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935A -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935A
KR20170100935A KR1020160023446A KR20160023446A KR20170100935A KR 20170100935 A KR20170100935 A KR 20170100935A KR 1020160023446 A KR1020160023446 A KR 1020160023446A KR 20160023446 A KR20160023446 A KR 20160023446A KR 20170100935 A KR20170100935 A KR 2017010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er
data
ba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587B1 (ko
Inventor
이상욱
이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2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48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W4/0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작업 지시서 생성부; 상기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을 발견하고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하는 백업 수행부를 포함하여, 이동 통신 단말들 간의 데이터 백업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함은 물론, 양 방향 데이터 백업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Data backup device and data backup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교체 등의 경우 데이터 백업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함은 물론, 양 방향 데이터 백업을 요하는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이 고 사양화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 연락처, 메시지, 사진, 동영상, 개인인증이나 결제 정보,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다.
이에, 이동 통신 단말의 고장이나 오조작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단말 교체나 수리 후에도 종전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이용하기 위해, 해당 단말에 저장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 파일을 간이·신속하게 타 단말로 백업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요청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을 위한 기존 기술로는, 이동 통신 단말을 PC에 연결하여 해당 PC에 데이터 파일을 백업하는 PC 이용 방식,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493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을 통해 소정 백업 서버나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에 데이터 파일을 백업하는 서버 이용 방식,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데이터 파일을 백업하는 단말 이용 방식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PC 이용 방식은, 사용자마다 별도의 PC와 전용 케이블 등을 마련해야 하며 PC와의 통신을 위해 장소적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버 이용 방식은, 해당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가입 및 로그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 해킹 등에 의해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PC 이용 방식과 서버 이용 방식은, 이동 통신 단말의 교체 시에 백업 대상 파일을 PC 또는 서버에서 다시 한번 신규 단말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백업 절차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단말 이용 방식은, 이동 통신 단말 간 피투피 통신 네트워크 설정 및 페어링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며, 특히 이동 통신 단말 들간에 양 방향 데이터 백업을 요하는 상황은 물론 일 방향 데이터 백업을 요하는 상황에도 양쪽 이동 통신 단말을 모두 조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교체 등의 경우 데이터 백업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함은 물론, 양 방향 데이터 백업을 요하는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 가능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하여금 상기 작업 지시서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작업 지시서 생성부; 상기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을 발견하고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 간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하는 백업 수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동 통신 단말 또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는, 상기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하여금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와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피투피 통신 채널 중에서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작업 지시서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는 데이터 파일 검색부; 및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된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백업 파일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를 요청하는 검색 결과 요청부; 및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백업 파일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 지시서를 파싱(parsing)하여 해당 정보를 분석하는 작업 지시서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부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여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부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검색 결과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파일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서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백업 파일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하고,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백업 완료 사실을 알리는 백업 파일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 지시서 생성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을 발견하고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백업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 지시서를 파싱(parsing)하여 해당 정보를 분석하는 작업 지시서 분석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작업 지시서에 의해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여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백업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데이터 백업 방법을 이동 통신 단말의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백업 작업에 관여하는 양쪽 이동 통신 단말 중 데이터 백업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백업하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 백업 작업에 관여하는 양쪽 이동 통신 단말 중 어떤 단말을 제어 단말로 선택하는 경우라도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양 방향 데이터 백업을 요하는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양쪽 이동 통신 단말을 모두 조작할 필요없이 제어 단말로 선택된 어느 한쪽 단말만을 조작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이동 통신 단말 중 데이터 백업 절차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로 문자 메시지 형식의 작업 지시서를 전달하여 피제어 단말과의 페어링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단말 간 피투피 통신을 통해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직접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의 교체 등의 경우 데이터 백업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함은 물론, 개인 정보의 노출이나 해킹 등의 피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백업 시스템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방법의 백업 준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데이터 백업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방법의 데이터 파일 백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방법의 데이터 파일 백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백업 시스템 환경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백업 시스템 환경은 데이터 백업 작업에 관여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과 제2 이동 통신 단말(12), 통신 네트워크(20, 22), 및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30, 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종전 단말인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이동 통신 서비스는 해지되고 신규 단말인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이동 통신 서비스는 개시되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통신 번호가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이전되는 절차를 거친다. 이때,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백업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해지되기 전에, 사용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0)을 데이터 백업 절차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로 선택하여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을 제어함으로써,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백업시킬 수 있다. 반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해지되고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개시된 후에, 사용자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을 제어 단말로 선택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을 제어함으로써,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들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백업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데이터 백업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과 상기 제어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피제어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통신 서비스가 해지된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이 제어 단말로 선택되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은 WiFi 등을 통해 무선 인터넷망(20)에 접속하여, 피제어 단말인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을 목적지로 하고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와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형식의 작업 지시서를 전송한다. 무선 인터넷망(20)에서 운영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해당 작업 지시서를 이동 통신망(22)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전송한다. 한편, 각각 이동 통신 번호를 가진 별개의 이동 통신 단말들 간에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와 같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해지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은 해당 작업 지시서를 이동 통신사 등에 의해 운영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32)를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전송할 수 있다. 작업 지시서를 전송받은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해당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닉네임을 사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과의 피투피 통신을 위한 페어링(pairing)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해당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동작 모드에 따라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파일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양쪽 이동 통신 단말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계속 중인 경우는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쪽 단말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해지된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들 간의 데이터 백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의 수리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장치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장치(100)는, 데이터 백업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 예컨대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내장되거나 설치되어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동작 모드 설정부(110), 작업 지시서 생성부(120), 페어링 수행부(130), 및 백업 수행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작업 지시서 분석부(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방법의 백업 준비 과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세부 구성과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이 제어 단말로 선택된 경우,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설치된 데이터 백업 장치(10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를 제어하여 데이터 백업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우선,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동작 모드 설정부(110)는, 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와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한다(S310). 이 경우, 동작 모드 설정부(11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입출력부(2)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이동 통신 단말(10)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이동 통신 단말들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선택하면, 동작 모드 설정부(11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하고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선택하면, 동작 모드 설정부(11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고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한다.
그 다음, 작업 지시서 생성부(120)는,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생성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로 하여금 상기 작업 지시서를 타 이동 통신 단말(12)로 전송하도록 한다(S320, S330). 이를 위해, 작업 지시서 생성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10)의 입출력부(2)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타 이동 통신 단말(12)의 통신 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타 이동 통신 단말(12)의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타 이동 통신 단말(12)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결정할 수 있다(S320). 이러한 닉네임은 피투피 통신에서 타 이동 통신 단말(12)를 식별하는 정보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 지시서 생성부(120)는 타 이동 통신 단말(12)을 식별할 수 있도록 통신 번호와 현재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타 이동 통신 단말(12)의 고유 닉네임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타 이동 통신 단말(12)의 통신 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지시서 생성부(120)는 타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 정보, 닉네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생성한다(S330). 이 경우, 작업 지시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메시지 등의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데이터 백업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작업 지시서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 설정 정보와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지시서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일반 문자 메시지와 작업 지시서 문자 메시지를 구별하는 작업 지시서 구별자, 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하여금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데이터 백업 장치(100)와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기타 안내 문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에는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피투피 통신 채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지시서는, 문자 메시지 형식, 예컨대 SMS 메시지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 지시서의 해당 정보들은 SMS body에 해당하는 PDU(Protocol Description Unit)의 TP-User-Data 섹션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작업 지시서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문자 메시지 송수신부(4)에서 SMS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전송된다(S332).
그 다음,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작업 지시서를 수신한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상기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제어된다(S340 내지 S370).
즉,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데이터 백업 장치(100)에 대응하는 장치가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상기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백업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한 후, 해당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한다(S340). 상기 백업 애플리케이션은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데이터 백업 장치(100)와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즉, 상기 백업 애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기능 및 동작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데이터 백업 장치(100)에 대응하는 장치 내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제1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작업 지시서를 파싱(parsing)하여 분석하고(S350), 해당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 정보에 따라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수신 모드 또는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한다(S360).
그 다음,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상기 작업 지시서에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서 사용 가능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피투피 통신 채널을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알린다(S370). 또한,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상기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게 된다.
그 다음,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페어링 수행부(13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피투피 통신 채널 중에서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이 상기 작업 지시서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한다(S380, S390). 즉, 페어링 수행부(130)는 주변 단말을 스캔하여 상기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을 발견하고(S380), 양쪽 단말(10, 12)이 모두 지원하는 피투피 통신 채널들 중에서 선택된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10)과 제2 이동 통신 단말(12) 간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한다(S390). 이 경우, 피투피 통신 채널은 신호 강도, 전송 속도, 전송률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업 준비 과정이 완료된 후,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백업 수행부(140)는, 동작 모드 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즉, 백업 수행부(14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송신하고,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방법의 데이터 파일 백업 과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세부 구성과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고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설치된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백업 수행부(14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선택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송신한다(S510 내지 S530).
이를 위해, 백업 수행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 검색부(142) 및 백업 파일 송신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파일 검색부(142)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저장부(6) 저장된 연락처, 메시지, 사진, 동영상, 개인인증이나 결제 정보,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한다(S510). 그 다음, 백업 파일 송신부(144)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입출력부(2)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된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한다(S520). 그리고 백업 파일 송신부(144)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선택된 피투피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피투피 통신부(8)를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송신한다(S530). 데이터 파일을 수신한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해당 데이터 파일을 소정 저장부에 저장하여 백업을 완료하고(S540), 백업 완료 사실을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알린다(S550).
그 다음, 백업 수행부(14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백업 완료 메시지를 표시한다(S560). 한편,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백업 완료 후 상기 작업 지시서를 삭제하여,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서 데이터 백업 준비 과정이 재실행되지 않도록 한다(S570).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백업 방법의 데이터 파일 백업 과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세부 구성과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고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설치된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백업 수행부(140)는, 상기 선택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한다(S610 내지 S660).
이를 위해, 백업 수행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결과 요청부(146) 및 백업 파일 수신부(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색 결과 요청부(146)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대하여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를 요청한다(S610). 그러면,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이 상기 검색 결과 요청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파일 검색하여(S620), 해당 검색 결과를 제1 이동 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630). 그 다음, 백업 파일 수신부(148)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입출력부(2)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한다(S640). 그리고 백업 파일 수신부(148)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요청하고(S650),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데이터 파일을, 상기 선택된 피투피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피투피 통신부(8)를 통해 수신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저장부(6)에 저장한다(S660).
그 다음, 백업 파일 수신부(148)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백업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고(S670), 백업 완료 사실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알린다(S680).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은, 백업 완료 후 상기 작업 지시서를 삭제하여,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서 데이터 백업 준비 과정이 재실행되지 않도록 한다(S690).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도 상술한 데이터 백업 장치(100)가 설치된 경우, 상황에 따라 사용자는 데이터 백업 작업을 제어할 제어 단말로서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설치된 데이터 백업 장치가 소정 작업 지시서를 생성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 제1 이동 통신 단말(10)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피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이 제어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부터 제1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수신하는 경우,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설치된 데이터 백업 장치(100)의 작업 지시서 분석부(150)는, 상기 작업 지시서를 파싱하여 상기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해당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동작 모드 설정부(110)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 정보에 따라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페어링 수행부(130)는,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여,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10)과 제2 이동 통신 단말(12) 간의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 페어링 수행부(130)는 해당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백업 수행부(14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송신하고,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한다. 예컨대,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고 제2 이동 통신 단말(12)이 제1 이동 통신 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를 요청하는 경우, 백업 수행부(140)의 데이터 파일 검색부(142)는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저장부(6)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검색 결과를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전송한다. 그리고 백업 수행부(140)의 백업 파일 송신부(144)는,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서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선택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 송신한다. 한편,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백업 수행부(140)의 백업 파일 수신부(148)는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1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저장부(6)에 저장하고, 제2 이동 통신 단말(12)에 백업 완료 사실을 알린다.
그리고 제1 이동 통신 단말(10)의 데이터 백업 장치(100)는, 백업 완료 후 상기 작업 지시서를 삭제하여 이미 작업이 완료된 작업 지시서에 의해 데이터 백업 준비 과정이 재실행되지 않도록 한다. 다만, 데이터 백업 장치(100)는 데이터 백업 작업의 재실행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작업 지시서의 원문이나 복사본 등을 임시파일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거나 반송파와 결합하여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신호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포함된다. 예컨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를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프로그램 코드들이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백업 작업에 관여하는 양쪽 이동 통신 단말 중 데이터 백업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백업하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 백업 작업에 관여하는 양쪽 이동 통신 단말 중 어떤 단말을 제어 단말로 선택하는 경우라도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양 방향 데이터 백업을 요하는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양쪽 이동 통신 단말을 모두 조작할 필요없이 제어 단말로 선택된 어느 한쪽 단말만을 조작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이동 통신 단말 중 데이터 백업 절차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로 문자 메시지 형식의 작업 지시서를 전달하여 피제어 단말과의 페어링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단말 간 피투피 통신을 통해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직접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의 교체 등의 경우 데이터 백업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함은 물론, 개인 정보의 노출이나 해킹 등의 피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데이터 백업 장치 110 : 동작 모드 설정부
120 : 작업 지시서 생성부 130 : 페어링 수행부
140 : 백업 수행부 142 : 데이터 파일 검색부
144 : 백업 파일 송신부 146 : 검색 결과 요청부
148 : 백업 파일 수신부 150 : 작업 지시서 분석부

Claims (29)

  1. 이동 통신 단말에서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하여금 상기 작업 지시서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작업 지시서 생성부;
    상기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을 발견하고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 간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하는 백업 수행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동 통신 단말 또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는, 상기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하여금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와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피투피 통신 채널 중에서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작업 지시서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는 데이터 파일 검색부; 및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된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백업 파일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를 요청하는 검색 결과 요청부; 및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백업 파일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 지시서를 파싱(parsing)하여 해당 정보를 분석하는 작업 지시서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부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여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부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지시서에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검색 결과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파일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서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백업 파일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하고,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백업 완료 사실을 알리는 백업 파일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16. 이동 통신 단말에서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 지시서 생성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을 발견하고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백업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동 통신 단말 또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 단계는, 상기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하여금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시서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작업 지시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피투피 통신 채널 중에서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작업 지시서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는 데이터 파일 검색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된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백업 파일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를 요청하는 검색 결과 요청 단계; 및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백업 파일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5. 이동 통신 단말에서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는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 및 피투피(peer-to-peer) 통신용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문자 메시지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 지시서를 파싱(parsing)하여 해당 정보를 분석하는 작업 지시서 분석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데이터 송신 모드 또는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작업 지시서에 의해 포함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피투피 통신용 닉네임을 사용하여 소정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백업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수행 단계는,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작업 지시서에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한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송신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검색 결과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검색 결과를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파일 검색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검색 결과에 나타낸 데이터 파일들 중에서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해 선택된 백업 대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백업 파일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수행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피투피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하고, 상기 타 이동 통신 단말에 백업 완료 사실을 알리는 백업 파일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방법.
  29.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23446A 2016-02-26 2016-02-26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KR101782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46A KR101782587B1 (ko) 2016-02-26 2016-02-26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46A KR101782587B1 (ko) 2016-02-26 2016-02-26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35A true KR20170100935A (ko) 2017-09-05
KR101782587B1 KR101782587B1 (ko) 2017-09-27

Family

ID=5992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446A KR101782587B1 (ko) 2016-02-26 2016-02-26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9779B2 (en) * 2011-10-21 2016-06-28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587B1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3671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注册无线设备的方法和装置
EP2924954B1 (en) Device controlling methods, client and server
KR20160010236A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40051070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371657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access to content
JP2006311137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用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
CN103428671A (zh) 应用的托管方法及系统、移动终端、服务器
CN109309967B (zh) 传输文件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517448A (zh) 一种基于WiFi Direct的软件升级方法及系统
CN107548129B (zh) 无线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6004431A (ja) 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619039A (zh) 无线局域网中终端设备互联的方法、系统和终端设备
KR101982312B1 (ko) 서버 지원을 이용한 다중 단말 간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그룹 형성 방법
KR20140061943A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226586B1 (en) Computer program for terminal device
KR102148696B1 (ko) 서비스 협상 방법 및 장치
CN105376318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178258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US20190310812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8107778A (ja) 通信装置
KR2013012715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사이의 파일 공유 방법
JP2010183268A (ja) 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メッセージ通信方法、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8117171A (ja) 通信装置
US8954036B2 (en) Data arrival control server and method for notifying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of data arrival at a certain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JP2016004492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