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13A -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 Google Patents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13A
KR20170104813A KR1020160027693A KR20160027693A KR20170104813A KR 20170104813 A KR20170104813 A KR 20170104813A KR 1020160027693 A KR1020160027693 A KR 1020160027693A KR 20160027693 A KR20160027693 A KR 20160027693A KR 20170104813 A KR20170104813 A KR 2017010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e
fire
safet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593B1 (ko
Inventor
박용근
Original Assignee
박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근 filed Critical 박용근
Priority to KR102016002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59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 좌, 우, 전, 후로 통기 가능하며, 수납 공간이 구비된 장비함 본체에 수용되는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거꾸로 세워진 한 켤레의 소방용 안전화를 지지하는 제1 유닛과, 가열된 에어를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취출하고 복귀시키면서 탈취 및 제습을 실시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여, 소방용 안전화의 확실한 건조가 가능함은 물론, 개인 장비의 건조 및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MOVABLE PERSONAL TOOLBOX WITH DRYER OF SAFETY SHOES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 안전화의 확실한 건조가 가능함은 물론, 개인 장비의 건조 및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장갑, 방화복, 공기호흡기용 면체 등의 소방용구는 작업장소의 특수성상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방용구들은 화재 진압시 화재 현장에서 각종 먼지나 그을음, 연소 분진, 땀 등으로 심하게 오염되게 되므로 화재진압 후에는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소방용품을 빠르게 건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164호의 "소방용품 건조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모터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온풍을 발생시켜 신발, 장갑, 방화복, 공기호흡기용 면체 등의 소방용구를 건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폐열로부터 발생된 온풍을 순환시켜 소방용구를 신속하게 건조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모터 가동 등 각종 장치의 가동에 따른 전력 및 에너지 소비가 여전히 많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1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방용 안전화의 확실한 건조가 가능함은 물론, 개인 장비의 건조 및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 하, 좌, 우, 전, 후로 통기 가능하며, 수납 공간이 구비된 장비함 본체; 상기 장비함 본체에 수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거꾸로 세워진 한 켤레의 소방용 안전화를 지지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 유닛에 구비되고, 가열된 에어를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취출하고 복귀시키면서 탈취 및 제습을 실시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비함 본체는, 상기 수납 공간의 후방 측면을 형성하는 배면 프레임과, 상기 수납 공간의 좌, 우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수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체와, 상기 배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의 내부 영역에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배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의 지지 바와, 상기 지지 바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의 회동 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된 에어는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상기 지지 바 및 상기 회동 바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단부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 거꾸로 세워진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발목 또는 다리 부위를 상단부 가장자리가 밀착 고정하는 밀폐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발열하는 히터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를 거쳐 상기 베이스측으로 되돌아오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탈취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 좌, 우, 전, 후로 통기 가능하며, 수납 공간이 구비된 장비함 본체에 수용되는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거꾸로 세워진 한 켤레의 소방용 안전화를 지지하는 제1 유닛과, 가열된 에어를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취출하고 복귀시키면서 탈취 및 제습을 실시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소방용 안전화의 확실한 건조가 가능함은 물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개인 장비의 건조 및 청결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중 주요부인 베이스와 제1, 2 유닛 및 제1 유닛에 고정 지지될 소방용 안전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중 주요부인 베이스와 제1, 2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중 주요부인 베이스와 제1, 2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중 주요부인 베이스(500)와 제1, 2 유닛(100, 200) 및 제1 유닛(100)에 고정 지지될 소방용 안전화(4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중 주요부인 베이스(500)와 제1, 2 유닛(100, 200)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중 주요부인 베이스(500)와 제1, 2 유닛(100, 200)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제2 유닛(200) 중 블로워(210)로 강제 취출되고 가열된 에어의 유동을, 점섬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베이스(500)측으로 되돌아가면서 수분을 흡수한 에어의 유동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함 본체(300)에 베이스(500) 및 제1, 2 유닛(100, 200)을 포함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장비함 본체(300)는 상, 하, 좌, 우, 전, 후로 통기 가능하며, 수납 공간이 구비된 것으로, 후술할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의 베이스가 수납되는 공간 및 안전복(610)과 안전모(620) 등의 개인 장비가 수납되는 공간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통기를 허용함으로써 개인 장비의 세척후 자연스런 통기에 의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베이스(500)는 장비함 본체(300)에 수용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1, 2 유닛(100, 200)이 장착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유닛(100)은 베이스(5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거꾸로 세워진 한 켤레의 소방용 안전화(4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베이스(500) 및 제1 유닛(100)에 구비되고, 가열된 에어를 제1 유닛(100)을 통하여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로 취출하고 복귀시키면서 탈취 및 제습을 실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장비함 본체(300)는,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납 공간의 후방 측면을 형성하는 배면 프레임(310)과, 수납 공간의 좌, 우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320, 320)과, 수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장비함 본체(300)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320, 320)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체(340)와, 배면 프레임(310)과 한 쌍의 측면 프레임(320, 320) 및 바닥 프레임(330)의 내부 영역에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배면 프레임(310)과 한 쌍의 측면 프레임(320, 320) 및 바닥 프레임(330)에 고정되는 지지 와이어(35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와이어(350)들은 수납 공간의 상, 하, 좌, 우, 전, 후방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배면 프레임(310)과 한 쌍의 측면 프레임(320, 320) 및 바닥 프레임(330)의 구조적 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 와이어(350)들은 장비함 본체(300)의 상, 하, 좌, 우, 전, 후방면에 걸쳐 내, 외측으로 통기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복(610)이나 안전모(620) 등 개인 장비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한 통기 경로 또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장비함 본체(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병렬 배치되어지되, 이동 및 운반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장비함 본체(300) 하부측에 배치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캐스터(360, caster)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장비함 본체(300)에는 선반체(34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측면 프레임(320, 320)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소방용 안전복(610)을 포함하여 장갑이나 기타 장비 등을 거치 가능한 걸이봉(3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단부는 베이스(500)에 고정되어 제2 유닛(200)의 일부와 연결되며, 베이스(5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의 지지 바(110)와, 지지 바(110)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 바(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의 회동 바(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열된 에어는 후술할 제2 유닛(200)으로부터 지지 바(110) 및 회동 바(12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후술할 제2 유닛(200) 중 에어를 가열시키는 부분은 지지 바(110)와 회동 바(120)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가열된 에어가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지지 바(110)의 전, 후, 좌, 우 측면에 지지 바(1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 바(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관통되는 복수의 제1 취출 슬롯(1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가열된 에어가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회동 바(120)의 상, 하, 좌, 우 측면에 회동 바(1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회동 바(1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관통되는 복수의 제2 취출 슬롯(1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지지 바(1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회동 바(120)를 연결하며, 회동 바(120)가 지지 바(11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힌지부(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힌지부(130)는 지지 바(110) 및 회동 바(120)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하는 연통로(이하 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발열하는 히터(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베이스(500)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유닛(100)을 통하여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베이스(500)의 상부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유닛(100)을 통하여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를 거쳐 베이스(500)측으로 되돌아오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탈취 필터(2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열된 에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확실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밀폐구(7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밀폐구(700)는 베이스(500)의 상면에 하단부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탈취 필터(220)의 외곽 영역을 에워싸고, 베이스(500)에 거꾸로 세워진 소방용 안전화(400)의 발목 또는 다리 부위를 상단부 가장자리가 밀착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밀폐구(700)는, 베이스(500)의 상면에 하단부 가장자리가 고정되며 신축 가능한 주름관(710)과, 주름관(71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신축 가능하며, 소방용 안전화(400)의 발목 또는 다리 부위에 밀착 가능한 밀착 밴드(72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유닛(200)은, 도 3과 같이 블로워(210)로 강제 취출되고 히터로 가열된 에어가 베이스(500)측으로 되돌아 오면서 흡수한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제2 유닛(200)은, 탈취 필터(22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베이스(500)에 내장되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로를 형성하는 포집 호퍼(230)와, 포집 호퍼(23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포집 공간이 형성되는 포집 박스(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포집 박스(240)에 안착되어 베이스(500)의 점검 도어(510)를 통하여 교체 가능한 탈취 제습 패드(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4와 같이 블로워(210)로 강제 취출되고 히터로 가열된 에어가 베이스(500)측으로 되돌아 오면서 흡수한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의 제공 또한 가능하다.
즉, 제2 유닛(200)은 전술한 포집 호퍼(230) 및 포집 박스(240)와 함께, 포집 박스(240)와 연결되는 배출 배관(260)과, 배출 배관(260)상에 장착되어 배출 배관(260)의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2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로 자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UV 램프(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소방용 안전화(400)의 내부를 살균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방용 안전화의 확실한 건조가 가능함은 물론, 개인 장비의 건조 및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지지 바
111...제1 취출 슬롯
120...회동 바
122...제2 취출 슬롯
130...힌지부
200...제2 유닛
210...블로워
220...탈취 필터
230...포집 호퍼
240...포집 박스
250...탈취 제습 패드
260...배출 배관
270...전자 밸브
300...장비함 본체
310...배면 프레임
320, 320...측면 프레임
330...바닥 프레임
340...선반체
350...지지 와이어
360...캐스터
370...걸이봉
400...소방용 안전화
500...베이스
610...안전복
620...안전모
700...밀폐구
710...주름관
720...밀착 밴드

Claims (5)

  1. 상, 하, 좌, 우, 전, 후로 통기 가능하며, 수납 공간이 구비된 장비함 본체;
    상기 장비함 본체에 수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거꾸로 세워진 한 켤레의 소방용 안전화를 지지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 유닛에 구비되고, 가열된 에어를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취출하고 복귀시키면서 탈취 및 제습을 실시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함 본체는,
    상기 수납 공간의 후방 측면을 형성하는 배면 프레임과,
    상기 수납 공간의 좌, 우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수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체와,
    상기 배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의 내부 영역에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배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의 지지 바와,
    상기 지지 바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의 회동 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된 에어는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상기 지지 바 및 상기 회동 바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단부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 거꾸로 세워진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발목 또는 다리 부위를 상단부 가장자리가 밀착 고정하는 밀폐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발열하는 히터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닛을 통하여 상기 소방용 안전화의 내부를 거쳐 상기 베이스측으로 되돌아오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탈취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KR1020160027693A 2016-03-08 2016-03-08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KR10178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93A KR101784593B1 (ko) 2016-03-08 2016-03-08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93A KR101784593B1 (ko) 2016-03-08 2016-03-08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13A true KR20170104813A (ko) 2017-09-18
KR101784593B1 KR101784593B1 (ko) 2017-10-12

Family

ID=6003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693A KR101784593B1 (ko) 2016-03-08 2016-03-08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579B1 (ko) * 2021-09-13 2022-03-10 주식회사 중화정밀 소방장구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525A (ko) 2022-06-27 2024-01-03 노진문 헬멧 자동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9473A (en) * 1994-06-23 1996-09-24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Multi-rang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0761389B1 (ko) * 2006-04-28 2007-10-04 이성열 소방관 방화방수복, 방수화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579B1 (ko) * 2021-09-13 2022-03-10 주식회사 중화정밀 소방장구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593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9057T3 (es) Surtido de soportes y aparato de limpieza para la limpieza de aparatos de respiración
KR101148973B1 (ko) 방독마스크용 면체 소독 건조장치
KR101784593B1 (ko)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TWI496968B (zh) 衣物處理裝置
CA2740742C (e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items
KR20120052521A (ko) 자외선건조소독기
KR101068655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US20150113824A1 (en) Drying cabinet for clothing and sports equipment
KR20090109949A (ko)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KR100761389B1 (ko) 소방관 방화방수복, 방수화 건조기
JP2003190072A (ja) 乾燥装置
KR20140101641A (ko) 스탠드형 간이 건조기
CN107034646B (zh) 一种船用衣物干燥杀菌除臭装置
US11725333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preventing water from condensing on inner side of door and method for drying inner side of door using same
CN114009944B (zh) 一种应急消防个人防护装备快速备勤柜
KR20140107876A (ko) 신발 살균 및 건조기
KR20100000164U (ko) 소방용품 건조장치
CN108634605A (zh) 一种具有杀菌作用的劳保用品存放装置
KR100746636B1 (ko) 소방용품 건조장치
KR20130103479A (ko) 자동 도어 닫힘 기능을 구비한 살균탈취건조장치
KR10156897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보호구용 살균 건조 보관함
CN210036089U (zh) 一种消防护具处理装置
JP2003265897A (ja) 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