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176A -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176A
KR20170101176A KR1020170107287A KR20170107287A KR20170101176A KR 20170101176 A KR20170101176 A KR 20170101176A KR 1020170107287 A KR1020170107287 A KR 1020170107287A KR 20170107287 A KR20170107287 A KR 20170107287A KR 20170101176 A KR20170101176 A KR 2017010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information
manager
failur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8216B1 (en
Inventor
강병일
정진규
서영주
최채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216B1/en
Publication of KR2017010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water purifier, in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water purifier which uses a water purifier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able to a wireless network and a mobile terminal connectable to the wireless network,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water purifier, includes: a remote control process for allowing a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er based on the data for control inputted from a manager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and transmits it to the water purifier; and a user status check process of collecting the purifier operation information of a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esignated operation information exists. The user status check process includes a setting step of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from a manager; and a monito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anagement method for a water purifier based on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network-based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초기의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보안, 조명, 온도 등을 자동 통제하는 수준인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홈 컨트롤 시스템(Home Control System) 정도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었다.Initial home networking meant a range of home automation and home control systems that automatically controlled home security, lighting, and temperature.

그 후, 한 가정 내에 여러 대의 PC 및 주변기기를 보유한 가구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킹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홈네트워킹 키트(Home Networking Kit)들이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In the future, as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multiple PCs and peripherals increases in one home, networking technologies have begun to connect them efficiently. Home networking kits (Home Networking Kits) And began to be used in earnest.

그리고,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력선, 무선 등 진일보한 전송매체 기술의 발전과 DSL, Cable Modem 등 가입자망의 광대역화로 초고속인터넷이 급속히 확대되고, PC 뿐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정보단말기들이 가정 내에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디지털 정보가전기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가능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ransmission media technologies such as existing telephone lines, power lines, and wireless, and the broadband of subscriber networks such as DSL and Cable Modem, the rapid expansion of high-speed Internet, and home networ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intelligent communication by providing a connection to an external Internet network while providing a path for exchanging data between home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s.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44960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44960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정수기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원격 솔루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remote control solution for a water purifier based on a wireless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pose a remote solution that can control and manage a water purifier us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정수기에서 수신된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수기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과정; 및 기설정된 기간동안 사용자의 상기 정수기 조작 정보를 수집하고 기지정된 조작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은, 감시의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설정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감시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감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using a water purifier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able to a wireless network and a mobile terminal connectable to the wireless network,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er based on data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er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water purifier; And a user state checking process of collecting the user's purifier operating information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esignated operating information is pres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rein the user state checking process includes in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from the manager Receiving setting step; And a monito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장치 초기화를 위한 설정값 및 상기 정수기 동작에 필요한 설정값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정수기로부터 환경 정보, 정수기 설정 정보 및 정수기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설정값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 또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명령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process may include inputting at least one of a set value for initializing the device of the water purifier and a set value necessary for the water purifier operation from the manager; Receiving at least on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water purifier setting information, and water purifier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water purifier; And a command generation step of comparing the input set value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so that the water purifier performs a setting or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t value,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water purifier.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 단계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수신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process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step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periodically executes the reception step and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예를 들어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정수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정수기의 고장으로 판정되면 A/S 서버로 상기 동작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콜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call process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analyz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A / S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purifier malfunctions.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콜 과정은, 상기 정수기로부터 자체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 동작시 정수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의 고장 여부를 판정 단계; 및 상기 정수기가 고장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A/S 서버로 고장 발생 및 상기 자체 점검 정보를 전송하는 신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ice call process may include: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elf-checking information from the water purifier;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purifier is malfunctioning by comparing the self-check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normal operation purifier; And an application step of generating a failure and transmitting the self-check information to the A / S server when the water purifier is determined to be faulty.

예를 들어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자체 점검 정보, 정상인 정수기에 대한 정보 및 고장 판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로부터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청 단계는 상기 검증 단계에서 관리자가 고장이라 입력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verification step of providing the manager with information on the self-chec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normal water purifier, and whether or not a failure has been determined,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failure has occurred from the administrator, The step may be performed when the manager inputs a failure in the verification step.

예를 들어 상기 신청 단계는, 상기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인 정수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대응되는 고장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장 코드를 상기 A/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pplication step may generate a failure code correspon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self-check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normal water purifier,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failure code to the A / S server.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정수기를 자율 또는 수동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based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water purifier can be remotely or autonomously managed using the mobile terminal remotely.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이 구동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서비스 콜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remote management system in which a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2A and 2B are flowcharts showing a flow of a remote control process of the purifier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call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user status check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이 구동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remote management system in which a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정수기(100) 및 이동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A/S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purifier 100 and a mobile terminal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 / S server 300.

정수기(100)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로서, 통신 모듈을 통해서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초기 설정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정수기(100)의 동작 정보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CDMA 데이터 통신 채널, 3G 통신망 등이 있다.The water purifier 100 is a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able to a wireless network and can control initial setting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0 can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network includes a CDMA data communication channel, a 3G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가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정수기(100)로부터 설정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200)은 통신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can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wireless network to which the water purifier 100 can connect, and can receive setting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water purifier 100. For this purpos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220.

또한,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를 관리하는 관리자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수신한 설정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200)은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mobile terminal 200 can receive data required for control from an administrator managing the water purifier 100, and can output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terface module 210.

A/S 서버(300)는 정수기(100)의 고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A/S를 접수하고, 고장 해결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A/S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고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고장에 대한 정보에는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 고장 부위, 고장에 의한 현상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S server 3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failure of the water purifier 100, receives the A / S, and proceeds to the failure resolution process. The A / S server 3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failure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failur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water purifier 100, a failure site, and a failure phenomenon.

필요에 따라서는 정수기(100)에서 직접 A/S 서버(300)로 고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수기(100)에 발생한 고장이 치명적인 경우, 고장이 명확한 경우 및 기설정된 고장 현상이 있는 경우 등에 직접 정보 전송할 수 있다.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failure to the A / S server 300 directly from the water purifier 100, if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directly transmitted when the failure occurring in the water purifier 100 is fatal, when the failure is definite, or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failure phenomenon.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은 원격 제어 과정(S10) 및 서비스 콜 과정(S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process (S10) and a service call process (S20), and may further include a user status check process (S30).

상기의 과정들은 이동 단말(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과정이다.The above process is a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원격 제어 과정(S10)에서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수기(100)의 동작이나 초기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remote control process S10, the operation and the initial setting of the water purifier 100 can be controlled using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서비스 콜 과정(S20)에서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수기(100)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고 A/S 서버(300)로 고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call process S20, the remote control system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purifier 100 is malfunctioning or not, and the malfunc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A / S server 300.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은 사용자가 일정 기간동안 정수기(100)를 사용하지 않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The user status checking process S30 may monitor whether the user does not use the water purifier 1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이하에서는 상기 각 과정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A and 2B are flowcharts showing a flow of a remote control process of the purifier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제어 과정(S10, S100)은 입력 단계(S11), 수신 단계(S13) 및 명령 생성 단계(S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모니터링 단계(S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A and 2B, the remote control process (S10, S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step S11, a receiving step S13, and an instruction generating step S15, and the monitoring step S17 ). ≪ / RTI >

원격 제어 과정(S10, S100)에서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정수기(100)에서 수신된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정수기(100)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정수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remote control process (S10, S100),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er 100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data for control inputted from the manager and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100, and transmitted to the water purifier 100 .

입력 단계(S11)에서는 관리자로부터 정수기(100)의 장치 초기화를 위한 설정값 및 정수기(100) 동작에 필요한 설정값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단계(S11)를 통해서 관리자는 정수기(100)의 설정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input step S11, one or more of the set values for device initializ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and the set values necessary for the water purifier 100 operation can be inputted from the administrator. The manager can control the setting and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through the input step S11.

수신 단계(S13)에서는 정수기(100)로부터 환경 정보, 정수기(100) 설정 정보 및 정수기(100)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단계(S13)를 통해서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정수기(100)가 목적한 제어 상태에 도달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In the receiving step S13, one or more o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may be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100. [ Through the receiving step S13, the mobile terminal 200 can grasp the status of the water purifier 100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water purifier 100 has reached the desired control status.

명령 생성 단계(S15)에서는 입력된 설정값 및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정수기(100)가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 또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정수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의 설정치는 제어를 통해서 도달해야할 목표와 같은 것이므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정수기(100)의 각부에 지령될 명령은 장치의 세부구성이나 동작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명령 생성 단계(S15)를 통해서 관리자가 설정한 설정값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정수기(100)에 제어 명령을 일회적 또는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가 관리자가 설정한 설정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정수기(1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In the command generation step S15, the input set value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purifier 10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setting or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t value,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water purifier 100. [ Since the set value of the manager is the same as the target to be reached through the control, the command to be commanded to each part of the water purifier 100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pparatus. Accordingly, the control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water purifier 100 one-time or continuously so that the set value set by the administrator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mmand generation step S15.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0 may transmit control commands to the water purifier 100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so that the water purifier 100 can maintain the set values set by the administrator.

모니터링 단계(S17)에서는 수신 단계(S13)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수신한 정보를 이동 단말(200)을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모니터링 단계(S17)에서는 입력 단계(S11)를 통해서 입력받은 설정값을 더 제공할 수 있다.In the monitoring step S17, the receiving step S13 is executed periodically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anag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 If necessary, the monitoring step S17 may further provide the set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step S11.

도 2a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A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입력 단계(S11)와 수신 단계(S13)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명령 생성 단계(S15)와 모니터링 단계(S17)도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계(S17)는 입력 단계(S11)와도 병렬적으로 수행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A, the input step S11 and the receiving step S13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and the command generating step S15 and the monitoring step S17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Also, the monitoring step S17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input step S11.

도 2b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원격 제어 과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B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입력 단계(S11)를 통해서 원격 제어 과정(S10) 실행 여부 및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입력받으면 이후의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when the remote control process (S10) is performed through the input step S11 and the setting values for control are inputted, the following process can be executed.

명령 생성 단계(S15) 이후 정수기(100)로부터 동작이나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목적한 제어가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6). 목적한 제어를 달성하지 못하면 다시 명령 생성 단계(S15)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r the setting from the water purifier 100 after the command generation step S15,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esired control is achieved (S16). If the desired control is not achieved, the command generation step S15 may be performed again.

모니터링 단계(S17)는 모니터링을 종료시키는 인터럽터 등에 의해서 종료될 수 있다(S18).The monitoring step S17 may be terminated by an interruptor or the like which terminates monitoring (S18).

상기의 원격 제어 과정(S10)을 이용하여, 관리자는 정수기(100)를 댁내 또는 댁외에서 이동 단말(20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관리자가 정수기(100)를 제어가 필요한 때마다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관리자가 목표치만 설정하고 이동 단말(200)이 자동으로 정수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Using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 procedure (S10),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control the water purifier 100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200 at home or at home. Further,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manager can manually control the water purifier 100 whenever the water purifier 100 needs to be controlled, the manager can set only the target value, and the mobile terminal 200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water purifier 100. [

상기 원격 제어 과정(S10)을 이용한 일 실시예로서, 원격지에서의 정수기(100) 전력 제어가 있다. As one embodiment using the remote control process (S10), there is a power control of the water purifier 100 at a remote place.

정수기는 사용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온수 및 냉수 장치를 가동하기 때문에 꾸준히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전력의 효율적인 소비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전력 사용이 없도록 정수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정수기 내에서 전력을 제어하여 냉온수 유지 장치를 정지하여야 한다. The water purifier constantly consumes power because it operates the hot water and cold water devices even in the absence of the user. Therefore, in order to consume power efficiently, the power supply of the water purifier should be shut off to prevent power consumption when there is no user, or the power supply should be controlled in the water purifier to stop the cold / hot water maintenance device.

이에 본 발명의 원격 제어 과정(S10)을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정수기(100)로 전력을 on/off하는 명령을 보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or the administrator can send an instruction to turn on / off the power to the water purifier 100 at a remote place using the remote control process (S10)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이동 단말(200)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정수기(100)과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이동 단말이 있는 경우 정수기(100)가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사생활 침해 및 개인 정보 보안을 위해서 정보 획득 과정이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정수기(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이동 단말(200)이 정수기(100)로 전력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게 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user or the administrator, and controls the water purifier 100 to operate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purifier 100 .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difficult to acquire information for privacy invasion and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100, Lt; RTI ID = 0.0 > a < / RTI >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서비스 콜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call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콜 과정(S20)은 수신 단계(S21), 판정 단계(S23) 및 신청 단계(S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검증 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rvice call process S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step S21, a determining step S23, and an applying step S29, and further includes a verification step S25 .

수신 단계(S21)에서는 정수기(100)로부터 자체 점검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정수기(1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동 단말(200)은 정수기(100)의 장치 현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receiving step S21, the self-checking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1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can be received.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200 can collect device status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판정 단계(S23)는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 동작시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거나 정수기(100)의 동작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설정값 및 전송한 제어 명령을 비교하여 정수기(100)의 고장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정수기(100)의 자체 점검 정보가 정수기(100)가 정상 상황일 때의 정보와 상이하면 정수기(100)의 해당 부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정수기(100)의 동작 상황이 사용자의 설정값 및 전송한 제어 명령과 상이한 경우에도 정수기(100)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고장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step S23 compares the self-check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normal operation purifier 100 or compares the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of the purifier 100 with the user's set value and the transmitted control command to determine the failure of the purifier 100 Or not. If the self check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is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when the water purifier 100 is in a normal condi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100. I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water purifier 100 is set by the user Value and the transmitted control command, the water purifier 100 can not perform the normal operation, so that the water purifier 100 can be regarded as a failure.

신청 단계(S29)에서는 정수기(100)가 고장으로 판정되는 경우(S23) 또는 고장으로 판정 및 검증된 경우(S27) A/S 서버(300)로 고장 발생 및 자체 점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신청 단계(S29)를 통해서 정수기(100)의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관련 정보가 같이 A/S 센터로 접수되어 관리자가 A/S 센터 또는 콜센터로 전화하여 고장 신고를 하고 일일이 고장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In the application step S29, if the water purifier 100 is determined to be faulty (S23) or if the water purifier 100 is determined and verified to be faulty (S27), it is possible to send the fault occurrence and self-check information to the A / S server 300. When the failure of the water purifier 100 occurs through the application step S29, the fault 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A / S center, and the manager calls the A / S center or the call center to report the fault, The inconvenience can be eliminated.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신청 단계(S29)에서는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인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대응되는 고장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장 코드를 상기 A/S 서버(3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정수기(100)의 구성이 한정적이므로 고장의 경우도 패턴화 및 분류화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분류 정보를 이동 단말(200)에서 생성한 후 A/S 서버(300)로 전송하여 A/S 처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The A / S server 300 generates the failure cod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elf-check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normal water purifier 100 in the application step S29 as need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ailure code to the A / As shown in FIG. Since the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100 is limited, patterning and classification can be performed even in case of failure.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A / S server 300, And can do it accurately.

검증 단계(S25)에서는 자체 점검 정보, 정상인 정수기(100)에 대한 정보 및 고장 판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로부터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검증 단계(S25)를 통해서 고장 판단에 대한 관리자의 검증을 받을 수 있다(S27). 이를 통해 고장 판단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관리자가 고장 상황의 발생을 미리 고지받을 수 있다.In the verification step S25, information on the self chec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normal water purifier 100, and whether or not a failure has been determined may b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and information on the failure may be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he verification of the failure can be received through the verification step S25 (S27).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fault judgment, and the administrator can be informed of the occurrence of the fault situation in advance.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user status check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은 설정 단계(S31), 수신 단계(S33) 및 감시 단계(S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 state checking process S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tting step S31, a receiving step S33, and a monitoring step S35,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ing step .

설정 단계(S31)에서는 감시의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관리자는 사용자의 정수기(100)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필요한 조작 버튼이나 조작 부위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상태 점검 판단 과정을 유지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setting step S31,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can be inputted from the manager. The administrator can designate a required operation button or operation are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perates the water purifier 100 or not, and can set a time for maintaining the user state check determination process.

수신 단계(S33)에서는 정수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정수기(100) 조작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In the receiving step S33,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user's water purifier 100 is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100. [

감시 단계(S35)에서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된 정수기(100) 조작 상황에 대한 정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조작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In the monitoring step S3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oper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n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water purifier 100 receive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특히,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신 단계(S33) 및 감시 단계(S35)를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신 단계(S33)만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의 누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단계(S35)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receiving step (S33) and the monitoring step (S35) may be repeated periodically or intermittently for a predetermined time. Also, although not shown, only the receiving step S33 may be repeated periodically or intermittently, and the monitoring step S35 may be performed based on accumulated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알림 단계(S37)에서는 감시 단계(S35)에서 기설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 정보가 없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한다.In the informing step S37, if there is no user's operating information during the preset period in the monitoring step S35, such information is outputted to the manager.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이용하면, 관리자는 독거 노인과 같은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정수기(100)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독거 노인에게 건강상의 문제등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독거 노인 케어 시스템등을 구축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여부가 문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은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When the user state checking process (S30) is used, the administrator can determine that a health problem has occurred to the elderly living alone when the user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does not use the water purifier 1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it can be used to construct a care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addition, although the existing care system has a problem of privacy invasion of the user, the user state checking process (S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privacy invasion problem does not occur.

상기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이용한 일 실시예로서, 독거 노인등에 대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using the user state checking process (S30), a health care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be configured.

독거 노인 등의 경우 건강 상태를 일일이 체크하는 등의 헬스 케어 방식은 인력적, 시간적, 비용적인 측면에서 난점이 많다. 따라서, 독거 노인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영상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여 헬스 케어하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상 등을 이용한 모니터링의 경우 독거 노인의 상태를 촬영할 촬영 장치가 있고, 독거 노인의 생활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므로 개인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In the ca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erms of manpower, time, and cost. Therefore, there is an attempt to monitor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y using a remote image and to perform healthcare. However, in the case of monitoring using such images, there is a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re is a fear of infringement of personal privacy because an image of the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acquir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S30)을 이용한 독거 노인에 대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을 제안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pose construction of a health care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the user state checking process (S3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인간으로서 기본적으로 섭취 또는 취득해야 하는 물과 음식물에 대한 독거 노인의 접근 정보를 정수기의 조작 여부에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사용자가 되는 독거 노인의 행동 패턴 또는 물과 음식물 섭취 주기 등을 고려하여 감시의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설정하면, 이동 단말을 통해서 독거 노인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된다.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acces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 respect to water and food, which is basically consumed or acquired as a human being, from the manipul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can indirectly check the st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by se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in consideration of the behavior pattern of the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the water and the food intake perio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정수기 200: 이동 단말 300:A/S 서버
110: 통신 모듈 210: 인터페이스 모듈 220: 통신 모듈
S10, S100: 원격 제어 과정
S11: 입력 단계 S13: 수신 단계 S15: 명령 생성 단계
S16: 제어 종료 여부 판단 S17: 모니터링 단계
S18: 모니터링 종료 여부 판단
S20: 서비스 콜 과정
S21: 수신 단계 S23: 판정 단계 S25: 검증 단계
S29: 신청 단계
S30: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
S31: 설정 단계 S33: 수신 단계 S35: 감시 단계
S37: 알림 단계
100: water purifier 200: mobile terminal 300: A / S server
110: communication module 210: interface module 220: communication module
S10, S100: Remote control process
S11: input step S13: reception step S15: command generation step
S16: Determine whether control is finished S17:
S18: Judging whether monitoring is finished
S20: Service call process
S21: Receiving Step S23: Judging Step S25: Verifying Step
S29: Application step
S30: User state check process
S31: Setting step S33: Receiving step S35: Monitoring step
S37: Notification phase

Claims (6)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정수기에서 수신된 동작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수기 제어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과정; 및
기설정된 기간동안 사용자의 상기 정수기 조작 정보를 수집하고 기지정된 조작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점검 과정은,
감시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설정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 상기 감시 대상이 되는 조작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감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A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using a water purifier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able to a wireless network and a mobile terminal connectable to the wireless network,
A remote control process of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er based on data for control input from an administrator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water purifier; And
And a user status check process of collecting the user's purifier operation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esignated operation information is present,
The user status checking process includes:
A setting step of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from the manager; And
And a monito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operation information to be monitored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for the preset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장치 초기화를 위한 설정값 및 상기 정수기 동작에 필요한 설정값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정수기로부터 환경 정보, 정수기 설정 정보 및 정수기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설정값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 또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명령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An input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a set value for initializing the device of the water purifier and a set value necessary for the water purifier operation from the manager;
Receiving at least on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water purifier setting information, and water purifier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water purifier; And
And a command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by comparing the input set value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so that the water purifier performs setting or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t value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water purifier. Remote management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 단계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수신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onitoring step of periodically executing the receiving step and provi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정수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정수기의 고장으로 판정되면 A/S 서버로 상기 동작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콜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콜 과정은
상기 정수기로부터 자체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 동작시 정수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의 고장 여부를 판정 단계; 및
상기 정수기가 고장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A/S 서버로 고장 발생 및 상기 자체 점검 정보를 전송하는 신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rvice call process of analyz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A / S server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water purifier has a failure,
The service call process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elf-checking information from the water purifier;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purifier is malfunctioning by comparing the self-check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normal operation purifier; And
And an application step of transmitting a self-diagnosis information to the A / S server when the water purifier is determined to be faul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자체 점검 정보, 정상인 정수기에 대한 정보 및 고장 판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로부터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청 단계는 상기 검증 단계에서 관리자가 고장이라 입력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verification step of providing the manager with information on the self-check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normal water purifier, and whether or not a failure has been determined,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failure from the manager,
Wherein the application step is performed when the administrator inputs a failure in the verification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 단계는
상기 자체 점검 정보 및 정상인 정수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대응되는 고장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장 코드를 상기 A/S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원격 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pplying step
Generates a failure code correspon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self-check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normal water purifi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ailure code to the A / S server.
KR1020170107287A 2017-08-24 2017-08-24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KR101818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287A KR101818216B1 (en) 2017-08-24 2017-08-24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287A KR101818216B1 (en) 2017-08-24 2017-08-24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647A Division KR101773332B1 (en) 2010-08-25 2010-08-25 method of remote managing premises equipment based on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76A true KR20170101176A (en) 2017-09-05
KR101818216B1 KR101818216B1 (en) 2018-02-21

Family

ID=5992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287A KR101818216B1 (en) 2017-08-24 2017-08-24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2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9167A (en) * 2017-12-25 2018-04-13 郑州跃龙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water purifier sale and maintaining-manag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7250870A (en) * 2023-11-16 2023-12-19 清控环境(北京)有限公司 Reclaimed water recycling control system based on data information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8714B1 (en) 2000-12-13 2016-09-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JP2003044960A (en) 2001-07-30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9167A (en) * 2017-12-25 2018-04-13 郑州跃龙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water purifier sale and maintaining-manag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7250870A (en) * 2023-11-16 2023-12-19 清控环境(北京)有限公司 Reclaimed water recycling control system based on data information processing
CN117250870B (en) * 2023-11-16 2024-03-26 清控环境(北京)有限公司 Reclaimed water recycling control system based on data information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216B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242B1 (en) Monitoring system for control device in a remote place having the self diagnosis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2167569B1 (en) Monitoring system for smart factory
US11606252B2 (en) Wireless connection validation techniques
US9898921B2 (en) Security system installation
US20030208606A1 (en) Network iso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18216B1 (en)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KR101879759B1 (en) Remote Statu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Facilities of Home Network Based on Context Aware
US20130132744A1 (en) St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70009728A (en) Wireless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KR101773332B1 (en) method of remote managing premises equipment based on wireless network
JP2006340154A (en) Meter report system and program
TWI592892B (en) Smart home system
KR101882968B1 (en) System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electric energy using piezo-electric and wireless technology
KR101818215B1 (en) method of remote managing water purifier based on wireless network
US20200329120A1 (en) Regression safe network communication logic for an iot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KR101224184B1 (e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extensible to mobile environment
CN116366381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applications
JP5305015B2 (en) Network system, network management server, network management progra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201601422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installation of a device
KR20070097901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a water purifier using home network
TW201635761A (en) Method of automatically managing applications on digital convergence gateways, system therefor and apparatus therewith
TWI590180B (en) Error detection system, error detection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KR1007361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Homenetwork
CN113366857B (en) Equipment control device,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4150885A1 (en) Node control unit and network-servi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