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73A - 세탁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73A
KR20170104873A KR1020160027850A KR20160027850A KR20170104873A KR 20170104873 A KR20170104873 A KR 20170104873A KR 1020160027850 A KR1020160027850 A KR 1020160027850A KR 20160027850 A KR20160027850 A KR 20160027850A KR 20170104873 A KR20170104873 A KR 20170104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air pump
electric heater
a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471B1 (ko
Inventor
김진호
오수영
이정훈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471B1/ko
Priority to PCT/KR2017/002443 priority patent/WO2017155278A1/ko
Priority to EP17763539.8A priority patent/EP3428338B1/en
Publication of KR2017010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06F39/004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45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캐비닛;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전기히터의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전기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되게 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세탁수량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세탁수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 가열 시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물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세탁물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세탁물을 세탁 과정, 헹굼 과정, 또는 건조과정을 통해 처리(세탁)하는 장치의 일 종이다.
상기 세탁물은, 의류뿐만 아니라, 이불 등 침구류, 커튼, 봉제 인형 등 세탁 가능한 물품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처리장치는, 통상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세탁물처리장치 중 일부는 세탁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는 세탁수 가열기능을 구비한다.
세탁수 가열 기능을 구비한 세탁물처리장치에는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전기히터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는 기본 급수 수위(초기급수량)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터브의 용량이 증가할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세탁수의 가열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전체 세탁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세탁수의 양의 증가에 기인한 전기히터의 가열시간이 증가되므로, 전력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세탁수의 가열 시, 상기 세탁수의 수면 위로 상기 전기히터가 노출될 경우 상기 전기히터의 과열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기인하여 상기 전기히터의 강제 열화가 촉진되어 상기 전기히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92075 B1 (2008.01.04.) KR 10-1186602 B1 (2012.09.27.)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수의 가열 시 전기히터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높은 세탁수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 세탁수의 수량을 저감할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의 양을 저감하여 세제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및 상기 전기히터의 수면 아래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히터가 접촉된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연결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흡입측이 연결되는 순환펌프; 일 단부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유입배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상기 전기히터가 수용되는 히터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배관은 상기 히터수용부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 측이 상기 인출배관에 연결되고 타 측에 개구가 형성된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개구를 통해 일 측이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싱의 개구의 일 측에는 상기 에어펌프가 연결될 수 있게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히터수용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에어펌프의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는, 내부에 가압공간, 상기 가압공간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한 펌프바디; 상기 펌프바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밸브;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 및 상기 가압부재를 구동시키는 가압부재구동부; 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구동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연동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될 수 있게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전기히터의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전기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되게 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순환유로 사이에는 세탁수의 역류를 억제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부의 세탁물의 탈수 시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이면 상기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의 가열 시 전기히터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에어펌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전기히터의 수위(히터보호수위)가 상승되어 전기히터가 세탁수의 수면위로 노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기히터의 과열 발생이 억제될 수 있어 상기 전기히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면 아래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세탁수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 세탁수의 수량을 저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세탁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세제 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세탁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세탁수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물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순환유로 및 에어펌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2의 필터부영역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터브 제거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에어펌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에어펌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에어펌프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140); 상기 터브(140)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170); 및 상기 전기히터(170)의 수면 아래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히터(170)가 접촉된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에어펌프(2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예를 들면, 베이스(112a), 상기 베이스(112a)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b) 및 후면판(112c), 상기 베이스(112a)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양 측면판(112d), 및 상기 전면판(112b), 후면판(112c) 및 양 측면판(112d)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면판(탑커버)(112e)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공(14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공(149)은,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후방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복수의 댐퍼(142) 및 지지브래킷(144)에 의해 상기 베이스(112a)에 대해 이격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전방이 상측을 향하게 상향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는 드럼(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50)은, 예를 들면,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150)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복수의 관통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세탁수가 상기 드럼(1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드럼(150)의 세탁물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게 도어(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5)의 일 측 하부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커버(1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7)의 개방 시 후술할 필터(231)가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5)의 상부 일 측(예를 들면, 좌측)에는 세제공급장치(119)의 일 부가 외부에 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5)의 상부 다른 일 측(예를 들면, 우측)에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패널(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상부 후방영역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물을 급수할 수 있게 급수밸브(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상기 세제공급장치(11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40)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전기히터(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전기히터(170)가 수용될 수 있게 히터수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수용부(145)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70)는, 예를 들면, 보호관(172)과, 상기 보호관(172)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체(17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174)는, 예를 들면, 전원인가 시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저항체(니크롬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72)은, 예를 들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는 직선구간(173a)과, 상기 직선구간(173a)을 연결하는 곡선형의 연결구간부(17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72)은, 예를 들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72)의 단부에는 상기 보호관의 내부의 발열체(17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전원단자(17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재유입되게 순환시키는 순환유로(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190)는,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이 상기 터브(140)와 연통되는 인출배관(191), 상기 인출배관(191)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부(210), 상기 필터부(210)에 연결되는 순환펌프(240) 및 일 단이 상기 순환펌프(240)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터브(140)에 연결되는 유입배관(24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배관(245)은,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전방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배관(245)은, 상기 터브(140)의 전방에 구비된 가스켓(147)의 상부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배관(191)은, 상기 터브(140)에 연결되는 유입단부(192) 및 상기 필터부(210)에 연결되는 유출단부(19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출배관(191)의 유입단부(192)는 상향 돌출되고, 상기 유출단부(194)는 상기 베이스(112a)의 전방 일 모서리(예를 들면, 우측 모서리)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1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211), 상기 필터케이싱(211)에 분리 가능하게 일 측이 삽입되는 필터(2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112a)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후방단부는 상기 인출배관(191)의 유출단부(194)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전방 단부에는 개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개구의 일 측에는 일 단이 상기 에어펌프(27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225)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270)에서 공급된 공기가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에는 상기 공기공급관(225)이 연결될 수 있게 연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2)는, 예를 들면,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개구의 후방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상기 필터케이싱의 개구측 단부의 내부 하부로 유입될 수 있어 상기 순환유로의 내부의 세탁수의 수중에 더 많은 공기의 이동 경로가 형성됨으로써, 공기량은 증가하고 세탁수의 양은 상대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에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필터(23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231)는, 예를 들면,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세탁수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거름망부(233) 및 상기 거름망부(233)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2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37)는, 예를 들면,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부(233)는, 예를 들면, 세탁수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게 복수의 관통공(234)을 구비한 소위 메시(MESH)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배수펌프(251)의 토출측과 연통되는 배수포트(2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포트(253)에는 배수관(2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55)은, 예를 들면,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과정을 수행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전기히터(170)의 수면 아래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히터(170)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에어펌프(27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펌프(270)는 상기 터브(14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에어펌프(270)는 상기 터브(140)의 상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펌프(270)는, 예를 들면, 전원 인가 시 구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70)는, 예를 들면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압공간(283), 상기 가압공간(283)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흡입구(285) 및 토출구(287)를 구비한 펌프바디(280); 상기 펌프바디(28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311); 및 상기 가압부재(31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285)를 개폐하는 흡입밸브(291); 상기 가압부재(31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287)를 개폐하는 토출밸브(293); 및 상기 가압부재(311)를 구동시키는 가압부재구동부(320); 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구동부(320)는, 예를 들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24) 및 상기 코일(324)에 의해 상대 운동 하는 영구자석(32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7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40)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341) 및 하부케이스(351) 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40)의 저부에는 상기 케이스(34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게 복수의 지지부재(3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61)는, 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340)의 진동이 상기 베이스(112a)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51)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341)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구비한 하향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51)는, 예를 들면, 상기 상부케이스(341)의 하부 개구를 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51)에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펌프(270)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유로(3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352)의 일 측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부(3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53)에는 일 단이 상기 필터부(21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225)의 타 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51)의 다른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34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부(3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340)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40)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바디(280) 및 가압부재구동부(320)를 지지하는 프레임(3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71)은, 예를 들면, "U"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71)은, 예를 들면, 저면부(372) 및 상기 저면부(372)의 양 측에서 상향 돌출된 측면부(3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71)은, 예를 들면, 상기 하부케이스(351)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71)의 하측에는 복수의 프레임지지부재(3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지지부재(377)는, 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371)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340)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71)에는 상기 펌프바디(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바디(280)는, 예를 들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바디(280)는, 상기 프레임(371)의 양 측면부(37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펌프바디(280)의 내부에는 가압공간(28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펌프바디(280)는, 예를 들면, 상호 대면 접촉결합되는 제1펌프바디(281) 및 제2펌프바디(301)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81)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공간(2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81)에는 상기 가압공간(283)과 연통될 수 있게 흡입구(285) 및 토출구(28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85)에는 상기 흡입구(285)를 개폐할 수 있게 흡입밸브(2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87)에는 상기 토출구(287)를 개폐할 수 있게 토출밸브(2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밸브(291) 및 상기 토출밸브(293)는, 예를 들면, 얇은 막 형상을 구비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밸브(291) 및 상기 토출밸브(293)는 중앙영역이 상기 제1펌프바디(281)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밸브(291)는, 상기 가압공간(28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293)는 상기 가압공간(283)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81)의 외측에는 상기 가압공간(283)과 연통된 공기흡입유로(296) 및 공기토출유로(29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81)의 외면에는 상기 제1펌프바디(281)와 사이에 상기 공기흡입유로(296) 및 공기토출유로(297)를 형성하는 실링부재(29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펌프바디(281)의 상기 공기토출유로(297)에는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게 토출관(29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토출관(295)은 상기 하부케이스(351)의 공기유로(352)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71)의 측면부(375)의 각 외측면에는 상기 제2펌프바디(301)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제2펌프바디(301)에는 상기 제1펌프바디(281)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81)와 상기 제2펌프바디(301) 사이에는 소위 다이아프램(diaphragm)이라고 하는 가압부재(311)(이하, '가압부재(311)'로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11)는, 예를 들면, 원반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곽부(테두리)는 상기 제1펌프바디(281) 및 제2펌프바디(30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11)는 중앙영역이 상기 펌프바디(280)에 대해 상대 운동하면서 상기 가압공간(283)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압 및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가압부재(311)에는 작용로드(33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331)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11)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331)에는, 예를 들면, 영구자석(3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331)에는,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25)이 결합될 수 있게 영구자석결합부(33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25)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4)은, 예를 들면, 자성체로 된 코어(322)에 미리 설정된 길이 및 턴(turn)수로 각각 권회될 수 있다.
상기 코어(322) 및 코일(324)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371)의 저면부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324)과 상기 프레임(371)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324)의 구동(전원인가) 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프레임(371)으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25)은,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영구자석(325)은,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자극을 구비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2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코일(324)측이 N극을 구비하게 배치되면 상기 영구자석(325)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코일(324)측이 S극이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4)은, 상기 영구자석(325)에 대응되게 복수의 자극부(3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324)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과 상기 영구자석(325)의 자기력이 상호 흡인 및 반발하면서 상기 영구자석(325)이 상기 코일(324)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구동부(320)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용로드(331)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코일(324) 및 코어(322)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세탁물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41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420)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탁수를 가열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가열세탁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면,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4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른 온도, 시간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4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면,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시, 세탁수의 온도 및 전기히터(170)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제어할 수 있게 상기 전기히터(170) 및 에어펌프(270)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온도감지부(4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면, 상기 드럼(150)의 내부의 세탁물의 탈수 시,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27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드선택부(420)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가열세탁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탁수가 가열될 수 있게 상기 전기히터(170)에 전원이 인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전기히터(170)의 동작 시 상기 전기히터(170)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가 상승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27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70)의 코일(324)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324)에 의해 자극부(323)에 자극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325)은 상기 코어(322)의 자극부(323)에 의해 형성된 자기력과 상기 영구자석(325)의 자기력이 상호 작용(흡인 및 반발)에 의해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25)이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용로드(331)가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면상 좌측의 가압부재(311)는 해당 가압공간(283)의 내부로 이동되어 가압공간(283)의 공기가 토출되고, 도면상 우측의 가압부재(311)는 해당 가압공간(283)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해당 가압공간(283)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4)에 교번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각 자극부(323)의 자극은 교번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작용로드(331)는 상기 코일(324)에 대해 직선 왕복운동하게 될 수 있다.
즉, 전원이 변화되어 자극이 변화되면 상기 작용로드(33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면상 우측의 가압부재(311)는 해당 가압공간(283)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공기를 가압 토출시키고, 도면상 좌측의 가압부재(311)는 해당 가압공간(283)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해당 가압공간(283)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각 가압공간(283)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토출관(295)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351)로 이동되고, 상기 하부케이스(351)의 공기유로(352)를 따라 유출부(353)로 이동된다.
즉, 상기 작용로드(331)의 이동시 어느 일 측의 가압공간(283)으로부터 압축된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상기 유출부(353)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53)를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관(225)을 따라 상기 필터부(21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10)(필터케이싱(2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인출배관(191)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히터수용부(145)의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기히터(170)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상향 이동되어 상기 세탁수의 수면위로 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케이싱(211) 및 인출배관(191)의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히터수용부(145)의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가 그만큼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기히터(170)의 가열 시 상대적으로 세탁수 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전기히터(170)가 상기 세탁수의 외부로 노출되는 빈도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기히터(170)의 과열의 위험성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기히터(170)의 고장 또는 손상 발생이 작아지게 되어 상기 전기히터(17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히터수용부(145)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세탁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히터수용부(145)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가 급수 및 수용됨으로써, 상기 전기히터(170)의 가열시간이 그만큼 단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기히터(170)의 세탁수 가열 시 전력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수용부(145)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세탁수가 급수됨으로써, 세탁수의 세제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세탁물의 세탁 성능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온도감지부(425)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전기히터(17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전기히터(170)의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에어펌프(270)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펌프(270)의 구동이 중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410)부는, 상기 드럼(150)의 내부의 세탁물의 세탁행정, 헹굼행정이 완료되고 탈수행정이 도래하면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상기 터브(140)의 외부의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2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70)가 구동되면, 상기 공기공급관(225)을 따라 이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케이싱(21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인출배관(211)을 따라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드럼(150)의 내부의 세탁물과 접촉되어 상기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가 증가된 상태로 상기 배기공(149)을 통해 상기 터브(1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드럼(150)의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 제거가 촉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140)의 개구가 캐비닛(110)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된 세탁물처리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터브(140)의 개구가 캐비닛(110)의 상측(상면판(112c))을 향하게 배치된 세탁물처리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전기히터(170)가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터브(140)의 외부에 별도의 저장용기에 전기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가열된 세탁수를 제공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서, 에어펌프가 상기 전기히터의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재유입되게 하는 순환유로(190)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펌프(270)가 상기 순환유로(190)에 연결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터브의 내부에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순환유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전기히터의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터브에 에어펌프가 직접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캐비닛 115 : 도어
117 : 커버 119 : 세제공급장치
121: 조작패널 125: 급수밸브
140: 터브 145 : 히터수용부
150: 드럼 170 : 전기히터
190: 순환유로 191 : 인출배관
210: 필터부 211; 필터케이싱
222 : 연결부 225: 공기공급관
231 : 필터 251 : 배수펌프
255 : 배수관 270: 에어펌프
280 : 펌프바디 283 : 가압공간
285: 흡입구 287 : 토출구
291 : 흡입밸브 293: 토출밸브
311 : 가압부재 320 : 가압부재구동부
322: 코어 324 : 코일
331 : 작용로드 333: 영구자석결합부
340: 케이스 341: 상부케이스
351 : 하부케이스 352; 공기유로
353 : 유출부 355: 유입부
371: 프레임 375 : 측면부
410 : 제어부 420 : 모드선택부
425 : 온도감지부

Claims (1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및
    상기 전기히터의 수면 아래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히터가 접촉된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연결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흡입측이 연결되는 순환펌프;
    일 단부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유입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상기 전기히터가 수용되는 히터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배관은 상기 히터수용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 측이 상기 인출배관에 연결되고 타 측에 개구가 형성된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개구를 통해 일 측이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의 개구의 일 측에는 상기 에어펌프가 연결될 수 있게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히터수용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에어펌프의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는, 내부에 가압공간, 상기 가압공간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한 펌프바디; 상기 펌프바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밸브;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밸브; 및 상기 가압부재를 구동시키는 가압부재구동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구동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연동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될 수 있게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0.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전기히터의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전기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되게 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순환유로 사이에는 세탁수의 역류를 억제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부의 세탁물의 탈수 시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이면 상기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KR1020160027850A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KR10249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50A KR102491471B1 (ko)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PCT/KR2017/002443 WO2017155278A1 (ko) 2016-03-08 2017-03-07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17763539.8A EP3428338B1 (en) 2016-03-08 2017-03-07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50A KR102491471B1 (ko)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73A true KR20170104873A (ko) 2017-09-18
KR102491471B1 KR102491471B1 (ko) 2023-01-25

Family

ID=6003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850A KR102491471B1 (ko)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4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668A (ja) * 1994-05-19 1995-11-28 Yutaka Futahashi 電磁式エアーポンプ
JP2007195865A (ja) * 2006-01-30 2007-08-09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KR100792075B1 (ko) 2006-03-07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를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25905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101186602B1 (ko) 2005-08-23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 가열 및 순환식 세탁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 및이를 적용한 세탁기
CN104514122A (zh) * 2013-09-27 2015-04-15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一种絮凝洗衣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668A (ja) * 1994-05-19 1995-11-28 Yutaka Futahashi 電磁式エアーポンプ
KR101186602B1 (ko) 2005-08-23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 가열 및 순환식 세탁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 및이를 적용한 세탁기
JP2007195865A (ja) * 2006-01-30 2007-08-09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KR100792075B1 (ko) 2006-03-07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를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25905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CN104514122A (zh) * 2013-09-27 2015-04-15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一种絮凝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471B1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2704B2 (en) Washing agent pump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19022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ing agent thereof
JP3862549B2 (ja) 乾燥洗濯機
KR20180013535A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세탁건조기 및 그의 건조운전제어방법
KR10205297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32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91471B1 (ko) 세탁물처리장치
KR102493891B1 (ko)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3428338B1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00682B1 (ko) 세탁물처리장치
US10570546B2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TW201516211A (zh) 滾筒式洗衣機
CN113026287A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180031164A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