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331A -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 - Google Patents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331A
KR20170107331A KR1020160031193A KR20160031193A KR20170107331A KR 20170107331 A KR20170107331 A KR 20170107331A KR 1020160031193 A KR1020160031193 A KR 1020160031193A KR 20160031193 A KR20160031193 A KR 20160031193A KR 20170107331 A KR20170107331 A KR 20170107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kin
wrinkle
value
wee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선
Original Assignee
티앤에이치글로벌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앤에이치글로벌바이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앤에이치글로벌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331A/ko
Publication of KR2017010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생장인자(EGF)가 피부내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 내 콜라겐 유전자(Col1A1 mRNA)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효능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실험에 의하여 피부의 탄력과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판단되어 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피부 관리용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과 같은 일상적인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민한 피부의 관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COSMETIC COMPOSITIONS FOR REGULATING COLLAGEN AND ANTI-WRINKLE}
피부노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부 진피층에 존재하는 진피 섬유아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콜라겐 생산을 촉진시킴으로서 진피 망상 층의 구조를 회복시킬 수 있는 화장료의 유효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제품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을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적용하여 콜라겐과 콜라게나제 발현에 대한 세포효능을 평가하고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여 그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신체의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층은 각질형성세포와 멜라닌형성세포가 존재하여,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고 각질층을 형성하여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유해인자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진피층은 섬유아세포에 의해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과 같은 섬유상 단백질을 포함한 세포 외 기질 성분이 생산되고, 세포외 기질을 통해 망상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이민걸 등, 2008).
피부는 신체의 노화가 가장 먼저 확인되는 기관으로 내인적, 외인적 요인에 의하여 노화가 진행된다. 내인적 노화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발생되는 자연스러운 노화현상으로 체내 활성산소 생성량이 증가하면서 피부 세포들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한다. 외인적 노화는 흡연, 과음, 자외선 등에 의한 외부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피부세포들의 기능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윤영민 등, 2013).
이러한 피부노화가 진행되면 표피층은 수분 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가 거칠어지고 각질형성세포의 각화주기에 이상이 생겨 비정상적인 각질층이 형성된다. 진피층의 경우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저해로 인해 세포외 기질 부족현상이 발생하여 진피 망상층의 구조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구조 변형은 피부의 탄력 감소와 주름 생성을 초래하게 된다.
콜라겐은 신체 조직 곳곳에 존재하는 섬유상 단백질로서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에는 주로 타입 I 콜라겐(type I collagen)이 존재한다. 진피 섬유아세포의 프로콜라겐(pro-collagen) 유전자로 부터 발현된 프로콜라겐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서로 결합하여 타입 I 콜라겐을 형성한다. 프로콜라겐은 Col1A1 유전자에서 발현된 pro-alpha 1 사슬과 Col1A2 유전자에서 발현된 pro-alpha 2 사슬이 triplehelix 구조를 이루면서 생성된다(김영주와 윤영민, 2013).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도 역시 콜라겐 타입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Matrix metalloprotease 1 (MMP1)은 타입 I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로,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발현되며 진피층 구조 형성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Lee etal., 2006). 타입 I 콜라겐과 MMP1의 생성은 정상적인 피부조직 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어 피부 탄력이 조절되지만,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진피층 내 콜라겐의 양이 감소하면서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성되는 노화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제품에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을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에 적용하여 콜라겐과 콜라게나제 발현에 대한 세포효능을 평가 및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여 그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피부노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부 진피층에 존재하는 진피 섬유 아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콜라겐 생산을 촉진시킴으로써 진피 망상층의 구조를 회복시킬 수 있는 성분을 측정하고 본 발명에는 유효성분 (알에이치-올리고 펩타이드-1 : EGF)를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에 적용하여 콜라겐과 콜라게나제 발현에 대한 세포효능을 평가하고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최근 젊음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안티에이징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오래 사는 것’에서 ‘건강하게 사는 것’을 넘어 ‘아름답게 사는 것’을 추구하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또한 외모의 기준이 가치 평가되는 시대에 개개인의 외적 심리적 안정성을 만족시킴에 기여하며 EGF의 생산량 증가를 통한 경제적 부담감 감축되었다.
피부과, 화장품, 미용 서비스 등 안티에이징 산업의 고객층이 중산층, 일반 대중으로 확대되면서 미디어, 학계, 산업계 전반에서 관심이 폭증하였다. 연령의 고령화, 기술혁신 등으로 인해 안티에이징 트렌드는 앞으로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화장품, 미용의료 등 피부노화 분야가 안티에이징 산업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피부는 신체 바깥쪽에 있어 다른 기관에 비해 관리를 통한 개선이 용이하므로 피부상태로 신체건강, 나이 등을 가늠하기 시작하면서 피부가 안티에이징의 핵심으로 부상하였다. 피부노화 분야를 중심으로 안티에이징 산업을 분석하고 신사업 기회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야 할 시기가 도래하였다. 최근 안티에이징 산업의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안티에이징을 키워드로 하는 종합적 산업 연구가 부재한 것이 사실이다. 사회, 경제, 기술 측면에서 안티에이징 산업의 부상배경을 살펴보고 의료, 소비재, 서비스 분야로 나누어 산업동향 및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늘고 있다. 향후 안티에이징 산업에서 부상할 수 있는 신사업 아이템과 기업 및 정부의 대응 전략도 제안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 1] 주름 R1값 변화.
[도 2] 주름 R1값 개선율(%).
[도 3] 주름 R2값 변화.
[도 4] 주름 R2값 개선율(%).
[도 5] 주름 R3값 변화.
[도 6] 주름 R3값 개선율(%).
[도 7] 주름 R4값 변화.
[도 8] 주름 R4값 개선율(%).
[도 9] 주름 R5값 변화.
[도 10] 주름 R5값 개선율(%).
1) EGF의 등점점 측정
Figure pat00001
[그림 1] EGF의 등점점 측정
사진의 위는 -극이고 아래는 +극이다. 좌에서 우측까지 순서 : 표준품, 131101, 131102, 131103;
세 개의 샘플 isoelectric point와 표준품과 일치. pH는 4.6이다.
2) PURIFY TEST(순도테스트)
Figure pat00002
[그림 2] EGF의 순도테스트
3개의 샘플 테스트 95%이상
3) ACTIVITY OF EGF & FGF
Figure pat00003
[그림 3] EGF의 활성도 측정
131101, 131102, 131103 3개의 rh-EGF 원료에 남아있는 DNA의 양은 10ppm이하이다. (<100pg/검체(10ug))
4) DOT BLOT
Figure pat00004
[그림 4] DOT BLOT 데이터
3가지 모두 뚜렷한 반응을 보임
이로서 유효성분 (알에이치-올리고 펩타이드-1 : EGF)의 조사를 모두 마치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부 비고
EGF 0.000004 ~ 1.00
1,3-부틸렌글리콜 6.00
폴리솔베이트 20 0.40
글리세린 10.00
올레일알코올 0.10
벤조페논-9 0.05
에탄올 10.00
향, 방부제 0.01
정제수 73.439996
소 계 100.00
제형예(유연화장수)
실험예 1 세포주 선택 및 세포 배양
주름개선 세포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본 시험에서는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주(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HDF)를 Lonza사(Basel, Switzerland)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는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 100 IU/mL, streptomycin 100 μg/mL; Invitrogen, USA), 10% fetalbovine serum (FBS; Sigma-Aldrich, USA)를 함유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Welgene, Korea) 배지와 37℃, 5% CO2 조건의 세포배양기 내에서 배양되었다.
[실험예2] 시험물질 농도 설정
시험물질의 검액농도 설정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assay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를 24-well plate에 well 당 5×104 개로 분주한 후, 세포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10% FBS를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고 일정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세포를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well에 MTT용액(0.5% MTT액)을 100 μL씩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dimethylsulfoxide 용액 1000 μL씩을 넣고 10분간 흔들어 준 다음 ELISA reader (Bio-Rad,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인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은 FBS가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희석하여 최후 사용농도(final concentration)가 0.001∼1%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콜라겐 양 측정 실험에 대조물질로 사용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or vitamin C; Sigma-Aldrich)’은 FBS가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에 녹여서 최후 사용농도 50 μM과 100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으며, 콜라게나제 양 측정 실험에 대조물질로 사용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Sigma-Aldrich)’ 또한 FBS가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에 녹여 최후 사용농도 25 μM과 50 μM이 되도록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인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의 검액농도 설정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물질의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농도를 확인한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시험물질 0.05% 농도까지는 세포생존율이 약 93%로 무처리군과 차이가 크지 않으나, 0.1% 농도부터는 세포 생존율이 무처리군 대비 10% 이상 감소하였기 때문에, 시험물질의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 대한 처리 농도는 최대 0.05%까지로 결정하였다(그림 5).
Figure pat00005
[그림 5] 시험물질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의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대조물질로 사용한 ‘아스코르브산’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의 경우, 아스코르브산은 50 μM과 100μM 농도에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는 25 μM과 50 μM 농도에서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시험한 모든 농도에서 ‘아스코르브산’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는 세포생존율 95% 이상을 보였으며, 따라서 이들 농도에서 대조물질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였다(그림 6).
Figure pat00006
[그림 6] 대조물질 ‘아스코르브산’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의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예3] 콜라겐 및 콜라게나제 양 측정
콜라겐과 콜라게나제 양은 mRNA 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실시간 RT-PCR(Real Time RT-PCR) 기법을 활용하였다(Bustin, 2000). 콜라겐은 피부에 주로 존재하는 타입 I 콜라겐의 구성 요소인 Col1A1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콜라게나제는 타입 I 콜라겐 분해 작용을 하는 MMP1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mRNA는 Trizol reagent (Invitrogen)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60 mm culture dish에 5×105 개로 분주한 후 세포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일정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수확한 후 Trizol reagent 1 mL을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하여 total m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total mRNA는 Nanodrop (Nanodrop, USA)을 이용하여 260 nm와 28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260 nm/280 nm의 비율(ratio)을 확인하여 ratio 1.8 이상의 순도가 높은 total mRNA만을 선별하였다. 추출된 total mRNA는 M-MLV reverse transcriptase (Enzynomics, Korea)를 이용하여 cDNA로 치환하여 실시간 RT-PCR에 사용하였다.
실시간 RT-PCR은 HOT FIREPol EvaGreen PCR Mix Plus (Solis BioDyne, Estonia)를 이용하여 SYBR 염색법을 통해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시간 PCR 반응은 Linegene K (BioER,China) PCR 기기를 이용하여, 94℃에서 5분간 denaturation 시킨 후 denaturation, annealing, polymerization 과정을 각각 94℃, 60℃, 72℃에서 30초간 수행하여 총 40 cycle 동안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유전자 발현 변화는 무처리군의 유전자 발현양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콜라겐 mRNA 양 확인 실험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Park et al., 2010; Tajima & Pinnell, 1996)을 사용하였으며, 콜라게나제 mRNA 양 확인 실험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김상남 등, 2013; Lee et al., 2005; Yang et al., 2011)를 사용하였다. 실시간 RT-PCR 시험에 사용된 primer는 표 2과 같다.
2) 콜라겐 mRNA 양 측정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시험물질인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의 콜라겐 발현 증감 여부는 피부에 주로 존재하는 타입 I 콜라겐의 구성요소인 Col1A1 유전자(mRNA) 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실시간 RT-PCR 기법을 이용하였다.
시험물질은 0.001%, 0.005%, 0.01%, 0.02%, 0.05% 농도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그림 6). 대조물질인 ‘아스코르브산’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범위인 50 μM과 100 μM의 2가지 농도(그림 6)를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과 동일한 실험조건으로 처리되었다(그림 3).
실시간 RT-PCR 기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험물질은 0.001%부터 0.05%까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Col1A1 mRNA의 발현양을 증가시켰다. 또한 시험물질 0.05% 농도에서는 무처리군에 비하여 Col1A1 mRNA의 발현양을 약 2.5배 증가시켰으며, 이는 대조물질로 사용한 아스코르브산 100μM 처리 시보다 오히려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관찰되었다(그림 7).
이들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 시험물질인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pat00007
그림 7.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시험물질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과 대조물질 ‘아스코르브산’의 Col1A1 mRNA 발현 변화. *p <.05, **p <.01, ***p <.001.
3) 콜라게나제 mRNA 양 측정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시험물질인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의 콜라게나제 발현 증감 여부는 타입 I 콜라겐을 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MMP1 유전자(mRNA)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실시간 RT-PCR 기법을 이용하였다.
시험물질은 제형예1의 0.001%, 0.005%, 0.01%, 0.02%, 0.05% 농도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그림 8). 대조물질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 범위인 25 μM과 50 μM의 2가지 농도(그림 6)를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과 동일한 실험조건으로 처리되었다(그림 8).
실시간 RT-PCR 기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험물질은 MMP1 mRNA의 발현양을 0.02% 처리농도에서 0.9배, 0.05 처리농도에서 0.86배 감소시키긴 하였으나, 양성 대조군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에 비해 그 감소폭이 낮음을 관찰하였다(그림 8).
이들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 시험물질인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은 갖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pat00008
[그림 8]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시험물질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과 대조물질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의 MMP1 mRNA 발현 변화. *p <.05, **p <.01, ***p <.001.
상기 결과에 따라 제형예1의 유효성분(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0.05% 농도 이하에서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주 nHDF의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시험물질은 농도의존적으로 Col1A1 mRNA의 발현양을 증가시켰으며, 0.05% 농도에서는 무처리군에 비하여 Col1A1 mRNA의 발현량이 2.5배 높음을 확인하였다. 무처리군에 비하여 시험물질 0.05% 농도에서 MMP1 mRNA의 발현량이 0.86배 감소하였으나, 양성 대조군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에 비하여 감소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험물질은 세포효능 평가 결과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며, 콜라게나제 유전자 발현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Col1A1 AGGGCCAAGACGAAGACATC AGATCACGTCATCGCACAACA
MMP1 TCTGACGTTGATCCCAGAGAGCAG CAGGGTGACACCAGTGACTGCAC
β-actin GGATTCCTATGTGGGCGACGA CGCTCGGTGAGGATCTTCATG
유전자 발현양 분석에 사용된 Primer 정보
실험예4 - 통계분석방법
실험 결과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예 4] 임상시험
1) 피시험자의 선정
자발적으로 모집된 30세~65세의 성인 여성 중에서 다음 1)항의 기준에 만족하며, 2)항에 해당되는 사항이 없는 사람을 피시험자로 선정하였다. 시험책임자 또는 시험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시험자는 시험의 모든 정보를 피시험자에게 충분히 알렸으며, 피시험자는 자의에 따라 ‘임상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고 시험에 참가하였다.
2) 피시험자 선정기준
(1) 시험책임자 또는 시험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사람으로부터 피시험자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사람
(2) 30세~65세의 여성으로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
(3) 시험기간 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사람
(4) 시험책임자의 문진과 이학적 검사상 눈가에 주름이 있고 Global phodtoamage가 1~6에 해당되는 경우
Global photodamage score
0 : none
1 : none/mild
2 : mild
3 : mild/moderate
4 : moderate
5 : moderate/severe
6 : severe
7 : very severe
Reference : Arch. Dermatol. vol. 137: 1043-1051, 2001.
Global photodamage score
3) 피시험자 선정제외기준
지원자와의 면담에 의하여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사람은 피시험자에서 제외시켰다.
(1)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용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사람
(3)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사람
(4)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5) 시험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
(6) 연구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부위에 피부박피시술, 주름제거시술 등을 받은 사람
(7) 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
Ⅶ. 결과보고
1. 피시험자 기본정보
본 시험에 참가한 피시험자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표 4).
등록 피시험자 21명
최종 완료 피시험자 21명
성별 여성
평균연령 43.52세
표준편차 6.42
피시험자 기본정보
Figure pat00009
[별첨 1]
본 시험에 참가한 피시험자 별 연령은 별첨과 같다.
2. 시험물질 적용 전후의 피부 주름개선 평가
1) PRIMOS Lite를 이용한 주름개선 평가
PRIMOS Lite를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 사용 4주, 8주 후의 주름개선도값(R1, R2, R3, R4, R5)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19, 도 1~10). PRIMOS Lite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개선도를 나타내는 R1 (Rt, Total roughness)값을 분석한 결과,시료 A (시험제품)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9.73%, 사용 8주 후 10.74%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 A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5) 시료 A가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 B(대조물질)는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6.83%, 사용 8주 후 10.53% 감소하였다.
시료 A 시료 B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평균 134.69 121.59 120.23 117.97 126.03 130.39
표준편차 39.91 31.30 32.29 27.10 33.69 31.49
주름 R1값 변화 ㎛, N=21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개선율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표준편차 9.73 10.74 -6.83 -10.53
주름 R1 개선율(%)
개선율(%) =
Figure pat00010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p-value 0.030* 0.008** 0.158 0.002**
주름 R1값 통계분석
*p <.05 **p <.01 ***p <.001 :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 -test
Figure pat00011
[도 1] 주름 R1값 변화.
Figure pat00012
[도 2] 주름 R1값 개선율(%).
PRIMOS Lite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 개선도를 나타내는 R2 (Rmax, Maximal roughness)값을 분석한 결과, 시료 A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9.16%, 사용 8주후 10.65%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 A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5) 시료 A가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 B 사용부위에서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2.26%, 사용 8주 후 6.04% 감소하였다.
시료 A 시료 B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평균 125.99 114.45 112.58 116.53 119.16 123.56
표준편차 36.00 28.20 29.30 32.40 32.00 29.82
주름 R2값 변화 ㎛, N=21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개선율 9.16 10.65 -2.26 -6.04
주름 R2값 개선율(%)
개선율(%) =
Figure pat00013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p-value 0.041* 0.008** 0.583 0.238
주름 R2값 통계분석
*p <.05 **p <.01 ***p <.001 :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 -test
Figure pat00014
[그림 3] 주름 R2값 변화.
Figure pat00015
[그림 4] 주름 R2값 개선율(%).
PRIMOS Lite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개선도를 나타내는 R3 (R3z, Initial roughness)값을 분석한 결과, 시료 A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10.02%, 사용 8주 후 12.26%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 A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5) 시료 A가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 B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6.52%, 사용 8주 후 10.93% 감소하였다.
시료 A 시료 B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평균 45.34 40.79 39.78 41.67 44.38 46.22
표준편차 12.07 10.64 8.02 12.29 13.69 13.96
주름 R3값 변화, ㎛, N=21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개선율 10.02 12.26 -6.52 -10.93
주름 R3값 개선율(%)
개선율(%) =
Figure pat00016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p-value 0.009** 0.005** 0.130 0.000***
주름 R3값 통계분석
*p <.05 **p <.01 ***p <.001 :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 -test
Figure pat00017
[그림 5] 주름 R3값 변화.
Figure pat00018
[그림 6] 주름 R3값 개선율(%).
PRIMOS Lite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개선도를 나타내는 R4 (Rz, Roughness)값을 분석한 결과, 시료 A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9.38%, 사용 8주 후 10.63%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 A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5) 시료 A가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 B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4.64%, 사용 8주 후 10.80% 감소하였다.
시료 A 시료 B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평균 88.94 80.60 79.48 80.98 84.74 89.73
표준편차 22.08 17.52 14.92 18.57 23.05 21.23
주름 R4값 변화, ㎛, N=21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개선율 9.38 10.63 -4.64 -10.80
주름 R4값 개선율(%)
개선율(%) =
Figure pat00019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p-value 0.026* 0.010* 0.322 0.000***
주름 R4값 통계분석
*p <.05 **p <.01 ***p <.001 :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 -test
Figure pat00020
[그림 7] 주름 R4값 변화.
Figure pat00021
[그림 8] 주름 R4값 개선율(%).
PRIMOS Lite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개선도를 나타내는 R5 (Ra, Average of all heights and depths to the reference plane)값을 분석한 결과, 시료 A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8.18%, 사용 8주 후 8.73%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 A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5) 시료 A가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 B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도가 사용 4주 후 5.36%, 사용 8주 후 9.61% 감소하였다.
시료 A 시료 B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평균 16.76 15.39 15.30 15.51 16.34 17.00
표준편차 4.04 3.20 2.79 3.37 3.96 3.74
주름 R5값 변화, ㎛, N=21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개선율 8.18 8.73 -5.36 -9.61
주름 R5값 개선율(%)
개선율(%) =
Figure pat00022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시료 A 시료 B
p-value 0.043* 0.021* 0.183 0.001**
주름 R5값 통계분석
*p <.05 **p <.01 ***p <.001 :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 -test
Figure pat00023
[그림 9] 주름 R5값 변화.
Figure pat00024
[그림 10] 주름 R5값 개선율(%).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시험물질을 PRIMOS Lite를 이용하여 주름개선도를 평가한 결과, 시료 A(시험제품)는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 R1값의 주름개선도 9.73%, R2값의 주름개선 도 9.16%, R3값의 주름개선도 10.02%, R4값의 주름개선도 9.38%, R5값의 주름개선도 8.18%가 증가 되는 변화를 나타내었고 사용 8주 후 R1값의 주름개선도 10.74%, R2값의 주름개선도 10.56%, R3값의 주름개선도 12.26%, R4값의 주름개선도 10.63%, R5값의 주름개선도 8.73%가 증가하여 눈가주름이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시료 B(대조물질)는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 R1값의 주름개선도 6.83%, R2값의 주름개선도 2.26%, R3값의 주름개선도 6.52%, R4값의 주름개선도 4.64%, R5값의 주름개선도 5.36%가 감소되었고 사용 8주 후 R1값의 주름개선도 10.53%, R2값의 주름개선도 6.04%, R3값의 주름개선도 10.93%, R4값의 주름개선도 10.80%, R5값의 주름개선도 9.61%가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Global photodamage score에 따라 육안평가를 한 결과 시료 A는 사용부위에서 사용 전과 비교하여 눈가 주름 score가 사용 4주 후 19.30%, 사용 8주 후 35.09% 감소하여 시험물질에 의해 눈가 주름이 개선됨을 나타내었으나, 시료 B는 사용부위에서 사용전과 비교하여 눈가 주름 score가 사용 4주 후 0.00%, 사용 8주 후 6.00% 감소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피시험자로 부터 피부이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에 따라 유효성분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은 인간진피섬유아세포 내 콜라겐 유전자 (Col1A1 mRNA)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판단되었다.
[도 1] 주름 R1값 변화.
[도 2] 주름 R1값 개선율(%).
[도 3] 주름 R2값 변화.
[도 4] 주름 R2값 개선율(%).
[도 5] 주름 R3값 변화.
[도 6] 주름 R3값 개선율(%).림 11] 주름 R2값 변화.
[도 7] 주름 R4값 변화.
[도 8] 주름 R4값 개선율(%).
[도 9] 주름 R5값 변화.
[도 10] 주름 R5값 개선율(%).

Claims (9)

  1. 유효성분으로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를 함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를 0.0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를 0.0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유연화장수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를 0.0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피부의 콜라겐 발현으로 피부에 탄력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를 0.0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피부의 콜라겐 발현으로 피부에 탄력을 주는 유연화장수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를 0.0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피부의 주름개선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EGF를 0.00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피부의 주름개선을 주는 유연화장수 화장료 조성물
  8. 제 4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콜라겐 발현으로 피부에 탄력을 주며, 피부의 주름개선을 주는 복합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콜라겐 발현으로 피부에 탄력을 주며, 피부의 주름개선을 주는 복합기능의 유연화장수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31193A 2016-03-15 2016-03-15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 KR20170107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193A KR20170107331A (ko) 2016-03-15 2016-03-15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193A KR20170107331A (ko) 2016-03-15 2016-03-15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331A true KR20170107331A (ko) 2017-09-25

Family

ID=6003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193A KR20170107331A (ko) 2016-03-15 2016-03-15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6623A (zh) * 2021-09-24 2022-01-04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寡糖组合物在抗皮肤衰老、促进胶原蛋白生成中的用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6623A (zh) * 2021-09-24 2022-01-04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寡糖组合物在抗皮肤衰老、促进胶原蛋白生成中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Effects of psoralen plus ultraviolet A irradiation on cultured epidermal cells in vitro and patients with vitiligo in vivo
Tanaka et al. Effects of plant sterols derived from Aloe vera gel on human dermal fibroblasts in vitro and on skin condition in Japanese women
JP5872158B2 (ja) 皮膚美白方法、並びに、皮膚シミ形成抑制及び/又は除去因子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EP3288531B1 (en) Method of improving skin health and compositions therefor
JP7328302B2 (ja) ラミニン511産生促進剤、表皮基底膜安定化剤及び/又は表皮幹細胞減少抑制又は増加促進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20120095049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ddor Topical effects of SCA®(Cryptomphalus aspersa secretion) associated with regenerative and antioxidant ingredients on aged skin: evaluation by confocal and clinical microscopy
Tang et al. Genistein protects against ultraviolet B–induced wrinkling and photoinflammation in in vitro and in vivo models
CN111973647A (zh) 金银花发酵物的制备方法及其改善皮肤外观与抗老化的用途
JP2008100943A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分泌促進作用を有する皮膚外用剤
EP4238549A1 (en) Anti-aging composition, skin care product and cosmetic
KR20170107331A (ko) 콜라겐 발현 촉진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개발
Goenka Biological impact of the ratio of E-cigarette liquid base constituents, propylene glycol and vegetable glycerin, on primary human melanocytes
CN113940909B (zh) 一种调节昼夜节律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025001A (zh) 一种具有多重美白祛斑功效的胜肽组合物及其应用
JP6516534B2 (ja) 抗炎症剤の評価または選択方法
Jocienė et al. Impact of Vitamin C to Mature Facial Skin.
Fonseca et al. Antiaging effects of a skin care formulation containing nanoencapsulated antioxidants: A clinical, in vitro, and ex vivo study
CN117815216A (zh) 抗光老化和/或真皮色素沉着抑制剂
KR101769546B1 (ko) 다프닌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Oddos et al. A placebo-controlled study demonstrates the long-lasting anti-aging benefits of a cream containing retinol, dihydroxymethylchromone (DMC) and hyaluronic acid
Jurek et al. The role of the ImmunatuRNA® complex in promoting skin immunity and its regenerative abilities: Implications for antiaging skincare
D'Amico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Urolithin A slows intrinsic skin aging and protects from UVB-mediated photodamage: Findings from Randomized Clinical Trials
KR101056656B1 (ko) 신경 전달 물질 분비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20230301890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urolith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