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397A - 낙뢰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뢰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397A
KR20170103397A KR1020160026238A KR20160026238A KR20170103397A KR 20170103397 A KR20170103397 A KR 20170103397A KR 1020160026238 A KR1020160026238 A KR 1020160026238A KR 20160026238 A KR20160026238 A KR 20160026238A KR 20170103397 A KR20170103397 A KR 20170103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mobile radi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etecte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코닉스
Priority to KR102016002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397A/ko
Publication of KR2017010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 G01R31/002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where the device under test is an electronic circ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01R35/007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신뢰성 있고 값싼 낙뢰 경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이다. 이 기기는 통신링크를 위해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전자파간섭들을 검출하는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 기기는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검출된 전자파간섭으로 인해 기기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그리고 추측된 낙뢰에 관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게 하는 처리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기기와 통신망의 네트워크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응하는 방법에 그리고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에 동등하게 관련된다.

Description

낙뢰 검출 시스템{Lightning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및 그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서 낙뢰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등하게 그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에 그리고 그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우들은 주요한 기상 재해이지만, 예측하기 어렵다. 그것들은 20km/h 내지 40km/h의 속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낙뢰(lightning strokes)는 10km를 넘게 비구름들의 앞에서 그리고 동등하게 얼마간 거리로 비구름들의 뒤에서 발생할 수 있다. 낙뢰가 구름 또는 전선(weather front)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장 위험한 낙뢰들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어떤 가시 구름도 뇌우의 징조로서 위에서 나타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그래서, 뇌우가 보이게 되기 대략 10분 전인 경우에라도 어떻게든
지 유해한 뇌우를 경고하는 시스템은 주요한 안전 특징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그런 안전 특징으로부터의 이익을 얻을 많은 사람이 있다. 일부 사람들에게, 그것은 단지 알면 좋은 일상적인 지식을 제공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상당한 수의 사람들에게는, 폭풍과 낙뢰로 시작되는 위협은 위험 증가, 재산 손실 또는 치명적인
결과까지의 형태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낙뢰 경보 시스템은, 예를 들어, 많은 시간을 옥외에서 보내는 사람들과, 동등하게 비행사, 항해사 등이 특히 흥미있어 한다. 날씨가 완전히 고요하고 맑게 갠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도 낙뢰의 주의보를 제공하고 있는 시스템은 사람이 시간상 적합한 안전 조치, 예를 들어, 피난처 등을 찾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이 기술분야의 상태로부터, 많은 단일 목적 낙뢰 검출기들이 알려져 있지만, 그것들은 상업적 견지에서 얼마간의 단점들을 가진다.
기상학에서 사용되는 과학적인 낙뢰 검출기들은 매우 크고 그것들의 범위는 수백 킬로미터이다. 더욱이, 그것들은, 요구된 정밀도 또는 방향성을 얻기 위해, 예를 들어 벽 위에나 책상 스탠드 위에 서있는 특정 방위를 가지는 것이 통상 필요하다. 그래서 그것들은 진정한 이동식 사용에는 잘 맞지는 않다. 이 기기들은 전형적으로는 낙뢰의 신뢰성 검출이 가능해지기 전 수 분 동안 더욱더 수직으로 위치되어야만 하고 안정하게 유지되어야만 한다.
부가하여, 이제는 완전 휴대형 크기이고 특정 방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더욱 값싼 보급형(low end) 낙뢰 검출기들이 현존한다. 그러나, 이 검출기들은 차(car) 등으로부터의 전자파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방출들에 극히
민감하고, 그래서 특히 도시환경에서 가짜 경보들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표준 유선 전화기들의 경우, 문헌 US 5,959,815로부터 가외의 모뎀 전선에서 유도된 전류에 기초하여 잠재적으로 손상되는 전기장들 검출하는 것이 더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RF가능 기기를 위해 신뢰성있는 낙뢰검출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통신링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RF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전자파 간섭들을 검출하는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모바일 RF가능 기기가 제안된다. 제안된 기기는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검출된 전자
파간섭 때문에 모바일 RF가능 기기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할지를 결정하기에 적합하게 된 그리고 추측된 낙뢰의 발생에 관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기에 적합하게 된 처리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일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요소와 제안된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는, 부가적으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 의해 네트워크요소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주파수 모듈을 포함
한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 또는 GPS와 같은 위성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하여 낙뢰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 방법은 통신링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전자파간섭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자파간섭에 기
초하여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측된 낙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끝으로,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근처에서 낙뢰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코드가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안된다.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처리 구성요소에서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코드는, 통신링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검출된 전자파간섭에 기초하여,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될지를 결정한다. 게다가, 이 소프트웨어코드는 추측된 낙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되게 한다.
이 문서에서 "무선주파수 신호(radio-frequency signal)"라는 용어는 무선통신에서 채용되는 모든 전자기 신호들을 기술하는데 이용된다. 더욱이, 통신링크를 위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은 현존하는 통신링크의 부분으로서 수신되는 신호들을 포함하지만, 동등하게는 통신링크를 수립할 수 있게 하는 신호들도 포함한다. 무선주파수 신호들이 수신되게 하는 통신링크는 추가로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링크일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위한 무선주파수 신호들은 예를 들면 라디오신호들 또는 GPS신호들과 같이 전송능력이 없는 다수의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들에 의해 수신되는 동보(broadcast)신호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낙뢰가 시각적 신호 및 부분적으로 가청 압력신호 외에도 광범위한 파장들에 걸쳐 연장하는 잠깐이지만 강한 전자기 펄스를 생성하는 단일 섬광이라는 생각에서 생겨난 것이다. 전자기 펄스의 가장 강한 신호는 낙뢰 시에 수직 전류에
의해 유발되는 유도 전기장이고, 이것은 대규모 거리-방위(distance-bearing) 기기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매개변수이다. 그러나, 낙뢰 현상의 복잡함 때문에, 수백 헤르츠 이하의 극히 낮은 주파수(extremely low frequency; ELF) 범위에 강한 신호들이 있기도 하고 더 약한 신호들이 기가헤르츠 이상까지 연장되기도 한다. 전자파간섭(EMI) 기호(signature)들의 정확한 특성들 및 시간 스펙트럼들은 그것들을 유발하는 약간 다른 기상(meteorological) 메커니즘 때문에 킬로헤르츠 및 헤르츠 범위에서보다는 메가헤르츠 범위에서 다르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위해서는, 관심있는 모든 주파수들에서 낙뢰에는 다수의 킬로미터 거리에서 식별될 수 있는 EMI펄스가 동반된다는 것에 주의하면 충분하다.
EMI펄스의 결과로서, 근처의 낙뢰 동안에 송신되는 RF신호들은 얼마 안 있어 간섭된다. 낙뢰에 의해 유발된 EMI로 인한 RF수신기들의 손상은 AM/FM라디오, TV 또는 전력공급선들에서도 클릭, 스크래치, 소리 또는 화상의 손실, 잡음 등의 형태로 경험될 수 있다. 낙뢰로 인한 RF신호들의 교란은 매우 큰 거리에서 감지될 수 있다. 특수 대규모 낙뢰 검출기들은, 이 검출기들이 전형적으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RF신호의 간섭보다는 유도 전기장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낙뢰 교란, 이른바 공중방전(sferics)을 낙뢰로부터 수백 킬로미터의 거리에서 검출할 수 있다. 보통의 AM라디오는 오디오신호에서 각종 클릭들로서 직접 들릴 수도 있는 낙뢰로부터 30km 이상까지의 거리에서 EMI 교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M보다 높은 주파수들에서, 신호는 대기 감쇠 및 다른 원인 메커니즘들 모두로 인해 전형적으로 훨씬 약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먼 거리에서 검출될 수 있다.많은 모바일 RF가능 기기들에서 수신된 RF신호들의 전자파간섭들이 필터링에 의해 즉시 제거될 수 있지만, 현존하는 또는 가능한 통신링크를 위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에서 그러한 전자파간섭들이 정확히 평가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다. 검출된 간섭이 낙뢰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면, 모바일 RF가능 기기의 사용자에게는 경고가 될 수 있다. 간섭은 예를 들면 만일 그것이 기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한다면 또는 만일 그것이 낙뢰의 특성인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진다면 낙뢰에 의해 야기된 것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RF검출이 온되는 한 낙뢰 검출은 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그것이 모바일 RF가능 기기에서, 예를 들면 셀룰러 전화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보안 특징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제안되어 있는 수신된 RF신호들의 감시는 현존하는 아키텍처들, 모듈들 및 시그널링 처리 또는 컴퓨팅 확
률들을 이용하는 통합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허용한다. 구성요소들의 부가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고 기기의 RF부분에 대한 최소한의 변경들만을 필요로 한다. 제안된 특징은 그러므로 낮은 가외의 비용과 작은 가외의 크기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존하는 기기들에 비교하여 새로운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본질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아 현존하는 제품들에서 적어도 수십 유로에 대해 수 유로의 비용 추가가 있게 하는 구현예가 실현될 것이다.
많은 경우들에서, 근처에서 낙뢰들을 검출하려는 소망은 전용 낙뢰 검출기에 동반되는 비용과 운반의 어려움을 정당화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들이 이미 어느 경우에서나 지니고 있는 이동전화기 또는 AM/FM라디오와 같은 기기와 통합되는 저비용 감지시스템의 진가를 인정할 것이다. 공지 기술은 낙뢰 검출을 새로운 기능성으로 하여 다른 현존하는 휴대 기기들에 통합하는 것을 제공하지 않는다.
수신된 RF신호에서 낙뢰로 인한 EMI 교란의 검출은 이 기기의 각종 구성요소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RF수신용 안테나 또는 RF수신기 모듈에 또는 그렇지 않으면 신호처리경로에 구현될 수 있다. 그 교란은 마이크로폰신호들에 기초하여 또는 적당한 반도체들의 예를 들어 신호증폭기의 p/n경계에서의 변동(fluctuations)에 기초하여 추가로 검출될 수 있다.
검출 위치에 그리고 기기의 구현예에 의존하여, 간섭들의 검출 및 평가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및/또는 특정 검출회로에 의해 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고주파수 RF신호들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하는 직접변환 RF수신기들에서, 특정 검출기 회로는 교란을 포획하는데 채용되어야만 하는데, 소프트웨어기반 처리 단독으로는 RF신호들의 이상 동작(abnormal behavior)을 검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선택사항으로, RF신호에서 EMI교란의 검출은, RF수신에 이용되지 않지만 낙뢰에 의해 야기된 급속한 전자파교란에 응답하는 기기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의 측정들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요소들은 선택사항으로는 전자파교란의
일 부분에는 응답한다. 즉, 그것들이 관측하는 현상은 정전기 및/또는 자기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나침반 응용, 적외선 송수신기 모듈(IrDA), 정전기방전(ESD) 보호필터들 또는 블루투스™ 수신기를 위해 이용되
는 전자파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RF신호에서의 EMI교란의 측정 및 보충적인 측정들의 결과들은 적당한 방식으로 조합되어야만 한다.
낙뢰의 식별을 위한 다수의 데이터 원들을 이용하면 검출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대규모 기기들과는 대조적으로, 방향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현존하는 보급형 휴대 낙뢰검출기들에서 행해진 바와 같이, 뇌우의 가능한 이동 및 접근 속력은 검출된 관련 EMI교란들의 진폭들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통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검출된 EMI펄스의 세기 및 스펙트럼 특성들은 낙뢰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진폭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대안으로 검출된 낙뢰들의 발생빈도가 예를 들어 분 당 검출된 관련 교란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낮지만 영은 아닌 정확도로 뇌우가 더 강하게 될 것인지를 뇌우들의 빈도의 변경에 의존하여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시스템은 특히 근처 어느 곳에서 낙뢰가 검출되자마자 사용자가 더 근접한 관측을 할 수
있게 할 초기 "신속 응답" 경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사실상 현존하는 저비용 및 소규모 낙뢰검출기들에 의해 제공되는 전형적인 유형의 서비스이다. 최저급(lowest-end) 검출기들은 기본적으로는 이와 같이 동작하고, 그것
들이 낙뢰를 검출할 때마다 삑 소리(비프음)를 낸다.
추측된 낙뢰의 사용자에게의 통지는 다양한 방식들로 실현될 수 있다. 이 통지는 예를 들어 진동 알람에 의한 것과 같이 시각적 및/또는 음향적 및/또는 촉각적일 수 있다. 더욱이, 그것은 하나의 단계 또는 수 개의 단계들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종류의 통지는 뇌우가 근처에 있을 것이라 믿어진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제2종류의 통지는 뇌우가 접근하고 있다고 믿어진다는 것과 어떤 속력인지를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안된 낙뢰 검출은 적어도 초저주파 불가청(infrasonic) 신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범위의 수신된 음파신호들, 즉, 약 20Hz 미만의 주파수를 가지고 예를 들면 1Hz 또는 더 아래로 내려가는 소리신호들과, 어쩌면 부가적으로 가청 주파수범위의 신호들에 기초하여 부가적으로 우레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더욱 개선된다.
적어도 초저주파 불가청음(infrasound)에 기초하여 우레를 검출하는 제안은 더 높은 주파수들이 더 낮은 주파수들보다 공기 중에서 더 빨리 감쇄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가청신호들의 검출은 대략 20초의 전파(propagation)시간에 상응하는
수 킬로미터의 거리로 제한되는데, 들을 수 있는 소리(가청 소리)가 비교적 신속히 감쇄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인간의 귀가 들을 수 없는 초저주파 불가청음은 어떤 환경들에서는 들을 수 있는 소리보다는 상당히 먼 거리를 이동한다. 낙뢰에 의해
야기된 고속 압력 진동은 매우 광대역의 소리신호를 생성하고 그래서 가청 우레 외에 매우 강한 초저주파 불가청음 신호가 가청신호보다 훨씬 빨리 이동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의 이점은 그것이 낙뢰 위치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서, 즉 인간의 귀가 어떻게든지 들을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멀리에서 우레를 검출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우레의 검출은 특히 낙뢰에 대한 모바일 RF가능 기기의 현재 거리를 결정하는데 또는 이 거리를 수신된 RF신호들의 검출된 EMI교란들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것을 개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접근방법은 보여진 낙뢰와 들린 우레 사이의 시간
차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낙뢰의 거리가 추정될 수 있다는 주지의 사실에서 출발한다. 공지의 엄지손가락 법칙으로, 초 단위의 이 시간은 킬로미터 단위의 근사 거리를 얻기 위해 3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는 각종 센서들에 의해, 특히 초저주파 불가청음에 의해 생성되는 주변 공기압의 고속의 기계적 진동들 또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는 예를 들어 모바일 RF가능 기기에 통합된 가속도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한 가속도계들은 대개 모바일 RF가능 기기에서 촉각 응용들을 위해 채용된다. 가속도계들은 전형적으로 수 Hz 내지 약 50Hz의 범위 내의 운동들에 그래서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에 응답한다. 초저주파 불가청음은 가청주파수범위 아래의 신호들을 검출하도록 조절되는 진동식 오디오 마이크로폰에 의해 또는 전자소자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작은 신호들을 발생하는 스피커 코일에 의해 추가로 검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초저주파 불가청음은 스피커 박막 및 이 박막에 부착된 코일조립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코일조립체는 소리 생성을 위해 보통 사용되는 스피커 코일을 포함한다. 그 움직임은 스피커 박막에 부착된 코일과 주변의 스피커 자석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인한 전자기유도를 통해 코일조립체에 작은 전류를 생성한다. 특정의 부가적인 전기회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 작은 신호는 검출될 수 있고 초저주파 불가청음의 검출에 이용될 수 있다.
제안된 초저주파 불가청음 감지는 관련된 EMI교란들이 등록되어 있을 때에만 그것의 최대 민감도로 기동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요구된 연산으로 인한 지연이 있는 경우에도 초저주파 불가청음 감지를 기동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있는데, 전
형적으로 적어도 낙뢰와 관련된 음파(sonic) 및 초저주파 불가청음 신호들 사이에는 수 초의 간격이 있기 때문이다. 전기회로들 또는 모듈들은 요구된 때에만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지연은 추가의 전력 감소를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
므로, 소비전력은 처음에는 낮게 유지될 수 있는 한편, 초저주파 불가청음 감지가 더욱 정확한 또는 신뢰성 있는 뇌우 검출을 위해 스위치 온되는 때에 EMI 민감성의 검출만이 활동적이게 되고 증가한다. 유익한 실시예에서, 검출된 EMI교란들의
분석은 낙뢰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해 그리고 대응하는 우레가 검출되어야 하는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먼저 이용된다.
예를 들면, 만일 EMI펄스가 10km의 거리를 나타낸다면, 초저주파 불가청음 센서는 감지를 시작하기 전에 적어도 30초 대기해야 하고 30초 동안 수신된 신호들에 최고위 가중치를 부여해야 한다. 검출된 EMI교란이 낙뢰의 거리가 초저주파 불가
청음에 의해서도 검출되기에는 너무 길다면, 초저주파 불가청음 센서는 결코 턴 온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안된 RF가능 기기의 소비전력의 추가적인 감소를 겨냥한다. 많은 다른 환경적 현상들과 마찬가지로, 뇌우들의 확률은 위치와 시간에 강하게 의존한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의 중서부에서, 토네이도들의 확률은 6월에
매우 높고 12월에 매우 낮다. 언제나 충분한 전력으로 활동하는 낙뢰 경보 기능은 그래서 12월에는 에너지를 낭비한다.
그러므로 이 추가의 실시예는 모바일 RF가능 기기의 낙뢰 알람 기능이 주어진 위치 및 주어진 시간에 알려진 뇌우의 확률들에 기초하여 교정된다.
위치는 상기 기기에 의해 예를 들면 전역 위치확인 시스템(GPS)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세계시간을 설정하는 범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 시간은 세계시각(world clock)일 수 있거나 또는 GPS
등으로부터 알려질 수 있다. 이 시간은 예를 들어 월단위의 년의 시간, 및/또는 예를 들어 시간단위의 날의 시간일 수 있다.교정(calibration)은 뇌우의 위험이 낮을 경우에는 낙뢰 경보 기능을 완전히 스위치 오프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RF
신호에서 EMI펄스의 검출 및/또는 측정들의 속도를 위한 문턱은 뇌우의 위험이 낮은 경우에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소비전력의 직접적인 감소를 이끌어낸다. 게다가 대안으로, 뇌우의 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대부분의 검출된 EMI펄스들이 상세
한 후처리로 다루어지지 않는 식으로 처리 수준은 조절될 수 있어, 프로세서의 감소된 사용으로 인해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추가의 대안으로, 교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만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부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사
용자는 위험이 낮은 때에는 통지가 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근처의 뇌우가 극히 있음직 할 때에만 통지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시스템은 대부분의 시간을 휴면모드(sleep mode)로 있다. 결정된 뇌우의 위험은 예를 들어 낙뢰 검출 특징이
스위치 온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의 아이콘의 크기 및 가시성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안된 교정은 논리적으로 별개의 위치확인/시간 모듈들, 측정 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지는 기기에서 최선으로 구현된다. 이 교정은 기기 내의 부가적인 모듈의 형태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로 이행될 수 있다. 지리적 위
치에 그리고 시간에 의존하는 확률매개변수들은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고 및/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확률 매개변수들은 교정모듈에 입력될 수 있고, 그러면 교정모듈은 이러한 확률들에 기초하여 위험매개변수를 계산하고 적당한
교정을 유발한다.
현상의 발생과 지리적인 위치 및 시간 사이에 통계적 상관성이 있는 한, 교정은 낙뢰 외의 임의의 다른 환경적 현상들에 관계된 어떤 능력을 가지는 모바일기기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 능력은 예를 들어 어떤 네트워크로
부터의 측정 능력 또는 다운로딩 능력일 수 있다.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RF가능 기기는 이동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고, 이 통신망의 네트워크요소에, 기기 근처에서 추측된 낙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추측된 낙뢰 또는 상세한 측정 데이터의 경우에 단순히 플
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요소는 그것 근처의 다른 모바일기기들에 경보를 보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네트워크요소는 낙뢰 검출기 자체를 담고 있을 수도 있고 그것 근처의 모바일기기들에 경보를 송신할 수도 있
다. 이동통신망은 더 전문적인 기상 서비스들에 접근할 수 있고, 그 기상 서비스들은 경보가 주어진 후에 사용자들의 모바일 RF가능 기기들에 의해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자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평가들은 날씨의 투박한 단기예측을 할 수 있게 하는 다른 센서 데이터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모바일 RF가능 기기들은 예를 들면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이동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수신기들,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수신기들, 광대역 CDMA(WCDMA) 수신기들, 블루투스™ 수신기들, GPS 수신기들 및/또는 AM/FM 수신기들 또는 그것들의 개조물들일 수 있다. 그래서, 감시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들은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예를 들면 GSM신호들, CDMA신호들, WCDMA신호들, WLAN신호들, 블루투스™신호들, GPS신호들, AM라디오신호들 및/또는 FM라디오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에 관련하여 고려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들은 도시를 위해서만 디자인된 것이지 본 발명의 한계를 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한계에 대해서는 첨부의 청구항들을 참조되어야 함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은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것과도면들은 단순히 여기에 기재된 구조들 및 절차들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의도임도 추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제1실시예를 구비한 시스템의 개념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기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기기의 교정에서 이용하기 위한 표들의 제1예시집합이며;
도 4는 도 1의 기기의 교정에서 이용하기 위한 표들의 제2예시집합이며;
도 5는 도 1의 기기의 교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1의 기기의 교정에서 이용하기 위한 추가 예시 표이며;
도 7은 기기의 교정의 부분으로서 도 1의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능한 조절을 도시하며;
도 8은 가청 소리 및 초저주파 불가청 주파수 스펙트럼을 거리에 대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제2실시예의 개념 블록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기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기기에서 정확한 초저주파 불가청음 펄스의 검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뢰 검출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셀룰러폰(10)을 모바일 RF가능 기기로서 그리고 기지국(30)을 셀룰러 통신망의 네트워크요소로서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뇌우(40)의 존재가 표시되어 있다.
셀룰러폰(10)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접근할 수 있는 RF모듈(12), 마이크로폰(16), ESD보호필터(17), 나침반 구성요소(18), 적외선 송수신모듈(IrDA; 19), 디스플레이(20), 스피커(21), 시계(22) 및 메모리(23)를 구
비한다. RF모듈(12)은 복수 개의 안테나(24)에 연결되고, 셀룰러 RF신호들을 GSM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구성요소(13), WLAN신호들을 WLAN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구성요소(14), 및 블루투스™ 신호
들을 블루투스™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구성요소(15)를 포함한다. 셀룰러폰(10)은 기존의 셀룰러폰 들로부터 알려진 어떠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라도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묘사된 기지국(30)은 셀룰러폰(10)이 현재 부속된 기지국이다.
시스템의 기본 동작은 지금 도 2의 흐름도에 관해 기술될 것이다.
RF모듈(12)의 셀룰러 수신기 구성요소(13)의 트리거 회로는 고속 과도 피크에 관해 착신 비가공(raw) RF신호들을 감시하고, 그 후에 그러한 피크들은 후속하는 비교란(undisturbed) 신호 처리를 위해 필터링으로 제거된다.
트리거 회로는 특히 낙뢰-특유 신호 특성을 가지는 과도 피크들을 식별할지도 모른다. RF-대역들의 사용은 셀룰러 또는 다른 RF전송시스템들에서 기본적으로 모든 통신 유형들을 위한 표준화에 의해 잘 정의된다. 그래서, 수신된 RF신호의 표준 동작으로부터의 임의의 편차는 전자파간섭 EMI로서 신뢰성있게 검출될 수 있고, 그것은 검출된 EMI펄스의 진폭이 좀 높은 경우에 낙뢰 발생에 강한 힌트를 제공한다.
만일 트리거 회로가 낙뢰-특유 신호 특성을 가지는 과도 피크를 식별한다면, 검출된 피크의 진폭을 포함하는 상응하는 표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전송된다.
다르게는, RF신호들에서 고속 과도 피크들을 검출하기 위한 트리거 회로는 그러한 RF신호들을 수신하는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에, 예를 들어 안테나들(24)에, 수신 구성요소들(14, 15) 중의 다른 하나에, 마이크로폰(16)에, 또는 예를 들어 수신
된 RF신호들의 증폭을 위해 채용되는 반도체 구성요소(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고속 과도 피크들은 p/n 경계에서의 변동들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병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는 낙뢰 발생의 검출을 개선하기 위해 EMI 펄스 때문인 이상 동작을 찾는다. 그런 다른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ESD보호 필터들(17), 나침반 구성요소(18)의 전자기 센서들, 적외선 송수신모듈(19) 또는 블루투스™ 수신기 구성요소(15)일 수 있다.
도 1에서, ESD보호 필터들(17)은, 외부 접속핀들로부터의 고전압 방전을 필터링하는 것이며, 예로써 그것들이 가지는 동작을 감시하는 것이라고 가정된다. ESD보호 필터들(17)이 이상 동작, 예를 들어 기설정된 문턱을 초과하며 낙뢰-특유 특
성을 가지는 고속 과도전압 피크를 표시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표시(indication)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전송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되는 낙뢰 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은 수신된 표시들을 평가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가 가능한 낙뢰에 관한 표시를 RF모듈(12)로부터 그리고 ESD보호 필터들(17)로부터 동시에 수신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셀룰러폰(1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20) 및/또는 스피커(21)를 통해 뇌우가 근처에 존재한다고 추측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더욱이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RF모듈(12)에 의해 제공된 과도 피크들의 진폭을 감시한다. 각각의 진폭 그 자체는 낙뢰의 거리를 대충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검출된 과도 피크들의 시퀀스의 상대적인 진폭의 증가는 뇌우가 접
근하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상대적 진폭들이 기록된다면, 접근 속력의 꽤 신뢰성있는 추정도, 최신식 제품들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증가하는 상대적 진폭들이 검출되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셀룰러폰(10)
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20) 및/또는 스피커(21)를 통해 뇌우가 접근하고 있다고 추측될 수 있음을 부가적으로 경보를 할 수 있다. 이 경보는 검출된 낙뢰들의 현재 거리에 관한 그리고 뇌우가 셀룰러폰(10)의 위치에 도달할 것이 예상될 수 있
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낙뢰가 검출되면, 셀룰러폰(10)은, 기지국(30)의 통신가능구역 내의 다른 셀룰러폰들에 대한 배포를 위해, 플래그를 기지국(30)에 부가적으로 전송한다.
그런 플래그의 전송 하에, 셀룰러폰(10)은 기지국(30)을 통해 전문 기상 서비스로부터 자동적으로 더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그 다음에 디스플레이(20) 및/또는 스피커(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도 있다.
도 1의 셀룰러폰(10)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것의 낙뢰 검출 특징은 교정될 수 있는데, 그것은 다음에서 도 3 내지 도 6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도 3 및 도 4는 교정을 지원하기 위해 메모리(23)에 저장될 수 있는 2개의 대체 표 세트들을 나타낸다. 양 세트들은 각기 특정 월과 하루의 특정 시간에 뇌우에 관한 위험수준들을 여러 위치들에 대해 표시하는 월간 표(montly table)와 시간표
(hourly table)를 포함한다. 이 표들은 월별 위험이 매우 작은 영역들에 걸쳐 변화하는 반면 시간별 위험은 큰 영역에 걸쳐 변화하여 신뢰성이 더 없는 특정 경우의 뇌우들에 대해 최적화된다.
도 3의 월간 표는 위치들로서 개별 행에 각종 지리적 영역들을 플로리다(FL), 텍사스(TX), 뉴멕시코(NM) 및 테네시(TN)를 예로 하여 열거하고, 개별 열의 각 영역에 각 월에 대한, 즉, 1월(J)부터 12월(D)에 대한 뇌우의 위험수준을 연관시킨다.
가능한 위험수준들은 위험 없음(N)을 나타내는 "0", 낮은 위험(L)을 나타내는 "1", 뚜렷한 위험(A)을 나타내는 "2", 높은 위험(H)을 나타내는 "3", 매우 높은 위험(V)을 나타내는 "4" 및 극히 위험(E)을 나타내는 "5"이다. 시간표는 각종의 큰 지
리적 영역들, 즉 중서부(Midwest) 및 캐리비안에 대해, 그리고 별도로 여름 및 겨울에 대해 모든 부차 시간에 대한, 즉 자정인 "00"부터 오후 10시인 "22"에 대한 위험수준을 나타낸다. 가능한 위험수준들은 다시 "0" 내지 "5"이다.
위험수준들과 지리적 영역들과의 그러한 연관은 그것이 표들의 갱신을 용이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요구된 행은, 입력으로서 셀룰러폰(10)의 현재 위치의 좌표를 받고 출력으로서 정확한 행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적인 알고리즘 또는 표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한다.
반면에, 도 4의 표들은 위도 및 경도에 의해 분류되는 단순한 수학적 룩 업 테이블이다. 월간 표는 예로써 지리적 위치들인 090W 30N, 110W 20N, 120W 30N 및 130W 30N을 개별 행에 열거하고, 개별 열의 각 위치에 각 달에 대해, 즉, 1월(J)
내지 12월(D)에 대해 뇌우에 관한 위험수준을 연관시킨다. 가능한 위험수준들은 다시 "0" 내지 "5"이다. 도 4의 시간표는 위도 및 경도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여러 큰 영역들, 예로써 090W 30N 내지 120W 50N 및 060W 10N 내지 100W 30N에 대해, 그리고 개별적으로 여름 및 겨울에 대해, 모든 부차 시간에 대해, 즉 자정인 "00"내지 오후 10시인 "22"에 대해 뇌우의 위험을 나타내고 있다. 가능한 위험수준들은 다시 "0" 내지 "5"이다.
도 4의 표들은 개별적으로 요구된 행의 선택이 다른 표들의 필요 없이 단순한 보간 또는 룩업의 문제이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4에 제시된 것과 같은 표들은 또한 매우 압축적이라, 메모리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도 3 또는 도 4의 표들을 자신의 메모리(23)에 저장하는 도 1의 셀룰러폰(10)에서의 교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하루에 한 번,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되는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셀룰러폰(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한다. 이 위치는 예를 들면 세계 시계(22)를 위해 현재 이용된 시간조정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위치는, 예를 들면 셀룰러
폰(10)의 세계시계(22)의 특정 위치를 위한 자동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선행하는 입력으로 메모리(23)에 저장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현재의 달을 예를 들어 셀룰러폰(10)의 달력기능에 의해 제공된 현재의 날로부터 하루에 한 번 결정한다.
다음에,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저장된 월간 표의 어떤 행이 사용될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월에 기초하여, 저장된 월간 표의 어떤 열이 이용될지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결정된 행 및 결정된 열에
의해 식별되는 필드에서 표시된 위험수준을 저장된 월간 표로부터 월간 위험수준으로서 검색한다. 추가의 처리에 의존하여, 교정 소프트웨어는 그 다음에는 검색된 위험수준에 기초하여 월간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된 위험수준
은 5로 나눠진다. 예를 들면, 낮은 위험수준인 "1"은 확률 1/5, 높은 위험수준인 "3"은 확률 3/5 등이 된다.
시간마다 한번,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부가적으로 세계시계(22)로부터 현재 시간을 결정한다. 더욱이, 그 모듈은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날을 위해 시간표의 어떤 행이 이용될지를 결정하고 이 날의 결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시간표의 어떤
열이 이용될지를 결정한다.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그 다음에 결정된 행 및 결정된 열에 의해 식별되는 필드에서 표시된 위험수준을 시간별 위험수준으로서 검색한다. 게다가, 이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검색된 시간별 위험수준에 기초하여 시
간별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된 위험수준은 5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면, 낮은 위험수준인 "1"은 확률 1/5, 높은 위험수준인 "3"은 확률 3/5 등이 된다.
교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그 다음에 민감도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동(joint) 위험수준 또는 공동 확률을 추정한다. 전체 위험이 낮을 당시에는 뇌우의 존재가 극히 있음직할 경우에만 경보들이 주어지는 식으로 교정은 사용자에 대한 경보에 더욱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때문에, 셀룰러폰(10)의 낙뢰 검출 특징은 대부분의 시간에 휴면(sleep) 또는 저전력 휴지(idle) 모드에 있다.
게다가, 교정은 도 7에서 예로써 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셀룰러폰(10)의 디스플레이(20)를 3가지 상황에서 보이고 있다. 전체 위험이 매우 낮을 당시에, 낙뢰 검출 특징이 활동적임을 나타
내는 표준아이콘은 완전히 스위치 오프된다. 이 상황에 관해, 디스플레이(20)는 도 7의 좌측에 제시된다. 전체 위험이 적당할 당시에는, 아이콘(71)은 그 시간 내내 작은 크기로 표시된다. 이 상황에 관해, 디스플레이(20)는 도 7의 중앙에 제시된
다. 전체 위험이 높을 당시에는, 아이콘(72)은 그 시간 내내 현저하게 표시된다. 이 상황을 관해, 디스플레이(20)는 도 7의 우측에 제시된다. 이 조절은 전체 위험이 낮을 당시에 셀룰러폰(10)의 화면의 클러터발생(cluttering)을 피하는 것을 돕는 한편, 전체 위험이 높을 때에 경보가 명확히 보이는 것을 보장한다. 후자인 두 상황들에서, 낙뢰가 검출된 경우에는 표시된 아이콘(71, 72)은 섬광 또는 깜박임(blinking)을 시작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비프음 등이 스피커(2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더욱이, 결정된 전체 위험은 네트워크기반 서비스들이 이용될 때 기지국(30)을 통한 데이터의 다운로드들, 예를 들어 일기 예보 또는 낙뢰 위치들의 실시간 지도들의 다운로드들의 최적화 및 조절에 이용될 수 있다. 전체 위험이 높은 기간들 동안, 다운로드들은 빠른 간격들로 실행될 수 있다. 반면에, 전체 위험이 낮을 때, 다운로딩은 더 드물게 실행되거나 조금도 실행되지 않는다. 실사용에서, 사용자에 대한 대역폭 및 비용 둘 다를 절약하기 위해, 셀룰러폰(10)은 사용자에게 다운로딩이 실제 소망되는지를 물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제시된 교정들의 이점은 그 교정들이 전력 및 사용자 비용의 상당한 절약을, 특히 만일 약간의 특징들이 전체 위험이 낮을 당시에 완전히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교정의 유용성(usability) 및 편리성은 매우 양
호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어느 정도는 더 명료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구현물은 비교적 단순하고, 모듈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교정은 현존하는 세계 시계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정이 애드-온 기능성으로서 실현될 수 있으므로, 이용되는 표들은 달력, 시계, 또는 센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변경들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모듈들로서
추가되고 변형될 수 있다. 교정은 더 나아가 어떠한 네트워크 제공자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는데, 표들이 셀룰러폰 자체 내에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품질 또는 고해상도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 것을 허락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 제공자가
강화되거나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만일 위치 목록 값들이 저장된 표들에서 생략된다면 그리고 만일 알고리즘이 개별 위치를 찾기 위해 대신 사용된다면 교정을 위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
운 위치가 정의될 때 표들의 갱신도 필요하지 않다.
발명에 따르는 낙뢰 검출의 제2실시예가 이제 도 8 내지 도 11에 관해서 기술될 것이다. 낙뢰 검출은 모바일 RF가능 기기로서의 셀룰러폰에서 다시 이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셀룰러폰(90)은 도 1의 셀룰러폰(10)의 모든 특징들 및 기능들을 포
함할 수 있지만, 그것은 전자파간섭들 외에도 적어도 공기압력의 진동에 의해 야기된 초저주파 불가청 소리신호들을 평가한다. 이 특징은 낙뢰와 셀룰러폰(90)과의 거리의 개선된 결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제2실시예가 약 20Hz 아래의 진정한 최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의 검출 및 평가 외에도 약 20Hz 위의 가청신호들의 검출 및 평가도 허용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실제 추가된 값은 이 기술분야의 상태로부터 알려지지 않은 사용자가 스스로 검출할 수
없는 소리 신호들의 검출 및 평가로부터 비롯된다.
도 8은 가청 소리 및 초저주파 불가청 주파수 스펙트럼 대 낙뢰의 거리를 묘사하는 4개의 이론적 도면을 제시한다. 이 도면들은 셀룰러폰의 위치에서 다른 소리 주파수들의 검출가능한 범위의 차이들을 도시한다.
신호의 모든 가청 소리 및 초저주파 불가청음 주파수들은 신호의 소스와는 대략 3초의 신호 이동시간에 해당하는 1km의 거리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서 도시된다. 명료한 우렛소리(rumbling)가 신호의 소스와는 대략
15초의 신호 이동시간에 해당하는 5km의 거리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도 8의 두 번째 도면에서 도시된다. 멀리서의우렛소리가 신호의 소스와는 대략 30초의 신호 이동시간에 해당하는 10km의 거리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도 8의 세
번째 도면에서 도시된다. 그러나, 초저주파 불가청음 신호만이 신호의 소스와는 대략 60초의 신호 이동시간에 해당하는 20km의 거리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도 8의 네 번째 도면에서 도시된다.
도 9는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셀룰러폰(90)의 개념 블록도이다.
셀룰러폰(90)은 도 1에 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낙뢰 검출을 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 구성요소들은 개별적으로 보인 것들인 마이크로프로세서(92), 마이크로폰(93) 및 디스플레이(94)를 제외하고는 도 9에서 블록 EMI 검출 시스
템(91)으로서 요약된다. 더욱이, 셀룰러폰은 가속도계(95)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92)는 EMI 검출 시스템(91)에, 가속도계(95)에, 마이크로폰(93)에 그리고 디스플레이(94)에 접근한다.
도 10의 흐름도는 도 9의 셀룰러폰의 동작을 도시한다.
EMI 검출 시스템(91)은 낙뢰의 전체 위험이 낮지 않은 한 스위치 온 된다. EMI 검출 시스템(91)이 예를 들어 도 1의 RF모듈(12)에 의해 낙뢰의 EMI 펄스들의 특성을 검출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92)에 의해 실행되는 낙뢰 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은 추측된 낙뢰의 거리를 도 1 및 2에 관해서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검출된 EMI 펄스들의 진폭들에 기초하여 추정한다.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의 검출을 허용하는 범위에 낙뢰가 있다고 추측될 수 있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92)에 의해 실행되는 소리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은 초저주파 불가청 센서로서의 가속도계(95)를 턴 온 한다. 소리신호들의 검출을 허
용하는 범위에 낙뢰가 있다고 추측되는 경우에, 소리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은 오디오센서로서의 마이크로폰(92)을 턴 온 한다.
그러면 가속도계(95)와 어쩌면 마이크로폰(93)은 낙뢰의 추정된 거리에 상응하는 검출된 낙뢰 후의 시간범위 내에서 초저주파 불가청 및 음파 펄스들을 각각 식별하는 것을 시도한다. 검출된 신호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92)의 소리검출 소프트
웨어 모듈에 의해 평가된다.
도 11은 예시적인 상황에서 가속도계(95)에 의해 60초의 시간에 걸쳐 검출된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의 진폭을 묘사하는 이론적 도면이다. 부가적으로, 개별 3초 빈(3-second-bin)을 위한 정규화된 에너지값은 시간척도 아래에 표시된다. EMI
검출 시스템(91)에 의한 표시들에 기초하여, 약 12km ±3km의 거리에 낙뢰가 현재 있음을 마이크로프로세서(92)가 추정하였다고 추측된다. 이것은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에 대해 약 36s ±9s의 시간지연 대 낙뢰 검출에 상응한다. 이 범위는 도
11에서 동일하게 표시된다.
도 11에는 약 15s에 피크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은 검출된 낙뢰에 의해 야기된 피크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92)에 의해 잘못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낙뢰의 거리가 12km에 가까워야 한다는 지식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92)는 약 27s에서
시작하는 피크를 정확한 피크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피크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통계적이고, 그러므로 신뢰성 추정이 포함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한다.
그래서 시계열의 피크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검출된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로부터 스퓨리어스(spurious) 잡음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스퓨리어스 잡음은 특히 차(cars), 시가 전차(trams) 등과 같은 초저주파 불가청음 잡음의 다수
의 소스들을 포함하는 도시 환경의 핵심문제이다. 도시 환경도 스퓨리어스 EMI 펄스들의 소스들을 포함하고, 전통적인 보급형 낙뢰 검출기들은 사실상 가짜 경보들을 초래하는 도시 환경에서 매우 열악하게 수행되는 경향이 있다. 도시 환경에서
의 성능은 통계적 방법들에 의해 개선될 수 있고, EMI 펄스 및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를 여기서 기재된 바와 같이 동시에 이용하면, 통계적 분석에 추가적인 견고성(robustness)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처럼, 초저주파 불가청 펄스가 9km의 거리에 해당하는 t=27s에서 시작하는 예상되는 시간범위 내에서 보인다면, 실제 거리는 15km보다 9km에 더 가깝다는 것이 마이크로프로세서(92)에 의해 추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93)도 스위치 온되고 검출된 음파신호들을 마이크로프로세서(92)의 소리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에 제공하는 경우에, 이 신호들도 평가된다.낙뢰 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표시된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펄스를 위한 허용된 시간범위는 타임아웃 값을 설정하기 위해 소리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사용된다. 만일 수신된 초저주파 불가청 및 음파 신호들의 감시가 타임아웃이 일어나기 전에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펄스가 검출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반환된다.
만일 수신된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신호들의 감시가 낙뢰 검출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표시된 시간범위 내에서의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펄스의 검출이 되게 한다면, 이 펄스의 시작은 낙뢰의 거리에 대한 부가적인 추정을 구성한다.
검출된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펄스들에 기초한 거리 추정은 EMI 펄스에 기초한 거리 추정과 통합될 수 있다. 최종 거리는 예를 들어 2개의 거리의 가중 평균일 수 있다. 다르게는, 검출된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펄스들에 기초한 추정값
은 EMI펄스들에 기초한 추정을 위한 경계값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검출된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펄스들에 기초하는 추정값을 거리를 위한 기본값(primary value)으로서 이용하는 것조차도 가능할 것이다.
보통 사용자에게는 가장 가까운 킬로미터와 낙뢰와의 거리를 알고 있는 것만이 중요하므로, 수 초의 상당히 큰 에러들조차도 초저주파 불가청 또는 음파 펄스들의 검출에 있어서 허용가능하다. 이것은 대역폭 및 다른 요건들이 매우 빡빡할 필요
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적으로 전력 절약이 되게 한다.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현은 결정된 거리의 신뢰성을 가외의 하드웨어 없이 증가시키는데, 마이크로폰이 항상 셀룰러폰에 포함되고 가속도계들은 더욱더 많이 공유되기 때문이다. 제시된 실시예는 가속도계들의 자연 주파수 범위, 즉, 수 Hz 내지
50Hz에서 동작하고, 그래서 채용된 가속도계들의 정교한 튜닝은 필요하지 않다. EMI펄스가 검출될 때에만 초저주파 불가청음 감지가 트리거되므로, 소비전력은 제1실시예에 비교하여 약간만 증가한다. EMI 펄스들의 조기 검출과 초저주파 불가
청음 분석에 의한 신뢰성 증가는, 만일 소리 분석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뇌우들을 감시하는 동안 전력을 절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것으로서 보이고 기술되고 지적되었지만, 기재된 기기들 및 방법들의 형태 및 세부사항들에서의 각종 생략과 치환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당업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동일한 결과들을 성취하는 그 요소들 및/또는 방법단계들의 모든 조합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명백히 의
도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어떠한 개시 형태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이고 및/또는 기술된 구조들 및/또는 요소들 및/또는 방법단계들은 일반적인 설계선택 문제와 같은 어떠한 다른 개시되거나 기술되거나 또는 제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에
라도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만 한정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 포함

Claims (22)

  1. 통신링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전자파 간섭들을 검출하는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 및 상기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검출된 전자파간섭 때문에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될 수 있을지를 결정하기에 적합하게 된 그리고 추측된 낙뢰의 발생에 관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기에 적합하게 된 처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있는 정전기 및 자기 간섭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부가적 간섭 검출 구성요소로서, 정전기 및 자기 간섭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민감성이고, 무선주파
    수 신호들을 수신 또는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은 부가적 간섭 검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적 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한 것과 동시에 상기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간섭들이 검출된다면, 상기 처리 구성요소는 낙뢰가 발
    생하였다고 추측하는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구성요소는, 검출된 전자파 간섭들의 진폭, 세기 및 스펙트럼 특성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측된 낙뢰의 거리를 추정하기에 더 적합하게 된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구성요소는, 검출된 전자파 간섭들의 세기의 변경 및 검출된 전자파 간섭들의 발생빈도의 변경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뇌우의 이동 방향을 추정하기에 더 적합하게 된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구성요소는, 검출된 전자파 간섭의 진폭에 기초하여, 뇌우의 이동 속력을 추정하기에 더 적합하게 된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초저주파 불가청(infrasonic) 신호들의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주파수범위에서 천둥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검출하기 위한 소리 검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검출 구성요소는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을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주파수가능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구성요소는, 상기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검출되는 전자파간섭의 검출시간 및 상기 소리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검출되는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의 검출시간에 기초하여, 추측된 낙뢰의 상기 모바일 무선주
    파수가능 기기까지의 거리를 추정하기에 더 적합하게 된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구성요소가 낙뢰가 존재한다고 추측함으로 인해 상기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가 전자파간섭을 검출할 때에만 상기 소리 검출 구성요소는 기동되는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를 주어진 위치 및 주어진 시간에 알려진 뇌우의 확률에 기초하여 교정(calibration)하도록 구성된 교정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은 년 중의 한 때 및 날 중의 한 때 중의 적어도 하나인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구성요소는,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의 스위치 온 또는 오프, 전자파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이용되는 측정속도의 조절, 전자파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이용되는 문턱값의 조절, 검출된 전자파간섭에 관한 데이터의 처리의 허용 또는 저지, 존재한다고 추측된 낙뢰에 관한 사용자에게의 통지의 허용 또는 저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기기를 교정하는 모
    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합하게 된 무선주파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구성요소는 상기 처리 구성요소가 낙뢰가 존재한다고 추측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 구성요소가 대응하는 표시를 상기 이동통
    신망에 송신하도록 하기에 더 적합하게 된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14.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요소와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는, 무선주파수 신호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요소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주파수 모듈; 통신링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전자파간섭을 검출하는 전자파
    간섭 검출 구성요소; 및 상기 전자파간섭 검출 구성요소에 의해 검출된 전자파간섭으로 인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되는지를 결정하기에 적합하게 된 그리고 추측된 낙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되도록 하기에 적합하게 된 처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하여 낙뢰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링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전자파간섭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자파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될 수 있는지를 결
    정하는 단계; 및 추측된 낙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정전기 및 자기 간섭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서 검출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전자기 및 자기 간섭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민감성이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무선주파수 신호들을 수신 또는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의 전자파간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서 전자기 또는 자기 간섭들과 동일한 시간에 검출되는 경우에만 낙뢰는 발생하였다고 추측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의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주파수범위에서 우레를 나타내는 소리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를 주어진 위치 및 주어진 시간에 알려진 뇌우의 확률에 기초하여 교정하는 선행(preceding)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근처에서 낙뢰가 존재함을 검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코드가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코드는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처리 구성요소에서 실행될 때 통신링크를 위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에서 검출된 전자파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근처에서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측된 낙뢰에 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코드는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들의 상기 전자파간섭들이 상기 모바일 무선주파수가능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서 정전
    기 및 자기 간섭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시간에 검출되는 경우에만 낙뢰가 발생하였다고 추측하고, 당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정전기 및 자기 간섭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민감성이고 당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무선주파수 신호
    들을 수신 또는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코드는 적어도 초저주파 불가청 신호들의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주파수범위에서 검출되는 신호들이 우레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코드는 주어진 위치 및 주어진 시간에 알려진 뇌우의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무선 주파수가능 기기를 교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생성물.
KR1020160026238A 2016-03-04 2016-03-04 낙뢰 검출 시스템 KR20170103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238A KR20170103397A (ko) 2016-03-04 2016-03-04 낙뢰 검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238A KR20170103397A (ko) 2016-03-04 2016-03-04 낙뢰 검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97A true KR20170103397A (ko) 2017-09-13

Family

ID=5996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238A KR20170103397A (ko) 2016-03-04 2016-03-04 낙뢰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3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5243A (zh) * 2021-08-17 2021-10-12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闪电定位仪测量装置
CN116299111A (zh) * 2022-12-02 2023-06-23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一种闪电定位仪检测故障诊断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5243A (zh) * 2021-08-17 2021-10-12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闪电定位仪测量装置
CN116299111A (zh) * 2022-12-02 2023-06-23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一种闪电定位仪检测故障诊断仪
CN116299111B (zh) * 2022-12-02 2023-09-19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一种闪电定位仪检测故障诊断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988B1 (ko) 낙뢰 검출
KR100824990B1 (ko) 낙뢰 검출
US7254484B2 (en) Detection of lightning
US7171308B2 (en) Weather station
KR101490642B1 (ko) 음성 기반 환경 인식
JP2012502596A5 (ko)
US9664776B2 (en) Device for warning of radar traps
US10598797B2 (en) Switching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103397A (ko) 낙뢰 검출 시스템
CN103743475A (zh) 一种噪声检测方法及装置
KR101031601B1 (ko) 번개의 검출
Santini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environmental noise monitoring
EP2999298B1 (en)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3123165A (ja) 有害電磁波自動検出装置
US8965335B2 (en) Detector of uplink frequencies with feedback
CN105245708B (zh) 一种智能终端自动提醒位置的方法及系统
KR20110092566A (ko) 소음관련 스트레스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JPH1048276A (ja) 電磁妨害通報装置及び電磁妨害通報システム
JPS5831096Y2 (ja) 携帯用雷標定器
JP2003066160A (ja) 地域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地域関連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4827823A (zh) 一种声音采集装置、声音侦测设备及系统
NZ720135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ng an Individ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