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411A -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411A
KR20170104411A KR1020170058081A KR20170058081A KR20170104411A KR 20170104411 A KR20170104411 A KR 20170104411A KR 1020170058081 A KR1020170058081 A KR 1020170058081A KR 20170058081 A KR20170058081 A KR 20170058081A KR 20170104411 A KR20170104411 A KR 2017010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ommunication
energy
communication device
interrupt signal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각
윤용은
Original Assignee
드림비전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비전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드림비전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411A/ko
Publication of KR2017010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고, 활성화 모드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딥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활성화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전력 관리 프로세서; 및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의 외부에 위치하고,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ON AND OFF CONTROL OF BLUETOOTH DEVICE}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 기기와 간헐적, 비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에서는 데이터를 받기 위하여 항상 통신모듈의 전원을 켠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각 장치마다 효과적인 전력 관리(PM, Power Management)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특히 휴대용 기기인 경우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배터리의 지속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라도 효과적인 전력 관리 기법이 필요하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목적을 반영하여 전원이 켜져 있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종래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6214호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의 블루투스 온오프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 핸즈프리 통화와 이동 전화 통화를 변경함으로써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시스템의 블루투스 기능을 온/오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차량 내부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전계강도) 레벨을 검출하는 차량 내 RSSI 검출부와 차량 외부의 RSSI 레벨을 검출하는 차량 외 RSSI 검출부를 포함하고,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RSSI 레벨과, 차량 내 RSSI 레벨 및 차량 외 RSSI 레벨에 근거하여 이동 전화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지를 판단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즉, 차량에 탑재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차량 내 RSSI 와 차량 외 RSSI를 검출하고, 이동 전화에 탑재된 블루투스 모듈이 송출하는 RSSI 레벨을 검출하여 이동 전화가 차량 내부에 있으면 블루투스 페어링 기능을 온 시키고, 이동 전화가 차량 외부에 있으면 블루투스 페어링 기능을 오프 시킨다.
그런데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는 이동 전화의 입장에서는 차량 내부에 있든 외부에 있든 블루투스 기능 자체가 차단되는 것은 아니고 블루투스의 RSSI 신호를 계속 송출해야 하는 것이므로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으로 인하여 전력이 계속 소모된다.
주기적인 충전이 고려되는 이동 전화의 경우에는 상기 선행기술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한번의 충전으로 장기적인 사용을 전제로 하는 블루투스 비콘(beacon)의 경우에는 상기 선행기술의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한편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서 디바이스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방법으로는 외부 입출력 핀(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등 별도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디바이스의 전력 제어 핀(Power Control Pin)에 할당하여 제어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시스템의 가용 하드웨어 리소스와 디바이스의 외부 전력 제어핀이 설계 단계에서부터 미리 고려되어야 한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417호 "블루투스 장치의 전력소모 관리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 선행기술에서는 블루투스 호스트와 블루투스 컨트롤러 및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HCI, Host Controller Interface)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장치가 소개된다. 상기 제2 선행기술에서는 HCI 드라이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값을 가지는 타이머를 생성하여 진행하면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HCI 드라이버가 타이머 만료 전에 트래픽을 검출하고, 블루투스 컨트롤러에 패킷 송수신 명령을 전달하여 블루투스 컨트롤러에 피드백(feedback) 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2 선행기술에서는 트래픽 검출 없이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HCI 드라이버가 블루투스 컨트롤러로 딥 슬립(Deep Sleep) 신호를 전달하여 블루투스 컨트롤러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선행기술에 의하더라도 여전히 블루투스 통신 장치에 탑재된 타이머 장치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며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한다. 블루투스 장치가 딥 슬립 모드에 진입하더라도 나중에 딥 슬립 모드에서 이탈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타이머 장치의 주기적인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딥 슬립 모드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고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4417호 (공개일 2012.12.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6214호 (공개일 2012.06.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춘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작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신분증, 사원증과 같은 카드 타입의 통신 장치 또는 웨어러블 비콘(wearable beacon)으로서 배터리로 동작하는 경우에 배터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소모되도록 하고, 대상 장소를 이탈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딥 슬립 모드와 활성화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과정을 내부 배터리의 전력 소모 없이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웨어러블 비콘과 같은 본 발명의 적용 예에서 배터리는 한번 충전된 이후 재충전이 쉽지 않거나 배터리의 교체가 쉽지 않을 수 있으므로, 최초의 충전된 배터리를 최대한 긴 시간 동안 재충전 없이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인터럽트 신호 생성 과정에서 우연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의도되지 않은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될 가능성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장치가 특정 위치 공간에 종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위치 비콘과 연계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공간의 보안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는 출입에 따른 외부 자극을 수신하여 스스로의 상태를 Deep Sleep과 Wake-Up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외부자극 수신부와 수신된 신호를 이용한 에너지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검출부, 블루투스 통신 모듈(BLE 모듈)과 전력 관리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검출부는 수동 조사 기반으로 구현되어 패턴에 맞는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신호 처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는 웨어러블 비콘이나 카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력 관리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자극 수신부는 수동 소자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 없다.
검출부는, 특정 공간에 종속되어 설치되는 외부의 소스 (Ex. Location Beacon과 연계되는 RFID Tag/포토 다이오드 등) 와 인터랙션하여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외부자극 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인터럽트 신호는 에너지 검출을 기본으로 하나 추가적으로 기준 위치 이탈에 대한 논리적 판단도 고려하여 생성된다. 수신된 신호가 라디오 주파수인 경우 코일형 안테나에서, 광에너지인 경우 포토 센서에서 에너지 검출의 역할을 담당한다.
전력 관리 프로세서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고,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 하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모드로 진입한다.
딥 슬립 모드 진입 시 인터럽트 신호는, 검출부의 에너지 검출을 기본 전제로 하고 기준 위치 이탈에 대한 논리적 판단이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생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딥 슬립 모드 탈출 시에는 프로세서에서의 논리적 판단 없이 검출부의 에너지 검출만으로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딥 슬립 모드에서 탈출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보유자가 특정 공간을 이탈하고 있는지 진입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가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면, 통신 기능 및 수신 신호의 세기 측정을 이용한 실내 위치를 추적하는 실내 위치 추적 모듈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비컨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길어지고 빈번한 충전의 불편함을 줄여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신분증, 사원증과 같은 카드 타입의 통신 장치 또는 웨어러블 비콘(wearable beacon)으로서 배터리로 동작하는 경우에 배터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소모되도록 하고, 대상 장소를 이탈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 따르면 딥 슬립 모드와 활성화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과정을 내부 배터리의 전력 소모 없이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인터럽트 신호 생성 과정에서 우연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의도되지 않은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될 가능성을 낮추어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가 특정 위치 공간에 종속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위치 비콘과 연계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이용한 위치/공간의 보안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활성화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활성화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딥 슬립 모드 진입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딥 슬립 모드 진입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의 특정 이벤트 검출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딥 슬립 모드의 진입과 탈출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소개된 길이, 높이, 크기, 폭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블루투스 통신 모듈/BLE 모듈(120), 배터리(130), 에너지 검출 회로(140), 및 외부 자극 수신부(150)를 포함한다. 에너지 검출 회로(140) 및 외부 자극 수신부(150)는 외부의 에너지 유입을 검출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구현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는 카드, 태그(tag) 형태의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적용 예로는 출입자가 사용하는 신분증/사원증/출입증일 수도 있고, 소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웨어러블 비콘(wearable beacon)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전반의 전력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은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내에 포함되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즉,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주변의 로케이션 비콘(location beacon)을 인식하고, 상호 식별하며 데이터를 주고받는 등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라 불리는 블루투스 4.0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140) 및 외부 자극 수신부(15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세서(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 자극 수신부(15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형 안테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외부의 RF 소스로부터 RF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이때 여기되는 기전력에 의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 검출 회로(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RF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RF 전자기파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 내의 전자기파일 수 있으며, 노이즈와 구분하기 위하여 미리 약속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외부 자극 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반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외부 자극 수신부(150)에 유도된 전기 신호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일 때 이를 검출할 수 있다. 외부 자극 수신부(150)에 유도된 전기 신호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외부 소스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가 외부 자극 수신부(150)로 유입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외부 자극 수신부(150)에 유도된 전기 신호가 단순한 노이즈인지 또는 유의미한 외부 입력인지를 검출하는 간단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유의미한 외부 입력을 검출했을 때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10)에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130)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프로세서(110)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30)는 외부 자극 수신부(150)에 유도된 기전력을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충전할 수도 있다.
외부 자극 수신부(150) 및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외부의 에너지 소스로부터 외부 자극 수신부(150)로 유입되는 에너지에 의존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럽트 신호에 기반하여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상태를 ON/OFF 제어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가 ON인 경우에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상태를 OFF로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가 OFF인 경우에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상태를 ON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전체가 딥 슬립(Deep Sleep)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을 OFF시키고,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의 전원 관리 상태를 딥 슬립 모드로 설정하며, 프로세서(110) 자신도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와 반대되는 상태로 Toggle시킬 수도 있고,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주변 환경을 분석하여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를 변화시킬 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 프로세서(110)의 현재 상태 또한 딥 슬립 모드일 가능성이 높다. 이때 프로세서(110)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딥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Wake-up)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을 ON시킬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가 ON인 경우에 프로세서(110)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기준 위치를 이탈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판단을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에 명령하거나,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기준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에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을 OFF시키고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현재 상태가 ON인 경우에 프로세서(110)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기준 위치를 이탈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로부터 위치 비콘(location beacon)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은 이전 RSSI와 인터럽트 신호 수신 이후의 RSSI를 비교하여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기준 위치를 이탈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근거를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은 RSSI 히스토리 정보를 프로세서(110)에 전달하고 프로세서(110)가 위치 이탈에 대한 모든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에서 이전 RSSI와 현재 RSSI를 비교하여 위치 이탈에 대한 판단 결과를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RSSI 분석을 위하여 BLE 표준의 Observer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BLE Observer 기능을 상시 활성화하는 경우의 소모 전력이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없으므로 배터리(130)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에서 비콘 신호를 상시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간격과 횟수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SSI 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값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의 보유자가 정지한 상태로 간주하고 RSSI 검출 주기를 늘이고 검출 횟수를 줄이도록 변경할 수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수동 소자(passive element)로 구성되어 배터리(130)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 자극 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의 크기, 전기 신호의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외부 자극 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에 대하여 일정 시간만큼 지연된 지연 신호(delay signal)를 내부적으로 생성하여 지연 신호가 활성화된 동안 추가적인 전기 신호가 외부 자극 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블루투스 통신 모듈/BLE 모듈(220), 배터리(230), 에너지 검출 회로(240), 및 외부 자극 수신부(250)를 포함한다. 에너지 검출 회로(240) 및 외부 자극 수신부(250)는 외부의 에너지 유입을 검출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프로세서(210), 블루투스 통신 모듈(220), 및 배터리(230)는 도 1에서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동작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자극 수신부(250)는 적외선, 가시광 또는 자외선을 수신할 수 있는 포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자극 수신부(250)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 외부의 광 소스로부터 광 에너지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광 에너지는 포토 센서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 광 에너지에 의하여 포토 센서에서 생성되는 포토 전류는 특정 스토리지 노드에 포토 전하를 충전시킬 수 있다. 스토리지 노드에 전하가 충분히 충전되어 스토리지 노드의 전압이 상승하면 이를 에너지 검출 회로(240)가 검출하며, 검출된 스토리지 노드의 전압에 기반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의 광 소스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0"과 "1"을 교번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에너지 검출 회로(240)는 검출된 스토리지 노드의 전압이 단순한 노이즈인지, 미리 약속된 패턴과 일치하는 신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240)는 미리 약속된 패턴과 일치하는 광 신호가 외부 자극 수신부(250)에 의하여 수신되었을 때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1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토리지 노드의 전압이 제1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면 "1", 제1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면 "0"로 판정하며, 외부의 광 소스 외에 자연광에 의하여 포토 센서가 반응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제1 기준치보다 낮은 제2 기준치를 두어 제2 기준치 미만의 신호는 미수신 상태로 판정할 수도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240)는 저항기(R), 인덕터(L), 커패시터(C) 등의 수동 소자로 이루어져 외부 자극 수신부(250)에 의하여 수신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에너지의 일부를 저장하여 일정 패턴에 부합하는 지연 신호를 생성하고, 외부 자극 수신부(250)에 의하여 수신되는 전기 신호가 미리 정의된 패턴에 부합하는 지 여부를 내부에서 생성한 지연 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에너지 검출 회로(140,240) 및 외부 자극 수신부(150, 250)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에너지 외에는 내부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해야 하므로, 외부로부터의 에너지 입력이 미리 설정된 패턴 조건을 충족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또한 배터리(130, 230) 등 내부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최초에 수신된 에너지 입력의 일부를 에너지 검출 회로(140,240)의 구동 전원으로 활용하고, 일정 시간 동안 지연된 시간 지연 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 검출 회로(140, 240)의 신호 검출 동작의 시간 윈도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의 활성화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카드 모듈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도시된다. 카드 모듈이 출입구의 RF 소스와 접촉하면(S310), 카드 모듈의 안테나가 수신된 RF 신호를 에너지로 변환한다(S320).
카드 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에 포함된 외부 자극 수신부(150)는 특정 공간에 종속되어 설치되는 외부의 RF 소스와 인터랙션하여 외부의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RF 소스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RF 소스일 수 있고, 인터랙션은 카드 모듈을 RF 소스에 근접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RF 소스는 일정한 주파수로 동작하는 RF 신호를 방출하고, 카드 모듈의 안테나는 수신된 RF 신호에 의하여 여기되는 기전력에 따라서 수신된 RF 신호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S320).
변환된 에너지에 응답하여 카드 모듈의 에너지 검출 회로(140)가 인터럽트 신호(Wake-up 신호)를 발생한다(S330).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카드 모듈 내의 딥 슬립 모드에 있던 프로세서(110)가 Wake-up 한다(S340).
외부의 RF 소스와 외부 자극 수신부(150)와의 인터랙션은 수~수십 센티미터의 근거리 범위에서 이루어질 것을 가정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근거리 범위 내에서 발생할 외부의 에너지 유입에 따른 전기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기에 충분한 감도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수동 소자로 이루어진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고감도일 필요는 없으며, 근거리 범위 내에서 발생할 근접 이벤트로 인한 전기 신호가 미리 약속된 패턴을 충족하는 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정도의 감도를 가지면 충분하다.
Wake-up한 프로세서(110)가 카드 모듈 내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BLE 모듈)(120)을 활성화시킨다(S350). 이때 Wake-up하기 전의 프로세서(110)는 딥 슬립 모드에 있으므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비활성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충분하다.
프로세서(110) 및/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딥 슬립 모드에 진입하면, 전력 관리 프로세서(110) 이외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이나 기타 도면에 언급되지 않은 모듈의 전력 소모가 정지된다. 딥 슬립 모드에서는 전력 관리 프로세서(110)도 최소한의 기능만을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며, 이때 유지되어야 하는 기능으로는 향후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 모드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단 외부 자극 수신부(150) 및 에너지 검출 회로(140)는 수동 소자로 이루어져 있어 딥 슬립 모드라 하더라도 특별히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의 에너지 유입이라는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는 데에 문제가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와 인터랙션하는 RF 소스는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패턴을 충족하는 RF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RF 소스는 제1 위치 비콘(location beacon)과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RF 소스는 항상 일정한 시간 주기로 RF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으나, 제1 위치 비콘 주변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가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자체 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의 보유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 일정한 시간 구간 동안 RF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RF 소스가 송출하는 RF 신호의 패턴과 에너지 검출 회로(140)가 검출할 수 있는 패턴이 미리 약속된 규칙에 의하여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는 특정한 위치의 제1 위치 비콘과 연결된 RF 소스 또는 특정한 규칙을 가진 RF 신호를 송출하는 RF 소스에 대해서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Wake-up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근 권한에 따라 RF 신호를 송출하는 패턴이 결정되고, 접근 권한에 맞추어 제1 위치 비콘, RF 소스와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제조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가 Wake-up하고 소정의 시간 내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이 RF 소스에 연결된 제1 위치 비콘과 통신하여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의 설정도 가능하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이 활성화되면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의 통신 기능 및 RSSI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를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 내부에 실내 위치 추적 기능이 별도의 서브 모듈로 포함될 수 있다. 실내 위치 추적에 사용되는 RSSI는 출입구의 RF 소스와 연동되는 제1 위치 비콘과는 별개의 실내 위치 추적에 사용되는 제2 위치 비콘일 수 있다. 즉, 실내에 진입한 이후에는 실내에서의 위치 추적에 최적화된 제2 위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RSSI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의 실내 위치를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의 활성화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가 카드 모듈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며,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 또는 카드 모듈이 출입구의 광 소스와 근접함으로써 과정이 시작된다(S410). 출입구의 광 소스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적외선 소스일 수도 있고, 가시광 또는 자외선 소스일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적외선 소스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의 외부 자극 수신부(250) 및 에너지 검출 회로(240)를 포함하여 검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자극 수신부(250)는 포토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외선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S420). 검출부의 에너지 검출 회로(240)는 전기 에너지에 기반하여 인터럽트 신호(Wake-up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30).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와 인터랙션하는 적외선 소스는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고유의 패턴을 충족하는 적외선 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소스는 제3 위치 비콘(location beacon)과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적외선 소스는 항상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으나, 제3 위치 비콘 주변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가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 자체 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의 보유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 일정한 시간 구간 동안 적외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적외선 소스가 송출하는 적외선 신호의 패턴과 에너지 검출 회로(240)가 검출할 수 있는 패턴이 미리 약속된 규칙에 의하여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는 특정한 위치의 제3 위치 비콘과 연결된 적외선 소스 또는 특정한 규칙을 가진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 소스에 대해서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Wake-up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근 권한에 따라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패턴이 결정되고, 접근 권한에 맞추어 제3 위치 비콘, 적외선 소스와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가 제조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가 Wake-up하고 소정의 시간 내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220)이 적외선 소스에 연결된 제3 위치 비콘과 통신하여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의 설정도 가능하다.
단계 S440과 단계 S450 이후의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단계 S340과 단계 S350 이후의 과정과 매우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의 딥 슬립 모드 진입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또는 카드 모듈이 출입구의 RF 소스와 접촉함으로써 딥 슬립 모드 진입 과정이 개시된다(S510).
안테나가 수신한 RF 신호가 인터럽트 신호로서 프로세서에 전달된다(S520). 안테나가 수신한 RF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때 프로세서에 전달될 수 있다(S520).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에 의하여 측정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과 제2 위치 비콘 간의 RSSI를 이전 RSSI 값과 비교한다(S530).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은 제2 위치 비콘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고 있는 지 여부를 프로세서(110)에 알릴 수 있다(S540).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110)가,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제2 위치 비콘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고 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프로세서(110)는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50).
이때 인터럽트 신호와 함께 위치 이탈 여부가 딥 슬립 모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이탈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으로는 실내 정밀 위치 측정에 이용되는 제2 위치 비콘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의 딥 슬립 모드 진입 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200) 또는 카드 모듈이 출입구의 RF 소스와 접촉함으로써 딥 슬립 모드 진입 과정이 개시된다(S610).
포토 센서(250)의 에너지 검출 회로(240)가 적외선 신호의 에너지에 기반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프로세서(210)에 전달한다(S620). 에너지 검출 회로(240)는 수신된 에너지의 양이 일정 기준치 이상인 지 여부에 따라 적외선 신호의 수신 값을 "0" 또는 "1"로 판정하고, "0" 또는 "1"로 판정된 신호의 비트의 일련의 비트열이 미리 약속된 패턴을 충족하는 경우에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10)에 전달한다(S620).
도 6의 단계 S630 내지 S650은 도 5의 단계 S530 내지 S550과 매우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인터럽트 신호와 함께 딥 슬립 모드의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으로는 제2 위치 비콘으로부터의 이탈 여부 등 공간적인 조건 외에 시간적인 조건이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200)가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출입 카드인 경우를 가정하면, 근무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일시적인 이탈로 간주하여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등의 추가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즉,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이벤트 검출) 제2 위치 비콘으로부터 멀어지고 있고(공간적 상황)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된 시점이 근무 시간이 지난 상황(시간적 상황)에서는 근무 장소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200) 내부의 타이머를 통하여 얻을 수도 있으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1 위치 비콘 또는 제2 위치 비콘으로부터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딥 슬립 모드 진입 단계를 모두 지나면, 전력 관리 프로세서(110, 210) 이외의 모든 모듈의 전력 소모가 정지되며 프로세서(110, 210) 또한 인터럽트 신호의 대기 이외의 모든 기능이 정지되는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240, 250)의 특정 이벤트 검출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외부의 광 소스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0"과 "1을 교번하여 전송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외부의 자연광이 존재하므로, 검출부(240, 250)에서는 외부의 광 소스와의 인터랙션이 없는 경우에도 포토 센서가 자연광에 반응하여 기저 레벨의 전류가 수신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저 레벨 이상의 광 신호가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유지될 때 검출부(240, 250)는 High 또는 Low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에 High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고, 기저 레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레벨을 유지하되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Low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 210)의 딥 슬립 모드의 진입과 탈출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검출부에 유입되는 외부 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가 도시된다.
검출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미리 약속된 시간 구간(810) 동안 유지되고, 시간 구간(810) 동안 미리 약속된 패턴에 부합하는 외부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된다.
인터럽트 신호와 시간적 상황, 공간적 상황이 딥 슬립 모드 진입을 위한 조건을 충족할 때 프로세서(110, 210)는 딥 슬립 모드(850)로 진입한다(830).
프로세서(110, 210)가 딥 슬립 모드(850)인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유입되고, 유입된 에너지에 대응한 전기 신호가 검출되면 딥 슬립 모드(850)의 탈출 조건 중 하나가 충족된다. 딥 슬립 모드(850) 동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미리 약속된 시간 구간(820) 동안 유지되고, 시간 구간(820) 동안 미리 약속된 패턴에 부합하는 외부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된다.
프로세서(110, 210)는 딥 슬립 모드(850) 상태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딥 슬립 모드(850)로부터 탈출한다(840).
우연한 현상으로 검출부가 외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데, 이는 노이즈로 판정할 필요가 있다. 만일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인식하지 못한 채로 딥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활성화된다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100, 200)는 배터리(130, 230)의 전원을 무의미하게 낭비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 220)에 외부의 위치 비콘이 인지되는지, 또는 프로세서(110, 210) 내의 타이머 등에 의하여 아무런 액션 없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는 지 등의 부가적인 판단을 거쳐 현재 상태가 적절하지 못하게 활성화된 상태라는 점을 인지할 수는 있겠으나, 이 경우에도 배터리(130, 230)의 전원은 적절하지 못하게 활성화된 동안 무의미하게 낭비된다. 따라서 입력된 신호가 노이즈가 아닌 적절한 패턴을 충족하는 의도된 외부 에너지 또는 전기 신호인 지를 판정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단, 이러한 판정 과정에서 배터리(130, 230)의 전원을 소비하는 것은 전원 관리 효율을 저하시킬 것이다. 따라서 검출부는 수동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되되 입력된 신호의 시간 지연 신호를 생성하고 이용하여 특정 패턴을 충족하는 신호인 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 블루투스 통신 장치
110, 210 : 프로세서
120, 220 : 블루투스/BLE 통신 모듈
130, 230 : 배터리
140, 240 : 에너지 검출 회로
150, 250 : 외부 자극 수신부

Claims (11)

  1.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전력 관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고, 활성화 모드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딥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활성화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전력 관리 프로세서;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의 외부에 위치하고,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는 상기 딥 슬립 모드에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모든 모듈을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는 외부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되,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가 노이즈로 인하여 유도된 것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가 노이즈로 인하여 유도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특정 이벤트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무선으로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며,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는 코일형 안테나인 블루투스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이격된 소스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광 에너지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인 블루투스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특정 공간에 종속되어 설치되는 외부의 소스와 인터랙션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가 상기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통신 기능 및 수신 신호의 세기 측정을 이용한 실내 위치를 추적하는 실내 위치 추적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딥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 신호의 세기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8.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전력 관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검출부에서 외부의 에너지 소스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수신된 에너지의 흐름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이벤트를 검출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가 딥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모드에 진입한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에 의하여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딥 슬립 모드에서는 상기 전력 관리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모든 모듈의 전력 소모가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제어되고,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에너지가 노이즈로 인하여 유도된 것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수신된 에너지가 노이즈로 인하여 유도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근거리 통신 기법으로 수신하거나, 상기 기준치 이상의 광 에너지를 포토 센서에 의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 기능 및 수신 신호의 세기 측정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실내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에너지 이외에 별도의 에너지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58081A 2017-05-10 2017-05-10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170104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81A KR20170104411A (ko) 2017-05-10 2017-05-10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81A KR20170104411A (ko) 2017-05-10 2017-05-10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226 Division 2016-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411A true KR20170104411A (ko) 2017-09-15

Family

ID=5992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081A KR20170104411A (ko) 2017-05-10 2017-05-10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4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3113A (zh) * 2021-10-28 2022-01-28 深圳市创鸿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信标、蓝牙系统及非接触式激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3113A (zh) * 2021-10-28 2022-01-28 深圳市创鸿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信标、蓝牙系统及非接触式激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833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JP7026646B2 (ja) 共振型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受信装置
JP6148310B2 (ja) ワイヤレス給電ピアツーピア通信
CN104995815B (zh) 无线电力发射器和接收器,以及通过无线电力发射器许可无线电力接收器的方法
US10192373B1 (en) Tag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5792168B2 (ja) 誘導パワー伝送
ES2912302T3 (es) Procedimiento para transmitir una señal mediante un transmisor de potencia inalámbrico y transmisor de potencia inalámbrico
ES2814026T3 (es) Transmisor de energía inalámbrico, receptor de energía inalámbrico y procedimientos de control de los mismos
KR102391190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로드 생성 방법 및 무선 전력 수신기
EP2930698B1 (en) Wireless locking system
KR101897634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CN104428972A (zh) 用于小型设备无线充电模式的系统、方法和装置
CN102498634A (zh) 用以延长电池寿命及改善效率的电池充电
JP2013545427A (ja) ワイヤレス充電デバイス
KR20150110405A (ko)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방지 방법
CN103503322A (zh) 用于检测和保护无线功率系统中的无线功率通信装置的系统和方法
KR20150098222A (ko) 무선 충전에서의 로드 검출 방법
KR20190025567A (ko) 후속 수신기의 무선 전력 충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6531536A (ja) 遅延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セッサ初期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2359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20160018023A (ko)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기술을 이용한 락킹시스템
KR102607032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5134560B2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20170104411A (ko) 블루투스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2010165314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