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459A - 플라이백 컨버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459A
KR20170103459A KR1020160026399A KR20160026399A KR20170103459A KR 20170103459 A KR20170103459 A KR 20170103459A KR 1020160026399 A KR1020160026399 A KR 1020160026399A KR 20160026399 A KR20160026399 A KR 20160026399A KR 20170103459 A KR20170103459 A KR 20170103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econdary side
switch
output terminal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459A/ko
Publication of KR2017010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및 2차측 제2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두 정전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되며,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인가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1차측 회로와,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2차측 제1회로와,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2차측 제2회로와,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을 검출하고,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의 온오프를 각각 제어하여 2차측 제1회로 및 2차측 제2회로의 출력단 전압을 각각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본 발명은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및 2차측 제2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두 정전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프린터,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를 비롯하여 모니터나 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들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고효율 전원공급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원공급 시스템에서는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주로 채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변압기에서 이중 권선을 이용하여 이중출력을 구현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입력 직류전압(Vin)은 제1스위치(SW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트랜스포머(10)의 1차측에 공급된다.
이 때, 제1스위치(SW1)는 2차측 제1회로(30)의 출력단자 전압(Vo1)에 따라 제어부(5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입력 직류전압(Vin)을 시분할하여 구형교류로 변환시킨다.
이에 트랜스포머(10)의 1차측에 직류전압이 인가되면 2차측 제1회로(30) 및 2차측 제2회로(40)의 출력단에는 그 각각의 권선비에 비례하는 교류전압이 각각 유기된다.
이처럼 유기된 각 교류전압은 정류수단(D1, D2)과 평활수단(Co1, Co2)에 의해 직류전압(Vo1, Vo2)으로 변환된다.
또한,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Vo1)은 제어부(50)에서 검출되고 그 검출된 값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제1스위치(SW1)로 피드백되어 스위칭시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게 된다.
도면에는 제어부(50)가 2차측 제1회로(30)의 출력단에 연결된 예를 기재하고 있으나 2차측 제2회로(40)의 출력단에도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는 저전력 부하에 적용시 소자수가 적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두 출력 중 한쪽 출력의 제어 시 다른 출력이 변동하는 크로스 레귤레이션(cross regulation)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전압 레귤레이터(regulator)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레귤레이터를 추가함에 따라 회로의 효율이 저감되고 2차측의 제1회로(30) 및 2차측 제2회로(40)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각 출력전압(Vo1, Vo2)의 용량에 따라 레귤레이터의 표준화 방안의 수립이 어려우며 소자나 회로의 추가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하나의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므로 두 출력단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우며 이로써 플라이백 컨버터의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및 2차측 제2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두 정전압으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효율이 향상된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와,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되며,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인가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1차측 회로와,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2차측 제1회로와,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2차측 제2회로와,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을 검출하고,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의 온오프를 각각 제어하여 2차측 제1회로 및 2차측 제2회로의 출력단 전압을 각각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한다.
이 때, 제2 및 제3스위치는, 제1스위치가 턴-오프되면 턴-온된다.
또한, 제2 및 제3스위치는 각각 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2차측 제1회로 및 2차측 제2회로는, 각각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과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 및 저항을 더 포함하고, 1차측 회로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과 병렬 연결된 인덕터를 더 포함한다.
이 때, 2차측 제1회로 및 2차측 제2회로에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권선비에 비례하는 교류가 각각 인가된다.
또한, 제어부는,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증가되면 제1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감소되면 제1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감소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증가되면 제2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감소시키고,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감소되면 제2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증가되면 제3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감소되면 제3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감소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에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1차측 회로와, 2차측 제1회로와, 2차측 제2회로에 각각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들 스위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및 2차측 제2회로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두 정전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출력단의 전압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레귤레이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2의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는 트랜스포머(110)와, 트랜스포머(110)의 1차측에 연결되는 1차측 회로(120)와, 트랜스포머(110)의 2차측에 연결되는 2차측 회로(130, 140)와, 1차측 회로(120) 및 2차측 회로(130, 140)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 때, 2차측 회로(130, 140)는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로 나뉘는데,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에는 트랜스포머(110)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권선비에 비례하는 교류가 각각 인가된다.
또한, 1차측 회로(120)는 입력전원(Vin)을 변환하여 트랜스포머(110)의 1차측에 인가하는 제1스위치(SW1)를 포함하고,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는 각각 제2 및 제3스위치(SW2, SW3)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3스위치(SW1~SW3)는 각각 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내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1차측 회로(120)는 트랜스포머(110)의 1차측 코일과 병렬 연결된 인덕터(L)를 더 포함하고,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는 각각 트랜스포머(110)의 2차측 코일과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Co1, Co2) 및 저항(Ro1, Ro2)을 더 포함한다.
이 때, 제1스위치(SW1)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자 전압(Vo1)에 따라 제어부(15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입력 직류전압(Vin)을 시분할하여 구형교류로 변환시킨다.
이에 트랜스포머(110)의 1차측에 직류전압이 인가되면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에는 그 각각의 권선비에 비례하는 교류전압이 각각 유기된다.
이처럼 유기된 각 교류전압은 정류수단 즉, 제2 및 제3스위치(SW2. SW3)의 내부 다이오드와, 평활수단(Co1, Co2)에 의해 직류전압(Vo1, Vo2)으로 변환된다.
이 때, 제2 및 제3스위치(SW2, SW3)는, 제1스위치(SW1)가 턴-오프되면 턴-온된다.
구체적으로, 1차측 회로(120)의 제1스위치(SW1)가 턴-온되는 동안 입력전원(Vin)을 통하여 1차측 회로(120)의 인턱터(L)에 에너지가 저장되고, 제1스위치(SW1)가 턴-오프되는 동안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는 트랜스포머(110)를 통해 각 권선비에 비례하여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에 각각 전달된다.
또한, 제1스위치(SW1)가 턴-오프되고, 제2 및 제3스위치(SW2, SW3)가 턴-온되면, 1차측 회로(120)의 인턱터(L)에 저장된 에너지는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의 커패시터(Co1, Co2)에 저장됨과 동시에 저항(Ro1, Ro2)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을 검출하고,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SW1~SW3)의 온오프(On/Off)를 각각 제어하여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1, Vo2)을 각각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증가되면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증가시키고,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감소되면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감소시킨다.
즉, 제어부(150)가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가 증가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증가되도록 제1스위치(SW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50)가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가 감소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감소되도록 제1스위치(SW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을 정전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입력전압(Vin)에 의해 1차측 회로(120)의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는 트랜스포머(110)에 의해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로 전달되는데, 그 전달 과정에서 내부 저항 등으로 인해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전술한 제1스위치(SW1)의 제어만으로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을 정전압을 정밀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어부(150)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증가되면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감소시키고,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감소되면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증가시킨다.
즉, 제어부(150)가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가 증가한 경우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감소되도록 제2스위치(SW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을 정전압으로 정밀하게 유지시켜, 플라이백 컨버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가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가 감소한 경우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증가되도록 제2스위치(SW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한편,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은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정전압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어부(150)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증가되면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증가시키고,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감소되면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감소시킨다.
즉, 제어부(150)가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가 증가한 경우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증가되도록 제3스위치(SW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50)가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1회로(130)의 부하가 감소한 경우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감소되도록 제3스위치(SW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는, 1차측 회로(120)와, 2차측 제1회로(130)와, 2차측 제2회로(140)에 각각 스위치(SW1~SW3)를 구비하고 이들 스위치(SW1~SW3)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및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의 전압(Vo1, Vo2)을 모두 정전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출력단의 전압(Vo1, Vo2)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레귤레이터(regulator)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regulator) 구비에 따른 소비전력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제어부(150)가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인가 받아 제1 내지 제3스위치(SW1~SW3)를 제어하더라도 위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을 검출하고,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SW1~SW3)의 온오프(On/Off)를 각각 제어하여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1, Vo2)을 각각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증가되면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증가시키고,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감소되면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감소시킨다.
즉, 제어부(150)가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가 증가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증가되도록 제1스위치(SW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50)가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가 감소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스위치(SW1)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감소되도록 제1스위치(SW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정전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입력전압(Vin)에 의해 1차측 회로(120)의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는 트랜스포머(110)에 의해 2차측 제1회로(130) 및 2차측 제2회로(140)로 전달되는데, 그 전달 과정에서 내부 저항 등으로 인해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전술한 제1스위치(SW1)의 제어만으로는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정전압을 정밀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증가되면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감소시키고,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감소되면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증가시킨다.
즉, 제어부(150)가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가 증가한 경우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감소되도록 제3스위치(SW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정전압으로 정밀하게 유지시켜, 플라이백 컨버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가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가 감소한 경우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3스위치(SW3)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증가되도록 제3스위치(SW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한편,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은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정전압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증가되면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증가시키고,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 전압(Vo2)이 감소되면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를 감소시킨다.
즉, 제어부(150)가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가 증가한 경우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증가되도록 제2스위치(SW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50)가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를 검출한 결과, 2차측 제2회로(140)의 부하가 감소한 경우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2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 듀티비(duty ratio)가 감소되도록 제2스위치(SW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Vo1)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도 3은 도2의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51)와, 비교부(151)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SW1~SW3)에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신호발생부(153)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 전압과 기준 전압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SW1~SW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각 스위치(SW1~SW3)에 출력함으로써, 2차측 제1회로(130)의 출력단과 2차측 제2회로(140)의 출력단의 전압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트랜스포머
120 : 1차측 회로
130 : 2차측 제1회로
140 : 2차측 제2회로
150 : 제어부

Claims (10)

  1.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되며,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인가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1차측 회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2차측 제1회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2차측 제2회로; 및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스위치의 온오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2차측 제1회로 및 2차측 제2회로의 출력단 전압을 각각 유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는, 상기 제1스위치가 턴-오프되면 턴-온되는 플라이백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는 각각 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제1회로 및 2차측 제2회로는,
    각각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과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 및 저항을 더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과 병렬 연결된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제1회로 및 2차측 제2회로에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의 권선비에 비례하는 교류가 각각 인가되는 플라이백 컨버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증가되면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감소되면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감소시키는 플라이백 컨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증가되면 상기 제2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감소시키고,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감소되면 상기 제2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플라이백 컨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증가되면 상기 제3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이 감소되면 상기 제3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감소시키는 플라이백 컨버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측 제1회로의 출력단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3스위치에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KR1020160026399A 2016-03-04 2016-03-04 플라이백 컨버터 KR20170103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99A KR20170103459A (ko) 2016-03-04 2016-03-04 플라이백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99A KR20170103459A (ko) 2016-03-04 2016-03-04 플라이백 컨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59A true KR20170103459A (ko) 2017-09-13

Family

ID=5996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399A KR20170103459A (ko) 2016-03-04 2016-03-04 플라이백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4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605B1 (en) Adjustable frequency curve for flyback converter at green mode
US8787040B2 (en) Voltage-regulating circuit with input voltage detecting circuit and parallel voltage-regulating circuit system using the same
US7663896B2 (en) Energy effective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an energy effective method thereof
US20100302808A1 (en) Power source apparatus
US9564813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EP2284983A1 (en) Isolated AC-DC converter with master controller on secondary side and slave controller on primary side
TWI590574B (zh) 電源供應裝置
US7729135B1 (en) Power converter using a single tapped transformer for multiple ranges of input voltage
JPWO2011132275A1 (ja) 電流共振電源
US9344000B2 (en) Power module varying bias power and distributed power supply apparatus
US10277139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which detects power shortage and switches to a power supply that is capable of supplying power
US7541691B2 (en) Standby power supply apparatus
KR100980406B1 (ko) 멀티 피드백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US20150006932A1 (en) Power supply apparatus
TWI581551B (zh) 多輸出交換式電源轉換器
KR20170103459A (ko) 플라이백 컨버터
KR20170064385A (ko) 전원 공급 시스템
JP465010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オーディオアンプシステム
KR101493520B1 (ko) 이중출력 에스엠피에스 장치
US20170271994A1 (en) Power supply device
JP627389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7303774B2 (ja) 直流電源
TWI509958B (zh) Dynamic frequency adjustment power control device
US9036374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34075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