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828A -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828A
KR20170099828A KR1020170107492A KR20170107492A KR20170099828A KR 20170099828 A KR20170099828 A KR 20170099828A KR 1020170107492 A KR1020170107492 A KR 1020170107492A KR 20170107492 A KR20170107492 A KR 20170107492A KR 20170099828 A KR20170099828 A KR 2017009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weight
composition
hair
hair sty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화춘
최수규
이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0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828A/ko
Publication of KR2017009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8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종래에 달성하지 못하였던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및 씻김성이 모두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Hair styling wax composition}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 관한 것이다.
모발화장품은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이다. 모발은 사람의 외모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모발의 상태와 형태는 사람의 얼굴과 함께 이미지에 큰 영향을 준다. 통상의 모발관리에서는 세발을 위한 샴푸와 린스를 사용하고, 모발을 정돈하고 유연하게 하는 정발 효과 및 영양 효과를 주기 위해 헤어 크림과 헤어 로션, 헤어 트리트먼트가 사용된다. 모발의 미관상 아름다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발을 다양하게 연출하는데, 주로 파마, 염색, 드라이어 등을 이용한다. 그런데 모발은 대부분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 염색, 파마 및 드라이어 사용 등에 의하여 모발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모발에 윤기가 없어지거나 거칠어지는 등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모발에 광택을 제공할 수 있고, 헝클어진 모발을 정리 정돈할 수 있으면서 스타일링 형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춘 헤어 스타일링제나 헤어 트리트먼트제와 같은 모발 마무리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헤어 스타일링제는 모발을 아름답게 하고, 매력을 더해주고, 용모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으로 모발을 고정시켜주는 스타일링과 세팅하는데 사용한다. 헤어 스타일링제는 모발표면에 도포되어 모발을 원하는 형태로 정돈하기 쉽게 하거나 정돈된 헤어스타일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주게 된다. 헤어 컨디셔너 제품에도 일부 스타일링기능이 있으나 헤어스타일을 고정시켜 주는 세팅 효과가 없는 것에 큰 차이가 있다.
이 중에서 헤어 스타일링 왁스는 크림 또는 솔리드 형태의 헤어 스타일링제로서, 모발에 적당한 윤기를 주고 자연스런 세팅력이 있으며, 흐트러진 모발을 정돈하여 재정발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헤어 스타일링 왁스는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형태로서 광택 부여 및 스타일링효과를 주기 위해서 오일, 왁스와 같은 유상성분과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과 같은 수상성분이 사용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용기 또는 튜브 형태(Jar or Tube Type)로 출시되고 있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는 높은 점도를 가짐과 아울러 헤어 스타일링 기능을 갖기 위해 밀납(Beeswax)과 같은 유성 성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헤어 왁스의 경우에는 모발에 도포시 높은 점도 때문에 발림성이 안 좋아 모발에 균일한 코팅이 어렵다 보니 모발이 뭉치고 자연스럽지 못하여 머리카락이 지저분해지면서 기름져 보이고 손과 모발이 샴푸나 비누와 같은 세정 제품에 잘 씻겨지지 않아 산뜻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모발 형태의 고정력(Set Hold)을 높이고자 왁스 성분의 원료들을 과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더 사용감이 뻑뻑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자연스러운 모발 고정력 향상에는 기술적 제약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모발의 헤어 스타일링 왁스 제품에 대한 기능이 향상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관련업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로서는 모발에 도포시 퍼짐성(발림성)이 우수하고 세팅력이 높아 모발을 용이하게 스타일링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모발과 손의 세척시 씻김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9559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및 씻김성이 우수한 헤어 스타일링(hair styling) 왁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및 이소펜탄(isopentane)을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및 이소펜탄(isopentane)을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밀납(beeswax)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밀납(beeswax)"은 밀랍이라고도 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자연적으로는 꿀벌들이 꽃으로부터 수집한 당분을 효소작용에 의해 생화학적 과정을 경유하여 그 체내에서 만들어 일벌의 하복부 분비샘에서 분비하는 노란색 물질이며, 벌집을 구성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천연 밀납이 아닌 경우에 상기 천연 밀납과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사용된 밀납은 천연 밀납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밀납을 여과기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납은 밀납 총 중량 대비 왁스 에스테르 40 내지 90 중량%, 유리 지방산 1 내지 30 중량%, 유리 알코올 0.1 내지 5 중량%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왁스 에스테르 62 내지 75 중량%, 유리 지방산 5 내지 16 중량%, 유리 알코올 1 내지 2 중량%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C20 내지 C40의 탄화수소를 10 내지 20 중량% 또는 글리세라이드(C14, C16 또는 C18)를 2 내지 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C25 내지 C80, 바람직하게는 C31 내지 C70의 분자량 3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400 내지 1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450 내지 1000의 이소파라핀을 주 성분으로 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은 하기 자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특정 함유량 및 다른 조성물과의 특정 질량비로 조성물에 함유되어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우수한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및 씻김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이소펜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로서 분자식은 C5H12, IUPAC 명칭으로는 2-메틸부탄(2-Methylbutane)이고, 분자량은 72.15인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이라면, 자연적으로 시료에서 분리된 이소펜탄, 인공적으로 합성된 이소펜탄 및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이소펜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 중에서,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손바닥에 적량 덜어낸 후 롤링(rolling)하는 경우 손바닥의 체온과 물리적 마찰에 의해 이소펜탄이 휘발과 동시에 폼(foam)으로 상전이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이소펜탄의 특정 함유량 및 다른 조성물과의 특정 질량비로 함유되어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일정량 미만 함유하는 경우에는 모발에 적용시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및 씻김성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일정량 초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로서의 점도를 형성할 수 없어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에어졸 용기가 아닌 일반 용기를 사용할 경우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모두 함유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밀납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모두 함유하지 않고 단독의 물질;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밀납; 또는 이소펜탄 및 밀납 만을 조합하여 함유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헤어 스타일링 왁스에 있어서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및 씻김성이 모두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1 내지 30 중량% 및 이소펜탄을 0.1 내지 15 중량%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1 내지 10 중량% 및 이소펜탄을 5 내지 1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4.5 내지 8 중량% 및 이소펜탄을 5 내지 12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밀납을 함유하는 경우에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밀납을 1 내지 30 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1 내지 30 중량% 및 이소펜탄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밀납을 5 내지 15 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1 내지 10 중량% 및 이소펜탄을 5 내지 1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밀납을 8.5 내지 13 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4.5 내지 8 중량% 및 이소펜탄을 5 내지 12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납을 더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서 상기 밀납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혼합하는 경우, 밀납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미만이면 고점도가 형성되지 않아 흐르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모발 고정력(세팅력)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밀납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가 각각 30 중량% 초과이면 점도가 너무 높고 단단하여 모발에 잘 퍼지지 않아 퍼짐성이 좋지 않고 뻑뻑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서 상기 이소펜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미만이면 모발에서의 퍼짐성(발림성), 고정력(세팅력) 및 씻김성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개선되는 효과가 없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20 중량% 초과이면 고점도가 형성되지 않아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에어졸(aerosol) 용기가 아닌 일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여름철 고온에서의 밀폐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보관하는데 안전성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이 포함된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 있어서, 세팅력(고정력), 퍼짐성(발림성) 및 씻김성 중 어느 하나의 효과라도 우수하지 못하다면, 사용에 불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팅력(고정력)은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 주 목적으로서 원하는 헤어 스타일링을 위해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사용하게 된다. 일정량 이상의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모발에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발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외부 요인(예를 들어 바람, 가벼운 접촉 등)에 의해 쉽게 변한다면 세팅력이 우수하지 못하여 헤어 스타일링 왁스로서 가치가 없을 수 있다.
또한, 퍼짐성(발림성)은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이 포함된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사용 방법과 같이 적량 손바닥에 덜어낸 후 이를 롤링(rolling)하여 모발에 도포할 때 모발이 뭉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잘 도포되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헤어 스타일링 왁스 제품이 너무 뻑뻑하여 모발이 뭉치거나 모발에 원하는 만큼 도포가 되지 않는 경우 헤어 스타일링 왁스로서 가치가 없을 수 있다. 헤어 스타일링 제품이 높은 수준의 세팅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점도를 가져야 하지만, 이 경우에 지나치게 높은 점도 때문에 퍼짐성(발림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세팅력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퍼짐성(발림성)을 나타내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하기 실험예에서 증명하는 바와 같이 모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로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씻김성은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 있어서, 세팅력 및 퍼짐성(발림성)은 모발 적용시에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으나, 모발에서 도포된 왁스 제품이 씻겨 내려가지 않는다면 우수한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이라고 할 수 없다. 높은 수준의 세팅력 및 퍼짐성(발림성)을 가지는 제품의 경우 장시간 세팅된 머리를 유지할 수 있는 훌륭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씻김성이 부족하여 모발에 왁스 조성물이 세정 후에도 모발에 잔존한다면 모발 건강 악화 및 두피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평가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이 포함된 헤어 스타일링 왁스는 하기 실험예에서 증명하는 바와 같이 우수한 세팅력 및 퍼짐성(발림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우수한 씻김성도 가지고 있어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로서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상기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의 함유량 뿐만 아니라, 특정 중량비에서 상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 : 0.5 - 4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 : 1.5 - 3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 : 1.5 - 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밀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 - 4 : 1 : 0.5 - 4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5 - 3 : 1 : 1.5 - 3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5 - 2.5 : 1 : 1.5 - 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헤어 스타일링 왁스로서의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또는 씻김성의 수준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소펜탄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 더 함유되는 경우에는 이소펜탄의 일부가 상층에 존재하는 이중 층이 형성되어 안정성이 좋지 못할 수 있고 균일한 품질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이소펜탄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 적게 함유되는 경우에는 이소펜탄이 유효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또는 씻김성의 수준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중량% 함유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동, 식물성 유지, 유화제, 중화제, 점증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 성분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 식물성 유지에는 파라핀 왁스, 칸데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스쿠알렌, 또는 미네랄 오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화제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 스테아르산 또는 PEG 스테아르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화제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증제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부제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일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이라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왁스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매트 타입, 크림 타입 또는 에멀전 타입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S1) 정제수에 수상성분을 용해하는 단계;
S2)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성분을 S1)단계에서 제조한 수상에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S3) 이소펜탄을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조 방법에 첨가하는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포함된 함량 및 중량비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1)단계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상은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에 수상성분을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및 유화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 단계에서 정제수에 수상성분을 용해한 후 가온 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상기 가온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의 온도에서 가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2)단계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상성분은 밀납 및/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포함하며, 이외에 스쿠알렌, 카나우바 왁스 등의 유상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2) 단계에서 유화시킨 후 가온 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상기 가온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의 온도에서 가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S2)단계 이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의 온도에서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3)단계는 이소펜탄을 첨가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소펜탄은 상기 S2)단계 이후, 바람직하게는 상온까지 냉각 후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은 종래에 달성하지 못하였던 세팅력, 퍼짐성(발림성) 및 씻김성이 모두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제조
하기 표 1(실시예 군) 및 표 2(비교예 군)와 같은 성분 조성 및 함량을 갖는 유화 형태의 헤어 스타일링 왁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
먼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을 갖는 각각의 성분을 준비한 후 정제수(구분 1)에 글리세린(구분 2) 및 유화제(구분 3)를 가하고 용해시켜 수상을 만들고 85℃로 가온하였다. 이후, 유상 성분인 스쿠알렌(squalene)(구분 4)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구분 5), 밀납(beeswax)(구분 6)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구분 7)를 상기 85℃로 가온하여 준비된 수상에 가하여 유화시킨 후 55℃로 냉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화제(구분 9), 세팅제(구분 10), 점증제(구분 11) 및 방부제(구분 12)를 상기 55℃로 냉각하여 준비된 유상에 각각 순차적으로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온까지 냉각한 다음 밀폐된 용기에 이소펜탄(isopentane)(구분 8)을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각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준비하였다.
하기 표 1에서 구분 1 내지 12로 표시된 각각의 성분에 대한 수치는 함량을 나타내며 그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단위 : 중량%)
1 2 3 4 5 6 7 8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3 유화제 1.5 1.5 1.5 1.5 1.5 1.5 1.5 1.5
4 스쿠알렌 4.0 4.0 4.0 4.0 4.0 4.0 4.0 3.0
5 카나우바왁스 5.0 5.0 5.0 5.0 5.0 5.0 5.0 5.0
6 밀납 10.0 10.0 10.0 10.0 10.0 8.0 8.0 8.0
7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5.0 5.0 5.0 5.0 5.0 3.0 3.0 3.0
8 이소펜탄 2.0 4.0 6.0 8.0 10.0 2.0 4.0 6.0
9 중화제 0.5 0.5 0.5 0.5 0.5 0.5 0.5 0.5
10 세팅제 2.0 2.0 2.0 2.0 2.0 2.0 2.0 2.0
11 점증제 0.4 0.4 0.4 0.4 0.4 0.4 0.4 0.4
12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상기 표 1에서, 유화제(구분 3)는 글리세릴 스테아르산(Glyceryl Stearate) 및 PEG-100 스테아르산(Stearate),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구분 5)는 끓는 알코올에 부분적으로 용해되며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에테르(ether)에 용해되나 물에는 용해되지 않고 비중은 약 0.997, 녹는점은 80∼86℃의 특성을 갖는다. 밀납(Beeswax, 구분 6)은 왁스 에스테르 약 62-75%, 유리지방산 약 5-16%, 유리알코올 약 1-2%를 함유하고 있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ine wax, 구분 7)는 석유에서 얻은 고형 탄화수소류의 혼합물로 주로 이소파라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소펜탄(Isopentane, 구분 8)은 끓는점(bp): 30~30.2℃, 밀도(d, 20℃): 0.62의 성질을 갖고 있는 용제이다. 중화제(구분9)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TEA)으로 트리에탄올아민(C6H15NO3:149.19) 99.0~105.0%를 함유하면서 점증제(구분 11)를 중화한다. 세팅제(구분 10)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중합체, 점증제(구분11)는 탄소수가 10 내지 30인 알킬/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Alkyl Acrylate Crosspolymer, NOVEON, USA), 그리고 방부제(구분 12)로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먼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을 갖는 각각의 성분을 준비한 후 정제수(구분 1)에 글리세린(구분 2) 및 유화제(구분 3)를 가하고 용해시켜 수상을 만들고 85℃로 가온하였다. 이후, 유상 성분인 스쿠알렌(구분 4) 카나우바왁스(구분 5), 밀납(구분 6)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구분 7)를 85℃로 가온하여 준비된 수상에 가하여 유화시킨 후 55℃로 냉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화제(구분 9), 세팅제(구분 10), 점증제(구분 11) 및 방부제(구분 12)를 상기 55℃로 냉각하여 준비된 유상에 각각 순차적으로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온까지 냉각한 다음 밀폐된 용기에 이소펜탄(구분 8)을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각 비교예에 따른 시료를 준비하였다.
하기 표 2에서 구분 1 내지 12로 표시된 각각의 성분에 대한 수치는 함량을 나타내며, 그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성분명 비교예 (단위 : 중량%)
1 2 3 4 5 6 7 8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3 유화제 1.5 1.5 1.5 1.5 1.5 1.5 1.5 1.5
4 스쿠알렌 4.0 4.0 4.0 4.0 4.0 4.0 4.0 3.0
5 카나우바왁스 5.0 5.0 5.0 5.0 5.0 5.0 5.0 5.0
6 밀납 12.0 10.0 10.0 - 12.0 10.0 8.0 8.0
7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 - 5.0 15.0 - - 4.0 4.0
8 이소펜탄 - - - - 4.0 4.0 6.0 4.0
9 중화제 0.5 0.5 0.5 0.5 0.5 0.5 0.5 0.5
10 세팅제 2.0 2.0 2.0 2.0 2.0 2.0 2.0 2.0
11 점증제 0.4 0.4 0.4 0.4 0.4 0.4 0.4 0.4
12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한편, 상기 표 2에서 사용된 성분 물질 대부분, 상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물질과 사용 함량은 다르지만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시예(1 내지 8) 및 비교예(1 내지 8)에 따라 준비된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세팅력에 대한 기기평가, 씻김성 및 모발 뭉침(퍼짐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1. 고정력(Set Hold)에 대한 기기평가
상기 실시예(1 내지 8) 및 비교예(1 내지 8)에 따라 각각 준비된 헤어 스타일링 왁스가 골고루 도포된 모발을 스파이럴(Spiral)에 감아 건조시켰다. 컬(Curl) 상태의 모발은 온도가 25℃이고 상대습도가 60%인 항온 항습기에 넣어 시간 경과에 따라 고정 효과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컬 리텐션[Curl Retention, C.R(%)]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L0는 헤어 트레스(Hair Tress) 길이를 나타내고, Lt는 t 시간 경과 후 헤어 트레스(Hair Tress)의 길이를 나타내며, Ls는 컬(Curl)된 최초 헤어 트레스(Hair Tress) 길이(t=0)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의 출전 문헌은 『Albert L.Micchelli,B.A., and F.Theodore Koehler,B.S."Polymer Properties Influencing Curl Retention at High Humidity" J.Soc.Cosmetic Chemists.19,863~880(Dec 9,1968)』이다.
2. 씻김성에 대한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1 내지 8) 및 비교예(1 내지 8)에 따라 각각 준비된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3g씩 평가자 각자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한 다음 12시간 경과한 후, 세발시 씻기는 정도를 하기 표 3과 같은 기준에 따른 5점 만점 척도로 기록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다음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였다.
구분 씻김성 상태 시험조건
1점 매우 나쁨
- 세정제(SLES 10% 용액) : 5g
- 헤어 스타일링 왁스 도포량 : 3g
2점 약간 나쁨
3점 보통
4점 약간 좋음
5점 매우 좋음
3. 퍼짐성에 대한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1 내지 8) 및 비교예(1 내지 8)에 따라 각각 준비된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3g씩 평가자 각자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한 다음 손가락으로 스타일링한 후, 모발이 뭉침 정도(또는 퍼짐성)을 하기 표 4와 같은 기준으로 5점 만점 척도로 기록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다음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였다.
구분 모발 뭉침 상태 퍼짐성 시험조건
1점 매우 심함 매우 나쁨
- 항온항습실의 온도 : 25℃
- 항온항습실의 상대습도 : 40%
- 헤어 스타일링 왁스 도포량 : 3g
2점 심함 나쁨
3점 약간 있음 보통
4점 없음 좋음
5점 매우 없음 매우 좋음
4. 결과
각각의 실시예(1 내지 8) 및 비교예(1 내지 8)에 대하여 세팅력에 대한 기기평가와 끈적임, 씻김성 및 모발 뭉침(퍼짐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가항목 1 2 3 4 5 6 7 8
실시예 세팅력(%) 71 74 75 75 75 66 68 69
씻김성 3.5 3.9 4.0 4.2 4.4 4.1 4.2 4.3
퍼짐성 3.8 4.1 4.2 4.5 4.7 4.3 4.5 4.8
비교예 세팅력(%) 63 55 72 75 65 57 70 67
씻김성 3.3 3.5 2.8 2.5 3.5 4.1 4.0 3.4
퍼짐성 3.5 4.0 3.0 2.7 3.7 4.2 4.1 3.6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 내지 8)는 비교예(1 내지 8)에 비해 전반적으로 씻김성과 퍼짐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밀납 10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중량% 및 이소펜탄 6 내지 10중량%를 함유한 실시예 3 내지 5의 경우에는 모발에서의 고정력, 씻김성 및 본 발명의 제품을 모발에 도포시 퍼짐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효과 기준치는 세팅력 74% 이상, 씻김성 3.9 이상, 퍼짐성 4.0 이상이다.

Claims (12)

  1.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및 이소펜탄(isopentane)을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밀납(beeswax)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1 내지 30 중량% 및 이소펜탄을 0.1 내지 1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밀납을 1 내지 30 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1 내지 30 중량% 및 이소펜탄을 0.1 내지 1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납은 밀납 총 중량 대비 왁스 에스테르 40 내지 90 중량%, 유리 지방산 1 내지 30 중량%, 유리 알코올 0.1 내지 5 중량%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 : 0.5 - 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이소펜탄을 1 - 4 : 1 : 0.5 - 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 식물성 유지, 유화제, 중화제, 점증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
  1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제조 방법:
    S1) 정제수에 수상성분을 용해하는 단계;
    S2)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성분을 S1)단계에서 제조한 수상에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S3) 이소펜탄을 첨가하는 단계.
KR1020170107492A 2017-08-24 2017-08-24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KR20170099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92A KR20170099828A (ko) 2017-08-24 2017-08-24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92A KR20170099828A (ko) 2017-08-24 2017-08-24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650A Division KR101774000B1 (ko) 2015-09-24 2015-09-24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828A true KR20170099828A (ko) 2017-09-01

Family

ID=5992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92A KR20170099828A (ko) 2017-08-24 2017-08-24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8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52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일진코스메틱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52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일진코스메틱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5163B2 (ko)
JP5890962B2 (ja) 油性スタイリング化粧料
US20020076424A1 (en) Hair styling sticks based on polyethylene glycols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CN109640943A (zh) 含有玫瑰果油的头发造型组合物及其用途
JP5191099B2 (ja) ワックス状乳化型整髪剤
JP2001181145A (ja) 毛髪化粧料
KR20170099828A (ko)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KR101774000B1 (ko)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JP4136962B2 (ja) 毛髪化粧料
JP3822118B2 (ja) 毛髪化粧料
KR101494272B1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KR101711177B1 (ko)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KR100588831B1 (ko) 회합성 증점제를 이용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성겔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4136965B2 (ja) 毛髪化粧料
JPS6140645B2 (ko)
JPS6136489B2 (ko)
JPS6033084B2 (ja) W/o型のスチツク化粧料
JP2006028153A (ja) 乳化型整髪料組成物
US7135166B2 (en) Hair styling stick containing polyethylene glycols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JP3433922B2 (ja) 整髪用化粧料
US7887861B2 (en) Topical preparations comprising flower wax and candelilla
CN113274302B (zh) 一种组合物和安全清爽卸妆水及其制备方法
KR101053641B1 (ko)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
KR101336871B1 (ko) 헤어 젤 왁스 조성물
JP2008174496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