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195A -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 Google Patents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195A
KR20170109195A KR1020160064031A KR20160064031A KR20170109195A KR 20170109195 A KR20170109195 A KR 20170109195A KR 1020160064031 A KR1020160064031 A KR 1020160064031A KR 20160064031 A KR20160064031 A KR 20160064031A KR 20170109195 A KR20170109195 A KR 20170109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late
cooking
guid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한
조환석
백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카프
Publication of KR2017010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1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heating and cooking instant food having a lifting type steam nozzle, and the disclosed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provided with installation space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as the center, wherein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rearward of a front exhaust duct portion; a front portion located in an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steam generating portion, a hot water generating portion, and a cold water storage tank; a steam heating part positioned in a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formed in a first cooking space divided into two portions and through which a cook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enters and exits; and a cooking part including the heating part formed in a second cooking space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container having an induction heating body enters and exits.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ok food safely as a cooking contain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a cooking process.

Description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 food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type steam nozzle,

본 발명은 스팀 및 인덕션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nt food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ing steam nozzle capable of rapidly cooking food using steam and induction.

일반적으로 즉석식품이라 함은 즉석에서 간단히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휴대에도 간편한 가공식품을 의미하며, 전처리와 복잡한 조리단계의 작업이 필요 없고, 데우거나 끓이는 등 간단한 조리단계를 거쳐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Generally, ready-to-eat foods means processed food that can be cooked on the spot, easily stored and portable. It does not require pre-treatment and complicated cooking steps, and can be consumed through simple cooking steps such as heating or boiling Means the processed food.

이러한 즉석식품에는 가열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즉석섭취식품, 단순가열이나 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는 즉석조리식품 및 전처리 가공 공정만으로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신선 편의식품 등이 있다.These ready-to-eat foods include ready-to-eat foods that can be ingested as they are without heating, ready-to-eat foods that can be ingested through simple heating or simple cooking processes, and fresh foods that can be ingested as they are.

한편, 즉석식품 조리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250호가 있으며, 이는 가열판에 올려놓은 용기에 물을 넣고 가열판의 가열을 통해 물을 끓여 용기 내부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방식이다.Meanwhile, there is a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8-0000250, which relates to an instant food cooking apparatus, in which water is put into a container placed on a heating plate, water is boiled through heating of the heating plate,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즉석식품 조리장치로는 다양한 식품을 조리하기 어렵고, 한정된 즉석식품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용기와 조리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며, 스팀을 이용한 조리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instant food cooking apparatus is difficult to cook various foods, can be applied only to limited instant foods,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ly prepare containers and cooked foods, takes a long time to cook, There was a problem that cooking could not be done.

또한, 가열판에 놓이는 용기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조리과정에서의 냄새가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상을 입게 되거나, 용기의 불필요한 움직임으로 인해 조리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용기가 뒤집히는 경우, 음식물을 버리게 되면서 낭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placed on the heating plate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n odor is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an image is appli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the efficiency of cooking is deteriorated due to unnecessary movement of the container, ,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 is caused by discarding food.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8-0000250호(2008.03.03 공개)Korea public utility model 20-2008-0000250 (published on Mar. 3, 20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동 처리된 즉석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온수를 이용한 인덕션가열 방식과 승강식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이용한 스팀가열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메뉴의 즉석조리가 가능하며, 스팀 가열부와 스팀 가열부가 서로 격리되어 개폐가 가능한 독립적인 밀폐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Technical Probl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cooking frozen processed instant foods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using hot water and a steam heating method using steam injected from an elevating steam nozzle And the steam heating unit and the steam heating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have an independent sealing structure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cooking can be safely and effectively carried ou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방 배기덕트부의 후방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구획판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스팀 생성부와 온수 생성부와 냉수 저장탱크가 포함되는 전장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격벽으로 양분되어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되는 제1조리공간에 형성된 스팀 가열부와, 유도가열체를 가지는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되는 제2조리공간에 형성된 인덕션 가열부가 포함되는 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생성부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스팀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upper and lower mounting spaces provided around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horizontally installed rearward of a front exhaust duct portion; A steam heating unit located in a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formed in a first cooking space into which the instant food preparation vessel is divided and divided into partitions, And a cooking unit including an induction heating unit formed in a second cooking space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is put in and out. The steam generating unit includes a steam nozzle which is lifted up and down.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하부에 경사진 안내판을 설치하되, 상기 안내판의 일단은 상기 배기덕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덕트부와 대향되는 상기 제1조리공간 및 제2조리공간의 후판 안쪽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loping guide plate at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one end of the guide plat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pa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oking space 2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of the cooking spa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조리공간의 후판 안쪽면에는 배기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2조리공간의 후판 바깥면에는 상기 배기통로와 연결되는 배기팬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is formed with an exhaust passage, and at least one exhaust fan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더 바람직하게 스팀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제1,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감속모터와,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구동벨트가 포함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벨트의 일측에 고정클램프를 통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스팀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수직방향 아래쪽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 분사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스팀노즐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스팀노즐이 상면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스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team generating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steam generat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driving gear connected to a shaft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a driven gea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a driving gear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and the driven gear, A lifting plat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horizontally through a fixing clamp on one side of the driving belt and extending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lifting plate, The steam nozzl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ft plate. The steam nozzl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eam nozzle And a cylindrical steam cover which is housed inside and is opened at the bottom.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대향된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대향된 양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guid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and-down direc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both opposite sides of the lift plate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커버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스팀노즐이 중심에 관통되는 용기가압판이 설치되고, 상기 용기가압판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container pressurizing plate through which the steam nozzle passes is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steam cover, and one or more vent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pressurizing plat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가압판은 상기 분사노즐의 첨예부 외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가압판과 첨예부는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스팀노즐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ntainer presser plate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inted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nd the container presser plate and the pointed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ssembled together or separately from the steam nozz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조립되며, 내부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조립되며, 내부에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히터부재가 매입 설치되고, 표면에는 상기 히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스팀생성통로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면의 테두리에는 내열실링부재가 구비되는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의 상면에 상기 내열실링부재를 통해 기밀이 유지되면서 결합되고, 상면 한쪽에는 상기 냉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와 연결된 물공급니플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관통되어 상기 스팀생성통로의 한쪽에 연결되며, 상면 다른 한쪽에는 상기 스팀노즐의 상단과 연결된 스팀배출니플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관통되어 상기 스팀생성통로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는 발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team generator includes a base plate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having a temperature sensor therein, a plurality of heater members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eat generating plate having a surface on which a steam generating passag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with the heat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heat resistant sealing member provided on an edge of an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And a water supply nippl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for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passage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am generating passage in an air- And the steam discharge nipp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passes through the steam discharge nozzle It can comprise a heating co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o th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1,2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온수공급소켓과,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냉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공급소켓을 연결시켜주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온수공급소켓에 상부가 연결되고, 측면 일부분에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하부는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배출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온수노즐과,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측면 바깥쪽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측면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측면 바깥쪽으로 관통되는 축에 피니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정역감속모터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t water genera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guide fram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hot water supply socke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frame, A solenoid valve for connecting the hot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supply socket to mainta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socket, and a rack gear A hot water nozzle having a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 lift guide installed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for guiding up and down movement of the rack gear, A pinion gear is installed i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the pinion gear being disposed on an axis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 The pinion gear may be configured include the forward and reverse speed reduction motor is meshed with the rack gea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가이드는 상기 랙기어를 이격되어 감싸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가이드의 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levation guid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surround the rack gear, and a slot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so that the pinion gear can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공급소켓과 온수노즐의 상부는 신축이 가능한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socket and the hot water nozzle may be connected by a flexible hos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 가열부는 상기 제1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는 왕복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환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중심에는 드레인공을 가진 배수판이 구비되며, 바깥둘레 안쪽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스팀조리 받침대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고, 저면에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의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되는 외주면이 상기 마찰돌기와 구름마찰을 일으키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preferably, the steam heating unit comprises a guide rail install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oking space, and a guide rail which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rail, and reciprocates in and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 annular receiving groove formed on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so that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seated and fixed therein, a drain plate having a drain hole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And a rotating guide member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guide and which is rotated so that the rotating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protrusions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drive wheel,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drive wheel in front of the first cooking cavity And the upper part is rotated forward to open the first cooking space according to the advancing operation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when the reciprocating plate is moved backward,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rotates rearward to close the first cooking spac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 가열부는 제2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는 왕복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방 일부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는 세라믹유리판과, 상기 세라믹 유리판의 하부에는 이격되어 설치되는 인덕션코일이 포함된 인덕션조리대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고, 저면에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의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되는 외주면이 상기 마찰돌기와 구름마찰을 일으키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eam he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install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 reciprocating moving plat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moves in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And an induction cooker including an induction coil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eramic glass plate. A drive wheel which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guide and is rotated and cause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otate with the friction protrusion,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are hinged to each other at a front portion of the second cooking cavity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forward to open the second cooking cavity,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closing the second cooking space by being rotated backward with a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휠의 외주연에는 마찰부재가 환형으로 감싸져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frictional member may be annularly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wheel.

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휠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스프링을 통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장력조절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가이드의 마찰돌기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riving wheel may be mounted on a tension adjusting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hrough a spring to elastically contact the friction protrusion of the fixing guide.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방 배기덕트부의 후방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구획판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며, 전방과 후방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브래킷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설치공간 앞쪽에 위치하는 스팀 생성부 및 온수 생성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설치공간 뒤쪽에 위치하는 냉수 저장탱크가 포함되는 전장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격벽으로 양분되어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하는 제1조리공간에 형성된 스팀 가열부와, 유도가열체를 가지는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되는 제2조리공간에 형성된 스팀 가열부가 포함되는 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생성부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스팀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upper and lower installation spaces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a front exhaust duct portion and having vertical brackets provid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A steam generating portion and a hot water generating port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 front portion including a cold water storage tank positioned behind the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cooking unit including a steam heating unit formed in a first cooking space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enters and exits and a steam heating unit formed in a second cooking space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having an induction heating body enters and exits, The generating unit includes a steam nozzle which is lifted up and down.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기 스팀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 및 냄새가 전방의 상기 배기덕트부 및 후방의 배기통로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 가열부의 상측에 안내판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ain body may have a guide plate horizontally installed above the steam heating unit so that the moisture and odor generated in the steam heating unit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exhaust duct unit and the exhaust passage in the fron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배기덕트부와 대향되는 상기 배기통로는 서로 높이차를 이루고, 상기 안내판은 상기 배기덕트부와 상기 배기통로에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배기통로의 후면에는 배기팬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xhaust ducts opposed to the exhaust ducts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each other, and the guide plate is slantingly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portion and the exhaust passage. At least one exhaust fan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xhaust passage have.

더 바람직하게 스팀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감속모터와,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통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스팀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수직방향 아래쪽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 분사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스팀노즐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노즐이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스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team generating unit includes a support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steam genera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normal and reverse deceleration mot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a lifting plate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screw member through a nut member fastened to the screw member. A steam nozzl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lifting plate and having an injection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 steam nozzle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And a cylindrical steam cover which is housed inside and is opened at the bottom.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대향된 양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guide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and both opposite sides of the lift plate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커버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스팀노즐이 중심에 관통되는 스팀차단판과 용기가압판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용기가압판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team blocking plate and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which are pas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team nozzle, ar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steam cover, and one or more air holes are formed in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가압판은 상기 분사노즐의 첨예부 외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가압판과 첨예부는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스팀노즐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ntainer presser plate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inted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nd the container presser plate and the pointed portion can be detachably assembled together or separately from the steam nozz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본체의 상판 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단열케이스와, 상기 단열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히터부재와, 상기 히터부재의 외주연에 다수회로 감겨져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냉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팀노즐의 상단과 연결되는 열교환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team generator includes a heat insulating cas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temperature sensor therein, a heater member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ng case, And a heat exchange pip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the other side being connected to a hot water tank for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히터부재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히터부재와 상기 열교환파이프는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heater member has a circular pipe shape, and the heater member and the heat exchange pipe may be integrally form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감속모터와,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통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한쪽에 결합되며,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하단에 배출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온수노즐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측은 온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수노즐의 상단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t water generator includes a guide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normal and reverse deceleration mot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An elevating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plate and extending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olenoid valve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nozzle at the other sid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클러치부재는, 저면의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이 관통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관통하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부재에 전달되다가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과부하시 상기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부재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lutch memb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upper end of the screw member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ver coupled to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crew member passing through the end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washer by a plurality of leaf springs, and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normal and reverse decelerat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So that no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와 마주하는 한쪽에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포토센서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dis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centers thereof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 photosensor is installed on one side facing the disk to sense the rotation speed of the disk.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 가열부는 상기 제1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는 왕복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환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중심에는 드레인공을 가진 배수판이 구비되며, 바닥면의 하부에는 소정 깊이의 배수통이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의 일부분과 연통되고, 상기 배수통의 후면에는 본체의 후방으로 관통 연장되는 배수관이 구비되며, 상측 외측둘레 안쪽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스팀조리 받침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가이드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단부를 서로 연결해주며,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안내공이 구비된 이송연결부재와, 상기 제1조리공간 위쪽에 후방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는 크랭크부재와, 상기 제1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preferably, the steam heating unit comprises a guide rail install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oking space, and a guide rail which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rail, and reciprocates in and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 annular receiving groove formed on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so that an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seated and fixed therein, a drain plate having a drain hole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communicating with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ipe, a drain pipe extending through the rear of the main body at a rear surface of the drain pipe, . A transf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at least one transfer guid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the end of the transfer guide facing the reciprocating plate and having a guide hole in the form of a long hole, A crank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shaft of the driving motor via a clutch member and the other end link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are hinged togeth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elastically rotated forward to open the first cooking space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rotates rearward to close the first cooking space while having a restoring force .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 가열부는 제2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며, 중심부에는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안착구멍이 형성된 왕복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세라믹유리판과, 상기 세라믹유리판 하부에서 설치되는 인덕션코일을 포함하는 인덕션조리대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가이드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단부를 서로 연결해주며, 상면에는 장공 형태의 안내공이 구비된 이송연결부재와, 상기 제2조리공간 위쪽에 후방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는 크랭크부재와, 상기 제2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steam he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install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nd a guide rail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move in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 induction cooking utensil including an induction coi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ramic glass plate, and an induction cook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a feeding connection member having a guide hole in the form of a long hol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eeding connection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through a clutch member And the other end is hing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in fron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nd the upper portion is elastically biase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is rotated forward to open the second cooking space,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backward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to close the second cooking space hav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클러치부재는 상기 크랭크부재의 일측 상면이 저면의 중심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하우징과, 그러한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 단부와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크랭크부재의 일측 상면에 전달되다가 크랭크부재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경우, 상기 클러치부재가 슬립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크랭크부재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lutch member includes a housing in which one upper surface of the crank member is fixed across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shaft end And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was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leaf springs so that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rank member and the crank member is unnecessarily stopped and an overload is generated in the driving moto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not transmitted to the crank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ing steam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가 온수의 공급을 통해 인덕션으로 조리하는 인덕션 가열부와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조리하는 스팀 가열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독립되어 개폐가 가능한 밀폐되는 공간에 구비됨에 따라 인덕션 가열부 및 스팀 가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의 즉석 조리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이며, 조리과정에서 조리용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고, 조리과정에서 발생 되는 습기와 열기가 전장부로 이동되지 않고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전장부의 오류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at is, since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sealed space where the induction heating unit for cooking the induction food through the supply of the hot water and the steam heating unit for supplying the high temperature steam can be independently opened and closed, And the steam heating unit can be used to cook various types of instant cooked foods. The cooking vessel can be safely cooked because the cooking vesse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moisture and heat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can not be transferred to the electric fiel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errors and failures of the electric field part as it is exhausted to the outside.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He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xpected to be exert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inventor perceives it.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Should not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Furth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further by the entir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stated in an explicit sentence,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written description belongs,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사용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승강식 스팀 생성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승강식 스팀 생성부를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발생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발생기를 예시한 측단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온수 생성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온수 생성부를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를 단면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또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중요 구성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중요 구성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승강식 스팀 생성부와 스팀 가열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승강식 스팀 생성부와 스팀 가열부를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온수 생성부와 스팀 가열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발생기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클러치부재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에서 개폐도어의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를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스팀 가열부에 위치한 클러치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oth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vated steam gener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lifting steam gener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am generator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am generator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t water generating unit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t water gener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am heating unit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tion of a steam heating unit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he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ing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am heating unit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he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FIG.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mportant configuration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mportant configuration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vated steam generating unit and a steam he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ing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ed steam generating unit and the steam he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different angles.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t water producing unit and a steam he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team generator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utch member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bottom view of essential parts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opening / closing door removed from a steam heating unit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eam heating unit of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3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utch member disposed in a steam heating unit of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실시예 1>&Lt; Example 1 >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 1 에 따른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요소는 전방에 위치한 배기덕트부(110)를 중심으로 상하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그러한 본체(100)의 상측 설치공간에 구비되는 스팀 생성부(210), 온수 생성부(270), 냉수 저장탱크(291)를 포함하는 전장부(200)와, 본체(100) 하측 설치공간의 제1조리공간(301)과 제2조리공간(302)에 각각 위치하는 스팀 가열부(310)와 스팀 가열부(350)가 포함되는 조리부(300)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First, the components of the instant foo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lifting steam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ain body 10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front exhaust duct part 110, A front portion 200 including a steam generating portion 210, a hot water generating portion 270 and a cold water storage tank 291 provided in an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cooking unit 300 including a steam heating unit 310 and a steam heating unit 350 located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체(100)는,First, the main body 100,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외형을 이루며, 대략 사각형의 함체 형상을 가지고, 전면 중앙부위에는 가로방향으로 내부 열기를 순환시켜주는 그릴 형태의 배기덕트부(110)가 위치하고, 그러한 배기덕트부(110)의 후방으로 수평구획판(120)이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수평구획판(120)을 중심으로 상측에 전장부(200)가 구성되고, 하측에 조리부(300)가 구성된다.A grill-shaped exhaust duct part 110 for circulating the internal hea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front surface. The exhaust duct part 110 of the exhaust duct part 110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is horizontally installed rearward and the front section 2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and the cooking section 3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수평구획판(120)은 본체(100) 내부를 향하는 선단이 본체(100)의 후면까지 연장되지 않고 본체(100) 내부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며, 그러한 선단에는 수직방향 아래로 세워지는 후판(130)의 상단과 연결되며, 후판(130)의 하단은 본체(100)의 저면과 연결된다.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is disposed at a position inside the main body 100 without extending the front en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bottom plate 120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thick plate 13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전장부(200)는 스팀을 만들어주는 스팀 생성부(210)와, 온수를 만들어주는 온수 생성부(270)와, 온수 및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냉수 저장탱크(2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unit 200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steam, a hot water generator 270 for generating hot water, and a cold water storage tank 291 for supplying hot water and steam .

조리부(300)는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가열부(310)와, 온수와 인덕션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가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oking unit 300 may include a steam heating unit 310 for cooking food using steam and a steam heating unit 350 for cooking food using hot water and an induction device.

본체(100)의 전면 상측에는 광고 및 조리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품의 인식이나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센서 또는 코드 인식부재 등이 설치되며, 본체(100)의 전면 하측에는 조리부(300)의 내부 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도어(317)(370)가 구비된다.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dvertising and cooking, a camera or a sensor or a code recognition memb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and the like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Closing doors 317 and 370 for individ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avity 300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본체(100)의 전장부(200)에는 전원공급장치는 물론 각종 스위치와 센서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다.The front unit 200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various switches and sensors as well as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ame.

조리부(300)는 본체(100)의 전면 아래쪽에 세로방향으로 내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격벽(303)이 설치되며, 이러한 격벽(303)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제1조리공간(301)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제2조리공간(302)이 구비된다.The cooking cavity 30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30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low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100. A first cooking cavity 30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303 And a second cooking space 30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즉, 제1조리공간(301)은 본체(100)의 측면이 한쪽 측면이 되고, 격벽(303)이 다른 한쪽 측면이 되며, 수평구획판(120)이 상면이 되고, 후판(130)이 후면이 되며, 제1조리공간(301)의 전면은 후술되는 개폐도어(317)(370)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That is, the first cooking space 301 is formed by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303,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317 and 370 described later.

제2조리공간(302) 또한 제1조리공간(301)과 대칭을 이루면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The second cooking space 302 is also symmetrical with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has the same structure.

본체(100)의 수평구획판(120)의 하부에는 안내판(1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안내판(140)은 전방 일단이 배기덕트부(110)의 상측과 연결되고, 후방 타단은 제1조리공간(301) 및 제2조리공간(302)의 후판(130) 안쪽면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안내판(140)의 후방 타단이 대향된 전방 일단에 비하여 낮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제2조리공간(302)의 후판(130) 안쪽면에 복수의 배기통로(131)를 형성하고, 제2조리공간(302)의 후판(130) 바깥면에는 배기통로(131)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배기팬(132)을 설치함으로써, 제2조리공간(30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냄새를 제2조리공간(302)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A guide plate 140 may further be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of the main body 100. The other end of the guide plate 14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portion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14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20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the second plate 120 A plurality of exhaust passageways 1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0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other rear end of the guide plate 140 is lower than the front one of the opposite ends. And a plurality of exhaust fans 132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0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131.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the odor can be removed from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이러한 배기통로(131)와 배기팬(132)은 제1조리공간(301)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후면에도 제1조리공간(301) 또는 제2조리공간(302)에서 배출되는 습기와 냄새를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xhaust passage 131 and the exhaust fan 132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 or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can discharge moisture and odo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스팀 생성부(210)는,The steam generator 210,

전술한 본체(100)의 한쪽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스팀을 만들어 아래쪽 제1조리공간(301)에 놓이는 즉석 조리용기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스팀 생성부(210)는 제1,2지지프레임(211)(212)과, 스팀발생기(220)와 정역감속모터(213)와, 구동수단(230)과, 승강플레이트(240)와, 스팀노즐(250)과, 스팀커버(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210 is disposed in an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00 and supplies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first lower cooking space 301 The steam generator 220,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 the driving unit 230, the lift plate 240, the steam nozzle 250, the steam cover 250, (260).

먼저, 제1지지프레임(211)은 전술한 수평구획판(120)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대략 사각의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승강플레이트(240) 및 스팀노즐(250)과 스팀커버(260)가 위치된다.The first support frame 2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and includes a lift plate 240 and a steam nozzle 250, The cover 260 is positioned.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211)의 후방으로 "ㄱ"자 형태의 제2지지프레임(212)이 구성되며, 이러한 제2지지프레임(212)에 정역감속모터(213)와 구동수단(230)이 위치한다.A second support frame 212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211 and a forward and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 and a drive unit 23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212 Located.

구체적으로 제1지지프레임(211)의 상면에는 스팀발생기(220)가 설치되며, 이러한 스팀발생기(220)는 일측이 냉수 저장탱크(291)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히팅수단을 통해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온수탱크(292)에 연결되며, 타측은 스팀노즐(250)에 연결됨에 따라 온수탱크(292)에서 공급된 온수는 스팀발생기(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스팀으로 만들어진 후 스팀노즐(25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Specifically, a steam generator 2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211.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or 220 is supplied with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291,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tank 292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92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team nozzle 250.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tank 292 is made into high temperature steam through the steam generator 220, ). &Lt; / RTI &gt;

전술한 스팀발생기(220)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steam generator 220 is as follows.

스팀발생기(220)는 서로 상응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판(221)과 발열판(222)과 발열커버(223)가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며, 베이스판(221)은 어느 한쪽에 온도센서가 함몰 수용되고, 발열판(222)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봉형상의 히터부재(225)가 함몰 수용되되 일측에 서로 이격된 두개가 설치되고 타측에 이격된 두개의 히터부재(225) 사이로 다른 히터부재(225)가 함몰 수용되면서 대략 지그재그 형태를 이룬다. The steam generator 220 includes a base plate 22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heating plate 222 and a heating cover 223 stacked on one another and the base plate 221 is housed in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s The heating plate 222 is provided with two heater members 22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a tubular heater member 2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other heater member 225 disposed between the two heater members 22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becomes a zigzag form when it is depressed.

그리고 발열판(222)의 상면에는 그러한 히터부재(225)를 사이에 두고 근접된 상태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스팀생성통로(226)가 소정 깊이를 이루면서 연결되어 형성된다.A steam generating passage 226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22 in a state where the heater member 225 is interposed therebetween.

아울러, 발열판(221)의 상면 테두리 외측둘레에는 내열실링부재(227)가 설치되며, 발열판(221)의 상면에는 발열커버(223)가 결합되고, 발열판(221)과 발열커버(223)는 내열실링부재(227)를 통해 기밀이 유지되면서 서로 결합된다.A heat generating plate 223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21. The heat generating plate 221 and the heat generating cover 223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21, And are sea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sealed through a sealing member (227).

아울러, 발열커버(223)의 상면에는 전술한 스팀생성통로(226)의 한쪽과 연결되도록 물공급니플(228)이 기밀 유지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물공급니플(228)은 온수탱크(292)와 연결된다.The water supply nipple 22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cover 223 so as to be hermet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passage 226. The water supply nipple 228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92, .

또한, 발열판(222)의 상면에는 전술한 스팀생성통로(226)의 다른 한쪽과 연결되도록 스팀배출니플(229)이 기밀 유지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스팀배출니플(229)은 전술한 스팀노즐(250)과 연결된다.The steam discharge nipple 229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22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passage 226. The steam discharge nipple 229 is connected to the steam nozzle 250 ).

히터부재(225)는 외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통전되어 발열 되며, 베이스판(221)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연계되어 스팀발생기(220)의 설정 온도에 따라 작동된다.The heater member 225 is energized according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or 220 in conjunction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21.

이러한 스팀발생기(220)는 도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 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케이스의 상면은 제2지지프레임(212)의 저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220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may b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2 .

한편, 제2지지프레임(212)의 상면에는 정역감속모터(213)가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제1지지프레임(211)의 상면보다 제2지지프레임(212)의 상면은 높게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2 is provided with a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 and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2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211.

제2지지프레임(212)의 후면에는 구동수단(230)이 설치되며, 구동수단(230)의 예로는, 정역감속모터(213)의 축에 구동기어(2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러한 구동기어(214)와 대향되는 아래쪽 수평구획판(120)의 상면에 브래킷을 통해 종동기어(23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기어(214)와 종동기어(231)는 구동벨트(232)를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정역감속모터(213)의 구동에 따라 구동기어(214)가 회전되면 구동벨트(232)에 의해 종동기어(231)가 함께 회전된다.A drive means 23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2. An example of the drive means 230 is a drive gear 214 rotatably mounted on a shaft of a normal / A driven gear 23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facing the driving gear 214 through a bracket and the driving gear 214 and the driven gear 231 are driven by the driving belt 232, The driven gear 231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e belt 232 when the drive gear 214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normal /

한편, 구동벨트(232)의 한쪽에는 고정클램프(241)를 통해 구동벨트(232)에 직각을 이루면서 수평하게 승강플레이트(240)가 설치된다.On one side of the driving belt 232, a lifting plate 240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the driving belt 232 through a fixing clamp 241.

승강플레이트(240)의 양측은 제1지지프레임(211)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승강플레이트(240)는 리미트스위치의 제어를 통해 승강되는 길이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Both sides of the lifting plate 240 are slidably coupled to a guide member 242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211. The lifting plate 24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control of the limit switch And the length is controlled.

따라서, 정역감속모터(213)가 회전되면 구동기어(214)와 종동기어(231)와 구동벨트(232)가 회전되며, 구동벨트(232)의 한쪽에 고정클램프(241)를 통해 설치된 승강플레이트(240)가 구동벨트(23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다.The driving gear 214 and the driven gear 231 and the drive belt 232 are rotated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plate 23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rive belt 232 via the fixed clamp 241, (240) is moved together with the drive belt (23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승강플레이트(240)의 상하 이동 거리 조절은 제2지지프레임(212)의 후면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를 상하 이동되는 승강플레이트(240)의 일부분이 작동시키면서 이동 거리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lifting plate 240 is controlled by moving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2 by moving a part of the lifting plate 240 moving up and down .

이러한 승강플레이트(240)의 상하 이동 거리 조절은 다른 예로 정역감속모터(213)의 회전수를 포토센서로 판단하여 정역감속모터(213)의 회전 제어를 통해 조절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otation speed of the vertical / deceleration motor 213 may be controlled by the photo sensor to adjus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plate reduction motor 213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

승강플레이트(240)의 하부에는 수직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스팀노즐(250)이 설치되며, 스팀노즐(250)의 상단은 승강플레이트(240)를 관통하여 전술한 스팀발생기(220)의 스팀배출니플(229)과 플렉시블한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스팀노즐(250)의 하단에는 분사공(252)이 하나 이상 형성된 첨예부(251)가 형성된다. A steam nozzle 25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downwar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plate 240. The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250 penetrates the lifting plate 240, The steam nozzle 25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nipple 229 through a flexible connection hose and the steam nozzle 251 is formed with one or more nozzles 251 at the lower end thereof.

여기서, 분사공(252)은 스팀노즐(250)을 통해 이동되는 스팀을 외부로 분사시켜주며, 첨예부(251)는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쉽게 관통된다.Herein, the spray hole 252 injects the steam moving through the steam nozzle 250 to the outside, and the pointed portion 251 easily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스팀노즐(250)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즉석 조리용기에 집중될 수 있도록 승강플레이트(240)의 하부에는 중심에 스팀노즐(250)이 관통되며,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스팀커버(260)가 설치된다.A steam nozzle 260 is installed at a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plate 240 so that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nozzle 250 can be concentrated in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240. A cylindrical steam cover 260 do.

따라서, 승강플레이트(240)가 하강되면 스팀커버(260)와 스팀노즐(250)이 함께 하강하게 되고, 스팀커버(260)와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는 수평구획판(120)을 통해 아래쪽 조리부(300)의 제1조리공간(301)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1조리공간(301)에 놓인 즉석 조리용기가 스팀커버(260)에 의해 감싸지게 되면서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는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되고, 첨예부(251)의 분사공(252)에서 고온의 스팀이 분사되면 즉석 조리용기의 조리물이 고온의 스팀을 통해 조리되는 것이다.The steam cover 260 and the steam nozzle 250 descend together and the pointed portion 251 of the steam cover 260 and the steam nozzle 250 is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 is wrapped by the steam cover 260 so that the steam of the steam nozzle 250 The pointed portion 251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and is locat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When the hot steam is sprayed from the spray hole 252 of the pointed portion 251, The steam will be cooked through the steam.

한편,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가 관통된 후 첨예부(251)의 분사공(252)으로부터 스팀이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되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가 부풀어 오르거나 덮개의 상면으로 첨예부(251)가 관통되면서 덮개의 찢어진 부분을 통해 스팀이 빠져나갈 수 있다.When the steam is spray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from the spray hole 252 of the pointed portion 251 after the pointed portion 251 of the steam nozzle 250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The steam can pass through the torn portion of the lid while the pointed portion 251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따라서, 스팀커버(260)의 내부에 상기 스팀노즐(250)이 중심에 관통되며, 외측둘레가 스팀커버(260)의 내주면에 근접 또는 접면되도록 원판형태의 용기가압판(261)을 설치함으로써,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가 관통되면 첨예부(25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용기가압판(261)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눌러주게 되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가 부풀어 오르거나 덮개 상면에서 첨예부(251)에 의해 찢어진 부위를 통해 스팀의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Thus, by providing a disk-shaped container pressing plate 261 inside the steam cover 260 so that the steam nozzle 250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team cover 260 an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i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 cover 260, When the pointed portion 251 of the steam nozzle 250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cooking vessel,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261, which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inted portion 251,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welling of the lid of the lid or the escape of steam through the portion torn by the pointed portion 251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또한, 용기가압판(261)에는 다수의 통기공(263)을 형성함으로써, 스팀커버(260)가 상승하면서 용기가압판(261)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서 분리될 때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63 are formed in the container pressure plate 261 so that the steam cover 260 rises and is effectively separated when the container pressure plate 261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

한편, 첨예부(251)는 스팀노즐(250)의 단부에 일체형은 물론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첨예부(251)가 스팀노즐(250)의 단부에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첨예부(251)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첨예부(251)와 용기가압판(261)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스팀노즐(250)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inted portion 25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d of the steam nozzle 250 so that the pointed portion 251 is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end of the steam nozzle 250 to clean and maintain the pointed portion 251 The pointed portion 251 and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261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team nozzle 250 with a single body.

또한, 용기가압판(261)의 상측으로는 스팀노즐(250)이 중심을 관통하면서 외주면이 스팀커버(26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원판 형태의 스팀차단판(262)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팀차단판(262)은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분사된 스팀 중 일부가 즉석 조리용기의 외부로 배출될 때, 스팀커버(260)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후술 되는 제1조리공간(301)의 스팀 가열부(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team blocking plate 262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261 with a disk-shaped steam blocking plate 262 through which the steam nozzle 250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steam pressing plate 26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close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 cover 260. When a portion of the steam sprayed into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26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the steam blocking plate 262 is moved downward without being moved upward in the steam cover 26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heating unit 310 of the cooking space 301.

온수 생성부(270)는,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270,

전술한 본체(100)의 다른 한쪽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아래쪽 제2조리공간(302)에 놓이는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해주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온수 생성부(270)는 제1,2가이드프레임(271)(272)과, 온수공급소켓(280)과, 솔레노이드밸브(277)와, 온수노즐(290)과, 승강가이드(273)와, 정역감속모터(2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270 is arranged to supply hot water to the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lower second cooking space 302, A hot water nozzle 290, an elevation guide 273, and a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5. The guide frame 271, 272, the hot water supply socket 280, the solenoid valve 277, the hot water nozzle 290, Lt; / RTI &gt;

먼저, 제1가이드프레임(271)은 전술한 수평구획판(120)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세워져 설치되고, 상측에는 T자형 온수공급소켓(280)이 설치된다.First, the first guide frame 271 is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ing plate 120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T-shaped hot water supply socket 28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온수공급소켓(280)에서 옆쪽 연결구는 전술한 냉수 저장탱크(291)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292)에 연결되며, 아래쪽 연결구는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향하는 온수노즐(290)의 상부와 직접 연결되거나, 온수노즐(290)의 승강작용을 감안하여 신축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연결호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In the hot water supply socket 280, the sid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92 for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291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lower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nozzle 290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flexible connecting hose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ction of the hot water nozzle 290.

바람직하게 서로 연결되는 온수공급소켓(280)의 옆쪽 연결구와 온수탱크(292)는 수평구획판(120)에 세워져 설치되는 대략 ㄱ자형 제2가이드프레임(272)의 상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밸브(277)를 통해 연결되어 온수탱크(292)의 온수는 설정온도나 시간이나 설정조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77)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온수공급소켓(280)에 공급된다.The side connector and the hot water tank 292 of the hot water supply socket 280 preferab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olenoid valve 277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a substantially L- And the hot water of the hot water tank 292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socket 280 through the control of the solenoid valve 277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time and setting conditions.

온수공급소켓(280)의 아래쪽 연결구와 연결되는 온수노즐(290)은 외주면 어느 한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291)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하측 단부에는 배출공(293)이 구비된 첨예부(292)가 형성되고, 첨예부(292)는 온수노즐(290)의 하측 단부에 일체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The hot water nozzle 290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port of the hot water supply socket 280 has a rack gear 291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either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ointed portion 292 may be integrally or detachably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t water nozzle 290. [

그리고 온수노즐(290)은 외주면에 감싸지는 형태의 원통형 승강가이드(273)의 내부에서 상하 승강 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승강가이드(273)는 제2가이드프레임(272)의 측면 바깥쪽에 고정된다.The hot water nozzle 290 is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within a cylindrical elevating guide 273 which is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the elevating guide 273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272.

또한, 제2가이드프레임(272)의 측면 안쪽에는 정역감속모터(275)가 설치되며, 정역감속모터(275)의 축은 제2가이드프레임(272)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2가이드프레임(272)의 측면 바깥쪽에 위치하며, 그 단부에 피니언기어(276)가 설치된다.The axis of the forward and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5 passe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272 and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frame 272, And a pinion gear 276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이러한 피니언기어(276)는 전술한 온수노즐(290)의 랙기어(291)와 치합되며, 이를 위하여 승강가이드(273)의 측면에는 온수노즐(290)의 랙기어(291)와 피니언기어(276)가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274)이 형성된다.The rack gear 291 of the hot water nozzle 290 and the pinion gear 276 of the hot water nozzle 290 are engaged with the rack gear 291 of the hot water nozzle 290, Are formed to have an elongated hole 27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따라서, 정역감속모터(275)가 작동되어 피니언기어(276)가 회전되면 이에 치합된 랙기어(291)와 함께 온수노즐(290)이 승강가이드(273)를 따라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승강하게 되고, 온수노즐(290)이 아래쪽으로 하강하는 경우, 제2조리공간(302)에 놓이게 되는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온수노즐(290)의 첨예부(292)가 뚫고 들어가게 되며, 솔레노이드밸브(277)의 제어에 따라 온수탱크(292)에서 온수공급소켓(280)으로 이동된 온수가 온수노즐(290)을 거쳐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한 첨예부(292)의 배출공(293)으로 배출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5 is operated and the pinion gear 276 is rotated, the hot water nozzle 290 is lifted up or down along the lifting guide 273 together with the rack gear 291 engaged thereto, When the hot water nozzle 290 descends downward, the top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is penetrated by the pointed portion 292 of the hot water nozzle 290, and the solenoid valve 277 is opened, The hot water moved from the hot water tank 292 to the hot water supply socket 280 is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nozzle 290 to the discharge hole 293 of the pointed portion 292 locat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

온수 배출이 완료되면 정역감속모터(275)의 반대작동에 따라 피니언기어(276)가 반대 회전되면서 이에 치합된 랙기어(291)와 함께 온수노즐(290)이 승강가이드(273)를 따라 위쪽으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ot water discharge is completed, the pinion gear 276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normal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75, and the hot water nozzle 290 is lifted upward along the elevation guide 273 together with the rack gear 291 engaged thereto It will ascend and descend.

제2조리공간(302)에 위치하여 온수노즐(29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은 즉석 조리용기는 이후 스팀 가열부(350)를 통해 가열되어 조리가 되는 것이다.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which is located i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supplied with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nozzle 290, is heated through the steam heating unit 350 and cooked.

여기서, 즉석 조리용기는 내부의 음식물이 스팀 가열부(350)에 의한 유도가열이 될 수 있도록 유도가열체가 박판 또는 분말의 형태로 즉석 조리용기의 외부 또는 내부에 코팅처리되어 설치되거나, 즉석 조리용기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내재되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n induction heating body in the form of a thin plate or powder coat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so that the food inside can be induction heated by the steam heating unit 35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한편, 온수노즐(290)의 상하 이동거리 제어는 제1가이드프레임(271)의 후면에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온수노즐(290)로부터 연장되어 승강가이드(273)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구가 온수노즐(290)의 승강에 따라 움직이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이동거리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movement distance control of the hot water nozzle 290 is per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guide frame 271 and extending from the hot water nozzle 290 and protruding through the elevation guide 273 The movable distance can be controlled by operating the limit switch while the hot water nozzle 290 moves up and down.

스팀 가열부(310)는,The steam heating unit 310,

전술한 본체(100)의 하부 설치공간이 격벽(303)에 의해 양측으로 구분되면서 만들어지는 한쪽 제1조리공간(301)에 구성되며, 가이드레일(311)과, 왕복이동플레이트(320)와, 스팀조리 받침대(330)와, 고정가이드(312)와, 구동휠(314)과, 구동모터(316)와, 개폐도어(3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one first cooking space 301 which is divided into two sides by the partition 303. The guide rail 311, the reciprocating plate 320, And may include a steam cooking pedestal 330, a fixing guide 312, a driving wheel 314, a driving motor 316,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317.

가이드레일(311)은 전술한 제1조리공간(301)의 대향된 양측면에 마주하여 수평 하게 설치되며, 수평한 평판 형태의 왕복이동플레이트(320)는 양측에 바퀴(321)가 설치되어 전술한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1조리공간(301)의 내외부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guide rails 311 are installed horizontally opposite to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the reciprocating plates 320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are provided with wheels 321 on both sides thereof,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while being reciprocally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ail 311.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상면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멍을 통해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돌출된 아래 부분이 끼워져 설치된다.A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 and a protruding lower portion of the steam cooking pedal 330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스팀조리 받침대(330)는 내부에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홈(331)이 형성되고, 그러한 안착홈(331)의 중심에는 탈착 가능하게 배수판(332)이 설치되며, 배수판(332)에는 다수의 드레인공(333)이 형성되어 배수판(332)으로 이동된 물이 드레인공(333)으로 배출되고, 드레인공(333)으로 배출된 물은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빠져나와 외부와 연결되는 호스로 배출될 수 있다.An annular seating groove 331 is formed in the steam cooker 330 so that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seated therein. A drain plate 332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331, A plurality of drain holes 333 are formed in the drain pan 332 so that the water moved to the drain pan 332 is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333 and the 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333 flows to the center of the steam cooking pan 330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a formed hole and discharged to a hose connected to the outside.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안착홈(331)은 즉석 조리용기가 놓여질 때 끼워지는 형태가 되면서 즉석 조리용기가 스팀조리 받침대(330)로부터 쉽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스팀노즐(250)을 통해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이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될 때 즉석 조리용기가 유동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seating groove 331 of the steam cooker 3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cooking utensil 330 when the instant cooker is pla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tant cooking vessel from flowing when the high temperature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at a constant pressure.

또한, 스팀조리 받침대(330)의 바깥둘레 안쪽면에는 환형의 실링부재(334)가 설치됨에 따라 스팀커버(260)가 즉석 조리용기 쪽으로 하강 되어 스팀노즐(250)의 첨예부(251)가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한 후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때 스팀커버(260)의 하단이 실링부재(334)에 밀착되면서 스팀이 제1조리공간(301)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n annular sealing member 334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 cooker 330 so that the steam cover 260 is lowered toward the instant cooker so that the pointed portion 251 of the steam nozzle 250 is instantaneously moved When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instant cooker af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cooking vessel, the lower end of the steam cover 260 is closely attached to the sealing member 334 to prevent the steam from escaping into the first cooking space 301 You can.

한편, 스팀조리 받침대(330)가 고정되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전후 왕복이동을 위한 구동수단의 실시 예로 전술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후방에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함체 형태의 고정가이드(312)가 설치되며, 이때 고정가이드(312)의 저면에는 요철형태의 마찰돌기(313)가 형성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driving means for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 to which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 is fixed, a fixed guid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housing with an open top at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 312 are provided. At this time, a ridge-shaped ridge 31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uide 312.

그리고 고정가이드(312)의 수직 하방에는 본체(10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을 통해 구동휠(3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가이드(312)의 마찰돌기(313)와 접면되며, 이때 구동휠(314)의 외주면에는 마찰돌기(313)와 구름마찰을 일으키면서 구동휠(314)의 회전을 통해 고정가이드(312)가 양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고무링이나 우레탄링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마찰부재(315)가 감싸져 설치된다.A driving wheel 314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guide 312 through one or more bracket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ubbing protrusion 313 of the fixed guide 31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314 is frictionally engaged with the friction protrusion 313 so that the fixing guide 312 can be moved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314 while causing rolling friction, And a member 315 is wrapped around.

또한, 구동휠(314)과 고정가이드(312)의 마찰돌기(313)가 효과적으로 구름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동휠(314)을 고정가이드(312)의 마찰돌기(313)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장력조절부재(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wheel 314 is elastically pushed up toward the friction protrusion 313 of the fixing guide 312 so that the friction protrusion 313 of the driving wheel 314 and the fixing guide 312 can effectively cause rolling friction A tension adjusting member 340 may be further provided.

장력조절부재(340)의 일 예로는 어느 한쪽이 본체(100)와 결합되는 브래킷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상면이 구동휠(314)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장력플레이트(341)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력플레이트(341)가 힌지 결합된 어느 한쪽을 중심으로 다른 한쪽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며, 장력플레이트(341)의 다른 한쪽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탄성스프링(342)을 세워 설치함으로써, 탄성스프링(342)의 하단이 본체(100)의 저면에 닿아 장력플레이트(341)의 다른 한쪽 단부를 탄력적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장력플레이트(341)의 다른 한쪽에 지지되는 구동휠(314)이 상측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져 고정가이드(312)의 마찰돌기(313)와 충분히 밀착될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340 is hinged to a bracket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is horizontally installed with a tension plate 341 whose upper surface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314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plate 341 is rotat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other of the two ends of the tension plate 341. The elastic plate 342 is vertically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plate 341, The lower end of the spring 342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elastically raise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plate 341 so that the driving wheel 314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plate 341 moves upward And can be sufficien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rotrusions 313 of the fixing guide 312. [

여기서, 장력조절부재(340)의 다른 예로는 장력플레이트(341)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한쪽은 본체(100)의 브라켓에 고정시켜 두고, 다른 한쪽이 탄력적으로 구동휠(314)을 상향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340 includes a tension spring 341 formed of a leaf spring so that one of the leaf springs is fixed to the bracket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leaf spring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driving wheel 314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upward.

아울러, 전술한 구동휠(314)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316)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이러한 구동모터(316)의 회전은 센서를 이용한 회전수의 제어 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이동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제어되면서 구동모터(316)의 회전에 의한 구동휠(314)의 회전량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316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316 or by using a driving forc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314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316. [

한편, 제1조리공간(301)의 전방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전후진에 따라 제1조리공간(301)이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개폐도어(317)가 설치된다.An opening and closing door 317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cooking cavity 301 so that the first cooking cavity 301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 .

즉, 개폐도어(317)는 하부의 대향된 양측이 본체(100)에 힌지 조립되며, 본체(100)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제1조리공간(301)의 외부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개폐도어(317)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1조리공간(301)이 개방되며, 이때 스프링이 인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20)가 후진을 하게 되면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317)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1조리공간(301)은 다시 폐쇄된다.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17 is hinged to the main body 100 on opposite sides of the lower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by a spring so that the reciprocating plate 320 is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is forwardly rotated about the lower portion by the external force to open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t this time, the spring is stretched to have an elastic force,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is rotated backward about the lower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o that the first cooking space 301 is closed again.

개폐도어(317)는 표면이 불투명하거나 필요한 부위를 투명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개폐도어(317)의 표면을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리 진행 상태 및 시간 및 각종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may be opaque or a necessary part may be made transparent, and if necessary, th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may be formed in a display form so as to guide the progress of cooking, .

개폐도어(317)는 일 예로 프레임과 그러한 프레임에 결합되는 투명 수지재질 또는 유리재질 등의 마감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17 may be composed of a frame and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which is coupled to the frame.

개폐도어(317)는 전술한 예와 같이 어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회전되는 형태는 물론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단부에 개폐도어(317)가 수직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전후진에 따라 수직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본체(10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is fixed to one end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 320 may be separated from or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while maintaining a vertical shape.

스팀 가열부(350)는,The steam heating unit 350,

전술한 본체(100)의 하부 설치공간이 격벽(303)에 의해 양측으로 구분되면서 만들어지는 다른 한쪽 제2조리공간(302)에 구성되며, 가이드레일(351)과, 왕복이동플레이트(352)와, 인덕션조리대(360)와, 고정가이드(354)와, 구동휠(356)과, 구동모터(358)와, 개폐도어(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the other second cooking space 302 formed by dividing the partition wall 303 into two sides and the guide rail 351, the reciprocating plate 352, An induction cooking table 360, a fixing guide 354, a driving wheel 356, a driving motor 358,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370.

가이드레일(351)은 전술한 제2조리공간(302)의 대향된 양측면에 마주하여 수평 하게 설치되며, 수평하여 일부분이 개방된 평판 형태의 왕복이동플레이트(352)는 양측에 바퀴(353)가 설치되어 전술한 가이드레일(35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1조리공간(301)의 내외부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guide rail 351 is installed horizontally opposite to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the plate-shaped reciprocating plate 352, which is horizontal and partially opened, has wheels 353 on both side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while being recipro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guide rail 351 described above.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상면에는 인덕션조리대(360)가 설치되며, 인덕션조리대(360)는 세라믹유리판(361)과 인덕션코일(362)을 포함한다. An induction cooking table 36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The induction cooking table 360 includes a ceramic glass plate 361 and an induction coil 362. [

그리고 세라믹유리판(361)의 하부에는 세라믹유리판(361)의 발열범위가 발열될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인덕션코일(362)이 설치되며, 인덕션코일(362)은 세라믹유리판(361)에 놓여지는 즉석 조리용기의 유도가열체를 가열시킬 수 있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된다.An induction coil 362 is provided under the ceramic glass plate 361 to receive external power so that the heat generating range of the ceramic glass plate 361 can be generated. The induction coil 362 includes a ceramic glass plate 361, Is fix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for heating the induction heating body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to be placed in the cooking cavity.

한편, 인덕션조리대(360)가 고정되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전후 왕복이동을 위한 구동수단은 그 예로 전술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후방으로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함체 형태의 고정가이드(3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가이드(354)의 저면에는 요철형태의 마찰돌기(355)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means for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to which the induction cooking crockery 360 is fixed includes a fixed guide 354 (for example, a rectangular enclosure 354 which is open at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 At this time, a ridge 355 of a concave-convex shap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uide 354.

그리고 고정가이드(354)의 수직 하방에는 본체(10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을 통해 구동휠(35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가이드(354)의 마찰돌기(355)와 접면되며, 이때 구동휠(356)의 외주면에는 마찰돌기(355)와 구름마찰을 일으키면서 구동휠(356)의 회전을 통해 고정가이드(354)가 양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고무링이나 우레탄링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마찰부재(357)가 감싸져 설치된다.A driving wheel 35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guide 354 through one or more bracket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o be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protrusions 355 of the fixed guide 354,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356 is frictionally engaged with the friction protrusion 355 so that the fixed guide 354 can be moved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356 while causing rolling friction, And a member 357 is wrapped around.

또한, 구동휠(356)과 고정가이드(354)의 마찰돌기(355)가 효과적으로 구름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동휠(356)을 고정가이드(354)의 마찰돌기(355)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장력조절부재(3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wheel 356 is elastically pushed up toward the friction protrusions 355 of the fixing guide 354 so that the friction protrusions 355 of the driving wheel 356 and the fixing guide 354 can effectively cause rolling friction A tension adjusting member 380 may be further provided.

장력조절부재(380)의 일 예로는 어느 한쪽이 본체(100)와 결합되는 브래킷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상면이 구동휠(356)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장력플레이트(381)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력플레이트(381)가 힌지 결합된 어느 한쪽을 중심으로 다른 한쪽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며, 장력플레이트(381)의 다른 한쪽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탄성스프링(382)을 세워 설치함으로써, 탄성스프링(382)의 하단이 본체(100)의 저면에 닿아 장력플레이트(381)의 다른 한쪽 단부를 탄력적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장력플레이트(381)의 다른 한쪽에 지지되는 구동휠(356)이 상측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져 고정가이드(354)의 마찰돌기(355)와 충분히 밀착될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380 is hinged to a bracket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is horizontally installed with a tension plate 381 whose upper surface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356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plate 381 is rotat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other of the hinge plates 381 and 382.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plate 38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pring 382 vertically, The lower end of the spring 38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plate 381 is elastically lifted so that the driving wheel 356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plate 381 is moved upward So that it can be sufficien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rotrusion 355 of the fixing guide 354. [

여기서, 장력조절부재(380)의 다른 예로는 장력플레이트(381)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한쪽은 본체(100)의 브라켓에 고정시켜 두고, 다른 한쪽이 탄력적으로 구동휠(356)을 상향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tension adjusting member 380 includes a tension spring 381 formed of a leaf spring so that one of the leaf springs is fixed to the bracket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is elastically driven to rotate the drive wheel 356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upward.

아울러, 전술한 구동휠(356)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358)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이러한 구동모터(358)의 회전은 센서를 이용한 회전수의 제어 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이동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제어되면서 구동모터(358)의 회전에 의한 구동휠(356)의 회전량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358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of the number of rotations using a sensor or by the use of a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356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358. [

한편, 제2조리공간(302)의 전방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전후진에 따라 제2조리공간(302)이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개폐도어(370)가 설치된다.An opening and closing door 37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so that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 .

즉, 개폐도어(370)는 하부의 대향된 양측이 본체(100)에 힌지 조립되며, 본체(100)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제2조리공간(302)의 외부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개폐도어(370)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2조리공간(302)이 개방되며, 이때 스프링이 인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52)가 후진을 하게 되면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370)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2조리공간(302)은 다시 폐쇄된다.That is,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 is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by a spring so that the reciprocating plate 352 mo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 is rotated forward about the lower portion by the external force to ope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t this time, the spring is stretched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 is rotated backward about the lower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o that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is closed again.

개폐도어(370)는 표면이 불투명하거나 필요한 부위를 투명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개폐도어(370)의 표면을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리 진행 상태 및 시간 및 각종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 may be opaque or the required portion may be made transparent. If necessary, th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 may be formed in a display form so as to guide the progress of cooking, .

개폐도어(370)는 일 예로 프레임과 그러한 프레임에 결합되는 투명 수지재질 또는 유리재질 등의 마감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frame and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to be coupled to the frame.

개폐도어(370)는 전술한 예와 같이 어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회전되는 형태는 물론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단부에 개폐도어(370)가 수직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전후진에 따라 수직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본체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 is fixed to one end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in a state in which either one is fixed and the other is rotated as well a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352 may be separated or coupled from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vertical shape.

이와 같은 실시 예 1 에 따른 본 발명의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using the instant food heating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s follows.

먼저, 스팀을 이용하여 즉석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왕복이동플레이트(320)를 전진시켜 제1조리공간(301)의 개폐도어(317)를 개방시키고, 제1조리공간(301)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스팀조리 받침대(330)에 즉석 조리용기를 안착시킨 다음 왕복이동플레이트(320)를 후진시켜 개폐도어(317)를 폐쇄시킨 후 스팀노즐(250)을 하강시켜 첨예부(251)가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첨예부(251)의 분사공(252)이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팀노즐(250)을 거쳐 분사공(252)을 통해 스팀이 일정시간 동안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즉석 조리용기의 음식물을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First, when instant food is cooked using steam, the reciprocating movement plate 320 is advanced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to be taken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The reciprocating movement plate 320 is moved backward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17 and then the steam nozzle 250 is lowered to move the reciprocating movement plate 320 to the pointed position, Through the spray nozzle 252 through the steam nozzle 250 in a state where the spray nozzle 251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and the spray hole 252 of the pointed portion 251 is position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By allowing the steam to be spr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oo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cooked.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를 다시 전진시켜 제1조리공간(301)의 개폐도어(317)를 개방시키고, 제1조리공간(301)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20)의 스팀조리 받침대로(330)부터 즉석 조리용기를 분리한 후 즉석 조리용기의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하면 되는 것이다.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 is advanced again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 drawn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 And the cooked foo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consumed after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steam cooking stand of (330).

그리고 온수와 인덕션장치를 이용하여 즉석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왕복이동플레이트(352)를 전진시켜 제2조리공간(302)의 개폐도어(370)를 개방시키고, 제2조리공간(302)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인덕션조리대(360)에 유도가열체가 구비된 즉석 조리용기를 안착시킨 다음 왕복이동플레이트(352)를 후진시켜 개폐도어(370)를 폐쇄시킨 후 온수노즐(290)을 하강시켜 첨예부(292)가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첨예부(292)의 배출공(293)이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온수노즐(290)을 거쳐 배출공(293)을 통해 온수가 일정시간 동안 분사되도록 하고, 이후 인덕션조리대(360)에 구비된 인덕션코일(362)의 작동을 통해 즉석 조리용기의 유도가열체 발열되면서 즉석 조리용기의 내의 온수가 가열되어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instant food is cooked using the hot water and the induction device, the reciprocating movement plate 352 is advanced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the reciprocating movement plate 352 is moved backward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 and then the hot water nozzle 290 And the pointed portion 292 is pas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and the discharge hole 293 of the pointed portion 292 is position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The hot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hole 293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induction heater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he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coil 362 provided in the induction cooking table 360, So that the food in the cooking vessel Which will be processed.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를 다시 전진시켜 제2조리공간(302)의 개폐도어(370)를 개방시키고, 제2조리공간(302)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52)의 인덕션조리대(360)로부터 즉석 조리용기를 분리한 후 즉석 조리용기의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하면 되는 것이다.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is advanced again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an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 drawn ou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induction cooking counter 360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and then the cooked foo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consumed.

<실시예 2>&Lt; Example 2 >

본 발명의 실시 예 2 에 따른 승강식 스팀노즐을 포함하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요소는 전방에 위치한 배기덕트부(110a)를 중심으로 상하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100a)와, 그러한 본체(100a)의 상측 설치공간에 구비되는 스팀 생성부(210a)와, 온수 생성부(270a)와, 냉수 저장탱크(291a)를 포함하는 전장부(200a)와, 본체(100a) 하측 설치공간의 제1조리공간(301a)과 제2조리공간(302a)에 각각 위치하는 스팀 가열부(310a)와 스팀 가열부(350a)가 포함되는 조리부(300a)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components of the instant foo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lifting steam nozz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ain body 100a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exhaust duct part 110a located at the front, A front portion 200a including a steam generating portion 210a, a hot water generating portion 270a and a cold water storage tank 291a provided in an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00a; And a cooking unit 300a including a steam heating unit 310a and a steam heating unit 350a located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respectively. And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체(100a)는,First, the main body 100a,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외형을 이루며, 대략 사각형의 함체 형상을 가지고, 전면 중앙부위에는 가로방향으로 내부 열기를 순환시켜주는 "┘" 모양 그릴 형태의 배기덕트부(110a)가 위치하고, 그러한 배기덕트부(110a)의 후방으로 수평구획판(120a)이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수평구획판(120a)을 중심으로 상측에 전장부(200a)가 구성되고, 하측에 조리부(300a)가 구성된다.An exhaust duct portion 110a in the form of a "┘" shaped grill for circulating internal heat in a transverse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a is horizontally installed rearward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10a and the front portion 200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a and the cooking chamber 300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수평구획판(120a)은 본체(100a) 내부를 향하는 선단이 본체(100a)의 후면까지 연장되지 않고 본체(100a) 내부의 전방과 후방 사이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며, 그러한 지점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브래킷(150a)이 본체(100a) 내부의 전후를 구획한다.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a is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a without being exte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a, The vertical bracket 150a separates the front and rear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a.

따라서, 수직브래킷(150a)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후술되는 스팀 생성부(210a)와 온수 생성부(270a)와 스팀 가열부(310a)와 스팀 가열부(350a)가 위치하며, 그 후방에는 냉수 저장탱크(291a)와 온수탱크(292a)와 전원공급장치와 누전차단기와, 냉각팬과, 통신 단자와, 각종 스위치 및 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스팀 가열부(310a)와 스팀 가열부(350a)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위치된다.The steam generating unit 210a,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270a, the steam heating unit 310a, and the steam heating unit 350a are positioned forward of the vertical bracket 150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the various switches and sensors, a steam heating unit 310a and a steam heating unit 310b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he cooling fa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ank 291a, the hot water tank 292a,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driving means 350a is located.

본체(100a)는 수평구획판(120a)으로 구분되는 상측의 전장부(200a)에 스팀을 만들어주는 스팀 생성부(210a)와, 온수를 만들어주는 온수 생성부(270a)가 구비되며, 수평구획판(120a)으로 구분되는 하측의 조리부(300a)에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가열부(310a)와, 온수와 인덕션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가열부(350a)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100a is provided with a steam generator 210a for generating steam in the upper front portion 200a and a hot water generator 270a for generating hot water, which are divid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a, A steam heating unit 310a for cooking food using steam in a lower cooking zone 300a divided by a plate 120a and a steam heating zone 350a for cooking food using hot water and an induction unit .

본체(100a)의 전면 상측에는 광고 및 조리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품의 인식이나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센서 또는 코드 인식부재 등이 설치되며, 본체(100a)의 전면 하측에는 조리부(300a)의 내부 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도어(317a)(370a)가 구비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a, there is provide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dvertising and cooking, a camera or a sensor or a code recognition memb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presence of a user or the presence of a user, Closing doors 317a and 370a for individ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avity 300a.

조리부(3000a)는 본체(100a)의 전면 아래쪽에는 세로방향으로 내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격벽(303a)이 설치되며, 이러한 격벽(303a)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제1조리공간(301a)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제2조리공간(302a)이 구비된다.The cooking cavity 3000a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303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100a and a first cooking cavity 301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303a And a second cooking space 302a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즉, 제1조리공간(301a)은 본체(100a)의 측면이 한쪽 측면이 되고, 격벽(303a)이 다른 한쪽 측면이 되며, 수평구획판(120a)이 상면이 되고, 후판(130a)이 후면이 되며, 제1조리공간(301a)의 전면은 후술되는 개폐도어(317a)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That is,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has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a on one side, a partition 303a on the other side,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a on the upper surface, and a thick plate 130a on the rea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a described later.

제2조리공간(302a) 또한 제1조리공간(301a)과 대칭을 이루면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is also symmetrical with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has the same structure.

본체(100a)의 수평구획판(120a)의 하부에는 안내판(140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안내판(140a)은 전방 일단이 배기덕트부(110a)의 후면과 연결되고, 후방 타단은 제1조리공간(301a) 및 제2조리공간(302a)의 후판(130a) 안쪽면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안내판(140a)의 후방 타단이 전방 일단에 비하여 낮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제2조리공간(302a)의 후판(130a) 안쪽면에 복수의 배기통로(131a)를 형성하고, 제2조리공간(302a)의 후판(130a) 바깥면에는 배기통로(131a)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배기팬(132a)을 설치함으로써, 제2조리공간(302a)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냄새를 제2조리공간(302a)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A guide plate 140a may be further provided under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a of the main body 100a. The front end of the guide plate 140a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portion 110a and the rear end of the guide plate 140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0a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The rear end of the guide plate 140a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rear end of the guide plate 140a is lower than the front end of the guide plate 140a. 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exhaust passages 131a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0a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a plurality of exhaust fans 132a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0a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131a to generate moisture and odor generated i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Can be removed from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이러한 배기통로(131a)와 배기팬(132a)은 제1조리공간(301a)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a)의 후면에 또한 제1조리공간(301a) 또는 제2조리공간(302a)에서 배출되는 습기와 냄새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통로와 배기팬이 구비될 수 있다.The exhaust passage 131a and the exhaust fan 132a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a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or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 exhaust passage and an exhaust fan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exhausted moisture and odo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스팀 생성부(210a)는,The steam generator 210a generates steam,

전술한 본체(100a)의 한쪽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스팀을 만들어 아래쪽 제1조리공간(301a)에 놓이는 즉석 조리용기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스팀 생성부(210a)는 지지프레임(211a)과, 스팀발생기(220a)와, 정역감속모터(213a)와, 스크류부재(230a)와, 승강플레이트(240a)와, 스팀노즐(250a)과, 스팀커버(26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ing unit 210a is disposed in an upper installation sp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a and supplies steam to the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first lower cooking cavity 301a. A steam generator 220a, a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13a, a screw member 230a, a lifting plate 240a, a steam nozzle 250a, and a steam cover 260a. The frame 211a, the steam generator 220a, Lt; / RTI &gt;

먼저, 지지프레임(211a)은 전술한 수평구획판(120a)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대략 ㄷ자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승강플레이트(240a)와 스팀노즐(250a)과 스팀커버(260a) 및 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재(230a)와 너트부재(231a)가 위치한다.First, the support frame 211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ing plate 120a and includes a lifting plate 240a, a steam nozzle 250a, a steam cover 260a, And a screw member 230a and a nut member 231a for vertically moving the screw member 230a.

그리고 지지프레임(211a)의 상부에는 본체(100a)의 상면에는 매달리는 상태로 스팀발생기(220a)가 설치된다.A steam generator 220a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211a while hang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a.

스팀발생기(220a)는 일측이 냉수 저장탱크(291a)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히팅수단을 통해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온수탱크(292a)에 연결되며, 타측은 스팀노즐(250a)과 연결됨에 따라 온수탱크(292a)에서 공급된 온수는 스팀발생기(220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스팀으로 만들어진 후 스팀노즐(250a)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The steam generator 220a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92a, one side of which receives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291a and maintains the cold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ough the heating means. The oth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220a is connected to the steam nozzle 250a,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or 292a is made into high-temperature steam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team generator 220a,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nozzle 250a.

전술한 스팀발생기(220a)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A specific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steam generator 220a is as follows.

스팀발생기(220a)는 단열케이스(221a)와, 히터부재(222a)와, 열교환파이프(223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단열케이스(221a)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어 상부는 본체(100a)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부와 체결되는 하부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그러한 내부의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봉과 같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 히터부재(222a)가 설치된다.The steam generator 220a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case 221a, a heater member 222a and a heat exchange pipe 223a. The heat insulating case 221a is divided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a lower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internal space and a heater member 222a having a circular pipe shape like a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또한, 히터부재(222a)는 그 외주면에 열교환파이프(223a)가 수회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열교환파이프(223a)의 일측은 냉수 저장탱크(291a)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292a)에 연결되고, 열교환파이프(223a)의 타측은 스팀노즐(250a)의 상단과 연결된다.The heater member 222a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er member 222a in a state where the heat exchange pipe 223a is wound several times and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pipe 223a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291a,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92a,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 pipe 223a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250a.

히터부재(222a)와 열교환파이프(223a)는 주물 형태로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The heater member 222a and the heat exchange pipe 223a may be integrally formed into a casting shape,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together.

히터부재(222a)는 단열케이스(221a)의 하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를 통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바닥면에는 열교환파이프(223a)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단열케이스(221a)의 내부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된다.The heater member 222a may be installed through spacing holes so that the heater member 222a may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case 221a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heat exchanging pipe 223a may be inse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case 221a.

히터부재(222a)는 외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통전되어 발열 되며, 단열케이스(221a)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연계되어 스팀발생기(220a)의 설정 온도에 따라 작동된다.The heater member 222a is energized according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or 220a in conjunction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case 221a.

한편, 지지프레임(211a)의 상면에는 축이 수직 하부를 향하도록 정역감속모터(213a)가 설치되며, 정역감속모터(213a)의 축에는 클러치부재(290a)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스크류부재(230a)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11a, a normal / deceleration motor 213a is installed so that the shaft is directed downwardly, and a screw member (230a).

그리고 스크류부재(230a)의 하부에는 너트부재(231a)가 체결되고 그러한 너트부재(231a)에는 수평하게 승강플레이트(240a)가 설치되면서 스크류부재(230a)의 길이방향에 대해 승강플레이트(240a)는 직각을 이룬다.A nut member 231a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screw member 230a and a lifting plate 240a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nut member 231a so that the lifting plate 240a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member 230a At right angles.

바람직하게 지지프레임(211a)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42a)가 설치되고, 승강플레이트(240a)의 대향된 양측이 그러한 가이드부재(24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A pair of guide members 242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11a and the opposite sides of the lift plate 240a are slidably mounted on the guide member 242a .

따라서, 정역감속모터(213a)가 구동되면 클러치부재(290a)와 함께 스크류부재(230a)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너트부재(231a)와 승강플레이트(240a)는 정역감소모터(213a)의 축 회전방향에 의해 스크류부재(230a)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스크류부재(230a)의 회전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멈추면서 정역감속모터(213a)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는 클러치부재(290a)의 작동에 따라 정역감속모터(213a)의 축이 슬립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정역감속모터(213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screw member 230a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clutch member 290a so that the nut member 231a and the lifting plate 240a are rotated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reduction motor 213a And when the screw 223 is st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member 230a is not intended to be rotated and the overdrive motor 213a is overloaded, the clutch member 290a is operated Accordingly, the axis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a slips, thereby preventing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a from being damaged.

여기서, 클러치부재(290a)의 실시 예로는 저면의 중심으로 스크류부재(230a)의 상단이 관통 설치되는 하우징(291a)과, 그러한 하우징(291a)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292a)가 구성되고, 커버(292a)의 상면을 관통하는 정역감속모터(213a)의 축 단부와 하우징(291a)의 저면을 관통하는 스크류부재(230a)의 상단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정역감속모터(213a)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30a)에 전달되다가 스크류부재(230a)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서 정역감속모터(213a)에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연결부재가 슬립되면서 정역감속모터(213a)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30a)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an embodiment of the clutch member 290a includes a housing 291a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screw member 230a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ver 292a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91a And the upper end of the screw member 230a passing through the shaft end of the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213a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92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91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the washer,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13a is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230a and the screw member 230a is unnecessarily stopped and an overload is generated in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13a, the connecting member is slipp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213a is not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230a.

또한, 승강플레이트(240a)의 승강 높이 제어는 승강플레이트(240a)의 이동 경로상에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승강플레이트(240a)의 이동에 따라 리미트스위치가 작동되면서 정역감속모터(213a)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정역감속모터(213a)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승강플레이트(240a)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lift control of the lifting plate 240a is per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on the moving path of the lifting plate 240a and by operating the limit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ifting plate 240a, Or the elevation height of the lifting plate 240a may be controlled by sen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a.

정역감속모터(213a)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방법의 예로는 클러치부재(290a)의 상면에 정역감속모터(213a)의 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디스크(215a)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215a)와 인접한 지지프레임(211a)의 상면에는 포토센서(216a)를 설치하여 축과 함께 디스크(215a)의 회전을 포토센서(216a)가 감지하여 정역감속모터(213a)의 회전수 감지를 통해 승강플레이트(240a)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An example of a method of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a is to provide a disk 215a rotatable together with the shaft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3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utch member 290a, A photosensor 216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211a adjacent to the supporting frame 211a so that the photosensor 216a detects the rotation of the disk 215a together with the shaft and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the forward /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plate 240a can be controlled.

승강플레이트(240a)의 중심에는 수직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스팀노즐(250a)이 설치되며, 스팀노즐(250a)의 상단은 승강플레이트(240a)를 관통하여 전술한 스팀발생기(220a)의 열교환파이프(223a) 타측과 연결되고, 스팀노즐(250a)의 하단에는 분사공(252a)이 하나 이상 형성된 첨예부(251a)가 형성된다. A steam nozzle 250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downward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ifting plate 240a and the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250a passes through the lifting plate 240a to perform heat exchange of the steam generator 220a The steam nozzle 250a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223a and an acute portion 251a having one or more spray holes 252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am nozzle 250a.

여기서, 분사공(252a)은 스팀노즐(250a)을 통해 이동되는 스팀을 외부로 분사시켜주며, 첨예부(251a)는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쉽게 관통된다.Here, the spray hole 252a injects the steam moving through the steam nozzle 250a to the outside, and the pointed portion 251a easily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스팀노즐(250a)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즉석 조리용기에 집중될 수 있도록 승강플레이트(240a)의 하부에는 중심에 스팀노즐(250a)이 관통되며,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스팀커버(260a)가 설치된다.A steam nozzle 260a is disposed at a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plate 240a so that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nozzle 250a can be concentrated in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do.

따라서, 승강플레이트(240a)가 하강되면 스팀커버(260a)와 스팀노즐(250a)이 함께 하강하게 되고, 스팀커버(260a)와 스팀노즐(250a)의 첨예부(251a)는 수평구획판(120a)을 통해 아래쪽 조리부(300a)의 제1조리공간(301a)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1조리공간(301a)에 놓인 즉석 조리용기가 스팀커버(260a)에 의해 감싸지게 되면서 스팀노즐(250a)의 첨예부(251a)는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되고, 첨예부(251a)의 분사공(252a)에서 고온의 스팀이 분사되면 즉석 조리용기의 조리물이 고온의 스팀을 통해 조리되는 것이다.The steam cover 260a and the steam nozzle 250a descend together and the pointed portion 251a of the steam cover 260a and the steam nozzle 250a is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120a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is wrapped by the steam cover 260a so that the steam is supplied from the steam nozzle 250a to the cooking cavity 250a of the lower cooking cavity 300a, The pointed portion 251a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and is locat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When the hot steam is sprayed from the spray hole 252a of the pointed portion 251a, The steam will be cooked through the steam.

한편,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스팀노즐(250a)의 첨예부(251a)가 관통된 후 첨예부(251a)의 분사공(252a)으로부터 스팀이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되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가 부풀어 오르거나 덮개의 상면으로 첨예부(251a)가 관통되면서 덮개의 찢어진 부분을 통해 스팀이 빠져나갈 수 있다.When the steam is sprayed from the spray hole 252a of the pointed portion 251a through the pointed portion 251a of the steam nozzle 250a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The steam can be escaped through the torn portion of the lid while the pointed portion 251a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따라서, 스팀커버(260a)의 내부에 상기 스팀노즐(250a)이 중심에 관통되며, 외측둘레가 스팀커버(260a)의 내주면에 근접 또는 접면되도록 원판형태의 용기가압판(261a)을 설치함으로써,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 스팀노즐(250a)의 첨예부(251a)가 관통되면 첨예부(251a)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용기가압판(261a)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눌러주게 되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가 부풀어 오르거나 덮개 상면에서 첨예부(251a)에 의해 찢어진 부위를 통해 스팀의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providing a disk-shaped container pressing plate 261a inside the steam cover 260a so that the steam nozzle 250a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i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 cover 260a, When the pointed portion 251a of the steam nozzle 250a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cooking vessel,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261a, which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inted portion 251a,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welling of the lid of the lid or the escape of steam through the portion torn by the pointed portion 251a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또한, 용기가압판(261a)에는 다수의 통기공(263a)을 형성함으로써, 스팀커버(260a)가 상승하면서 용기가압판(261a)이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에서 분리될 때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63a are formed in the container pressure plate 261a so that the steam cover 260a rises and is effectively separated when the container pressure plate 261a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

한편, 첨예부(251a)는 스팀노즐(250a)의 단부에 일체형은 물론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첨예부(251a)가 스팀노즐(250a)의 단부에 탈착되도록 함으로써, 첨예부(251a)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첨예부(251a)와 용기가압판(261a)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스팀노즐(250a)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inted portion 251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d of the steam nozzle 250a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steam nozzle 250a so that the pointed portion 251a is detached from the end of the steam nozzle 250a, And the pointed portion 251a and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261a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team nozzle 250a by a single body.

또한, 용기가압판(261a)의 상측으로는 스팀노즐(250a)이 중심을 관통하면서 외주면이 스팀커버(260a)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원판 형태의 스팀차단판(262a)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팀차단판(262a)은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분사된 스팀 중 일부가 즉석 조리용기의 외부로 배출될 때, 스팀커버(260a)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후술 되는 제1조리공간(301a)의 스팀 가열부(31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team blocking plate 262a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261a to have a steam nozzle 250a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steam pressing plate 261a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am blocking plate 262a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eam cover 260a. When a part of the steam sprayed into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the steam blocking plate 262a is moved downward without being moved upward in the steam cover 260a,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heating unit 310a of the cooking space 301a.

온수 생성부(270a)는,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270a,

전술한 본체(100a)의 다른 한쪽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아래쪽 제2조리공간(302a)에 놓이는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해주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온수 생성부(270a)는 가이드프레임(271a)과, 정역감속모터(272a)와, 스크류부재(280a)와, 승강플레이트(273a)와, 온수노즐(290a)과, 솔레노이드밸브(274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270a is disposed in the other upper space of the main body 100a and supplies hot water to the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lower second cooking space 302a. A screw 262a, a screw member 280a, a lift plate 273a, a hot water nozzle 290a, and a solenoid valve 274a.

먼저, 가이드프레임(271a)은 전술한 수평구획판(120a)의 상면에 소정 높이를 가지면서 대략 ㄷ자 형태로 설치되고, 가이드프레임(271a)의 상면에는 정역감속모터(272a)가 설치되고, 가이드프레임(271a)의 내부에는 승강플레이트(273a)와, 이러한 승강플레이트(273a)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스크류부재(280a)와 너트부재(281a) 및 솔레노이드밸브(274a)가 구비된 온수노즐(290a)이 위치한다.First, the guide frame 271a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ing plate 120a in a substantially U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271a is provided with a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272a, A hot water nozzle 290a having a screw member 280a and a nut member 281a and a solenoid valve 274a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plate 273a is provided in the frame 271a, .

여기서, 승강플레이트(273a)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가이드프레임(271a)의 상면에 위치한 정역감속모터(272a)의 축은 아래를 향하고, 그러한 축에 클러치부재(290a)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스크류부재(280a)가 설치된다.Here, in order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plate 273a, the axis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72a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271a faces downward, and the screw member 271a is extended downwardly through the clutch member 290a. 280a.

그리고 스크류부재(280a)의 하부에는 너트부재(281a)가 체결되고 그러한 너트부재(281a)에는 수평하게 승강플레이트(273a)가 설치되면서 스크류부재(280a)의 길이방향에 대해 승강플레이트(273a)는 수직을 이룬다.A nut member 281a is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crew member 280a and a lifting plate 273a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nut member 281a so that the lifting plate 273a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member 280a Vertical.

바람직하게 가이드프레임(271a)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75a)를 설치하고, 승강플레이트(273a)의 대향된 양측이 상기 가이드부재(27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air of guide members 275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efer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frame 271a and the opposite sides of the lift plate 273a are slidable on the guide member 275a Or &lt; / RTI &gt;

따라서 정역감속모터(272a)가 구동되면 클러치부재(290a)와 함께 스크류부재(280a)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부재(280a)와 너트부재(281a)를 통해 연결된 승강플레이트(273a)는 정역감소모터(272a)의 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스크류부재(280a)의 회전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멈추게 되어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는 클러치부재(290a)의 작동에 따라 정역감속모터(272a)의 축이 슬립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정역감속모터(272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2a is driven, the screw member 280a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clutch member 290a so that the lifting plate 273a connected to the screw member 280a through the nut member 281a, Deceleration motor 272a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lutch member 290a when the screw member 280a is stopped in an unintended state and the overload is applied, The slip phenomenon is caused to occur, and the damage of the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272a can be prevented.

여기서, 클러치부재(290a)의 실시 예로는 저면의 중심으로 스크류부재(280a)의 상단이 관통 설치되는 하우징(291a)과, 그러한 하우징(291a)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292a)가 구성되고, 커버(292a)의 상면을 관통하는 정역감속모터(272a)의 축 단부와 하우징(291a)의 저면을 관통하는 스크류부재(280a)의 상단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정역감속모터(272a)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80a)에 전달되다가 스크류부재(280a)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서 정역감속모터(272a)에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클러치부재(290a)가 슬립되면서 정역감속모터(272a)의 회전력이 스크류부재(280a)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an embodiment of the clutch member 290a includes a housing 291a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screw member 280a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ver 292a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91a The upper end of the screw member 280a passing through the shaft end of the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272a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92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91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the washer, When the overrunning of the normal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2a occurs due to the rotation of the normal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2a being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280a and the screw member 280a unnecessarily stopping, the clutch member 290a is slip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normal / deceleration motor 272a is not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280a.

또한, 승강플레이트(273a)의 승강 높이의 제어는 승강플레이트(273a)의 이동 경로상에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고 승강플레이트(273a)의 이동에 따라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정역감속모터(272a)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정역감속모터(272a)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승강플레이트(273a)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elevation height of the elevating plate 273a i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limit switches on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ing plate 273a and is controlled by the forward and reverse decelerating motors 272a Or by sen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2a to control the elevation height of the elevating plate 273a.

정역감속모터(272a)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방법의 예로는 클러치부재(290a)의 상면에 정역감속모터(272a)의 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디스크(215a)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215a)와 인접한 가이드프레임(271a)의 상면에는 포토센서(216a)를 설치하여 축과 함께 디스크(215a)의 회전을 포토센서(216a)가 감지하여 정역감속모터(272a)의 회전수 감지를 통해 승강플레이트(273a)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An example of a method of detec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2a includes disposing a disk 215a rotatable together with the axis of the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27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utch member 290a, A photosensor 216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271a adjacent to the guide frame 271a so that the photosensor 216a detects the rotation of the disk 215a together with the shaft and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the forward /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of the plate 273a.

승강플레이트(273a)의 상면에는 상향 이격되어 솔레노이드밸브(274a)가 설치되며, 솔레노이드밸브(274a)의 일측은 온수탱크(292a)와 연결되고, 타측은 온수노즐(290a)의 상단과 연결된다.A solenoid valve 274a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73a so that one side of the solenoid valve 274a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92a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nozzle 290a.

솔레노이드밸브(274a)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온수노즐(290a)에 온수를 공급하거나 중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olenoid valve 274a serves to supply or stop the hot water to the hot water nozzle 290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온수노즐(290a)은 승강플레이트(273a)의 전방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하측 단부에는 배출공(292a)이 구비된 첨예부(291a)가 형성되고, 첨예부(291a)는 온수노즐(290a)의 하측 단부에 일체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The hot water nozzle 290a has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downward while being fixed to the front of the lifting plate 273a and a pointed portion 291a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292a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291a may be integrally or detachably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t water nozzle 290a.

온수노즐(290a)의 일측에는 공기주입니플(276a)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온수노즐(290a)을 통과하는 온수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온수노즐(290a)의 관로상에 남아 있는 물이 압력에 의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An air injection nipple 276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t water nozzle 290a to prevent water remaining on the pipe of the hot water nozzle 290a from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nozzle 290a when the supply of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nozzle 290a is interrupted It may remain by pressure.

이러한 경우, 공기주입니플(276a)을 통해 온수노즐(290a)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 압력변화를 일으켜주면 관로상에 남아 있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nozzle 290a through the air injection nipple 276a to cause a pressure change, the water remaining on the pip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전술한 정역감속모터(272a)가 작동되어 스크류부재(280a)가 회전되면 승강플레이트(273a)와 온수노즐(290a)이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승강하게 되며, 온수노즐(290a)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조리공간(302a)에 놓이게 되는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온수노즐(290a)의 첨예부(291a)가 뚫고 들어가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274a)의 제어에 따라 온수탱크(292a)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온수노즐(290a)을 거쳐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한 첨예부(291a)의 배출공(292a)으로 배출되는 것이다.When the screw member 280a is rotated by the above-described normal and reverse decelerating motor 272a, the lift plate 273a and the hot water nozzle 290a are raised or lowered upward or downward, and the hot water nozzle 290a is moved downward The pointed surface 291a of the hot water nozzle 290a penetrates the top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placed i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the hot water tank 292a is moved under the control of the solenoid valve 274a,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nozzle 290a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292a of the pointed portion 291a locat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온수 배출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밸브(274a)가 온수노즐(290a)로의 온수공급을 중단하고, 공기주입니플(276a)을 통해 온수노즐(290a)에 공기를 주입하여 온수노즐(290a)에 남아 있는 온수를 완전히 배출하고, 이후 정역감속모터(272a)를 반대로 작동시키면 스크류부재(280a)의 역회전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73a)와 온수노즐(290a)은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The solenoid valve 274a stops supplying hot water to the hot water nozzle 290a and injects air into the hot water nozzle 290a through the air injection nipple 276a to remove hot water remaining in the hot water nozzle 290a The lift plate 273a and the hot water nozzle 290a rise to the hom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280a when the normal and deceleration motor 272a is operated in reverse.

그리고 제2조리공간(302a)에 위치하여 온수노즐(290a)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은 즉석 조리용기는 이후 스팀 가열부(350a)를 통해 가열되어 조리가 되는 것이다.Then,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which is located i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receives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nozzle 290a, is heated through the steam heating unit 350a and cooked.

여기서, 즉석 조리용기는 내부의 음식물이 스팀 가열부(350a)에 의한 유도가열이 될 수 있도록 유도가열체가 박판 또는 분말의 형태로 즉석 조리용기의 외부 또는 내부에 코팅처리되어 설치되거나, 즉석 조리용기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내재되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n induction heating body coat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or a powder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so that the food inside can be induction heated by the steam heating unit 350a,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스팀 가열부(310a)는,The steam heating unit 310a,

전술한 본체(100a)의 하부 설치공간이 격벽(303a)에 의해 양측으로 구분되면서 만들어지는 한쪽 제1조리공간(301a)에 구성되며, 가이드레일(311a)과,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와, 스팀조리 받침대(330a)와, 이송가이드(314a)와, 이송연결부재(315a)와, 구동모터(319a)와 크랭크부재(318a)와, 개폐도어(317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00a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one first cooking space 301a formed by dividing the partition wall 303a into two sides and the guide rail 311a,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And may include a steam cooking pedestal 330a, a conveyance guide 314a, a conveyance connecting member 315a, a drive motor 319a, a crank member 318a,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317a.

가이드레일(311a)은 전술한 제1조리공간(301a)의 대향된 양측면에 마주하여 설치되며, 수평한 평판 형태의 왕복이동플레이트(320a)는 양측면이 전술한 가이드레일(311a)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1조리공간(301a)의 내외부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guide rails 311a are provided to fac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both sides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are fitted to the guide rails 311a,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상면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멍을 통해 스팀조리 받침대(330a)의 돌출된 아래 부분이 끼워져 설치된다.A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and a protruding lower portion of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a is fitted through the hole.

스팀조리 받침대(330a)는 내부에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홈(331a)이 형성되고, 그러한 안착홈(331a)의 중심에는 탈착 가능하게 배수판(332a)이 설치되며, 배수판(332a)에는 다수의 드레인공(333a)이 형성되어 배수판(332a)으로 이동된 물이 드레인공(333a)으로 배출되고, 드레인공(333a)으로 배출된 물은 스팀조리 받침대(330a)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n annular seating groove 331a is formed in the steam cooker 330a so that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seated therein. A drain plate 332a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331a, A plurality of drain holes 333a are formed in the drain pan 332a so that the water moved to the drain pan 332a is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333a and the 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333a flows to the center of the steam cooking pan 330a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

여기서, 스팀조리 받침대(330a)의 하부에는 배수통(340a)이 설치됨에 따라 통공을 통해 배출된 물은 이러한 배수통(340a)에 모여지게 되며, 배수통(340a)의 후면에는 배수관(341a)의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배수관(341a)의 타측은 본체(100a)의 후면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된다.The drain pipe 340a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a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s is collected in the drain pipe 340a and the drain pipe 341a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ain pipe 340a.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41a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a.

배수관(341a)은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전후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안테나와 같은 접철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rain pipe 341a is preferably of a foldable type such as an antenna so that the length of the drain pipe 34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따라서 배수통(340a)에 모여진 물은 배수관(341a)을 통해 본체(100a)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canister 340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a through the drain pipe 341a.

스팀조리 받침대(330a)의 안착홈(331a)은 즉석 조리용기가 놓여질 때 끼워지는 형태가 되면서 즉석 조리용기가 스팀조리 받침대(330a)로부터 쉽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스팀노즐(250a)을 통해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로 고온의 스팀이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될 때 즉석 조리용기가 유동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seating groove 331a of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a when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pla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tant cooking vessel from flowing when the high temperature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at a constant pressure.

또한, 스팀조리 받침대(330a)의 바깥둘레 안쪽면에는 환형의 실링부재(334a)가 설치됨에 따라 스팀커버(260a)가 즉석 조리용기 쪽으로 하강되어 스팀노즐(250a)의 첨예부(251a)가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한 후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때 스팀커버(260a)의 하단이 실링부재(334a)에 밀착되면서 스팀이 제1조리공간(301a)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n annular sealing member 334a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a so that the steam cover 260a is lowered toward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so that the pointed portion 251a of the steam nozzle 250a When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stant cooker af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cooking vessel, the lower end of the steam cover 260a is closely attached to the sealing member 334a to allow steam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

한편,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이송연결부재(315a)가 설치되며, 이송연결부재(315a)의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안내공(316a)이 관통 형성되고, 이송연결부재(315a)와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후면은 한 쌍의 이송가이드(314a)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20a)는 이송가이드(314a)의 안내를 받아 왕복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a conveying connection member 315a is provid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 guide hole 316a in the form of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linking member 315a, The connecting member 315a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air of conveying guides 314a so that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reciprocates under the guidance of the conveying guide 314a.

스팀조리 받침대(330a)가 고정되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전후 왕복이동을 위한 구동은 일 예로 본체의 수직브래킷(150a)의 뒤쪽인 제1조리공간(301a)의 뒤쪽 상부에 브래킷을 통해 구동모터(319a)가 설치되고, 구동모터(319a)의 축은 수직 하방을 향하면서 클러치부재(390a)와 연결되고 클러치부재(390a)의 저면에는 중심을 가로지르면서 크랭크부재(318a)의 일측이 연결되고, 크랭크부재(318a)의 타측은 전술한 이송연결부재(315a)의 상면 안내공(316a)에 링크 결합된다.The driving fo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to which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a is fixed is carried out through a bracket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which is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bracket 150a of the main body, A shaft of the drive motor 319a is connected to the clutch member 390a while being directed vertically downward and one side of the crank member 318a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utch member 390a, And the other side of the crank member 318a is linked to the upper surface guide hole 316a of the above-described conveying connecting member 315a.

따라서, 구동모터(319a)가 작동되면 클러치부재(390a)의 회전을 통해 클랭크부재(318a)의 일측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크랭크부재(318a)의 타측에 링크 결합된 이송연결부재(315a)가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게 되며, 이송연결부재(315a)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이송가이드(314a)의 안내를 받으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a)가 전후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 319a is operated, one side of the crank member 318a is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lutch member 390a so that the feed link member 315a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crank member 318a is advanced And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reciprocates back and forth while being guided by the conveying guide 314a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veying linking member 315a.

여기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이동 거리 조정은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이동 선상에 위치한 리미트스위치가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에 의해 동작되면서 구동모터(319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구동모터(319a)와 연결된 클러치부재(390a)의 상부에 구동모터(319a)의 축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디스크(360a)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360a)의 회전반경에 포토센서(361a)를 설치하여 구동모터(360a) 축의 회전수를 감지한 후 구동모터(319a)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319a while the limit switch on the movement lin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is operated by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As another example, a disc 360a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a clutch member 390a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19a so that the axis of the drive motor 319a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a photosensor 361a May be install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319a after sen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360a.

아울러, 클러치부재(390a)는 전술한 구동모터(319a)가 구동되어 왕복이동플레이트(320a)가 동작될 때 왕복이동플레이트(320a)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멈추게 되어 구동모터(319a)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클러치부재(390a)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319a)의 축이 슬립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구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lutch member 390a stops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in an unintended state when the driving motor 319a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nd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is operated, so that the driving motor 319a is overloaded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319a slip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lutch member 390a,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drive motor.

여기서, 클러치부재(390a)의 실시 예로는 크랭크부재(318a)의 일측 상면이 저면의 중심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하우징(391a)과, 그러한 하우징(391a)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92a)가 포함되고, 커버(392a)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동모터(319a)의 축 단부와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319a)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18a)의 일측 상면에 전달되다가 크랭크부재(318a)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서 구동모터(319a)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경우, 클러치부재(390a)가 슬립 되면서 구동모터(319a)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18a)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an embodiment of the clutch member 390a includes a housing 391a with one upper surface of the crank member 318a being fixed across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ver 392a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such a housing 391a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319a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ank member 318a via the shaft end of the driving motor 319a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92a, The clutch member 390a slips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319a is not transmitted to the crank member 318a when the drive motor 319a is overloaded due to unnecessary stop of the crank member 318a .

한편, 제1조리공간(301a)의 전방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전후진에 따라 제1조리공간(301a)이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의 전면에 개폐도어(317a)가 설치된다.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 opening / closing door 317a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즉, 개폐도어(317a)는 하부의 대향된 양측이 본체(100a)와 연결된 보조브래킷(397a)에 토션스프링과 함께 힌지 결합되며, 왕복이동플레이트(320a)가 외부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개폐도어(317a)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1조리공간(301a)이 개방되며, 이때 토션스프링이 인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20a)가 후진을 하게 되면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317a)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1조리공간(301a)은 다시 폐쇄된다.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17a is hinged to the auxiliary bracket 397a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a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with the torsion spring, and when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is advanced toward the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a is rotated forward about the lower portion to open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is stretched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when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is moved back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a is rotated backward about the lower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while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moved, so that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is closed again.

개폐도어(317a)의 안쪽에는 토션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지지브래킷(396a)이 설치되며, 지지브래킷(396a)은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돌출된 전면과 접면되는 부위가 왕복이동플레이트(320a)를 향하여 만곡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20a)가 전진하게 되면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전면이 만곡진 부위를 타고 넘게 되면서 지지브래킷(396a)과 함께 개폐도어(317a)가 전방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The supporting bracket 396a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17a by a torsion spring and the supporting bracket 396a is reciprocated by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When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is advanced, the front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20a rides over the curved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17a is opened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bracket 396a, It can be swiftly and accurately rotated forward.

토션스프링은 보조브래킷(397a)에 수평하게 설치된 가이드핀(398a)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가이드핀(398a)의 일측은 보조브래킷(397a)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396a)에 관통 고정됨에 따라 지지브래킷(396a)의 회전에 따라 토션스프링의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One or more of the guide pins 398a are fixed to the auxiliary bracket 397a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in 398a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396a through the guide bracket 396a. The torsion spring is tension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racket 396a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racket 396a.

여기서, 개폐도어(317a)는 전술한 예와 같이 어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회전되는 형태는 물론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단부에 개폐도어(317a)가 수직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전후진에 따라 수직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본체(100a)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a is configured such that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317a is fixed and the other is rotated as well as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a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in a vertical form,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ed or coupled from the main body 100a while keeping the vertical shap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late 320a.

스팀 가열부(350a)는,The steam heating unit 350a,

전술한 본체(100a)의 하부 설치공간이 격벽(303a)에 의해 양측으로 구분되면서 만들어지는 다른 한쪽 제2조리공간(302a)에 구성되며, 가이드레일(351a)과,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와, 인덕션조리대(360a)와, 이송가이드(357a)와, 이송연결부재(354a)와, 구동모터(358a)와, 크랭크부재(356a)와, 개폐도어(37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100a is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second cooking spaces 302a formed by dividing the partition wall 303a into two sides and the guide rail 351a and the reciprocating plates 352a, An induction cooking table 360a, a conveying guide 357a, a conveying connecting member 354a, a driving motor 358a, a crank member 356a,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370a.

가이드레일(351a)은 전술한 제2조리공간(302a)의 대향된 양측면에 마주하여 설치되며, 수평한 평판 형태의 왕복이동플레이트(352a)는 양측면이 전술한 가이드레일(351a)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2조리공간(302a)의 내외부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guide rails 351a are provided to fac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both sides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in the form of a horizontal flat plate are fitted in the guide rail 351a,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상면에는 안착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안착구멍을 통해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된다.A seat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and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seated through the seating hole.

안착구멍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ating holes may be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o enable the ready-to-cook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o be seated.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하부에는 인덕션조리대(360a)가 설치되며, 인덕션조리대(360a)는 세라믹유리판(361a)과 인덕션코일(362a)을 포함한다.An induction cooking table 360a is installed below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and an induction cooking table 360a includes a ceramic glass plate 361a and an induction coil 362a.

세라믹유리판(361a)은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세라믹유리판(361a)의 중심은 안착구멍의 중심과 서로 일치된다.The ceramic glass plate 361a is provided below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and the center of the ceramic glass plate 361a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seating hole.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와 세라믹유리판(361a)의 상하 간격은 설정된 높이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안착구멍에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 되면서 즉석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세라믹유리판(361a)에 접면될 필요가 있다.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and the ceramic glass plate 361a becaus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seated in the seating hol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It is necessary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361a.

세라믹유리판(361a)의 하부에는 인덕션조리대(360a)를 구성하는 인덕션코일(362a)이 설치되며, 이러한 인덕션코일(362a)은 세라믹유리판(361a)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즉석식품 조리용기를 유도가열방식으로 가열시켜준다.An induction coil 362a constituting an induction cooking table 360a is provided below the ceramic glass plate 361a and the induction coil 362a is used for induction heating cooking container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ramic glass plate 361a, .

이때,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부에는 인덕션코일(362a)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유도가열체가 박판 또는 분말의 형태로 구비될수 있으며,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바닥 또는 측면에 유도가열체를 설치된 후 코팅 처리시켜 구성하거나, 유도가열체를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내면과 바깥면 사이의 내재되는 심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duction heating body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or powder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induction-heat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362a in the interior of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And the induction heating bod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mbedded cor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한편,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이송연결부재(354a)가 설치되며, 이송연결부재(354a)의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안내공(355a)이 관통 형성되고, 이송연결부재(354a)와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후면은 한 쌍의 이송가이드(357a)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52a)는 이송가이드(357a)의 안내를 받아 왕복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a conveying linking member 354a is provid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guide hole 355a in the form of a slot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linking member 354a, The connecting member 354a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air of conveying guides 357a so that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reciprocates under the guidance of the conveying guide 357a.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전후 왕복이동을 위한 구동은 일 예로 본체(100a)의 수직브래킷(150a)의 뒤쪽인 제2조리공간(302a)의 뒤쪽 상부에 브래킷을 통해 구동모터(358a)가 설치되고, 구동모터(358a)의 축은 수직 하방을 향하면서 클러치부재(390a)와 연결되고 클러치부재(390a)의 저면에는 중심을 가로지르면서 크랭크부재(356a)의 일측이 연결되고, 크랭크부재(356a)의 타측은 전술한 이송연결부재(354a)의 상면 안내공(355a)에 링크 결합된다.The drive for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is carried out by driving motor 358a through a bracket at the upper part of the rear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which is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bracket 150a of the main body 100a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358a is vertically downwardly connected to the clutch member 390a and one side of the crank member 356a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utch member 390a across the center and the crank member 356a Is linked with the upper surface guide hole 355a of the above-described conveying connection member 354a.

따라서, 구동모터(358a)가 작동되면 클러치부재(390a)의 회전을 통해 클랭크부재(356a)의 일측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크랭크부재(356a)의 타측에 링크 결합된 이송연결부재(354a)가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게 되며, 이송연결부재(354a)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이송가이드(357a)의 안내를 받으면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a)가 전후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rive motor 358a is operated, one side of the crank member 356a is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lutch member 390a so that the feed link member 354a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crank member 356a is advanced And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reciprocates back and forth while being guided by the conveying guide 357a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veying linking member 354a.

여기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이동 거리 조정은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이동 선상에 위치한 리미트스위치가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에 의해 동작되면서 구동모터(358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구동모터(358a)와 연결된 클러치부재(390a)의 상부에 구동모터(358a)의 축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디스크(360a)를 설치하고, 그러한 디스크(360a)의 회전반경에 포토센서(361a)를 설치하여 구동모터(358a) 축의 회전수를 감지한 후 구동모터(358a)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movement distance adjustment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358a while the limit switch located on the moving lin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is operated by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As another example, a disc 360a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lutch member 390a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58a so that the axis of the drive motor 358a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a photosensor 361a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rotation speed of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358a an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358a.

아울러, 클러치부재(390a)는 전술한 구동모터(358a)가 구동되어 왕복이동플레이트(352a)가 동작될 때 왕복이동플레이트(352a)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멈추게 되어 구동모터(358a)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클러치부재(390a)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358a)의 축이 슬립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구동모터(358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lutch member 390a stops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in an unintended state when the above-described driving motor 358a is driven to operate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so that the driving motor 358a is overloaded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358a slip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lutch member 390a, and damage to the drive motor 358a can be prevented.

여기서, 클러치부재(390a)의 실시 예로는 크랭크부재(356a)의 일측 상면이 저면의 중심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하우징(391a)과, 그러한 하우징(391a)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92a)가 포함되고, 커버(392a)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동모터(358a)의 축 단부와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358a)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56a)의 일측 상면에 전달되다가 크랭크부재(356a)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서 구동모터(358a)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경우, 클러치부재(390a)가 슬립 되면서 구동모터(358a)의 회전력이 크랭크부재(356a)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an embodiment of the clutch member 390a includes a housing 391a with one upper surface of the crank member 356a being fixed across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ver 392a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such a housing 391a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358a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ank member 356a via the shaft end of the driving motor 358a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92a, The clutch member 390a slips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358a is not transmitted to the crank member 356a when the drive motor 358a is overloaded due to unnecessary stop of the crank member 356a .

한편, 제2조리공간(302a)의 전방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전후진에 따라 제2조리공간(302a)이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0a)의 전면에 개폐도어(370a)가 설치된다.An opening and closing door 370a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a so that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in fron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

즉, 개폐도어(370a)는 하부의 대향된 양측이 본체(100a)와 연결된 보조브래킷(397a)에 토션스프링과 함께 힌지 결합되며, 왕복이동플레이트(352a)가 외부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개폐도어(370a)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제2조리공간(302a)이 개방되며, 이때 토션스프링이 인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왕복이동플레이트(352a)가 후진을 하게 되면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서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370a)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제2조리공간(302a)은 다시 폐쇄된다.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a is hinged to the auxiliary bracket 397a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a at the lower side by the torsion spring, and when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is advanced toward the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a is rotated forward about the lower portion to open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is stretched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when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is moved backward And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is closed again by rot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a about the lower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while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moved.

개폐도어(370a)의 안쪽에는 토션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지지브래킷(396a)이 설치되며, 지지브래킷(396a)은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전면과 접면되는 부위가 왕복이동플레이트(352a)를 향하여 만곡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왕복이동플레이트(352a)가 전진하게 되면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전면이 만곡진 부위를 타고 넘게 되면서 지지브래킷(396a)과 함께 개폐도어(370a)가 전방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A support bracket 396a supported by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a and a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396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is moved towar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When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is advanced, the front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352a rides over the curved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a is moved forward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bracket 396a It can be rotated quickly and accurately.

토션스프링은 보조브래킷(397a)에 수평하게 설치된 가이드핀(398a)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가이드핀(398a)의 일측은 보조브래킷(397a)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브래킷(396a)에 관통 고정됨에 따라 지지브래킷(396a)의 회전에 따라 토션스프링이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One or more of the guide pins 398a are fixed to the auxiliary bracket 397a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in 398a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396a through the guide bracket 396a. The torsion spring is stretched or compres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racket 396a to have an elastic force.

여기서, 개폐도어(370a)는 전술한 예와 같이 어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회전되는 형태는 물론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단부에 개폐도어(370a)가 수직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의 전후진에 따라 수직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본체(100a)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a is configured such that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370a is fixed and the other is rotated as well as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a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ed or coupled from the main body 100a while keeping the vertical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late 352a.

이와 같은 실시 예 2 에 따른 본 발명의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using the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스팀을 이용하여 즉석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왕복이동플레이트(320a)를 전진시켜 제1조리공간(301a)의 개폐도어(317a)를 개방시키고, 제1조리공간(301a)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스팀조리 받침대(330a)에 즉석 조리용기를 안착시킨 다음 왕복이동플레이트(320a)를 후진시켜 개폐도어(317a)를 폐쇄시킨 후, 스팀노즐(250a)을 하강시켜 첨예부(251a)가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첨예부(251a)의 분사공(252a)이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팀노즐(250a)을 거쳐 분사공(252a)을 통해 스팀이 일정시간 동안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즉석 조리용기의 음식물을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First, when instant food is cooked by using steam,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is advanced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a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the food is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The instantaneous cooking vessel is mounted on the steam cooking pedestal 330a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and then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is moved backward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17a and then the steam nozzle 250a is lowered, The spray hole 252a passes through the steam nozzle 250a in a state in which the spray nozzle 251a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and the spray hole 252a of the pointed portion 251a is position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The steam is spr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foo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cooked.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20a)를 다시 전진시켜 제1조리공간(301a)의 개폐도어(317a)를 개방시키고, 제1조리공간(301a)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20a)의 스팀조리 받침대(330a)로부터 즉석 조리용기를 분리한 후 즉석 조리용기의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하면 되는 것이다.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is advanced again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17a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20a drawn out of the first cooking space 301a, And then the cooked foo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consumed after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steam cooking cradle 330a.

그리고 온수와 인덕션장치를 이용하여 즉석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왕복이동플레이트(352a)를 전진시켜 제2조리공간(302a)의 개폐도어(370a)를 개방시키고, 제2조리공간(302a)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52a)에 즉석 조리용기를 안착시킨 다음 왕복이동플레이트(352a)를 후진시켜 개폐도어(370a)를 폐쇄시킨 후, 온수노즐(290a)을 하강시켜 첨예부(291a)가 즉석 조리용기의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첨예부(291a)의 배출공(292a)이 즉석 조리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온수노즐(290a)을 거쳐 배출공(292a)을 통해 온수가 일정시간 동안 분사되도록 하고, 이후 인덕션조리대(360a)에 구비된 인덕션코일(362a)의 작동을 통해 즉석 조리용기의 유도가열체가 발열되면서 즉석 조리용기의 내의 온수가 가열되어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instant food is cooked by using the hot water and the induction device, the reciprocating movement plate 352a is advanced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a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the reciprocating movement plate 352a is moved backward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70a and then the hot water nozzle 290a is lowered so that the pointed portion 291a The hot water passes through the hot water nozzle 290a through the discharge hole 292a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292a of the pointed portion 291a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And then the induction heating body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is he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coil 362a provided in the induction cooking counter 360a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instant cooking vessel is heated so that the food in the cooking vessel can be cooked will be.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왕복이동플레이트(352a)를 다시 전진시켜 제2조리공간(302a)의 개폐도어(370a)를 개방시키고, 제2조리공간(302a)의 외부로 인출된 왕복이동플레이트(352a)로부터 즉석 조리용기를 분리한 후 즉석 조리용기의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하면 되는 것이다.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is advanced again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oor 370a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the reciprocating moving plate 352a drawn ou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302a, And then the cooked food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consumed.

이러한 본 발명은 냉동 처리된 즉석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온수 및 인덕션가열방식과 스팀을 이용한 가열방식으로 선택되는 즉석조리가 가능하고, 스팀 가열부와 스팀 가열부가 서로 격리되어 개폐 가능한 독립적인 밀폐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열기는 전장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기되게 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를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oking a frozen instant food, which can be cooked by hot water, induction heating, or a steam heating method, wherein the steam heating unit and the steam heating unit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So that moisture and heat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introduced into the full length part, and can be recovered.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instant food cooking apparatus having an elevating steam nozz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Therefore, the scope of the disclosed content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00,100a : 본체 110,110a : 배기덕트부
120,120a : 수평구획판 130,130a : 후판
131,131a : 배기통로 132,132a : 배기팬
140,140a : 안내판 150a : 수직브래킷
200,200a : 전장부 210,210a : 스팀 생성부
211 : 제1지지프레임 211a : 지지프레임
212 : 제2지지프레임 213,213a : 정역감속모터
214,214a : 구동기어 215a : 디스크
216a : 포토센서 220,220a : 스팀발생기
221 : 베이스판 222 : 발열판
223 : 발열커버 225 : 히터부재
226 : 스팀생성통로 227 : 내열실링부재
228 : 물공급니플 229 : 스팀배출니플
221a : 단열케이스 222a : 히터부재
223a : 열교환파이프 230a : 스크류부재
231a : 너트부재 240,240a : 승강플레이트
241 : 고정클램프 242,242a : 가이드부재
250,250a : 스팀노즐 251,251a : 첨예부
252,252a : 분사공 260,260a : 스팀커버
261,261a : 용기가압판 262,262a : 스팀차단판
263,263a : 통기공 270,270a : 온수 생성부
271 : 제1가이드프레임 272 : 제2가이드프레임
271a : 가이드프레임 273a : 승강플레이트
274a : 솔레노이드밸브 275a : 가이드부재
276a : 공기주입니플 277 : 솔레노이드밸브
280 : 온수공급소켓 280a : 스크류부재
281a : 너트부재 290,290a : 온수노즐
273 : 승강가이드 274 : 장공
275,272a : 정역감속모터 276 : 피니언기어
291 : 랙기어 292,291a : 첨예부
293,292a : 배출공 300,300a : 조리부
301,301a : 제1조리공간 302,302a : 제2조리공간
303,303 : 격벽 310,310a : 스팀 가열부
311,311a,351,351a : 가이드레일 320,320a,352,352a : 왕복이동플레이트
312,354 : 고정가이드 313,355 : 마찰돌기
314,356 : 구동휠 315,357 : 마찰부재
314a,357a : 이송가이드 315a,354a : 이송연결부재
316a,355a : 안내공 318a,356a : 크랭크부재
316,319a,358,358a : 구동모터 317,317a,370,370a : 개폐도어
330,330a : 스팀조리 받침대 331,331a : 안착홈
332,332a : 배수판 333,333a : 드레인공
334,334a : 실링부재 340a : 배수통
341a : 배수관 350,350a : 스팀 가열부
360,360a : 인덕션조리대 361,361a : 세라믹유리판
362,362a : 인덕션코일 340,380 : 장력조절부재
341,381 : 장력플레이트 342,382 : 탄성스프링
390a : 클러치부재 391a : 하우징
392a : 커버 396a : 지지브래킷
397a : 보조브래킷 398a : 가이드핀
100, 100a: main body 110, 110a: exhaust duct part
120, 120a: horizontal partition plate 130, 130a:
131, 131a: exhaust passage 132, 132a: exhaust fan
140, 140a: guide plate 150a: vertical bracket
200, 200a: total books 210, 210a: steam generator
211: first support frame 211a: support frame
212: second support frame 213, 213a: normal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14, 214a: drive gear 215a: disk
216a: Photo sensor 220, 220a: Steam generator
221: base plate 222: heating plate
223: heating cover 225: heater member
226: steam generating passage 227: heat-resistant sealing member
228: Water supply nipple 229: Steam discharge nipple
221a: Heat insulating case 222a: Heater member
223a: Heat exchange pipe 230a: Screw member
231a: Nut member 240, 240a: Lift plate
241: Fixing clamp 242, 242a: Guide member
250, 250a: steam nozzle 251, 251a:
252,252a: spray hole 260,260a: steam cover
261, 261a: vessel pressure plate 262, 262a:
263,263a: vent hole 270,270a: hot water generating part
271: first guide frame 272: second guide frame
271a: Guide frame 273a: Lift plate
274a: Solenoid valve 275a: Guide member
276a: air injection nipple 277: solenoid valve
280: hot water supply socket 280a: screw member
281a: nut member 290,290a: hot water nozzle
273: lift-up guide 274:
275,272a: normal / reverse deceleration motor 276: pinion gear
291: rack gears 292, 291a:
293,292a: exhaust hole 300,300a:
301, 301a: first cooking space 302, 302a: second cooking space
303, 303: partition walls 310, 310a:
311, 311a, 351, 351a: guide rails 320, 320a, 352, 352a:
312, 354: fixed guide 313, 355:
314, 356: drive wheels 315, 357: friction member
314a, 357a: conveying guides 315a, 354a:
316a, 355a: guide ball 318a, 356a: crank member
316, 319a, 358, 358a: Driving motor 317, 317a, 370, 370a:
330, 330a: Steam cooking stand 331, 331a:
332,332a: Drain plate 333, 333a: Drainer
334, 334a: sealing member 340a:
341a: Drain pipe 350, 350a: Steam heating part
360,360a: Induction cooking counter 361,361a: Ceramic glass plate
362,362a: Induction coil 340,380: tension adjusting member
341,381: tension plate 342,382: elastic spring
390a: clutch member 391a: housing
392a: cover 396a: support bracket
397a: auxiliary bracket 398a: guide pin

Claims (30)

전방 배기덕트부의 후방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구획판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스팀 생성부와 온수 생성부와 냉수 저장탱크가 포함되는 전장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격벽으로 양분되어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되는 제1조리공간에 형성된 스팀 가열부와, 유도가열체를 가지는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되는 제2조리공간에 형성된 인덕션 가열부가 포함되는 조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생성부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스팀노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A main body having upper and lower mounting spaces provid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horizontally installed rearward of the front exhaust duct portion;
A front portion located in an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steam generating portion, a hot water generating portion, and a cold water storage tank; And
A steam heating unit disposed in a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and being divided into a first cooking cavity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is put in and out and a second cooking cavity formed in the second cooking cavity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A cooking unit including an induction heating unit;
/ RTI &gt;
Wherein the steam generating unit includes a steam nozzle which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하부에 경사진 안내판을 설치하되, 상기 안내판의 일단은 상기 배기덕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덕트부와 대향되는 상기 제1조리공간 및 제2조리공간의 후판 안쪽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sloping guide plat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wherein one end of the guide plat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oking space facing the exhaust duct portion, Wherein the steam nozzle is connected to the steam nozz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공간의 후판 안쪽면에는 배기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2조리공간의 후판 바깥면에는 상기 배기통로와 연결되는 배기팬이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exhaust fan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lat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late of the second cooking spa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exhaust fan, Heating cooker.
제 1 항에 있어서,
스팀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제1,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팀발생기;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감속모터;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구동벨트가 포함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벨트의 일측에 고정클램프를 통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스팀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수직방향 아래쪽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 분사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상기 스팀노즐;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스팀노즐이 상면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스팀커버;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am-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steam genera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normal / reverse deceleration mo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drive gear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a driven gear provided below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a drive belt connected to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A lifting plate horizon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belt through a fixing clamp;
A steam nozzl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lift plate and having an injection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cylindrical steam cov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ft plate, the steam nozz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eam nozzle,
Wherein the steam nozzle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대향된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대향된 양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guid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both opposite sides of the lift plate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member. Immediate food heating cook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커버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스팀노즐이 중심에 관통되는 용기가압판이 설치되고, 상기 용기가압판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am cover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pressurizing plate through which the steam nozzle passes, and at least one vent hole is formed in the container pressurizing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압판은 상기 스팀노즐의 첨예부 외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가압판과 첨예부는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스팀노즐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ainer presser plate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inted portion of the steam nozzle and the container presser plate and the pointed portion are assembled together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team nozzle together or separate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조립되며, 내부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조립되며, 내부에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히터부재가 매입 설치되고, 표면에는 상기 히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스팀생성통로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면의 테두리에는 내열실링부재가 구비되는 발열판; 및
상기 발열판의 상면에 상기 내열실링부재를 통해 기밀이 유지되면서 결합되고, 상면 한쪽에는 상기 냉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와 연결된 물공급니플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관통되어 상기 스팀생성통로의 한쪽에 연결되며, 상면 다른 한쪽에는 상기 스팀노즐의 상단과 연결된 스팀배출니플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관통되어 상기 스팀생성통로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는 발열커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am generator includes:
A base plate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having a temperature sensor therein;
A plurality of heater members which are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team generating passag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base plate with the heat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 heating plate having a sealing member; And
The water supply nippl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for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kept in a hermetic state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while being kept airtight through the heat resistant sealing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A heating co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passage and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passage with the steam discharge nipp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being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passage;
Wherein the steam cooking nozzle has a lifting steam nozz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1,2가이드프레임;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온수공급소켓;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냉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공급소켓을 연결시켜주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온수공급소켓에 상부가 연결되고, 측면 일부분에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하부는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배출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온수노즐;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측면 바깥쪽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측면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의 측면 바깥쪽으로 관통되는 축에 피니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정역감속모터;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t-
First and second guide fram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hot water supply socke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frame;
A solenoid valv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to connect the hot water tank to mainta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hot water supply socket;
A hot water nozzle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socket, a rack gear formed at a side portion thereof, a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acute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with a discharge hole;
A lifting guide installed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rack gear; And
A forward / reverse decelerating motor installed inside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frame and provided with a pinion gear on an axis passing through a sid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frame, the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rack gear;
Wherein the steam nozzle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상기 랙기어를 이격되어 감싸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가이드의 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ifting guid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surround the rack gear and a long hole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so that the pinion gear can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Instant food cook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소켓과 온수노즐의 상부는 신축이 가능한 연결호스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hot water supply socket and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nozzle are connected by a flexible hos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부는,
상기 제1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는 왕복이동플레이트;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환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중심에는 드레인공을 가진 배수판이 구비되며, 바깥둘레 안쪽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스팀조리 받침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고, 저면에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고정가이드;
상기 고정가이드의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되는 외주면이 상기 마찰돌기와 구름마찰을 일으키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1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am heating unit includes:
A guide rail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oking space;
A reciprocating plat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moves in and out of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spaces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 annular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so that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seated and fixed therein, a drain plate having a drain hole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A steam cooker with members installed therein;
A fixed guide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having a friction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drive wheel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guide and having a rotat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ausing rolling friction with the friction protrusions;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s; And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are hingedly assembled in front of the first cooking space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for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to open the first cooking space,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closing the first cooking space by being rotated backward with a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 backward movement;
Wherein the steam nozzle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부는,
제2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는 왕복이동플레이트;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방 일부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는 세라믹유리판과, 상기 세라믹 유리판의 하부에는 이격되어 설치되는 인덕션코일이 포함된 인덕션조리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고, 저면에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고정가이드;
상기 고정가이드의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되는 외주면이 상기 마찰돌기와 구름마찰을 일으키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2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am heating unit includes:
Guide rails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cooking space, respectively;
A reciprocating mov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move in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 induction cooking utensil comprising a ceramic glass plat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the induction coil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eramic glass plate;
A fixed guide extending from the rear of the reciprocating plate and having a friction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drive wheel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guide and having a rotat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ausing rolling friction with the friction protrusions;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s; And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are hingedly assembled in fron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for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to open the second cooking space,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rotates rearward to close the second cooking space with a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 backward operation;
Wherein the steam nozzle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의 외주연에는 마찰부재가 환형으로 감싸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And a friction member is install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wheel.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스프링을 통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장력조절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가이드의 마찰돌기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The drive wheel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seated on a tension adjusting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hrough a spring and upward, and is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rotrusions of the fixing guide.
전방 배기덕트부의 후방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구획판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며, 전방과 후방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브래킷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설치공간 앞쪽에 위치하는 스팀 생성부 및 온수 생성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설치공간 뒤쪽에 위치하는 냉수 저장탱크가 포함되는 전장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설치공간에 위치하며, 격벽으로 양분되어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하는 제1조리공간에 형성된 스팀 가열부와, 유도가열체를 가지는 즉석식품 조리용기가 출입되는 제2조리공간에 형성된 스팀 가열부가 포함되는 조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생성부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스팀노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A main body having a mounting space at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exhaust duct portion and a vertical bracket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 steam generation unit and a hot water generation unit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cold water storage tank including a cold water storage tank located behind the upp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steam heating unit disposed in a lower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divided into a partition and divided into a first cooking cavity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enters and exits and a second cooking cavity formed in the second cooking cavity through which the instant food cooking vessel having the induction heating body enters and exits A cooking unit including a steam heating unit;
/ RTI &gt;
Wherein the steam generating unit includes a steam nozzle which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스팀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 및 냄새가 전방의 상기 배기덕트부 및 후방의 배기통로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 가열부의 상측에 안내판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guide plate is installed horizontally above the steam heating unit so that the moisture and odor generated in the steam heating unit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exhaust duct part and the exhaust passage in the front side of the steam heating part. Instant food cook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부와 대향되는 상기 배기통로는 서로 높이차를 이루고, 상기 안내판은 상기 배기덕트부와 상기 배기통로에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배기통로의 후면에는 배기팬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Wherein the exhaust ducts are opposed to the exhaust ducts, the guide ducts are inclined to the exhaust ducts and the exhaust ducts, and at least one exhaust fan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xhaust ducts. An instant food heat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ing steam nozzle.
제 16 항에 있어서,
스팀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감속모터;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부재;
상기 스크류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통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스팀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수직방향 아래쪽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 분사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스팀노즐;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노즐이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스팀커버;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am-
A support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steam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 normal / reverse deceleration mo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 screw member extending downward through a clutch member on an axis of the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A lifting plate horizontally connected through a nut member fastened to the screw member;
A steam nozzl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lifting plate and having an injection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cylindrical steam cover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the steam nozzle having a center through which the steam nozzle is housed,
Wherein the steam nozzle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대향된 양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 guid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and both opposite sides of the lift plate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member. Cooking devi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커버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스팀노즐이 중심에 관통되는 스팀차단판과 용기가압판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용기가압판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 steam blocking plate and a container pressing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steam cover and the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container pressing plate. Heating cooke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압판은 상기 스팀노즐의 첨예부 외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가압판과 첨예부는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스팀노즐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ontainer presser plate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inted portion of the steam nozzle and the container presser plate and the pointed portion are assembled together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team nozzle together or separately.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본체의 상판 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단열케이스;
상기 단열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히터부재; 및
상기 히터부재의 외주연에 다수회로 감겨져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냉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온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팀노즐의 상단과 연결되는 열교환파이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am generator includes:
A heat insulating cas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temperature sensor therein;
A heater member installed longitudinally inside the heat insulating case; And
A heat exchange pipe connect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heater member and connected to a hot water tank for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storage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team nozzle;
Wherein the steam cooking nozzle has a lifting steam nozzle.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재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히터부재와 상기 열교환파이프는 일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heater member has a circular pipe shape, and the heater member and the heat exchange pipe are integrally forme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생성부는,
상기 수평구획판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감속모터;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부재;
상기 스크류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통해 수평하게 연결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한쪽에 결합되며,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하단에 배출공이 형성된 첨예부가 구비되는 상기 온수노즐;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측은 온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수노즐의 상단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ot-
A guide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 normal / reverse deceleration mo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A screw member extending downward through a clutch member on an axis of the forward / reverse reduction motor;
A lifting plate horizontally connected through a nut member fastened to the screw member;
A hot water nozz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plate and extending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olenoid valv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the solenoid valv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nozzle;
Wherein the steam cooking nozzle has a lifting steam nozzle.
제 19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재는,
저면의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이 관통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축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관통하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상단이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부재에 전달되다가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과부하시 상기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부재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2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r 25,
Wherein the clutch member comprises:
And a cover coupled to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crew member passing through an axial end portion of the normal and reverse decelerating motor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washer through a plurality of leaf springs, Wherein the screw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motor is overloaded, the rotatio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screw member.
제 19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와 마주하는 한쪽에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포토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2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r 25,
Wherein a dis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centers thereof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 photosensor is installed on one side facing the disk to detec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isk.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부는
상기 제1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는 왕복이동플레이트;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환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중심에는 드레인공을 가진 배수판이 구비되며, 바닥면의 하부에는 소정 깊이의 배수통이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의 일부분과 연통되고, 상기 배수통의 후면에는 본체의 후방으로 관통 연장되는 배수관이 구비되며, 상측 외측둘레 안쪽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스팀조리 받침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가이드;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단부를 서로 연결해주며, 상면에는 장공형태의 안내공이 구비된 이송연결부재;
상기 제1조리공간 위쪽에 후방에 위치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는 크랭크부재; 및
상기 제1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am heating unit
A guide rail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oking space;
A reciprocating plat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moves in and out of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spaces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 annular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plate so that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n be seated and fixed therein, a drain plate having a drain hole is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And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ipe, the drain pipe extending through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One or more transport guides provided behind the reciprocating plate;
A conveyanc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ends of the conveyance guide facing the reciprocating plate to each other and having a guide hole in the form of a long hole;
A driving motor positioned rearward above the first cooking space;
A crank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shaft of the drive motor through a clutch member and the other end movably linked along the guide hole; And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are hingedly assembled in front of the first cooking space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for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to open the first cooking space,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closing the first cooking space by rotating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in a backward direction with a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 backward movemen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부는,
제2조리공간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조리공간 내외부를 출입하며, 중심부에는 즉석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안착구멍이 형성된 왕복이동플레이트;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세라믹유리판과, 상기 세라믹유리판 하부에서 설치되는 인덕션코일을 포함하는 인덕션조리대;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가이드;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단부를 서로 연결해주며, 상면에는 장공 형태의 안내공이 구비된 이송연결부재;
상기 제2조리공간 위쪽에 후방에 위치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클러치부재를 통해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는 크랭크부재; 및
상기 제2조리공간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와 하부가 힌지 조립되며,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부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개방시키고, 상기 왕복이동플레이트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가 복원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조리공간을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am heating unit includes:
Guide rails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cooking space, respectively;
A reciprocating moving plat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move in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d having a seating hole in which an instant cooking container is seated;
An induction cooker including a ceramic glass plate provided below the reciprocating plate, and an induction coil provided below the ceramic glass plate;
One or more transport guides provided behind the reciprocating plate;
A conveyanc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ends of the conveyance guide facing the reciprocating plate to each other and having a guide hole in the form of a long hole;
A driving motor positioned rearward above the second cooking space;
A crank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shaft of the drive motor through a clutch member and the other end movably linked along the guide hole; And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are hingedly assembled in front of the second cooking space,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for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plate to open the second cooking space,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closing the second cooking space by rotating the upper portion in a backward direction with a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 backward movement.
제 28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재는,
상기 크랭크부재의 일측 상면이 저면의 중심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하우징과, 그러한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 단부와 연결부재와 와셔와 복수의 판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크랭크부재의 일측 상면에 전달되다가 크랭크부재가 불필요하게 정지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경우, 상기 클러치부재가 슬립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크랭크부재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30. The method of claim 28 or 29,
Wherein the clutch member comprises:
And 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wherein a shaft end portion of the driving motor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 connecting member, a washer, and a plurality of And the crank member is unnecessarily stopped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crank member and the overload is generated in the driving motor,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rank member. &Lt; RTI ID = 0.0 &gt; 18. &lt; / RTI &gt;






KR1020160064031A 2016-03-18 2016-05-25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KR2017010919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2494 2016-03-18
KR1020160032494 2016-03-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25A Division KR101819224B1 (en) 2016-03-18 2016-08-10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195A true KR20170109195A (en) 2017-09-28

Family

ID=600358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31A KR20170109195A (en) 2016-03-18 2016-05-25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KR1020160101725A KR101819224B1 (en) 2016-03-18 2016-08-10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25A KR101819224B1 (en) 2016-03-18 2016-08-10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0919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8923A1 (en) * 2021-05-12 2022-11-17 Pastificio Rana S.P.A. Machine and method for cooking food
IT202100012206A1 (en) * 2021-05-12 2022-11-12 Pastificio Rana Spa MACHINE AND METHOD FOR COOKING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03A (en) 2017-09-28
KR101819224B1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673B1 (en) Cooking pot device and fully automatic cooker applied to fully automatic cooker
JP2010505583A (en) Unattended automatic rice cooker
KR101624581B1 (en) Steam cooking equipment for instant food
US10039417B2 (en) Oven apparatus
CN104545513B (en) A kind of electric oven
KR20200000280A (en) Cooker that can do various dishes
JP4111979B2 (en) Cooker
KR20170109195A (en)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steam nozzle
KR2017010920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stant foods can be cooked in induction and cooking method thereof and cooking device
KR20170109199A (en) Fast food cooking apparatus having a open-close type induction heating device
KR20170109194A (en) Fast food cooking apparatus
KR20170109198A (en) Fast food cooking apparatus having a open-close type steam heating device
KR20170133551A (en) Lifting the nozzle safety device of fast food cooking apparatus
CN105532773B (en) A kind of French fries Fryer
KR101671153B1 (en) Heat cooking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and vending machine
KR20170109196A (en) Fast food cooking apparatus with a liftable hot water nozzle
CN101297737B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k duration and corresponding cooking method and cooking apparatus
KR20170109197A (en) Heated instantaneous type steem device of fast food cooking apparatus
CN204394296U (en) A kind of electric oven
KR20180001198A (en) Automatic meat roaster
KR101155868B1 (en) Heat cooking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KR102030312B1 (en) cooking utensils with rotary type oven
CN206043234U (en) The semi-automatic frying device of electromagnetism
KR102241123B1 (en) Steam temperature is controlled type fast food cooking apparatus
CN216393830U (en) Intelligent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