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098A - 휴대 기구용 부착물 - Google Patents

휴대 기구용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098A
KR20170105098A KR1020177023250A KR20177023250A KR20170105098A KR 20170105098 A KR20170105098 A KR 20170105098A KR 1020177023250 A KR1020177023250 A KR 1020177023250A KR 20177023250 A KR20177023250 A KR 20177023250A KR 20170105098 A KR20170105098 A KR 20170105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luid
attachment
flow path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조나단 스테판
스테판 파라 스미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3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hand-held air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휴대 기구용 부착물이 개시되는 바, 이 부착물은, 제 1 벽(102) 및 제 1 벽(102) 내부에 수용되는 벙(bung)(120)을 가지며, 제 1 벽(102)과 벙(120) 각각은 후속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단일 개체로서 몰딩된다. 제 1 벽(102)과 벙(120) 중의 하나는 위치 잡기 리브(352)를 포함하고, 제 1 벽(102)과 벙(120) 중의 다른 하나는 위치 잡기 오목부(350)를 포함하고, 위치 잡기 리브(352)와 위치 잡기 오목부(350)는 함께 협력하여 벙(120)을 제 1 벽(102)에 대해 위치시킨다. 위치 잡기 리브(352)와 위치 잡기 오목부(350)에 추가로, 제 1 벽(102)과 벙(120)은 부품들의 접착, 용접 및 나사 결합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 1 벽(102)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슬리브가 기개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 기구용 부착물
본 발명은 휴대 기구용 부착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발 건조기와 같은 모발 케어 기구용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 건조기를 위한 제거 가능한 부착물은 많은 다른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집중 노즐/부착물을 사용하여, 모발 건조기에서 나가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유동이 집중되어 납작하게 될 수 있고, 또는 디퓨저에 의해 확장되고 감속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부착물이 다른 유량으로 다른 속도에서 모발을 건조시켜 다른 스타일을 만들 수 있다.
부착물을 관류하는 유체는 종종 가열되어, 그 부착물의 외면은 만지기에 불편하게 뜨겁게 된다. 기구를 통과하는 추력(thrust)과 같은 모발 건조기의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과열 및 사용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착물의 표면에 열점(hot spot)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생지기 않도록 과열의 완화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 기구용 부착물을 제공하는 바, 이 부착물은 대체로 원추형인 제 1 부분을 갖는 외벽, 및 상기 외벽 내로의 유체 입구를 포함하고, 유체 입구는 외벽에 있는 불연속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 기구가 제공되는 바, 이 휴대 기구는, 손잡이와 본체(본체의 외벽의 직경은 그 본체의 잔방 단부 쪽으로 가면서 감소함), 기구 내로의 주 유체 입구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유체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주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주 유체 유동로, 상기 주 유체 입구 안으로 주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팬(fan) 유닛, 및 부착물을 포함하고, 부착물은 제 1 벽과 슬리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고, 외벽은 일 단부에서 기구와 연결되는 제 1 부분을 가지며, 제 1 부분은 대체로 원추형이고 외벽은 외벽에 있는 불연속부로 형성된 유체 입구를 포함하고, 본체의 외벽의 직경이 그 본체의 전방 단부 쪽으로 가면서 감소함에 따라 부착물의 제 1 부분의 외벽은 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라인을 따라 연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벽은 제 1 벽과 슬리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벽은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규정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는 제 1 벽 주위에 연장되어 있어, 외벽에 있는 유체 입구로부터 시작되는 제 2 유체 유동로를 형성하고, 제 2 유체 유동로는 제 1 벽과 슬리브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 기구용 부착물을 제공하는 바, 이 부착물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제 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규정하는 제 1 벽, 및 제 1 벽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부착물을 통과하는 제 2 유체 유동로를 제 1 벽과 함께 규정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제 2 유체 유동로는 제 1 벽과 슬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입구를 포함하고, 슬리브의 외부면과 제 1 벽의 외부면은 공선적(collinear)이다.
또한, 휴대 기구가 개시되는데, 이 기구는 손잡이와 본체(본체의 외벽의 직경은 그 본체의 잔방 단부 쪽으로 가면서 감소함), 기구 내로의 주 유체 입구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유체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주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주 유체 유동로, 상기 주 유체 입구 안으로 주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팬 유닛, 및 부착물을 포함하고, 부착물은 기구와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부착물은, 제 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규정하는 제 1 벽, 및 제 1 벽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부착물을 통과하는 제 2 유체 유동로를 제 1 벽과 함께 규정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제 2 유체 유동로는 제 1 벽과 슬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입구를 포함하고, 슬리브의 외부면과 제 1 벽의 외부면은 공선적이고 또한 상기 본체의 외벽의 직경이 그 본체의 전방 단부 쪽으로 가면서 감소함에 따라 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라인을 따라 연속되어 있다.
부착물의 외부면은 슬리브 및 제 1 벽의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체 입구는 슬리브와 제 1 벽 사이의 틈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유동로는 부착물 내로의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다. 유체 유동로는 제 1 벽에 의해 규정되고 그 제 1 벽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유체 입구는 환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유동로는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은 대체로 직사각형인 제 2 부분을 가지며, 제 2 부분 내에서 제 1 유체 유동로의 단면적은 수축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입구는 혼합형 코너로 형성된다. 유체 입구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는 예리한 코너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둥글게 되어 있어 유체가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해준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휴대 기구용 부착물이 제공되는 바, 이 부착물은 제 1 벽을 포함하고, 제 1 벽은 부착물 내로의 환형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규정하고, 이 유체 유동로는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유체가 부착물에 들어갈 때, 유체 유동로의 단면적은 환형 제 1 유체 입구의 단면적으로부터 증가한다. 이는 유동을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감속은 부착물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유동 프로파일이 환형으로부터 더 집중된 출구 프로파일로 변하므로 유리하다. 유동을 감속시킴으로써, 유체는 부착물의 벽을 때릴 가능성이 더 적게 되고 더 많이 경사져 벽에 부착되어 곡선을 따르게 되는데, 이리하여 소음 발생이 줄어들고, 유체 유동로 내부에서 재순환의 발생이 감소되고 또한 더 많은 층류 유동이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부분은 제 1 유체 출구로부터 제 1 유체 입구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부분 내에서 단면적은 확장된다.
제 1부분은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은 타원형 또는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환형 제 1 유체 입구는 제 1 벽 및 제 1 벽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벙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 내에서 유체 유동로는 적어도 처음에 수축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유체가 제 1 부분으로부터 제 2 부분으로 이동할 때, 부착물의 단면적은 감소된다. 부착물은, 유체 유동로 내에서 흐르는 유체가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이동할 때 제 1 유체 입구 단면적(X)에서 시작하고 부착물의 제 1 부분 내에서 X 위로 증가하고 그런 다음에 제 2 부분 내에서는 X 쪽으로 감소하는 유체 유동로를 갖는다.
제 1 유체 출구는 단면적을 가지며 제 2 부분 내에서 제 1 유체 유동로의 단면적은 제 1 유체 출구의 단면적과 같게 될 때까지 수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물 내부에서 유동 프로파일이 변할 때 많은 일이 일어난다. 유동은 처음 확장 중에 감속되고 전환되어 출구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유동의 이러한 확장 및 감속으로 인해 추력이 상실된다. 단면적을 수축시킴으로써, 일단 유동이 전환되면, 유체는 다시 집중되고, 그래서 부착물의 제 1 유체 출구에서 나가는 유체의 추력이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은 슬리브를 포함하고, 이 슬리브는 제 1 벽 위에서 연장되어 있어,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형성한다.
제 2 유체 유동로는 슬리브와 제 1 벽 사이에 형성된 제 2 유체 입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 케어 기구가 개시되는데, 이 모발 케어 기구는, 손잡이와 본체, 상기 모발 케어 기구 내로의 주 유체 입구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유체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환형 주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주 유체 유동로, 상기 주 유체 입구 안으로 주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팬 유닛, 및 부착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제 1 벽을 포함하고, 제 1 벽은, 부착물 내로의 환형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규정하고, 사용시 환형 제 1 유체 입구는 환형 주 유체 출구과 유체 연통하며, 유체 유동로는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은 환형 주 유체 출구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을 제공하는 바, 이 부착물은 제 1 벽 및 제 1 벽 내부에 수용되는 벙(bung)을 가지며, 상기 제 1 벽과 벙 각각은 후속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단일 개체로서 몰딩된다.
제 1 벽과 벙 중의 하나는 위치 잡기 리브를 포함하고, 제 1 벽과 벙 중의 다른 하나는 위치 잡기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잡기 리브와 위치 잡기 오목부는 함께 협력하여 벙을 제 1 벽에 대해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잡기 리브와 위치 잡기 오목부에 추가로, 상기 제 1 벽과 벙은 부품들의 접착, 용접 및 나사 결합 중의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물은 상기 제 1 벽과 벙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유체 유동로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유동로는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부착물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유체 입구는 환형이다.
부착물은 상기 제 1 벽 주위에서 연장되어 있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는 단일 개체로서 몰딩되고 후속적으로 상기 제 1 벽과 결합된다.
제 1 벽은 상기 슬리브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1 벽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 협력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호 협력 돌출부는 슬리브와 제 1 벽이 조립될 때 서로 협력하여 제 1 벽에 대한 상기 슬리브를 위한 미리 정해진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호 협력 돌출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슬리브를 제 1 벽에 대해 위치시키는 위치 잡기 부분을 포함한다.
부착물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원추형이고 제 2 부분은 대체로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호 협력 돌출부는 부착물의 상기 제 1 부분에 위치된다.
상기 부착물은 제 1 벽과 슬리브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 2 유체 유동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유체 유동로는 제 1 벽과 슬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입구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물을 포함하는 휴대 기구가 개시된다. 이 휴대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모발 케어 기구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모발 건조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모발 케어 기구를 제공하는 바, 이 모발 케어 기구는, 손잡이와 본체, 상기 모발 케어 기구 내로의 주 유체 입구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유체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주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주 유체 유동로, 상기 주 유체 입구 안으로 주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팬(fan) 유닛, 및 부착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제 1 벽 및 제 1 벽 내부에 수용되는 벙을 가지며, 상기 제 1 벽과 벙 각각은 후속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단일 개체로서 몰딩되고, 상기 부착물은 상기 제 1 벽과 벙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유체 유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이 상기 모발 케어 기구에 부착될 때, 상기 유체 유동로는 주 유체 출구와 유체 연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유체 출구는 환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물은 상기 제 1 벽 주위에서 연장되어 있는 슬리브 및 제 1 벽과 슬리브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 2 유체 유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체 유동로는 제 1 벽과 슬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입구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발 케어 기구는 모발 건조기이다. 대안적으로, 모발 케어 기구는 핫 스타일링 기구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건조기와 부착물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모발 건조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정면 등각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배면 등각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부착물의 상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모발 건조기에 부착되어 있을 때 부착물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부착물의 단순화된 단면도이다.
도 7b는 부착물 내로의 유체 입구의 확대도이다.
도 8a는 부착물의 정면 분해 등각도이다.
도 8b는 부착물의 배면 분해도이다.
도 9는 제 1 유체 유동로의 단면적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1 및 2는 손잡이(20) 및 본체(30)를 포함하는 모발 건조기(10)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부착물(100)이 모발 건조기(10)에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는 본체(30)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단부(22), 및 본체(3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주 유체 입구(40)를 포함하는 제 2 단부(24)를 갖는다. 케이블(50)을 통해 전력이 모발 건조기(10)에 공급된다. 모발 건조기(10)로부터 케이블(50)의 원위 단부에는 플러그(미도시)가 제공되며, 이 플러그는 예컨대 주 전원 또는 배터리 팩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20)는 본체(30)로부터 손잡이의 원위 단부(24)까지 연장되어 있는 외부 벽(200)을 갖는다. 손잡이의 원위 단부(24)에서 끝벽(210)이 외부 벽(200)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케이블(50)은 이 끝벽(210)을 통과해 모발 건조기에 들어간다. 손잡이(20)에 있는 주 유체 입구(40)는, 손잡이의 외부 벽(200) 주위에 또한 외부 벽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 1 구멍(42)을 포함한다. 케이블(50)은 대략 끝벽(210)의 중간에 위치되어 손잡이(2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주 유체 입구(40)의 상류에는 팬(fan) 유닛(70)이 제공되어 있다. 이 팬 유닛(70)은 팬 및 모터를 포함한다. 팬 유닛(70)은 주 유체 입구(40)를 통해 유체를 흡인하여 주 유체 유동로(400)를 통해 본체(30)에 보내게 되며, 주 유체 유동로는 주 유체 입구(40)로부터 본체(30)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거기서 손잡이(20)와 본체(30)가 연결(90)되어 있다. 본체(30)는 제 1 단부(32) 및 제 2 단부(34)를 가지며, 주 유체 유동로(400)는 본체(30)를 통해 이 본체의 제 2 단부(34) 쪽으로 가열기(80) 주위를 지나 주 유체 출구(440)까지 계속되어 있고, 팬 유닛에 의해 흡인된 유체는 주 유체 유동로(400)에서 나가게 된다. 주 유체 유동로(400)는 비선형적이고 제 1 방향으으로 손잡이(20)를 통해 흐르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는 본체(30)를 통해 흐르게 된다.
본체(30)는 외부 벽(360) 및 내부 덕트(310)를 포함한다. 주 유체 유동로(400)는 손잡이(20)와 본체(30)의 연결부(90)로부터 외부 벽(360)과 내부 덕트(310)의 사이에서 본체를 따라 본체(30)의 제 2 단부(34)에 있는 주 유체 출구(440)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유체 유동로가 본체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 유동은 팬 유닛 또는 가열기에 의해 직접 처리되지 않고, 모발 건조기를 통과하는 주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의 작용에 의해 모발 건조기 안으로 흡인된다. 이 유체 유동은 주 유체 유동로(400)를 통해 흐르는 유체에 의해 모발 건조기 안으로 동반된다.
본체의 제 1 단부(32)는 유체 입구(320)를 포함하고, 본체의 제 2 단부(34)는 유체 출구(340)를 포함한다. 유체 입구(320)와 유체 출구(3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덕트(310)로 형성되며, 이 내부 덕트는 본체(30)의 내부 벽이고 본체 내부에서 이 본체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유체 유동로(300)가 내부 덕트(310) 내부에서 유체 입구(320)에서 유체 출구(340)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체(30)의 제 1 단부(32)에서 측벽(350)이 외부 벽(360)과 내부 덕트(310)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이 측벽(3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 입구(320)를 형성한다. 주 유체 출구(440)는 환형이고 유체 유동로를 둘러싼다.
모발 건조기를 위한 제어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PCB(75)가 본체(30) 안에서 측벽(350) 및 유체 입구(320)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PCB(75)는 링형이고 내부 덕트(310)와 외부 벽(360) 사이에서 내부 덕트(310)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PCB(75)는 가열기(80)의 온도 및 팬 유닛(70)의 회전 속도와 같은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내부 배선(미도시)이 PCB(75)를 가열기(80)와 팬 유닛(70) 및 케이블(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어 버튼(62, 64)이 제공되어 있고 PCB(75)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예컨대 어떤 범위의 온도 설정 및 유량에서 선택을 할 수 있다.
사용시, 팬 유닛(70)의 작용에 의해 유체가 주 유체 유동로(400) 안으로 흡인되고, 가열기(8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되어 주 유체 출구(440)에서 나가게 된다. 이 처리된 유동에 의해 유체 입구(320)에서 유체가 유체 유동로(300) 안으로 동반된다. 이 유체는 처리된 유동과 본체의 제 2 단부(34)에서 결합하게 된다. 도 3a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서, 처리된 유체는, 유체 출구(340)를 통해 모발 건조기에서 나가는 동반 유동을 둘러싸는 환형 유동으로서 주 유체 출구(440)와 모발 건조기에서 나가게 된다. 따라서, 팬 유닛 및 가열기에 의해 처리된 유체는 동반 유동에 의해 증대된다.
모발 건조기(10)의 본체(30)은 제 2 단부(34) 쪽으로 직경이 감소되어 있다. 이러한 직경 감소는 일정한 구배를 갖는다. 본체(30)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제 1 단부(32)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 1 부분(30a), 및 원추형이고 제 1 부분(30a)의 하류 단부에서 제 2 단부(34)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 2 부분(30b)을 가지며, 따라서 본체의 외부 벽(360)의 직경은 본체의 전방 단부 쪽으로 가면서 감소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부분(30a)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δ)도 약 30°이다.
이제 특히 도 1 및 3 내지 8b를 참조하여 부착물(100)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 부착물(100)은 모발 건조기(10)의 제 2 단부(34)에 부착되는 집중 노즐이다. 부착물(100)은 제 1 부분(180) 및 제 2 부분(190)을 갖는다. 제 1 부분(180)은 모발 건조기(10)의 제 2 단부(34)에 부착되고 원추형이다. 제 2 부분(190)은 제 1 부분(180)에서 부착물(100)의 유체 출구(140)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둥근 코너를 갖는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 변화는 모발 건조기(10)에서 나오는 원형 또는 환형 유동을 더 집중된 영역으로 집중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부착물(100)은 제 1 벽(102), 슬리브(110) 및 벙(120)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벽(102)은 모발 건조기(10)의 외부 벽(360)의 전방면(360a)과 결합한다. 자석(370)이 외부 벽(360)의 전방면(360a)에 제공되어 있고, 이 자석은 제 1 벽(102)의 상대 면(106)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자성 재료(104)와 결합한다.
부착물(100)을 통과하는 2개의 유체 유동로가 있는데, 하지만 이들 유동로는 모발 건조기(10)를 통과하는 2개의 유체 유동로에 대응하지 않는다. 제 1 유체 유동로(130)는 제 1 벽(102)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모발 건조기(10)의 주 유체 출구(440)와 유체 연통하고, 그래서 이 제 1 유체 유동로(130)는 가열된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온 유체는 제 1 벽(110) 및 제 1 벽(110)에 수용되어 있는 자성 재료(104)를 가열한다. 제 1 유체 유동로(130)는 부착물(100)에 들어가는 제 1 유체 입구(132) 및 제 1 유체 출구(134)를 갖는다.
제 2 유체 유동로(150)가 제 1 벽(102)과 슬리브(110)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유체 유동로(150)는 부착물(100)에 들어가는 제 2 유체 입구(154)를 가지며 부착물(100)의 유체 출구(140)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유체 유동로(150)는 모발 건조기(10)의 외부로부터 유체를 취하며, 제 1 벽(102)으로부터 열을 받아 사용자가 모발 건조기(10)에서 부착물(100)을 제거하고자 할 때 부착물(100)이 만지기에 너무 뜨겁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체 절연 층을 제공한다.
슬리브(110)는 부착물(100)의 제 2 부분(190)의 전체 및 제 1 부분(180)의 대부분에 대해 제 1 벽(102)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제 1 벽(10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슬리브(110)는 유체 출구(140)에 있는 제 1 벽(102)을 넘어 연장되어 있다.
부착물(100)의 제 1 부분(180)은 원추형이고 제 1 벽(102)의 외부면(108)과 슬리브(110)의 외부면(1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벽(102)의 외부면(108)과 슬리브(110)의 외부면(112)은 모발 건조기(10)의 제 2 단부(34)에 의해 규정되는 라인을 따른다. 따라서, 모발 건조기(10)의 본체(20)의 직경이 제 2 단부(34) 쪽으로 가면서 감소함에 따라, 부착물의 직경 또한 제 1 부분(180)에 걸쳐 감소한다. 모발 건조기(10)의 본체(30)의 경우처럼 이러한 감소는 일정한 구배를 갖는다. 제 1 벽(102)의 외부면(1080 및 슬리브(110)의 외부면(112)은 공선적(collinear)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벽(102)의 외부면(108)과 슬리브(110)이 외부면(112)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δ)는 약 30°이다. 이는 모발 건조기(10)의 본체(30)의 제 2 부분(30b)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δ)와 같다.
제 1 벽(102)의 외부면(108)은 상대 면(106)으로부터 부착물(100)의 유체 출구(140)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처음에는 모발 건조기(10)의 제 2 단부(34)의 구배와 일치한다. 짧은 거리를 지나, 제 1 벽(102)은 부착물(100)의 중심 축선(Y - Y) 쪽으로 전환되어 측벽(152)을 형성한다. 이 측벽(152)은 부착물(100)에 들어가는 제 2 유체 입구(154)를 형성한다. 이 측벽(152)은, 제 1 벽(102)의 외부면(108)과 측벽(152) 사이의 연결부(156)(90°보다 큰 내부각(β)을 갖는 혼합 코너를 가짐)에서는 제외하고 부착물(100)의 중심 축선(Y - Y)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측벽(152)의 하류에는 내벽(158)이 있고, 이 내벽(158)은 슬리브(110)에 대략 평행하고, 내벽(158)과 슬리브 사이의 거리(d)는 1 - 3 mm 이고 부착물(100)의 제 1 부분(180)을 따라 일정하다.
슬리브(110), 특히 슬리브(110) 상류 면(114)은 제 2 유체 입구(154)의 외측 부분을 형성한다. 슬리브(110)의 외부면(112)과 상류면(114)의 연결부(116)(90°°보다 작은 내부각(α)을 갖는 혼합 코너를 가짐)를 제외하고는 상류면(114) 또한 부착물(100)의 중심 축선(Y - Y)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β > α 이므로, 제 2 유체 입구(154) 안으로 흡인된 유체는 측벽(152)에 부착되고, 이 측벽은 자성 재료(104)로부터의 열 제거를 개선한다. 이는 자성 재료가 주변의 부착물 재료(이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료) 보다 더 빨리 가열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측벽(152)과 상류면(114) 사이의 거리는 대략 1 mn 이다. 이는 부착물(100)을 냉각하기에 충분한 유체 유동이 제 2 유체 유동로(150)를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 1 유체 유동로(130)는 제 1 벽(102)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유체 유동로(130)는 모발 건조기(10)의 주 유체 유동로(400)로부터 유체를 받는다. 주 유체 출구(440)는 환형이므로, 제 1 유체 입구(132)는 환형이다. 벙(120)은, 유체 유동로(300)를 차단하고, 유동 프로파일이 제 1 유체 입구(132)에서의 환형으로부터 제 1 유체 출구(134)에서 타원형 또는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변함에 따라 부착물(100)을 통해 주 유체 유동로(400)에서 나가는 유체를 안내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벙(120)은 일 단부에서 원형이고 이 단부는 내부 덕트(310) 안으로 삽입된다. 부착물의 제 1 부분(180) 내부에서도 벙(120)은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부착물이 직사각형으로 전환됨에 따라, 벙(120)은 평평하게 되고 좁아져 제 1 벽(102)의 형상 변화에 일치한다. 이렇게 해서, 주 유동이 환형 유동 프로파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로파일로 원활하게 전환된다.
부착물(100)의 유체 출구(140)에서 최대의 추력을 제공하고 또한 부착물(100) 안에 형성되어 있는 제약부로 인한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유체 유동로(130) 내부의 단면적은 일정하지 않다. 이제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주 유체 출구에서 나가는 유체는 고속이고, 운동을 잃거나 소음 발생 없이 이 유동을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가 주 유체 출구(440)에서 나가 제 1 유체 유동로(130)에 들어갈 때, 단면적은 증가한다(250). 이리하여, 유체가 느려지거나 속도가 감소하여, 유동이 벽에 붙어 경로 아래로 향하게 된다. 유체의 재순환은 적으며, 유동이 감속됨으로써, 벽에 부딪히는 비층류 유동으로부터의 압력 손실이 적다.
일단 유체가 벙(120)과 제 1 벽(102)으로 생성된 코너 주위를 돌면, 제 1 유체 유동로의 단면적이 감소된다(260). 이는 벙(120)의 단부와 대략 일치한다. 단면이 감소하면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여, 부착물(100)의 유체 출구(140)에서 얻어지는 추력이 최대로 된다.
소음 발생의 감소는 벙(120)의 형상으로 인한 것이다. 벙의 제 1 부분(124)은 원추형이고 제 1 벽(102)의 프로파일에 일치하고, 환형 유동의 유체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유체 출구(14)에서 나오는 층류 유동으로 되게 하는 부분이다. 벙의 제 2 부분(126)은 벙의 제 1 부분(124)의 하류에 있고 라인 프로파일(128)까지 평평하게 되어 있다.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2개의 중요한 사항은, 부착물(100)의 중심 축선(Y-Y)에 대한 제 1 벽(102)의 내면(102a)의 각도이다. 약 35°의 각도(γ)가 추력과 음향 모두에 유리하다. 추가로, 벙의 라인 프로파일(128)과 제 1 벽(102)의 하류 단부(102b)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20 mm 이다. 또한, 제 1 유체 출구(134)의 출구 면적은 부착물(100)로부터의 추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부착물 위해, 340 - 350 mm2의 유체 출구가 추력을 최대로 해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음에 도움을 주는 것 외에도,, 오리 부리 형태로 라인 프로파일(128)까지 납작하게 되어 있는 벙(120)은 출구(140)로부터 더 많은 유동을 발생시킨다. 종종 집중 노즐은 고르지 않은 유량을 가지며,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의 각 측에서 더 많은 유동이 나타나고, 원추형으로부터 오리 부리를 통해 가장자리까지 매끄럽게 전이되는 벙 프로파일은 유체 출구의 전체에 걸쳐 훨씬 더 고른 유동을 제공한다.
물론, 당업자는 이들 도와 치수는 이 모발 건조기(10)에 있는 이 부착물(100)에 적용되고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변화가 필요할 것임을 알 것이다.
특히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이제 부착물(100)의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각 접촉점 또는 접촉선은 유동에 대한 교란 및 혹시 슬리브(10)로 가는 열전달 경로를 일으키므로 제 1 벽(102)을 갖는 벙(120)과 슬리브(110)를 갖는 제 1 벽(102) 사이의 연결점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부착물(100)의 개별 부분은 용접 리브를 따라 초음파 용접된다.
벙(120)은, 벙(120)의 양측에서 제 1 부분(124) 및 제 2 부분(126)을 따라 라인 프로파일(128)까지 연장되어 있는 슬롯(350)을 포함한다. 이 슬롯(350)은 벙(120)의 납작한 오리 부리형 부분 및 라인 프로파일(128)에 수직하다. 슬롯(350)은 제 1 벽(102)의 내면(102a)으로 연장되어 있는 "U-형" 리브(352)와 협력하고 이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일단 리브(352)가 슬롯(350) 안으로 정확히 삽입되면, 상기 두 부분은 초음파 용접된다. 대안적으로, 두 부분은 함께 접착되거나 나사 결합된다.
제 1 벽(102)의 내벽(158)은 두 쌍의 리브(354)를 포함하고, 한쌍은 제 1 벽(102)의 원추형 부분의 각 측에 위치된다. 이들 두 쌍의 리브(354)는 이상적으로 리브(352)와 슬롯(35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부착물(100)을 통과하는 명확한 열전달 경로가 없다. 추가 세트의 두 쌍의 리브(356)가 슬리브(120)의 내면(120a)에 위치되어 있다. 이 추가의 두 쌍의 리브(356) 각각은, 제 1 벽(102)의 두 쌍의 리브(354)가 슬리브(102)의 추가 세트의 두 쌍의 리브(356) 사이에 수용되도록 보장해주는 위치 잡기 부분(358)을 가지고 있다. 이는 슬리브(102)와 제 1 벽(110)의 동심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 슬리브(110)와 제 1 벽(102) 사이의 거리의 변동으로 인한 열점(hot spot)의 발생 가능성을 줄여준다. 위치 잡기 부분(358)은 제 1 벽(110)에 대한 슬리브(102)의 위치를 규정한다. 일단 다양한 쌍의 리브가 정확히 정렬되면, 슬리브와 제 1 벽은 초음파 용접된다. 대안적으로, 두 부분은 함께 접착되거나 나사 결합된다.
구성 요소를 부착물(100)의 제 1 부분(180)에만 위치시킴으로써, 유동에 대한 교란이 최소화되고, 열전달의 위험이 감소된다. 슬리브를 하나의 부분으로 몰딩함으로써, 더 전통적인 2-부분 요소의 보기 흉한 몰드 라인이 제거된다. 추가로, 제 2 부분(190)이 잡기가 더 쉽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부분으로 부착물 잡을 가능성 더 높다. 구성 요소를 제 1 부분(180) 내부에 한정시킴으로써, 제 2 부분(190) 내부에서 슬리브(102)와 제 1 벽(110)이 접촉하는 영역이 없고, 그래서 직접적인 열전달 경로가 없다.
부착물의 상이한 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위치시키는 것은 중요한데, 슬리브(102)와 제 1 벽(110)은 부착물 내로의 제 2 유체 입구(154)를 규정하고 제 1 벽(110)은 벙(120)과 함께 부착물 내로의 제 1 유체 입구(132)를 규정하기 때문이다. 상이한 부붐들 간의 비동심은 고르지 않은 유동, 열점, 그리고 혹시 부착물 및 사용시 그 부착물이 부착되는 모발 건조기의 수명 감소를 야기할 것이다.
본 발명을 모발 건조기 및 핫 스타일링 기구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유체를 흡인하여 그 유체를 기구로부터 유출시키는 어떤 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가열기와 함께 또는 가열기가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유체가 높은 속도로 유출하는 작용은 건조 효과를 갖는다.
기구를 관류하는 유체는 일반적으로 공기이지만, 가스의 다른 조합물일 수도 있고, 기구의 성능 또는 출력물이 향하는 대상(예컨대, 모발 및 그 모발의 스타일링)에 기구가 주는 영향을 개선하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물은 저온 벽 슬리브를 갖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 슬리브는 여기서 설명한 모든 실시 형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일부 구성 방법은 벙과 제 1 벽을 포함하는 부착물에 적용될 수 있고, 분명, 슬리브가 없으면 부착물 리브(354)는 필요 없다. 또한, 유체가 부착물에 들어갈 때 처음에 유체 유동로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개념은, 모발 건조기에서 부착물 출구로 가는 유동 방향에 변화가 있는 어떤 부착물에도 유효하다.
증대형 모발 건조기와 관련하여 부착물을 설명했는데, 여기서도 이는 선택적인 특징임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설명한 부착물은 통상적인 단일 유체 출구 모발 건조기에도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설명한 부착물은 벙 부분의 유무에 상관 없이 그러한 통상적인 모발 건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분명, 벙은 덕트에 삽입될 필요는 없을 것이고, 통상적인 모발 건조기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단부와 동일 면을 이루거나 그 단부 내부에 오목하게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설명한 부착물은 자석의 인력을 사용하여 모발 건조기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도, 이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모발 건조기에 대한 부착물의 스냅 핏(fit), 마찰 핏 및 회전 고정과 같은 대안적인 연결 방법이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는 변화가 명백할 것이다.

Claims (13)

  1. 휴대 기구용 부착물로서, 제 1 벽을 포함하고, 제 1 벽은 상기 부착물 내로의 환형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규정하고, 유체 유동로는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단면적을 갖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부분은 제 1 유체 출구로부터 제 1 유체 입구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부분 내에서 단면적이 확장되어 있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원추형인, 휴대 기구용 부착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타원형 또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휴대 기구용 부착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제 1 유체 입구는 제 1 벽 및 제 1 벽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벙(bung)으로 형성되는 있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 내에서 유체 유동로는 적어도 처음에 수축되는 단면적을 갖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출구는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 2 부분 내에서 제 1 유체 유동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 1 유체 출구의 단면적과 같게 될 때까지 수축하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제 1 벽 위에서 연장되어 부착물을 통과하는 제 2 유체 유동로를 형성하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체 유동로는 상기 슬리브와 제 1 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입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휴대 기구용 부착물.
  10. 모발 케어 기구로서,
    손잡이와 본체,
    상기 모발 케어 기구 내로의 주 유체 입구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유체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환형 주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주 유체 유동로,
    상기 주 유체 입구 안으로 주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팬 유닛, 및
    제 1 항 내지 제 9 항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물을 포함하는, 모발 케어 기구.
  11. 모발 케어 기구로서,
    손잡이와 본체,
    상기 모발 케어 기구 내로의 주 유체 입구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유체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환형 주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주 유체 유동로,
    상기 주 유체 입구 안으로 주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팬 유닛, 및
    부착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제 1 벽을 포함하고, 제 1 벽은, 부착물 내로의 환형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어 부착물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를 규정하고, 사용시 환형 제 1 유체 입구는 환형 주 유체 출구과 유체 연통하며, 유체 유동로는 제 1 유체 입구로부터 제 1 유체 출구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단면적을 갖는, 모발 케어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모발 건조기인, 모발 케어 기구.
  13.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모발 케어 기구용 부착물.
KR1020177023250A 2015-01-21 2015-11-24 휴대 기구용 부착물 KR20170105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00980.6 2015-01-21
GB1500980.6A GB2534380A (en) 2015-01-21 2015-01-21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PCT/GB2015/053580 WO2016116730A1 (en) 2015-01-21 2015-11-24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098A true KR20170105098A (ko) 2017-09-18

Family

ID=5263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250A KR20170105098A (ko) 2015-01-21 2015-11-24 휴대 기구용 부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206077A1 (ko)
EP (1) EP3247241A1 (ko)
JP (1) JP6146752B2 (ko)
KR (1) KR20170105098A (ko)
CN (2) CN105795678A (ko)
AU (1) AU2015378888B2 (ko)
GB (1) GB2534380A (ko)
HK (1) HK1221385A1 (ko)
RU (1) RU2672634C1 (ko)
WO (1) WO2016116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810B (en) * 2013-07-05 2015-11-11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15815B (en) 2013-07-05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16478B (en) 2013-07-24 2016-03-16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AU363243S (en) 2015-01-12 2015-08-10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a hair appliance
AU363168S (en) 2015-01-12 2015-08-06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a hair appliance
AU363044S (en) * 2015-01-12 2015-07-31 Dyson Technology Ltd A hair appliance
AU363170S (en) 2015-01-12 2015-08-06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a hair appliance
AU363045S (en) * 2015-01-12 2015-07-31 Dyson Technology Ltd A hair appliance
AU363042S (en) 2015-01-12 2015-07-31 Dyson Technology Ltd A hair appliance
AU363171S (en) * 2015-01-12 2015-08-06 Dyson Technology Ltd A hair appliance
GB2534378B (en) 2015-01-21 2018-07-25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GB2534379B (en) 2015-01-21 2018-05-09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AU366597S (en) * 2015-07-03 2016-01-15 Dyson Technology Ltd Accessory for hairdryer
USD837215S1 (en) * 2016-08-01 2019-01-01 Hand Held Products, Inc. Optical scanner
USD853639S1 (en) * 2017-05-30 2019-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18S (en) *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53640S1 (en) * 2017-05-30 2019-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48064S1 (en) 2017-05-30 2019-05-07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47424S1 (en) 2017-05-30 2019-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47421S1 (en) 2017-05-30 2019-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32S (en) *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37S (en)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Accessory for a hair care apparatus
USD847422S1 (en) 2017-05-30 2019-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JP1617390S (ko) 2017-05-30 2018-11-05
USD853641S1 (en) * 2017-05-30 2019-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48063S1 (en) 2017-05-30 2019-05-07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19S (en) *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53638S1 (en) * 2017-05-30 2019-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47426S1 (en) 2017-05-30 2019-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46S (en)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Accessory for a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21S (en) *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847423S1 (en) 2017-05-30 2019-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22S (en) *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AU201717220S (en) * 2017-05-30 2017-12-22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JP1617386S (ko) 2017-05-30 2018-11-05
USD847425S1 (en) 2017-05-30 2019-04-30 Dyson Technology Limited Accessory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10835007B2 (en) 2017-07-14 2020-11-17 Spectrum Brands, Inc. Hair dryer
US10660418B2 (en) * 2017-07-14 2020-05-26 Spectrum Brands, Inc. Air-moving appliance including an attachment
USD850717S1 (en) * 2017-11-15 2019-06-04 Guangzhou Milin Electric Appliance Co., Ltd. Hair dryer
USD850716S1 (en) * 2017-11-29 2019-06-04 Shenzhen DJ Innovation Industry Co., Ltd. Hair dryer
GB2574606A (en) * 2018-06-11 2019-12-18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GB2574605B (en) * 2018-06-11 2021-08-04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USD973274S1 (en) 2019-05-22 2022-12-20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961155S1 (en) 2019-05-22 2022-08-16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923874S1 (en) 2019-05-22 2021-06-29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961154S1 (en) 2019-05-22 2022-08-16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USD973273S1 (en) 2019-05-22 2022-12-20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JP1694135S (ko) * 2019-06-10 2021-09-06
USD967520S1 (en) 2019-12-20 2022-10-18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hair styling and hair care apparatus
JP1677876S (ko) * 2020-01-03 2021-01-25
JP1677877S (ko) * 2020-01-03 2021-01-25
CN216364041U (zh) * 2020-11-10 2022-04-26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吹风机及其风嘴
USD1007760S1 (en) 2021-03-04 2023-12-12 Tasha Robinson Hair styling accessory
GB2606394B (en) * 2021-05-07 2023-10-18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ircare applian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549A (ja) * 2002-11-01 2004-10-14 Wahl Clipper Corp 手持ち式ドライヤのためのアタッチメント
US20080271337A1 (en) * 2005-09-01 2008-11-06 Dickson Industrial Co., Ltd Air Diffuser for Hair Styling
JP2010274050A (ja) * 2009-06-01 2010-12-09 Haruyuki Kitano ヘアドライヤー
WO2014147460A1 (en) * 2013-03-18 2014-09-25 Soresina, Flavio Nozzle for hair dryer
KR20140129323A (ko) * 2012-03-30 2014-11-0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전기기구
WO2015001308A1 (en) * 2013-07-05 2015-01-08 Dyson Technology Limited A handheld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7450B1 (fr) * 2000-12-06 2003-02-14 Seb Sa Seche-cheveux a dispositif de variation de la section de sortie du flux d'air
DE10231058A1 (de) * 2002-07-10 2004-01-22 Wella Ag Vorrichtung für eine Warmluftdusche
US6922909B2 (en) * 2003-01-06 2005-08-02 Rovcal, Inc. Attachment for hair dryers
WO2008027171A1 (en) * 2006-08-31 2008-03-06 Conair Corporation Hair dryer attachment with pivoting joint
DE102009049838A1 (de) * 2009-10-16 2011-04-21 Marion Perplies Luftapparat und Aufsatz für einen Luftapparat
GB201205687D0 (en) * 2012-03-30 2012-05-16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01211253D0 (en) * 2012-06-25 2012-08-08 Jemella Ltd Hair dryer
GB2503687B (en) * 2012-07-04 2018-02-21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WO2014006365A1 (en) * 2012-07-04 2014-01-09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GB2516478B (en) * 2013-07-24 2016-03-16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549A (ja) * 2002-11-01 2004-10-14 Wahl Clipper Corp 手持ち式ドライヤのためのアタッチメント
US20080271337A1 (en) * 2005-09-01 2008-11-06 Dickson Industrial Co., Ltd Air Diffuser for Hair Styling
JP2010274050A (ja) * 2009-06-01 2010-12-09 Haruyuki Kitano ヘアドライヤー
KR20140129323A (ko) * 2012-03-30 2014-11-0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전기기구
WO2014147460A1 (en) * 2013-03-18 2014-09-25 Soresina, Flavio Nozzle for hair dryer
WO2015001308A1 (en) * 2013-07-05 2015-01-08 Dyson Technology Limited A handheld applian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제공개공보 WO2014/147460(2014.09.25.)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6077A1 (en) 2016-07-21
HK1221385A1 (zh) 2017-06-02
AU2015378888A1 (en) 2017-08-10
CN105795678A (zh) 2016-07-27
JP2016131891A (ja) 2016-07-25
EP3247241A1 (en) 2017-11-29
JP6146752B2 (ja) 2017-06-14
GB201500980D0 (en) 2015-03-04
RU2672634C1 (ru) 2018-11-16
GB2534380A (en) 2016-07-27
WO2016116730A1 (en) 2016-07-28
AU2015378888B2 (en) 2018-12-20
CN205585543U (zh)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944B1 (ko) 휴대 기구용 부착물
KR20170105098A (ko) 휴대 기구용 부착물
KR20170105099A (ko) 휴대 기구용 부착물
JP6625527B2 (ja) 手持型機器
JP6386547B2 (ja) 手持型機器
KR102031600B1 (ko) 노즐
TWM525657U (zh) 手持設備
TWI331907B (en) Ion hair dryer
JP6444361B2 (ja) 手持型機器
KR101917292B1 (ko) 공랭장치가 구비된 초음파 융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