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168A -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168A
KR20170104168A KR1020160026802A KR20160026802A KR20170104168A KR 20170104168 A KR20170104168 A KR 20170104168A KR 1020160026802 A KR1020160026802 A KR 1020160026802A KR 20160026802 A KR20160026802 A KR 20160026802A KR 20170104168 A KR20170104168 A KR 2017010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rfid module
couple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연
Original Assignee
김장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연 filed Critical 김장연
Priority to KR102016002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168A/ko
Publication of KR2017010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G06K19/0704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the battery being rechargeable, e.g. solar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display, e.g. LCD or electronic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an audio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RFID 모듈;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 및 상기 RFID 모듈에 저장된 정보가 송출되도록 상기 RFID 모듈과 상기 화면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Displayed Digital RFID Tag Information For Accessory}
본 발명은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카드, 결제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멀티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의 지불 수단으로서 현금 대신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한 신용카드(후불결제형 교통카드)나 티머니(T-money) 카드가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그 중에 티머니 카드는 RFID 칩이 내장된 형태의 IC 카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휴대폰 고리 등 액세서리의 형태의 제품도 출시되어 있다. 티머니 카드는 필요한 금액만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편의점,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지불수단으로서도 점점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티머니 카드는 대중교통수단 등에 장착된 RFID 리더기에 태그(tag)가 되는 순간만 잔액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RFID 리더기에 태그되더라도 그 순간에 확인하지 못하면 충전금액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결제된 내역을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문자(sms)로 실시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최근에는 티머니 카드를 인터넷 홈페이지 상에 등록하거나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하면 잔액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카드등록, 카드인식, 조회 등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므로 실질적으로 충전된 잔액 확인이나 사용내역 조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티머니 카드 이외에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 별도의 수단을 필요로 하는 단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반면에 스마트폰에서 직접적으로 티머니 기능을 수행하면서 잔액확인을 할 수 있는 기술도 등장했다. 즉, 티머니 칩이 탑재된 유심(USIM)을 장착하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스마트폰에서 티머니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에서 티머니를 이용하려면, NFC 기능탭을 따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잔액 확인을 위해서도 별도의 티머니 앱을 구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티머니 카드와 함께 교통카드 기능이 부가된 다른 신용카드, 체크카드(후불형 교통카드) 등을 지갑에 모두 넣어 소지하고 다닐 경우, RFID 리더기에 태그시 서로 충돌이 발생되어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715호 (2009.03.18 공개)
전술한 문제점들로 인해 티머니 카드는 많은 이점을 지니면서도 휴대를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를 개선하여 티머니 카드에 충전된 잔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면 티머니가 주요한 결제수단으로 더욱 실생활에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티머니 카드의 잔액이나 사용 내역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이 복합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가 충족됨으로 티머니 카드의 휴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을 제안하게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RFID 모듈;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 및 상기 RFID 모듈에 저장된 정보가 송출되도록 상기 RFID 모듈과 상기 화면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태양광 집광판과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USB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단자는 상기 본체부에 접철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소리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RFID 모듈의 입출력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빛을 통해 상기 RFID 모듈의 충전시기를 알려주는 라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RFID 모듈;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 상기 화면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RFID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송출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의해 저장된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에부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소리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액세서리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결제정보와 잔액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이용한 사용내역 등을 저장하여 함께 확인 가능하다.
아울러 하나의 액세서리로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기 되면서도 사용이나 휴대 등 조작이 간편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인, 장애인 등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의 조작이 어려운 계층까지 사용 범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USB 단자가 접철된 형태와 휴대용 고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USB 단자가 돌출되어 충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의 다른 기능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의 주요부 구성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가 가방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명칭인 휴대용 액세서리는 몸치장을 하는데 쓰이는 여러 가지 물건이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가방, 옷, 자전거 등 사람의 활동과 함께 하는 도구에 장착하여 장식을 도모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물품을 총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USB 단자가 접철된 형태와 휴대용 고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USB 단자가 돌출되어 충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의 실예들에 대한 다른 기능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의 주요부 구성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가 가방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액세서리(1)는 본체부(100), RFID 모듈(200), 화면표시부(300),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휴대용 액세서리(1)의 주된 몸체를 형성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채용하고 있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직육면체 형상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체부(100)는 구형상, 카드형상 뿐만 아니라 심미성과 휴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캐릭터 형상, 목걸이 팬던트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RFID 모듈(200)은 교통카드 및 결제기능이 포함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모듈(200)은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리선이 감겨진 형태로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루프안테나와 정보가 기록되는 집적회로(칩)를 포함하는 RFID 태그일 수 있다. 즉, RFID 모듈(200)은 RFID 태그, 태그, 전자태크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RFID 모듈(200)은 오직 판독기의 동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RFID를 수동형(Passive) RFID, 건전지가 내장되어 칩의 정보를 읽는데 그 동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판독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반수동형(Semi-passive) RFID, 칩의 정보를 읽고 정보를 통신하는데 모두 태그의 동력을 사용하는 능동형(Active) RFID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모듈(200)은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수동형 RFID 인 티머니 카드일 수 있다. 티머니 카드로 실시되는 RFID 모듈(200)은 일반적인 명함 크기 뿐만 아니라 동전 크기, USIM 칩 크기 등 소형화되어 제작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RFID 모듈(200)은 본체부(100) 내부에 일체로 탑재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에 형성된 착탈홈(120)을 통해 본체부(10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결합될 수도 있다. RFID 모듈(200)이 본체부(100)에 착탈되는 방식은 덮개로 개폐하는 방식, 본체부(100)에 밀착되는 방식, 본체부(100)에 태그되는 형태 등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면표시부(3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RFID 모듈(200)에 현재 입출되거나 과거 입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표시부(300)는 RFID 모듈(200)의 정보가 숫자, 한글, 영문 등으로 표시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모듈(200)에 충전된 금액 정보는 숫자로 표시되거나 필요에 따라 날짜, 시간, 요일 등과 함께 사용 내역 등이 함께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면표시부(300)는 RFID 모듈(200)에 충전된 금액이 사용자가 설정된 금액 이하이거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금액이 되면 숫자를 점멸하거나 문자로 경고 표시 등을 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는 화면표시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며 RFID 모듈(200)에 동력을 공급하여 RFID 모듈(200)의 칩에 저장된 정보를 송출시켜 통신하거나 외부단말기(10)(판독기)와도 통신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는 교체형 배터리, 충전형 배터리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400)는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되는 충전형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교체형 배터리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반면에 충전형 배터리는 반복 충전이 가능하므로 교체형 배터리에 비해 수명이 훨씬 긴 장점이 있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1)는 본체부(100)에 탑재된 RFID 모듈(200)의 정보를 전원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동력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단말기(10)(판독기)의 태그시, 화면표시부(300)에 직접적으로 그 정보가 숫자 등으로 표시되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충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500)는 전원공급부(40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도록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충전부(500)에 의해 전원공급부(400)는 배터리가 소모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충전부(500)는 태양광 집광판(510)과, USB 단자(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부(500)는 본체부(100)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태양광 집광판(510)과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USB 단자(520)를 모두 포함하여 실시된다.
태양광 집광판(510)은 일조 시간동안 야외나 밝은 조명이 있는 실내 공간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전원공급부(400)에 공급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휴대하고 있는 동안에 실내나 실외에서 자연스럽게 효율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USB 단자(520)는 PC나 자동차, 콘센트 등에 설치된 USB 포트에 삽입되면서 전기가 전원공급부(400)에 저장되면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USB 단자(520)는 본체부(100)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처럼 본체부(100) 내부에 접철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USB 단자(520)는 본체부(100) 내부에 접철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52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2)을 통해 USB 단자(520)는 본체부(10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충전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단자(520)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충전이 용이한 형태로 본체부(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USB 단자(520)를 통해 전원공급부(40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는 전술한 화면표시부(3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표시부(300)는 배터리의 잔량을 도안이나 퍼센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 USB 단자(520)는 회전축(522)에 인접하게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창(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표시창(530)은 충전중일 경우 빨강색으로 발광하게 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파랑색으로 변하게 하는 방식으로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태양광 집광판(510)과 USB 단자(520)는 어느 하나를 통해 선택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후술할 제어부(700)의 제어버튼(7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부(500)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교통카드를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1)는 반영구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전기를 전원공급부(40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소리표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표시부(600)는 RFID 모듈(200)에 입출력된 정보를 소리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표시부(6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리표시부(600)는 화면표시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숫자, 문자 등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소리표시부(600)는 RFID 모듈(200)에 충전된 금액이 사용자가 설정된 금액 이하이거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금액이 되면 경고음이나 말소리를 내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소리표시부(600)는 숫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청각장애인이나 어린이, 노인 등이 잔액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 본 발명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더 넓은 계층에서 휴대성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화면표시부(300)와 소리표시부(600)는 동시적으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700)의 제어버튼(710)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본체부(100) 내부에 탑재되면서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전술한 RFID 모듈(200)의 입출력 정보가 화면표시부(300)에 표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RFID 모듈(200)이 외부단말기(10)(판독기)에 태그될 경우 RFID 모듈(200)에 입출력되는 실시간 정보(결제정보, 잔액정보)를 화면표시부(300)에 표시되게 하거나 외부단말기(10)에 태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간 정보를 화면표시부(30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RFID 모듈(200)의 입출력 정보가 소리표시부(600)에 표시되는 것도 전술한 형태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00)는 제어버튼(7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버튼(710)은 본체부(100)에 노출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버튼(710)은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버튼(710)은 전술한 태양광 집광판(510)과 USB 단자(520)가 선택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 소리표시부(600)와 화면표시부(3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제어버튼(710)은 각각의 태양광 집광판(510), USB 단자(520), 화면표시부(300), 소리표시부(6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잔액을 화면표시부(300)를 통해 확인하고 싶을 경우 외부단말기(10)의 태그 유무에 관계없이 제어버튼(710)을 누르는 것으로 잔액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라이트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라이트부(8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빛을 통해 RFID 모듈(200)의 충전시기를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트부(800)는 LED 조명을 포함하여, RFID 모듈(200)의 잔액이 설정된 금액(제어버튼(71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가 되거나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금액이 되면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그 표시를 할 수 있다.
라이트부(800)는 제어부(700)의 제어버튼(7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부(800)는 야간이나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조명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에는 라이트부(8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별도의 라이트버튼(720)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제어버튼(710), 라이트버튼(720)은 누름 방식의 버튼에 제한되지 않고 슬라이딩 방식의 스위치나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입력창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메모리부(1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000)는 제어부(700)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000)는 RFID 모듈(200)의 실시간 결제정보나 과거 사용정보를 저장하여 화면표시부(300), 소리표시부(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운드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000)는 MP3 음악파일이나 다양한 육성 등이 녹음된 파일을 저장하여 화면표시부(300), 소리표시부(60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용 액세서리(1)는 가방이나 손에 걸어서 휴대하기 쉽게 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901)이나 열쇠고리(9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에는 고리연결홈(19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카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액세서리(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 등에 걸어서 쉽게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액세서리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결제정보와 잔액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이용한 사용내역 등을 저장하여 함께 확인 가능하다. 아울러 하나의 액세서리로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기 되면서도 사용이나 휴대 등 조작이 간편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인, 장애인 등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의 조작이 어려운 계층까지 사용 범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휴대용 액세서리 10 : 외부단말기(RFID 리더기)
100 : 본체부 120 : 착탈홈
190 : 고리연결홈 200 : RFID 모듈
300 : 화면표시부 400 : 전원공급부
500 : 충전부 510 : 태양광집광판
520 : USB 단자 600 : 소리표시부
700 : 제어부 710 : 제어버튼
720 : 라이트버튼 800 : 라이트부
900, 901 : 휴대용 연결고리 1000 : 메모리부

Claims (10)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RFID 모듈;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 및
    상기 RFID 모듈에 저장된 정보가 송출되도록 상기 RFID 모듈과 상기 화면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태양광 집광판과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USB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는 상기 본체부에 접철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소리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RFID 모듈의 입출력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빛을 통해 상기 RFID 모듈의 충전시기를 알려주는 라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9.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RFID 모듈;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
    상기 화면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RFID 모듈에 입출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RFID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송출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의해 저장된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에부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소리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KR1020160026802A 2016-03-07 2016-03-07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KR20170104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02A KR20170104168A (ko) 2016-03-07 2016-03-07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02A KR20170104168A (ko) 2016-03-07 2016-03-07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168A true KR20170104168A (ko) 2017-09-15

Family

ID=5992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802A KR20170104168A (ko) 2016-03-07 2016-03-07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1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24219A (ja) スマートマルチカード
CN106372693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书包系统及方法
CN106263398A (zh) 一种带无线充电装置的多功能旅行箱
ES2231085T3 (es) Reloj con transponder.
KR200311517Y1 (ko) 광원일체형 접속구
KR20170104168A (ko) 교통카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액세서리
CN102298718A (zh) 多功能金融ic可视卡
KR20200099520A (ko) 여행 가방 탐색 시스템, 태그
US20190237985A1 (en) Wireless charging and docking syste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214012025U (zh) 电子墨水屏智能卡片
CN209402669U (zh) 车载语音播报器
CN207302496U (zh) 显示装置
CN206907443U (zh) 显示装置
KR102149528B1 (ko) 다기능 무선충전 장치
CN213908827U (zh) 一种可穿戴智能nfc首饰
CN107146525A (zh) 显示装置及其通信方法、具有储存功能的装置
US10936526B1 (en) Intelligent sensor suite(s) for portable personal containers
KR20160012748A (ko) 인증 및 광고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KR101640975B1 (ko) 스마트 출입증
CN107180601A (zh) 显示装置及其通信方法、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215913611U (zh) 一种智能箱包
CN107193772A (zh) 显示装置及其通信方法、具有储存功能的装置
KR20140006175U (ko)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CN212754652U (zh) 一种nfc钥匙包
CN212809294U (zh) 智能可视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