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864A - 유체혼합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유체혼합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864A
KR20170101864A KR1020170107728A KR20170107728A KR20170101864A KR 20170101864 A KR20170101864 A KR 20170101864A KR 1020170107728 A KR1020170107728 A KR 1020170107728A KR 20170107728 A KR20170107728 A KR 20170107728A KR 20170101864 A KR20170101864 A KR 20170101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circulation pipe
circula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문
홍의진
Original Assignee
최종문
홍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문, 홍의진 filed Critical 최종문
Priority to KR102017010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864A/ko
Publication of KR2017010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3/0409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5/04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유체 유입관과 제1 유체가 배출되는 제1 유체 배출관을 구비한 펌프와, 상기 제1 유체 유입관과 제1 유체 배출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과, 제2 유체를 상기 펌프 측으로 유입시키는 통로가 되는 제2 유체 유입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체 유입관은 상기 순환관에 연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혼합 토출장치{Device for discharging and mixing fluids}
본 발명은 유체혼합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공기와 같이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토출하되 이들 간의 혼합성을 향상시킨 유체혼합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는 환경오염 때문에 항시 정수처리를 하여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를 최대한 낮추어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거나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물을 활성화시키도록 오폐수 처리조에 폭기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885호(2007.09.21)에는 다단 혼합 구조를 갖는 슬림형 고속 폭기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속 폭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속 폭기장치(1)는 피처리액(7)과 공기를 고속 및 고효율로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기혼합장치(10)와, 피처리액(7)을 고압호스(4)를 통하여 공기혼합장치(10)의 상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수중펌프(3)를 구비한다. 공기혼합장치(10)는 별도의 윈치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상단부가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공기혼합장치(10)는 제1수직원통부(11)의 상단부에 내부 청소를 위한 뚜껑(11b)이 구비되고, 상측부에 피처리액(7)이 도입되는 도입관(11a)이 고압호스(4)와 연결고정구(4a)에 의해 연결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수직원통부(11)의 하측에는 도입된 피처리액(7)이 제1수직원통부(11) 내부에서 자유낙하할 때 하강속도를 가속하기 위한 제1가속장치(13)가 연장 형성된다. 제1가속장치(13)는 중간부분이 상단 및 하단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라발 노즐(Laval Nozzle) 형상을 취하며, 상기 중간부분에서 유압이 증가한 후 하단 개방부로 향하면서 압력은 낮아지고 유체 속도를 빨라진다.
제1가속장치(13)의 하측에는 제2수직원통부(15)가 구비된다. 제2수직원통부(15)의 상단부는 제1가속장치(13)의 외측에 실링 결합되고, 제1가속장치(13)의 하단부 레벨보다 상측에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제1공기주입부(15a)가 구비되며, 중간부분에 피처리액(7)의 하강속도를 증가시키는 제2가속장치(15b)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단부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부(15c)를 구비한다.
제2수직원통부(15)의 하측에는 제3수직원통부(17)가 구비된다. 제3수직원통부(17)의 상단부는 제2가속장치(15b)의 외측에 실링 결합되고, 제2수직원통부(15)의 배출부(15c)의 하단부 레벨보다 상측에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제2공기주입부(17a)가 배치되며, 하측의 배출구(17b)로부터 피처리액(7)과 공기의 혼합액(9)이 배출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수직원통부(11,15,17)는 피처리액(7)이 통과하는 제1경로(Fs)를 형성한다. 제1 내지 제3수직원통부(11,15,17)의 일측에는 공기의 도입이 이루어지는 제2경로(Fa)를 형성하도록 호기관(20)이 결합된다. 호기관(20)은 사각통으로 이루어지는 공기도입관본체(23)와, 상기 공기도입관본체(23)로부터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공기도입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고속 폭기장치(1)는 피처리액(7)이 제1가속장치(13)를 통과하면서 고속으로 가속되어 제2수직원통부(15)로 배출되면 제1가속장치(13)의 하측에는 강한 부압이 발생하고, 제1가속장치(13) 하측의 강한 부압에 의해 공기도입부(21)를 통해 외부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흡입되어 고속 흐름의 피처리액(7)과 혼합되면서 하부로 배출된다.
이후에, 제2수직원통부(15)에서 1차로 공기가 혼합된 피처리액(7)은 공기와 혼합되면서 다소 압력이 낮아지고 일시적으로 흐름속도가 낮아지나, 하측에 배치된 제2가속장치(15b)를 통과하면서 2차 가속이 이루어진다. 피처리액(7)은 제2가속장치(15b)를 고속으로 통과하면서 제3수직원통부(17)에는 강한 부압이 발생한다. 제2가속장치(15b) 하측의 강한 부압에 의해 공기도입부(21)로부터 도입된 외부 공기가 제2공기주입부(17a)를 통하여 흡입되어 고속 흐름의 피처리액(7)과 혼합되면서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종래의 고속 폭기장치(1)는 다단의 가속장치를 통과하면서 부압을 형성하고 외부 공기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바, 물과 공기의 혼합 효율의 한계를 가지는 것이었으며 더욱 높은 효율의 혼합성을 갖는 유체혼합 토출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885호(2007.09.21)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과 공기와 같이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토출하되 이들 간의 혼합성을 향상시킨 유체혼합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는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유체 유입관과 제1 유체가 배출되는 제1 유체 배출관을 구비한 펌프와, 상기 제1 유체 유입관과 제1 유체 배출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과, 제2 유체를 상기 펌프 측으로 유입시키는 통로가 되는 제2 유체 유입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체 유입관은 상기 순환관에 연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펌프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날개는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회전 날개는 유체를 축 방향으로 유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순환관의 일측 단부는 제1 유체 배출관의 내부로 돌출되어 제1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순환관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되고, 순환관의 타측 단부는 제1 유체 유입관의 내부로 돌출되어 순환관을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는 제1 유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제1 유체와 함께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유체 유입관은 케이싱의 중심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제1 유체 배출관은 케이싱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유체 배출관 내로 돌출된 순환관의 일측 단부는 제1 유체 배출관(115) 내에서 절곡부를 구비하여 끝단부는 제1 유체 배출관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유체 유입관 내로 돌출된 순환관의 타측 단부는 제1 유체 유입관 내에서 절곡부를 구비하여 끝단부는 제1 유체 유입관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순환관과 제2 유체 유입관의 연결 부위는 제1 유체 유입관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유체 유입관은 제1 유체 유입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순환관과 제2 유체 유입관의 연결 부위가 제1 유체 유입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는 물과 공기와 같이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토출하되 유체들 간의 혼합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혼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고속 폭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F"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변형 예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유체혼합 토출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F"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100)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펌프(113)와, 제2 유체 유입관(130) 및 순환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유체는 물이며, 제2 유체는 공기이다. 상기 제1,2 유체는 본 실시 예의 물과 공기 이외에도 다른 유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제1 유체는 물이라 하고 제2 유체는 공기라 명칭한다.
상기 펌프(113)는 물에 잠기게 설치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113)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 날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113)에는 상기 회전 날개를 구동시키는 모터(111)가 구비된다.
펌프(113)는 제1 유체 유입관(117)과 제1 유체 배출관(115)을 구비한다. 제1 유체 유입관(117)은 물이 유입되는 통로이며, 제1 유체 배출관(115)은 물이 배출되는 통로이다. 제1 유체 유입관(117) 및 제1 유체 배출관(115)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일 측 단부가 펌프(113)에 연결되고 타 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제2 유체 유입관(130)은 공기를 펌프(113) 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후술할 순환관(120)으로부터 물 외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제2 유체 유입관(13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 단부가 후술할 순환관(120)에 연결되고 타 측 단부는 물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다. 대기 중의 공기는 제2 유체 유입관(130)을 통해 순환관(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회전 날개는 펌프(113)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물과 공기를 혼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회전 날개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축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 깃이 구비된다. 상기 펌프(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 날개는 펌프(113)에 구비된 모터(111)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모터(111)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날개는 유체를 축 방향으로 유입하여 상기 펌프(113)반경 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에 기재된 펌프(113)는 공지된 기술로써 이하에서는 상기 펌프(113)의 상세한 구동 원리 및 과정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물은 제1 유체 유입관(117)을 통해 펌프(113)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유체 배출관(115)을 통해 배출된다. 회전 날개는 물과 공기를 축 방향으로 유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한다. 제1 유체 유입관(117)은 모터(111)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유체 배출관(115)은 제1 유체 유입관(11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유체 유입관(117)은 펌프(113)의 축 방향으로 일 측에 모터(111)의 축과 동심을 이루어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유체 배출관(115)은 펌프(113)의 반경 방향으로 일 측면에서 측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제1 유체 유입관(117)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펌프(113)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 날개에 의해 회전하면서 측 방향에 형성된 제1 유체 배출관(115)을 통해 펌프(113) 외부로 배출된다.
순환관(12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유체 유입관(117)과 제1 유체 배출관(115)의 사이를 연결한다. 제2 유체 유입관(130)은 순환관(120) 상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펌프(113), 순환관(120), 제1 유체 유입관(117) 및 제1 유체 배출관(115)은 모두 물 내부에 배치된다.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는 제1 유체 배출관(115)의 내부로 돌출 구비된다.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는 제1 유체 배출관(115) 내에서 절곡부를 구비하여 끝단부는 제1 유체 배출관(115)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는 제1 유체 배출관(115)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는 제1 유체 유입관(117)의 내부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는 제1 유체 유입관(117) 내에서 절곡부를 구비하여 끝단부는 제1 유체 유입관(117)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는 상기 케이싱 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유체 유입관(117)으로 유입된 제1 유체와 순환관(120)의 하류측으로 배출된 유체가 회전 날개 측으로 유입되어 혼합되도록 구비된다.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는 제1 유체 배출관(115)의 출구(B)보다 상류 측에 배치된다.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는 제1 유체 유입관(117)의 입구(A)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며, 모터(111)의 회전축 단부와 마주하고 있다. 상기 순환관(120)과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연결 부위(F)는 제1 유체 유입관(117)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일 측 단부는 순환관(120)의 외주면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순환관(120)과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연결 부위(F)는 "T"자 형상을 취한다.
상기 순환관(120)과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연결 부위(F)에 순환관(120)의 유로 단면적이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오리피스부(123)를 구비한다. 제2 유체 유입관(130)은 오리피스부(123)에 통하게 연결된다. 오리피스부(123)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순환관(120)의 내부 유로에 단면감소부(124)를 형성하여, 오리피스부(123)를 기준으로 상류 측에는 동일 내경의 유로가 형성되다 오리피스부(123)에서 유로의 내경은 감소하며 오리피스부(123)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다시 내경이 증가하며, 하류 측에는 다시 동일 내경의 유로가 형성된다.
제2 유체 유입관(130)은 오리피스부(123)의 중앙부, 즉 내경이 가장 좁은 부위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오리피스부(123)를 통과하는 유체는 좁은 유로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오리피스부(123)의 하류 측에서 압력이 낮아지면서 유속이 빨라진다. 오리피스부(123)의 하류 측에는 강한 부압이 발생하며, 벤추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제2 유체 유입관(130)을 통해 대기 중에 공기가 흡입되어 순환관(120)으로 빨려 들어온다.
상기 순환관(120)에는 유체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121)가 구비된다. 유량 제어 밸브(121)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순환관(120) 측으로 유동하는 물과 공기의 혼합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물과 공기의 혼합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모터(111)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 날개가 회전되면 제1 유체 유입관(117)의 입구(A)를 통해 물이 펌프(113) 내부로 유입된다. 펌프(113) 내부로 유입된 물은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회전 유동을 형성하여 제1 유체 배출관(115)의 출구(B)를 통해 다시 수중으로 배출된다.
제1 유체 배출관(115)을 통해 배출되는 물 중 일부는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를 통해 순환관(120)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유량 제어 밸브(121)는 개방되어 있다. 순환관(12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은 순환관과 제2 유체 유입관의 연결부위(F)에 형성된 오리피스부(123)를 통과하면서 벤추리 작용에 의해 공기를 흡입한다. 대기 중에 노출된 제2 유체 유입관(130)을 통해 공기는 제2 유체 유입관(130)의 내부 유로(D)를 따라 순환관(120)으로 유입된다.
물과 공기는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를 통해 펌프(113)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혼합되면서 제1 유체 배출관(115)으로 반복 순환된다. 혼합된 물과 공기 중 일부는 제1 유체 배출관(115)의 출구(B)를 통해 수중으로 토출되고, 물과 공기 중 다른 일부는 다시 순환관(120)의 입구(C)를 통해 순환관(120)을 순환한다. 혼합된 물과 공기는 다시 순환관과 제2 유체 유입관의 연결부위(F)에 형성된 오리피스부(123)를 통과하면서 벤추리 작용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펌프(113) 내부에서 물과 공기의 혼합이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도 4는 도 2의 변형 예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유체 유입관(130)은 제1 유체 유입관(117)의 내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순환관(120)과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연결 부위는 제1 유체 유입관(117)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순환관(120)과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연결 부위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오리피스부를 구비한다.
모터(111)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 날개가 회전되면 제1 유체 유입관(117)의 입구(A)를 통해 물이 펌프(113) 내부로 유입된다. 펌프(113) 내부로 유입된 물은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회전 유동을 형성하여 제1 유체 배출관(115)의 출구(B)를 통해 다시 수중으로 배출된다.
제1 유체 배출관(115)을 통해 배출되는 물 중 일부는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를 통해 순환관(120)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유량 제어 밸브(121)는 개방되어 있다. 순환관(120)의 내부(G)를 흐르는 물은 순환관과 제2 유체 유입관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오리피스부를 통과하면서 벤추리 작용에 의해 공기를 흡입한다. 대기 중에 노출된 제2 유체 유입관(130)을 통해 공기는 제2 유체 유입관(130)의 내부 유로(D)를 따라 순환관(120)으로 유입된다.
물과 공기는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를 통해 펌프(113)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혼합되면서 제1 유체 배출관(115)으로 반복 순환된다. 혼합된 물과 공기 중 일부는 제1 유체 배출관(115)의 출구(B)를 통해 수중으로 토출되고, 물과 공기 중 다른 일부는 다시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를 통해 순환관(120)의 내부(G)를 순환한다. 혼합된 물과 공기는 다시 순환관과 제2 유체 유입관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오리피스부를 통과하면서 벤추리 작용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펌프(113) 내부에서 물과 공기의 혼합이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혼합 토출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체혼합 토출장치
111: 모터 113: 펌프
115: 제1 유체 배출관 117: 제1 유체 유입관
120: 순환관 121: 유량 제어 밸브
123: 오리피스부 124: 단면감소부
130: 제2 유체 유입관

Claims (8)

  1.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유체 유입관(117)과 제1 유체가 배출되는 제1 유체 배출관(115)을 구비한 펌프(113)와,
    일측이 상기 제1 유체 유입관(117)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유체 배출관(115)에 연결되어 제1 유체 유입관(117)과 제1 유체 배출관(115)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120)과,
    제2 유체를 상기 펌프(113) 측으로 유입시키는 통로가 되는 제2 유체 유입관(130)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체 유입관(130)은 상기 순환관(120)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순환관(120)의 제2 유체 유입관(130)이 연결되는 연결 부위(F)에는 오리피스부(123)가 구비되고, 순환관(120)에는 유체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1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13)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날개는 모터(111)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회전 날개는 유체를 축 방향으로 유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는 제1 유체 배출관(115)의 내부로 돌출되어 제1 유체 배출관(115)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순환관(120)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되고,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는 제1 유체 유입관(117)의 내부로 돌출되어 순환관(120)을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는 제1 유체 유입관(117)을 통해 유입되는 제1 유체와 함께 펌프(113)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유입관(117)은 케이싱의 중심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제1 유체 배출관(115)은 케이싱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배출관(115) 내로 돌출된 순환관(120)의 일측 단부(C)는 제1 유체 배출관(115) 내에서 절곡부를 구비하여 끝단부는 제1 유체 배출관(115)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유입관(117) 내로 돌출된 순환관(120)의 타측 단부(E)는 제1 유체 유입관(117) 내에서 절곡부를 구비하여 끝단부는 제1 유체 유입관(117)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120)과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연결 부위(F)는 제1 유체 유입관(117)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유입관(130)은 제1 유체 유입관(117)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순환관(120)과 제2 유체 유입관(130)의 연결 부위가 제1 유체 유입관(117)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KR1020170107728A 2017-08-25 2017-08-25 유체혼합 토출장치 KR20170101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28A KR20170101864A (ko) 2017-08-25 2017-08-25 유체혼합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28A KR20170101864A (ko) 2017-08-25 2017-08-25 유체혼합 토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06A Division KR20170033144A (ko) 2015-09-16 2015-09-16 유체혼합 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864A true KR20170101864A (ko) 2017-09-06

Family

ID=5992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728A KR20170101864A (ko) 2017-08-25 2017-08-25 유체혼합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8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8038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ixing or dissolving
JP2018089628A (ja) 気液溶解タンク及び微細気泡発生装置
US9759217B2 (en) Self-priming centrifugal pump
JP200916057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EP0723476B1 (en) Centrifugal liquid pump with internal gas injection assembly
KR101163089B1 (ko)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EP1843831B1 (en)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feeding gaseous or liquid fluid into a medium
US4305894A (en) Arrangement in apparatus for mixing gases with and dissolving gases in liquids
KR20170101864A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KR20180113477A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JP2008100225A (ja) 気液混合装置
KR20170033144A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US20080002520A1 (en) Fluid blending methods utilizing either or both passive and active mixing
KR101930233B1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KR100854687B1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101930234B1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JPS63209791A (ja) 曝気装置
KR101930236B1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KR20110108412A (ko) 가스 주입 장치 및/또는 배플을 갖는 하강류 혼합 장치
WO2017124128A1 (en) Jet aeration and mixing nozzle
KR20170141378A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KR102369944B1 (ko) 미세기포 발생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2132973B1 (ko) 이중축 구조의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JP4099200B2 (ja) 気液混合装置
CN113242761B (zh) 涡流发生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