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458A -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458A
KR20170101458A KR1020160023995A KR20160023995A KR20170101458A KR 20170101458 A KR20170101458 A KR 20170101458A KR 1020160023995 A KR1020160023995 A KR 1020160023995A KR 20160023995 A KR20160023995 A KR 20160023995A KR 20170101458 A KR20170101458 A KR 20170101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adjusting member
ring
shap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396B1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6002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39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8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connected to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4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하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통하는 축구멍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외주연에 링홈을 갖는 머리부가 형성된 제1조절부재와, 상기 제1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에 끼워져 제1조절부재가 고정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의 상기 축구멍 주위 상면에 상기 고정체의 머리부와 간격을 두고 내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KICKSTAND OF FURNITURE}
본 발명은 침대, 장롱, 싱크대, 찬장, 책장 등과 같은 각종 가구의 밑면에 장착하는 가구용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가구의 수평상태 및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받침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옷장, 장롱, 책장, 싱크대, 찬장 등과 같은 각종 가구의 밑면에는 통풍 및 설치의 편의 등을 위해 바닥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가구를 세워서 지지하는 받침다리가 장착된다.
이러한 가구용 받침다리는 대개 나사 조임 방식으로 좌우로 돌러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구의 설치 시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가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어 설치 및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4278호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120)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고, 하부 바깥쪽 면 둘레에 수나사산(220)이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제1스토퍼(230)가 형성된 제1조절부재(200)와,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서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되, 안쪽 면 상부 둘레에 상기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과 나사짝을 이루는 제1나사구멍(3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구멍(310) 내의 하단에 상기 제1조절부재(200)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상기 제1스토퍼(230)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제2스토퍼(320)가 형성되고, 바깥쪽 면 둘레에 상기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나사산(330)이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 제3스토퍼(340)가 형성된 제2조절부재(300) 및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되, 안쪽 면 상부 둘레에 상기 제2조절부재(300)의 수나사산(330)과 나사짝을 이루는 제2나사구멍(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구멍(410)의 하단에 상기 제2조절부재(30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3스토퍼(340)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제4스토퍼(420)가 형성된 받침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체(100)가 받침체(400)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조작에 따라 1차적으로 상승하고,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수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면 접촉 간섭으로 인해 동시에 회전 및 상승하는 제2조절부재(300)에 의해 2차적으로 더 상승함으로써, 그 높낮이 조절 및 가변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절부재(200)의 머리부(210) 바깥쪽 면 둘레에는 링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링홈(212)에는 제1조절부재(200)가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링(250)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조절부재(200)는 고정체(100)와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승강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냅링(250)은 제1조절부재의 링홈(212)에 끼우거나 뺄 때 스냅링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갈라진 부분을 밖으로 벌려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립 및 유지보수를 인한 분해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수밖에 없다.
또한, 제1조절부재(200)를 전동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회전조작할 때 스냅링(250)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자칫 고정체(100)의 상면을 갉고 파고들어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이로 인한 접촉 간섭으로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조작이 부자연스러워 작동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데다, 심한 경우 제2조절부재(300)와 순차적으로 연동 및 승강되지 않아 제1 내지 제4스토퍼(230)(320)(340)(420)가 파손되면서 결과적으로 높낮이 조절이 원활하지 못하고 동작 불능 상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제1조절부재(200)와 제2조절부재(300)가 나사결합을 통해 높낮이 조절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상 침대와 같이 잦은 하중과 외력을 받는 가구에 장착할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조절부재(200)가 저절로 회전되면서 높낮이의 변동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가구의 수평상태가 비틀어지면서 사용 중 흔들리거나 삐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데다, 심한 경우 파손 및 사용수명의 단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에 따른 높낮이의 변동이 있을 경우 그 설치 높낮이를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고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KR200476510 Y1(2015.03.02) KR101557329 B1(2015.09.25) KR101434279 B1(2014.08.20) KR101434278 B1(2014.08.2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가구용 받침다리가 갖는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높낮이를 한번 조절한 상태에서 그 높낮이를 간단하게 고정함으로써 외력을 받더라도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구의 수평상태 및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높낮이 조절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통하는 축구멍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주연에 링홈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와,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제1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제2조절부재와,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에 끼워져 상기 제1조절부재가 상기 고정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의 상기 축구멍 주위 상면에 상기 머리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내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구의 수평상태 및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다각형 공구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캡스토퍼의 안쪽에 상기 공구구멍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키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스토퍼가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머리부 사이 및 그 키가 상기 공구구멍에 동시에 끼워져 이중으로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는, 내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축구멍 주위 상면에 상기 고정체의 머리부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다각형 공구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안쪽에 상기 공구구멍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키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캡스토퍼를 지지보스와 머리부 사이의 틈새에 간단하게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고정체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외력에 의해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구의 수평상태 및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조절부재의 회전 조작에 따라 고정체가 받침체에 대하여 1차적으로 상승하고, 제1조절부재의 회전수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면 제2조절부재의 상승 작용에 의해 고정체가 받침체에 대하여 2차적으로 더 상승하므로 높낮이 조절 및 가변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장롱 등의 가구를 설치 시 천장과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수평을 한결 간편하고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가구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작업의 편의성 및 사용성은 물론 다양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가구의 운반 시에는 높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포개어 접음으로써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취급의 편리함과 이동의 용이성은 물론 운반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리테이닝링이 고정체의 지지보스와 제1조절부재의 링홈을 감싸듯이 끼워져 회전됨 없이 제1조절부재가 고정체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조립 및 유지보수 시 분해가 용이하고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1조절부재와 제2조절부재의 연동 및 승강 작동이 한결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에서 캡스토퍼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에서 캡스토퍼를 제외하고 리테이닝링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에서 캡스토퍼를 제외하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높이를 최대화하여 보이는 도 5의 C-C선 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가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에서 캡스토퍼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에서 캡스토퍼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가구를 바닥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떠받쳐 세우고, 나사 조임 방식으로 좌우 방향으로 돌러 그 높낮이를 자유롭게 가변 및 조절하며, 아울러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크게 고정체(100), 제1조절부재(200), 제2조절부재(300), 받침체(400), 리테이닝링(500) 및 캡스토퍼(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 고정체 > 고정체(100)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가구의 밑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 또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형태의 수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에는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구멍(120)의 테두리 저면, 즉 수납공간(110)의 천장면에는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판(240)이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원형링 형상의 가드링(14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체(100)의 사방 테두리에는 가구의 밑면과 나사못으로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구멍(130)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못구멍(130)은 고정체(100)를 가구의 밑면에 나사못으로 고정 시 그 나사못의 몸체부는 통과하여 가구의 밑면에 박히고 머리부는 고정체(100)에 묻혀 걸리도록 마치 카운터보어(counterbore)나 카운터싱크(countersink)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110)은 그 내부로 받침체(400)가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도록 받침체(400)의 바깥쪽 면 둘레와 상호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10)의 안쪽 면 둘레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110)의 내벽면이 이루는 형상, 즉 평면상에서 볼 때 단면의 형상은 받침체(4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납공간(110)이 평면상에서 볼 때 단면의 형상이 원형일 경우 그 수납공간(110)의 내벽에 별도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도록 받침체(400)의 외벽에 별도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받침체(400)가 회전은 되지 않고 승강만 이루어지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축구멍(120) 주위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로 리테이닝링(500)이 제1조절부재(200)의 머리부 링홈(212)에 끼워진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는 링장착홈(15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링장착홈(150)의 바닥면 일측에는 리테이닝링(500)이 제1조절부재의 머리부 링홈(212)에 끼워진 상태로 제1조절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1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장착홈(150) 주위의 상면 양측에는 일정 높이와 길이로 리테이닝링(500)이 링장착홈(150) 안으로 삽입되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안내턱(1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안내턱(160)은 리테이닝링(500)을 링장착홈(150)과 제1조절부재의 링홈(212)에 삽입 결합 시 원활하고 수월하게 타고 미끄러지면서 한 번에 안정적으로 링장착홈(150)과 제1조절부재의 링홈(212)에 삽입 결합되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슬라이드 기능과 동시에 결합 기능 갖고 있다.
특히 고정체(100)의 축구멍(120) 주위 상면에는 제1조절부재의 머리부(2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내주연이 세레이션(serration), 스플라인(spline),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17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보스(170)의 하부 양측에는 리테이닝링(500)이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보스(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저면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H)으로 삽입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지지보스(170)의 안쪽 둘레는 기어와 같은 요철 모양으로 해서 캡스토퍼(600)와 접촉 간섭으로 유동없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체(100)는 가구를 떠받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 제1조절부재 > 제1조절부재(200)는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고정체의 축구멍(120)을 통하여 지지보스(170)의 내부로 삽입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제2조절부재(300)의 제1나사구멍(310)과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산(2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조절부재(200)는 하부 일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마치 무두볼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조절부재(200)의 하단 일측에는 제2조절부재(300)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회전 조작에 따라 일정 높이로 상승 시 제2조절부재(300)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제1스토퍼(2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조절부재(200)가 제2조절부재(300)에 대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더는 상승하지 않도록 제1스토퍼(230)가 제2조절부재(300) 내의 제2스토퍼(32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제2조절부재(300)에 대한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제한 및 억제함으로써 제1조절부재(200)는 최대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제2조절부재(300)와 분리되지 않고 서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머리부(210)의 상면에는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끼워서 쉽게 돌릴 수 있도록 공구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구구멍(211)의 내부 하단에는 드라이버로도 쉽게 돌릴 수 있도록 드라이버구멍을 갖는 별도의 피스가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높낮이를 조절 시 육각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다양한 공구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절부재(200)의 머리부(210)와 수나사산(220) 사이 바깥쪽 면 둘레에는 고정체(100)를 안정적으로 떠받치면서 제1조절부재(200)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에 따라 제2조절부재(300)에 대하여 최하 높이로 하강한 상태에서 제2조절부재(300)가 동시에 조임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조절부재(200)와 동시에 회전하는 원형 회전판(2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판(250)의 하면 테두리에는 제5스토퍼(24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판(240)은 제1조절부재(200)가 안정적인 결합 및 지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조절부재(20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체(100)의 축구멍(120) 테두리 저면에 형성된 가드링(14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있고, 제1조절부재(200)의 머리부(210)와 별도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210)의 링홈(212)과 수나사산(220) 사이 바깥쪽 면 둘레가 다각기둥(213), 즉 단면상에서 볼 때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판(240)은 중공형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240)의 중공형 원통 안쪽 면 둘레는 제1조절부재(200)의 다각기둥(213)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조절부재(200)의 머리부(210) 바깥쪽 면 둘레에는 링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머리부(210)의 외주연은 캡스토퍼(600)와 고정하기 위하여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머리부(210)의 바깥쪽 둘레는 기어와 같은 요철 모양으로 해서 캡스토퍼(600)와 접촉 간섭으로 유동없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 제2조절부재 > 제2조절부재(300)는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져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서 제1조절부재(2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과 나사짝을 이루도록 그 중공형 원통의 안쪽 면 상부 둘레에는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절삭된 제1나사구멍(310)이 형성되어 있고, 제1나사구멍(310) 내의 하단에는 제1조절부재(200)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제1스토퍼(230)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제2스토퍼(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공형 원통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받침체(400)의 제2나사구멍(410)과 나사결합 위한 수나사산(330)이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조절부재(300)의 하단 일측에는 받침체(400)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하는 제3스토퍼(3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3스토퍼(340)는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에 대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더는 상승하지 않도록 받침체(400) 내의 제4스토퍼(42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받침체(400)에 대한 제2조절부재(300)의 회전을 제한 및 억제함으로써 제2조절부재(300)는 받침체(400)에 대하여 최대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아 받침체(400)와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조절부재(300)의 상면 일측 테두리에는 제1조절부재(200)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회전판(240)의 제5스토퍼(241)와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제6스토퍼(35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판(250)의 하면에 대한 제5스토퍼(241)의 돌출 높이와 제2조절부재(300)의 상면에 대한 제6스토퍼(350)의 돌출 높이는,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 및 제2조절부재(300)의 제1나사구멍(310) 나사산 간 피치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스토퍼(241)와 제6스토퍼(350)는 마주하는 면이 서로 점대칭적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과 제2조절부재(300)의 제1나사구멍(310)의 나선을 따라 제1조절부재(200)를 1회전 시킬 때 그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리드(Lead)가 제5스토퍼(241) 및 제6스토퍼(350)의 돌출 높이보다 길도록 하고, 아울러 제1조절부재(200)의 풀림 방향으로는 제2조절부재(300)와 접촉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제1조절부재(200)를 상승시키기 위한 회전 조작 시 제5스토퍼(241)와 제6스토퍼(350) 간의 접촉 간섭으로 인해 제1조절부재(200)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거나 제2조절부재(30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받침체 > 받침체(400)는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으로 이루어져 하면이 지면이나 바닥에 밀착되는 것으로, 제2조절부재(3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제2조절부재(300)의 수나사산(330)과 나사짝을 이루도록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의 중심부, 즉 중공의 안쪽 면 상부 둘레에는 제2조절부재(300)의 수나사산(330)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절삭된 제2나사구멍(4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나사구멍(410)의 하단, 즉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의 안쪽 면 하부 둘레에는 제1조절부재(20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3스토퍼(340)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제4스토퍼(4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의 안쪽 면 하단부에는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와 나사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조절부재(300)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하강하면 그 제3스토퍼(34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회전을 막는 이탈방지턱(4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체(400)가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받침체(400)의 높이는 고정체의 수납공간(110)이 갖는 높이보다 약간 높게 형성하거나 받침체(400)의 하단 테두리에 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턱(430)은 받침체(400)와 제1 및 제2조절부재(200)(300)를 나사결합으로 조립한 후 압입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 리테이닝링 > 리테이닝링(500)은 제1조절부재의 머리부(210)에 형성된 링홈(212)에 끼워져 제1조절부재(200)가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고정체(100)의 한쪽 측면에서 고정체의 지지보스(170)를 감싸듯이 제1조절부재의 링홈(212)에 끼워진 채로 고정체(100)에 대하여 회전됨 없이 링장착홈(150) 안으로 삽입 장착되도록 중앙 부분에서 한쪽 측면으로 고정체의 지지보스(170)의 외주연과 제1조절부재의 링홈(212)과 대응되게 오목하고 길게 패인 끼움홈(510)을 갖는 마치 'C'자형 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끼움홈(510)은 리테이닝링(500)을 지지보스(170)의 안내홈(171)과 제1조절부재의 링홈(212)에 끼워넣거나 그로부터 빼내기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 조작 시 접촉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평면상에서 볼 때 마치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닝링(500)의 끼움홈(510) 양쪽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제1조절부재(200) 등을 고정체(100)에서 분해 시 리테이닝링(500)을 뾰족한 도구 등으로 링장착홈(150)에서 밀어내거나 들어올려서 빼내기 용이하도록 스페이스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테이닝링(500)은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캡스토퍼 > 캡스토퍼(600)는 고정체(100)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 지지보스(170)와 머리부(210)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부에 지지보스(170)의 외경보다 넓은 칼라나 플랜지가 형성된 마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주연은 지지보스(17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연은 머리부(21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캡스토퍼(600)의 안쪽 둘레 및 바깥쪽 둘레에는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작동원리 및 사용방법>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저면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H)으로 지지보스(170)를 삽입한 채로 고정체(100)를 나사못 등으로 가구의 저면판(F)에 고정하고, 받침체(400)를 지면이나 바닥에 밀착시켜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가구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 제1조절부재(200)를 드라이버나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풀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고정체(100)와 받침체(400)는 회전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조절부재(200)만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제1조절부재(200)가 제2조절부재(300)와 나사결합된 구조적 특성상 상승하면서 고정체(100)를 상승시킨다. 이때, 회전 조작을 멈추면 고정체(100)가 받침체(40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나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조절부재(200)를 풀림 방향으로 더 회전 조작하여 고정체(100)와 제1조절부재(20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1조절부재의 제1스토퍼(230)와 제2조절부재의 제2스토퍼(320) 간의 접촉 간섭에 따른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2조절부재(300)가 제1조절부재(200)와 동시에 회전한다.
이렇게 되면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와 나사결합된 구조적 특성상 상승하면서 2차적으로 고정체(100)를 상승시키고, 이때 회전 조작을 멈추면 고정체(100)와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원래보다 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가구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제1조절부재(200)를 드라이버나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고정체(100)와 받침체(400)는 회전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조절부재(200)만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제1조절부재(200)가 제2조절부재(300)와 나사결합된 구조적 특성상 1차적으로 하강하면서 고정체(100)를 하강시킨다. 이때, 회전 조작을 멈추면 고정체(100)가 받침체(40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제1조절부재(200)를 조임 방향으로 더 회전 조작하여 고정체(100)와 제1조절부재(200)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면 회전판의 제5스토퍼(241)가 제2조절부재의 제6스토퍼(350)와의 접촉 간섭에 따른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2조절부재(300)가 제1조절부재(200)와 동시에 회전한다.
이렇게 되면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와 나사결합된 구조적 특성상 하강하면서 2차적으로 고정체(100)를 하강시키고, 이때 회전 조작을 멈추면 고정체(100)와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원래보다 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과정에서 제1조절부재(200)를 과도하게 회전 조작하여 일정 범위 이상으로 하강할 경우 제3스토퍼(340)가 받침체의 이탈방지턱(430)과 접촉 간섭을 일으켜 회전을 막기 때문에 제2조절부재(300)가 받침체(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캡스토퍼(600)를 지지보스(170)와 머리부(210) 사이의 틈새에 간단하게 끼울 수 있고, 이렇게 캡스토퍼(600)를 지지보스(170)와 머리부(210) 사이에 끼우면 그 각각의 대향하는 면이 요철 및 다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형태적 특성상 서로 접촉 간섭을 일으켜 고정력을 발생함으로써 고정체(100)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200)가 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구에 설치한 상태에서 외력을 받더라도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일이 없어 가구의 수평상태 및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제1 및 제2조절부재(200)(300)가 받침체(400)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고정체(100)를 승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구의 높낮이를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높낮이 조절 및 가변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어 가구를 설치 시 편의성 및 사용성의 제고는 물론 범용성과 공간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닝링(500)이 고정체(100)의 한쪽 측면에서 제1조절부재의 링홈(212)을 감싸듯이 끼워진 채로 고정체(100)에 대하여 회전됨이 없도록 링장착홈(150) 안으로 간편하게 삽입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 제1조절부재(200)를 고정체(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을 위해 제1조절부재(200)를 회전 조작하더라도 리테이닝링(500)은 링장착홈(150) 내에서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종래와 달리 접촉에 따른 마찰 간섭으로 고정체(100)의 상면을 갉고 파고들어가는 일이 없어 제2조절부재(300)와의 순차적인 연동 및 승강 작동이 한결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캡스토퍼(600)와 지지보스(170) 및 머리부(210) 상호 간의 간섭에 의해 고정체(100)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200)가 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가구에 외력을 받더라도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가 저절로 변동되는 일이 없어 가구의 수평상태 및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고정체(100), 제1조절부재(200), 제2조절부재(300), 받침체(400), 리테이닝링(500) 및 캡스토퍼(600)를 포함하되, 특히 캡스토퍼(600)의 외주연이 지지보스(17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 즉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주연이 머리부(21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 즉 원형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안쪽 공간에는 공구구멍(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즉 다각형 형상으로 키(61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캡스토퍼(600)가 지지보스(170)와 머리부(210)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 서로 접촉 간섭을 일으키고, 이와 동시에 그 키(610)가 머리부의 공구구멍(211)에 끼워져 접촉 간섭을 일으켜 고정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고정체(100)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200)가 회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머리부(210)의 외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캡스토퍼(600)의 내주연이 머리부(21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 즉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캡스토퍼(600)가 지지보스(170)와 머리부(210) 사이 및 그 키(610)가 머리부의 공구구멍(211)에 끼워져 이중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켜 고정체(100)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200)가 저절로 회전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고정체(100), 제1조절부재(200), 제2조절부재(300), 받침체(400), 리테이닝링(500) 및 캡스토퍼(600)를 포함하되, 특히 캡스토퍼(600)의 내주연이 지지보스(17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 즉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안쪽 공간에는 공구구멍(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즉 다각형 형상으로 키(61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캡스토퍼(600)가 지지보스(170)에 씌워져 서로 접촉 간섭을 일으키고, 이와 동시에 그 키(610)가 머리부의 공구구멍(211)에 끼워져 접촉 간섭을 일으켜 고정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고정체(100)에 대하여 제1조절부재(200)가 회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고정체(100), 제1조절부재(200), 받침체(400), 리테이닝링(500) 및 캡스토퍼(600)를 포함하되, 상술한 제2조절부재(300) 없이 제1조절부재(200)의 수나사산(220)과 받침체(400)의 제2나사구멍(410)을 직결형으로 나사결합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받침체(400)가 제1조절부재(200)의 회전 조작방향에 따라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면서 고정체(100)를 승강시킴으로써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고정체 102: 어퍼홀더
103: 로어홀더 104: 결합홈
105: 결합돌기 110: 수납공간
120: 축구멍 130: 나사못구멍
140: 가드링 150: 링장착홈
151: 회전방지돌기 160: 안내턱
170: 지지보스 171: 안내홈
200: 제1조절부재 210: 머리부
211: 공구구멍 212: 링홈
220: 수나사산 230: 제1스토퍼
240: 회전판 241: 제5스토퍼
300: 제2조절부재 310: 제1나사구멍
320: 제2스토퍼 330: 수나사산
340: 제3스토퍼 350: 제6스토퍼
400: 받침체 410: 제2나사구멍
420: 제4스토퍼 430: 이탈방지턱
500: 리테이닝링 510: 끼움홈
600: 캡스토퍼 610: 키

Claims (8)

  1.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120)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에 링홈(212)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200)와,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서 상기 제1조절부재(2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제2조절부재(300)와,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조절부재(3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400)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져 상기 제1조절부재(200)가 상기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5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축구멍(120) 주위 상면에 상기 머리부(210)와 간격을 두고, 내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17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17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와 상기 머리부(210)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100)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600);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2.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120)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에 링홈(212)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200)와,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서 상기 제1조절부재(2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제2조절부재(300)와,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조절부재(3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400)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져 상기 제1조절부재(200)가 상기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5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축구멍(120) 주위 상면에 상기 머리부(210)와 간격을 두고, 내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17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상면에 다각형 공구구멍(2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17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안쪽에 상기 공구구멍(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키(6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와 상기 머리부(210)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100)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600);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3.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120)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에 링홈(212)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200)와,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부재(2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400)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져 제1조절부재(200)가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5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축구멍(120) 주위 상면에 상기 머리부(210)와 간격을 두고, 내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17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17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와 상기 머리부(210)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100)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600);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4.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120)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에 링홈(212)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200)와,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부재(2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400)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져 제1조절부재(200)가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5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축구멍(120) 주위 상면에 상기 머리부(210)와 간격을 두고, 내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17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상면에 다각형 공구구멍(2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17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연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안쪽에 상기 공구구멍(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키(6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와 상기 머리부(210)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100)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600);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10)의 상면에 다각형 공구구멍(211)이 형성되며,
    상기 캡스토퍼(600)의 안쪽에 상기 공구구멍(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키(610)가 형성된 가구용 받침다리.
  6.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120)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에 링홈(212)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200)와,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서 상기 제1조절부재(2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제2조절부재(300)와,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조절부재(3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400)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져 상기 제1조절부재(200)가 상기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5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축구멍(120) 주위 상면에 상기 머리부(210)와 간격을 두고, 외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17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상면에 다각형 공구구멍(2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17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안쪽에 상기 공구구멍(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키(6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에 씌워져 상기 고정체(100)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600);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7. 내부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하면으로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110)과 통하는 축구멍(120)이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에 상기 축구멍(120)을 통하여 상기 고정체(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외주연에 링홈(212)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200)와, 중공형 다각기둥이나 타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부재(200)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수납공간(110) 내부로 회전됨 없이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되는 받침체(400) 및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져 제1조절부재(200)가 고정체(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닝링(5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축구멍(120) 주위 상면에 상기 머리부(210)와 간격을 두고, 외주연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보스(17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의 하부 양측에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10)의 상면에 다각형 공구구멍(2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스(17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안쪽에 상기 공구구멍(2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키(6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스(170)에 씌워져 상기 고정체(100)에 대하여 상기 제1조절부재(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캡스토퍼(600);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지지보스(170) 주위 상면에 일정 깊이로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머리부의 링홈(212)에 끼워진 상태로 삽입되는 링장착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00)의 상기 링장착홈(150) 주위 상면 양측에 일정 높이와 길이로 상기 리테이닝링(500)이 상기 링장착홈(150) 안으로 삽입되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안내턱(160)이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닝링(500)은 한쪽 측면에서 오목하고 길게 패인 끼움홈(510)이 형성된 가구용 받침다리.
KR1020160023995A 2016-02-29 2016-02-29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KR10178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95A KR101782396B1 (ko) 2016-02-29 2016-02-29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95A KR101782396B1 (ko) 2016-02-29 2016-02-29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58A true KR20170101458A (ko) 2017-09-06
KR101782396B1 KR101782396B1 (ko) 2017-09-28

Family

ID=5992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95A KR101782396B1 (ko) 2016-02-29 2016-02-29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3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8149B2 (en) 2014-02-07 2015-11-17 Bruce A. Bennett Tamper-proof locking fastener
KR101557329B1 (ko) 2015-04-28 2015-10-06 김종원 가구용 받침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396B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279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KR101434278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KR102195469B1 (ko)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101557329B1 (ko) 가구용 받침다리
GB2378194A (en) Height adjustable rod assembly with locking structure
JP6315872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付きホワイトボード
KR200445789Y1 (ko) 가구의 수평조절장치
KR1021491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KR101546747B1 (ko) 가구의 수평조절용 받침다리
KR102118514B1 (ko) 가구 받침다리
KR101164025B1 (ko) 가구용 받침대
KR101782396B1 (ko)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KR101932019B1 (ko)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KR101599413B1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20180117787A (ko) 높낮이 조절식 가구용 받침다리
KR101241389B1 (ko) 물품용 높이 조절 받침대
US11897740B2 (en) Expandable car jack
KR101354746B1 (ko) 레벨링 컨트롤 스크루
KR101066110B1 (ko) 높이조절식 테이블
KR101709554B1 (ko)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KR200395362Y1 (ko) 물품의 수평조절장치
KR20200092136A (ko) 가구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094177B1 (ko) 싱크대 받침다리
KR102023692B1 (ko) 가구용 높이 조절 안전 바퀴
KR102233113B1 (ko)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