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404A -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404A
KR20170107404A KR1020170032080A KR20170032080A KR20170107404A KR 20170107404 A KR20170107404 A KR 20170107404A KR 1020170032080 A KR1020170032080 A KR 1020170032080A KR 20170032080 A KR20170032080 A KR 20170032080A KR 20170107404 A KR20170107404 A KR 2017010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
oxo
pyrazol
benzenesulfonamide
isoprop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152B1 (ko
Inventor
김성훈
한균희
양지선
이철호
김재현
정길수
한정민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Publication of KR2017010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1/38Nitrogen atoms
    • C07D231/42Benzene-sulfonamido pyr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521,2-Diazol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antipyrine, phenylbutazone, sulfinpyra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TORC1(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 저해 효과를 갖는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LRS와 RagD 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mTORC1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mTOR를 저해함으로써 치료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암, 간질, 염증질환, 면역질환, 당뇨, 비만, 호흡기계 폐쇄성 질환, 섬유증, 폼페병, 리소좀 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계질환 및 기생충 감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Novel benzenesulfonam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TORC1(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 저해 효과를 갖는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간질, 염증질환, 면역질환, 당뇨, 비만, 호흡기계 폐쇄성 질환, 섬유증, 폼페병, 리소좀 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계질환 및 기생충 감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의 원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단백질 대사를 조절하는 영양소로서 작용한다. 세포내에서 사용 가능한 아미노산의 작동은 mTORC1(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에 의해 매개가 되며, mTORC1은 단백질 합성, 자가소화작용, 세포 성장과 같은 다양한 세포 내 반응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암, 비만, 당뇨 및 신경퇴행 등 다양한 인간 질환과도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Guertin and Sabatini, 2005; Zoncu et al., 2011; Laplante and Sabatini, 2012; Oddo, 2012).
FRAP(FKBP12 및 라파마이신 관련 단백질)로도 알려져 있는 mTOR(라파마이신의 포유류 타깃)은 비록 인지질을 인산화하지는 않지만, PIKK(포스포이노시타이드 3-키나제-유사 키나제) 패밀리의 289-kDa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이다.
이 단백질은 C-말단 키나제 도메인, FKBP12-라파마이신 결합 도메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관련된 20 N-말단 HEAT 반복, FAT(FRAP-ATM-TRRAP) 도메인 및 다른 PIKK에도 존재하는 C-말단 FAT 도메인을 포함하는 수개의 도메인을 포함한다(Wullschleger et al. (2006) Cell, 124, 471-484).
mTOR 키나제는 세포 성장 및 증식의 중심적인 조절자이며, 세포 대사 및 혈관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mTOR는 PI3K/Akt 축에 의해 활성화되며 차례로 PI3K/Akt 신호 경로의 다운스트림 이펙터, 특히 세포 단백질 번역 기구의 두개의 주 조절자인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S6K1) 및 진핵 개시 인자 4E 결합 단백질(4E-BP1)을 인산화한다(mTOR 신호 경로는 Zoncu et al. (2011) Nature Rev. Mol. Cell Biol. 12, 21-35에 기재되어 있다).
mTOR 신호 경로는 다양한 인간 암에서 돌연변이되고 해제된다(deregulated). 단백질 키나제 Akt, 지질 키나제 PI3K의 돌연변이 및/또는 종양 억제자 PTEN 및 TSC2의 불활성화와 성장 인자 수용체에 영향을 주는 증식 및/또는 돌연변이는 PI3K/Akt/mTOR 경로의 구성적 불활성화 및 미조절 세포 증식을 초래하는 mTOR의 업스트림에서의 몇 개의 이벤트이다(암에서의 단백질 mTOR의 역할에 관한 리뷰를 위해서는 Guertin and Sabatini (2007) Cancer Cell 12, 9-22 참조).
mTOR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돌연변이 및 증폭은 교아종, 전립선암, 결절 경화, 폐암(NSCLC),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대장암, 췌장암, 두경부암, 피부암 및 간세포암의 형성에서 확인된 바 있다(Yuan and Cantley (2008) Oncogene 27, 5497-5510; Whittaker et al. (2010) Oncogene 29, 4989-5005).
mTOR는 수개의 협력자를 채용하여 종양 성장에 필수적인 두개의 복수-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한다. 단백질 s6K 및 4E-BP1를 인산화함으로써, mTORC1 복합체는 종양 유전자 신호와 단백질 합성, 해당 및 지질생합성과의 연결을 만든다(Yecies and Manning (2011) J. Mol. Med. 89, 221-228). mTORC2 복합체는 최근 Ser-473 잔기상에서 Akt를 인산화하여, 키나제 Akt의 필수적인 활성자로서 역할하는 키나제로 확인되었다. 복합체 mTORC2의 역할은 최근 특히 세포 변화에 연결된 것으로 밝혀졌다(Sparks and Guertin (2010) Oncogene 29, 3733-3744).
라파마이신 및 그 아날로그, 라팔로그(rapalogues)는 단백질 FKBP12와 결합하여 mTORC1 복합체의 알로스테릭 저해제로 작용한다. 이들 중 수개는 특정 암의 치료를 위해 임상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에버롤리무스(Novartis) 및 템시롤리무스(Wyeth)는 최근 신장암(신장 세포암 또는 RCC)의 치료를 위해 승인되었다. 그러나 암 치료에 있어 라팔로그의 효능은 특정 유망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하이며 하위세트 암에 제한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한은 라팔로그가 mTORC2 복합체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mTORC1 복합체 활성의 특정 측면 및 특히 4E-BP1의 인산화가 라파마이신 및 그 아날로그에 저항적인 사실에 기인한다(Benjamin et al. (2011)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10, 868-880).
한편, mTOR 키나제 부위의 저해제는 이러한 결점이 없고(Feldman et al. (2009) PLoS Biology 7, 371-383), 신세대 mTOR 경로 조절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점으로서 항암활성의 잠재적 상승 및 더 넓은 치료적 적용범위를 갖는다. 이들 중 몇 개는 현재 임상시험 중이다(Garcia-Echeverria (2011) Biochem. Soc. Trans. 39, 451-455; Richard et al. (2010) Curr. Drug Opinion Disc. Dev. 13, 428-440).
다른 잠재적 치료적 적응증이 mTOR 저해제에 대해 제안되었다(Tsang et al. (2007) Drug Discovery Today 12, 112-124). mTOR 저해제는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톤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신경보호작용을 가질 수 있다(Bov'e et al. (2011)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2, 437-452). 게다가, mTOR 과잉활성은 연령-관련 질병과 관련된다(Harrison et al. (2009) Nature 460, 392). 다른 적응증은 신장, 폐 및 간 섬유증(Mehrad et al. (2009) Int. J. Biochem. Cell Biol. 41, 1708-1718; Lieberthal and Levine (2009); Shouval (2011)),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Bhonde et al. (2008)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95, G1237-G1245; Young and Nickerson-Nutter (2005) Curr. Opinion Pharmacol. 5, 418-423), 당뇨, 비만(Dann et al. (2007) Trends Mol. Medicine 13, 252-259), 폼페병(Ashe et al. (2010) Molecular Genetics and Metabolism 100, 309-315), 심혈관계질환(Hagenmueller et al. (2010). FEBS Lett. 584, 74-80), 안질환(Blumenkranz (2007) Retina Today 24-26), 간질(Huang et al. (2010) Neurobiology of Disease 40, 193-199), 및 기생충 질환(Wang et al. (2010) 240th ACS National Meeting Boston, MEDI-152)을 포함한다.
mTOR 저해는 또한 자가포식을 활성화하고, 특정 질환들, 특히 대사질환, 신경퇴행성질환,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감염 및 암은 그 저해에 민감하다(review in Rubinsztein et al. (2007) Nature 6, 304-312).
한편, mTORC1은 세포 성장, 단백질 합성, 성장인자의 조절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upstream 신호를 조절한다. mTORC1에 성장인자와 에너지 신호를 전송하는 결절성경화증복합체(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는 Ras-like small GTPase, Rheb에 대한 GTPase-활성화 단백질(GTPase-activating protein, GAP)이고, Rheb의 GTP 가수분해를 촉진함으로써 mTORC1을 음성조절(negatively regulate)한다.
Rheb은 후기 엔도좀/라이소좀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아미노산에 의해 유도되는 mTORC1 활성화에 필요하다. 라이소좀막에서, Rag GTPases와 Ragulator complex(MAPKSP1, ROBLD3 및 c11orf59)는 mTORC1에 대한 아미노산 유도성 도킹 사이트로서 작용한다.
포유류는 네 가지의 Rag GTPases (RagA, RagB, RagC, RagD)를 발현한다. Rag GTPases는 필수적으로 RagA/C 또는 RagB/D의 헤테로 다이머를 형성하여 아미노산 유도성 mTORC1 활성화를 매개한다. 아미노산은 mTORC1을 라이소좀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라이소좀에서는 GTP가 결합된 RagB를 포함하고 있는 Rag 헤테로 다이머가 mTORC1과 상호작용한다.
류신과 글루타민은 각각 Rag GTPase-의존성 및 비의존성 기작에 의해 mTORC1을 활성화 할 수 있다. RagA/B가 결손된 세포에서 글루타민은 ADP ribosylation factor 1(ARF1) GTPase를 통해 mTORC1을 여전히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mTORC1은 글루타민과 류신에 의해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Rag GTPase-의존성 류신 신호의 기능적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mTORC1은 대부분의 인간 암에서 과활성화되어 세포 성장과 대사 과정을 조절한다. 비록, mTOR의 알로스테릭 저해제인 everolimus가 mTOR 신호에 변화를 갖는 암종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더라도, 이의 저항성(resistance)이 나타난다. mTOR 돌연변이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획득성 저항성은 everolimus가 mTOR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한다. mTOR 내에서 S2035인 FRB 도메인은 FKBP12-라파마이신이 결합하는데 필수적이며, 이 위치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라파마이신 저항성이 나타난다. 획득성 저항성의 기전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면, mTOR 저해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돌연변이에 대항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아미노아실-tRNA-합성효소(ARSs)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포의 생리학적 반응에도 또한 관련되어 있다. ARS는 대응되는 tRNA에 아미노산이 결합하는 것을 촉진한다. 단백질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ARS는 아미노산 유용성을 감작시켜야 한다. 류신-tRNA-합성효소(LRS)는 RagD GTPase와 상호작용하고 RagD GTPase에 대한 GAP로써 작용함으로써 mTORC1 활성화를 위한 류신 센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LRS가 tRNA에 류신을 결합시키는 본래의 기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류신 센서로서의 기능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해낸다면, 이 물질은 LRS와 RagD와의 결합을 저해하여 mTORC1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mTOR 저해제에 대한 잠재적 치료 적응증에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LRS와 RagD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mTOR를 저해하는 화합물을 발견하기 위해 예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본 명세서에서 화학식 1로 정의되는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가 LRS와 RagD의 결합을 저해하여 암, 간질, 염증 질환, 면역 질환, 당뇨, 비만, 호흡기계 폐쇄성 질환, 섬유증, 폼페병, 리소좀 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계질환, 연령-관련질환 또는 기생충 감염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할로;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상기 R1이 치환된 페닐인 경우 그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치환되지 않은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 및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R3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C1-C6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C5-C10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5-C20 아릴; 디옥소안트라세닐; 또는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로서, 이들이 치환되는 경우 그 치환기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아미노기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모폴린으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옥시카보닐; 히드록시카보닐 C1-C6 알킬;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아미노; 페닐;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카보닐, 할로겐 원자 및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페녹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할로겐 원자 및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녹시; 아미노설포닐; 할로; 시아노; 아세틸; 니트로; 에티닐; 히드록시; 모폴리노; 나프틸; 테에닐; 피리딜; 테트라히드로퓨라닐; 카르복실; 티오페닐; C1-C10 사이클로알킬; 벤조디옥소릴;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치환된 인돌릴; 디히드로벤조옥시닐; 및 퓨릴메틸설파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아릴, 헤테로 고리 및 헤테로아릴 고리는 각각 2개 이상의 고리가 융합된 복소환 구조일 수 있고, 또한 고리 내에 카보닐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거나,
상기 R2와 R3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5-C20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함.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할로;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상기 R1이 치환된 페닐인 경우 그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치환되지 않은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 및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R3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C1-C6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C5-C10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5-C20 아릴; 디옥소안트라세닐; 또는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로서, 이들이 치환되는 경우 그 치환기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아미노기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모폴린으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옥시카보닐; 히드록시카보닐 C1-C6 알킬;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아미노; 페닐;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카보닐, 할로겐 원자 및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페녹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할로겐 원자 및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녹시; 아미노설포닐; 할로; 시아노; 아세틸; 니트로; 에티닐; 히드록시; 모폴리노; 나프틸; 테에닐; 피리딜; 테트라히드로퓨라닐; 카르복실; 티오페닐; C1-C10 사이클로알킬; 벤조디옥소릴;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치환된 인돌릴; 디히드로벤조옥시닐; 및 퓨릴메틸설파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아릴, 헤테로 고리 및 헤테로아릴 고리는 각각 2개 이상의 고리가 융합된 복소환 구조일 수 있고, 또한 고리 내에 카보닐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거나,
상기 R2와 R3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5-C20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함.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할로;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상기 R1이 치환된 페닐인 경우 그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치환되지 않은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 및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R3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C1-C6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C5-C10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5-C20 아릴; 디옥소안트라세닐; 또는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로서, 이들이 치환되는 경우 그 치환기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아미노기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모폴린으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옥시카보닐; 히드록시카보닐 C1-C6 알킬;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아미노; 페닐;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카보닐, 할로겐 원자 및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페녹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할로겐 원자 및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녹시; 아미노설포닐; 할로; 시아노; 아세틸; 니트로; 에티닐; 히드록시; 모폴리노; 나프틸; 테에닐; 피리딜; 테트라히드로퓨라닐; 카르복실; 티오페닐; C1-C10 사이클로알킬; 벤조디옥소릴;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치환된 인돌릴; 디히드로벤조옥시닐; 및 퓨릴메틸설파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아릴, 헤테로 고리 및 헤테로아릴 고리는 각각 2개 이상의 고리가 융합된 복소환 구조일 수 있고, 또한 고리 내에 카보닐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거나,
상기 R2와 R3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5-C20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함.
"알킬"은 쇄 내에 약 1개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는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상기 쇄 내에 약 1개 내지 약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상기 쇄 내에 약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측쇄는 하나 이상의 저급 알킬 그룹, 예를 들면,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이 선형 알킬 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저급알킬"은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는 쇄 내에 약 1개 내지 약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그룹을 의미한다. "알킬"은 치환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각 치환체는 할로겐,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아미노, 카르복시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알킬은 부틸 또는 이소부틸일 수 있다.
"아릴"은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계를 의미하며, 이의 예로는 페닐, 인데닐, 인다닐, 나프틸 및 플루오레닐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C)아릴일 수 있다.
"할로겐"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일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은 달리 포화된 탄화수소환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고리 탄소 원자들 중 1∼4개가 O, S 및 N으로 이루어진 용매화물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 원자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몇몇 구체예에서된 방향족 시클로알킬(헤테로아릴이라고도 칭함) 또는 비 방향족 시클로알킬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헤테로시클릴 기는 3∼10개의 고리 원들을 포함하는 반면에, 이와 같은 기타 기들은 3∼5개, 3∼6개, 또는 3∼8개의 고리 원들을 보유한다. 헤테로시클릴은 또한 임의의 고리 원자(즉, 헤테로시클릭 고리 중 임의의 탄소 원자 또는 이종 원자)에서 다른 기들과 결합될 수도 있다. 헤테로시클로알킬 기는 치환 또는 비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시클릴 기는 불포화, 부분 포화 및 포화 고리 계 예를 들어, 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리닐 및 이미다졸리디닐기를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이란 용어는 융합된 고리 종, 예를 들어, 융합된 방향족 및 비 방향족 기를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릴,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시닐, 및 벤조[1,3]디옥솔릴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가교 폴리시클릭 고리 계 예를 들어, 퀴뉴클리딜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시클릴 기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아지리디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딜, 이미다졸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디옥솔릴, 푸라닐, 티오페닐, 피롤릴, 피롤리닐, 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리닐, 피라졸릴, 피라졸리닐,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티아졸리닐,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레리딜, 피페라지닐, 모폴리닐, 티오모폴리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2H-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옥사티아닌, 디옥실, 디티아닐, 피라닐,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트리아지닐, 디하이드로피리딜, 디하이드로디티이닐, 디하이드로디티오닐, 호모피페라지닐, 퀴뉴클리딜, 인돌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릴, 아자인돌릴(피롤로피리딜), 인다졸릴, 인돌리지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푸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즈티아졸릴, 벤족사디아졸릴, 벤족사지닐, 벤조디티이닐, 벤족사티이닐, 벤조티아지닐, 벤족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벤조[1,3]디옥솔릴, 피라졸로피리딜, 이미다조피리딜(아자벤즈이미다졸릴; 예를 들어, 1H-이미다조[4,5-b]피리딜 또는 1H-이미다조[4,5-b]피리딘-2(3H)-오닐), 트리아졸로피리딜, 이속사졸로피리딜, 퓨리닐, 잔티닐, 아데니닐, 구아니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퀴놀리지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티아나프탈레닐, 디하이드로벤조티아지닐, 디하이드로벤조푸라닐, 디하이드로인돌릴, 디하이드로벤조디옥시닐,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릴, 테트라하이드로인다졸릴, 테트라하이드로벤즈이미다졸릴, 테트라하이드로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피리딜, 테트라하이드로피라졸로피리딜, 테트라하이드로이미다조피리딜, 테트라하이드로트리아졸로피리딜, 및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클로알킬알킬”기는 일반식 -알킬-시클로알킬인 라디칼로서, 알킬 및 시클로알킬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몇몇 구체예에서 시클로알킬알킬 기는 기의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알킬 및 시클로알킬 부 모두에서 치환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시클로알킬알킬 기로서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펜틸에틸,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헥실에틸, 및 시클로헥실프로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들이 “치환된”이라고 표현될 때, 이 기들은 임의의 적당한 치환기 또는 치환기들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이다. 치환기의 예시적인 예로서는 본 발명에에 개시된 예시적인 화합물과 구체예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들, 그리고 할로겐(클로로, 요도, 브로모 또는 플루오로 기); 알킬; 하이드록실; 알콕시; 알콕시알킬; 아미노; 알킬아미노; 카복시; 니트로; 시아노; 티올; 티오에테르; 이민; 이미드; 아미딘; 구아니딘; 에나민; 아미노카보닐; 아실아미노; 포스포네이토; 포스핀; 티오카보닐; 설포닐; 설폰; 설폰아미드; 케톤; 알데히드; 에스테르; 우레아; 우레탄; 옥심; 하이드록실 아민; 알콕시아민; 아랄콕시아민; N-옥시드; 히드라진; 히드라지드; 히드라존; 아지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산소(=O); B(OH)2, O(알킬)아미노카보닐; 모노시클릭이거나 융합 또는 비 융합 폴리시클릭일 수 있는 시클로알킬(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 또는 모노시클릭이거나 융합 또는 비 융합 폴리시클릭일 수 있는 헤테로시클릴(예를 들어, 피롤리딜, 피페리딜, 피페라지닐, 모폴리닐 또는 티아지닐); 모노시클릭이거나 융합 또는 비 융합 폴리시클릭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예를 들어, 페닐, 나프틸, 피롤릴, 인돌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졸릴, 피리딜,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아크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오페닐 또는 벤조푸라닐) 아릴옥시; 아랄킬옥시; 헤테로시클릴옥시; 및 헤테로시클릴 알콕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아미노기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모폴린으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옥시카보닐; 히드록시카보닐 C1-C6 알킬;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아미노; 페닐;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카보닐, 할로겐 원자 및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페녹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할로겐 원자 및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녹시; 아미노설포닐; 할로; 시아노; 아세틸; 니트로; 에티닐; 히드록시; 모폴리노; 나프틸; 테에닐; 피리딜; 테트라히드로퓨라닐; 카르복실; 티오페닐; C1-C10 사이클로알킬; 벤조디옥소릴;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치환된 인돌릴; 디히드로벤조옥시닐; 및 퓨릴메틸설파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페닐-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N-(4-터트-부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모폴리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4-디메톡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4-디메톡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벤젠설폰아미드;
N-(4-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메톡시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페닐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페닐부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N-(4-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터트-부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N-[2-(4-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티에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피리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N-[2-(3-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5-플루오로-2-피리딜)-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디메틸아미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4-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이소프로필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벤젠설폰아미드;
N-[2-(2-퓨릴메틸설파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p-톨릴)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N-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N-[(2-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m-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N-(2,5-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m-톨릴)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o-톨릴)벤젠설폰아미드;
N-(4-시아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4-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메톡시-3-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벤젠설폰아미드;
N-(2,2-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N-(3-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4-디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5-디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에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1,1-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5-디메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펜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2-[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sec-부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N-인단-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인단-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헵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4-아세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피리미딘-2-일-벤젠설폰아미드;
N-[(2,4-디메톡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클로로-4-피리딜)-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4-(4-에틸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N-(9-에틸카르바졸-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브로모-1-나프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닐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1-나프틸)벤젠설폰아미드;
N-[2-(4-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5-메톡시-1H-인돌-3-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1H-인돌-5-일)벤젠설폰아미드;
N-(1H-인돌-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메톡시-1,3-벤조티아졸-2-일)벤젠설폰아미드;
N-[2-(1H-인돌-3-일)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8-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N-(4-에톡시-2-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4-디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2-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5-디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1,2-디메톡시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에티닐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4-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5-디클로로-4-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클로로-3-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N-[(3-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o-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N-(3-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N-[2-(2-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2-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o-톨릴)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클로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H-인돌-5-일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벤젠설폰아미드;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클로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펜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헵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페닐-벤젠설폰아미드;
4-(2,3-디메틸-5-옥소-4-페닐-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4-클로로페닐)-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2-[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산;
N-(2-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2,3-디메틸-5-옥소-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N-[3-(히드록시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6-히드록시-1-나프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N-[2-(2-플루오로페녹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N-(4-히드록시-3-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6-아세틸-1,3-벤조디옥소l-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3,5-트리메틸피라졸-4-일)벤젠설폰아미드;
2-(4-인돌린-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테트랄린-1-일-벤젠설폰아미드;
N,N-디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N-페닐-벤젠설폰아미드;
N-벤질-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2-페닐-아세테이트;
N-(2-에톡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6-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9-옥소티옥산텐-2-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3,5-디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1,3-디메틸-2-옥소-벤지미다졸-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에틸 5-[[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1,3-디히드로퀴녹살린-2-온;
N-터트-부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2-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3-페닐퀴녹살린-2-일)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2-[4-[[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1,4-디아제판-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4-(모폴린-4-카르보닐)-2-니트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2-피리딜)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N-(2,2-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2-[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N-[2-(3,4-디메톡시페닐)에틸]-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자미드;
에틸 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4,5,6,7-테트라히드로벤조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
2-[4-[4-(7-클로로-4-퀴놀릴)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1-피페리딜설포닐)페닐]피라졸-3-온;
N-이소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모폴리노설포닐페닐)피라졸-3-온;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N-[2-(3,5-디메틸페녹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N-(4-히드록시-[1,1'-바이페닐]-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5-히드록시나프탈렌-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4-디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2-몰포리노에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4-디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톡시-4-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벤조산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톡시-5-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틸벤조퓨란-5-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b]티오펜-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퓨란-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퓨란-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5-(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벤조[b]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메틸)벤조에이트
메틸 6-(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2-나프토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메시틸벤젠설폰아미드
N-(9,10-디옥소-9,10-디히드로안트라센-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이소퀴놀린-5-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d][1,3]디옥실-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d][1,3]디옥실-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옥소인돌린-5-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티오펜-2-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3,4,5-트리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헥실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헵틸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시클로헥실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4-디메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의 구조식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1
Figure pat00004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
Figure pat00005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3
Figure pat0000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페닐-벤젠설폰아미드
4
Figure pat00007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5
Figure pat00008
N-(4-터트-부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6
Figure pat0000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7
Figure pat0001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모폴리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8
Figure pat00011
N-[(3,4-디메톡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9
Figure pat00012
N-[2-(3,4-디메톡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
Figure pat0001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1
Figure pat0001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벤젠설폰아미드
12
Figure pat00015
N-(4-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3
Figure pat0001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14
Figure pat0001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메톡시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15
Figure pat0001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16
Figure pat0001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17
Figure pat0002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페닐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18
Figure pat0002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19
Figure pat0002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20
Figure pat0002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21
Figure pat0002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페닐부틸)벤젠설폰아미드
22
Figure pat0002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23
Figure pat0002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24
Figure pat00027
N-(4-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5
Figure pat00028
터트-부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6
Figure pat00029
N-[2-(4-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7
Figure pat0003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티에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28
Figure pat0003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29
Figure pat0003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피리딜)에틸]벤젠설폰아미드
30
Figure pat0003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31
Figure pat00034
N-[2-(3-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32
Figure pat00035
N-(5-플루오로-2-피리딜)-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33
Figure pat0003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34
Figure pat0003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35
Figure pat00038
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36
Figure pat00039
N-[4-(디메틸아미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37
Figure pat00040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38
Figure pat00041
에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39
Figure pat0004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40
Figure pat00043
N-[2-(4-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1
Figure pat0004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이소프로필페닐)벤젠설폰아미드
42
Figure pat00045
N-(3-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3
Figure pat00046
N-(3-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
Figure pat0004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벤젠설폰아미드
45
Figure pat0004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6
Figure pat00049
N-[(3-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7
Figure pat0005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벤젠설폰아미드
48
Figure pat00051
N-[2-(2-퓨릴메틸설파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9
Figure pat0005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p-톨릴)에틸]벤젠설폰아미드
50
Figure pat0005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N-메틸-벤젠설폰아미드
51
Figure pat0005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52
Figure pat00055
N-[(2-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53
Figure pat00056
N-(2-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54
Figure pat00057
N-[(2-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55
Figure pat0005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56
Figure pat0005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m-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57
Figure pat00060
N-(2,5-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58
Figure pat0006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m-톨릴)벤젠설폰아미드
59
Figure pat0006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o-톨릴)벤젠설폰아미드
60
Figure pat00063
N-(4-시아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61
Figure pat0006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62
Figure pat00065
N-(2,4-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63
Figure pat0006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메톡시-3-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64
Figure pat0006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벤젠설폰아미드
65
Figure pat00068
N-(2,2-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66
Figure pat0006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67
Figure pat0007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68
Figure pat00071
N-(3-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69
Figure pat00072
N-(2-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70
Figure pat00073
N-(2,4-디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71
Figure pat00074
N-(2,5-디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72
Figure pat00075
N-(3-에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73
Figure pat00076
N-(1,1-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74
Figure pat00077
N-(3,5-디메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75
Figure pat00078
N-시클로펜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76
Figure pat00079
4-이소프로필-2-[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77
Figure pat0008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sec-부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78
Figure pat00081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79
Figure pat00082
N-인단-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80
Figure pat00083
N-인단-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81
Figure pat00084
N-시클로헵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82
Figure pat0008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83
Figure pat00086
N-(4-아세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84
Figure pat00087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85
Figure pat0008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피리미딘-2-일-벤젠설폰아미드
86
Figure pat00089
N-[(2,4-디메톡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87
Figure pat00090
N-(2-클로로-4-피리딜)-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88
Figure pat00091
2-[4-(4-에틸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89
Figure pat00092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90
Figure pat0009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91
Figure pat00094
N-(9-에틸카르바졸-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92
Figure pat00095
N-(4-브로모-1-나프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93
Figure pat0009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닐페닐)벤젠설폰아미드
94
Figure pat0009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1-나프틸)벤젠설폰아미드
95
Figure pat00098
N-[2-(4-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96
Figure pat0009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5-메톡시-1H-인돌-3-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
97
Figure pat0010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1H-인돌-5-일)벤젠설폰아미드
98
Figure pat00101
N-(1H-인돌-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99
Figure pat0010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메톡시-1,3-벤조티아졸-2-일)벤젠설폰아미드
100
Figure pat00103
N-[2-(1H-인돌-3-일)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1
Figure pat0010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8-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102
Figure pat00105
N-(4-에톡시-2-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3
Figure pat00106
N-(3,4-디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4
Figure pat00107
N-[2-(2-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5
Figure pat00108
N-[(4-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6
Figure pat00109
N-(3,5-디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7
Figure pat00110
N-(1,2-디메톡시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8
Figure pat00111
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09
Figure pat00112
N-(4-에티닐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0
Figure pat00113
N-[(4-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1
Figure pat00114
N-(2,4-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2
Figure pat00115
N-(2,5-디클로로-4-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3
Figure pat00116
N-(4-클로로-3-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4
Figure pat00117
N-(2,3-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5
Figure pat0011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116
Figure pat00119
N-[(3-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7
Figure pat00120
N-[2-(3-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8
Figure pat00121
N-[(2-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19
Figure pat00122
N-[2-(3-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20
Figure pat0012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21
Figure pat0012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22
Figure pat0012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23
Figure pat0012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o-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124
Figure pat00127
N-(3-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25
Figure pat00128
N-(2-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26
Figure pat00129
N-[(3-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27
Figure pat00130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128
Figure pat00131
N-[2-(2-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29
Figure pat00132
N-[(4-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30
Figure pat00133
N-[2-(2-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31
Figure pat0013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o-톨릴)에틸]벤젠설폰아미드
132
Figure pat0013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133
Figure pat0013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134
Figure pat0013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135
Figure pat0013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136
Figure pat0013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137
Figure pat00140
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38
Figure pat00141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139
Figure pat00142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40
Figure pat00143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41
Figure pat00144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42
Figure pat00145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클로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143
Figure pat00146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144
Figure pat00147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145
Figure pat00148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146
Figure pat00149
메틸 3-[[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147
Figure pat00150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H-인돌-5-일메틸)벤젠설폰아미드
148
Figure pat00151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149
Figure pat00152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50
Figure pat00153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151
Figure pat00154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52
Figure pat00155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53
Figure pat00156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154
Figure pat00157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155
Figure pat00158
메틸 3-[[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156
Figure pat00159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57
Figure pat00160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158
Figure pat00161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159
Figure pat00162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벤젠설폰아미드
160
Figure pat00163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61
Figure pat00164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클로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162
Figure pat00165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163
Figure pat00166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64
Figure pat00167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벤젠설폰아미드
165
Figure pat00168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펜틸-벤젠설폰아미드
166
Figure pat00169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헵틸-벤젠설폰아미드
167
Figure pat00170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페닐-벤젠설폰아미드
168
Figure pat00171
4-(2,3-디메틸-5-옥소-4-페닐-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169
Figure pat00172
4-[4-(4-클로로페닐)-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170
Figure pat00173
2-[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산
171
Figure pat00174
N-(2-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72
Figure pat00175
N-(4-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73
Figure pat00176
4-[2,3-디메틸-5-옥소-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174
Figure pat00177
N-[3-(히드록시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75
Figure pat00178
N-(6-히드록시-1-나프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76
Figure pat0017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177
Figure pat00180
N-[2-(2-플루오로페녹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78
Figure pat00181
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79
Figure pat00182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180
Figure pat00183
N-(4-히드록시-3-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81
Figure pat00184
N-(6-아세틸-1,3-벤조디옥소l-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82
Figure pat0018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3,5-트리메틸피라졸-4-일)벤젠설폰아미드
183
Figure pat00186
2-(4-인돌린-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185
Figure pat0018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테트랄린-1-일-벤젠설폰아미드
186
Figure pat00188
N,N-디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87
Figure pat0018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88
Figure pat0019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N-페닐-벤젠설폰아미드
189
Figure pat00191
N-벤질-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90
Figure pat00192
메틸 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2-페닐-아세테이트
191
Figure pat00193
N-(2-에톡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92
Figure pat00194
N-(2,6-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93
Figure pat0019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9-옥소티옥산텐-2-일)벤젠설폰아미드
194
Figure pat0019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3,5-디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195
Figure pat00197
N-(1,3-디메틸-2-옥소-벤지미다졸-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96
Figure pat00198
에틸 5-[[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197
Figure pat00199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1,3-디히드로퀴녹살린-2-온
198
Figure pat00200
N-터트-부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199
Figure pat00201
N-(3-플루오로-2-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00
Figure pat00202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201
Figure pat00203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3-페닐퀴녹살린-2-일)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202
Figure pat00204
4-이소프로필-2-[4-[[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1,4-디아제판-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203
Figure pat00205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4-(모폴린-4-카르보닐)-2-니트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204
Figure pat00206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2-피리딜)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205
Figure pat00207
N-(2,2-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06
Figure pat00208
4-이소프로필-2-[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207
Figure pat00209
N-[2-(3,4-디메톡시페닐)에틸]-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자미드
208
Figure pat00210
에틸 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4,5,6,7-테트라히드로벤조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
209
Figure pat00211
2-[4-[4-(7-클로로-4-퀴놀릴)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210
Figure pat00212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1-피페리딜설포닐)페닐]피라졸-3-온
211
Figure pat00213
N-이소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12
Figure pat00214
N-시클로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13
Figure pat00215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모폴리노설포닐페닐)피라졸-3-온
214
Figure pat0021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215
Figure pat00217
N-[2-(3,5-디메틸페녹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16
Figure pat0021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217
Figure pat00219
N-(4-히드록시-[1,1'-바이페닐]-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18
Figure pat00220
N-(2-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19
Figure pat00221
N-(5-히드록시나프탈렌-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20
Figure pat00222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4-디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221
Figure pat0022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2-몰포리노에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222
Figure pat00224
N-(2,4-디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23
Figure pat00225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224
Figure pat00226
N-(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25
Figure pat0022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톡시-4-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226
Figure pat00228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벤조산
227
Figure pat0022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톡시-5-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228
Figure pat0023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틸벤조퓨란-5-일)벤젠설폰아미드
229
Figure pat00231
N-(벤조[b]티오펜-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30
Figure pat00232
N-(벤조퓨란-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31
Figure pat00233
N-(벤조퓨란-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32
Figure pat00234
메틸 5-(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벤조[b]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233
Figure pat00235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메틸)벤조에이트
234
Figure pat00236
메틸 6-(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2-나프토에이트
235
Figure pat0023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메시틸벤젠설폰아미드
236
Figure pat00238
N-(9,10-디옥소-9,10-디히드로안트라센-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37
Figure pat0023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이소퀴놀린-5-일)벤젠설폰아미드
238
Figure pat00240
N-(벤조[d][1,3]디옥실-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39 N-(벤조[d][1,3]디옥실-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40
Figure pat0024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옥소인돌린-5-일)벤젠설폰아미드
241
Figure pat00243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242
Figure pat0024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티오펜-2-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
243
Figure pat0024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3,4,5-트리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244
Figure pat00246
N-(시클로헥실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45
Figure pat00247
N-(시클로헵틸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46
Figure pat00248
N-(2-시클로헥실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47
Figure pat00249
N-(3,4-디메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벤조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유기산 또는 무기산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적합한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포스폰산, 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탄산, 데칸산, 글리콜산, 락트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벤조산, 살리실산, 프탈산, 페닐아세트산, 벤젠술폰산, 2-나프탈렌술폰산, 메틸황산, 에틸황산, 도데실황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한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벤조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설폰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반응식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1) 화학식 2의 피라졸론 화합물을 클로로설폰산과 방응하여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제조환 화학식 2의 화합물과 2차 아민을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250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벤조설폰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LRS와 RagD 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mTOR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mTOR를 저해함으로써 치료효과가 달성되는 다양한 질환들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mTOR를 저해함으로써 치료효과가 달성되는 질환들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암, 간질, 염증질환, 면역질환, 당뇨, 비만, 호흡기계 폐쇄성 질환, 섬유증, 폼페병, 리소좀 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계질환 또는 기생충 감염증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암 또는 간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암세포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mTORC1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다양한 암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반면, 정상세포주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벤조설폰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LRS(leucyl tRNA synthetase)는 mTORC1로의 아미노산 신호전달의 핵심매개체로 기능한다. 즉, LRS가 아미노산 의존적으로, mTORC1으로의 신호전달 매개체인 Rag GTPase에 직접적으로 결합하고, Rag GTPase에 대한 GTPase-activating protein(GAP)의 역할을 하여 Rag GTPase가 mTORC1을 활성화한다. 또한, 류실-tRNA 합성효소 (leucyl tRNA synthetase, LRS)가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mTORC1의 활성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LRS가 세포내의 류신 농도를 감지하고 류신에서 유도되는 mTORC1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 Rag 단백질은 Ras small GTPase 중 Rag subfamily 에 속하고 RagA, RagB, RagC, RagD의 네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이중 A와 B는 이스트의 Gtr1p GTPase의 오솔로그 (ortholog)이고 C와 D는 이스트의 Gtr2p 의 오솔로그이다. RagD는 A 혹은 B와 함께 결합하여 이합체 (dimer)를 이루며 아미노산에 의한 mTORC1 활성을 매개한다.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33: 565-568, 2008). 따라서, LRS와 RagD 간의 결합을 저해하면 mTORC1의 활성화가 저해되어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흑색종, 백혈병, 대장암, 폐암, 간암, 위암, 식도암, 췌장암, 담낭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융모암, 난소암, 유방암, 갑상선암, 뇌암, 두경부암, 피부암, 림프종, 재생불량성 빈혈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림프종은 호지킨씨 림프종 및 비호지킨씨 림프종을 모두 포함하며, 전구B세포종양(Precursor B-cell neoplasm)과 같은 B세포신생물(B-CELL NEOPLASMS), 전구T세포종양(Precursor T-cell neoplasm)과 같은 T세포와 NK세포 신생물(T-CELL AND NK-CELL NEOPLASMS) 및 전형적호지킨병(Classical Hodgkin lymphoma)와 같은 호지킨림프종(Hodgkin lymphoma, Hodgkin disease)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벤조설폰 아미드 유도체는 라파마이신(rapamycin)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에 대해서도 유효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벤조설폰 아미드 유도체는 LRS의 효소적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LRS의 류신-센싱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LRS의 발현수준은 대장암 조직 및 세포에서 Rag GTPase 및 mTORC1의 활성화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세포의 이주 경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벤조설폰아미드 유도체는 LRS에서 RagD와 상호작용하는 위치에 결합하여 LRS가 라이소좀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이적으로 저해하며, RagD GTPase 및 mTORC1의 활성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과는 라파마이신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 세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낸 바,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벤조설폰아미드 유도체는 mTOR 돌연변이가 나타나 라파마이신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질과 연관된 mTOR 돌연변이(L2427P)를 발현하는 세포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 (i) RagD GTP의 가수분해와 LRS의 lysosomal translocation이 저해되었고, (ii) mTORC1의 활성 또한 저해되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간질 동물모델에 투여한 결과, 간질성 발작의 횟수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 투과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뇌 질환의 예방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투여제 및 비강흡입제의 형태로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투여’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 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수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LRS와 RagD 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mTORC1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mTOR를 저해함으로써 치료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암, 간질, 염증질환, 면역질환, 당뇨, 비만, 호흡기계 폐쇄성 질환, 섬유증, 폼페병, 리소좀 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계질환 및 기생충 감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정상 세포주 FHC (colon normal epithelial cell)에 대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세포독성을 농도별로 평가한 결과이다(Rap: rapamycin, 5-FU: 5-fluoro uracil).
도 2는 여러 가지 암 세포에 대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세포독성의 EC5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간질과 연관된 mTOR 돌연변이(L2427P)를 발현하는 NIH3T3 세포에서 LRS를 결손시키거나(도 3A)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도 3B) RagD GTP의 가수분해 및 LRS의 lysosomal translocation이 감소되는 것을 웨스턴 블롯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간질과 연관된 mTOR 돌연변이(L2427P)를 발현하는 NIH3T3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mTORC1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웨스턴 블롯을 통해 확인한 결과(도 4A)와 이를 정량화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도 4B).
도 5는 간질 동물모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라파마이신 또는 대조물질을 투여한 후 간질성 발작의 발현 횟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혈액-뇌 장벽(BBB) 투과성을 in vitro Pion BBB-PAMPA assay ki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 실시예 1-1> N- 시클로헥실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의 제조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0℃에서 클로로설폰산 (43.3 mL, 651 mmol)의 존재 하에 4-이소프로필-1,5-디메틸-2-페닐피라졸론(15 g, 65.1 mmol)을 첨가한 후 72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한다. 상온으로 식힌 후 생성물은 얼음물에 천천히 부어주고 디클로로메탄 (100ml)를 첨가하여 추출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1차 화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0% 디클로로메탄)를 사용해 정제하면 53%의 수율로 노란색 고체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11.3g)를 얻을 수 있다.
2.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 (2ml) 중에서 피리딘 (216.50 mg, 2.737 mmol) 존재 하에 시클로헥산아민 (91.53 mg, 0.547 mmol)과 상기 1의 결과물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150 mg, 0.456 mmol) 을 상온의 온도에서 약 3시간 반응시킨다. TLC (EA/HX=1) 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EA/HX=1)를 이용하여 정제한다. 추가적으로 디클로로메탄과 헥산 혹은 에틸에테르와 헥산을 사용하여 재결정해주면 50.66%의 수율로 밝은 하얀색 고체인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209.64 mg)를 수득하였다.
ESI (m/z) 392(MH+) 390(MH-)
< 실시예 1-2>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 벤조에이트의 제조
에틸 4-아미노벤조에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8 (MH+) 480 (MNa+) 456 (MH-)
< 실시예 1-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86 (MH+) 408 (MNa+) 384 (MH-)
< 실시예 1-4> N- 시클로헥실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N-메틸시클로헥산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6 (MH+) 428 (MNa+)
< 실시예 1-5> N-(4- 터트 - 부틸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터트-부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2 (MH+) 440 (MH-)
< 실시예 1-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메톡시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메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1.3%)
ESI (m/z) 416 (MH+) 438 (MNa+) 414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95 (s, 1H), 7.76 (d, 2H, J = 8.8 Hz), 7.52 (d, 2H, 8.4 Hz), 7.01 (d, 2H, J = 8.8 Hz), 6.82 (d, 2H, J = 8.8 Hz), 3.67 (s, 3H), 2.93 (s, 3H), 2.79-2.68 (m, 1H), 2.19 (s, 3H), 1.17 (d, 6H, J = 6.8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1, 156.9, 155.6, 139.3, 135.8, 130.5, 128.1, 123.7, 122.0, 144.7, 144.6, 55.5, 37.2, 23.9, 21.2, 11.2
< 실시예 1-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모폴리노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몰포리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4.5%)
ESI (m/z) 471 (MH+) 493 (MNa+) 469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94 (s, 1H), 7.78 (d, 2H, J = 8.4 Hz), 7.52 (d, 2H, J = 8.4 Hz), 6.98 (d, 2H, J = 8.4 Hz), 6.86 (d, 2H, J = 8.4 Hz), 3.70 (t, 4H, J = 4.2 Hz), 3.03 (s, 4H), 2.93 (s, 3H), 2.77-2.70 (m, 1H), 2.19 (s, 3H), 1.17 (d, 6H, J = 6.8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1, 155.6, 148.1, 139.2, 136.0, 129.7, 128.1, 123.2, 122.0, 116.3, 114.6, 66.3, 49.1, 37.2, 23.9, 21.3, 11.3
< 실시예 1-8> N-[(3,4- 디메톡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디메톡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5.9%)
ESI (m/z) 460 (MH+) 482 (MNa+) 458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10 (t, 1H, J = 6.8 Hz), 7.83 (d, 2H, J = 8.4 Hz), 7.51 (d, 2H, J = 8.4 Hz), 6.81-6.72 (m, 3H), 3.96 (d, 2H, J = 6.0Hz), 3.68 (s, 3H), 3.65 (s, 3H), 2.96 (s, 3H), 2.81-2.70 (m, 1H), 2.22 (s, 3H), 1.19 (d, 6H, J = 6.8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1, 155.5, 148.8, 148.3, 138.9, 137.2, 130.0, 127.9, 122.0, 120.2, 114.5, 111.8, 111.7, 55.8, 55.7, 49.0, 46.5, 37.1, 23.9, 21.3, 11.2
< 실시예 1-9> N-[2-(3,4- 디메톡시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4-디메틸메톡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4.7%)
ESI (m/z) 474 (MH+) 496 (MNa+) 472 (MH-); 1H NMR (400 MHz, DMSO-d6) δ 7.85 (d, 2H, J = 8.4 Hz), 7.70 (t, 1H, J = 5.4 Hz), 7.56 (d, 2H, J = 8.4 Hz), 6.82 (d, 1H, J = 8.0 Hz), 6.81 (s, 1H), 6.65 (d, 1H, J = 8.4 Hz), 3.70 (d, 6H, J = 5.6 Hz), 3.00-2.95 (m, 5H), 2.79-2.70 (m, 1H), 2.62 (t, 2H, J = 7.4 Hz), 2.21 (s, 3H), 1.19 (d, 6H, J = 6.8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2, 155.5, 148.9, 147.7, 139.0, 136.8, 131.4, 127.9, 122.2, 120.9, 114.5, 112.9, 112.2, 55.8, 55.7, 44.6, 37.1, 35.3, 23.9, 21.3, 11.2
< 실시예 1-1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메톡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톡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6.9%)
ESI (m/z) 430 (MH+) 452 (MNa+) 428 (MH-); 1H NMR (400 MHz, DMSO-d6) δ 7.99 (t, 1H, J = 6.2 Hz), 7.84 (d, 2H, J = 8.4 Hz), 7.52 (d, 2H, J = 8.4 Hz), 7.25-7.17 (m, 2H), 6.89-6.84 (m, 2H), 3.97 (d, 2H, J = 6.0 Hz), 3.70 (s, 3H), 2.97 (s, 3H), 2.81-2.71 (m, 1H), 2.22 (s, 3H), 1.20 (d, 6H, J = 6.8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1, 156.8, 155.4, 138.9, 137.1, 128.9, 128.98, 127.84, 125.4, 122.1, 120.3, 114.5, 110.7, 55.5, 49.0, 41.4, 37.1, 23.9, 21.3, 11.2
< 실시예 1-1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p- 톨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p-톨루이딘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3(d, 2H, J = 7.6 Hz), 7.62 (s, 1H), 7.51 (d, 2H, J = 7.2 Hz), 6.99 (s, 4H), 2.93 (s, 3H), 2.80-2.77 (m, 1H), 2.25 (s, 3H), 2.19 (s, 3H), 1.27 (d, 6H, J = 6.4 Hz)
< 실시예 1-12> N-(4- 클로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클로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1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2- 메톡시페닐 )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2-메톡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5.5%)
ESI (m/z) 444 (MH+) 466 (MNa+) 442 (MH-)
< 실시예 1-1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2- 메톡시페녹시 )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2-메톡시페녹시)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2.4%)
ESI (m/z) 460 (MH+) 482 (MNa+)
< 실시예 1-1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메톡시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메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6.9%)
ESI (m/z) 416 (MH+) 438 (MNa+) 414 (MH-)
< 실시예 1-1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메톡시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3.3%)
ESI (m/z) 416 (MH+) 438 (MNa+) 414 (MH-)
< 실시예 1-1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페닐프로필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페닐프로판-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2.6%)
ESI (m/z) 428 (MH+) 450 (MNa+) 426 (MH-)
< 실시예 1-1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니트로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3.0%)
ESI (m/z) 431 (MH+) 453 (MNa+) 429 (MH-)
< 실시예 1-1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니트로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2.9%)
ESI (m/z) 431 (MH+) 453 (MNa+) 429 (MH-)
< 실시예 1-2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페닐에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4 (MH+) 436 (MNa+) 412 (MH-)
< 실시예 1-2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페닐부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페닐부탄-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2 (MH+) 464 (MNa+) 440 (MH-)
< 실시예 1-2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5- 퀴놀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퀴놀린-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7 (MH+) 459 (MNa+) 435 (MH-)
< 실시예 1-2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퀴놀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퀴놀린-3-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7 (MH+) 459 (MNa+) 435 (MH-)
< 실시예 1-24> N-(4- 플루오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플루오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4 (MH+) 402 (MH-)
< 실시예 1-25> 터트 -부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터트-부틸 4-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93 (MH+) 491 (MH-)
< 실시예 1-26> N-[2-(4- 클로로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클로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8 (MH+) 446 (MH-)
< 실시예 1-2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티에닐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티오펜-2-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6 (MH+) 428 (MNa+) 404 (MH-)
< 실시예 1-2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피리딜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피리딘-3-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1 (MH+) 423 (MNa+) 399 (MH-)
< 실시예 1-2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2- 피리딜 )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피리딘-2-일)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5 (MH+) 437 (MNa+) 413 (MH-)
< 실시예 1-3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나프틸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나프탈렌-2-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0 (MH+) 472 (MNa+) 448 (MH-)
< 실시예 1-31> N-[2-(3- 플루오로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플루오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2 (MH+) 454 (MNa+) 430 (MH-)
< 실시예 1-32> N-(5- 플루오로 -2- 피리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5-플루오로피리딘-2-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5 (MH+) 427 (MNa+) 403 (MH-)
< 실시예 1-3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메톡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메톡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0 (MH+) 452 (MNa+) 428 (MH-)
< 실시예 1-3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6- 퀴놀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퀴놀린-6-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7 (MH+) 459 (MNa+) 435 (MH-)
< 실시예 1-35> N-(2,3- 디히드로 -1,4- 벤조디옥신 -6-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4 (MH+) 466 (MNa+) 442 (MH-)
< 실시예 1-36> N-[4-(디메틸아미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N,N-디메틸벤젠-1,4-디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9 (MH+) 451 (MNa+) 427 (MH-)
< 실시예 1-37>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 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 3-아미노벤조에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4 (MH+) 466 (MNa+) 442 (MH-)
< 실시예 1-38> 에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 벤조에이트의 제조
에틸 3-아미노벤조에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8 (MH+) 480 (MNa+) 456 (MH-)
< 실시예 1-3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4 (MH+) 476 (MNa+) 452 (MH-)
< 실시예 1-40> N-[2-(4- 플루오로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플루오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2 (MH+) 454 (MNa+) 430 (MH-)
< 실시예 1-4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이소프로필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이소프로필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8 (MH+) 450 (MNa+) 426 (MH-)
< 실시예 1-42> N-(3- 플루오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플루오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4 (MH+) 426 (MNa+) 402 (MH-)
< 실시예 1-43> N-(3- 플루오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플루오로-N-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8 (MH+)
< 실시예 1-4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1- 나프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나프탈렌-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6 (MH+) 458 (MNa+) 434 (MH-)
< 실시예 1-4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메톡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메톡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0 (MH+) 452 (MNa+) 428 (MH-)
< 실시예 1-46> N-[(3- 플루오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8 (MH+) 440 (MNa+) 416 (MH-)
< 실시예 1-4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 테트라히드로퓨란 -2- 일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94 (MH+) 416 (MNa+) 392 (MH-)
< 실시예 1-48> N-[2-(2- 퓨릴메틸설파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퓨란-2-일메틸)티오)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0 (MH+) 472 (MNa+) 448 (MH-)
< 실시예 1-4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p- 톨릴 )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p-톨릴)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8 (MH+) 450 (MNa+) 426 (MH-)
< 실시예 1-5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메톡시페닐 )-N-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메톡시-N-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0 (MH+) 452 (MNa+)
< 실시예 1-5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4- 메톡시페닐 )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메톡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4 (MH+) 466 (MNa+) 442 (MH-)
< 실시예 1-52> N-[(2- 클로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클로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4 (MH+) 456 (MNa+) 432 (MH-)
< 실시예 1-53> N-(2- 플루오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플루오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4 (MH+) 426 (MNa+) 402 (MH-)
< 실시예 1-54> N-[(2- 플루오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8 (MH+) 416 (MH-)
< 실시예 1-5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p- 톨릴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p-톨릴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4 (MH+) 436 (MNa+) 412 (MH-)
< 실시예 1-5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m- 톨릴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m-톨릴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4 (MH+) 436 (MNa+) 412 (MH-)
< 실시예 1-57> N-(2,5- 디메틸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5-디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4 (MH+) 436 (MNa+) 412 (MH-)
< 실시예 1-5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m- 톨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m-톨루이딘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0 (MH+) 422 (MNa+) 398 (MH-)
< 실시예 1-5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o- 톨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o-톨루이딘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0 (MH+) 422 (MNa+) 398 (MH-)
< 실시예 1-60> N-(4- 시아노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아미노벤조니트릴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1 (MH+) 433 (MNa+) 409 (MH-)
< 실시예 1-6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4 (MH+) 476 (MNa+) 452 (MH-)
< 실시예 1-62> N-(2,4- 디메틸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디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4 (MH+) 436 (MNa+) 412 (MH-)
< 실시예 1-6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6- 메톡시 -3- 피리딜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6-메톡시피리딘-3-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7 (MH+) 439 (MNa+) 415 (MH-)
< 실시예 1-6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p- 톨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p-톨루이딘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0 (MH+) 422 (MNa+) 398 (MH-)
< 실시예 1-65> N-(2,2- 디메틸프로필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2-디메틸프로판-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80 (MH+) 402 (MNa+) 378 (MH-)
< 실시예 1-6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피리딜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피리딘-2-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1 (MH+) 423 (MNa+) 399 (MH-)
< 실시예 1-6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피리딜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피리딘-2-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87 (MH+) 409 (MNa+) 385 (MH-)
< 실시예 1-68> N-(3- 브로모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브로모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64 (M+) 466 (M+2)
< 실시예 1-69> N-(2- 브로모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브로모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64 (M+) 466 (M+2)
< 실시예 1-70> N-(2,4- 디브로모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디브로모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44 (MH+) 546 (M+2) 542 (MH-)
< 실시예 1-71> N-(2,5- 디브로모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5-디브로모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44 (MH+) 546 (M+2) 542 (MH-)
< 실시예 1-72> N-(3- 에틸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에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4 (MH+) 436 (MNa+) 412 (MH-)
< 실시예 1-73> N-(1,1- 디메틸프로필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틸부탄-2-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80 (MH+)
< 실시예 1-74> N-(3,5- 디메톡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5-디메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6 (MH+) 468 (MNa+) 444 (MH-)
< 실시예 1-75> N- 시클로펜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시클로펜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78 (MH+) 376(MH-)
< 실시예 1-76> 4-이소프로필-2-[4-[4-(4- 메톡시페닐 )피페라진-1-일] 설포닐페닐 ]-1,5-디메틸- 피라졸 -3-온의 제조
1-(4-메톡시페닐)피페라진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85 (MH+) 507 (MNa+)
< 실시예 1-7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sec- 부틸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sec-부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2 (MH+) 464 (MNa+) 440 (MH-)
< 실시예 1-78>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에틸 4-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65 (MH+) 487 (MNa+) 463 (MH-)
< 실시예 1-79> N-인단-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디히드로-1H-인덴-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6 (MH+) 448 (MNa+) 424 (MH-)
< 실시예 1-80> N-인단-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디히드로-1H-인덴-2-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6 (MH+) 424 (MH-)
< 실시예 1-81> N- 시클로헵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시클로헵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6 (MH+) 404(MH-)
< 실시예 1-8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4 (MH+) 476 (MNa+) 452 (MH-)
< 실시예 1-83> N-(4- 아세틸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4-아미노페닐)에타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8 (MH+) 450 (MNa+) 426 (MH-)
< 실시예 1-84>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 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 4-아미노벤조에이트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4 (MH+) 466 (MNa+) 442 (MH-)
< 실시예 1-8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피리미딘-2-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피리미딘-2-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88 (MH+) 386 (MH-)
< 실시예 1-86> N-[(2,4- 디메톡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디메톡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60 (MH+)
< 실시예 1-87> N-(2- 클로로 -4- 피리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클로로피리딘-4-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1 (MH+) 443 (MNa+) 419 (MH-)
< 실시예 1-88> 2-[4-(4- 에틸피페라진 -1-일) 설포닐페닐 ]-4-이소프로필-1,5-디메틸- 피라졸 -3-온의 제조
1-에틸피페라진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7 (MH+)
< 실시예 1-89> N-[3,5-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22 (MH+) 520 (MH-)
< 실시예 1-9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피리딜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피리딘-4-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0 (MH+) 423 (MNa+) 399 (MH-)
< 실시예 1-91> N-(9- 에틸카르바졸 -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9-에틸-9H-카르바졸-3-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03 (MH+) 525 (MNa+) 501 (MH-)
< 실시예 1-92> N-(4- 브로모 -1- 나프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브로모나프텔렌-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14 (M+) 516 (M+2)
< 실시예 1-9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페닐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1'-비페닐]-2-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62 (MH+) 46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27 (s, 1H), 8.04 (t, 1H, J = 2.0 Hz) 8.02-7.99 (m, 3H), 7.96 (t, 1H, J = 2.2 Hz), 7.94 (t, 1H, J = 2.0 Hz), 7.80 (td, 1H, Ja = 6.0 Hz, Jb = 1.6 Hz), 7.77 - 7.23 (m, 3H), 7.68 (td, 1H, Ja = 8.0 Hz, Jb = 1.2 Hz), 7.60 (dd, 1H, Ja = 8.0 Hz, Jb = 1.6 Hz), 3.45 (s, 3H), 2.69 (s, 3H), 2.49 - 2.46 (m, 1H), 1.67 (d, 6H, J = 6.8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205.6, 165.7, 155.9, 140.4, 138.4, 137.0, 136.1, 134.1, 131.0, 129.4, 128.9, 128.6, 128.1, 127.8, 126.2, 124.9, 121.7, 115.9, 37.2, 24.5, 20.7, 10.7
< 실시예 1-9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메틸 -1- 나프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틸나프탈렌-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0 (MH+) 448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10 (s, 1H), 8.25-8.20 (m, 3H), 8.12 (d, 2H, J = 8.8 Hz), 7.96 (d, 2H, J = 8.8 Hz), 7.81 (d, 2H, J = 8.4 Hz), 7.77 (t, 1H, J = 7.4 Hz), 7.68 (t, 1H, J = 8.4 Hz), 3.41 (s, 3H), 3.23-3.21 (m, 1H), 2.75 (s, 3H), 2.68 (s, 3H), 1.67 (d, 6H, J = 6.8 Hz)
< 실시예 1-95> N-[2-(4- 브로모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브로모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92 (M+) 494 (M+2); 1H NMR (400 MHz, DMSO-d6) δ 8.30 (d, 2H, J = 8.8 Hz), 8.05 (d, 2H, J = 8.8 Hz), 7.82 (d, 2H, 8.4 Hz), 7.54 (d, 2H, J = 8.0 Hz), 7.03 (t, 1H, J = 5.8 Hz), 3.63-3.57 (m, 2H), 3.48 (s, 3H), 3.28-3.18 (m, 3H), 2.69 (s, 3H), 1.67 (d, 6H, J = 7.2 Hz)
< 실시예 1-9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5- 메톡시 -1H-인돌-3-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5-메톡시-1H-인돌-3-일)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83 (MH+) 48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26 (s, 1H), 8.27 (d, 2H, J = 8.8 Hz), 8.00 (d, 2H, 8.4 Hz), 7.63 (d, 1H, J = 8.8 Hz), 7.43-7.41 (m, 2H), 7.14 (dd, 1H, Ja = 8.0 Hz, Jb = 2.4 Hz), 6.93 (t, 1H, J = 5.8 Hz), 4.19 (s, 3H), 3.70 - 3.65 (m, 2H), 3.33 (t, 2H, J = 7.4 Hz) 3.27-3.19 (m, 1H), 2.69 (m, 3H), 1.67 (d, 6H, J = 6.8 Hz)
< 실시예 1-9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메틸 -1H-인돌-5-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틸-1H-인돌-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9 (MH+) 437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40 (s, 1H), 9.04 (s, 1H), 8.18 (d, 2H, J = 8.8 Hz), 7.95 (d, 2H, J = 8.4 Hz), 7.69 (s, 1H), 7.55 (d, 2H, 8.8 Hz), 7.29 (dd, 1H, Ja = 12.0 Hz, Jb = 1.6 Hz), 6.48 (s, 1H), 3.37 (s, 3H), 3.24-3.15 (m, 1H), 2.78 (s, 3H), 2.64 (s, 3H), 1.63 (d, 6H, J = 7.2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165.6, 155.7, 139.9, 137.1, 136.9, 136.3, 134.9, 129.7, 129.4, 128.4, 121.4, 117.3, 115.9, 114.5, 110.8, 100.0, 37.1, 24.4, 20.7, 13.0, 10.7
< 실시예 1-98> N-(1H-인돌-5- 일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H-인돌-5-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9 (MH+)
< 실시예 1-99>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6- 메톡시 -1,3- 벤조티아졸 -2-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6-메톡시벤조[d]티아졸-2-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73 (MH+) 495 (MNa+) 471 (MH-)
< 실시예 1-100> N-[2-(1H-인돌-3-일)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1H-인돌-3-일)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3 (MH+) 475 (MNa+) 451 (MH-)
< 실시예 1-10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메틸 -8- 퀴놀릴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틸-8-퀴놀릴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1 (MH+) 473 (MNa+)
< 실시예 1-102> N-(4- 에톡시 -2-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에톡시-2-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75 (MH+) 497 (MNa+) 473 (MH-)
< 실시예 1-103> N-(3,4- 디클로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디클로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4 (M+) 456 (M+2)
< 실시예 1-104> N-[2-(2- 클로로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
2-(2-클로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8 (MH+) 446 (MH-)
< 실시예 1-105> N-[(4- 클로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클로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4 (MH+) 456 (MNa+) 432 (MH-)
< 실시예 1-106> N-(3,5- 디클로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5-디클로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4 (M+) 456 (M+2)
< 실시예 1-107> N-(1,2- 디메톡시프로필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2-디메톡시프로판-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12 (MH+)
< 실시예 1-108> N-(5- 클로로 -2- 플루오로 -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5-클로로-2-플루오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8 (MH+) 436 (MH-)
< 실시예 1-109> N-(4- 에티닐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에티닐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9.4%)
ESI (m/z) 410 (MH+) 408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57 (s, 1H), 7.82 (d, 2H, J = 8.4 Hz), 7.51 (d, 2H, J = 8.0 Hz), 7.32 (d, 2H, J = 8.4 Hz), 7.09 (d, 2H, J = 8.8 Hz), 4.04 (s, 1H), 2.88(s, 3H), 2.74 - 2.63 (m, 1H), 2.14 (s,3H), 1.12 (d, 6H, J = 7.2 Hz) ;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1, 155.8, 139.6, 138.7, 135.5, 133.2, 128.1, 122.1, 119.6, 117.2, 114.6, 83.4, 80.7, 37.2, 23.9, 21.2, 11.2
< 실시예 1-110> N-[(4- 플루오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7.9%)
ESI (m/z) 418 (MH+) 416 (MH-)
< 실시예 1-111> N-(2,4-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디메틸-6-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8.0%)
ESI (m/z) 459 (MH+) 457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02 (s, 1H), 7.59 (d, 2H, J = 8.8 Hz), 7.50-7.47 (m, 3H), 7.29 (s, 1H), 2.91 (s, 3H), 2.77 - 2.66 (m, 1H), 2.28 (s, 3H), 2.17 (s, 3H), 1.77 (s,3H), 1.15 (d, 6H, J = 7.2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0, 155.7, 149.4, 139.57, 139.52, 138.7, 136.8, 135.8, 127.8, 124.4, 123.4, 122.3, 114.7, 37.2, 12.9, 21.3, 20.5, 17.6, 11.3
< 실시예 1-112> N-(2,5- 디클로로 -4-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5-디클로로-4-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2.6%)
ESI (m/z) 499 (M)
< 실시예 1-113> N-(4- 클로로 -3-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클로로-3-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6.0%)
1H NMR (400 MHz, DMSO-d6) δ 11.01 (s, 1H), 7.87 (d, 2H, J = 8.8 Hz), 7.73 (d, 1H, J = 2.4 Hz), 7.62 (d, 1H, J = 8.8 Hz), 7.54 (d, 2H, J = 8.4 Hz), 7.38 (dd, 1H, Ja = 12.0 Hz, Jb = 2.4 Hz), 2.89 (s, 3H), 2.74 - 2.63 (m, 1H), 2.15 (s, 3H), 1.12 (d, 6H, J = 7.2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1, 156.0, 147.9, 140.0, 138.2, 134.8, 133.1, 128.2, 124.4, 122.2, 120.0, 116.0, 114.6, 37.3, 23.9, 21.2, 11.3
< 실시예 1-114> N-(2,3-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디메틸-6-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5.9%)
ESI (m/z) 459 (MH+) 457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16 (s, 1H), 7.64 (d, 1H, J = 8.4 Hz), 7.60 (d, 2H, J = 8.8 Hz), 7.52 (d, 2H, J = 8.8 Hz), 7.33 (d, 1H, J = 8.4 Hz), 2.96 (s, 3H), 2.97 - 2.72 (m, 1H), 2.22 (d, 6H, J = 8.4 Hz), 1.79 (s, 3H), 1.19 (d, 6H, J = 7.2 Hz);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5.0, 155.7, 147.8, 143.9, 139.4, 138.9, 136.5, 129.5, 127.8, 126.8, 122.4, 122.3, 114.7, 37.1, 23.9, 21.3, 20.8, 14.7, 11.3
< 실시예 1-11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1- 나프틸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나프탈렌-1-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21 %)
ESI (m/z) 450 (MH+) 472 (MNa+) 448 (MH-)
< 실시예 1-116> N-[(3- 브로모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브로모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6.7 %)
ESI (m/z) 478 (M+) 480 (M+2)
< 실시예 1-117> N-[2-(3- 브로모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브로모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1.8 %)
ESI (m/z) 492 (M+) 494 (M+2)
< 실시예 1-118> N-[(2- 브로모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브로모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5.8 %)
ESI (m/z) 478 (M+) 480 (M+2)
< 실시예 1-119> N-[2-(3- 클로로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클로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3.1 %)
ESI (m/z) 448 (MH+) 470 (MNa+) 446 (MH-)
< 실시예 1-12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8.9 %)
ESI (m/z) 468 (MH+) 490 (MNa+) 466 (MH-)
< 실시예 1-12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7.3 %)
ESI (m/z) 468 (MH+) 490 (MNa+) 466 (MH-)
< 실시예 1-12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4.6 %)
ESI (m/z) 468 (MH+) 490 (MNa+) 466 (MH-)
< 실시예 1-12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o- 톨릴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o-톨릴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4.2 %)
ESI (m/z) 414 (MH+) 436 (MNa+) 412 (MH-)
< 실시예 1-124> N-(3- 클로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클로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8.8 %)
ESI (m/z) 420 (MH+) 418 (MH-)
< 실시예 1-125> N-(2- 클로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클로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6 %)
ESI (m/z) 420 (MH+) 418 (MH-)
< 실시예 1-126> N-[(3- 클로로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클로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6.4 %)
ESI (m/z) 434 (MH+) 456 (MNa+) 432 (MH-)
< 실시예 1-127>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페녹시에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의 제조
4-이소프로필-1,5-디메틸-2-페닐피라졸론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2.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페녹시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6%)
ESI (m/z) 466 (M+) 468 (M+2); 1H NMR (400 MHz, DMSO-d6) δ 8.03 (s, 1H), 7.95 (d, 2H, J = 8.4 Hz), 7.56 (d, 2H, J = 8.8 Hz), 7.25 (t, 2H, J = 8.8 Hz), 6.91 (t, 1H, J = 8.8 Hz), 6.83 (d, 2H, J = 8.0 Hz), 3.94 (t, 2H, J = 8.0 Hz), 3.19 (t, 2H, J = 8.0 Hz), 3.13 (s, 3H), 2.33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peak 161.9, 158.4, 157.3, 138.4, 138.3, 129.87, 129.84, 28.0, 123.6, 121.1, 114.79, 114.77, 88.4, 66.6, 42.4, 37.1, 12.7
< 실시예 1-128> N-[2-(2- 플루오로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2-플루오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2 (MH+) 454 (MNa+) 430 (MH-)
< 실시예 1-129> N-[(4- 브로모페닐 ) 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브로모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78 (M+) 480 (M+2)
< 실시예 1-130> N-[2-(2- 브로모페닐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2-브로모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92 (M+) 494 (M+2)
< 실시예 1-13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o- 톨릴 )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o-톨릴)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8 (MH+) 450 (MNa+)
< 실시예 1-13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3- 메톡시페닐 )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메톡시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4 (MH+) 466 (MNa+)
< 실시예 1-13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2-(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82 (MH+) 504 (MNa+) 480 (MH-)
< 실시예 1-134>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3-(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82 (MH+) 504 (MNa+) 480 (MH-)
< 실시예 1-13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4-(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82 (MH+) 504 (MNa+) 480 (MH-)
< 실시예 1-13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4 (MH+) 476 (MNa+) 452 (MH-)
< 실시예 1-137> N-(2,3- 디히드로 -1,4- 벤조디옥신 -6- 일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디히드로벤조[b][1,4]디옥신-6-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8 (MH+) 480 (MNa+) 456 (MH-)
< 실시예 1-138>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페녹시에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의 제조
4-클로로-1,5-디메틸-2-페닐피라졸론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40.5%)
2.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페녹시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1.94%)
ESI (m/z) 422 (MH+) 444 (MNa+) 420 (MH-); 1H NMR (400MHz, DMSO-d6) 8.04 (t, 1H, J = 5.8 Hz), 7.95 (d, 2H, J = 8.4 Hz), 7.56 (d, 2H, J = 8.8 Hz), 7.25 (t, 2H, J = 8.0 Hz), 6.91 (t, 1H, J = 7.4 Hz), 6.83 (d, 2H, J = 8.0 Hz), 3.94 (t, 2H, J = 5.4 Hz), 3.19 (q, 2H, J = 5.6 Hz), 3.11 (s, 3H), 2.32 (s, 3H); 13C NMR (100MHz, DMSO-d6) δ 161.1, 158.4, 155.3, 138.5, 138.1, 129.8, 128.0, 123.6, 121.1, 114.7, 100.6, 66.6, 42.4, 37.0, 11.5
< 실시예 1-139>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플루오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0.8%)
ESI (m/z) 410 (MH+) 432 (MNa+) 408 (MH-) ; 1H NMR (400MHz, DMSO-d6) 8.29 (t, 1H, J = 6.2 Hz), 7.90 (d, 2H, J = 8.4 Hz), 7.53 (d, 2H, J = 8.8 Hz), 7.34 (t, 1H, J = 7.6 Hz), 7.30 - 7.25 (m, 1H), 7.13 - 7.07 (m, 2H), 4.09 (d, 2H, J = 6.0 Hz), 3.13 (s, 3H), 2.33 (s, 3H)
< 실시예 1-140>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플루오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7.3%)
ESI (m/z) 410 (MH+) 432 (MNa+) 408 (MH-); 1H NMR (400MHz, DMSO-d6) δ 8.34 (t, 1H, J = 6.0 Hz), 7.90 (d, 2H, J = 8.4 Hz), 7.54 (d, 2H, J = 8.4 Hz), 7.31 (q, 1H, J = 7.2 Hz), 7.10 - 7.01 (m, 3H), 4.08 (d, 2H, J = 6.4 Hz), 3.13 (s, 3H), 2.33 (s, 3H)
< 실시예 1-141>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 플루오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0.9%)
ESI (m/z) 410 (MH+) 432 (MNa+) 408 (MH-); 1H NMR (400MHz, DMSO-d6) 8.29 (t, 1H, J = 6.4 Hz), 7.89 (d, 2H, J = 8.4 Hz), 7.53 (d, 2H, J = 8.8 Hz), 7.28 - 7.25 (m, 2H), 7.08 (t, 2H, J = 8.8 Hz), 4.04 (d, 2H, J = 6.4 Hz), 3.13 (s, 3H), 2.33 (s, 3H); 13C NMR (100MHz, DMSO-d6) δ 162.9, 161.1, 160.5, 155.3, 138.7, 138.1, 134.2, 134.1, 130.1, 130.0, 128.1, 123.6, 115.5, 115.2, 100.6, 45.8, 37.0, 11.5,
< 실시예 1-142>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4- 디클로로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디클로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1.4 %)
ESI (m/z) 447 (MH+) 489 (MNa+) 445 (MH-); 1H NMR (400MHz, DMSO-d6) 7.85 (d, 2H, J = 8.8Hz), 7.51 (d, 2H, J = 8.8Hz), 7.45 (d, 1H, J = 8.8Hz), 7.24 (d, 1H, J = 2.4Hz), 7.06 (dd, 1H, J = 2.6Hz), 3.03 (s, 3H), 2.23 (s, 3H); 13C NMR (100MHz, DMSO-d6) δ 161.1, 155.8, 138.9, 138.2, 136.4, 131.9, 131.7, 128.3, 126.5, 123.5, 121.3, 120.0, 100.7, 37.2, 11.5
< 실시예 1-143>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5- 클로로 -2- 플루오로 -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5-클로로-2-플루오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8.2 %)
ESI (m/z) 431 (MH+) 453 (MNa+) 429 (MH-); 1H NMR (400MHz, DMSO-d6) 7.82 (d, 2H, J = 8.8Hz), 7.51 (d, 2H, J = 8.8Hz), 7.25 - 7.15 (m, 3H), 3.04 (s, 3H), 2.24 (s, 3H);
< 실시예 1-144>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N,N-디메틸벤젠-1,4-디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3.7 %)
ESI (m/z) 421 (MH+) 443 (MNa+) 419 (MH-); 1H NMR (400MHz, DMSO-d6) 9.69 (s, 1H), 7.74 (d, 2H, J = 8.8 Hz), 7.48 (d, 2H, J = 8.4 Hz), 6.84 (d, 2H, J = 8.8 Hz), 6.54 (d, 2H, J = 9.2 Hz), 3.06 (s, 3H), 2.76 (s, 6H), 2.26 (s, 3H); 13C NMR (100MHz, DMSO-d6) δ 161.0, 155.4, 148.6, 138.2, 137.5, 128.3, 126.1, 124.5, 123.3, 113, 100.6, 37.1, 11.4
< 실시예 1-145>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피리딜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피리딘-2-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4.9 %)
ESI (m/z) 393 (MH+) 415 (MNa+) 491 (MH-); 1H NMR (400MHz, DMSO-d6) 8.35 (d, 1H, J = 4.4 Hz), 8.31 (t, 1H, J = 6.4 Hz), 7.83 (d, 2H, J = 8.8 Hz), 7.64 (t, 1H, J = 7.8 Hz), 7.46 (d, 2H, J = 8.8 Hz), 7.27 (d, 1H, J = 8.9 Hz), 7.15 (q, 1H, J = 4.8 Hz), 4.07 (d, 2H, J = 6.0 Hz), 4.07 (d, 2H, J = 6.0 Hz), 3.06 (s, 3H), 2.25 (s, 3H) ; 13C NMR (100MHz, DMSO-d6) 161.0, 157.3, 155.3, 149.1, 138.4, 138.1, 137.0, 128.1, 123.6, 122.8, 122.0, 100.6, 48.3, 37.0, 11.5
< 실시예 1-146> 메틸 3-[[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 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3-아미노벤조에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7.2 %)
ESI (m/z) 436 (MH+) 458 (MNa+) 434 (MH-); 1H NMR (400MHz, DMSO-d6) δ 10.58 (s, 1H), 7.82 (d, 2H, J = 8.8 Hz), 7.66 - 7.62 (m, 1H), 7.57 - 7.55 (m, 1H), 7.48 (d, 2H, J = 8.4 Hz), 7.34 (d, 2H, J = 4.4 Hz), 3.74 (s, 3H), 3.01 (s, 3H), 2.22 (s, 3H);
< 실시예 1-147>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1H-인돌-5- 일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1H-인돌-5-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5.2 %)
ESI (m/z) 431 (MH+) 453 (MNa+) 429 (MH-); 1H NMR (400MHz, DMSO-d6) δ 10.95 (s, 1H), 8.07 (t, 3H, J = 4.4 Hz), 7.85 (d, 2H, J = 8.8 Hz), 7.45 (d, 2H, J = 8.8 Hz), 7.29 (s, 1H), 7.21 (d, 2H, J = 8.8 Hz), 6.88 (d, 2H, J = 8.4 Hz), 6.28 (s, 1H), 4.00 (d, 2H, J = 6.4 Hz), 3.01 (s, 3H), 2.25 (s, 3H); 13C NMR (100MHz, DMSO-d6) 161.0, 155.2, 138.8, 137.9, 135.5, 128.0, 127.9, 127.8, 126.0, 123.6, 121.6, 119.7, 111.5, 101.3, 100.5, 47.3, 36.9, 11.4
< 실시예 1-148>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1- 나프틸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나프탈렌-1-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6 %)
ESI (m/z) 442 (MH+) 464 (MNa+) 440 (MH-)
< 실시예 1-149>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4- 디메톡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디메톡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4 %)
ESI (m/z) 452 (MH+) 474 (MNa+) 450 (MH-)
<실시예 1-150>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퀴놀린-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8.5 %)
ESI (m/z) 429 (MH+) 451 (MNa+) 427 (MH-); 1H NMR (400MHz, DMSO-d6) δ 10.42 (s, 1H), 8.79 (t, 1H, J = 2.2 Hz), 8.30 (d, 1H, J = 8.8 Hz), 7.84 (d, 1H, J = 8.4 Hz), 7.71 (d, 2H, J = 8.4 Hz), 7.62 (t, 1H, J = 8.0 Hz), 7.42 (d, 2H, J = 8.4 Hz), 7.38 (t, 1H, J = 4.2 Hz), 7.21 (d, 1H, J = 7.6 Hz), 2.99 (s, 3H), 2.23 (s, 3H); 13C NMR (100MHz, DMSO-d6) 161.0, 155.6, 151.1, 148.6, 138.5, 137.0, 132.8, 131.9, 129.4, 128.3, 128.3, 125.1, 124.1, 123.4, 121.6, 100.7, 37.0, 11.4
<실시예 1-151>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퀴놀린-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3 %)
ESI (m/z) 452 (MH+) 474 (MNa+) 450 (MH-)
< 실시예 1-152>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4- 디메톡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디메톡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96 (M+) 498 (M+2)
<실시예 1-153>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퀴놀린-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73 (M+) 475 (M+2)
< 실시예 1-154>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N,N-디메틸벤젠-1,4-디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65 (M+) 467 (M+2)
< 실시예 1-155> 메틸 3-[[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 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3-아미노벤조에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156>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 플루오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157>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플루오로페닐 ) 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158>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피리딜메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피리딘-2-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7 (M+) 439 (M+2); 1H NMR (400 MHz, DMSO-d6) δ 8.38 (d, 1H, J = 4.4 Hz), 8.34 (t, 1H, J = 6.2 Hz), 7.86 (d, 2H, J = 8.4 Hz), 7.67 (t, 1H, J = 7.6 Hz), 7.48 (d, 2H, J = 8.4 Hz), 7.31 (d, 1H, J = 7.6 Hz), 7.20-7.16 (m, 1H), 4.10 (d, 2H, J = 6.4 Hz), 3.10 (d, 3H, J = 9.2 Hz), 2.29 (s, 3H)
< 실시예 1-159>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3- 디히드로 -1,4- 벤조디옥신 -6-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80 (M+) 482 (M+2); 1H NMR (400 MHz, DMSO-d6) δ 10.05 (s, 1H), 7.83 (d, 2H, J = 8.4 Hz), 7.55-7.53 (m, 2H), 6.72 (d, 1H, J = 8.8 Hz), 6.60 (d, 1H, J = 2.0 Hz), 6.56-6.54 (m, 1H), 4.16 (s, 4H), 3.12 (d, 3H, J = 8.8 Hz), 2.31 (s, 3H)
< 실시예 1-160> N-[3,5-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58 (M+) 560 (M+2); 1H NMR (400 MHz, DMSO-d6) δ 11.03 (s, 1H), 7.97 (d, 2H, J = 8.8 Hz), 7.79 (s, 1H), 7.70 (s, 2H), 7.61 (dd, 2H, Ja = 8.0 Hz, Jb = 2.0 Hz), 3.11 (d, 3H, J = 8.8 Hz), 2.32 (s, 3H)
< 실시예 1-161>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3,4- 디클로로페닐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디클로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92 (MH+) 514 (MNa+) 49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79 (s, 1H), 7.92 (d, 2H, J = 8.8 Hz), 7.58 (d, 2H, 8.8 Hz), 7.53 (d, 1H, J = 8.8 Hz), 7.32 (d, 1H, J = 2.4 Hz), 7.13 (dd, 1H, Ja = 8.0 Hz, Jb = 2.4 Hz), 3.12 (d, 3H, J = 9.2 Hz), 2.31 (s, 3H)
< 실시예 1-162>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5- 클로로 -2- 플루오로 -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5-클로로-2-플루오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74 (M+) 476 (M+2); 1H NMR (400 MHz, DMSO-d6) δ 10.56 (s, 1H), 7.85 (d, 2H, J = 8.4 Hz), 7.58 (d, 2H, J = 8.8 Hz), 7.32-7.26 (m, 3H), 3.13 (d, 3H, J = 9.2 Hz), 2.32 (s, 3H)
< 실시예 1-163> N-[3,5-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2.4 %)
ESI (m/z) 514 (MH+) 536 (MNa+) 512 (MH-); 1H NMR (400MHz, DMSO-d6) δ 11.30 (s, 1H), 7.97 (d, 2H, J = 8.8 Hz), 7.79 (s, 1H), 7.70 (s, 2H), 7.62 (d, 2H, J = 8.4 Hz), 3.11 (s, 3H), 2.32 (s, 3H); 13C NMR (100MHz, DMSO-d6) 161.096, 155.964, 140.214, 139.225, 136.019, 131.914, 131.586, 128.378, 124.605, 123.636, 121.893, 119.325, 117.498, 100.842, 37.156, 31.077, 11.509
< 실시예 1-164> 4-(4- 클로로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3- 디히드로 -1,4- 벤조디옥신 -6-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3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3 %)
ESI (m/z) 436 (MH+) 458 (MNa+) 434 (MH-)
<실시예 1-165>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펜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시클로펜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9 %)
ESI (m/z) 414 (M+) 416 (M+2); 1H NMR (400MHz, DMSO-d6) δ 7.92 (d, 2H, J = 8.4 Hz), 7.71 (d, 1H, J = 7.2 Hz), 7.57 (q, 2H, J = 2.4 Hz), 3.15 (d, 3H, J = 9.2 Hz), 2.33 (s, 3H), 1.66 - 1.60 (m, 2H), 1.52 - 1.36 (m, 8H), 1.25 - 1.21 (m, 2H)
<실시예 1-166>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헵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시클로헵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7 %)
ESI (m/z) 442 (M+) 444 (M+2); 1H NMR (400MHz, DMSO-d6) δ 10.39 (s, 1H), 7.91 - 7.89 (m, 2H), 7.57 - 7.54 (m, 2H), 7.26 (t, 2H, J = 9.2 Hz), 7.14 (d, 2H, J = 8.0 Hz), 7.05 (t, 1H, J = 7.4 Hz), 3.12 (d, 3H, J = 8.8 Hz), 2.316 (s, 3H)
<실시예 1-167>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페닐-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4 %)
ESI (m/z) 422 (M+) 424 (M+2)
< 실시예 1-168> 4-(2,3-디메틸-5-옥소-4-페닐- 피라졸 -1-일)-N-(2- 페녹시에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5 ml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튜브에 1,2-디메톡시에탄과 물의 혼합 용액 (1:1) 하에 상기 실시예 1-127의 결과물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150 mg, 0.322 mmol)과 페닐보로닉산 (39.22 mg, 0.322 mmol),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11.29 mg, 0.016 mmol), 탄산나트륩 (68.18 mg, 0.643 mmol)을 첨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를 이용하여 120 ℃, 40 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확인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추출 용액은 진공펌프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3 ~ 1:1)으로 정제한다. 추가적으로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10.5 %의 수율로 하얀색 고체인 4-(2,3-디메틸-5-옥소-4-페닐-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를 수득하였다.
ESI (m/z) 464 (MH+) 462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01 (t, 1H, J = 7.2 Hz), 7.95 (d, 2H, J = 8.8 Hz), 7.62 (d, 2H, J = 8.4 Hz), 7.51 (d, 1H, J = 8.0 Hz), 7.42 (t, 2H, J = 7.8 Hz), 7.31-7.23 (m, 3H), 6.91 (t, 1H, J = 7.4 Hz), 6.84 (d, 2H, J = 8.0 Hz), 3.95 (t, 2H, J = 5.4 Hz), 3.21-3.15 (m, 5H), 2.40 (s, 3H)
< 실시예 1-169> 4-[4-(4- 클로로페닐 )-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페녹시에틸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클로로페닐)보로닉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6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98 (MH+) 497 (MH-)
< 실시예 1-170> 2-[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페닐]아세트산의 제조
2-(3-아미노페닐)아세트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4 (MH+) 466 (MNa+) 442 (MH-)
< 실시예 1-171> N-(2- 히드록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아미노페놀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2 (MH+) 424 (MNa+) 400 (MH-)
< 실시예 1-172> N-(4- 히드록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아미노페놀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02 (MH+) 424 (MNa+) 400 (MH-)
< 실시예 1-173> 4-[2,3-디메틸-5-옥소-4-[4-(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피라졸 -1-일]-N-(2- 페녹시에틸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로닉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68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7.98 (d, 2H, J = 8.8 Hz), 7.67-7.58 (m, 6H), 7.24-7.21(m, 2H), 6.92 (t, 1H, J = 7.4 Hz), 6.78 (d, 2H, J = 8.0 Hz), 5.25 (t, 1H, J = 6.2 Hz), 3.96 (t, 2H, J = 5.2 Hz), 3.35 (q, 2H, J = 5.6 Hz), 3.16 (s, 3H), 2.40 (s, 3H)
< 실시예 1-174> N-[3-( 히드록시메틸 )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아미노페닐)메탄올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d 10.30 (s, 1H), 7.84 (d, 2H, J = 8.8 Hz), 7.52 (d, 2H, J = 8.4 Hz), 7.19 - 7.12 (m, 2H), 7.01 - 6.94 (m, 2H), 5.17 (t, 1H, J = 5.8 Hz), 4.39 (d, 2H, J = 4.0 Hz), 2.93 (s, 3H), 2.78 - 2.68 (m, 1H), 2.19 (s, 3H), 1.16 (d, 6H, J = 6.8 Hz)
< 실시예 1-175> N-(6-히드록시-1- 나프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5-아미노나프탈렌-2-올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52 (MH+) 450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12 (s, 1H), 9.79 (s, 1H), 7.84 (d, 1H, J = 9.2 Hz), 7.73 (d, 2H, J = 8.4 Hz), 7.53 (d, 1H, J = 8.4 Hz), 7.47 (d, 2H, J = 8.4 Hz), 7.27 (t, 1H, J = 8.4 Hz), 7.07 (d, 1H, J = 2. Hz), 6.97 (dd, 1H, Ja = 12.0 Hz, Jb = 2.4 Hz), 6.92 (d, 1H, J = 7.6), 2.90 (s, 3H), 2.78-2.68 (m, 1H), 2.19 (s, 3H), 1.18 (d, 6H, J = 7.2)
< 실시예 1-176>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N-(2- 페녹시프로필 )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페녹시프로판-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4 (MH+) 466 (MNa+) 442 (MH-)
< 실시예 1-177> N-[2-(2- 플루오로페녹시 )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2-플루오로페녹시)에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8 (MH+) 446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01 (t, 1H, J = 5.8 Hz), 7.91 (d, 2H, J = 8.8 Hz), 7.56 (d, 2H, 8.8 Hz), 7.22-7.17 (m, 1H), 7.10-7.08 (m, 2H), 6.96-6.89 (m, 1H), 4.05 (t, 2H, J = 5.6 Hz), 3.18 (q, 2H, J = 5.6 Hz), 2.96 (s, 3H), 2.79-2.72 (m, 1H), 2.22 (s, 3H), 1.19 (d, 6H, J = 6.8 Hz)
< 실시예 1-178> N-[4-[2-(디메틸아미노) 에톡시 ]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2-(디메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73 (MH+) 47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05 (s, 1H), 7.77 (d, 2H, J = 8.8 Hz), 7.51 (d, 2H, J = 8.8 Hz), 7.02 (d, 2H, J = 8.8 Hz), 6.84 (d, 2H, J = 8.8 Hz), 4.06 (t, 2H, J = 5.6 Hz), 2.93 (s, 3H), 2.89 (t, 2H, J = 9.2 Hz), 2.79-2.68 (m, 1H), 2.42 (s, 6H), 2.19 (s, 3H), 1.17 (d, 6H, J = 6.8 Hz)
< 실시예 1-179>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페닐] 설포닐아미노 ] 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메틸 3-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396 (MH+) 418 (MNa+); 1H NMR (400 MHz, DMSO-d6) δ 7.87 (d, 2H, J = 6.6 Hz), 7.77 (t, 1H, J = 5.8 Hz), 7.58 (d, 2H, J = 8.8 Hz), 3.57 (s, 3H), 3.02-2.97 (m, 5H), 2.81-2.72 (m, 1H), 2.47 (t, 2H, J = 6.8 Hz), 2.22 (s, 3H), 1.19 (d, 6H, J = 6.8 Hz)
< 실시예 1-180> N-(4-히드록시-3- 메틸 -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 피라졸 -1-일)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아미노-2-메틸페놀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d 9.70 (s, 1H), 9.21 (s, 1H), 7.73 (d, 2H, J = 8.8 Hz), 7.51 (d, 2H, J = 8.8 Hz), 6.78 - 6.60 (m, 3H), 2.93 (s, 3H), 2.79 - 2.69 (m, 1H), 2.19 (s, 3H), 2.00 (s, 3H), 1.17 (d, 6H, J = 6.8 Hz); 13C NMR (400MHz, DMSO-d6) d 165.13, 155.59, 153.35, 139.17, 136.02, 128.60, 128.11 (2), 125.55, 124.76, 121.99 (2), 121.43, 115.14, 114.59, 37.19, 23.92, 21.30 (2), 16.44, 11.29
< 실시예 1-217> N-(4-히드록시-[1,1'- 바이페닐 ]-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아미노-[1,1`-바이페닐]-4-올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81.4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78 (MH+); 1H NMR (400MHz, DMSO-d6) d 8.07 (d, 2H, J = 8.8 Hz), 7.65 (d, 2H, J = 8.8), 7.52 (d, 2H, J = 7.6 Hz), 7.42 (t, 2H, J = 7.6 Hz), 7.33 (t, 1H, J = 7.4), 7.02 - 6.99 (m, 2H), 6.78 (dd, 1H, J = 8.4, 2.0 Hz), 5.24 (s, 1H), 2.97 (s, 3H), 2.79 - 2.73 (m, 1H), 2.22 (s, 3H), 1.19 (d, 6H, J = 8.0 Hz); 13C NMR (100MHz, DMSO-d6) d 206.9, 165.2, 156.5, 141.6, 141.1, 140.0 (2), 135.4, 130.7, 130.0, 129.2 (2), 127.8, 126.8 (2), 123.6, 123.0, 121.7, 114.8, 73.9, 37.4, 31.1, 23.9, 21.2 (2), 11.3
< 실시예 1-218> N-(2- 히드록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아미노페놀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55.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02 (MH+); 1H NMR (400MHz, DMSO-d6) d 8.02 (d, 2H, J = 8.8 Hz), 7.62 (d, 2H, J = 8.8 Hz), 6.98 - 6.92 (m, 2H), 6.70 (dd, 1H, J = 8.0, 1.6 Hz), 6.51 - 6.47 (m, 1H), 5.03 (s, 2H), 2.97 (s, 3H), 2.81 - 2.71 (m, 1H), 2.22 (s, 3H), 1.19 (d, 6H, J = 7.2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2, 156.4, 141.3, 141.0, 135.7, 130.7, 129.9 (2), 128.1, 122.6, 121.7 (2), 116.8, 116.1, 114.8, 37.4, 23.9, 21.2 (2), 11.3
< 실시예 1-219> N-(5-히드록시나프탈렌-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6-아미노나프탈렌-1-올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5.0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52 (MH+) 450 (MH-); 1H NMR (400MHz, DMSO-d6) d 7.98 (d, 2H, J = 8.4 Hz), 7.61 (d, 2H, J = 8.4 Hz), 7.50 (d, 1H, J = 8.8 Hz), 7.45 (d, 1H, J = 8.4 Hz), 7.23 (t, 1H, J = 7.8 Hz), 6.90 (d, 1H, J = 8.8 Hz), 6.81 - 6.78 (m, 2H), 5.58 (s, 2H), 2.93 (s, 3H), 2.79 - 2.72 (m, 1H), 2.22 (s, 3H), 1.19 (d, 6H, J = 6.8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1, 156.4, 147.9, 145.8, 141.0, 137.1, 130.5, 129.7 (2), 125.8, 124.9, 122.3, 122.0 (2), 119.5, 119.5, 114.8, 113.44, 105.8, 37.4, 23.9, 21.2 (2), 11.3
< 실시예 1-220>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2,4- 디메틸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디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29.1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51 (MH+) 449 (MH-); 1H NMR (400MHz, DMSO-d6) d 9.54 (s, 1H), 7.76 (dd, 2H, J = 8.6, 1.4 Hz), 7.54 (dd, 2H, J = 8.8, 2.4 Hz), 6.95 (s, 1H), 6.90 (d, 1H, J = 8.4 Hz), 6.83 (d, 1H, J = 8.4 Hz), 3.13 (d, 3H, J = 8.8 Hz), 2.32 (s, 3H), 2.20 (s, 3H), 1.96 (s, 3H); 13C NMR (100MHz, DMSO-d6) d 161.8, 161.1, 157.4, 155.5, 138.5, 136.3, 134.7, 132.3, 131.7, 128.1, 127.2, 123.5, 100.7, 88.5, 37.1, 20.8, 17.9, 12.7, 11.5
< 실시예 1-221>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4-(2- 몰포리노에톡시 )페닐)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2-몰포리노에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222> N-(2,4- 디히드록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아미노벤젠-1,3-디올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17.0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18 (MH+) 416 (MH-); 1H NMR (400MHz, DMSO-d6) d 7.74 (d, 2H, J = 8.8 Hz), 7.48 (d, 2H, J = 8.8 Hz), 6.84 (d, 1H, J = 8.4 Hz), 6.18 (d, 1H, J = 2.8 Hz), 6.12 (dd, 1H, J = 8.4, 2.4 Hz), 2.94 (s, 3H), 2.78 - 2.71 (m, 1H), 2.20 (s, 3H), 1.19 (d, 6H, J = 6.8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1, 157.0, 155.4, 153.2, 138.9, 137.3, 128.6, 128.1 (2), 121.6 (2), 115.1, 114.6, 106.4, 103.0, 37.2, 23.9, 21.3 (2), 11.2
< 실시예 1-223>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4-(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32.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90 (M); 13C NMR (100MHz, DMSO-d6) d 161.9, 161.2, 158.5, 156.5, 140.4, 140.3, 135.1, 135.0, 132.8, 129.9 (2), 123.2 (2), 101.0, 88.8, 37.5, 12.8, 11.6
< 실시예 1-224> N-(3- 플루오로 -4- 히드록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아미노-2-플루오로페놀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22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2- 메톡시 -4-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톡시-4-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92.6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61 (MH+) 459 (MH-); 1H NMR (400MHz, DMSO-d6) d 10.34 (s, 1H), 7.97 (d, 2H, J = 8.8 Hz), 7.84 (dd, 1H, J = 8.8, 2.4 Hz), 7.73 (d, 1H, J = 2.4 Hz), 7.59 - 7.53 (m, 3H), 3.83 (s, 3H), 2.95 (s, 3H), 2.79 - 2.69 (m, 1H), 2.21 (3H), 1.17 (d, 6H, J = 7.2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1, 155.8, 150.3, 144.1, 139.7, 135.9, 133.3, 128.2 (2), 122.0 (2), 120.1, 117.1, 114.5, 106.9, 56.8, 37.2, 23.9, 21.2 (2), 11.3
< 실시예 1-226>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 페닐설폰아미도 )벤조산의 제조
3-아미노벤조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22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2- 메톡시 -5-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톡시-5-니트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32.0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61 (MH+) 459 (MH-); 1H NMR (400MHz, DMSO-d6) d 10.14 (s, 1H), 8.12 (d, 1H, J = 2.4 Hz), 8.12 - 8.05 (m, 2H), 7.85 (d, 2H, J = 8.8 Hz), 7.55 (d, 2H, J = 8.8 Hz), 7.16 (d, 1H, J = 9.2 Hz), 3.71 (s, 3H), 2.95 (s, 3H), 2.78 - 2.71 (m, 1H), 2.21 (s, 3H), 1.17 (d, 6H, J = 6.8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a, 157.5, 155.7, 140.7, 139.5, 136.1, 128.1 (2), 126.5, 122.9, 122.0 (2), 119.3, 114.5, 112.2, 56.9, 37.1, 23.9, 21.2 (2), 11.2
< 실시예 1-228>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2- 메틸벤조퓨란 -5-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메톡시벤조퓨란-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1-229> N-( 벤조[b]티오펜 -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벤조[b]티오펜-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2 (MH+) 440 (MH-)
< 실시예 1-230> N-( 벤조퓨란 -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벤조퓨란-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26 (MH+) 424 (MH-)
< 실시예 1-231> N-( 벤조퓨란 -5- 일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벤조퓨란-5-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0 (MH+) 438 (MH-)
< 실시예 1-232> 메틸 5-(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벤조[b]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메틸 5-아미노벤조[b]티오펜-2-카볼실레이트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00 (MH+) 498 (MH-)
< 실시예 1-233>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 페닐설폰아미도 )메틸)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 4-(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27.2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58 (MH+) 480 (MNa+) 456 (MH-); 1H NMR (400MHz, DMSO-d6) d 8.33 (t, 1H, J = 6.2 Hz), 7.87 (d, 2H, J = 2.0 Hz), 7.85 (d, 2H, J = 2.0 Hz), 7.53 (d, 2H, J = 8.8 Hz), 7.40 (d, 2H, J = 8.4 Hz), 4.11 (d, 2H, J = 5.6 Hz), 3.83 (s, 3H), 2.95 (s, 3H), 2.79 - 2.72 (m, 1H), 2.22 (s, 3H), 1.19 (d, 6H, J = 6.8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6.39, 165.18, 155.58, 143.72, 139.11, 136.96, 129.49 (2), 128.78, 128.18 (2), 127.92 (2), 122.15 (2), 114.56, 52.49, 46.15, 37.12, 23.95, 21.30, 11.29
< 실시예 1-234> 메틸 6-(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 페닐설폰아미도 )-2-나프토에이트의 제조
메틸 6-아미노-2-나프토에이트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20.0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94 (MH+) 492 (MH-); 1H NMR (400MHz, DMSO-d6) d 10.86 (s, 1H), 8.51 (s, 1H), 8.05 (d, 1H, J = 8.8 Hz), 7.97 (d, 2H, J = 8.4 Hz), 7.91 (s, 2H), 7.70 (s, 1H), 7.55 (d, 2H, J = 8.4 Hz), 7.43 (d, 1H, J = 8.4 Hz), 3.89 (s, 3H), 2.90 (s, 3H), 2.74 - 2.67 (m, 1H), 2.17 (s, 3H), 1.14 (d, 6H, J = 7.2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6.62, 165.14, 155.84, 139.69, 138.31, 136.03, 135.55, 131.31, 130.73, 129.14, 128.23 (2), 128.10, 126.12, 125.95, 122.09 (2), 120.91, 114.76, 114.59, 52.57, 37.25, 23.88, 21.23 (2), 11.26
< 실시예 1-235>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 메시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4,6-트리메틸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60.81%로 수득하였다.
ESI (m/z) 428 (MH+) 426 (MH-); 1H NMR (400MHz, DMSO-d6) d 9.24 (s, 1H), 7.73 (d, 2H, J = 8.4 Hz), 7.55 (d, 2H, J = 8.8 Hz), 6.82 (s, 2H), 2.95 (s, 3H), 2.95 - 2.73 (m, 1H), 2.20 (d, 6H, J = 11.6 Hz), 1.92 (s, 6H), 1.20 (d, 6H, J = 6.8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08, 155.57, 139.13, 138.29, 137.73 (2), 136.74, 131.04, 129.43 (2), 127.86 (2), 122.28 (2), 114.71, 37.17, 23.94, 21.33 (2), 20.83, 18.74 (2), 11.30
< 실시예 1-236> N-(9,10- 디옥소 -9,10- 디히드로안트라센 -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6-아미노-4a,9a-디히드로안트라센-9,10-디온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516 (MH+) 514 (MH-)
< 실시예 1-237>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이소퀴놀린-5-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이소퀴놀린-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7 (MH+) 435 (MH-)
< 실시예 1-238> N-( 벤조[d][1,3]디옥실 -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벤조[d][1,3]디옥실-5-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30 (MH+) 428 (MH-)
< 실시예 1-239> N-( 벤조[d][1,3]디옥실 -5- 일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벤조[d][1,3]디옥실-5-일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3 (MH+) 442 (MH-)
< 실시예 1-240>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2- 옥소인돌린 -5-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5-아미노인돌린-2-온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 (m/z) 441 (MH+) 439 (MH-)
< 실시예 1-241> 4-(4- 브로모 -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4-(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4-트리플루오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2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49.2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91 (MH+) 489 (MH-); 1H NMR (400MHz, DMSO-d6) d 10.96 (s, 1H), 7.96 (d, 2H, J = 7.6 Hz), 7.63 - 7.56 (m, 4H), 7.32 (d, 2H, J = 8.0 Hz), 3.10 (d, 3H, J = 9.2 Hz), 2.29 (s, 3H);
< 실시예 1-242>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2-(티오펜-2-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티오펜-2-일)에탄-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25.1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20 (MH+) 418 (MH-); 1H NMR (400MHz, DMSO-d6) d 7.88 - 7.81 (m, 3H), 7.57 (d, 2H, J = 8.4 Hz), 7.32 (d, 1H, J = 4.0 Hz), 6.93 - 6.87 (m, 2H), 3.01 - 2.93 (m, 7H), 2.79 - 2.72 (m, 1H), 2.22 (s, 3H), 1.19 (d, 6H, J = 6.8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2, 155.5, 141.0, 139.1, 136.6, 127.9 (2), 127.3, 125.9, 124.5, 122.2 (2), 114.5, 44.5, 37.2, 30.0, 23.9, 21.3 (2), 11.2
< 실시예 1-243>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N-(3,4,5- 트리메톡시페닐 )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5-트리메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51.1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76 (MH+) 498 (MNa+) 474 (MH-); 1H NMR (400MHz, DMSO-d6) d 10.13 (s, 1H), 7.86 (d, 2H, J = 8.4 Hz), 7.56 (d, 2H, J = 8.4 Hz), 6.40 (s, 2H), 3.65 (s, 6H), 3.56 (s, 3H), 2.93 (s, 3H), 2.77 - 2.70 (m, 1H), 2.19 (s, 3H), 1.17 (d, 6H, J = 6.4 Hz); 13C NMR (100MHz, DMSO-d6) d 165.1, 155.7, 153.3 (2), 139.5, 135.6, 134.6, 133.9, 128.3 (2), 122.1 (2), 114.6, 98.4 (2), 60.4, 56.1 (2), 37.2, 23.9, 21.2 (2), 11.2
< 실시예 1-244> N-( 시클로헥실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시클로헥실메탄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45.5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06 (MH+) 404 (MH-); 1H NMR (400MHz, DMSO-d6) d 7.86 (d, 2H, J = 8.4 Hz), 7.60 - 7.56 (m, 3H), 2.97 (s, 3H), 2.79 - 2.74 (m, 1H), 2.58 (t, 2H, J = 6.0 Hz), 2.22 (s, 3H), 1.66 - 1.59 (m, 5H), 1.33 (br s, 1H), 1.19 (d, 6H, J = 6.8 Hz), 1.14 - 1.06 (m, 3H), 0.85 - 0.79 (m, 2H); 13C NMR (100MHz, DMSO-d6) d 165.2, 155.4, 138.9, 137.1, 127.8 (2), 122.2 (2), 114.5, 49.1, 37.7, 37.1, 30.5 (2), 26.3, 25.6 (2), 23.9, 21.3 (2), 11.2
< 실시예 1-245> N-( 시클로헵틸메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시클로헵틸메틸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53.5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20 (MH+) 418 (MH-); 1H NMR (400MHz, DMSO-d6) d 7.86 (d, 2H, J = 8.8 Hz), 7.62 (t, 1H, J = 6.0 Hz), 7.57 (d, 2H, J = 8.4 Hz), 2.96 (s, 3H), 2.79 - 2.72 (m, 1H), 2.57 (t, 2H, J = 6.4 Hz), 2.22 (s, 3H), 1.66 - 1.61 (m, 2H), 1.54 - 1.36 (m, 7H), 1.34 - 1.26 (m, 2H), 1.19 (d, 6H, J = 6.8 Hz), 1.11 - 1.03 (m, 2H); 13C NMR (100MHz, DMSO-d6) d 162.2, 155.4, 138.9, 137.2, 127.8 (2), 122.2 (2), 114.5, 49.3, 39.1, 37.1, 31.6 (2), 28.3 (2), 26.1 (2), 23.9, 21.3 (2), 11.2
< 실시예 1-246> N-(2- 시클로헥실에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2-시클로헥실에탄-1-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50.3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20 (MH+) 418 (MH-); 1H NMR (400MHz, DMSO-d6) d 7.86 (d, 2H, J = 8.4 Hz), 7.58 - 7.52 (m, 3H), 2.97 (s, 3H), 2.78 - 2.75 (m, 3H), 2.22 (s, 3H), 1.57 (t, 5H, J = 11.8 Hz), 1.25 - 1.24 (m, 3H), 1.19 (d, 6H, J = 6.8 Hz), 1.14 - 1.04 (m, 3H), 0.81 - 0.76 (m, 2H); 13C NMR (100MHz, DMSO-d6) d 165.2, 155.5, 139.0, 136.9, 127.8 (2), 122.2 (2), 114.5, 40.6, 37.1, 36.8, 34.4, 32.8 (2), 26.4, 26.0 (2), 23.9, 21.2 (2), 11.2
< 실시예 1-247> N-(3,4- 디메톡시페닐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 디히드로 -1H- 피라졸 -1-일)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3,4-메톡시아닐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18.0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ESI (m/z) 446 (MH+) 468 (MNa+) 444 (MH-); 1H NMR (400MHz, DMSO-d6) d 9.92 (s, 1H), 7.78 (d, 2H, J = 8.4 Hz), 7.52 (d, 2H, J = 8.8 Hz), 6.80 (d, 1H, J = 8.4 Hz), 6.68 (d, 1H, J = 1.6 Hz), 6.58 (d, 1H, J = 8.8 Hz), 3.64 (d, 6H, J = 14.0 Hz), 2.93 (s, 3H), 2.77 - 2.70 (m, 1H), 2.19 (s, 3H), 1.17 (d, 6H, J = 6.8 Hz)
< 실시예 2>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mTORC1 억제 활성평가
<2-1>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mTORC1 활성 억제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mTORC1에 대한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장암 세포주인 SW620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였다. 세포주를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류신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배지에서 1시간 30분 처리하고 나서 다시 류신이 함유된 배지에서 15분 배양하였다.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최종 농도 20uM로 류신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 시 첨가하였다. Cell lysate 20ug을 전기영동하여 분리하고 mTORC1 활성을 보기 위하여 phospho-p70 S6 Kinase (Thr380) 항체 (#9206, Cell Signaling Technology사)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각 웰의 DMSO만 처리한 음성대조군과 화합물을 처리한 군을 비교하여 mTORC1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mTOR1C1 억제효과(1) (%, 20 uM)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1-1 66.15±12 실시예1-63 55.01±0.64 실시예1-125 13.91±8.66
실시예1-2 42.67±17.1 실시예1-64 38.32±0.44 실시예1-126 10.88±21.93
실시예1-3 63.54±11.31 실시예1-65 40.17±0.31 실시예1-127 35.23±15.58
실시예1-5 16.2±3.42 실시예1-66 67.71±8.33 실시예1-128 43.71±2.44
실시예1-6 42.42±4.44 실시예1-67 27.94±2.38 실시예1-129 40.19±1.75
실시예1-7 48.67±4.43 실시예1-70 7.87±12.45 실시예1-130 72.16±3.95
실시예1-8 68.53±4.6 실시예1-71 4.33±0.05 실시예1-131 85.3±2.66
실시예1-9 39.68±4.56 실시예1-73 2.85±3.25 실시예1-132 69.83±1.49
실시예1-10 33.18±2.42 실시예1-74 22.7±2.72 실시예1-133 82.81±2.05
실시예1-11 37±7.07 실시예1-79 37.78 실시예1-134 70.67±3.21
실시예1-16 10.12±2.98 실시예1-83 3.87±0.98 실시예1-135 34.21±3.8
실시예1-17 21.28±4.13 실시예1-84 13.33±22.61 실시예1-136 79.65±1.06
실시예1-18 19.2±3.35 실시예1-85 71.36±7.08 실시예1-137 80.38±1.92
실시예1-19 30.88±4.6 실시예1-86 77.52±12.94 실시예1-138 89.84±12.77
실시예1-20 49.91±14.53 실시예1-87 49.72±1.03 실시예1-140 28.05±8.06
실시예1-21 52.4±4.04 실시예1-88 64.85±11.63 실시예1-141 38.95±12.55
실시예1-22 64.57±12.67 실시예1-89 79.89±11.32 실시예1-142 19.27±7.93
실시예1-24 63.55±3.96 실시예1-90 45.3±22.87 실시예1-143 14.93±18.67
실시예1-25 45.3±4.11 실시예1-92 3.66±25.13 실시예1-146 45.64±5.64
실시예1-26 23.43±12.06 실시예1-93 44.28±4.74 실시예1-147 34.68±1.69
실시예1-27 25.87±11.42 실시예1-94 45.13±6.44 실시예1-148 35.71±1.79
실시예1-28 61.52±13 실시예1-95 40.41±6.02 실시예1-149 17.98±7.47
실시예1-29 38.35±3.57 실시예1-96 69.71±3.51 실시예1-150 32.63±3.34
실시예1-30 41.67±11.21 실시예1-97 74.97±4.7 실시예1-151 39.1±3.98
실시예1-31 48.37±10.19 실시예1-98 70.31±3.94 실시예1-152 50.25±7.83
실시예1-32 59.88±3.51 실시예1-99 56.79±4.44 실시예1-153 29.94±4.99
실시예1-33 45.32±0.92 실시예1-100 44.34±2.29 실시예1-154 37.11±5
실시예1-34 60.37±0.72 실시예1-101 59.73±0.65 실시예1-155 52.15±4.24
실시예1-35 78.06±1.35 실시예1-102 14.33±6.63 실시예1-156 63.84±3.52
실시예1-36 78.59±3.49 실시예1-103 85.54±4.67 실시예1-157 63.67±2.64
실시예1-37 77.08±3.26 실시예1-104 56.93±9.67 실시예1-158 89.52±6.14
실시예1-38 76.97±0.37 실시예1-105 21.5±7.22 실시예1-159 79.39±6.54
실시예1-39 43.9±14.96 실시예1-106 43.6±17.9 실시예1-160 76.43±3.97
실시예1-40 20.05±2.55 실시예1-107 67.83±14.84 실시예1-161 74.83±7.22
실시예1-41 60.01±2.89 실시예1-108 88.83±13.38 실시예1-162 62.9±2.4
실시예1-42 33.24±5.93 실시예1-109 60.49±0.3 실시예1-163 59.29±6.29
실시예1-43 13.53±0.35 실시예1-110 49.46±0.36 실시예1-164 82.82±0.69
실시예1-44 10.24±6.14 실시예1-111 35.54±0.24 실시예1-165 52.12±4.43
실시예1-45 21.62±12.57 실시예1-112 11.53±0.1 실시예1-166 88.65±1.42
실시예1-46 68.27±0.51 실시예1-113 38.93±0.4 실시예1-167 70.83±1.96
실시예1-49 26.93±2.78 실시예1-114 21.86±0.32 실시예1-168 57.66±5.60
실시예1-50 26.37±4.39 실시예1-115 82.67±0.58 실시예1-169 63.50±3.36
실시예1-52 35.91±10.8 실시예1-116 62.72±4.91 실시예1-170 66.31±2.09
실시예1-54 67±3.94 실시예1-117 51.9±5.7 실시예1-171 14.67±10.20
실시예1-55 25.11±7.03 실시예1-118 26.28±10.7 실시예1-172 33.62±10.11
실시예1-56 33.86±8.99 실시예1-119 42±10.22 실시예1-174 56.46±2.77
실시예1-58 32.08±7.76 실시예1-120 47.78±4.06 실시예1-175 49.13±6.17
실시예1-59 55.36±8.67 실시예1-121 59.15±8.4 실시예1-176 62.50±7.37
실시예1-60 65.58±0.87 실시예1-122 62.34±4.75 실시예1-177 60.29±2.10
실시예1-61 59.76±1.44 실시예1-123 9.49±14.28 실시예1-178 2.15±8.38
실시예1-62 94.18±3.81 실시예1-124 20.24±12.83 실시예1-179 60.43±12.00
mTOR1C1 억제효과(2) (%, 20 uM)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1-217 64.65±4.27 실시예1-229 71.38±4.14 실시예1-241 2.20±18.13
실시예1-218 26.23±1.61 실시예1-230 76.20±2.01 실시예1-242 45.93±6.87
실시예1-219 47.48±7.70 실시예1-231 67.76±0.62 실시예1-243 62.02±3.86
실시예1-220 70.35±1.54 실시예1-232 2.58±9.02 실시예1-244 46.67±2.33
실시예1-221 21.08±8.12 실시예1-233 61.42±4.76 실시예1-245 2.20±18.13
실시예1-222 65.19±3.21 실시예1-234 36.94±4.29 실시예1-246 45.93±6.87
실시예1-223 3.68±17.67 실시예1-235 17.24±4.43 실시예1-247 62.02±3.86
실시예1-224 48.53±5.81 실시예1-236 1.167±9.25
실시예1-225 65.35±4.96 실시예1-237 53.75±4.20
실시예1-226 26.82±15.59 실시예1-238 68.54±4.42
실시예1-227 19.95±2.56 실시예1-239 76.02±2.11
실시예1-228 23.20±3.56 실시예1-240 79.13±2.08
mTOR1C1 억제효과 (%, 100 uM)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 억제효과 ( % )
실시예1-181 99.98 실시예1-191 0.69 실시예1-211 11.19
실시예1-182 100 실시예1-192 79.23 실시예1-212 98.7
실시예1-185 79.91 실시예1-193 84.3 실시예1-213 100
실시예1-186 87.68 실시예1-200 20.55 실시예1-214 74.91±1.61
실시예1-188 14.58 실시예1-201 44.43 실시예1-215 99.87
실시예1-189 89.98 실시예1-204 100 실시예1-216 99.98
실시예1-190 84.25 실시예1-210 21.92
상기 표 2 및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20uM에서 유의적으로 mTORC1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5~38, 1-62, 1-85, 1-86, 1-89, 1-97, 1-98, 1-103, 1-108, 1-115, 1-130, 1-131, 1-133, 1-134, 1-136~1-138, 1-158~1-161, 1-164, 1-166, 1-167, 1-220, 1-229, 1-230, 1-239, 1-240의 화합물들은 70% 이상의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암세포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mTORC1의 활성을 억제하므로,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2-2>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mTORC1 활성 억제효과 (IC50)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mTORC1에 대한 활성 억제효과 (IC50)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장암 세포주인 SW620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였다. 세포주를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최종 농도 0.1, 0.5, 1, 2, 5, 10, 20uM) 10% FBS가 포함된 배지에서 6시간 동안 배양 시 첨가하였다. Cell lysate 20ug을 전기영동하여 분리하고 mTORC1 활성을 보기 위하여 phospho-p70 S6 Kinase (Thr380) 항체 (#9206, Cell Signaling Technology사)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각 웰의 DMSO만 처리한 음성대조군과 화합물을 처리한 군을 비교하여 mTORC1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mTORC1 활성 억제효과 (IC50) 평가
실시예 억제효과, IC50( uM ) 실시예 억제효과, IC50( uM )
실시예1-8 1.657±0.042 실시예1-218 5.638±0.517
실시예1-35 0.5745±0.1930 실시예1-219 2.452±0.137
실시예1-36 0.5610±0.0865 실시예1-220 0.195±0.007
실시예1-37 0.5217±0.0224 실시예1-221 1.098±0.083
실시예1-38 0.1232±0.002 실시예1-222 0.5597±0.032
실시예1-54 1.1302±0.1347 실시예1-223 19.16±1.52
실시예1-62 0.0739±0.00531 실시예1-224 1.128±0.068
실시예1-66 0.6860±0.0379 실시예1-225 0.350±0.004
실시예1-85 0.3352±0.0084 실시예1-226 ≥≥20uM
실시예1-86 1.0307±0.0231 실시예1-227 2.664±0.059
실시예1-89 0.286±0.00803 실시예1-228 1.843±0.176
실시예1-103 0.4116±0.0336 실시예1-229 0.273±0.014
실시예1-108 0.4658±0.03226 실시예1-230 0.189±0.006
실시예1-115 0.4284±0.08552 실시예1-231 0.265±0.013
실시예1-131 0.1460±0.00547 실시예1-232 3.708±0.159
실시예1-133 0.6301±0.0246 실시예1-233 0.788±0.046
실시예1-136 0.2148±0.01414 실시예1-234 1.232±0.054
실시예1-137 0.188±0.029 실시예1-235 1.831±0.101
실시예1-138 0.288±0.067 실시예1-236 ≥≥20uM
실시예1-158 0.1889±0.0163 실시예1-237 0.934±0.045
실시예1-159 0.194±0.049 실시예1-238 0.218±0.010
실시예1-164 0.216±0.016 실시예1-239 0.202±0.009
실시예1-166 0.085±0.008 실시예1-240 0.163±0.012
실시예1-168 1.730±0.147 실시예1-241 1.758±0.08454
실시예1-169 0.995±0.047 실시예1-242 0.7355±0.04054
실시예1-170 0.555±0.046 실시예1-243 0.3122±0.05177
실시예1-174 0.2062 실시예1-244 0.8037±0.0229
실시예1-175 0.3435 실시예1-245 1.758±0.08454
실시예1-176 0.9983 실시예1-246 0.7355±0.04054
실시예1-177 1.166 실시예1-247 0.3122±0.05177
실시예1-179 1.055
실시예1-214 0.1094±0.0081
실시예1-217 1.195±0.053
이상의 mTORC1 저해활성이 평가된 화합물 가운데, 우수한 저해활성 (저해활성 70% 이상)을 보였던 화합물을 선별하여 추가적으로 mTORC1의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1 uM 이하에서 유의적으로 mTORC1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62, 1-166의 화합물들은 IC50 100nM 이하의 농도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암세포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mTORC1의 활성을 억제하므로,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3>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대장암 세포 (SW620)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 평가
<3-1> RFP 발현 세포주 제작
본 발명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가 대장암 세포 SW620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RFP 형광표지된 세포주를 제작하였다. 대장암 세포주인 SW620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였다. RFP 형광 표지된 SW620 세포주 제작을 위해서 NucLight Red Lentivirus Reagent (EF1a, Puro) (#4476, Essen Bioscience사)를 구입하였다. 24시간 동안 SW620 세포주에 NucLight Red Lentivirus Reagent를 첨가하여 세포 내로 형질 주입시키고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37℃, 5% CO2 조건 하에 배양하였다. 이후에 푸로마이신을 0.5 ug/ml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한 후 4일간 37℃, 5% CO2 조건 하에 배양하였다.
<3-2> 화합물에 의한 SW620 세포 성장 억제 효과
RFP 형광 표지된 SW620 세포주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10%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본 방명에 의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최종농도 0.000282, 0.000847, 0.00254, 0.0076, 0.0229. 0.0686, 0.206, 0.617, 1.85, 5.56, 16.67, 50uM). 화합물 처리 후 2시간 간격으로 세포 위상차 이미지 및 적색형광이미지를 Incucyte Zoom (Essen Bioscience사) 장시간 세포관찰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얻고 RFP 형광의 정량 분석은 Incucyte Zoom basic analyzer (Essen Bioscience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화합물의 각 농도별 RFP 형광 수치를 GraphPad Prism too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I50 (50% growth inhibition) 값을 계산하였다. 각 웰의 RFP 형광을 DMSO만 처리한 음성대조군과 화합물을 처리한 군을 비교하여 SW620 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SW620 세포 성장 억제효과 GI50 (nM)
실시예 GI50(nM) 실시예 GI50(nM)
실시예 1-8 400.2±3.85 실시예1-214 11±0.97
실시예 1-35 37.8±2.26 실시예1-215 8217±1.96
실시예 1-36 364.7±3.74 실시예1-216 9434±2.98
실시예1-37 247.3±4.93 실시예1-217 78.80±4.97
실시예1-38 136.2±4.27 실시예1-218 240.34±6.94
실시예1-54 462.8±5.34 실시예1-219 122.08±7.85
실시예1-62 20.5±0.87 실시예1-220 27.28±1.80
실시예1-66 583.3±8.14 실시예1-221 185.98±12.00
실시예1-85 311.9±5.99 실시예1-222 72.38±1.67
실시예1-86 340.3±1.52 실시예1-223 128.72±13.00
실시예1-89 86.4±2.18 실시예1-224 194.14±10.58
실시예1-103 42.85±2.14 실시예1-225 170.49±12.58
실시예1-108 25.70±5.14 실시예1-226 463.85±55.70
실시예1-115 60.12±9.02 실시예1-227 103.01±3.92
실시예1-131 27.93±2.79 실시예1-228 255.38±24.88
실시예1-133 30.20±4.53 실시예1-229 76.22±3.71
실시예1-136 19.91±3.98 실시예1-230 45.53±1.47
실시예1-137 70.79±2.18 실시예1-231 73.19±2.71
실시예1-138 15.24±0.91 실시예1-232 176.48±8.50
실시예1-158 33.25±1.19 실시예1-233 224.33±28.95
실시예1-159 68.15±2.03 실시예1-234 452.84±18.05
실시예1-164 33.49±1.35 실시예1-235 701.55±7.15
실시예1-166 22.9±1.84 실시예1-236 1234.58±86.59
실시예1-168 462.11±12.28 실시예1-237 256.97±41.86
실시예1-169 407.78±22.60 실시예1-238 149.42±1.68
실시예1-170 152.50±9.60 실시예1-239 62.10±0.78
실시예1-174 72.2±4.00 실시예1-240 45.13±3.03
실시예1-175 88.7±8.53 실시예1-241 499.51±67.67
실시예1-176 55.9±5.92 실시예1-242 109.57±12.32
실시예1-177 65.17±2.78 실시예1-243 62.04±2.62
실시예1-178 942.3±113.78 실시예1-244 189.12±23.71
실시예1-179 60.0±3.14 실시예1-245 499.51±67.67
실시예1-180 1053.8±68.89 실시예1-246 109.57±12.32
실시예1-190 1277±1.98 실시예1-247 62.04±2.62
실시예1-193 100±1.21
실시예1-204 23±0.98
실시예1-212 6128±2.14
실시예1-213 6213±1.89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유의적으로 SW620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5, 1-62, 1-89, 1-103, 1-108, 1-115, 1-131, 1-133, 1-136~1-138, 1-158, 1-159, 1-164, 1-166, 1-174~1-177, 1-179, 1-204, 1-214, 1-220, 1-222, 1-229, 1-230, 1-231, 1-239, 1-240, 1-243, 1-247의 화합물들은 GI50 100 nM이하의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3>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대장암 세포 (SW620)에 대한 세포 독성평가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대장암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RFP 형광 표지된 SW620 세포주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10%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본 방명에 의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최종농도 0.000282, 0.000847, 0.00254, 0.0076, 0.0229. 0.0686, 0.206, 0.617, 1.85, 5.56, 16.67, 50uM). 화합물 처리시에 세포 독성을 실시간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 사멸 시에 녹색형광을 띄는 CellTox Green (#G8741, Promega사)를 첨가하였다. 화합물 처리 후 2시간 간격으로 녹색형광이미지를 Incucyte Zoom (Essen Bioscience사) 장시간 세포관찰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얻고 녹색형광의 정량 분석은 Incucyte Zoom basic analyzer (Essen Bioscience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화합물의 각 농도별 녹색형광 수치를 GraphPad Prism too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EC50 (50% cell death) 값을 계산하였다. 각 웰의 녹색형광을 DMSO만 처리한 음성대조군과 화합물을 처리한 군을 비교하여 SW620 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장암 세포 (SW620)에 대한 세포 독성 EC50 (nM)
실시예 EC50(nM) 실시예 EC50(nM)
실시예 1-8 688.6±10.60 실시예1-214 62.±3.48
실시예 1-35 358.7±9.74 실시예1-215 10198±2.18
실시예 1-36 525.3±21.39 실시예1-216 13108±2.29
실시예 1-37 423.1±6.59 실시예1-217 159.80±13.34
실시예 1-38 358.8±2.77 실시예1-218 820.47±45.61
실시예 1-54 444.8±4.98 실시예1-219 523.30±18.91
실시예 1-62 204.4±6.22 실시예1-220 76.58±5.26
실시예 1-66 614.9±10.31 실시예1-221 303.41±19.23
실시예 1-85 576.2±9.51 실시예1-222 106.29±5.84
실시예 1-86 912.6±5.49 실시예1-223 588.40±59.43
실시예 1-89 321.9±3.39 실시예1-224 287.45±17.82
실시예1-103 103.99±5.67 실시예1-225 303.32±17.09
실시예 1-108 141.91±7.99 실시예1-226 676.06±62.14
실시예 1-115 120.23±11.06 실시예1-227 222.02±12.26
실시예 1-131 108.64±15.24 실시예1-228 460.57±46.26
실시예 1-133 103.75±4.98 실시예1-229 103.63±1.59
실시예1-136 158.85±4.16 실시예1-230 78.98±2.32
실시예1-137 137.2±3.39 실시예1-231 112.85±6.78
실시예1-138 44.74±1.75 실시예1-232 404.82±21.35
실시예1-158 68.6±1.14 실시예1-233 333.64±37.69
실시예1-159 161.43±7.38 실시예1-234 717.71±62.72
실시예1-164 80.15±3.74 실시예1-235 798.31±35.26
실시예1-166 70.79±2.17 실시예1-236 2415.98±385.33
실시예1-168 723.34±24.57 실시예1-237 220.30±15.46
실시예1-169 540.53±8.72 실시예1-238 252.44±16.43
실시예1-170 257.50±19.03 실시예1-239 126.17±8.38
실시예1-174 106.1±11.06 실시예1-240 73.81±3.68
실시예1-175 205.0±18.35 실시예1-241 701.63±41.27
실시예1-176 198.8±12.8 실시예1-242 331.89±22.64
실시예1-177 150.8±11.91 실시예1-243 123.10±6.56
실시예1-178 1443.4±80.51 실시예1-244 245.47±5.82
실시예1-179 94.0±4.78 실시예1-245 701.63±41.27
실시예1-180 1526.5±132.75 실시예1-246 331.89±22.64
실시예1-190 3789±2.15 실시예1-247 123.10±6.56
실시예1-193 940.8±2.13
실시예1-204 355.5±1.24
실시예1-212 8692±1.16
실시예1-213 8992±2.01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유의적으로 SW620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62, 1-103, 1-108, 1-115, 1-131, 1-133, 1-136, 1-137, 1-138, 1-158, 1-159, 1-164, 1-166, 1-174, 1-176, 1-177, 1-179, 1-214, 1-220, 1-229, 1-230, 1-231, 1-239, 1-240, 1-243, 1-247의 화합물들은 EC50 200 nM이하의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암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4>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정상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정상세포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실시예 1-214의 화합물을 대표로 하여 실험하였다.
정상 세포주는 FHC (colon normal epithelial cell)을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정상 대장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100uM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대장암세포주에만 선택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항암작용이 있음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정상세포에는 독성이 없고 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므로,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3-5>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6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의 6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실시예 1-214의 화합물을 대표로 하여 실험하였다.
대장암 세포주는 COLO201, WiDr, HCT-15, SW620, SW480, DLD-1, HCT-116, HT-29, LS1034, LoVo, NCI-H508, COLO205, LS174T의 13개의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폐암세포주는 NCI-H1975, A549, NCI-H226, NCI-H1793, NCI-H1650, NCI-H596, NCI-H460, NCI-H1299, NCI-H358, HCC-44, HCC-2108의 11개의 페포주를 사용하였다.
췌장암세포주는 Panc-1, MIA-Paca-2, BxPC-3, AsPC-1, Panc10.05 의 5개의 페포주를 사용하였다.
유방암세포주는 MDM-MB-231, HCC1569, HCC70, HCC1937, HCC1395 의 5개의 페포주를 사용하였다.
난소암세포주는 NIH:OVCAR-3, SK-OV-3, Caov-3, SNU119, UWB1.289의 5개의 페포주를 사용하였다.
뇌종양세포주는 U343, T98G, SNB-19, A-172, U87의 5개의 페포주를 사용하였다.
상기 암세포주는 모두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6가지의 고형 암종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다양한 암종에 대해 항암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간질 개선 효과
<4-1> RagD GTP 가수분해 및 LRS의 lysosomal translocation의 저해활성
mTOR 야생형 또는 L2427P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NIH3T3 세포를 48 시간 동안 si- 대조군 또는 si-LRS로 형질 감염시키고, 90 분 동안 류신을 결핍시킨 다음, 15 분 동안 류신으로 재자극 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GTP-아가로오스 비드와 함께 배양하여 GTP 결합 단백질을 pull-down 시켰다. 침전물을 각각 항-RagD 또는 ARF1 항체로 면역 블로팅 하였다. ARF1은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리소좀 분획은 리소좀 농축 키트 (Thermo Fisher Scientific, # 89839)를 사용하여 수득 하였다. S6K 인산화에 대한 실시예 1-214의 효과를 항-포스포 S6K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 9205)로 면역 블로팅하여 분석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OR L2427P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NIH3T3 세포에 si-LRS로 형질 감염시킨 경우, 류신 처리에 의한 RagD의 GTP 분해가 억제되고 mTORC1의 성분 중 하나인 Raptor의 리소좀 이동이 막혀 S6K 인산화가 저해됨을 알 수 있다.
또한, mTOR 야생형 또는 L2427P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NIH3T3 세포를 6 시간 동안 20 microM의 실시예 1-214 화합물로 처리하고, 90 분 동안 류신을 결핍시킨 후, 15 분 동안 류신으로 재자극 하였다. 세포용 해물을 GTP-아가로오스 비드와 함께 배양하여 GTP 결합 단백질을 pull-down 시켰다. 침전물을 각각 항-RagD 또는 ARF1 항체로 면역 블로팅 하였다. ARF1은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리소좀 분획은 리소좀 농축 키트(Thermo Fisher Scientific, # 89839)를 사용하여 수득 하였다. S6K 인산화에 대한 실시예 1-186 화합물의 효과를 항-포스포 S6K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 9205)로 면역 블로팅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OR L2427P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NIH3T3 세포에 실시예 1-214 화합물로 처리하게 되면, 류신 처리에 의한 RagD의 GTP 분해가 억제되고 mTORC1의 성분 중 하나인 Raptor의 리소좀 이동이 막혀 S6K 인산화가 저해됨을 알 수 있다.
<4-2> 간질과 연관된 mTOR 돌연변이(L2427P)를 발현하는 세포에서 mTORC1 활성 저해효과
L2427P 돌연변이를 발현하고 있는 NIH3T3 세포를 실시예 1-214 화합물의 해당 농도로 6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S6K 인산화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항-포스 포 S6K 항체 (Cell Signaling Technology, # 9205)로 면역 블로팅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OR L2427P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NIH3T3 세포에 실시예 1-214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게 되면 S6K의 인산화가 농도가 증가하면서 감소되는 패턴을 볼 수 있다. S6K의 인산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그래프를 그리게 되면 S6K 인산화 저해 효과에 대한 실시예 1-186 화합물의 IC50 값은 54.99nM 정도로 분석이 된다.
<4-3> 간질 동물모델에서 간질성 발작의 저해효과
C57BL/6 mice(주.중앙실험동물)를 구입하여, 동물 사육실 환경을 항온 23℃로 유지하였고, 광주기 및 암주기를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동물은 시험물질 각 군당 3마리로 3군, 총 9마리를 사용하였고, 각 군은 실시예 1-214 화합물, 라파마이신(양성대조군), vehicle(대조물질군)이다. 간질 동물모델을 확립하기 위해, 시간을 두고 임신한 마우스(embryonic day 14)를 isoflurane(oxygen and isoflurane vaporizer gauge 3, 0.4L/min)으로 마취시켰다. 자궁 경부를 노출시키고, 2-3 mg의 mTOR 돌연변이 플라스미드와 결합된 2 μg/ml Fast Green (F7252, Sigma, USA)을 가진 유리 모세관을 사용하여 각 배아의 측심실에 주입하였다. 이후 마우스가 태어나면 GFP 선별을 하고, 생후 30일이 되면 간질 발작 상태를 확인하여 간질 동물모델을 선별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간질 동물모델은 Nature Medicine, 21 (4) : 395-400 (2015)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실시예 1-214 화합물(TID, 10 mg/kg, IP 주사), 라파마이신(QD, 10 mg/kg, IP 주사) 또는 대조물질(4% DMAC, 5% PEG, 5% Tween-80)을 L2427P mTOR 돌연변이를 가진 마우스에 2주간 투여한 후, 행동 발작 빈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OR L2427P 돌연변이를 갖는 간질 동물모델에서 대조물질의 경우 24시간 동안 평균적으로 18회의 행동발작 빈도를 나타내는 반면, 실시예 1-214 화합물을 투여한 경우 24시간 평균 3.3회 정도의 행동발작 빈도를 보임으로서 간질성 발작 저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4-4>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 투과성
Pion BBB-PAMPA 분석 키트를 수동적, 세포간 투과성의 in vitro 모델로 사용로 하였다. 필터에 고정화 된 인공막을 공여체와 수용체 구획 사이에 두었다. 각 약물은 기증자 구획에 도입된 다음 기증자 및 수용체 구획내의 약물 농도를 측정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14 화합물은 기존에 뇌질환 치료제로 사용이 되는 hydroxychloroquine, progesterone, corticosterone, rivastigmine, carbamazepine과 비교해도 우수한 인공막 투과도 결과를 보이고 있고, mTOR 저해제 (rapamycin, temsirolimus, INK128)와의 비교에서도 가장 우수한 투과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in vivo BBB 투과성 실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Test compound를 dimethylacetamide/Tween 80/20%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10/10/80 v/v%)에 녹인 후 male ICR mouse (9주령)에 5mg/kg으로 정맥주사(iv, 5ml/kg)한 다음 0, 30, 60 그리고 90 분에 CO2 chamber 에서 안락사 시킨 후 심장채혈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고 절두하여 뇌를 적출하였다(n=3/each time point). 획득한 혈액은 BD microtainer tube (with Lithium Heparin additive) 에 가하여 4℃에서 12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한 다음 plasma를 분리하고 뇌는 무게를 잰 후 3배 volume 의 물을 넣어 분쇄시켜 homogenate로 만들었다. 혈액 및 뇌의 homogenate에 3배 volume 의 internal standard를 포함한 acetonitrile을 가하여 protein precipitation 한 다음 상등액을 물과 1:1로 희석시킨 후 LC-MS/MS method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In vivo BBB 투과성
Time (min) Plasma concentration (ng/ml) mean SD
#1 #2 #3
30 178.0 183.6 334.0 231.8 88.5
60 122.6 72.7 471.5 222.2 217.3
90 97.9 - 27.9 62.9 50.4
LLOQ=0.977 ng/ml
Time (min) Brain concentration (ng/ml) mean SD
#1 #2 #3
30 33.4 10.1 123.1 55.5 59.6
60 6.4 5.9 9.6 7.3 2.0
90 15.2 - 3.7 9.5 10.7
LLOQ=0.977 ng/ml
Time (min) Brain/plasma ratio mean SD
#1 #2 #3
30 0.2 0.1 0.4 0.2 0.2
60 0.1 0.1 0.0 0.1 0.0
90 0.2 - 0.1 0.1 0.0
상기 표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brain과 plasma에서 존재하는 화합물의 양을 비교 하여 BBB를 투과한 양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실시예 1-214 화합물 brain/plasma 비율을 측정하였을 시, 평균적으로 약 10 내지 20% 정도의 비율로 화합물이 brain으로 이동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간질-연관 돌연변이를 발현하고 있는 세포에서 mTORC1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간질 동물모델에서 간질성 발작의 발현 횟수를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뇌 장벽 투과성도 매우 높아 간질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는 LRS와 RagD 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mTORC1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mTOR를 저해함으로써 치료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암, 간질, 염증질환, 면역질환, 당뇨, 비만, 호흡기계 폐쇄성 질환, 섬유증, 폼페병, 리소좀 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계질환 및 기생충 감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화학식 1]
    Figure pat0025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할로;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상기 R1이 치환된 페닐인 경우 그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치환되지 않은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 및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 C1-C6 알킬이고,
    R3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 C1-C6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C5-C10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5-C20 아릴; 디옥소안트라세닐; 또는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로서, 이들이 치환되는 경우 그 치환기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아미노기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모폴린으로 치환된 C1-C6 알킬옥시; C1-C6 알킬옥시카보닐; 히드록시카보닐 C1-C6 알킬;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아미노; 페닐;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카보닐, 할로겐 원자 및 플루오로 원자 1개 이상으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 페녹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할로겐 원자 및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녹시; 아미노설포닐; 할로; 시아노; 아세틸; 니트로; 에티닐; 히드록시; 모폴리노; 나프틸; 테에닐; 피리딜; 테트라히드로퓨라닐; 카르복실; 티오페닐; C1-C10 사이클로알킬; 벤조디옥소릴;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옥시로 치환된 인돌릴; 디히드로벤조옥시닐; 및 퓨릴메틸설파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아릴, 헤테로 고리 및 헤테로아릴 고리는 각각 2개 이상의 고리가 융합된 복소환 구조일 수 있고, 또한 고리 내에 카보닐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거나,
    상기 R2와 R3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5-C20 헤테로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페닐, 또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 1개 이상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3은 수소; C5-C10 시클로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나프틸,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페닐, 안트라세닐, 벤조디옥소릴, 인단일 또는 테트랄린일, 피페리디닐,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퀴놀릴, 벤조디옥시닐, 인돌릴, 옥소인돌릴, 벤조티아졸릴, 옥소티옥산테닐, 벤지미다졸릴, 옥소벤지미다졸릴, 티오페닐, 벤조티오페닐, 테트라히드로벤조티오페닐 및 카르바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3은 수소,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페닐, sec-부틸페닐, t-부틸페닐, 톨릴, 이소프로필페닐, 디메틸페닐, 에틸페닐, 메톡시페닐, 메톡시디메틸페닐, 디메톡시페닐, 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 클로로페닐, 디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브로모페닐, 디브로모페닐, 클로로플루오로페닐, 플루오로메틸페닐, 시아노페닐, 아세틸페닐, 페닐페닐, 니트로페닐, 모폴리노페닐, 에톡시니트로페닐, 에티닐페닐, 디메틸니트로페닐, 디클로로니트로페닐, 클로로니트로페닐, 디메틸니트로페닐, 히드록시페닐, (메톡시카보닐)페닐, (에톡시카보닐)페닐, 히드록시메틸페닐, (디메틸아미노)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히드록시카보닐메틸)페닐, 아미노설포닐페닐, 나프틸, 브로모나프틸, 메틸나프틸, 히드록시나프틸, 인단일, 테트랄린일, (에톡시카보닐)피페리딘일, (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딘일, 피리딜, 플루오로피리딜, 클로로피리딜, 메톡시피리딜, 피리미딘일, 트리메틸피라졸릴, 퀴놀릴, 메틸퀴놀릴, 디히드로벤조디옥신일, 메틸-1H-인돌일, 메톡시벤조티아졸릴, 옥소티옥산텐일, 디메틸옥소벤지미다졸릴, 에톡시카보닐벤조티오펜일, 에톡시카보닐테트라히드로벤조티오펜일, 에틸카르바졸릴, 아세틸벤조디옥솔일,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t-부틸, 디메틸프로필, 에톡시에틸, 디메톡시프로필, 메톡시카보닐에틸, 벤질, 페닐에틸, 페닐프로필, 페닐부틸, 톨릴메틸, 톨릴에틸, (플루오로페닐)메틸, (플루오로페닐)메틸, (클로로페닐)메틸, (브로모페닐)메틸, (플루오로페닐)에틸, (클로로페닐)에틸, (브로모페닐)에틸, (메톡시페닐)메틸, (디메톡시페닐)메틸, (메톡시페닐)에틸, (디메톡시페닐)에틸, 메톡시카보닐페닐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 페녹시에틸, (디메틸페녹시)에틸, 페녹시프로필, (플루오로페녹시)에틸, (메톡시페녹시)에틸, 나프틸메틸, 티에닐메틸, 피리딜메틸, (피리딜)에틸, 테트라히드로퓨란일메틸, (1H-인돌일)메틸, (1H-인돌일)에틸, (메톡시-1H-인돌일)에틸, (디히드로벤조디옥신일)메틸, (퓨릴메틸설파닐)에틸, 히드록시바이페닐, (몰폴리노에톡시)페닐, 디히드로페닐, 플루오로히드록시페닐, 메톡시니트로페닐, 히드록시카보닐페닐, 메틸벤조퓨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조퓨라닐, (메톡시카르보닐)벤조티오페닐, (메톡시카르보닐페닐)메틸, (메톡시카르보닐)나프틸, 트리메틸페닐, 안트라세닐, 벤조디옥실, 옥소인돌릴, 티오페닐에틸, 트리메톡시페닐,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헵틸메틸, 시클로헥실에틸 및 디메톡시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2와 R3이 서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 모폴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인돌린, 퀴녹살린온 또는 디아제핀 고리를 형성하고, 이들이 치환되는 경우 그 치환기는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6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5-C20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 C5-C20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1개 이상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2와 R3이 서로 결합하여 모폴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에틸피페라진, 페닐피페라진, (니트로페닐)피페라진, (메톡시페닐)피페라진, 피리딘일피페라진, (클로로퀴놀릴)피페라진, (모폴린카르보닐)피페라진, [[(모폴린카르보닐)니트로페닐]피페라진, 퀴녹살린온, 디히드로퀴녹살린온, 인돌린, 디아제핀, (페닐설포닐)디아제핀 또는 [(이소프로필디메틸옥소피라졸릴)페닐]설포닐디아제핀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페닐-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헥실-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N-(4-터트-부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모폴리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4-디메톡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4-디메톡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벤젠설폰아미드
    N-(4-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메톡시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페닐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페닐부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N-(4-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터트-부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N-[2-(4-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티에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피리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N-[2-(3-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5-플루오로-2-피리딜)-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디메틸아미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4-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이소프로필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틸)벤젠설폰아미드
    N-[2-(2-퓨릴메틸설파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p-톨릴)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페닐)-N-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N-[(2-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m-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N-(2,5-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m-톨릴)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o-톨릴)벤젠설폰아미드
    N-(4-시아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4-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메톡시-3-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p-톨릴)벤젠설폰아미드
    N-(2,2-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N-(3-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4-디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5-디브로모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에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1,1-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5-디메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펜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2-[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sec-부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에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N-인단-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인단-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헵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4-아세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피리미딘-2-일-벤젠설폰아미드
    N-[(2,4-디메톡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클로로-4-피리딜)-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2-[4-(4-에틸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N-(9-에틸카르바졸-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브로모-1-나프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닐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1-나프틸)벤젠설폰아미드
    N-[2-(4-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5-메톡시-1H-인돌-3-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1H-인돌-5-일)벤젠설폰아미드
    N-(1H-인돌-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6-메톡시-1,3-벤조티아졸-2-일)벤젠설폰아미드
    N-[2-(1H-인돌-3-일)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메틸-8-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N-(4-에톡시-2-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4-디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2-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5-디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1,2-디메톡시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에티닐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플루오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4-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5-디클로로-4-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클로로-3-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디메틸-6-니트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N-[(3-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3-클로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o-톨릴메틸)벤젠설폰아미드
    N-(3-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클로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클로로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N-[2-(2-플루오로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브로모페닐)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2-브로모페닐)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o-톨릴)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메톡시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클로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H-인돌-5-일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메톡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퀴놀릴)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디메틸아미노)페닐]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에이트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플루오로페닐)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피리딜메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벤젠설폰아미드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3,4-디클로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클로로-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펜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시클로헵틸-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페닐-벤젠설폰아미드
    4-(2,3-디메틸-5-옥소-4-페닐-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4-클로로페닐)-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2-[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산
    N-(2-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2,3-디메틸-5-옥소-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N-[3-(히드록시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6-히드록시-1-나프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N-[2-(2-플루오로페녹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N-(4-히드록시-3-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6-아세틸-1,3-벤조디옥소l-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1,3,5-트리메틸피라졸-4-일)벤젠설폰아미드
    2-(4-인돌린-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테트랄린-1-일-벤젠설폰아미드
    N,N-디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메틸-N-페닐-벤젠설폰아미드
    N-벤질-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2-페닐-아세테이트
    N-(2-에톡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6-디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9-옥소티옥산텐-2-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4-메톡시-3,5-디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1,3-디메틸-2-옥소-벤지미다졸-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에틸 5-[[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1,3-디히드로퀴녹살린-2-온
    N-터트-부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2-메틸-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3-페닐퀴녹살린-2-일)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2-[4-[[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1,4-디아제판-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4-(모폴린-4-카르보닐)-2-니트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4-(2-피리딜)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피라졸-3-온
    N-(2,2-디메틸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2-[4-[4-(4-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1,5-디메틸-피라졸-3-온
    N-[2-(3,4-디메톡시페닐)에틸]-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벤자미드
    에틸 2-[[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페닐]설포닐아미노]-4,5,6,7-테트라히드로벤조티오펜-3-카르복실레이트
    2-[4-[4-(7-클로로-4-퀴놀릴)피페라진-1-일]설포닐페닐]-4-이소프로필-1,5-디메틸-피라졸-3-온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1-피페리딜설포닐)페닐]피라졸-3-온
    N-이소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프로필-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이소프로필-1,5-디메틸-2-(4-모폴리노설포닐페닐)피라졸-3-온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2-페녹시에틸)벤젠설폰아미드
    N-[2-(3,5-디메틸페녹시)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피라졸-1-일)-N-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N-(4-히드록시-[1,1'-바이페닐]-3-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5-히드록시나프탈렌-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4-디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2-몰포리노에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N-(2,4-디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N-(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톡시-4-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3-(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벤조산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톡시-5-니트로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메틸벤조퓨란-5-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b]티오펜-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퓨란-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퓨란-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메틸 5-(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벤조[b]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메틸 4-((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메틸)벤조에이트
    메틸 6-(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페닐설폰아미도)-2-나프토에이트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메시틸벤젠설폰아미드
    N-(9,10-디옥소-9,10-디히드로안트라센-2-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이소퀴놀린-5-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d][1,3]디옥실-5-일)-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벤조[d][1,3]디옥실-5-일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옥소인돌린-5-일)벤젠설폰아미드
    4-(4-브로모-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2-(티오펜-2-일)에틸)벤젠설폰아미드
    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N-(3,4,5-트리메톡시페닐)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헥실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시클로헵틸메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N-(2-시클로헥실에틸)-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 및
    N-(3,4-디메톡시페닐)-4-(4-이소프로필-2,3-디메틸-5-옥소-2,5-디히드로-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하기 반응식에 의해 제조되는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25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는 상기 청구항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간질, 염증질환, 면역질환, 당뇨, 비만, 호흡기계 폐쇄성 질환, 섬유증, 폼페병, 리소좀 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및 헌팅턴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계질환 및 기생충 감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라파마이신(rapamycin)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032080A 2016-03-15 2017-03-14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1947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45 2016-03-15
KR20160030845 2016-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404A true KR20170107404A (ko) 2017-09-25
KR101947152B1 KR101947152B1 (ko) 2019-02-12

Family

ID=5985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080A KR101947152B1 (ko) 2016-03-15 2017-03-14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7152B1 (ko)
WO (1) WO20171600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83A1 (ko) 2018-04-26 2019-10-31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mTOR 저해제로서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3890B (zh) 2018-01-10 2023-12-01 美商克拉治療有限責任公司 包含苯基磺醯胺之醫藥組合物及其治療應用
AU2020310190A1 (en) * 2019-07-11 2022-02-24 Cura Therapeutics, Llc Phenyl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KR102426016B1 (ko) 2020-01-07 2022-08-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1-페닐-1h-피라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3002011A1 (en) * 2021-07-23 2023-01-26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Gram-negative bacteria efflux pump inhibi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4008A1 (en) * 2002-07-29 2004-02-05 Wyeth Dihydrodipyrazolopyridinylbenzamide and -sulfonamide inhibitors of B7-1
KR20100070568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칩 네트워크 토폴로지 합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0840A1 (en) * 2010-02-17 2011-08-25 UNIVERSITé LAVAL Substituted 2-imidazolidones and analogs
CA2844783C (en) * 2011-08-16 2019-10-29 Universite Laval Substituted 2-imidazolidinones and 2-imidazolon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4008A1 (en) * 2002-07-29 2004-02-05 Wyeth Dihydrodipyrazolopyridinylbenzamide and -sulfonamide inhibitors of B7-1
KR20100070568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칩 네트워크 토폴로지 합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83A1 (ko) 2018-04-26 2019-10-31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mTOR 저해제로서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0069A1 (ko) 2017-09-21
KR101947152B1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152B1 (ko) 신규한 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ES2155045T3 (es) Inhibicion de la quinasa raf utilizando ureas heterociclicas sustituidas con arilo y heteroarilo.
KR101426093B1 (ko) 뒤시엔느 근이영양증의 치료
CA2629814C (en) Bisamide inhibitors of hedgehog signaling
AU2009236256B2 (e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the pleckstrin homology domain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0640512B2 (en) Imidazopyrazinamine phenyl derivative and use thereof
US10023591B2 (en)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use thereof
JP5140854B2 (ja) S1p3受容体拮抗剤
TW200304808A (en) N,N&#39;-substituted-1,3-diamino-2-hydroxypropane derivatives
RU2637945C2 (ru) Производные 1-фенил-2-пиридинил-алкиловых спиртов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фосфодиэстеразы
TW200416221A (en) Compositions useful as inhibitors of ROCK and other protein kinases
WO2019101086A1 (zh) 卤代烯丙基胺类ssao/vap-1抑制剂及其应用
WO2006057270A1 (ja) 含窒素3環化合物
PT1477186E (pt) Antipruriginosos
TW200918074A (en) Substituted piperidino-dihydrothienopyrimidines
RU2722383C2 (ru) Производные хромена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фосфоинозитид-3-киназ
CA2887845A1 (en) Sodium channel blocker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TW200524878A (en) Gabanergic modulators
TW201522306A (zh) 雜環衍生物及其用途
US20150329503A1 (en) Substituted benzamides and their uses
EP2734042B1 (en) Targeting gli proteins in human cancer by small molecules
CA2610509A1 (en) 1-methyl-1h-pyrazole-4-carboxamides useful as 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
JP2019509272A (ja) 脊髄性筋萎縮症の治療のための併用療法
US10759792B2 (en) CaMKII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A2916419C (en) Substituted 2, 3-dihydro-1h-inden-1-one retinoic acid-related orphan nuclear receptor antagonists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