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295A - 링거액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링거액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295A
KR20170104295A KR1020160027188A KR20160027188A KR20170104295A KR 20170104295 A KR20170104295 A KR 20170104295A KR 1020160027188 A KR1020160027188 A KR 1020160027188A KR 20160027188 A KR20160027188 A KR 20160027188A KR 20170104295 A KR20170104295 A KR 20170104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nger
solution
couple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제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7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295A/ko
Publication of KR2017010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61M5/16845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액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거액이 방울 형태로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여 보다 정확하게 링거액의 이상 주입여부를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관리자가 링거액의 이상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링거액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링거액 감지장치는, 링거액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링거액이 방울 형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챔버에 장착되며,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방울들의 측정낙하시간간격과 미리 설정된 기준낙하시간간격을 비교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부는 낙하되는 하나의 방울에 대하여 적어도 2번 이상 감지하고,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상기 측정낙하시간간격이 상기 기준낙하시간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링거액의 투입이 이상임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거액 감지장치 { DEVICE FOR SENSING RINGER'S SOLUTION }
본 발명은 링거액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거액이 방울 형태로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여 보다 정확하게 링거액의 이상 주입여부를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관리자가 링거액의 이상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링거액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위장으로 음식을 섭취하여 소화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양분(포도당) 및 주사액 등을 보충하기 위해서 링거 병 혹은 링거 팩에 수용된 링거액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이때, 링거액을 주입하기 위해 링거 주입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링거 주입장치는 링거액이 수용된 링거액저장부(링거팩, 링거병)와, 링거액저장부에 밀봉 연결되는 호스 및 호스 상부에 설치되어 링거액저장부 내로 삽입되는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는 링거액이 정상적으로 주입되는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상에는 링거액의 주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가 부착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링거 주입장치에는 링거액이 모두 소모되었거나 또는 투입되지 않을 때 이를 알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이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환자, 간병인 및 간호사들은 항시 불안해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시로 체크를 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링거액저장부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가 세팅된 값에 도달하면 링거액이 소모되었다고 알려주는 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링거액저장부의 무게를 인식하기 때문에 링거액이 소모되면 알 수 있지만 링거액이 정상적으로 주입되고 있는지는 인식하지 못하며 아울러 장치의 구성이 너무 복잡해 잔고장의 발생률이 높고,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202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링거액이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뿐만 아니라 링거액이 정상적으로 주입되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간병인 또는 간호사 등의 관리자에게 알려 효율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링거액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링거액 감지장치는, 링거액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링거액이 방울 형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챔버에 장착되며,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방울들의 측정낙하시간간격과 미리 설정된 기준낙하시간간격을 비교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부는 낙하되는 하나의 방울에 대하여 적어도 2번 이상 감지하고,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상기 측정낙하시간간격이 상기 기준낙하시간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링거액의 투입이 이상임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챔버의 둘레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챔버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의 낙하경로와 교차하여 조사되고, 상기 수광부는 방울의 낙하경로와 교차되게 조사되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을 감지한다.
상기 발광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방울이 낙하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광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방울이 낙하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이격되어 결합되되, 하나의 방울이 낙하되는 동안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방울을 감지하고,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한 방울의 감지시점과 차후에 새롭게 낙하되는 방울에 대하여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한 방울의 감지시점을 계산하여 상기 측정낙하시간간격을 산출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챔버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고정몸체와; 상기 챔버의 둘레의 나머지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제1고정몸체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제2고정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고정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의 타단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몸체에는 상기 발광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몸체에는 상기 수광부가 결합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고정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발광부 및 외부전원과 연결된 제1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제2고정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광부 및 외부전원과 연결된 제2전원공급라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과 제2전원공급라인은 상기 제1고정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의 타단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몸체부는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의 둘레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호 반대방향에서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에 대한 투입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무선 송신된 투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에 연결된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투입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송신부에서는 상기 링거액저장부의 고유식별번호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표시부에서는 각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송신부에서는 상기 링거액저장부의 위치관련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표시부에서는 각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 및 위치정부를 외부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링거액 감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링거액이 환자에게 정상적으로 주입되고 있는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간병인 도는 간호사 등의 관리자가 불안감없이 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잔고장 발생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통해 낙하되는 방울에 대하여 적어도 2번 이상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방울이 감지되지 않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관리자가 링거액의 이상신호를 받고 왔다갔다하는 헛수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감지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감지부를 챔버에 결합한 상태의 평단면구조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감지부의 평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감지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감지부를 챔버에 결합한 상태의 평단면구조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거액 감지장치는, 감지부(100)와, 비교판단부(200)와, 표시부(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부(100)는 링거액 주입장치의 챔버(500)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거액이 수용되어 있는 링거액저장부(510)의 하부에는 링거액이 방울(550) 형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챔버(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00)는 이러한 상기 챔버(500)에 장착되어, 상기 챔버(500)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550)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100)는 낙하되는 하나의 방울(550)에 대하여 적어도 2번 이상 감지하여, 낙하되는 방울(550)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부(100)는, 몸체부(110)와, 발광부(120)와, 수광부(130)와, 제1전원공급라인(140)과, 제2전원공급라인(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챔버(500)의 둘레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10)는, 일단이 상호 힌지결합된 제1고정몸체(111)와 제2고정몸체(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몸체(111)는 상기 챔버(500)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도록 하고, 상기 제2고정몸체(112)는 상기 챔버(500)의 둘레의 나머지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일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일단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타단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타단이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500)의 둘레를 감싸도록 한 후,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타단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챔버(500)의 둘레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500)의 일측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120)는 상기 제1고정몸체(1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광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5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120)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광부(130)는 상기 제2고정몸체(11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120)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챔버(500)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550)의 낙하경로와 교차하여 조사되고, 상기 수광부(130)는 방울(550)의 낙하경로와 거의 직각으로 교차되어 조사되는 상기 발광부(120)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상기 챔버(500)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550)을 감지한다.
일예로 상기 수광부(130)에서는 상기 발광부(120)의 빛을 계속하여 수광하다가, 상기 방울(550)이 낙하되면 상기 수광부(130)에서 빛을 수광하게 못하게 되면 이때 상기 방울(550)을 감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에 의해 낙하되는 방울(550)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40)은 상기 제1고정몸체(111)에 결합되고 상기 발광부(120) 및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150)은 상기 제2고정몸체(112)에 결합되고 상기 수광부(130) 및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40)과 제2전원공급라인(150)은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타단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타단을 상호 결합시키기 전에는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40)과 제2전원공급라인(150)이 분리되어 상기 발광부(120)와 수광부(1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타단을 상호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40)과 제2전원공급라인(150)이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에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교판단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방울(550)들의 측정낙하시간간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측정낙하시간간격과 미리 설정된 기준낙하시간간격을 비교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상기 비교판단부(200)는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비교판단부(200)에서는 상기 측정낙하시간간격이 상기 기준낙하시간간격보다 큰 경우 즉 기준시간 이내에 방울(550)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상기 표시부(300)에 상기 링거액의 투입이 이상임을 전송한다.
한편, 낙하되는 하나의 방울(550)에 대하여 적어도 2번 이상 감지하여 낙하되는 방울(550)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낙하되는 방울(550)을 여러번에 걸쳐 감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발광부(12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방울(550)이 낙하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몸체(111)에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13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방울(550)이 낙하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몸체(112)에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120)와 수광부(130)는 갯수는 동일하여, 다수개의 발광부(120)에서 발산된 빛이 각각의 수광부(130)에 수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를 각각 2개씩 도시하였지만,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져 장착될 수도 있다.
하나의 방울(550)이 낙하되는 동안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130)는 대응되는 발광부(120)에서 발산된 빛을 이용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방울(550)을 감지한다.
따라서, 방울(550)이 낙하되는 동안 챔버(500)의 구역을 다수개로 나누어서 낙하되는 방울(550)을 감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최상단에 있는 수광부(130)에서 방울(550)을 감지하지 못하였더라도 그 하부에 있는 수광부(130)에서 방울(550)을 감지하여 방울(550)이 감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교판단부(200)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130)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한 방울(550)의 감지시점과 차후에 새롭게 낙하되는 방울(550)에 대하여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130)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한 방울(550)의 감지시점을 계산하여 상기 측정낙하시간간격을 산출한다.
위와 같이 다수개의 발광부(120)와 수광부(130)를 장착하는 이유는, 1개의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만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품의 오류 또는 빛의 스펙트럼 효과까지 합해져서 낙하되는 방울(55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발광부(120)와 수광부(130)를 각각 방울(550)의 낙하경로인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함으로써, 상기 챔버(500)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550)을 여러개의 구간으로 등분하여 감지할 수 있어 보다 완벽하게 낙하되는 방울(550)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비교판단부(200)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를 화면, 소리, 진동, LED 등을 통해 외부로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은 송신부(410)와 수신부(4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신부(410)는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어 있거나 별도로 이루어져 상기 감지부(100) 및 비교판단부(200)에 연결되고, 상기 비교판단부(200)에서 비교판단한 상기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에 대한 투입정보를 상기 수신부(420)로 무선 송신한다.
상기 수신부(420)는 상기 표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송신부(410)에서 무선 송신된 투입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송신부(410)와 수신부(420)는 RF통신 또는 NFC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수신부(420)에서 수신된 투입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링거액저장부(510)에는 RFID태그 또는 NFC태그 등에 의해 각각의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송신부(410)에서는 상기 링거액저장부(510)에 각각 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00)에서는 각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를 외부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어느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링거액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보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410)에서는 상기 RFID태그 또는 NFC태그에 저장된 상기 링거액저장부(510)의 위치관련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00)에서는 각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 및 위치정부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어느 환자에 사용되고 있는 링거액에 문제가 있는 여부 뿐만 아니라, 그 환자의 위치도 알려줌으로써 관리자가 보다 신속하게 환자에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링거액 감지장치에 의해, 링거액이 환자에게 정상적으로 주입되고 있는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간병인 도는 간호사 등의 관리자가 불안감없이 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잔고장 발생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발광부(120) 및 수광부(130)를 통해 낙하되는 방울(550)에 대하여 적어도 2번 이상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방울(550)이 감지되지 않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관리자가 링거액의 이상신호를 받고 왔다갔다하는 헛수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감지장치의 감지부(100)의 평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에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몸체부(11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500)의 둘레에 밀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500)의 상부를 상기 링거액저장부(510)에 결합하기 이전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부(110)를 상기 챔버(500)의 둘레에 밀착 결합시킨 후, 상기 챔버(500)의 상부를 상기 링거액저장부(510)에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자유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직경은 상기 챔버(5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120)와 수광부(130)는 상호 반대방향에서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가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챔버(5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20)와 수광부(130)는 각각 1개만으로 이루어져 설치될 수도 있고, 제1실시예와 같이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40)과 제2전원공급라인(150)은 항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링거액 감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감지부,
110 : 몸체부, 111 : 제1고정몸체, 112 : 제2고정몸체,
120 : 발광부, 130 : 수광부, 140 : 제1전원공급라인, 150 : 제2전원공급라인,
200 : 비교판단부,
300 : 표시부,
410 : 송신부, 420 : 수신부,
500 : 챔버, 510 : 링거액저장부, 550 : 방울.

Claims (9)

  1. 링거액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링거액이 방울 형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챔버에 장착되며,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방울들의 측정낙하시간간격과 미리 설정된 기준낙하시간간격을 비교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부는 낙하되는 하나의 방울에 대하여 적어도 2번 이상 감지하고,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상기 측정낙하시간간격이 상기 기준낙하시간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링거액의 투입이 이상임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챔버의 둘레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챔버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의 낙하경로와 교차하여 조사되고,
    상기 수광부는 방울의 낙하경로와 교차되게 조사되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방울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방울이 낙하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광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방울이 낙하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이격되어 결합되되,
    하나의 방울이 낙하되는 동안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방울을 감지하고,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한 방울의 감지시점과 차후에 새롭게 낙하되는 방울에 대하여 다수개의 상기 수광부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한 방울의 감지시점을 계산하여 상기 측정낙하시간간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챔버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고정몸체와;
    상기 챔버의 둘레의 나머지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제1고정몸체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제2고정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고정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의 타단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몸체에는 상기 발광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몸체에는 상기 수광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고정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발광부 및 외부전원과 연결된 제1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제2고정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광부 및 외부전원과 연결된 제2전원공급라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과 제2전원공급라인은 상기 제1고정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2고정몸체의 타단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6.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탄성재질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의 둘레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호 반대방향에서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에 대한 투입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무선 송신된 투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에 연결된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투입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서는 상기 링거액저장부의 고유식별번호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표시부에서는 각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서는 상기 링거액저장부의 위치관련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표시부에서는 각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링거액의 정상 투입여부 및 위치정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장치.
KR1020160027188A 2016-03-07 2016-03-07 링거액 감지장치 KR20170104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88A KR20170104295A (ko) 2016-03-07 2016-03-07 링거액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88A KR20170104295A (ko) 2016-03-07 2016-03-07 링거액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95A true KR20170104295A (ko) 2017-09-15

Family

ID=5992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88A KR20170104295A (ko) 2016-03-07 2016-03-07 링거액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2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0953A1 (ja) * 2018-10-04 2020-04-09 テルモ株式会社 点滴監視センサ
WO2020085552A1 (ko) *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수액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908A (ko) * 2005-01-19 2005-02-07 강상욱 정맥 주사용 링거액 자동 유량 조절 장치
KR100748102B1 (ko) * 2006-08-14 2007-08-09 김정수 링거액 투입 감지기
KR20110106537A (ko) * 2010-03-23 2011-09-29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투여 감시 및 관리시스템
KR20130037522A (ko) * 2011-10-06 2013-04-16 강영훈 낙하감지센서
KR101569379B1 (ko) * 2014-03-25 2015-11-16 이형석 링거팩의 수액소진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908A (ko) * 2005-01-19 2005-02-07 강상욱 정맥 주사용 링거액 자동 유량 조절 장치
KR100748102B1 (ko) * 2006-08-14 2007-08-09 김정수 링거액 투입 감지기
KR20110106537A (ko) * 2010-03-23 2011-09-29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투여 감시 및 관리시스템
KR20130037522A (ko) * 2011-10-06 2013-04-16 강영훈 낙하감지센서
KR101569379B1 (ko) * 2014-03-25 2015-11-16 이형석 링거팩의 수액소진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0953A1 (ja) * 2018-10-04 2020-04-09 テルモ株式会社 点滴監視センサ
JPWO2020070953A1 (ja) * 2018-10-04 2021-09-02 テルモ株式会社 点滴監視センサ
WO2020085552A1 (ko) *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수액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3173A1 (en) Event detection for drug delivery system
JP5897798B2 (ja) 漏出検出システム
JP2005253981A (ja) 患者監視装置
KR101857608B1 (ko) 수액 모니터링 장치
EP3416609B1 (en) Docking station for an enteral feeding device
KR20170104295A (ko) 링거액 감지장치
KR20130099740A (ko) 스마트 복약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3201982A1 (en)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identifying a lumen
US20200032960A1 (en) Cylinder holder, supply system and supply method for therapeutic oxygen
CN105246527B (zh) 用于验证药泵和液体供给器的配对的系统
CN115835894A (zh) 静脉输液流体容器的体积监测系统
KR101413945B1 (ko) 수액량 감지장치
KR101777701B1 (ko)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GB2558558A (en) An intravenous drip apparatus
KR101743349B1 (ko) 수술을 위한 세정라인 구분장치
KR101805054B1 (ko) 광 굴절 감지형 수액 공급 감지 장치
KR20200020075A (ko) 수액방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671653B1 (ko) 드립 챔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액 잔량 감지 수액 공급 장치
TW201701908A (zh) 滴落系統
KR20230068740A (ko) 수액 잔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TWI592182B (zh) Medical injection volume detection device
KR20190098348A (ko) 인퓨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77181A (ko) 수액공급 관리시스템
CN110665084A (zh) 一种多路点滴输液系统和输液方法
KR20150085445A (ko) 약물 투여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