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438A -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 Google Patents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438A
KR20170101438A KR1020160023945A KR20160023945A KR20170101438A KR 20170101438 A KR20170101438 A KR 20170101438A KR 1020160023945 A KR1020160023945 A KR 1020160023945A KR 20160023945 A KR20160023945 A KR 20160023945A KR 20170101438 A KR20170101438 A KR 20170101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ariable capacitance
variable
frequency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021B1 (ko
Inventor
천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021B1/ko
Priority to US15/266,302 priority patent/US20170250667A1/en
Publication of KR2017010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53Electrical filters; Controlling thereof
    • H03H7/0161Bandpass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6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1 공진회로;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2 공진회로; 상기 제1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1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상기 제2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제1 병렬 공진회로 및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인덕턴스 회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OF VARIABLE BAND SPLIT}
본 발명은 UWB(Ultra-Wide Band)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3.1GHz 내지 10.6GHz 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0.01 ~ 1 km의 전송거리를 보장하는 UWB (Ultra-Wide Band) 기술은 기존의 스펙트럼에 비해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 기술로, 각 국가별로 사용하는 대역 및 대역폭에 대한 규격이 개별적으로 정의된다.
기존의 가변 대역 통과 필터중, 다중모드, 다중대역 통신에 폭넓게 상용되고 있는 가변 대역 필터는 주파수 대역의 폭을 조절하는 방법과, 중심 주파수를 가변하여 주파수 대역을 이동시키는 방법, 그리고 여러 대역의 필터를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UWB와 관련해서, 미국에서는 3.1 ~ 10.6 GHz가 이용 가능하지만, 일본에서는 3.4 ~ 4.8 GHz와 7.25 ~ 10.25 GHz 대역으로 나누어 이용 가능하다. 이는 ISM 대역인 IEEE 802.11 a 규격이 5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둘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UWB 시스템은 국가별로 해당 국가에 적합하도록 설계 및 제작된 필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하나의 광대역으로 사용하는 대역통과 필터가, 일본에서는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가변되는 대역통과 필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별로 서로 다른 타입의 필터가 개발되어야 하므로, 개발비용 및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필터로는 서로 다른 지역에 사용될 UWB 시스템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들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적인 해결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일본 특허번호 제4655038호 공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의 광대역의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적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하나의 광대역 통과 필터를 두개의 대역 통과 필터로 가변시킬 수 있고, 그 반대로 두개의 대역 통과 필터를 하나의 광대역 통과 필터로 가변시킬 수 있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1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1 공진회로;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2 공진회로; 상기 제1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1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상기 제2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제1 병렬 공진회로 및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인덕턴스 회로; 를 포함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가 제안된다.
본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는 여러 개념들 중 하나가 제공된다. 본 과제 해결 수단은, 청구된 사항의 핵심 기술 또는 필수적인 기술을 확인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며, 단지 청구된 사항들 중 하나가 기재된 것이며, 청구된 사항들 각각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하나의 광대역의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적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하나의 광대역 통과 필터를 두개의 대역 통과 필터로 가변시킬 수 있고, 그 반대로 두개의 대역 통과 필터를 하나의 광대역 통과 필터로 가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를 지역별로 통과 대역이 서로 다른 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의 회로에 대한 제1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의 회로에 대한 제2 예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의 에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의 에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응답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는, 제1 공진회로(100), 제2 공진회로(200),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 및 인덕턴스 회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회로(100)는 제1 주파수(f1)에서 공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주파수(f1)는 2GHz 내지 8GHz 범위에 포함되는 주파수가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4GHz 또는 6GHz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진회로(200)는 상기 제1 주파수(f1)와 다른 제2 주파수(f2)에서 공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주파수(f2)는 2GHz 내지 8GHz 범위에 포함되는 주파수가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4GHz 또는 6GHz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는 상기 제1 공진회로(100)에 접속된 제1 노드(N31)와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제어신호(SC1)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는 바랙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용량 소자를 포함하거나, 스위치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는 상기 제2 공진회로(200)에 접속된 제2 노드(N41)와 상기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제어신호(SC2)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는 바랙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용량 소자를 포함하거나, 스위치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덕턴스 회로(500)는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와 제1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와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턴스 회로(500)는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과 제1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와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1 직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 각각은, 상기 제1 제어신호(SC1)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직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 각각은, 상기 제2 제어신호(SC2)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의 회로에 대한 제1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의 회로에 대한 제2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공진회로(100)는, 제1 단자(T10)와 상기 제1 노드(N31)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인덕터(L11) 및 제1 커패시터(C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덕터(L11) 및 제1 커패시터(C11)는 상기 제1 주파수(f1)에서 직렬 공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진회로(200)는, 제2 단자(T20)와 상기 제2 노드(N41)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2 인덕터(L21) 및 제2 커패시터(C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덕터(L21) 및 제2 커패시터(C21)는 상기 제2 주파수(f2)에서 직렬 공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주파수(f1) 및 제2 주파수(f2)는 2GHz 내지 8GHz 범위에 포함되는 주파수가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제1 주파수(f1) 및 제2 주파수(f2)는 동일한 5GHz가 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일 예로는 상기 제1 주파수(f1) 및 제2 주파수(f2)는 서로 다른 4GHz 및 6GHz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는, 상기 제1 노드(N31)와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CV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는, 상기 제1 노드(N31)와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연결된 하나의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CV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는, 상기 제1 노드(N31)와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커패시터(C31) 및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CV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CV1)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제어신호(SC1)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CV1)는 바랙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용량 소자를 포함하거나, 스위치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는 상기 제2 노드(N41)와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CV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는, 상기 제2 노드(N41)와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연결된 하나의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CV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는, 상기 제2 노드(N41)와 상기 공통 노드(Ncom)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2 커패시터(C41) 및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CV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CV2)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2 제어신호(SC2)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CV2)는 바랙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용량 소자를 포함하거나, 스위치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덕턴스 회로(500)는 제1 인덕터(L51), 제2 인덕터(L52) 및 공통 인덕터(Lco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덕터(L51)는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와 상기 제1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3 주파수(f3)에 병렬 공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 주파수(f3)는 4GHz (도 6의 (a)의 P11 참조)가 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제3 주파수(f3)는 3.75GHz (도 6의 (b)의 P21 참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주파수(f3)는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의 커패시턴스가 가변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덕터(L52)는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와 상기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4 주파수(f3)에서 병렬 공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주파수(f4)는 6GHz (도 6의 (a)의 P12 참조)가 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제4 주파수(f4)는 4GHz (도 6의 (b)의 P22 참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4 주파수(f4)는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의 커패시턴스가 가변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인덕터(Lcom)는 상기 공통 노드(Ncom)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 각각과 상기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5 주파수(f5)에서 직렬 공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5 주파수(f5)는 10GHz 이상의 주파수(도 6의 (a) 참조)가 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제5 주파수(f5)는 대략 4.8GHz (도 6의 (b)의 P30 참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5 주파수(f5)는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의 커패시턴스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의 커패시턴스가 가변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인덕터(L51)는 상기 제2 인덕터(L52)와 유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결합이란 한 회로에 의해 발생된 자속이 다른 회로와 쇄교할 때 유도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유도 결합에 의해서 한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에너지 전달이 일어나게 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쪽의 제1 인덕터(L51)에 전류가 흐르면 그 주위에 자장이 발생하고 그 자력선의 일부는 다른 한 쪽의 제2 인덕터(L52)와 쇄교하게 되는데, 이 때 두 인덕터(L51,L52) 간에 발생하는 유도 결합에 의한 상호 인덕턴스 값을 인덕터 간의 거리 및 자속의 세기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인덕터(L51)와 제2 인덕터(L52)가 상호 유도 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필요한 유도 결합의 상호 인덕턴스 값은 유도 결합 구조의 등가적 회로를 통하여 상기 공통인덕터 (Lcom)의 용량값을 결정지을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의 에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의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CV1)는 상기 제1 커패시터(C31)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커패시터(C3-1~C3-n)와,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C3-1~C3-n)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1 제어신호(SC1)에 의해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제어되는 복수의 스위치(SW1-1~SW1-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신호(SC1)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SW1-1~SW1-n)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스위치(SW1-1~SW1-n) 각각이 상기 제1 제어신호(SC1)에 의해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의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의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CV1)는 상기 제1 커패시터(C31)와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랙터 다이오드(CVD1), 저항(R31) 및 직류차단 커패시터(Cb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신호(SC1)가 상기 제1 바랙터 다이오드(CVD1)의 캐소드로 공급되면, 제1 바랙터 다이오드(CVD1) 및 저항(R31)을 통해 접지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직류차단 커패시터(Cb1)에 의해 전류가 차단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바랙터 다이오드(CVD1)는 상기 제1 제어신호(SC1)의 전압레벨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300)의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의 에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의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CV2)는 상기 제2 커패시터(C41)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커패시터(C4-1~C4-n)와,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C4-1~C4-n)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2 제어신호(SC2)에 의해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제어되는 복수의 스위치(SW2-1~SW2-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신호(SC2)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SW2-1~SW2-n)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스위치(SW2-1~SW2-n) 각각이 상기 제2 제어신호(SC2)에 의해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의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의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CV2)는 상기 제2 커패시터(C41)와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랙터 다이오드(CVD2), 저항(R41) 및 직류차단 커패시터(C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신호(SC2)가 상기 제2 바랙터 다이오드(CVD2)의 캐소드로 공급되면, 제2 바랙터 다이오드(CVD2) 및 저항(R41)을 통해 접지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직류차단 커패시터(Cb2)에 의해 전류가 차단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바랙터 다이오드(CVD2)는 상기 제2 제어신호(SC2)의 전압레벨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400)의 커패시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응답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주파수 응답특성 그래프는 하나의 광대역을 갖는 대역 통과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도 6의 (a)의 G11은 삽입손실(Insertion loss) 그래프이고, G12는 반사손실(Return loss) 그래프이다. P11 및 P12는 반사손실 그래프(G12)에서의 4GHz 및 6GHz에 대한 공진점을 의미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파수 응답특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패시턴스 회로(300,400)에 의해 커패시턴스가 커지고, 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가변됨에 따라,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주파수 응답특성 그래프는 2개의 협대역을 갖는 대역 통과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도 6의 (a)의 G21은 삽입손실(Insertion loss) 그래프이고, G22는 반사손실(Return loss) 그래프이다. P21, P22 및 P23은 반사손실 그래프(G12)에서의 3.5GHz, 4GHz 및 대략 6.25GHz에 대한 공진점을 의미하고, P30은 삽입손실(Insertion loss) 그래프에서의 공진점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광대역을 갖는 필터로 이용할 수 있고, 또는 2개의 협개역을 갖는 필터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제1 공진회로
200: 제2 공진회로
300: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400: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500: 인덕턴스 회로
L11: 제1 인덕터
C11: 제1 커패시터
L21: 제2 인덕터
C21: 제2 커패시터
CV1: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
CV2: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
L51: 제1 인덕터
L52: 제2 인덕터
Lcom: 공통 인덕터

Claims (13)

  1. 제1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1 공진회로;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2 공진회로;
    상기 제1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1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상기 제2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제1 병렬 공진회로 및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인덕턴스 회로;
    를 포함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공진회로 및 제2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회로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직렬 공진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진회로는,
    제2 단자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2 인덕터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덕터 및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주파수에서 직렬 공진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는,
    상기 제1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는,
    상기 제2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 회로는,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와 상기 제1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3 주파수에 병렬 공진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와 상기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4 주파수에서 병렬 공진하는 제2 인덕터; 및
    상기 공통 노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상기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5 주파수에서 직렬 공진하는 공통 인덕터; 를 포함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8. 제1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1 공진회로;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제2 공진회로;
    상기 제1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1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상기 제2 공진회로에 접속된 제2 노드와 상기 공통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와 제1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와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제2 인덕터와, 상기 공통 노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공통 인덕터를 포함하는 인덕턴스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는 상기 제2 인덕터와 유도 결합을 형성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회로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직렬 공진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진회로는,
    제2 단자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2 인덕터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덕터 및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주파수에서 직렬 공진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는,
    상기 제1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는,
    상기 제2 노드와 공통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 회로의 제1 인덕터는,
    상기 제1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와 상기 제1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3 주파수에서 병렬 공진하고,
    상기 인덕턴스 회로의 제2 인덕터는,
    상기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와 상기 제2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4 주파수에서 병렬 공진하고,
    상기 인덕턴스 회로의 공통 인덕터는,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커패시턴스 회로 각각과 상기 제1 직렬 공진회로 및 제2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제5 주파수에서 직렬 공진하는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KR1020160023945A 2016-02-29 2016-02-29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KR10260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45A KR102600021B1 (ko) 2016-02-29 2016-02-29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US15/266,302 US20170250667A1 (en) 2016-02-29 2016-09-15 Sub-band adjustable bandpass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45A KR102600021B1 (ko) 2016-02-29 2016-02-29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38A true KR20170101438A (ko) 2017-09-06
KR102600021B1 KR102600021B1 (ko) 2023-11-07

Family

ID=5967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45A KR102600021B1 (ko) 2016-02-29 2016-02-29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50667A1 (ko)
KR (1) KR102600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085A1 (ja) * 2017-02-08 2018-08-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回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6515A1 (en) * 2003-08-28 2005-03-03 Tai-Chang Wang Pi-type band pass filter
CN102255609A (zh) * 2010-05-17 2011-11-23 上海交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具有ltcc工艺的新型结构双工器
US20130335159A1 (en) * 2011-03-18 2013-12-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onic component
CN104993798A (zh) * 2015-08-01 2015-10-21 徐园园 一种可调零点的滤波电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8874A (en) * 1970-12-29 1973-02-27 Sossen E Etched inductance bandpass filter
DE3213436A1 (de) * 1982-04-10 1983-10-2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Bandfilter
JP2008005182A (ja) * 2006-06-22 2008-01-10 Nec Electronics Corp バンドパスフィルタ回路
US7889021B2 (en) * 2007-03-05 2011-02-15 Sentel Corporation Reception of wideband signals with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components to reduce co-site interference
CN105580274B (zh) * 2013-09-26 2018-08-2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谐振器及高频滤波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6515A1 (en) * 2003-08-28 2005-03-03 Tai-Chang Wang Pi-type band pass filter
CN102255609A (zh) * 2010-05-17 2011-11-23 上海交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具有ltcc工艺的新型结构双工器
US20130335159A1 (en) * 2011-03-18 2013-12-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onic component
CN104993798A (zh) * 2015-08-01 2015-10-21 徐园园 一种可调零点的滤波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021B1 (ko) 2023-11-07
US20170250667A1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et al. Microstrip diplexer constructed with new types of dual-mode ring filters
KR100292764B1 (ko) 유전체필터,유전체듀플렉서및통신기장치
US9479160B2 (en) Resonant radio frequency switch
US10283864B2 (en) Antenna and terminal
CN108899158B (zh) 可调谐电感器装置、收发器、方法和计算机程序
EP2424109B1 (en) Multimode frontend circuit
US10110194B2 (en) Variable filter circuit, RF front 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10873310B2 (en) RF filtering circuitry
JP2013085076A (ja) 伝送線路共振器、帯域通過フィルタ及び分波器
CN104348441A (zh) 双工器
US10056662B2 (en) Switched bandstop filter with low-loss linear-phase bypass state
CN108448212B (zh) 一种基于耦合控制的双工滤波开关
CN113556118A (zh) 一种大功率谐振开关
CN201096883Y (zh) 高频段的数字调谐lc滤波器
KR102600021B1 (ko) 대역 분할 가변형 대역 통과 필터
WO2018209066A1 (en) Band pass filter based on coupled transmission lines
Zhu et al. Novel dual-band bandpass-to-bandstop filter using shunt PIN switches loaded on the transmission line
US20190379355A1 (en) Filter device, multiplexer,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JP4291087B2 (ja) 高速同調アンテナ共用器
KR20030000658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고주파 스위칭 회로
US10903812B2 (en) Trap filter and filter circuit
KR200460243Y1 (ko) 알에프 스위치
CN112134585B (zh) 多模多频收发电路
KR101265252B1 (ko) 공진기 타입 유전체 다이플렉서 및 그를 포함하는 통신 소자
JP4587963B2 (ja) 高耐電力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