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773A - 신체 능력의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 기기 - Google Patents

신체 능력의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773A
KR20170099773A KR1020170023662A KR20170023662A KR20170099773A KR 20170099773 A KR20170099773 A KR 20170099773A KR 1020170023662 A KR1020170023662 A KR 1020170023662A KR 20170023662 A KR20170023662 A KR 20170023662A KR 20170099773 A KR20170099773 A KR 2017009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measurement
item
imag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438B1 (ko
Inventor
이용국
Original Assignee
이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국 filed Critical 이용국
Publication of KR2017009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가 개시된다. 본 기기는 피측정자의 측정 위치를 광으로 특정하는 프로젝터, 피측정자를 식별하는 제1 센서, 피측정자의 거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 피측정자의 신체 정보, 측정 이력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메모리, 측정에 관련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피측정자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제1 센서를 이용하여 피측정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피측정자의 측정 이력 정보 또는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측정종목을 선택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피측정자의 거동에 기초하여 선택된 측정종목에 대한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을 측정하고, 측정종목의 모범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아이템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피측정자의 영상을 영상분석부를 통해 분석하되, 측정 종목과 관련된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가이드 음성을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 능력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능력의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 기기{Smart Apparatus for Measuring And Improving Physical Ability}
본 개시는 신체 능력의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도 식생활의 서구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비만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각종 성인병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와 같은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건강진단을 받는 사람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건강상태는 병원에서 상세하게 측정되어야 하지만, 병원을 예약하고 방문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동시에 비용의 문제도 발생되므로, 일상생활 도중에도 수시로 건강상태를 측정 및 검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신체의 능력을 측정 및 증진하는 것도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하여 보다 간편하게 사람의 신체 능력을 측정 및 증진하는 방법의 대두가 요청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31444호(공개일: 2011.3.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신체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신체 능력이 증진되도록 가이드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는 피측정자의 측정 위치를 광으로 특정하는 프로젝터; 상기 피측정자를 식별하는 제1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거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정보, 측정 이력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메모리; 측정에 관련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피측정자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이력 정보 또는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종목을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피측정자의 거동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측정종목에 대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종목의 모범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피측정자의 영상을 상기 영상분석부를 통해 분석하되, 상기 측정 종목과 관련된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가이드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 신체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스마트 기기가 제공됨으로써 비용 절감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둘째, 신체 능력이 증진되도록 가이드하는 스마트 기기가 제공됨으로써, 피측정자의 신체능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긍적적인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셋째, 스마트 기기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신체 능력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다양한 구동 실시 예를 나타낸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및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 스마트 기기(100)의 외관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100)는 피측정자(미도시)의 신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100)는 피측정자의 유연성, 심폐기능, 뇌기능 측정, 밸런스, 순발력, 근력, 근지구력, 악력, 민첩성, 협응성 등을 측정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기기(100)는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기 위해 지지대(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상부에 피측정자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120b) 및 피측정자의 측정 위치를 광으로 특정하는 프로젝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측정자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고, 용이하게 광을 조사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100)의 상부면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스마트 기기(100)는 스마트 기기(100)의 명칭을 “OOOTEST”(40)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므로 다른 명칭일 수 있으며, 상기 명칭은 스마트 기기(100)의 적당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피측정자의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센서(120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영상(330)을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기기(100)는 피측정자의 측정된 신체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신체 능력이 증진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기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100)는 입력부(110), 센싱부(120), 프로젝터(130), 디스플레이(140), 통신부(150), 메모리(160), 영상촬영부(170), 영상분석부(180), 음성출력부(185)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마트 기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기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입력부(110)는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스마트 기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2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측정자를 식별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RGB 센서, 거리 감지 센서, 열감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피측정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상기 센싱부(120)가 피측정자를 식별하면 메모리(160)에 저장된 피측정자 정보와 비교하여 측정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20)는 피측정자의 거동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거리 감지 센서, RGB 센서 및 영상촬영부(170) 등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센싱부(120)는 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20)는 피측정자의 헤드 상부면에서 피측정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20)는 피측정자의 헤드 상부에 위치하여 피측정자의 수평움직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120)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키넥트(Kinec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프로젝터(130)는 피측정자가 위치할 장소를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프로젝터(130)를 제어하여 특정 공간에 피측정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130)는 피측정자가 위치할 지면에 빛을 투사하여 피측정자가 특정 영역에서 측정받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프로젝터(130)는 피측정자를 측정하는 경우만 렌즈가 외부로 돌출되어 피측정자의 측정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스마트기기(100)는 피측정자의 위치에 따라 신체 능력의 측정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신체 능력의 판단이 가능한 범위내에서는 프로젝터(130) 및 센싱부(120)의 감지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130)는 피측정자가 위치한 복수의 벽면에 다양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정지영상 및 동영상은 피측정자가 선호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검사가 보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피측정자의 움직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40)는 특별히 영상촬영부(170)와 연동되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하고 현실의 다양한 아이템을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증강 현실/가상 현실 뷰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디스플레이(140)에 증강현실을 부여하거나, 스포츠 스타의 시범 영상과 더빙을 수행하거나 캐릭터를 표시하여 사용자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서버(300), 피측정자(미도시)가 소지한 스마트폰(400), 외부 기기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피측정자의 측정 정보, 결재 정보 등을 다양한 외부 엔티티(300, 400)와 공유할 수 있다. 외부 엔티티(300, 400)가 복수의 피측정자의 측정 정보, 결재 정보, 회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스마트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60)는 스마트 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스마트 기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스마트 기기(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피측정자의 신체 정보, 측정 이력 정보 및 피측정자의 인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피측정자별 측정일자, 측정횟수, 측정시간, 칼로리 소비량, 체력, 순위 등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 회원 정보(이름, 나이, 성별, 체중 등), 신체특징 정보, 신체 능력의 진전 정보, 인증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스마트 기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90)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영상촬영부(17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피측정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스마트 기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분석부(180)는 상기 영상촬영부(1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영상분석부(180)에 의해 분석된 영상은 제어부(19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스마트 기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모듈이다.
제어부(190)는 센싱부(12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를 인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지문, 홍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사용자 음성, 버튼 키, 터치 키 등을 통해 피측정자를 인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인증된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이력 정보 또는 신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측정하기 용이한 측정종목을 선택할 수 있고, 피측정자의 요청에 따라 측정종목을 선택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거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피측정자의 뇌 움직임, 근육 움직임, 관절 움직임, 호흡량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피측정자의 모션을 인식하거나, 피측정자의 심박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모션데이터가 오차범위에 있는지, 칼로리 데이터가 어느정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모니터링된 피측정자의 거동에 기초하여 선택된 측정종목에 대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측정종목의 모범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시범 모드, 예비 측정 모드, 측정 모드 등의 모드를 둘 수 있다.
제어부(190)는 영상촬영부(170)를 통해 촬영된 피측정자의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분석된 영상을 통해 특정 측정종목에서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상기 측정 종목과 관련된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가이드를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음성 출력부(185)를 통해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동기 부여 메시지를 피측정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시범 아이템을 통해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50)를 통해 피측정자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결재서버 등(3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피측정자가 소지한 단말(400), 피측정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400) 등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기기(100)는 멀티채널 기반의 프로젝터 영상을 자동으로 기하보정하고 채널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빅데이터로 피측정자들의 측정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다양한 구동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측정종목에 대한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 기기(100)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설명한 스마트 기기(100)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스마트 기기(100)는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하고, 스마트 기기(100)는 제1 센서(120a), 제2 센서(120b) 및 제3 센서(120c)를 포함한다.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120a~120c)는 모두 센싱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지지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피측정자(USER)가 위치한 지점까지 자동으로 상기 지지대(153)의 제3 센서(120c)가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120c)는 피측정자(USER)의 수평적인 움직임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센서(120a) 및 제3 센서(120c)를 통해 3차원적인 피측정자의 거동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53)는 탈부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스마트 기기(1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140)는 미러형으로 구성되어 피측정자가 자신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100)는 미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러(220)는 피측정자(USER)가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미러(220)는 피측정자를 기준으로 스마트기기(100)와 180도의 위치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130)는 피측정자(USER)가 측정되는 위치를 특정(P)할 수 있다. 피측정자(USER)가 해당 영역(P) 범위 내일 때,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그 외에, 스마트 기기(100)는 YMCA 스텝 검사를 이용하여 뇌기능을 측정하고 심페기능을 측정 및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100)는 피측정자의 균형 능력을 측정 및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100)는 서전트 점프를 통한 순발력, 팔굽혀펴기를 통한 근지구력, 악력기를 통한 악력, Agility T-Test 를 통한 민첨성을 측정 및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시범 아이템(31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4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100)는 피측정자(USER)의 동작을 디스플레이(140)에 나타내며(330), 시범 아이템(310)을 표시할 수 있다. 시범 아이템(310)은 피측정자가 측정할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시범 아이템(310)의 형상은 헬스 트레이너, 3D(Dimension) 캐릭터 형상 및 상기 피측정자가 선호하는 사람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스 트레이너는 가상의 헬스 트레이너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피측정자(USER)를 영상통화로 모니터링하여 PT(Personal Training)을 시키는 실제의 헬스 트레이너일 수 있다.
또한, 시범 아이템(310)은 피측정자가 좋아하는 특정인, 특정 3D 캐릭터로 구성되어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 증진을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피측정자의 워너비(wannabe) 형상을 시범 아이템(31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범 아이템(310)은 피측정자의 나이, 체중 등을 고려하여 피측정자의 영상을 보정한 영상일 수 있다. 예를들면, 피측정자의 나이가 50세인 경우, 47세의 신체나이를 갖고 체중은 3Kg 감량된 피측정자의 워너비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피측정자는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신체 능력의 증진을 더욱 모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음성출력부(185)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 종목과 관련된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음성 또는 뮤직을 재생할 수 있다.
시범 아이템(310)은 시범 모드에서만 구동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범 아이템(310)은 피측정자의 촬영된 영상을 통해 잘못된 자세를 바로 잡아주고 다양한 요구(320)를 피측정자에게 할 수 있다. 가령, 시범 아이템(310)은 “Sit Further”라는 명령을 피측정자에게 할 수 있다.
만약, 측정종목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정보를 측정 이력 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측정 이력 정보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40)에 유저의 모습(330)이 표시되고, 유연성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눈금자(420)와 유저의 손의 위치(410)를 표시하여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유도하며, 성과가 있는 경우, “이전보다 2cm의 진보가 있습니다”, “Conglatulations!”와 같은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 문구는 실제로 성과를 낸 경우가 아니라도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 증진을 위한 동기부여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장소의 환경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피측정자(USER)는 프로젝터(130)가 조사한 시범 아이템(330) 또는 피측정자(USER)의 모습을 일 면에 출력하고, 세 벽면(671a 내지 671c)에 피측정자(USER)가 선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수영하는 피측정자(USER)의 수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상의 물고기(630a, 630b)를 프로젝터(130a, 130b)를 통해 수영장 바닥에 표시할 수 있다. 피측정자(USER)는 특수한 안경을 이용하여 가상의 물고기(630a, 630b)를 잡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측정종목에 대한 제1 측정이 종료되고, 상기 측정종목에 대한 제2 측정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측정에 대한 전문가의 코멘트를 상기 음성출력부(185)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피측정자의 기 수행된 측정에 대한 조언을 듣게 되어, 신체 능력의 증진이 도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에 있어서,
    피측정자의 측정 위치를 광으로 특정하는 프로젝터;
    상기 피측정자를 식별하는 제1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거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정보, 측정 이력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메모리;
    측정에 관련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피측정자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이력 정보 또는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종목을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피측정자의 거동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측정종목에 대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능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종목의 모범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피측정자의 영상을 상기 영상분석부를 통해 분석하되, 상기 측정 종목과 관련된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가이드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 탈부착 가능한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피측정자의 거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 및 제3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범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아이템의 형상은 헬스 트레이너 형상, 3D(Dimension) 캐릭터 형상 및 상기 피측정자가 선호하는 사람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측정자를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측정종목의 모범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아이템의 형상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피측정자의 나이보다 젊게 또는 피측정자의 체중보다 적게 상기 아이템의 형상을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종목에 대한 측정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정보를 상기 측정 이력 정보에 업데이트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상기 피측정자가 위치한 장소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상기 피측정자가 선호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7. 제1항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 종목과 관련된 신체 능력의 증진을 위한 음성 또는 뮤직을 재생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종목에 대한 제1 측정이 종료되고, 상기 측정종목에 대한 제2 측정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측정에 대한 전문가의 코멘트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미러(Mirror)형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피측정자를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와 180도의 위치하는 지점에 거울이 구비되어 상기 피측정자가 자신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측정자가 소정의 수준만큼 상기 측정종목에 관한 측정이 수행한 경우, 상기 측정종목과 다른 측정종목에 관한 측정을 수행하는,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스마트기기.
KR1020170023662A 2016-02-24 2017-02-22 신체 능력의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 기기 KR101985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9006P 2016-02-24 2016-02-24
US62/299,006 2016-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73A true KR20170099773A (ko) 2017-09-01
KR101985438B1 KR101985438B1 (ko) 2019-06-03

Family

ID=5992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662A KR101985438B1 (ko) 2016-02-24 2017-02-22 신체 능력의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4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146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매직내니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13265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스탠스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20200131558A (ko) * 2019-05-14 2020-11-24 김준기 민첩성 훈련 및 게임 시스템
KR20210000170A (ko) *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디지믹스 브레인 브이알 시스템
KR102222956B1 (ko) * 2020-11-10 2021-03-04 주식회사 조이펀 프로젝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좌표 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366102B1 (ko) * 2021-08-20 2022-02-24 주식회사 조이펀 3차원 캐릭터 기반 실감형 인터렉티브 운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538856B1 (ko) * 2022-10-27 2023-06-02 (주)엘앤에이치랩스 심장재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6A (ko) * 2000-06-12 2000-09-05 이종길 인터넷 웹상에서 체력측정 및 평가와 운동프로그램처방방법
KR20110031444A (ko) 2011-03-02 2011-03-28 한상현 건강체력 측정평가 및 운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2560A (ko) * 2013-04-10 2014-10-20 클라트 주식회사 골프 시뮬레이터
KR20160016263A (ko) * 2014-08-04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6A (ko) * 2000-06-12 2000-09-05 이종길 인터넷 웹상에서 체력측정 및 평가와 운동프로그램처방방법
KR20110031444A (ko) 2011-03-02 2011-03-28 한상현 건강체력 측정평가 및 운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2560A (ko) * 2013-04-10 2014-10-20 클라트 주식회사 골프 시뮬레이터
KR20160016263A (ko) * 2014-08-04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146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매직내니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13265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스탠스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20200131558A (ko) * 2019-05-14 2020-11-24 김준기 민첩성 훈련 및 게임 시스템
KR20210000170A (ko) *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디지믹스 브레인 브이알 시스템
KR102222956B1 (ko) * 2020-11-10 2021-03-04 주식회사 조이펀 프로젝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좌표 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366102B1 (ko) * 2021-08-20 2022-02-24 주식회사 조이펀 3차원 캐릭터 기반 실감형 인터렉티브 운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538856B1 (ko) * 2022-10-27 2023-06-02 (주)엘앤에이치랩스 심장재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4090758A1 (ko) * 2022-10-27 2024-05-02 (주)엘앤에이치랩스 심장재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438B1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438B1 (ko) 신체 능력의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 기기
KR102099316B1 (ko)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US9024976B2 (en) Postur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W201820279A (zh) 訓練並監測吸入器藥物投與之系統及方法
US20100228487A1 (en) Postur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332965A1 (en) Measurement system, head-mounted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10709328B2 (en) Mai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self-examination of a user's eye
US20100271200A1 (en) Postur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determining response to subject advisory information
KR20160130085A (ko) 스마트미러를 이용한 운동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07871116A (zh) 用于确定人的姿势平衡的方法和系统
CN109091118A (zh) 一种体征数据监测系统、监测方法以及终端
KR20190074694A (ko) 음성 인식 기반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스마트 미러 장치 및 그 방법
US10070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monitoring of a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Lopez et al. Statistical validation for clinical measures: repeatability and agreement of Kinect™-based software
AU2020102642A4 (en) Machine Learning-based Smart Workout Mirror and Method Thereof
US20040059264A1 (en) Footprint analyzer
EP3308705A1 (en) Body composition measuring device
KR102060016B1 (ko) 바닥 체크에 의한 동작 인식 보정 방법 및 장치
US20160274663A1 (en) Control apparatus
US20220406206A1 (en)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progra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6153510B (zh) 矫正镜控制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智能矫正镜
Andrushevich et al. Open smart glasses development platform for AAL applications
AU2021107210A4 (en) System, method and virtual reality device for assessing compliance of body movement
AU2021100300A4 (en) Machine Learning-based Smart Workout System
WO2024090190A1 (ja) 超音波検査装置、検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