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671A -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671A
KR20170106671A KR1020160030047A KR20160030047A KR20170106671A KR 20170106671 A KR20170106671 A KR 20170106671A KR 1020160030047 A KR1020160030047 A KR 1020160030047A KR 20160030047 A KR20160030047 A KR 20160030047A KR 20170106671 A KR20170106671 A KR 2017010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lery
candidate
unit
information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030B1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아트1닷컴
주식회사 머니투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트1닷컴, 주식회사 머니투데이 filed Critical (주)아트1닷컴
Priority to KR102016003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0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50/30
    • G06Q50/32
    • H04L51/2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갤러리들에 관한 관련정보를 접속된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갤러리에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각 갤러리의 전시일정이 동기화된 캘린더를 각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람계획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Online system for providing gallery information}
본 발명은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갤러리(Gallery), 작가, 미술품, 전시, 아트페어, 뉴스 등의 갤러리 관련정보를 통합하여 접속된 유저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각 갤러리의 전시일정이 동기화된 캘린더를 각 유저에게 제공하여 관람계획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갤러리(Gallery)는 일반적으로 사진 및 그림 등의 미술품을 전시하는 장소로 정의되며,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마케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최근 들어, 주 5일제 근무 도입, 체험 학습 증가 및 미술문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갤러리를 방문하여 미술품을 관람하는 관람자가 활성화되었고, 이에 따라 갤러리의 수량 및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갤러리의 수량 및 다양성이 증가한데 반하여, 종래에는 갤러리 홍보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갤러리들 전체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신이 직접 갤러리들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 후 위치, 일정, 미술품 선호도, 작가 선호도 등에 따라 관람대상을 선택하여야하기 때문에 갤러리 정보 습득 및 관람대상 선택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인터넷 인프라가 확장되고, 디지털 디바이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온라인을 이용하여 접속자에게 특정 기술, 제품, 상품, 회사, 장소, 모임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실제 다양한 종류 및 분야의 온라인 정보제공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으로 갤러리에 관련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갤러리 정보 습득 및 관람대상 선택에 번거로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495547호(발명의 명칭 :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물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84800호(발명의 명칭 : 이동통신을 이용한 관광 및 전시물 관람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는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접속된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종래의 시스템들은 전시장을 방문하여 입장한 관람자에 한해서만 정보제공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해당 전시장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갤러리들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454445호(발명의 명칭 : 3차원 갤러리 전시 매매 시스템)에 개시된 3차원 갤러리 전시 매매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3차원 갤러리 전시 매매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갤러리 공간 및 전시물을 3차원으로 구현하는 사이버 갤러리 구현부(111)와, 전시물 공간을 전시자가 선택하는 경우 전시자가 입력한 그림 전시물을 선택된 전시물 공간에 배치한 후 배치된 그림 전시물에 전시자가 입력한 홍보정보를 링크시켜 배치하는 갤러리 전시부(112)와, 이용자가 갤러리 공간을 따라 이동한 루트정보를 감지하며 감지된 루트 정보의 근처에 배치된 그림 전시물이 선택될 경우 그림 전시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그림 전시물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표시부(113)와, 이용자 및 전시자의 채팅 기능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구현부(114)와, 특정 그림 전시물의 구매 요청 시 비용을 정산하는 경매 비용 처리부(115)와, 경매 진행 시 중계를 중해하기 위한 경매 커뮤니티 창을 구현하는 경매 진행 구현부(116)와, 전시물 홍보 정보가 표시될 경우 전시물 홍보 정보에 대응하여 전시자의 음성 및 배경음악을 발생시키는 소리 정보 발생부(11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갤러리 공간 및 그림 전시물을 가상 공간에 3차원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이용자가 특정 그림 전시물을 선택하거나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해당 그림 전시물에 대한 홍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다양한 미술품들을 전시함과 동시에 각 미술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실제 오프라인의 갤러리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전시자에게 가상공간의 갤러리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오프라인의 갤러리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실제 갤러리를 가상공간으로 구현한다고 가정하더라도, 특정 갤러리에 대한 상세한 정보만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2-0043344호(발명의 명칭 : 전시회 자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 2라고 함)에는 각종 전시회 자료를 수집하여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전시회 자료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2는 접속된 유저에게 전시회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와, 특정 전시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홈페이지의 접속만으로 모든 전시회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갤러리를 관람하고자 하거나 또는 관심이 있는 이용자의 경우, 다양한 갤러리들 중 특정 갤러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1)다양한 갤러리들 중 자신의 선호도에 맞는 갤러리를 찾더라도, 자신의 일정과 갤러리의 전시일정이 부합되어야한다는 점과, 2)자신의 일정 및 전시일정이 부합되더라도, 해당 시간대에 갤러리에 방문하였을 때 갤러리의 입장이 가능한지에 대한 확인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종래기술 2로 예를 들어 상기 1)에 대해 살펴보면, 이용자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홈페이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갤러리들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 후 자신의 선호도에 맞는 갤러리를 선택한다고 하더라도, 이용자는 직접 선택된 갤러리들의 전시 일정을 별도로 메모한 후 자신의 일정을 맞추거나 또는 자신의 일정에 맞지 않는 갤러리를 제외시켜야 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하기 때문에 갤러리를 선택하는데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기술 2로 예를 들어 상기 2)에 대해 살펴보면, 이용자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홈페이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갤러리들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 후 자신의 선호도 및 일정에 맞는 갤러리를 선택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일정의 갤러리에 관람자가 가용인원수를 초과하여 입장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때 이용자는 자신의 일정에 맞게 갤러리를 방문하였지만 입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1)전체 갤러리들에 대한 관련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2)접속자가 자신의 일정을 갤러리의 일정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비교하여 갤러리를 선택할 수 있고, 3)갤러리의 전시 일정 시 해당 갤러리의 관람여부를 접속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갤러리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갤러리들에 관한 관련정보를 접속된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갤러리에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각 갤러리의 전시일정이 동기화된 캘린더를 각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람계획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특정 미술품에 대한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는 유저에 의해 선택(클릭) 될 때 해당 미술품의 갤러리의 관리자 계정의 메일로 가격문의 메일을 발송시키는 가격문의 아이콘을 노출시킴으로써 미술품 가격문의가 클릭 한번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갤러리(Gallery)들에 대한 관련정보들을 접속된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들; 상기 관련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된 관련정보들을 접속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와, 최초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계정으로 상기 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이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캘린더를 생성하는 캘린더 생성부와, 클라이언트로부터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관람일정을 입력받으면 상기 관람일정을 해당 클라이언트의 캘린더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캘린더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최초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계정으로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생성하는 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갤러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갤러리를 설정하는 후보갤러리 설정부;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갤러리들에 전시되는 미술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미술품을 설정하는 후보미술품 설정부;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에 대한 관련정보와, 상기 캘린더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캘린더와, 상기 후보미술품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미술품에 대한 관련정보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등록시키는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후보갤러리가 설정될 때 구동되며, 상기 후보갤러리의 전시일정에 클라이언트의 관람일정이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일정점검부; 상기 일정점검부에 의해 상기 후보갤러리의 전시일정에 클라이언트의 관람일정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알림데이터를 생성하는 알림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캘린더 관리부는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이 다른 갤러리들보다 가독성이 높게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알림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알림데이터를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은 갤러리들 각각에 설치되는 로컬서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서버들은 해당 갤러리로 입장 가능한 최대 관람객수인 최대관람객수(N1)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며, 전시일정 시 입장하는 관람객수(N2)를 감지하며, 최대관람객수(N1) 및 관람객수(N2)를 포함하는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관람정보 확인데이터의 최대관람객수(N1)에 관람객수(N2)를 차감하여 가용인원수(N)를 산출하는 가용인원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캘린더 관리부는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가 현재 전시일정 중인 경우 상기 가용인원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가용인원수(N)를 캘린더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특정 미술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제공되는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는 상기 특정 미술품에 대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 전시란과, 선택(클릭) 시 가격문의를 요청받는 가격문의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메일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상기 갤러리들 각각의 관리자 계정의 이메일 주소가 저장되고, 상기 메일관리부는 상기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의 상기 가격문의 아이콘이 클릭되면, 해당 미술품의 갤러리의 관리자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추출한 후 추출된 이메일 주소로 가격문의 메일을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갤러리들에 관한 관련정보를 접속된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갤러리에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갤러리의 전시일정이 동기화된 캘린더를 각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람계획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미술품에 대한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는 유저에 의해 선택(클릭) 될 때 해당 미술품의 갤러리 계정의 메일로 매매가 문의메일을 발송시키는 아이콘을 노출시킴으로써 미술품 가격문의가 클릭 한번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454445호(발명의 명칭 : 3차원 갤러리 전시 매매 시스템)에 개시된 3차원 갤러리 전시 매매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상맵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정점검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리스트 정렬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작가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1)은 갤러리들에 대한 관련정보들을 수집한 후 접속된 유저에게 관련정보를 가독성이 높은 방식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유저에게 각 갤러리의 전시일정이 매칭되는 캘린더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제공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유저가 갤러리의 전시일정에 따라 신속하고 간단하게 관람대상을 선택할 수 있어 유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클라이언트에게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서버(3)와, 각 갤러리에 설치되어 해당 갤러리의 전시일정 시 가용인원수 및 입장수를 포함하는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관리서버(3)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로컬서버(5-1), ..., (5-N)들과, 관리서버(3)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7-1), ..., (7-N)들과, 이들 연결대상(3), (5-1), ...(5-N), (7-1), ..., (7-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관리서버(3), 로컬서버(5-1), ..., (5-N)들 및 클라이언트(7-1), ...., (7-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와이파이(Wi-fi), 3G/4G/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컬서버(5-1), ..., (5-N)들은 갤러리들 각각의 현장에 설치되어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탑,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컬서버(5-1), ..., (5-N)들은 해당 갤러리의 최대관람객수(N1)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며, 전시 일정 시 해당 갤러리를 입장하는 관람객을 감지하여 현재 갤러리에 입장한 관람객의 수량인 현재관람객수(N2)를 산출한다. 이때 최대관람객수(N1)는 해당 갤러리의 허용 가능한 최대 관람객의 수로 정의되고, 각 갤러리의 입장하는 관람객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은 센서, 티켓발행 수, 인력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로컬서버(5-1), ..., (5-N)들은 기 설정된 최대관람객수(N1) 및 현재관람객수(N2)를 포함하는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7-1), ..., (7-N)들은 관리서버(3)에 접속한 유저가 소지하거나 또는 접속된 유저의 장소에 설치되어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탑,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7-1), ..., (7-N)들은 관리서버(3)에 접속하여 관리서버(3)에서 제공하는 갤러리 관련정보들을 전송받아 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유저는 다양한 갤러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갤러리 관련정보는 기 설정된 카테고리(위치, 작가, 미술품, 전시, 아트페어, 뉴스 등) 별로 유저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7-1), ..., (7-N)들은 관리서버(3)로부터 캘린터를 제공받는다. 이때 캘린더는 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이 매칭되는 통상의 달력으로 정의된다. 즉 클라이언트(7-1), ..., (7-N)들은 관리서버(3)로부터 제공받은 갤러리 관련정보를 통해 자신의 선호도에 맞는 후보 갤러리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3)로부터 제공받은 캘린더를 통해 선택된 후보 갤러리들의 전시일정을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자신의 일정에 부합되는 갤러리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7-1), ..., (7-N)들은 관리서버(3)로부터 현재 전시일정에 있는 갤러리들 각각의 가용인원수(N)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가용인원수(N)는 전시일정 중인 갤러리에 현재 입장이 가능한 인원수로 정의된다. 즉 유저는 관리서버(3)에서 제공하는 갤러리 관련정보들을 통해 다양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서버(3)에서 제공하는 갤러리 관련정보 및 캘린더를 통해 자신의 선호도 및 일정에 맞는 갤러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3)에서 제공하는 가용인원수(N)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갤러리가 현재 관람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관리서버(3)는 접속된 클라이언트(7-1), ..., (7-N)들에게 갤러리에 대한 관련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갤러리들에 대한 관련정보 수집하며, 수집된 갤러리 관련정보들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때 갤러리 관련정보는 갤러리들 각각에 대한 위치, 작가, 미술품, 전시일정, 아트페어, 뉴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를 통해 수집된 갤러리 관련정보를 전시하고, 이를 접속된 클라이언트(7-1), ..., (7-N)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7-1), ..., (7-N)들은 GUI 또는 GUX의 열람을 통해 간단하게 갤러리 관련정보들을 열람 및 습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3)는 클라이언트(7-1), ..., (7-N)들에게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며, 등록된 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을 통상의 달력에 매칭시킨 캘린더를 생성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생성된 캘린더를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포함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속된 클라이언트에게 캘린더 및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관리서버(3)는 접속된 클라이언트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클라이언트에게 캘린더 및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러한 회원로그인, 인증 등의 과정은 홈페이지 운용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클라이언트(7)로부터 등록된 갤러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갤러리를 후보갤러리로 선택받는다. 이때 후보갤러리는 클라이언트(7)가 관람하고자 하거나 또는 관심이 있는 갤러리들 중 하나로 정의된다.
또한 관리서버(3)는 클라이언트(7)로부터 관람을 하고자 하는 시간대인 관람일정(날짜 및 시간대 포함)을 입력받으면, 해당 클라이언트(7)의 관람일정 및 선택된 후보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을 비교하며, 후보갤러리들 중 일정이 맞지 않는 후보갤러리가 존재하는 경우 후보갤러리의 전시일정이 맞지 않는다는 알림데이터를 클라이언트(7)에게 제공한다. 이때 알림데이터 제공방식은 팝업(Pop-up), 푸시(Push)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는 로컬서버(5-1), ..., (5-N)들 중 현재 전시일정 중인 로컬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통해 가용인원수(N)를 산출한다. 이때 관리서버(3)는 관람정보 확인데이터에 포함된 최대관람객수(N1) 및 관람객수(N2)를 활용하여, 상세하게로는 최대관람객수(N1)에 관람객수(N2)를 차감하여 가용인원수(N)(N1―N2)를 산출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클라이언트(7)의 요청에 따라 현재 전시일정 중인 갤러리의 가용인원수(N)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만약 클라이언트(7)가 선택한 후보갤러리들 중 현재 전시일정 중인 후보갤러리가 있을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의 캘린더에 현재 전시일정 중인 후보갤러리의 가용인원수(N) 정보를 매칭시켜 이를 클라이언트(7)에게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클라이언트(7)로부터 등록된 미술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을 후보미술품으로 선택받는다. 이때 후보미술품은 클라이언트(7)가 관람하고자 하거나 또는 관심이 있는 미술품 중 하나로 정의된다.
또한 관리서버(3)는 각 갤러리의 설계평면도 및 해당 갤러리에 전시되는 미술품의 위치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며, 클라이언트(7)의 선택에 따라 후보미술품이 등록되면, 해당 갤러리의 설계평면도에 등록된 후보미술품의 위치정보를 맵핑(Mapping) 시킨 가상맵을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포함시킨다. 즉 유저는 관심이 있거나 또는 관람하고자 하는 미술품을 선택하면, 자신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실제 갤러리의 설계평면도에 선택된 미술품의 위치가 표시되는 가상맵을 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갤러리 방문 시 선택한 후보미술품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관리서버(3)는 제어부(30)와, 데이터베이스부(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인터페이스 처리부(33), 정보등록부(34), 캘린더 생성부(35), 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36), 가용인원수 산출부(37), 후보갤러리 설정부(38), 캘린더 관리부(39), 후보미술품 설정부(40), 가상맵 생성부(41),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 일정점검부(43), 알림데이터 생성부(44), 메일관리부(45)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관리서버(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주기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크롤링(crawling) 하여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요청데이터에 따라 대응되는 구성부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접속된 클라이언트(7)가 최초 가입한 유저이면 캘린더 생성부(35) 및 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36)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로컬서버(5-1), ..., (5-N)들 중 현재 전시일정 중인 로컬서버들로부터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가용인원수 산출부(37)로 입력시켜 가용인원수 산출부(37)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가용인원수 산출부(37)에 의해 가용인원수(N)가 산출되면, 산출된 가용인원수(N) 정보를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로 입력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가용인원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클라이언트(7)로부터 후보갤러리 설정 또는 후보미술품 설정을 요청받으면, 후보갤러리 설정부(38) 또는 후보미술품 설정부(39)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후보갤러리가 설정되면, 캘린더 관리부(39) 및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를 구동시켜 설정된 후보갤러리에 대한 정보가 캘린더 및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업로드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후보미술품 설정부(40)에 의해 후보미술품이 설정되면, 가상맵 생성부(41)를 구동시키며, 가상맵 생성부(41)에 의해 가상맵이 생성되면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를 구동시켜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설정된 후보미술품 및 해당 후보미술품에 대한 가상맵이 업로드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접속된 클라이언트로부터 관람일정을 입력받으면, 캘린더 관리부(39) 및 일정점검부(43)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일정점검부(43)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관람일정에 후보갤러리들의 전시일정이 부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알림데이터 생성부(44)를 구동시킨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들과, 정보등록부(34)에 의해 등록되는 갤러리들 각각의 관련정보들과, 로컬서버(5-1), ..., (5-N)들로부터 전송받은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클라이언트들 각각의 회원로그인정보, 인적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캘린더 생성부(35) 또는 캘린더 관리부(39)에 의해 생성 또는 업로드 된 캘린더들이 저장되며, 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36) 또는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에 의해 생성 또는 업로드 된 개인커뮤니티 공간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가용인원수 산출부(37)에 의해 산출되는 가용인원수(N) 정보들과, 후보갤러리 설정부(38) 및 후보미술품 설정부(40)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및 후보미술품들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클라이언트(7)로부터 입력된 관람일정 정보와, 가상맵 생성부(41)에 의해 생성된 가상맵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갤러리들 각각의 관리자 계정의 이메일주소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는 통신망(10)을 통해 외부 장비(5-1), ..., (5-N), (7-1), ..., (7-N)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부(33)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들을 관리하며, 유저의 요청 및 연산처리에 따라 적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접속된 클라이언트(7)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처리부(33)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들은 후술되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등록부(34)는 갤러리들 각각에 대한 관련정보인 관련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한다.
이때 관련정보는 갤러리들 각각에 대한 위치, 교통정보, 미술품, 작가, 전시일정, 아트페어, 뉴스 등의 정보로 정의되고, 관리자에 의해 별도로 수집되어 입력되거나 또는 로컬서버(5-1), ..., (5-N)들과 같은 별도의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캘린더 생성부(35)는 접속된 클라이언트(7)가 최초 가입한 유저인 경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해당 클라이언트의 계정으로 캘린더를 생성한다.
이때 캘린더는 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이 매칭되는 통상의 달력으로 정의된다.
즉 클라이언트(7)는 관리서버(3)로부터 제공받은 캘린더를 열람하여 관리서버(3)에 등록된 갤러리들의 전시일정을 통합하여 열람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캘린더의 전시일정을 참조하여 자신의 일정을 조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캘린더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되는 캘린더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다.
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36)는 접속된 클라이언트(7)가 최초 가입한 유저인 경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해당 클라이언트의 계정으로 개인 커뮤니티 공간을 생성한다.
이때 개인커뮤니티 공간에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캘린더와, 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에 대한 관련정보들과, 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후보미술품에 대한 관련정보들과, 후보미술품에 대한 가상맵들이 저장된다.
즉 클라이언트(7)는 관리서버(3)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하여 자신이 관심이 있거나 또는 관람하고자 하는 갤러리 또는 미술품, 작가에 대한 상세한 정보, 캘린더를 자신만의 공간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36)에 의해 생성되는 개인커뮤니티 공간은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다.
가용인원수 산출부(37)는 로컬서버(5-1), ..., (5-N)들 중 현재 전시일정 중인 로컬서버들로부터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가용인원수 산출부(37)는 관람정보 확인데이터에 포함되는 최대관람객수(N1) 및 관람객수(N2)를 활용, 상세하게로는 최대관람객수(N1)에 관람객수(N2)를 차감하여 가용인원수(N)를 산출한다.
또한 가용인원수 산출부(37)에 의해 산출되는 가용인원수(N)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되고, 캘린더 관리부(39)에 입력된다. 이때 캘린더 관리부(39)는 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중 현재 전시일정 중인 후보갤러리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갤러리의 가용인원수(N) 정보가 캘린더에 전시되도록 캘린더를 업데이트한다.
후보갤러리 설정부(38)는 클라이언트로의 선택에 따라 갤러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갤러리를 설정한다. 이때 후보갤러리는 클라이언트가 관심이 있거나 또는 관람하고자 하는 갤러리로 정의된다.
또한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다.
또한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정보는 캘린더 관리부(39)로 입력되고, 이때 캘린더 관리부(39)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캘린더에 후보갤러리들의 전시일정이 다른 갤러리들의 전시일정보다 가독성이 높게 표시되도록 캘린더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정보는 개인커뮤니티 공간관리부(42)로 입력되고, 이때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후보갤러리들의 관련정보가 등록되도록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업데이트 한다.
캘린더 관리부(39)는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후보갤러리가 설정되면, 기존의 캘린더를 업데이트, 상세하게로는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의 전시일정을 다른 갤러리들보다 가독성이 높게 표시되도록 캘린더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캘린더 관리부(39)는 클라이언트(7)로부터 관람일정을 입력받으면 기존 캘린더에, 입력된 관람일정이 표시되도록 캘린더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캘린더 관리부(39)는 후보갤러리들 중 현재 전시일정 중인 후보갤러리가 있을 경우, 해당 후보갤러리의 가용인원수(N) 정보가 캘린더에 표시되도록 캘린더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캘린더 관리부(39)에 의해 업데이트 된 캘린더는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됨과 동시에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등록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7)가 후보갤러리 ‘A’, ‘B’, ‘C’를 선택하면,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A’, ‘B’, ‘C’갤러리들이 후보갤러리들로 설정되고, 이때 캘린더 관리부(39)는 A’, ‘B’, ‘C’의 후보갤러리들의 전시일정이 다른 갤러리들보다 가독성이 높게 표시되도록 캘린더를 업데이트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A’, ‘B’, ‘C’의 후보갤러리들 중 ‘B’갤러리가 현재 전시일정 중인 경우 캘린더 관리부(39)는 ‘B’갤러리의 가용인원수(N) 정보가 캘린더에 표시되도록 캘린더를 업데이트 하고,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7)는 자신이 선택한 후보갤러리를 현재 방문하여도 가능한지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후보미술품 설정부(40)는 클라이언트(7)의 선택에 따라 미술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미술품을 설정한다. 이때 후보미술품은 클라이언트가 관심이 있거나 또는 관람하고자 하는 미술품으로 정의된다.
또한 후보미술품 설정부(40)에 의해 설정된 후보미술품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되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가상맵 생성부(41)로 입력된다.
또한 후보미술품 설정부(40)에 의해 설정된 후보미술품 정보는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로 입력된다. 이때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 커뮤니티 공간에, 입력된 후보미술품에 대한 관련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1)로부터 추출하여 등록한다.
도 4는 도 3의 가상맵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가상맵 생성부(41)는 후보미술품 설정부(40)에 의해 후보미술품이 설정될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데이터베이스부(31)에 기 저장된 갤러리들 각각의 설계평면도 및 각 미술품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갤러리의 설계평면도에 대응하여 제작된 지도에 후보미술품의 위치가 표식기호로 표시되는 가상맵을 생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맵 생성부(41)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맵(410)은 갤러리의 설계평면도에 대응되는 지도(411)에, 후보미술품의 위치가 표식기호(413)로 표시됨으로써 클라이언트(7)는 가상맵(410)의 열람을 통해 갤러리를 관람하더라도 자신이 후보미술품으로 설정한 후보미술품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는 캘린더 관리부(39)에 의해 캘린더가 업데이트 되면,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업데이트 된 캘린더가 등록되도록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업데이트 한다.
또한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는 후보미술품 설정부(40)에 의해 후보미술품이 설정되면,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설정된 후보미술품들에 대한 관련정보를 등록시킨다.
또한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42)는 가상맵 생성부(41)에 의해 가상맵이 생성되면,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생성된 가상맵을 등록시킨다.
도 5는 도 3의 일정점검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정점검부(43)는 접속된 클라이언트로부터 관람일정(날짜, 시간 포함)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입력된 관람일정이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의 전시일정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알림데이터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일정점검부(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모듈(431)과, 입력모듈(431)에 의해 입력된 관람일정과 후보갤러리 설정부(38)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을 매칭시키는 매칭모듈(433)과, 매칭모듈(433)에 의해 매칭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후보갤러리들 중 관람일정이 전시일정에 포함되지 않는 후보갤러리를 검출하는 비교모듈(435)과, 비교모듈(435)에 의해 관람일정이 전시일정에 포함되는 후보갤러리는 관람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되, 관람일정이 전시일정에 포함되지 않는 후보갤러리는 관람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판단모듈(437)로 이루어진다.
또한 판단모듈(437)에 의해 관람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후보갤러리가 검출되면,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알림데이터 생성부(44)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저가 관리서버(3)에 접속하여 갤러리들에 대한 다양하면서도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관람일정을 입력하며, 자신이 관람하고자 하거나 또는 관심이 있는 후보갤러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관람일정에 따라 선택된 후보갤러리의 관심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정확하고 편리하게 관람일정을 조율할 수 있게 된다.
알림데이터 생성부(44)는 일정점검부(43)의 판단모듈(437)에 의해 관람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후보갤러리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검출된 후보갤러리의 관람이 불가능하다는 경고문구를 포함하는 알림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알림데이터 생성부(44)에 의해 생성되는 알림데이터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7)의 모니터에 노출된다. 이때 노출방식은 팝업(Pop-up) 또는 푸시(Push)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일관리부(45)는 미술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후술되는 도 9의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유저로부터 가격문의를 요청받으면, 해당 미술품이 전시되는 갤러리의 관리자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데이터베이스부(31)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된 이메일 주소로 가격문의 메일을 전송한다. 이때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는 가격문의 아이콘을 노출하여 유저로부터 가격문의 아이콘이 클릭되는 경우 메일관리부(45)가 자동으로 해당 갤러리로 가격문의 메일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가격문의 아이콘을 선택(클릭) 하는 것만으로 거래의사가 있는 미술품의 가격을 문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일관리부(45)는 후술되는 도 9의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유저로부터 해당 미술품에 관련된 문의사항을 입력받으면, 해당 미술품이 전시되는 갤러리의 관리자 계정으로 입력된 문의사항의 내용이 기재된 메일을 전송한다.
또한 메일관리부(45)는 가격문의 이메일 전송 시 회원가입 시 저장하였던 메일 주소나 또는 로그인 시 입력한 메일 주소의 계정으로 메일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메일을 통해 해당 갤러리로부터 가격문의 또는 문의사항에 대한 답변 메일을 받게 된다.
도 6은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리스트 정렬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처리부(33)는 클라이언트(7)의 최초 접속 시,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들 중 리스트 정렬 인터페이스를 클라이언트(7)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리스트 정렬 인터페이스(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시 지역명들이 나열되어 유저로부터 특정 지역명을 입력받기 위한 지역선택란(210)과, 정렬방식을 선택받기 위한 정렬선택란(220)과,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란(240)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관련정보들을 탐색하여 지역선택란(210) 및 정렬선택란(220)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응되거나 또는 검색란(240)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갤러리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갤러리들을 정렬하여 전시하는 리스트 전시란(230)과,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란(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리스트 전시란(230)의 각 전시란에는 갤러리의 썸네일 이미지(231), 갤러리 명(233), 지역명(235)이 포함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33)는 리스트 정렬 인터페이스(200)에 의해 정렬되어 전시되는 갤러리의 썸네일 이미지가 유저에 의해 클릭되면, 클릭된 갤러리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후술되는 도 7의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은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의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는 도 6의 리스트 정렬 인터페이스에서 전시되는 갤러리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클릭)될 때 제공되며, 선택된 갤러리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다.
또한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는 해당 갤러리에 대한 이미지, 정보, 소개, 위치, 전시일정, 연락처, 홈페이지 등의 정보가 전시되는 갤러리 정보 전시란(410)과, 해당 갤러리에 전시되는 미술품들 각각이 노출되는 미술품 노출란(420)과, 해당 갤러리에 전시되는 작가들 각각이 노출되는 작가 노출란(430)과, 해당 미술품들에 대한 아트페어(Art fairs)들 각각이 노출되는 아트페어 노출란(4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33)는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의 미술품 노출란(420)을 통해 전시되는 미술품들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클릭)되면, 선택된 미술품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후술되는 도 9의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33)는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의 작가 노출란(430)을 통해 전시되는 작가들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클릭)되면, 선택된 작가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후술되는 도 8의 작가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33)는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의 아트페어 노출란(440)을 통해 전시되는 아트페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아트페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아트페어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8은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작가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의 작가 상세정보 인터페이스(500)는 도 7의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에서 전시되는 작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클릭)될 때 제공되며, 선택된 작가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다.
또한 작가 상세정보 인터페이스(500)는 해당 작가의 이미지(510)와, 이름(520)과, 작가에 대한 소개글(530)과, 작가의 미술품들 각각이 노출되는 제2 미술품 노출란(540)을 포함한다.
도 9는 도 3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의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600)는 도 7의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의 미술품 노출란(420)을 통해 전시되는 미술품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클릭)될 때 제공되며, 선택된 미술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다.
또한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600)는 해당 미술품의 이미지가 전시되는 미술품 전시란(610)과, 작가 및 미술품에 대한 정보가 전시되는 정보전시란(620)과, 클릭 시 메일관리부(45)가 구동되어 메일관리부(45)의 제어에 따라 해당 미술품의 갤러리의 관리자 계정으로 가격문의 메일이 전송되는 가격문의 아이콘(630)과, 클릭 시 유저로부터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페이지(미도시)가 제공됨과 동시에 메일관리부(45)가 구동되어 메일관리부(45)의 제어에 따라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내용을 해당 미술품의 갤러리의 메일이 전송되는 작품문의 아이콘(640)과, SNS로 해당 페이지 또는 웹 주소를 링크하기 위한 공유아이콘(6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처리부(33)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들을 관리하며, 유저의 요청 및 연산처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되어 있는 관련정보들을 탐색하여 적합한 응답데이터를 적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데이터들을 클라이언트(7)에게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7)는 모니터에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단하게 명령을 요청하거나 또는 다양한 정보를 쉽게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 내지 8의 리스트 정렬 인터페이스(200), 갤러리 상세정보 인터페이스(400) 및 작가 상세정보 인터페이스(50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인터페이스 처리부(33)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홈페이지 운용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시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3:관리서버
5-1, ..., 5-N:로컬서버들 7-1, ..., 7-N:클라이언트들
10:통신망 30:제어부 31:데이터베이스부
32:통신 인터페이스부 33:인터페이스 처리부
34:정보등록부 35:캘린더 생성부
36: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 37:가용인원수 산출부
38:후보갤러리 설정부 39:캘린더 관리부 40:후보미술품 설정부
41:가상맵 생성부 42: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
43:일정 점검부 44:알림데이터 생성부

Claims (4)

  1. 갤러리(Gallery)들에 대한 관련정보들을 접속된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들;
    상기 관련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된 관련정보들을 접속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와, 최초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계정으로 상기 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이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캘린더를 생성하는 캘린더 생성부와, 클라이언트로부터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관람일정을 입력받으면 상기 관람일정을 해당 클라이언트의 캘린더에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캘린더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최초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계정으로 개인커뮤니티 공간을 생성하는 개인커뮤니티 공간 생성부;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갤러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갤러리를 설정하는 후보갤러리 설정부;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갤러리들에 전시되는 미술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미술품을 설정하는 후보미술품 설정부;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에 대한 관련정보와, 상기 캘린더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캘린더와, 상기 후보미술품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미술품에 대한 관련정보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개인커뮤니티 공간에 등록시키는 개인커뮤니티 공간 관리부;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후보갤러리가 설정될 때 구동되며, 상기 후보갤러리의 전시일정에 클라이언트의 관람일정이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일정점검부;
    상기 일정점검부에 의해 상기 후보갤러리의 전시일정에 클라이언트의 관람일정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알림데이터를 생성하는 알림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캘린더 관리부는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들 각각의 전시일정이 다른 갤러리들보다 가독성이 높게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알림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알림데이터를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3.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은 갤러리들 각각에 설치되는 로컬서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서버들은 해당 갤러리로 입장 가능한 최대 관람객수인 최대관람객수(N1)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며, 전시일정 시 입장하는 관람객수(N2)를 감지하며, 최대관람객수(N1) 및 관람객수(N2)를 포함하는 관람정보 확인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관람정보 확인데이터의 최대관람객수(N1)에 관람객수(N2)를 차감하여 가용인원수(N)를 산출하는 가용인원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캘린더 관리부는 상기 후보갤러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후보갤러리가 현재 전시일정 중인 경우 상기 가용인원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가용인원수(N)를 캘린더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특정 미술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제공되는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는 상기 특정 미술품에 대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 전시란과, 선택(클릭) 시 가격문의를 요청받는 가격문의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메일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상기 갤러리들 각각의 관리자 계정의 이메일 주소가 저장되고, 상기 메일관리부는 상기 미술품 상세정보 인터페이스의 상기 가격문의 아이콘이 클릭되면, 해당 미술품의 갤러리의 관리자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추출한 후 추출된 이메일 주소로 가격문의 메일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KR1020160030047A 2016-03-14 2016-03-14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KR10178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47A KR101785030B1 (ko) 2016-03-14 2016-03-14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47A KR101785030B1 (ko) 2016-03-14 2016-03-14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71A true KR20170106671A (ko) 2017-09-22
KR101785030B1 KR101785030B1 (ko) 2017-10-12

Family

ID=6003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047A KR101785030B1 (ko) 2016-03-14 2016-03-14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85A1 (ko) * 2018-10-02 2020-04-09 갤러리360 주식회사 가상현실 갤러리 시스템 및 가상현실 갤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7009A (ja) * 2013-11-15 2015-05-21 株式会社ニコン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85A1 (ko) * 2018-10-02 2020-04-09 갤러리360 주식회사 가상현실 갤러리 시스템 및 가상현실 갤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030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24187B (zh) 用于创建链接到交互式数字地图位置的页面的系统和方法
US10311384B2 (en) Automatic creation and maintenance of a taskline
US8943420B2 (en) Augmenting a field of view
US9760237B2 (en)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geographic information
US20090112467A1 (en) Map-centric service for social events
US200800775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nline social networking
WO2014085900A1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KR101462348B1 (ko) 모바일 메신저에 적용 가능한 태그를 이용한 재능 교환 및 공통 관심 사용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9197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装置、広告提供プログラム
WO2012135438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entivizing, exchanging, and tracking expressions of gratitude within a network
US10156446B2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US201900955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recommend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8141472A (zh) 连接设备的规则引擎
JP2015230512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画面作成支援システム
Abdelmoaty et al. Smart Technology Applications in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y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Egypt.
US20200175609A1 (en) Augmented reality badges
KR101785030B1 (ko) 온라인 갤러리 정보 제공시스템
WO2022035418A1 (en) Discovery, management and processing of virtual real estate content
CN112085552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展会或实体店的信息交互方法及定位方法
US20170308929A1 (en) Social Network Based Advertisement
CA3009211A1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Parker Augmenting Space: Design approaches for making public interactive displays relevant in hyperconnected societies
Zhu Design of a GPS-Based Mobile Application for Campus Social Interaction
TW201909100A (zh) 資訊查詢系統及方法
JP2014157528A (ja)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情報機器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及び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