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862A -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 - Google Patents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862A
KR20170107862A KR1020160031739A KR20160031739A KR20170107862A KR 20170107862 A KR20170107862 A KR 20170107862A KR 1020160031739 A KR1020160031739 A KR 1020160031739A KR 20160031739 A KR20160031739 A KR 20160031739A KR 20170107862 A KR20170107862 A KR 20170107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rapezoidal shape
concave groove
blocks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주민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송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민 filed Critical 송주민
Priority to KR102016003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862A/en
Publication of KR2017010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8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which dissipate a wave of the open sea, prevent wave overtopping, and use seawater circulation hole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a side surface to allow seawater of the open sea to enter inland sea to maintain tranquility of the inland sea and promote stability of a ship.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breakwater divides the open sea and inland sea to dissipate a wave and promote safety of the inland sea, and comprises: a step of installing container blocks in two rows to bring rear surfaces into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a foundation riprap; a step of stacking third blocks of claim 1 on upper portions of the container blocks; a step of stacking second blocks of claim 1 in two rows to bring rear surfaces into contact with upper portions of the third blocks, and forming a wave chamber between blocks on a side; a step of stacking first blocks of claim 1 in two rows to bring rear surfaces into contact with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blocks, and forming a wave chamber between blocks on a side; and a step of forming cap concrete on upper portions of the first block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lean seawater entering from the open sea to enter an inner harbor through a breakwater to eliminate waves or rapids of the open sea in the inland sea. Water holes and wave chambers are formed to have a wave dissipation function and a fishing bank function and secure structurally stable strength.

Description

파랑의 유통이 용이한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수 교환 방파제 구축공법{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v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a wave breaking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 적치식 해수 교환 방파제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월파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해수유통공을 이용하여 외해의 해수가 내해로 진입하도록 하여 내해의 정온을 유지하고 선박의 안정을 도모하는 소파블록 및 해수 교환 방파제 구축공법에 관한 발명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type sea water exchange break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type sea water exchange breakwater, more particularly, to a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having a sea water circulation hol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side surface, So as to maintain the constant temperature of the inland waters and to stabilize the ship, and an invention relating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항만의 기본 시설인 방파제는 외해로부터 래습하는 파랑을 저지하여 내해가 정온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시설이지만, 외해로부터 래습하는 파랑이 연안까지 자유롭게 왕래하여 청정 해역이 유지되어 왔으나, 방파제를 구축함으로써 극히 제한된 해수만이 진입하여 항내의 해수가 내륙으로부터 진입되는 오수와 순환이 부족하여 오염되고 혼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breakwater, which is the basic facility of the harbor, is a facility that keeps the inland waters from being cluttered with waves from the outer sea and keeps the inland waters cool.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eawater enters the sea and the seawater in the harbor enters the inland and there is a shortage of circulating water.

일반적으로 방파제의 구조형식으로 많이 사용되는 형식은 직립식, 경사식, 혼성식 등으로 구분되지만, 특히 경사식 방파제의 피복재로서는 T.T.P 등의 소파블록을 사용하고 있으나 현지 조건과 여러가지 자재 수급 등의 상황에 따라 케이슨 등 직립식 구조를 선정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In general, the types of breakwaters are mostly used as upright, inclined, and hybrid types. Especially, the soap block such as TTP is used as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sloping breakwaters, but the situation such as local conditions and various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May be used to select an upright structure such as a caisson.

그러나, 기존의 방파제는 소파가 용이하지 못하고 블록 제작이 복잡하며 철근이 삽입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한 조건을 포함하고 있으며, 외해의 청정해수가 진입될 수 있도록 부분적인 해수 진입시설을 하여 해수 교환을 하고 있으나 극히 제한적이었다.However, existing breakwaters have disadvantages in terms of economics because the sofa is not easy, the block making is complicated,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 addition, But very limited.

또한, 단순한 콘크리트 형태의 구조물로서 자연친화적이지 못해 방문객들에게 친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a simple concrete structure, which is not friendly to nature and thus can not provide the hydrophilic property to visitors.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06394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06394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외해로부터 진입하는 청정해수가 내항으로 방파제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외해의 파랑이나 여울이 내해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clean sea water entering from the outside sea to enter the inner port through the breakwater,

또한, 본 발명은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어 소파기능과 어초기능을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tight hole and a watertight chamber so as to secure a structurally stable strength while having a sofa function and a fishing rod function.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면서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정을 도모하는 방파제의 소파블록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1
형으로 되는 제1소파유도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의 제1측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1측면오목홈이 교차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1바닥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1바닥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폭방향으로 제1키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블록;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2
형으로 되는 제2소파유도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의 제2측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2측면오목홈이 교차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1줄로 제2상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2상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2바닥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1줄로 제2바닥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제2결합키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폭방향으로 제2키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블록; 및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3
형으로 되는 제3소파유도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의 제3측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3측면오목홈이 교차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3상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3상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3바닥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3바닥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제3결합키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폭방향으로 제3키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fa block for separating an inner sea and an outer sea while sooting waves of an outer sea and stabilizing the seawater so a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Figure pat00001
The first side guide passage is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two first side passage holes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a trapezoidal shape and two first side groove grooves are formed in a width direction The first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block having a first key groove formed concavely in a width direction on a bottom surface thereof; On the fron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2
The second side soak grooves are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re formed with two second side passageway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trapezoidal shape and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 second upper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a width direction, The second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one lin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key groove is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lock. And on the front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3
A third side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rd side surface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wo widthwise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 third upper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 thir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is formed concavely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rd bottom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key groove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n a bottom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블록의 제1측면통수로와 제1측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및 상기 제1바닥면통수로와 제1바닥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제2블록의 제2측면통수로와 제2측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및 상기 제2상면통수로와 제2상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상기 제2바닥면통수로와 제2바닥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제3블록의 제3측면통수로와 제3측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및 상기 제3상면통수로와 제3상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상기 제3바닥면통수로와 제3바닥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는 각각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side passage and the first side concave groove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the first bottom side passage and the first bottom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second side channel and the second side concave groove of the second block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second upper side channel and the second upper groove concave groove intersect with each other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second bottom floor water passage and the second bottom recessed groove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third side water passage and the third side recessed groove intersect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third upper surface water passage and the thir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third bottom surface water passage and the third bottom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are chamfered .

본 발명의 방파제를 구축하기 위한 구축공법은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여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전을 도모하는 방파제의 구축공법에 있어서, 기초사석의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통블록을 설치되는 단계; 상기 통블록의 상부에 상기 제1항의 제3블록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3블록의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상기 제1항의 제2블록이 2열로 적층되며, 측면의 블록 사이에는 유수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블록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상기 제1항의 제1블록이 2열로 적층되며, 측면의 블록 사이에는 유수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블록 상부에 캡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eakwater for partitioning an inland sea and an outer sea so as to soak the wave and ensure the safety of the interior of the sea, ; Stacking the third block of the first term on the block block; The second block of the first term is laminated in two line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lock; The first block of the first claim is laminated in two row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and a fluid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blocks on the side surface; And forming cap concrete on the first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축공법은 상기 제2블록과 제1블록은 번갈아가며 다수단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lock and the first block are alternately stacked by multiple mea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축공법은 상기 후면이 서로 접하는 2열의 통블록의 중도부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끼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제3블록과 제3블록, 제2블록과 제2블록, 제1블록과 제1블록의 중도부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에는 규격석이 채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reakwatershed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blocks of the two rows of the rear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tting block is coupled, and the third block and the third block, A block,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first block are spaced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ing portion, and the spacing portion is filled with a standard staple.

본 발명은 외해로부터 진입하는 청정해수가 내항으로 방파제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외해의 파랑이나 여울이 내해에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clean sea water entering from an offshore can enter the inner port through a breakwater, so that a blue or an outward sea does not occur in the inner sea.

또한, 본 발명은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어 소파기능과 어초기능을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water hole and an oil-water chamber are formed to secure a structurally stable strength while having a sofa function and a fishing ac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1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1블록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1블록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2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2블록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2블록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3블록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3블록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 중 제3블록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이 적층된 방파제의 사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이 적층된 방파제의 측면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사이가 이격되어 적층된 방파제의 다른 형태의 측면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block of a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first block of a sofa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first block of the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block of the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block of the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block of the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block of the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the third block of the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the third block of the sofa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eakwater having a sofa block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breakwater stacked with a sofa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nother form of a breakwater stacked with a space between sofa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and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의 제1블록(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소파유도홈(110), 그리고 제1측면통수로(120)와 제1측면오목홈(130) 및 제1바닥면통수로(140)와 제1바닥면오목홈(150), 키홈(16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first bloc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ofa guide groove 110, a first side passageway 120, a first side concave groove 130, A bottom floor passageway 140, a first bottom concave groove 150, and a key groove 160.

여기서 제1소파유도홈(110)은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4
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파랑을 소파하는 역할을 하며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first sofa guide groove 1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4
Shaped to form a concave depression in the shape of a trapezoid.

여기서 제1측면통수로(120)는 직육면체의 양측면의 전후를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1소파유도홈(110)과 연통된다.Here, the first side passageway 120 is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ofa guide groove 110.

여기서 제1측면오목홈(130)은 직육면체의 양측면에 제1측면통수로(12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상하를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first side concave grooves 1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body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side flow passages 12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e concave in two lines in a trapezoidal shape.

여기서 제1바닥면통수로(140)는 직육면체의 바닥면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1소파유도홈(110)과 연통된다.The first bottom surface passageway 140 is formed by rec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across the lengthwise direction.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ofa guide groove 110.

여기서 제1바닥면오목홈(150)은 직육면체의 바닥면에 제1바닥면통수로(14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first bottom concave groove 1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body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bottom surface passageway 140 in a width direction and is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여기서 제1블록(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측면통수로(120)와 제1측면오목홈(13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바닥면통수로(140)와 제1바닥면오목홈(15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에도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chamfer is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ide channel 120 and the first side concave groove 130 intersect with each other, which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block 10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hamfer is also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bottom floor water channel 140 and the first bottom concave groove 150 intersect with each other.

여기서 키홈(160)은 직육면체의 바닥면 중도부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way 160 is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본 발명의 제2블록(2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소파유도홈(210), 그리고 제2측면통수로(220)와 제2측면오목홈(230) 및 제2바닥면통수로(240)와 제2바닥면오목홈(250), 그리고 제2상면통수로(270)와 제2상면오목홈(280) 및 결합키(290)를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second block 200 includes a second sofa guide groove 210, a second side passageway 220, a second side concave groove 230, 2 bottom floor passageway 240 and second bottom recess recess 250 and a second top surface passageway 270 and a second top recess concave groove 280 and an engagement key 290.

여기서 제2소파유도홈(210)은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5
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파랑을 소파하는 역할을 하며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second sofa guide groove 2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5
Shaped to form a concave depression in the shape of a trapezoid.

여기서 제2측면통수로(220)는 직육면체의 양측면의 전후를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2소파유도홈(210)과 연통된다.Here, the second side passageway 220 is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is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ofa guide groove 210.

여기서 제2측면오목홈(230)은 직육면체의 양측면에 제2측면통수로(22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상하를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second side concave groove 2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body so as to intersect with the second side channel 220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cave in two rows in a trapezoidal shape.

여기서 제2바닥면통수로(240)는 직육면체의 바닥면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1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2소파유도홈(210)과 연통된다.Here, the second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240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a single line traver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is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ofa guide groove 210.

여기서 제2바닥면오목홈(250)은 직육면체의 바닥면에 제2바닥면통수로(24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second bottom concave groove 250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cross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intersect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passageway 24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여기서 제2상면통수로(270)는 직육면체의 상면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1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2소파유도홈(210)과 연통된다.Here, the second upper surface water channel 270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a single line cro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is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ofa guide groove 210.

여기서 제2상면오목홈(280)은 직육면체의 상면에 제2상면통수로(24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secon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28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body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traverses cross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intersect with the second upper surface water passage 240.

여기서 제2블록(2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측면통수로(220)와 제2측면오목홈(23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바닥면통수로(240)와 제2바닥면오목홈(25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 및 제2상면통수로(270)와 제2상면오목홈(28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에도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chamfer is formed on the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second side channel 220 and the second side concave groove 230 intersect with each other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block 200. A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240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concave groove 25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top surface water channel 270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top surface concave groove 280 It is preferable that a chamfer is also formed on the inner edge.

여기서 키홈(260)은 직육면체의 바닥면 중도부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결합키(290)는 상면 중도부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keyway 260 is formed to be concave in a trapezoidal shape across the middl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coupling key 290 is formed to protrude in a trapezoidal shape across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middle portion.

본 발명의 제3블록(30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소파유도홈(310), 그리고 제3측면통수로(320)와 제3측면오목홈(330) 및 제3바닥면통수로(340)와 제3바닥면오목홈(350), 그리고 제3상면통수로(370)와 제3상면오목홈(380) 및 결합키(390)를 포함할 수 있다.7 to 9, the third block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sofa guide groove 310, a third side passageway 320, a third side concave groove 330, 3 bottom floor passageway 340 and a third bottom recess recess 350 and a third top surface passageway 370 and a third top recess recess 380 and a joining key 390. [

여기서 제3소파유도홈(310)은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6
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파랑을 소파하는 역할을 하며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third sofa guide groove 3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6
Shaped to form a concave depression in the shape of a trapezoid.

여기서 제3측면통수로(320)는 직육면체의 양측면의 전후를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3소파유도홈(310)과 연통된다.Here, the third side passageway 320 is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sofa guide groove 310.

여기서 제3측면오목홈(330)은 직육면체의 양측면에 제3측면통수로(32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상하를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third side concave grooves 3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body so as to intersect the third side flow channels 32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e concave in two rows in a trapezoidal shape.

여기서 제3바닥면통수로(340)는 직육면체의 바닥면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3소파유도홈(310)과 연통된다.Here, the third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340 is formed by rec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lines across the lengthwise direction.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sofa guide groove 310.

여기서 제3바닥면오목홈(350)은 직육면체의 바닥면에 제3바닥면통수로(34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third bottom concave groove 350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cross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intersect with the third bottom surface passageway 34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여기서 제3상면통수로(370)는 직육면체의 상면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3소파유도홈(310)과 연통된다.Here, the third upper surface water passage 370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cro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sofa guide groove 310.

여기서 제3상면오목홈(380)은 직육면체의 상면에 제3상면통수로(340)와 교차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2줄로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thir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38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body in a trapezoidal shape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crossing the third upper surface water passage 340 in the width direction.

여기서 제3블록(3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3측면통수로(320)와 제3측면오목홈(33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바닥면통수로(340)와 제3바닥면오목홈(35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 및 제3상면통수로(370)와 제3상면오목홈(38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에도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chamfer is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portion where the third side passageway 320 and the third side concave groove 330 intersect with each other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block 300. The portion where the third bottom surface water passage 340 intersects with the third bottom recess concave groove 350 and the portion where the third top surface water passage 370 and the third top surface recessed groove 380 cross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 chamfer is also formed on the inner edge.

여기서 키홈(360)은 직육면체의 바닥면 중도부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결합키(390)는 상면 중도부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keyway 360 is formed to be concave in a trapezoidal shape across the middl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ic body, and the coupling key 390 is formed to protrude in a trapezoidal shape across the top surface middl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2,3블록(100)(200)(300)을 이용하여 방파제를 구축하는 공법을 도 10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ocks 100, 200, and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FIG.

이를 위해 기초사석(400)의 상부 전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통블록(410)이 구축되는 바, 통블록(410)의 후면이 서로 접하도록 적층된다. 통블록(410)의 전면 토우(TOE) 부분에는 피복석(420)이 보강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 barrel block 410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one 400, and the rear surfaces of the barrel blocks 410 are stack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lay stone 420 is reinforced in the front toe (TOE) portion of the barrel block 410.

통블록(410)의 상면에는 2열의 제3블록(300)이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적층되는데, 통블록(410)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3블록(300)은 측면 끝단이 통블록(410)의 상면 중도부에 위치하도록 적층하여 상하 서로 어긋나도록 적층되는 것이 견고성을 향상시키므로 바람직하다. 서로 접하는 제3블록(300)과 제3블록(300)의 측면 사이에는 양측의 제3측면통수로(320)가 서로 접하면서 육각형의 유수실이 형성된다.The third block 300 is stack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lock block 410 so that the side end of the third block 300 is stack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lock block 410, So as to be stacked upside down so as to improve the rigidity. A hexagonal water flow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third block 300 and the third block 30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third side flow passages 320 on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3블록(300)의 상부에는 제2블록(200)이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1단 또는 복수의 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3블록(300)의 상면 중도부에 제2블록(200)의 측면 끝단이 오도록 하여 상하 블록이 서로 어긋나게 적층됨으로써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접하는 제2블록(200)과 제2블록(200)의 측면 사이에는 양측의 제2측면통수로(220)가 서로 접하면서 육각형의 유수실이 형성된다.The second block 200 may be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lock 300 in one row or a plurality of rows in two rows so that the rear surface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blocks are stacked so that the side ends of the second block 200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lock 300, thereby improving the robustness. A hexagonal water flow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second block 20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제2블록(200)의 상면에는 제1블록(100)이 2열로 적층되되 마찬가지로 후면이 서로 접하도록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블록(200)의 상면 중도부에 제1블록(100)의 측면 끝단이 오도록 하여 상하 블록이 서로 어긋나게 적층됨으로써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접하는 제2블록(200)과 제2블록(200)의 측면 사이에는 양측의 제2측면통수로(220)가 서로 접하면서 육각형의 유수실이 형성된다. 제1블록(100)의 상면에는 캡콘크리트(500)가 구축될 수 있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lock 100 is stack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 200, and similarly, the rear surfaces are stack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blocks are stacked so that the side ends of the first block 100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 200, thereby improving the rigidity. A hexagonal water flow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second block 20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ap concrete 500 may be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ck 100.

즉, 각각의 블록(100)(200)(300) 간에 서로 측면끼리 접하고 상하측으로 적층되면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전면의 홈과 전면돌기부에 의해 일정한 형태의 무늬를 표현함으로써 딱딱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미적인 형태를 제공하여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블록(100)(200)(300) 간의 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파랑이 유입되는 유수실과 어초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That is, since the blocks 100, 200, and 3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grooves and the front protrusion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re used to express patterns of a certain shape, To provide a visually comfortable structure. In addition, the side surfaces between the blocks 100, 200, and 30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function of a water chamber and a fish tank in which a wave flows.

본 발명의 블록(100)(200)(300)을 이동하기 위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로프를 블록(100)(200)(3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2,3측면오목홈(130)(230)(330)과 하면에 형성된 제1,2,3바닥면오목홈(150)(250)(350)에 걸리도록 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 rope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 concave grooves 130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blocks 100, 200, and 300 using a crane or the like to move the blocks 100, 200,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ttom concave grooves 150, 250, and 3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oor panels 230 and 330.

한편, 방파제의 규모가 커져서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블록(410)의 후면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끼움블록(440)을 끼우고, 각각의 블록(100)(200)(300)간의 후면 사이도 직접 접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공간을 만들고, 여기에 중간채움사석(430)을 채움으로써 방파제의 폭을 넓힐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breakwater increases and the width needs to be enlarged, as shown in FIG. 12,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410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width of the breakwater may be enlarged by making a sp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backside between the blocks 100, 200 and 300, .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는 외해에서 발생하는 큰 파랑이 블록(100)(200)(300)에 부딪치면서 일부는 반사되어 소파되고, 일부는 상하좌우에 형성되는 유수실홈을 통해 블록(100)(200)(300) 내부로 유입되어 그 세력이 약해지면서 내해측으로 배출되므로 외해와 내해가 유통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break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 large wave generated in the outer sea hits the blocks 100, 200, and 300, 200, and 300 through the drainage grooves that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100, so that the forces are weakened and discharged to the inner water side.

100,200,300 : 블록 110,210,310 : 소파유도홈
120,220,320 : 측면통수로 130,230,330 : 측면오목홈
140,240,340 : 바닥면통수로 150,250,350 : 바닥면오목홈
160,260,360 : 키홈 170,270,370, : 상면통수로
180,280,380 : 상면오목홈 290,390 : 결합키
100, 200, 300: blocks 110, 210, 310:
120, 220, 320: side passage 130, 230, 330: side concave groove
140,240,340: 150,250,350 on the bottom of the floor: bottom concave groove
160, 260, 360: a keyway 170, 270, 370,
180, 280, 380: top concave groove 290, 390:

Claims (5)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면서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정을 도모하는 방파제의 소파블록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7
형으로 되는 제1소파유도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의 제1측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1측면오목홈이 교차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1바닥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1바닥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폭방향으로 제1키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블록;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8
형으로 되는 제2소파유도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의 제2측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2측면오목홈이 교차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1줄로 제2상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2상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2바닥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1줄로 제2바닥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제2결합키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폭방향으로 제2키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블록; 및
직육면체의 전면에
Figure pat00009
형으로 되는 제3소파유도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의 제3측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3측면오목홈이 교차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3상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3상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2줄로 제3바닥면통수로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줄로 제3바닥면오목홈이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제3결합키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폭방향으로 제3키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의 유통이 용이한 소파블록.
In sofa block of breakwater to soak blue of outer sea while we block inland and outer sea and plan stability of inland sea,
On the fron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7
The first side guide passage is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two first side passage holes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a trapezoidal shape and two first side groove grooves are formed in a width direction The first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block having a first key groove formed concavely in a width direction on a bottom surface thereof;
On the fron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8
The second side soak grooves are recessed in a trapezoidal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re formed with two second side passageway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trapezoidal shape and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 second upper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a width direction, The second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one lin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key groove is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lock. And
On the fron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gure pat00009
A third side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rd side surface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wo widthwise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 third upper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 thir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is formed concavely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bottom surface water channel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rd bottom surface concave groove is concave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wo lin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third block having a third key groove recessed in a width direc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third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제1측면통수로와 제1측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및 상기 제1바닥면통수로와 제1바닥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제2블록의 제2측면통수로와 제2측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및 상기 제2상면통수로와 제2상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상기 제2바닥면통수로와 제2바닥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제3블록의 제3측면통수로와 제3측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및 상기 제3상면통수로와 제3상면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 상기 제3바닥면통수로와 제3바닥오목홈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모서리는 각각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의 유통이 용이한 소파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side channel and the first side concave groove of the first block cross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bottom side channel and the first bottom concave groove cross each other,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second side water passage and the second side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second upper surface water passage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cotton channel and the second bottom concave groove cross each other,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third side surface water passage and the third side surface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and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third upper surface water passage and the third surface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Wherein a chamfer is formed in an inner edge of a portion where the side channel and the third bottom concave groove intersect each other.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여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전을 도모하는 방파제의 구축공법에 있어서,
기초사석의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통블록을 설치되는 단계;
상기 통블록의 상부에 상기 제1항의 제3블록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3블록의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상기 제1항의 제2블록이 2열로 적층되며, 측면의 블록 사이에는 유수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블록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상기 제1항의 제1블록이 2열로 적층되며, 측면의 블록 사이에는 유수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블록 상부에 캡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교환 방파제 구축공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reakwater to divide the inner and outer seas and soak the waves and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inner seas,
Installing a barrel block in two rows so that the back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one;
Stacking the third block of the first term on the block block;
The second block of the first term is laminated in two line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lock;
The first block of the first claim is laminated in two row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and a fluid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blocks on the side surface; And
And forming a cap concrete on the first block.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과 제1블록은 번갈아가며 다수단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교환 방파제 구축공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block and the first block are alternately laminated by multiple means.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이 서로 접하는 2열의 통블록의 중도부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끼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제3블록과 제3블록, 제2블록과 제2블록, 제1블록과 제1블록의 중도부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에는 규격석이 채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교환 방파제 구축공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middle blocks of the two rows of blocks having the rear sides contacting with each oth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tting block is engaged, and the third block and the third block, the second block and the second block, Wherein the spac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pacing portions are filled with standard seals.
KR1020160031739A 2016-03-16 2016-03-16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 KR201701078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739A KR20170107862A (en) 2016-03-16 2016-03-16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739A KR20170107862A (en) 2016-03-16 2016-03-16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62A true KR20170107862A (en) 2017-09-26

Family

ID=6003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739A KR20170107862A (en) 2016-03-16 2016-03-16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8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835A (en) 2022-03-17 2023-09-2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Unit block of civil structures including offshore structures and civil structure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835A (en) 2022-03-17 2023-09-2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Unit block of civil structures including offshore structures and civil structure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2956B2 (en) Easily 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with artificial fishing reef function
KR20170107863A (en) Wave eliminating block and process of constructing breakwater using thereof
CN101250919B (en) Building block capable of building to lock each other to form multifunctional wall
KR101606343B1 (en) Wave Dissipation Block and Breakwater Using its
KR20170107862A (en) Wave dissipation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eakwater using its
KR20150141225A (en) Seawater exchanging caisson type breakwater
KR101386626B1 (en) Caisson and quay wall, breakwater, seawall using the same
KR101606342B1 (en) Wave Dissipation Block and ship comesalongside the pier Using its
KR100363227B1 (en) Breakwater circulating seawater
KR102363137B1 (en) A caisson with a perforated plate, a caisson with a pluralit of membranes arrang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10021235A (en) Caisson using honeycomb and quay wall, breakwater, seawall having the same
KR20150086439A (en) Wave energy dissipation block
KR20090021903A (en) Block type a port facilities
KR100892374B1 (en) Built-up-type wave dissipating block
KR100622802B1 (en) Pier-type wharf structure having permeable wave wall
KR200447682Y1 (en) Scour prevention Block for plants
CN210597339U (en) Functional type splitting soil retaining building block
KR100479460B1 (en) Breakwater for seawater exchange using of cellular block
KR102280714B1 (en) Wave dissipating block and oceanaic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605664B1 (en) Upright type wave dissipating block and oceanaic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284996Y1 (en) Breakwater for seawater exchange using of cellular block
KR200388836Y1 (en) Revetment block for vegetation and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the same
KR101133501B1 (en) An embankment block having hydrophilic property
KR100521901B1 (en) Cellular blo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structure which is used at the vertical harbor structure
KR100530693B1 (en) breackwater using of a block for breack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