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111A -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111A
KR20170103111A KR1020160025445A KR20160025445A KR20170103111A KR 20170103111 A KR20170103111 A KR 20170103111A KR 1020160025445 A KR1020160025445 A KR 1020160025445A KR 20160025445 A KR20160025445 A KR 20160025445A KR 20170103111 A KR20170103111 A KR 2017010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ectrodes
film
dust collecting
clips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917B1 (ko
Inventor
김태영
박형호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9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03C3/84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름전극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대전하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와, 내부에 상기 집집부를 수용하는 집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름전극과,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중 일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각각은 길이방향이 폭방향보다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면을 마주보고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은, 상기 복수의 클립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필름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필름전극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필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 각각은 상기 제 1 필름전극에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름전극과 접촉되어 상기 간격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름전극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청정기 등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대전시켜 집진하는 장치이다. 전기집진장치는 방전을 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을 대전하는 대전부와, 전기장을 형성하여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을 정전력에 의하여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 및 집진부를 통과하면, 공기 중의 이물질은 대전부에서 대전되어 대전된 이물질은 집진부에 포집된다.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복수의 전극은 이격되어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는 최근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으로 무게가 가볍고 성형성이 좋은 필름 형태의 전극을 사용한다. 이러한 필름전극은 두께가 얇고 연성이 있어 상호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름전극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대전하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와, 내부에 상기 집집부를 수용하는 집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름전극과,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중 일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각각은 길이방향이 폭방향보다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면을 마주보고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은, 상기 복수의 클립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필름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필름전극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필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 각각은 상기 제 1 필름전극에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름전극과 접촉되어 상기 간격을 유지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구조가 간단하고 필름전극에 결합이 용이한 클립을 사용하여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필름전극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인접한 두 개의 필름전극 중 어느 한 필름전극에만 클립을 결합하여도 필름전극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해지는 장점도 있다.
셋째, 복수의 필름전극을 도전성 페이스트로 고정하면서 전극을 인가하거나 접지하여 구조가 견고하면서도 단순해지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에 대한 일부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집진부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클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일부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집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은 내부에 수용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대전하는 대전부(12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대전부(120)에서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13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전기집진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는 대전부(120)와 집진부(130)가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다. 케이스(11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유출될 수 있도록 유입홀(190a) 및 토출홀(181a)이 형성된다. 케이스(110)의 유입홀(190a)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대전부(120)와 집진부(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케이스(110)의 토출홀(181a)로 토출된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대전부(120)를 수용하는 대전케이스(190)와, 내부에 집진부(130)를 수용하는 집진케이스(180)를 포함한다. 대전케이스(190)의 내부에는 대전부(120)가 결합된다. 대전케이스(19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90a)이 형성된다. 집진케이스(180)의 내부에는 집진부(130)가 결합된다. 집진케이스(18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홀(181a)이 형성된다. 대전케이스(190)와 집진케이스(180)는 상호 결합된다.
대전부(120)는 방전을 하여 공기 중 이물질을 대전한다. 대전부(12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와이어 전극과, 복수의 와이어 전극 각각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을 포함한다. 대전부(120)의 와이어 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와이어 전극과 대향 전극판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어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한다. 대전부(120)에서 발생된 이온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대전시킨다.
대전부(120)는 대전케이스(190)의 유입홀(190a)에 대응되어 대전케이스(190)의 내부에 배치된다. 대전부(120)는 대전케이스(190)의 내측에 결합된다. 대전부(120)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기준으로 집진부(130)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 대전부(120)는 집진부(130)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호 접촉이 되지 않도록 한다. 대전부(120)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접지되는 접지부와 연결된다.
집진부(130)는 전기장을 형성하여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한다. 집진부(130)는 전압이 인가되어 정전력에 의하여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한다. 집진부(130)는 집진케이스(180)의 토출홀(181a)에 대응되어 집진케이스(180)의 내부에 배치된다. 집진부(130)는 집진케이스(180)의 내측에 결합된다. 집진부(130)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기준으로 대전부(120)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집진부(130)는 전압을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접지되는 접지부와 연결된다.
집진부(1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에 대한 일부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집진부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의 집진부(130)는, 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름전극(131)과, 복수의 필름전극(131)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132)을 포함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은 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장을 형성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 각각은 길이방향(L)이 폭방향(W)보다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면을 마주고 간격(G)을 형성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은 전압이 인가되는 필름전극(131)과 접지되는 필름전극(131)이 교차하여 배치되어 상호 전기장을 형성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은 전압이 인가되는 필름전극(131)과 접지되는 필름전극(131) 사이에 간격(G)이 형성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은 정전력에 의하여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한다.
필름전극(131)은 전도성 재질의 도전층과 도전층을 감싸는 절연재질의 절연층으로 형성된다. 필름전극(131)은 얇은 띠 형상의 도전층의 양면에 절연층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필름전극(131)의 도전층은 카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전층은 두께가 10~100 ㎛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전극(131)의 절연층은 도전층의 양면에 일부를 제외하고 도포된다. 절연층은 polypropylene(PP),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Poly(ethylene 2,6-naphthalate)(PEN) 또는 polyurethane(PU) 등을 모재로 TiO2, Al2O3, SiO2 등의 나노필러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고, 그 두께는 100~1500 ㎛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절연층의 일면에 스크린 프링팅된 카본 패턴으로 도전층을 형성하고 제 2 절연층을 도전층에 덮어 제 1 절연층과 접착하여 필름전극(131)을 형성할 수 있다.
필름전극(131)은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에 도전층의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131b)가 형성된다. 노출부(131b)를 통하여 필름전극(131)에 전압이 인가되거나 접지가 된다.
필름전극(131)은 노출부(131b)의 경계에 폭방향(W)으로 인입된 걸림홈(131c)이 형성된다. 걸림홈(131c)은 필름전극(131)의 양측에 모두 형성된다. 필름전극(131)은 걸림홈(131c)이 집진케이스(180)에 끼워져 집진케이스(180)와 결합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 중 일부에는 복수의 클립(132)이 결합된다. 인접한 두 개의 필름전극(131) 중 어느 하나의 필름전극(131)에 복수의 클립(132)이 끼워진다. 복수의 필름전극(131)은 클립(132)에 의하여 상호간의 간격(G)이 유지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은, 복수의 클립(132)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과 복수의 클립(132)이 결합되지 않으며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과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은 상호 면을 마주보고 간격(G)을 형성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과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 중 어느 하나의 군에는 전압이 인가되고 다른 군은 접지되어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과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은 전기장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은 접지되며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은 전압이 인가된다.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은 복수의 클립(132)이 끼워진다.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 각각은 클립(132) 끼워지는 부분에 폭방향(W)으로 인입된 복수의 끼움홈(131a)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 각각은 폭방향(W) 양단에 복수의 끼움홈(131a)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 각각은 복수의 끼움홈(131a)이 길이방향(L)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은 복수의 클립(132)에 접촉되어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와 간격(G)을 형성한다.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은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과 외형은 동일하나, 복수의 클립(132)이 끼워지지 않는 바 끼움홈(131a)은 형성되지 않는다.
복수의 클립(132)은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과 접촉되어 복수의 제 1 필름전극(131-1)과 복수의 제 2 필름전극(131-2) 사이의 간격(G)을 유지한다. 복수의 클립(132)은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복수의 클립(132)은 제 1 필름전극(131-1)의 폭방향(W) 양단에 끼워진다. 복수의 클립(132)은 제 1 필름전극(131-1)에 길이방향(L)으로 이격되어 끼워진다. 클립(132)은 제 1 필름전극(131-1)에 형성된 끼움홈(131a)에 결합된다. 복수의 클립(132) 각각은 제 1 필름전극(131-1)이 폭방향(W)으로 끼워지는 슬릿(132c)이 형성된다. 클립(132)의 슬릿(132c) 사이로 제 1 필름전극(131-1)이 삽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클립에 대한 사시도이다.
복수의 클립(132)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클립(132)을 형성하는 한쌍의 레그(132a)와, 한쌍이 레그(132a)를 연결하는 헤드(132b)를 포함한다.
한쌍의 레그(132a)는 각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슬릿(132c)을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배치된다. 한쌍의 레그(132a) 각각은, 슬릿(132c)이 형성된 부분의 면이 제 1 필름전극(131-1)과 접촉하고, 슬릿(132c)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이 제 2 필름전극(131-2)과 접촉하여 간격(G)을 유지한다. 한쌍의 레그(132a) 각각의 두께는 간격(G)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 한쌍의 레그(132a) 각각은 종단이 슬릿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레그(132a)의 종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 필름전극(131-1)이 슬릿(132c)으로 원할하게 삽입된다.
헤드(132b)는 한쌍의 레그(132a)를 연결한다. 헤드(132b)는 제 1 필름전극(131-1)의 끼움홈(131a)에 삽입된다. 클립(132)이 제 1 필름전극(131-1)에 끼워졌을 때 헤드(132b)는 제 1 필름전극(131-1)의 폭방향(W)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헤드(132b)의 높이는 끼움홈(131a)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132b)의 양면은 각각 제 2 필름전극(131-2)과 접촉한다. 헤드(132b)의 두께는 간격(G)의 2배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
헤드(132b)는 돌출되거나 인입된 클립 결합부(132d)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립 결합부(132d)는 헤드(132b)의 상면에서 제 1 필름전극(131-1)의 폭방향(W)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클립 결합부(132d)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일부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집진케이스(180)는, 외관을 형성하며 토출홀(181a)을 형성하는 바디(181)와, 필름전극(131)의 걸림홈(131c)에 삽입되는 거치리브(182)와, 토출홀(181a)에 배치되는 복수의 그릴(183)을 포함한다.
바디(181)는 집진케이스(180)의 외관을 형성한다. 바디(181)의 내부에는 집진부(130)가 수용된다. 바디(181)의 내부 양측에는 거치리브(182)가 배치된다. 바디(181)의 일부와 거치리브(182)는 도전 페이스트(189)와 필름전극(131)의 노출부(131b)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82a)을 형성한다.
거치리브(182)는 바디(181)의 내부에 배치된다. 거치리브(18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필름전극(131)의 폭방향(W)으로 기립되어 배치된다. 거치리브(182)는 필름전극(131)의 걸림홈(131c)에 삽입된다. 복수의 필름전극(131)의 걸림홈(131c)에 거치리브(182)가 끼워져 복수의 필름전극(131)이 집진케이스(180)에 결합된다. 거치리브(18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바디(181)의 내부 양측에 배치된다.
거치리브(182)와 바디(181)의 일부는 수용공간(182a)을 형성한다. 수용공간(182a)은 바디(181) 내부 양측에 형성된다. 수용공간(182a)에는 필름전극(131)의 노출부(131b)가 수용되고 도전 페이스트(189)가 수용된다.
도전 페이스트(189)는 수용공간(182a)에 주입된 후 경화되어 필름전극(131)을 고정하며 필름전극(131)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필름전극(131)을 접지한다. 도전 페이스트(189)는 전도체 분말과 유기용제(organic solvent)와 고분자(macromolecule)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전도체 분말은 카본, 구리, 은 등의 금속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카본 블랙 분말이다. 도전 페이스트(189)는 경화 전에는 유동성을 가진 반고체 상태이고 경화 후에는 고체 상태가 된다.
도전 페이스트(189)는 노출부(131b)와 수용공간(182a)에 함께 수용되어 노출부(13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도전 페이스트(189) 중 어느 한 도전 페이스트(189)는 전압이 인가되고 다른 도전 페이스트(189)는 접지된다. 복수의 제 2 필름전극의 노출부(131b)는 전압이 인가되는 도전 페이스트(189)가 수용된 수용공간(182a)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 1 필름전극의 노출부(131b)는 접지된 도전 페이스트(189)가 수용된 수용공간(182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그릴(183)은 토출홀(181a)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복수의 그릴(183)은 집진부(130)의 필름전극(131) 일부분과 맞닿아 필름전극(131)을 지지한다. 복수의 그릴(183)는 인입되거나 돌출되어 클립 결합부(132d)와 결합되는 집진케이스 결합부(183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케이스 결합부(183a)는 그릴(183)에서 입입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케이스 120: 대전부
130: 집진부 131: 필름전극
131-1: 제 1 필름전극 131-2: 제 2 필름전극
132: 클립 132a: 레그
132b: 헤드 132c: 슬릿
180: 집진케이스 181: 바디
182: 거치리브 182a: 수용공간
183: 그릴 189: 도전 페이스트
190: 대전케이스

Claims (13)

  1. 공기 중의 이물질을 대전하는 대전부;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 및
    내부에 상기 집집부를 수용하는 집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름전극과,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중 일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각각은 길이방향이 폭방향보다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면을 마주보고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은, 상기 복수의 클립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필름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필름전극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필름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 각각은 상기 제 1 필름전극에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름전극과 접촉되어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전기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필름전극 각각은 상기 클립에 끼워지는 부분에 폭방향으로 인입된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전기집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필름전극 각각은 상기 폭방향 양단에 상기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전기집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필름전극 각각은 상기 복수의 끼움홈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전기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립은 상기 제 1 필름전극의 상기 폭방향 양단에 끼워지는 전기집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립은 상기 제 1 필름전극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끼워지는 전기집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립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한쌍의 레그와, 상기 한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제 2 필름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전기집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그 각각은 종단이 상기 슬릿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기집진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돌출되거나 인입된 클립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 결합부는 상기 집진케이스에 돌출되거나 인입되어 형성된 집진케이스 결합부와 결합되는 전기집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을 고정하며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복수이 필름전극을 접지하는 도전 페이스트를 더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스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거치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페이스트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전기집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인입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리브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전기집진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름전극 각각은 도전층과 상기 도전층을 감싸는 절연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전 페이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60025445A 2016-03-03 2016-03-03 전기집진장치 KR10186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45A KR101860917B1 (ko) 2016-03-03 2016-03-03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45A KR101860917B1 (ko) 2016-03-03 2016-03-03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111A true KR20170103111A (ko) 2017-09-13
KR101860917B1 KR101860917B1 (ko) 2018-07-05

Family

ID=5996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445A KR101860917B1 (ko) 2016-03-03 2016-03-03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0355B2 (en) 2018-02-05 2021-06-22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187801A1 (en) * 2020-03-18 2021-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17110A (ko) * 2020-03-18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84Y1 (ko) 2000-04-08 2000-08-16 김종민 전기 집진기
JP2003010733A (ja) 2001-06-29 2003-01-14 Kawasaki Steel Corp 平板型電気集塵機用極板
US20100037776A1 (en) 2008-08-14 2010-02-18 Sik Leung Chan Devices for removing particles from a gas compri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0355B2 (en) 2018-02-05 2021-06-22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187801A1 (en) * 2020-03-18 2021-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17110A (ko) * 2020-03-18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
US11911777B2 (en) 2020-03-18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917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525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744516B2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module an electrostatic air purifier thereof
JP2009095799A (ja) 電気集塵機
KR101839557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858940B1 (ko) 전기집진장치
KR101860917B1 (ko) 전기집진장치
CN110732411B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包括其的车辆用空调机
KR102336514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KR20100122274A (ko) 전기집진장치
KR101523209B1 (ko) 전기집진장치
EP3162445A1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ir conditioner comprisingthe electric dust collector
US2502560A (en) Electrical gas cleaner unit
KR101082713B1 (ko) 집진장치
JP2007253055A (ja) 集塵装置および空調装置
KR200457086Y1 (ko) 전기 집진기용 케이스
JP2010094635A (ja) 電気集塵機
KR20190065872A (ko) 전기 집진 장치
JP4839898B2 (ja) 集塵装置および空調装置
CN107755096B (zh) 电集尘装置
KR101331611B1 (ko) 집진판 교체가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KR102583485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583486B1 (ko) 전기집진장치
KR20160032617A (ko) 전기집진장치
CN216173231U (zh) 电净化装置及空气净化设备
JP2004122130A (ja) 静電集塵装置用の高圧側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