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55A -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 Google Patents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55A
KR20170104855A KR1020160027811A KR20160027811A KR20170104855A KR 20170104855 A KR20170104855 A KR 20170104855A KR 1020160027811 A KR1020160027811 A KR 1020160027811A KR 20160027811 A KR20160027811 A KR 20160027811A KR 20170104855 A KR20170104855 A KR 2017010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block
rice
drai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083B1 (ko
Inventor
강철석
Original Assignee
(유)남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남광 filed Critical (유)남광
Priority to KR102016002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8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배수로와 이웃 되는 논ㆍ밭을 경계하면서 논ㆍ밭두렁에 둔덕이 없는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의 다수를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설치하면 잡풀이 발생하지 않아 잡풀 제거작업이 필요치 않음은 물론 둔덕이 없어진 만큼 논·밭의 경작지가 면적이 소폭 넓어져 곡물 수확량이 증대되며, 매년 봄에 논ㆍ밭두렁의 둔덕에 잡풀을 태워 인근에 있는 주택, 문화재 시설 등에 큰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가 하며는, 용·배수로의 측면부와 밀착되는 블록의 측면부에는 논에 심는 벼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선택용 용˙배수부가 설치됨으로써, 논의 용ㆍ배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논 바닥의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용·배수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구멍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임의 위치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논을 향하여 살충제와 같은 약제 또는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불어 밭 또는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편, 용·배수블록의 지층에 매설되는 하부베이스가 비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용·배수로의 측면부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일직선으로 용·배수블록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위체인 용·배수블록(100)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논·밭의 경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기둥벽체(111)에는 논에 심는 벼의 생장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쉽게 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위선택 용˙배수부(11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과 중앙보강벽체(122)의 각각에는 설치구멍(123)이 마련되어 살충제와 같은 약제 또는 작물에 살수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체공급부(12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상층부에는 경작인의 통로(131)가 확보된 보행통행부(13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하부는 지층에 매설되면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밀착되고 타측은 논·밭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베이스부(140); 상기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또 다른 용·배수블록(100)이 연이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연결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Water drainage or levee blocks}
본 발명은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배수로와 이웃 되는 논ㆍ밭을 경계하면서 논ㆍ밭두렁에 둔덕이 없는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의 다수를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설치하면 잡풀이 발생하지 않아 잡풀 제거작업이 필요치 않음은 물론 둔덕이 없어진 만큼 논·밭의 경작지가 면적이 소폭 넓어져 곡물 수확량이 증대되며, 매년 봄에 논ㆍ밭두렁의 둔덕에 잡풀을 태워 인근에 있는 주택, 문화재 시설 등에 큰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가 하며는, 용·배수로의 측면부와 밀착되는 블록의 측면부에는 논에 심는 벼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선택용 용˙배수부가 설치됨으로써, 논의 용ㆍ배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논바닥의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용·배수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구멍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임의 위치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논을 향하여 살충제와 같은 약제 또는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불어 밭 또는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편, 용·배수블록의 지층에 매설되는 하부베이스가 비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용·배수로의 측면부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일직선으로 용·배수블록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ㆍ밭두렁은 물이 괴어 있도록 논의 가장자리를 흙으로 둘러막은 작고 얕은 둑으로서,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ㆍ밭두렁(1)은 흙을 북돋우어서 상층부는 평지(2)가 되어 경작인의 보행이 가능하고, 상층부의 평지와 논·밭의 바닥 사이에는 경사진 둔덕(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논ㆍ밭두렁(1)의 지하에는 용·배수로(4)로 흘러가는 용·배수를 논에 공급하거나 배수를 목적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용·배수관(5)이 매설된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흙으로 형성된 논·밭두렁은 흙으로 축조되어 있다 보니 우기 때 폭우 또는 잦은 비에 의해 논·밭으로 흙이 쉽게 쓸려 내려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허물어진 논·밭두렁을 원상복귀하기 위하여 경작인의 노동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흙으로 축조된 논·밭두렁의 경사진 둔덕에는 유기질의 영양분이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잡풀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경작인은 둔덕에 있는 잡풀이 논으로 침입하게 전에 이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특히 용·배수로(4)에서 흐르는 용·배수의 수위가 논의 담수 된 논물 수위보다 높으면 논에 심은 벼가 잠기기 때문에 경작인은 용·배수관(5)을 차단하는 도구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막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흙으로 된 논·밭두렁의 다양한 문제점에 대응하는 선행기술로는 특허공개 2003-0091877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논두렁의 일측벽과 상면 절반에 밀착되고, 그 상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이 밀착 시공된 반대편 측벽과 나머지 상면 절반에 밀착되고, 그 상단에 제1패널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제2패널로 이루어져 논두렁의 상면 및 측벽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의해 논두렁 덮개판은 그 내부에서 잡초가 생장할 수 없으므로, 별도로 경작인이 잡초를 일일이 제거하지 않아도 되며, 논의 내부에 벼의 생장을 위해 저장된 저장수의 누수를 방지하며, 논두렁을 빈번하게 재정비할 필요가 없고, 논두렁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논바닥에 심어진 벼의 생장에 속도에 따라 논바닥에 담수되어 있는 논물의 수위조절을 하여야 하는바 이에 따른 용·배수구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 별도로 설치된 용·배수구에 용·배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경작인이 자연적으로 터득한 농법으로 용·배수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논·밭두렁의 경사진 둔덕에 해당된 제1~2패널이 완만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만큼에 논바닥이 점령되어 있어 곡물의 수확량이 감소가 됨은 물론, 논 개간을 할 때 이용되는 트랙터가 경사진 둔덕이 방해되어 논의 가장자리의 개간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논·밭두렁에 대하여 상, 하측부가 동일한 폭을 갖는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을 기제작하여 경작지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제작된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에는 논에 심는 벼의 생장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쉽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선택 용˙배수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구멍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임의 위치에 살충제와 같은 약제를 살포하는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용·배수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약제의 살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밸브에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더불어 밭 또는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의 지층에 매설되는 하부베이스가 비대칭으로 되어 있어 일측에는 용·배수로의 측면부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일직선으로 용·배수블록의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논·밭두렁의 경사진 둔덕이 없는 블록을 제공함으로서, 논·밭의 경작지가 소폭 넓어져 곡물의 수확량이 증대됨은 물론, 논을 개간을 할 때 이용되는 트랙터가 블록의 근접된 위치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위체인 용·배수블록(100)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논·밭의 경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기둥벽체(111)에는 논에 심는 벼의 생장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쉽게 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위선택 용˙배수부(11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과 중앙보강벽체(122)의 각각에는 설치구멍(123)이 마련되어 살충제와 같은 약제 또는 작물에 살수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체공급부(12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상층부에는 경작인의 통로(131)가 확보된 보행통행부(13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하부는 지층에 매설되면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밀착되고 타측은 논·밭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베이스부(140);
상기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또 다른 용·배수블록(100)이 연이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연결부(150)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선택 용˙배수부(110)은 기둥벽체(111)의 폭과 동일직경을 가지면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매입되되 기둥벽체(111)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부 노출되는 수위선택용배관(112);
상기 수위선택용배관(112)과 상기 측면벽체(201)를 관통하여 연결되되 논·밭에 용·배수가 가능한 수위조절용 용·배수유닛(113)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공급부(120)에는 유체공급라인(124)이 구비되되 유체공급라인(124)의 일정한 간격마다 T 연결밸브(125)가 연결되고,
상기 T연결밸브(125)의 단부에 결합된 L보(126)에는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를 가지면서 개폐밸브(127)가 포함된 분사구(128)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행통행부(130)는 상기 통로(131)에 고여진 빗물에 의해 경작인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132);
상기 통로(13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경작인이 통로(131)에서 미끄러져 용·배수블록(100)의 외부로 낙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돌기(133);
상기 추락방지돌기(133)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시키는 배수홈(134)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베에스부(140)의 일측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밀착되는 제1베이스(141a)와 타측은 논·밭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2베이스(141b)를 포함하는 베이스지지대(141)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연결부(150)는 일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수직의 이음돌기(151)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타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수직의 이음홈(152)이 반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이음홈(152)의 중앙에는 보조충진홈(152a)이 구비되며, 상기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연결구멍(153)이 형성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용 용·배수유닛(113)에는 수위선택용배관(112)과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를 관통하는 수평연결관(114);
상기 수평연결관(114)의 내경으로 삽입되되 내경에 마련된 결림환턱(114a)에서 제동되는 직교연결관(115);
상기 수평연결관(114)의 외경에 돌출되어 회전링(116)과 밀착되는 보강리브(114b);
상기 직교연결관(115)에 구비된 고정리브(115a)와 상기 회전링(116)을 관통하여 상기 직교연결관(115)의 회전과 고정이 교번되도록 하는 연결부재(117)가 포함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선택용배관(112)을 관통하는 수평연결관(115)의 관통 높이는 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최고높이(h1)와 논에 담수 된 논물을 배수하기 위한 최저높이(h2)로 하여 수위선택용배관(112)의 높이(h)가 설정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17)는 볼트봉(117a)과 너트(117b)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이음홈(152)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이음돌기(151)가 결합되되 소정의 틈새에는 용·배수블록(100)와 용·배수블록(100)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되며, 상기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연결구멍(153)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의 연결구멍(153)과 밀착되어 체결부재(154)로 결합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54)에는 볼트봉(154a)과 너트(154b)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을 기제작하여 경작지에서 현장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가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제작된 용·배수블록에는 논에 심는 벼의 생장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쉽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선택용 용˙배수부가 마련되어 있어, 기존과 같이 제1, 2벽체에 용·배수구를 추가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또한 용·배수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구멍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임의 위치에 살충제와 같은 약제를 살포하는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용·배수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약제의 살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과 아울러, 연결밸브에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더불어 밭 또는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기존과 같이 경작인이 펌프와 연결된 긴 호스를 끌어 당겨와 일일이 약재와 살수를 분사하는 작업이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용·배수블록의 지층에 매설되는 하부베이스가 비대칭으로 마련되어 일측에는 용·배수로의 측면부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일직선으로 용·배수블록의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논·밭두렁의 경사진 둔덕이 없는 용·배수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논·밭의 경작지가 소폭 넓어져 곡물의 수확량이 증대됨은 물론, 논을 개간 할 때 이용되는 트랙터가 용·배수블록의 근접위치까지 접근하여 개간할 수 있고, 특히 용·배수블록에 경사진 둔덕이 형성되어 있어 않아 잡풀이 발생 되지 않으며, 매년 봄에 잡풀을 태워 근처 야산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논·밭두렁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체인 용·배수블록에 수위선택용 용˙배수부에 결합되는 수위조절 용·배수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용수로에서 용수를 공급할 때에 수위선택용 용˙배수부에 결합되는 수위조절 용·배수유닛의 설치상태이고,
도 4b는 배수로에서 배수를 배출할 때에 수위선택용 용˙배수부에 결합되는 수위조절 용·배수유닛의 설치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배수블록에 구비된 수위조절 용·배수유닛이 결합된 측면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배수블록에 구비된 수위조절 용·배수유닛의 작용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용·배수블록들이 상호 연결되어 정방형으로 나타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용·배수블록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밭두렁 용·배수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배수블록(100)은 수위선택용 용˙배수부(110), 유체공급부(120),보행통행부(130), 하부베이스부(140) 및 블록연결부(15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수위선택용 용˙배수부(110)는 논에 심는 벼의 생장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쉽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기둥벽체(111)의 폭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매입되되 기둥벽체(111)에 길이방향으로 일부 노출되는 수위선택용배관(112)이 마련되고, 상기 수위선택용배관(112)과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를 관통하여 연결되되 논·밭에 용·배수가 가능한 수위조절용 용·배수유닛(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조절용 용·배수유닛(113)에는 수위선택용배관(112)과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를 관통하는 수평연결관(114)이 마련되고 수평연결관(114)의 내경으로는 직교연결관(115)이 삽입되되 수평연결관(114)의 내경에 마련된 결림환턱(114a)에서 직교연결관(115)이 제동된다.
여기서 수평연결관(114)의 관통에 의해 수위선택용배관(112)과 수평연결관(114)간에 발생된 틈새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리콘(s)과 같은 종류의 마감재로 충진시킨다.
또한 수평연결관(114)의 외경에 돌출되어 있는 보강리브(114b)에는 회전링(116)이 밀착되고, 상기 직교연결관(115)에 구비된 고정리브(115a)와 상기 회전링(116)에는 볼트봉(117a)이 관통하여 너트(117b)가 체결되는 연결부재(117)가 결합되어 있다.
참고로 논의 담수 된 논물이 직교연결관(116)의 출입구로 역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봉(117a)에 체결된 너트(117b)를 해체한 뒤 논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직교연결관(11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수위선택용배관(112)을 관통하는 수평연결관(114)의 관통 높이는 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최고높이(h1)로 관통되고, 논에 담수 된 논물을 배수하기 위한 최저높이(h2)로 관통할 수 있도록 수위선택용배관(112)의 높이(h)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120)는 논에 약제를 살포하거나 밭에 용수를 살수 있는 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용·배수블록(100)의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과 중앙보강벽체(122)의 각각에는 설치구멍(123)이 마련되어 유체공급라인(124)이 설치되고 유체공급라인(124)의 일정한 간격마다 T 연결밸브(12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T 연결밸브(125)의 단부에 결합된 L보(126)에는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를 가지면서 개폐밸브(127)가 포함된 분사구(128)로 구성된다.
참고로 분사구(128)의 단부에는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또는 플렉시블 호스와 연결된 분무기(도시 생략) 등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행통행부(130)에는 경작인이 통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경작인의 통행이 확보된 통로(131)에는 고여진 빗물에 의해 경작인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132)가 마련되고, 상기 통로(13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경작인이 통로(131)에서 미끄러져 용·배수블록(100) 외부로 낙상 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돌기(1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추락방지돌기(133)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시키는 배수홈(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베이스부(140)는 지층에 매설되면서 용·배수블록(100)이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하부베이스부(140)에 구비된 베이스지지대(141)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밀착되는 제1베이스(141a)와 타측은 논·밭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2베이스(141b)로 구성된다.
여기서 측면벽체(201)와 제1베이스(141a)가 밀착시키면 직선으로 되어 있는 용·배수로(200)와 동일하게 용·배수블록(100)이 일직선으로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블록연결부(150)는 다수의 용·배수블록(100)을 결합하여 연이어 설치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블록연결부(150)는 일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수직의 이음돌기(151)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타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수직의 이음홈(152)이 반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이음홈(152)의 중앙에는 보조충진홈(152a)이 구비되며, 상기 마감벽면(121)에는 연결구멍(153)으로 단위체인 용·배수블록(100)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이음홈(152)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이음돌기(151)가 결합되되 소정의 틈새에는 용·배수블록(100)와 용·배수블록(100)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되며, 상기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연결구멍(153)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의 연결구멍(153)과 밀착되어 체결부재(154)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배수블록(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직선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된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에는 논에 용수를 공급하거나 논에 담수 된 논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배수로(200)가 설치하게 된다.
즉, 용·배수블록(100)를 기제작한 다음 용·배수로(200)가 있는 측면의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용·배수블록(100)의 하부베이스(140)는 지층에 매입되되 제1베이스(141a)는 일측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밀착되며 제2베이스(141b)는 논·밭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매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벽체(201)와 제1베이스(141a)가 밀착시키면 용·배수블록(100)이 일직선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후에는 논에 심은 벼에 생장의 높이에 따라 용·배수블록(100)에 구비된 수위선택용배관(112)을 수위조절 용·배수유닛(113)에 구비된 수평연결관(114)이 관통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는바, 먼저 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평연결관(114)이 관통의 위치는 첨부도면 도4a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선택용배관(112)의 최고높이(h1)로 관통되되 용수로(200)의 측면벽체(201) 또한 동일한 높이로 천공하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용·배수블록(100)의 기둥벽체(111)에 매입된 수위선택용배관(112)의 일부가 기둥벽체(111)에서 소폭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천공도구(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연결관(115)을 용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수위선택용배관(112)에 설치한 다음 수평연결관(114)의 내경으로 수위조절 용·배수유닛(113)이 결합시킨다.
또한 수평연결관(115)이 수위선텍용배관(112)의 관통에 의해 발생된 틈새는 기밀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S)으로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한편, 논에 담수 된 논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수평연결관(114)이 관통의 위치는 첨부도면 도4b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선택용배관(112)의 최저높이(h2)로 관통하되 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 또한 동일한 높이로 천공하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용·배수블록(100)의 기둥벽체(111)에 매입된 수위선택용배관(112)의 일부가 기둥벽체(111)에서 소폭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천공도구를 이용하여 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연결관(115)을 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수위선택용배관(112)에 설치한 다음 수평연결관(114)의 내경으로 수위조절 용·배수유닛(113)이 결합시킨다.
또한 수평연결관(114)이 수위선텍용배관(112)의 관통에 의해 발생된 틈새는 기밀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S)으로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위체인 용·배수블록(100)를 설치한 다음 다수의 용·배수블록(100)를 연이어 설치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7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연결부(150)에 이음홈(152)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이음돌기(151)가 결합되되 소정의 틈새에는 다수의 용·배수블록(100)이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되며, 추가로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연결구멍(153)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의 연결구멍(153)을 밀착시켜 체결부재(154)인 볼트봉(154a)과 너트(154b)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용·배수블록(100)을 연이어 설치한 다음 용·배수블록(100)의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과 중앙보강벽체(122)의 각각에 마련된 설치구멍(123)에 유체공급라인(124)을 설치하고 유체공급라인(124)의 일정한 간격마다 T 연결밸브(125)가 결합되며 T 연결밸브(125)의 단부에 결합된 L보(126)에는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를 가지면서 개폐밸브(127)가 포함된 분사구(128)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분사구(128)의 단부에는 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또는 플렉시블 호스와 연결된 분무기 등이 연결하여 논을 향하여 약제의 살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과 아울러, 연결밸브에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더불어 밭 또는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배수블록 110: 수위선택용 용˙배수부
111: 기둥벽체 112: 수위선택용배관
113: 수위조절용 용·배수유닛 114: 수평연결관
114a: 걸림환턱 114b: 보강리브
115: 직교연결관 115a: 고정리브
116: 회전링 117: 연결부재
117a: 볼트봉 117b: 너트
120: 유체공급부 121: 마감벽면
122: 중앙보강벽체 123: 설치구멍
124: 유체공급라인 125: T 연결밸브
126: L보 127: 개폐밸브
128: 분사구 130: 보행통행부
131: 통로 132: 미끄럼방지돌기
133: 추락방지돌기 134: 배수홈
140: 하부베이스부 141: 베이스지지대
141a: 제1베이스 141b: 제2베이스
150: 블록연결부 151: 이음돌기
152: 이음홈 152a: 보조충진홈
153: 연결구멍 154: 체결부재
154a: 볼트봉 154b: 너트
M: 모르타르 200: 용·배수로
201: 측면벽체

Claims (11)

  1. 단위체인 용·배수블록(100)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논·밭의 경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기둥벽체(111)에는 논에 심는 벼의 생장의 높이에 따라 용ㆍ배수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쉽게 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위선택 용˙배수부(11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과 중앙보강벽체(122)의 각각에는 설치구멍(123)이 마련되어 살충제와 같은 약제 또는 작물에 살수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체공급부(12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상층부에는 경작인의 통로(131)가 확보된 보행통행부(130);
    상기 용·배수블록(100)의 하부는 지층에 매설되면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밀착되고 타측은 논·밭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베이스부(140); 및
    상기 양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또 다른 용·배수블록(100)이 연이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연결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선택용 용˙배수부(110)은 기둥벽체(111)의 폭과 동일직경을 가지면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매입되되 기둥벽체(111)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부 노출되는 수위선택용배관(112);
    상기 수위선택용배관(112)과 상기 측면벽체(201)를 관통하여 연결되되 논·밭에 용·배수가 가능한 수위조절용 용·배수유닛(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120)에는 유체공급라인(124)이 구비되되 유체공급라인(124)의 일정한 간격마다 T 연결밸브(125)가 연결되고, 상기 T연결밸브(125)의 단부에 결합된 L보(126)에는 유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를 가지면서 개폐밸브(127)가 포함된 분사구(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통행부(130)는 상기 통로(131)에 고여진 빗물에 의해 경작인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132);
    상기 통로(13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경작인이 통로(131)에서 미끄러져 블록본체(100) 외부로 낙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돌기(133);
    상기 추락방지돌기(133)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시키는 배수홈(1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에스부(140)의 일측은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와 밀착되는 제1베이스(141a)와 타측은 논·밭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2베이스(141b)를 포함하는 베이스지지대(141)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연결부(150)는 일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수직의 이음돌기(151)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타측단부의 마감벽면(121)에는 수직의 이음홈(152)이 반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이음홈(152)의 중앙에는 보조충진홈(152a)이 구비되며, 상기 마감벽면(121)에는 연결구멍(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용 용·배수유닛(113)에는 수위선택용배관(112)과 용·배수로(200)의 측면벽체(201)를 관통하는 수평연결관(114);
    상기 수평연결관(114)의 내경으로 삽입되되 내경에 마련된 결림환턱(114a)에서 제동되는 직교연결관(115);
    상기 수평연결관(114)의 외경에 돌출되어 회전링(116)과 밀착되는 보강리브(114b);
    상기 직교연결관(115)에 구비된 고정리브(115a)와 상기 회전링(116)을 관통하여 상기 직교연결관(115)의 회전과 고정이 교번되도록 하는 체결된 연결부재(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7)는 볼트봉(117a)과 너트(1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선택용배관(112)을 관통하는 수평연결관(115)의 관통 높이는 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최고높이(h1)와 논에 논물을 배수하기 위한 최저높이(h2)로 하여 수위선택용배관(112)의 높이(h)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이음홈(152)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이음돌기(151)가 결합되되 소정의 틈새에는 용·배수블록(100)와 용·배수블록(100)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되며, 상기 블록연결부(150)에 마련된 연결구멍(153)에 또 다른 블록연결부(150)의 연결구멍(153)과 밀착되어 체결부재(154)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54)에는 볼트봉(154a)과 너트(154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KR1020160027811A 2016-03-08 2016-03-08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KR10192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11A KR101925083B1 (ko) 2016-03-08 2016-03-08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11A KR101925083B1 (ko) 2016-03-08 2016-03-08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55A true KR20170104855A (ko) 2017-09-18
KR101925083B1 KR101925083B1 (ko) 2019-02-27

Family

ID=6003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811A KR101925083B1 (ko) 2016-03-08 2016-03-08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5941A (zh) * 2019-02-27 2019-05-17 浙江托普云农科技股份有限公司 田间水位控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1930U (ko) * 1987-04-13 1988-10-21
KR200429382Y1 (ko) *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20100036044A (ko) * 2008-09-29 2010-04-07 김태옥 농기구용 선로가 구비된 논두렁 블럭
KR100954295B1 (ko) * 2009-07-13 2010-04-26 이영암 논두렁 구축용 블록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1930U (ko) * 1987-04-13 1988-10-21
KR200429382Y1 (ko) *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20100036044A (ko) * 2008-09-29 2010-04-07 김태옥 농기구용 선로가 구비된 논두렁 블럭
KR100954295B1 (ko) * 2009-07-13 2010-04-26 이영암 논두렁 구축용 블록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5941A (zh) * 2019-02-27 2019-05-17 浙江托普云农科技股份有限公司 田间水位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083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746B2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US5938372A (en) Subsurface irrig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132362B2 (en) Plant watering systems
KR101644630B1 (ko) 농사용 공기주입장치
KR101054882B1 (ko) 지중 관배수시스템
KR20090005273A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US20050135880A1 (en) Root zone injection surface irrigation system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KR101925083B1 (ko)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KR101330833B1 (ko) 다기능 생력농기계
KR20110114438A (ko) 지중 관·배수 시스템
KR101925082B1 (ko)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KR20090067892A (ko) 계단식 농작물 재배장치
KR20160034615A (ko) 벽체 녹화용 조경식재 구조체
KR200464414Y1 (ko) 토양의 공기 및 영양분 공급장치
US11647705B2 (en) In-ground agricultural liquid capture tray and agricultural liquid conservation system
US686584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er plant production
KR20150027537A (ko) 집수실을 형성한 매설형 배수물꼬
JP5187752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重管ユニット
RU5182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почвенного орошения растений и защиты посадок от сор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US20110182667A1 (e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
JP5921402B2 (ja) 水田への水供給方法
KR101056180B1 (ko) 벽면부착형 식물재배기
RU2581243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оливной системы культурного газона
JP2558189B2 (ja) ゴルフ場のグリーン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