned.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1높이(H1) 및 제2높이(H2)는 바닥면(B)으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의 케이스(12) 상단까지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1높이(H1)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2높이(H2)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height H2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include the length from the bottom surface B to the top of the case 12 of the display device 10. [ At this time, the first height H1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lower than the second height H2 of the display device 10.

높이조절부재(203)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3)는 고정바(20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03a)이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3)의 관통홀(203a)은 육면체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may be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203a which penetrates the fixing bar 20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203a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hexahedron.

높이조절부재(203)는 관통홀(203a)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설치홀(203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 설치홀(203b)은 높이조절부재(203)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 설치홀(203b)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설치홀(203b)은 높이조절부재(203)의 일측에서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어 관통홀(203a)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고정부재 설치홀(203b)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설치홀(203b)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재 설치홀(203b)은 두 개의 홀이 고정바(202)를 90도 간격으로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 설치홀(203b)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may include a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03a.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may be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 At least on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may be formed. At least on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may be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203a. In addition, the other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may be disposed orthogonally to at least on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has two holes for fixing and fixing the fixing bars 202 at intervals of 90 degrees,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s 203b may be form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고정부재(204)는 제1고정부재(204a)와 제2고정부재(20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04a)와 제2고정부재(204b)는 서로 직교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04a)와 제2고정부재(204b)는 고정부재 설치홀(203b)에 설치되어, 관통홀(203a)의 고정바(202)를 고정하도록 마련된다.The fixing member 204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204a and a second fixing member 204b. The first fixing member 204a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04b may be disposed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first fixing member 204a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04b are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and are provided to fix the fixing bar 202 of the through hole 203a.

고정부재(204)는 바디부(205)와, 바디부(205)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205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05)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05)의 외주면에는 소정 길이의 나사부(205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04)의 바디부(205)는 고정부재 설치홀(203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205)는 손잡이부(205b)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부재 설치홀(203b)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디부(205)의 일측 단부는 관통홀(203a)의 고정바(202)에 접촉하도록 마련된다.The fixing member 204 may include a body portion 205 and a handle portion 205b provided to rotate the body portion 205. [ The body portion 20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screw portion 205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5. [ The body portion 205 of the fixing member 204 can be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The body portion 205 can be rotated by the handle portion 205b and moved inward and outward of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05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bar 202 of the through hole 203a.

한편, 고정부재 설치홀(203b)에는 지지블록(206)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블록(206)에는 고정부재(204)의 바디부(205)에 형성되는 나사부(205a)에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206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재 설치홀(203b)에는 고정부재(20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블록(206)이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형상은 높이조절부재의 고정부재 설치홀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support block 206 may be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203b. The support block 206 may be provided with a thread 206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205a formed on the body 205 of the fixing member 204. [ Although it has been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fixing block 204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block 206 for forming a screw thread for movably moving the fixing member 20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fixing member mounting hol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게이지 설치부에 장착되는 게이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uge mounted on a gauge attaching portion of a load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부가장치(1)의 하중 발생부(100)는 장치 고정부(200)의 상하 방향 및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4 to 5, the load generating portion 100 of the load applying device 1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pparatus fixing portion 200 a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

하중 발생부(100)는 제1이동부(110)와, 제2이동부(120)와, 제1이동부(110) 및 제2이동부(120)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며, 디스플레이장치(10)에 수직 하중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 설치부(130)를 포함한다.The load generat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moving unit 110, a second moving unit 120, a first moving unit 110 and a second moving unit 120. The load generating unit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0 And a gauge mounting part 130 provided to apply a vertical load to the gauge mounting part 130.

제1이동부(110)는 장치 고정부(200)에 설치된다. 제1이동부(110)는 장치 고정부(2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irst moving part 110 is installed in the apparatus fixing part 200. The first moving part 110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pparatus fixing part 200.

제1이동부(110)는 장치 고정부(200)의 높이조절부재(20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111)과, 프레임(111)에 설치되는 회전부재(113)와,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117)와, 샤프트(117)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하도록 마련되는 이동블록(1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part 110 includes a frame 111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of the apparatus fixing part 200, a rotating member 113 provided on the frame 111, And a moving block 115 that moves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117. [

제1이동부(110)의 프레임(111)은 높이조절부재(203)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111a)과, 메인 프레임(111a)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면 프레임(111b)과, 메인 프레임(111a)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면 프레임(111d)과, 메인 프레임(111a)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는 전면 프레임(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1c)은 메인 프레임(111a)의 전면 상측에 배치되며 상면 프레임(111b)의 선단에 연결됨으로써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다.The frame 111 of the first moving unit 110 includes a main frame 111a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a top frame 111b provided at the top of the main frame 111a, A lower frame 111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111a and a front frame 111c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frame 111a. The front frame 111c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11a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top frame 111b to form a space on the inside.

메인 프레임(111a)은 직사각형상의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1a)의 적어도 일부는 장치 고정부(200)의 높이조절부재(20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부재(203)의 상하 이동에 의해 메인 프레임(111a)은 고정바(202)를 따라 이동된다.The main frame 111a may include a rectangular pl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frame 111a may be secur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03 of the apparatus fixture 200. [ Therefore, the main frame 111a is moved along the fixed bar 202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

또한, 프레임(111)은 전면 프레임(111c)과 메인 프레임(111a)을 연결하도록 측면을 형성하며, 회전부재(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 설치면(111e)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11 further includes a rotating member mounting surface 111e which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 front frame 111c and the main frame 111a and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ng member 113 is rotatably installed .

회전부재 설치면(111e)은 전면 프레임(111c)과 메인 프레임(111a)의 사이 측면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tary member mounting surface 111e may be disposed at a side edge portion between the front frame 111c and the main frame 111a.

프레임(111)에는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부재(113)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117)가 설치된다. 샤프트(117)는 하면 프레임(111d)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frame 111 is provided with a shaft 117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113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13. The shaft 117 can b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111d so as to be rotatable.

프레임(111)은 샤프트(117)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블록(115)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9)는 하면 프레임(111d)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119)는 양 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동블록(115)을 관통하여 이동블록(115)이 안정적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The frame 111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19 for guiding the moving block 115 which is moved by the shaft 117. The guide portion 119 is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111d. The guide portion 119 is formed on both sides and guides the moving block 115 through the moving block 115 so that the moving block 115 can be stably moved.

이동블록(115)은 샤프트(117)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동블록(115)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블록(115)은 중심에 샤프트(1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블록홀(115a)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block 115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haft 117. The moving block 115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he moving block 115 may include a moving block hole 115a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ft 117 at the center.

이동블록(115)의 양 측에는 가이드부(119)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Guide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lock 115 so as to allow the guide portion 119 to pass therethrough.

제2이동부(120)는 이동블록(115)에 연결되는 제1이동바(121)와, 제1이동바(1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블록(140)과, 제1이동바(1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이동바(122)를 포함한다.The second moving part 120 includes a first moving bar 121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15, a sliding block 140 slidably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ar 121, And a second moving bar 122 slidably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moving bar 121.

제1이동바(121)는 이동블록(115)에 고정된다. 제1이동바(121)는 단면이 원형인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바(121)는 두 개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이동바(121)는 이동블록(115)의 전면에 연결되어 바닥면(B)과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동바(121)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 바가 두 개가 한 쌍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이동바는 단면이 사각형인 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able bar 121 is fixed to the movable block 115. The first movable bar 12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circular section. The first movement bar 121 may be provided in pairs. The first moving bar 121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lock 115 and install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able bar 121 has a pair of circular bars each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for example,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moving bar may include a bar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이러한 제1이동바(121)는 슬라이딩 블록(140)이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접촉 또는 지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이동바(121)는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bar 12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ntactable or supportable so that the sliding block 140 can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 The first movement bar 121 may include at least one.

슬라이딩 블록(140)은 제1이동바(121)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이동바 설치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바 설치부(141)는 제1이동바(121)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블록(14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이동바 설치부(141)는 제1이동바(1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바 설치부(141)는 제1이동바(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바 설치부(141)는 그 단면이 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동바 설치부(141)는 제1이동바(121)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이동바 설치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block 140 may include a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formed to allow the first moving bar 121 to be slidably installed.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140 so that the first moving bar 121 can be penetrated. The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vable bar 121. The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able bar 121. The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1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1 is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circular shape so that the first movable bar 121 can be slidably moved. Howeve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Do not. For example, the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제1이동바 설치부(141)를 관통하는 제1이동바(121)를 따라 슬라이딩 블록(140)은 제1이동바(12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The sliding block 140 is installed to mo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ar 121 along the first moving bar 121 passing through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또한, 슬라이딩 블록(140)은 제2이동바(12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이동바 설치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제2이동바(122)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블록(14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제2이동바(12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제2이동바(1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ing block 140 may include a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2 formed such that the second moving bar 122 is slidably installed. The second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2 is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140 so that the second movable bar 122 can be installed to pass therethrough. The second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2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ovable bar 122.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ving bar 122.

이때,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제1이동바 설치부(1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제1이동바 설치부(1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제1이동바 설치부(1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슬라이딩 블록(140)의 하부 제2이동바 설치부(142) 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이동바 설치부는 제1이동바 설치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2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2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The second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1. Although the second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2 is formed below the lower second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2 of the sliding block 14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한편, 제2이동바(122)는 슬라이딩 블록(140)의 제2이동바 설치부(142)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이동바(122)는 제1이동바(1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이동바(122)는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이동바(122)는 슬라이딩 블록(140)에 두 개가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movable bar 122 may be installed to be slidable through the second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142 of the sliding block 140. The second movement bar 122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ovement bar 121. [ The second moving bar 122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B. [ The second movable bar 122 may be installed in pairs in the sliding block 140.

제1이동바(121)와 제2이동바(122)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블록(14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23)가 각각 형성된다. 제1이동바(121)는 제1스토퍼(123a)를 포함하고, 제2이동바(122)는 제2스토퍼(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토퍼(123a)와 제2스토퍼(123b)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이동바(121)와 제2이동바(122)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stopper 123 for preventing the sliding block 140 from separating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first moving bar 121 and the second moving bar 122. The first movement bar 121 may include a first stopper 123a and the second movement bar 122 may include a second stopper 123b. The first stopper 123a and the second stopper 123b may be provided so as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moving bar 121 and the second moving bar 122, which are provided in a pair.

제2이동바(122)의 단부에는 게이지 설치부(130)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바 지지대(125)가 설치된다. 이동바 지지대(12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이동바(122)의 단부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A moving bar support 12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movement bar 122 to fix the gauge installation part 130. The movement bar support 125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so as to be vertically supported at the end of the second movement bar 122.

게이지 설치부(130)는 제2이동바(12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게이지 설치부(130)는 이동바 지지대(125)에 결합될 수 있다.The gauge mounting part 130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cond moving bar 122. The gauge mounting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movement bar support 125.

이동바 지지대(125)는 제2이동바(122)와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이동바 연결부(125a)를 포함한다. 이동바 연결부(125a)는 이동바 지지대(125)의 중심에 마련된다. 이동바 연결부(125a)는 게이지 설치부(130)와의 결합을 위한 이동바 지지대 고정홀(12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 지지대 고정홀(125b)은 이동바 지지대(125)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movable bar support 125 includes a movable bar connecting portion 125a provided for engagement with the second movable bar 122. [ The movable bar connecting part 125a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bar supporting part 125. [ The moving bar connecting portion 125a may include a moving bar supporting portion fixing hole 125b for engaging with the gauge mounting portion 130. [ The movement bar support fixing holes 125b may be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movement bar support 125, respectively.

게이지 설치부(130)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지 설치부(130)에는 제1고정홀(131a)과 제2고정홀(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홀(131a)은 게이지(400)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며, 제2고정홀(131b)은 이동바 지지대(125)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홀(131a)과 제2고정홀(131b)은 각각 제1나사(151)와 제2나사(152)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The gauge mounting part 130 may include a rectangular plate. The gauge mounting part 130 may include a first fixing hole 131a and a second fixing hole 131b. The first fixing hole 131a may be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gauge 400 and the second fixing hole 131b may be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moving bar support 125. [ The first fixing hole 131a and the second fixing hole 131b are formed to be fixed through a fixing member including a first screw 151 and a second screw 152, respectively.

게이지 설치부(130)의 하부에는 이동바 지지대(125)와의 결합을 위한 이동바 지지대 설치면(13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동바 지지대 설치면(132)의 이동바 지지대 고정홀(125b)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고정홀(131b)이 형성된다. 제2고정홀(131b)은 이동바 지지대 고정홀(125b)을 통해 결합되는 제2나사(152)가 결합되도록 마련된다.The lower part of the gauge mounting part 130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bar supporting part mounting surface 132 for coupling with the moving bar supporting part 125. A second fixing hole 131b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bar supporting member fixing hole 125b of the moving bar supporting member mounting surface 132. [ The second fixing hole 131b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second screw 152 coupled through the fixing hole 125b.

또, 게이지 설치부(130)의 상측에는 게이지(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홀(131a)이 형성된다. 제1고정홀(131a)은 게이지(4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151)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fixing hole 13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gauge mounting part 130 so that the gauge 400 can be fixed. The first fixing hole 131a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crew 151 so as to be coupled to the gauge 400. [

게이지(400)는 디스플레이장치(10)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게이지 바디(401)와, 게이지 바디(401)의 하단에 마련되는 측정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uge 400 may include a gauge body 401 and a measurement unit 40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gauge body 401. The gauge body 401 may include a measurement unit 402,

게이지 바디(401)의 후면에는 게이지 설치부(130)의 제1고정홀(13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3고정홀(401a)이 형성된다. 제3고정홀(401a)은 게이지 설치부(130)의 제1고정홀(131a)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제1나사(15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A third fixing hole 40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131a of the gauge mounting part 1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auge body 401. The third fixing hole 401a may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131a of the gauge mounting part 130 and may be coupled through the first screw 151. [

측정부(402)는 게이지 바디(401)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정부(402)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케이스(12) 상면에 수직하중을 부가 및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측정부(402)의 하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 와의 접촉 및 임시 고정을 위한 가조립부(41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조립부(410)는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40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gauge body 401. The measurement unit 402 is provided so as to add and measure a vertical lo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2 of the display device 10. [ The lower surface of the measuring unit 402 may have a tackifier 410 for contacting and temporarily fixing the display device 10. The gluing unit 410 may include a tape or the like.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제1이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의 제2이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 은 도 7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 슬라이딩 블록과 제1이동바의 결합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ving part of the load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ving part of the load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portion, showing the engagement of the sliding block with the first moving bar.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부가장치(1)의 하중 발생부(100)의 동작을 설명한다.6 to 8, the operation of the load generating portion 100 of the load apply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하중 발생부(100)는 장치 고정부(200)의 상하 방향 및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load generating unit 100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pparatus fixing unit 200 a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하중 발생부(100)는 제1이동부(110)와, 제2이동부(120)와, 제1이동부(110) 및 제2이동부(120)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며, 디스플레이장치(10)에 수직 하중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 설치부(130)를 포함한다.The load generat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moving unit 110, a second moving unit 120, a first moving unit 110 and a second moving unit 120. The load generating unit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0 And a gauge mounting part 130 provided to apply a vertical load to the gauge mounting part 130.

제1이동부(110)는 장치 고정부(200)의 높이조절부재(20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111)과, 프레임(111)에 설치되는 회전부재(113)와,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117)와, 샤프트(117)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하도록 마련되는 이동블록(1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part 110 includes a frame 111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3 of the apparatus fixing part 200, a rotating member 113 provided on the frame 111, And a moving block 115 that moves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117. [

회전부재(113)는 제1회전축(112a)에 연결되는 제1회전기어(112)를 포함한다. 샤프트(117)는 제2회전축(114a)에 연결되는 제2회전기어(114)를 포함한다. 제2회전기어(114)는 제1회전기어(112)에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제2회전기어(114)는 샤프트(117)의 상측 단부에 마련된다.The rotary member 113 includes a first rotary gear 112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shaft 112a. The shaft 117 includes a second rotary gear 114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114a. The second rotary gear 114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rotary gear 112. The second rotary gear 11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117.

따라서, 회전부재(113)를 회전시키면 제1회전기어(112)가 회전되고, 제1회전기어(112)에 맞물린 제2회전기어(114)가 회전하며 샤프트(117)를 회전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rotary member 113 is rotated, the first rotary gear 112 is rotated, and the second rotary gear 114 engaged with the first rotary gear 112 rotates to rotate the shaft 117. [

이때, 제1회전기어(112)와 제2회전기어(114)는 서로 교차하는 두 축 사이에서 운동을 전하도록 형성되는 원추형의 베벨 기어(bevel gear)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otary gear 112 and the second rotary gear 114 may include a conical bevel gear formed to transmit a motion between two ax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프레임(111)은 샤프트(117)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6)은 메인 프레임(111a)에 결합되어 샤프트(11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다.The frame 11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rame 116 for supporting the shaft 117. The support frame 116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11a and is provided to rotatably support the shaft 117. [

샤프트(117)는 그 외주면 소정 길이의 제1나사부(117a)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17)는 회전에 의해 이동블록(115)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ft 117 may have a first threaded portion 117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shaft 117 may include a lead screw that linearly reciprocates the moving block 115 by rotation.

샤프트(117)에는 이동블록(115)과, 이동블록(115)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가이드블록(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블록(119)은 이동블록(115)과 샤프트(117) 사이에 마련되어, 샤프트(117)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블록(115)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동 가이드블록(119)은 내주면에 샤프트(117)의 제1나사부(117a)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나사부(119a)가 형성된다.The shaft 117 may include a moving block 115 and a moving guide block 119 provided to guid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115. The movement guide block 119 is provided between the movement block 115 and the shaft 117 so that the movement block 115 can be moved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117. [ The movement guide block 119 has a second threaded portion 119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eaded portion 117a of the shaft 117. [

따라서, 샤프트(117)의 회전시 제1나사부(117a)와 이동 가이드블록(119)의 제2나사부(119a)에 의해 이동블록(11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haft 117 rotates, the moving block 115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screw portion 117a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119a of the moving guide block 119.

이동블록(11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블록(115)에 고정된 제2이동부(120)의 제1이동바(121)는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movable block 115 moves up and down, the first movable bar 121 of the second movable part 120 fixed to the movable block 115 moves upward and downward together.

이동블록(115)의 상하 이동과 동시에 이동블록(115)에 연결된 제1이동바(121)와, 제1이동바(12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이동바(12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 first moving bar 121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15 at the same time as the moving block 115 moves up and down and a second moving bar 122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bar 121 are vertically .

이때, 제1이동바(121)와 제2이동바(122)는 슬라이딩 블록(140)에 의해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ovable bar 121 and the second movable bar 122 are movabl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by the sliding block 140.

제1이동바(121)와 제2이동바(122)는 슬라이딩 블록(140)에 의해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first moving bar 121 and the second moving bar 122 ar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by the sliding block 140.

제1이동바(121)는 슬라이딩 블록(140)의 제1이동바 설치부(14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이동바(122)는 슬라이딩 블록(140)의 제2이동바 설치부(1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moving bar 121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of the sliding block 140 and the second moving bar 122 is installed on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of the sliding block 140 And can be slidably mounted on the portion 142. [

제1이동바 설치부(141)와 제2이동바 설치부(14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145)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이동바 설치부(141)와 제2이동바 설치부(142)는 슬라이딩 블록(140)과 제1이동바(121) 및 제2이동바(12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145)을 포함하여 제1이동바(121)와 제2이동바(122)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블록과 제1이동바 및 제2이동바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은 볼 베어링 또는 슬라이드 부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At least one ball 145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2.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142 may include at least one ball 145 between the sliding block 140 and the first moving bar 121 and the second moving bar 122, So that the first movable bar 121 and the second movable bar 122 can slide smooth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ball is provided between the sliding block, the first moving bar, and the second moving bar,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balls may be replaced by a ball bearing or a slide bush or the like.

이처럼, 하중 발생부(100)는 제1이동부(1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블록(140) 및 제1이동바(121)와 제2이동바(122)를 포함하는 제2이동부(120)에 의해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에 수직 하중 부가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정확한 수직 하중을 부가 및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 load generating unit 100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moving unit 110 and includes the sliding block 140 and the first moving bar 121 and the second moving bar 122, The second moving part 120 can be moved in the planar direction, so that the vertical load part can be made constant on the display device 10, and accurate vertical load can be added and measured.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하중부가장치 10 : 디스플레이장치
11 : 디스플레이모듈 12 : 케이스
100 : 하중 발생부 110 : 제1이동부
113 : 회전부재 115 : 이동 블록
120 : 제2이동부 121 : 제1이동바
122 : 제2이동바 130 : 게이지 설치부
140 : 슬라이딩 블록 200 : 장치 고정부
201 : 지지부 202 : 고정바
203 : 높이조절부재 204 : 고정부재
400 : 게이지 401 : 게이지 바디
402 : 측정부 410 : 가조립부
B : 바닥면
1: load addition device 10: display device
11: Display module 12: Case
100: load generating unit 110:
113: rotating member 115: moving block
120: second moving part 121: first moving bar
122: second movement bar 130: gauge mounting part
140: Sliding block 200:
201: support part 202: fixed bar
203: height adjusting member 204: fixing member
400: Gauge 401: Gauge body
402: Measuring section 410:
B: bottom surface

Claims (20)

하중 부가 및 측정을 하기 위한 하중부가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장치 고정부와,
상기 장치 고정부의 상하 방향 및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 고정부에 마련되는 하중 발생부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 A load appending device for performing loading and measurement,
A device fixing part vertical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load generating part provided on the apparatus fix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apparatus fixing part a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발생부는,
상기 장치 고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에 연동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며, 하중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 설치부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generat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provided on the apparatus fix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moving par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ving part and is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a gauge mounting portion provid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ving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portion and provided to apply a loa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장치 고정부에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하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moving unit comprises:
A frame provided in the apparatus fixing portion,
A rotating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frame,
A shaft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And a moving block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linearly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동 블록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haft includes a lead screw that linearly reciprocates the moving blo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제1이동바와,
상기 제1이동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1이동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마련되는 제2이동바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bar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 sliding block slidably mounted on the first movable bar,
And a second moving bar provided on the sliding block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moving ba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바 설치부와,
상기 제2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바 설치부와 제2이동바 설치부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중부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liding block includes:
A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movable bar is slidably installed;
And a second movement bar installation part in which the second movement bar is slidably installed,
Wherein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바 설치부와 제2이동바 설치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중부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liding block includes:
And at least one ball between the first moving bar and the second moving ba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설치부는,
상기 제2이동바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지 설치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auge-
And a gauge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ar and installed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gauge moun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고정부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vice-
A fixing bar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fixing ba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고정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상기 고정바에 고정 및 분리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evice-
And a fixing member provided to fix and separat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to the fixing bar.
디스플레이장치에 하중을 부가하도록 마련되는 하중부가장치로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장치 고정부와,
상기 장치 고정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에 연동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하중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 설치부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A load appending device provided to load a display device,
A device fixing part vertical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 first moving part provided on the apparatus fix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moving par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ving part and is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a gauge mounting part provid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and provided to load the display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하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moving unit comprises:
Frame,
A rotating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frame,
A shaft provided to rot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And a moving block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linearly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동 블록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haft includes a lead screw that linearly reciprocates the moving block.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제1이동바와,
상기 제1이동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1이동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마련되는 제2이동바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bar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 sliding block slidably mounted on the first movable bar,
And a second moving bar provided on the sliding block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moving ba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바 설치부와,
상기 제2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바 설치부와 제2이동바 설치부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중부가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liding block includes:
A first movable ba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movable bar is slidably installed;
And a second movement bar installation part in which the second movement bar is slidably installed,
Wherein the first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bar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liding block includes:
And at least one ball bearing between the first moving bar and the second moving ba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설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사이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gauge-
Further comprising a gauge adapted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고정부는,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evice-
A fixing bar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fixing ba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샤프트는,
베벨 기어로 연결되는 하중부가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shaft,
Load device connected to bevel gear.
KR1020160033130A 2016-03-21 2016-03-21 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 KR102510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30A KR102510383B1 (en) 2016-03-21 2016-03-21 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30A KR102510383B1 (en) 2016-03-21 2016-03-21 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63A true KR20170109263A (en) 2017-09-29
KR102510383B1 KR102510383B1 (en) 2023-03-16

Family

ID=6003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130A KR102510383B1 (en) 2016-03-21 2016-03-21 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3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81A1 (en) * 2022-05-10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378A (en) * 2007-01-23 2008-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Inspection apparatus
KR20110072675A (en) * 2009-12-23 201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Tactile sens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materi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378A (en) * 2007-01-23 2008-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Inspection apparatus
KR20110072675A (en) * 2009-12-23 201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Tactile sens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vehicle interior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81A1 (en) * 2022-05-10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383B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88537A1 (en) Test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N203657755U (en) Non-contact type clearance and offset optical measuring device
KR20180000130A (en) Test apparatus for bending of flexible display
US9182346B2 (en) Transmittance testing apparatus
US20130335294A1 (en) Antenna device for electromagnetic measurement
CN108548778A (en) High-speed horizontal peel test force machine
CN105258899A (en) Testing machine for impact test
KR20170109263A (en) Device for applying the vertical force with planar movement
CN101762759B (en) Flat-panel display tester
KR101671712B1 (en) Multi-position stiffness test apparatus of flat glass
KR101373222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CN102865854A (en) Tilt angle measurement device
CN106370108B (en) A kind of FPC size rapid measurement device
US20070132986A1 (en) Liquid crystal module brightn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brightness measurement apparatus
CN109239087A (en) A kind of Image detection platform
KR102091857B1 (en) Crack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 for construction
CN106324504B (en) Virtual position tester for measuring virtual position of reduction gear set
RU171780U1 (en) Device for vibration testing of products
KR101574723B1 (en) Double-side test probe station
CN107300790B (en) Device for measuring twill angle of liquid crystal module
KR101194331B1 (en) A cradle for testing apparatus
JP2012242193A (en) Outer dimension measuring instrument
CN213054693U (en) Detection device
CN110530748B (en) Test bench limit for height is convenient for adjust operation type sclerometer
KR20130062183A (en) Fixing devic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system for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